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국 하북성 만리장성(萬⾥⾧城) 유적 관광지의 공간활력 평가 - 당산시(唐⼭市) 3개 관광지구를 중심으로 -
진동동,노재현,김남은,정푸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8 No.3
본 연구는 중국 상산시 청산관 백양욕 희봉구 관광지구 등 총 15개 지구를 대상으로 만리장성 유적지의 공간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공간활력 평가방법을 수립하여 관광지구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여가활동 관찰기법(SOPARC)을 활용해 탐방객의 활동특성을 관찰·분석하였다. 동시에 인간·시간·공간의 3차원적 접근방식을 통해 ArcGIS 핵밀도 추정 알고리즘(KDE)을 이용하여 만리장성 유적 관광지의 활력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탐방객을 대상으로 공간 편의시설 동선 건축 및 자연경관, 역사 문화, 문화 활동 등 15개 항목에 대해 5점 리커트척도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셋째, 전문가 대상 델파이법과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공간지표를 선정하고 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하여 대상지의 공간활력을 평가하고 활력도 제고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만리장성 유적 관광지의 공간 이용자 중 젊은 층이 절대적인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접근성이 좋고 시설이 잘 갖추어져 공간의 규모가 적절하고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이 우수하며, 문화활동이 다양하고 활발한 관광지일수록 이용자 간의 혼합도가 높았다. 공간기능이 다양한 관광지는 공간활동의 다양성도 더 높았다. 둘째, 관광지의 활동 피크 시간대는 주로 오전 10시에서 12시, 오후 3시에서 5시 사이로 나타났으며, 미기후가 쾌적한 관광지에서는 피크 시간대의 활동빈도가 더 높았다. 시설이 잘 갖추어지고 관리가 잘된 공간일수록 활동변동이 적었으며, 경관이 아름답고 문화환경이 우수한 공간에서는 활력이 오래 지속되었다. 셋째, 주변 인구밀도가 높고 역사요소가 잘 보존되며, 유지관리가 우수한 관광지일수록 공간 활동빈도가 높았다. 또한 특색 있는 지역산업이 발전하고 상업활동이 활발하며, 공간의 기능이 다양한 경우 공간집적도가 더 높아진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사례연구 결과와 만리장성 유적 관광지의 특성을 결합하여 자연환경 산업공간 기능 시설 서비스 문화 및 경관 등 4가지 주요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델파이법을 통해 1개의 목표층, 4개의 1차 지표, 9개의 2차지표 및 29개의 3차 지표로 구성된 만리장성 유적 관광지의 공간활력 평가모델을 수립하였다. 이를 토대로 계층 분석법을 통해 공간활력 평가지표 시스템의 가중치를 결정하였으며, 가중치는 문화 및 경관 활력(45.12%), 자연환경 활력(26.09%), 산업공간 기능 활력(16.89%), 시설 서비스 활력(11.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지의 공간활력을 조성하는 데 있어 문화와 자연경관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평가지표와 대상지의 현황을 종합하여 만리장성 유적 관광지의 공간 활력 5단계 평가등급을 정의하였다. 각 요인 항목에 점수를 부여해 최종 활력값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 값은 공간의 활력정도를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실제 검증을 통해 구축된 평가 시스템과 5단계 평가등급은 신뢰성이 높았으며, 만리장성 유적지의 공간활력 평가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patial vitality of the Great Wall heritage sites, focusing on 15 tourist areas including Qing Shanguan, Baiyangyue, and Xihong District in Shangshan City, China. It seeks to establish a method for assessing spatial vitality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these tourist areas.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s three main approaches. First, the SOPARC (System for Observing Play and Recreation in Communities) observation technique was utilized to analyze visitor activity characteristics. Concurrently, the ArcGIS kernel density estimation algorithm was applied to examine the vitality characteristics of the Great Wall heritage tourism sites through a three-dimensional approach involving human, time, and space.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visitors using a 5-point Likert scale, encompassing 15questions related to space, amenities, movement patterns, architecture and natural scenery, historical culture, and cultural activities. Third, experts were engaged through the Delphi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to select spatial indicators, and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was employed to set the weights of these indicators, assessing the spatial vitality of the sites and establishing guidelines for enhancing their vita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users at the Great Wall heritage tourism sites are young individuals. Furthermore, sites with good accessibility, well-equipped facilities, pleasant spatial scales, excellent natural scenery, and rich cultural atmospheres tend to have higher user diversity. Tourist areas with diverse spatial functions exhibited greater variability in spatial activities. Second, the peak activity times at tourist sites were primarily between 10AM to 12PM and 3PM to 5PM, with pleasant microclimates correlating with higher activity frequencies during peak hours. Spaces that are well-equipped and well-managed showed the least variability in activities, while areas with beautiful scenery and rich cultural atmospheres maintained sustained vitality. Third, tourist sites with high surrounding population density, a favorable historical atmosphere, and excellent maintenance exhibited higher frequencies of spatial activities.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areas with distinctive local industry development, abundant commercial activities, and diverse spatial functions had higher spatial aggregation. Fourth, by integrating case study resul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itage tourism sites, four influential factors were identified: natural environment, industrial spatial functions, facility services, and culture and scenery. Through three rounds of expert Delphi method, a spatial vitality assessment model for the Great Wall heritage tourism sites was established, consisting of one objective layer, four primary indicators, nine secondary indicators, and 29tertiary indicators. Based on this, the weights of the assessment index system for the spatial vitality of the Great Wall heritage sites were determined using hierarchical analysis. The weights were as follows: cultural and scenic vitality (45.12%) > natural environmental vitality (26.09%) > industrial spatial function vitality (16.89%) > facility service vitality (11.9%), indicating the paramount importance of culture and natural scenery in fostering spatial vitality in tourist areas. Fifth, by synthesizing the derived assessment indicators with the current status of the sites, a five-level spatial vitality evaluation system for the Great Wall heritage tourism sites was defined. By assigning scores to each factor in the evaluation system, a final vitality value was obtained, quantitatively describing the degree of spatial vitality. The evaluation system established through practical validation and the five-level scoring criteria w...
김영롱 경기연구원 2020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복잡한 도시공간과 도시민의 삶을 연구하는 데 있어 단순화하고 일반화하는 문제는 오랫동안 도시학자들이 고민해 온 문제였다. 특히 도시활력을 측정하고 도시공간을 유형화하는 작업은 복잡한 도시 구조를 한눈에 바라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어 온 방법이다. 최근 빠른 속도로 수집되고 축적되는 도시 빅데이터를 통해 도시민의 특성을 잘 대표하는 지표를 선정하고 개발하는 과정에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도시민의 삶을 보다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지표가 있다면,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과 신종 도시 재난에 대응하는 의사결정과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표 중 하나인 도시활력은 도시민의 삶의 질, 살기 좋은 도시 등을 평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게 활용되어왔다. 그러나 어떠한 기준으로 이를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개념적인 정의가 모호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도시활력을 사회적, 경제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개념화하였다. 사회적 활력이란 도시공간에 통행하는 유동인구로 인해 발생하는 북적거림을 의미하고, 경제적 활력은 소비, 거래, 투자 등의 활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적 틀을 기반으로 사회적 활력의 지표로는 거주인구와 함께 휴대전화사용에 기반하여 측정한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사용하였고, 경제적 활력의 지표로는 사업체 종사자 수와 카드결제 빅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도시활력의 사회적, 경제적 차원을 비교 분석해보면, 거주와 활동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생산과 소비 활동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있지 않은 경향이 강하다. 사회적 활력의 경우에는 거주인구와 유동인구의 차이가 극명하게 대비되는 경우가 많았다. 도심공동화 현상 등에 기인하여 거주와 활동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제적 활력의 경우에는 생산과 소비 활동이 공간적으로 혼재하는 경향이 강하다. 직장들이 밀집해있는 생산의 공간에서 직장인들을 포함하여 많은 도시민들이 소비 활동을 하는 현실이 반영된 결과이다. 그리고 스몰데이터와 빅데이터가 각각 도시민의 정적, 동적 측면을 대표한다는 점을 활용하여, 이를 기준으로 도시공간의 유형을 분류하고 코로나19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유형 I(중심업무지구)은 생산 및 소득 활동을 위해 어쩔 수 없이 가야만 하는 곳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충격에도 급격한 도시활력 감소는 없을 것이다. 유형 II(쇼핑)는 온라인이나 근거리에서 대체할 수 있어 반드시 가지 않아도 되는 곳이기 때문에 코로나19의 충격으로 도시활력이 크게 감소할 우려가 있다. 유형 III(주거)은 코로나19로 인해 원거리 이동 및 소비가 줄어들면서 역설적으로 도시활력이 높아질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유형 IV(교육 및 행정)는 동적 지표보다 정적 지표가 높은 지역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단기적인 도시활력 감소는 적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도시활력이라는 개념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통해 측정 가능한 지표를 제안하였으며, 스몰데이터와 빅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두 가지 데이터의 특성으로부터 상호보완적 장점을 이끌어냈다는 의의가 있다.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인구감소 시대에 각 지역에서 제한적인 거주인구 조건 내에서 도시활력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도시 기반시설과 서비스 제공의 차원에 있어 거주인구 중심의 사고를 극복하는 여러 가지 대안을 장기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Urban researchers have sought to simplify and generalize the complex urban space and the everyday life of citizens. The concept of urban vitality and typology of urban space have been used to provide a bird-eye view of the complex urban structure. In particular, urban big data allowed researchers to revolutionize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developing indices that reflect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citizen life. If the indices can catch them immediately and effectively, they can be used for a decision-making process to counter the new urban crises including COVID-19. The concept of urban vitality has been used by urban researchers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in cities and the best place to live. However, the concept has been also criticized as a fuzzy concept with a lack of clarity to identify and operationalize. To overcome the issue, this study conceptualized urban vitality in two dimensions, social and economic ones. The social vitality means the urban buzz made by pedestrian traffic passing through urban space and the economic vitality is aroused by economic activities such as consumption, transaction, and investment. Building on the conceptual framework, this study adopted datasets including residential population and pedestrian traffic data for the social vitality and employment and bank card transaction data for the economic vitality. The empirical research shows that residence and activity on the social side are spatially divided whi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n the economic dimension are spatially mixed. Residential population and pedestrian traffic are polarized in the same region mainly because the residential area in the city center is hollowed out. However, many employees contribute to the consumption level in the city center. It is also notified that small data represent the stationary existence of urban vitality source while big data speak for the dynamics of that. A typology of urban space was mad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small and big data. Type I (central business district) is the urban space to which citizens should go for their work, so COVID-19 would not bring an immediate decrease in urban vitality. Type II (shopping) is not a must-go region because visiting the region can be substituted by online and neighborhood shopping. It is a reason why urban vitality in Type II could sharply decrease due to COVID-19. In contrast, Type III (residential area) could be more vital as citizens are reluctant to travel to city centers. Type IV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where the static indices are higher than the dynamic ones, would not be much affected in terms of urban vitality. In sum, the new conceptual framework of urban vitality and its measurable indice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It also took advantage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small and big data by combining them. When it comes to policy recommendations, it is suggested that urban vitality can be a policy target to counter a regional decline within a constraint of the diminishing residential population. In the future, policymakers need to seek more alternatives to the residential population as a reference to urban infrastructure and service.
김영희(Kim, Young-He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1 No.5
This study aims to show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artistic design through the Bergsonian concept of musical vitality by grasping the expression of his musical vitality at the Chapel at Roncham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Bergson’s philosophy of life was first contemplated, and a case stud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vitality of music as temporality at the Chapel at Ronchamp. On this basis, the examples of his musical vitality as metaphysical reality at the Chapel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Bergsonian vitality of music as temporality at the Chapel is expressed as a sense of movement-through the acoustic form, the modulor corresponding to the scale of the music, the opposite composition of musical changes, the fluid space of the music, and the light and shadow of counterpoint-as having been intended by Le Corbusier in the very process of design. Second, the vitality of music as Bergson’s metaphysical reality at the Chapel at Ronchamp is expressed in the image and rhythm of music created by intuitive reminiscences. The acoustic form, the form created by the modulor, the opposite form of composition, the fluid space and the light and shadow as the melody and image of music present continuous diversity as vital flow in a uniform direction. The vitality of music as aesthetical reality is imitated by the rhythm of the music deriving from repetitive movements sensed here. Consequentry, the Chapel at Ronchamp can be seen as a vital design that expresses Bergson’s notion of musical vitality, indicating that an approach toward artistic design can be realized through his musical vitalit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on artistic design with philosophy and music as its origin.
가로경관 요소가 도시 활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대상으로-
김규엽,이창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쇠퇴하는 도시를 살리기 위해 도시 활력과 가로경관에 초점을 두고 어떤 가로경관 요소가 도시 활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서울시를 대상으로 근린 이론의 주거 근린 단위와 페이스 블록 단위를 적용한 상관분석 및 GIS 공간분석을 수행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로경관 변수를 선별하여 카토그램 분석을 통해 지역을 도출하여 시각화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1)주거 근린은 거리 네트워크, 행정동 단위의 개발강도가 도시 활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특히 거리 네트워크의 경우 제이콥스가 주장한 수몰 블록의 중요성을 대변하는 경관유형으로 거리 내 블록의 길이를 짧게 조성하여 보행자들이 각 블록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등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2)페이스 블록은 네트워크, 건물연령, 집계구 단위의 개발강도가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거리네트워크는 면적당 보도연장이 증가할수록 도시 활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보도를 증축하여 보행환경을 개선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평균 건물연령의 경우 선행연구의 결과와 다르게 한국은 오래된 건물이 밀집될수록 해당 지역이 낙후된 지역일 가능성이 높아 도시 활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재개발, 재생사업을 통해 도시 활력을 증가시키는 전략을 유도할 수 있으며 역사성과 보존가치가 높은 오래된 건축물을 중심으로 주변 신축 건물과 조화를 이루게 계획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향후 GPS 기술을 도입하여 실제 거리의 유동인구 데이터와 고급 통계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가로경관이 도시 활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세분화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시들을 사례로 선정하여 도시 활력을 증가시키는 경관요소를 도출하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urban vitality and streetscapes in order to revitalize declining citi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etscape elements and their effects on urban vitality. To this end,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and GIS spatial analysis applying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unit and face block unit of neighborhood theory targeting Seoul City, selected streetscape variables with significant influence, and derived and visualized regions through cartogram analysis. Summarizing the analysis results, 1)In residential neighborhoods, street networks and development intens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urban vital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treet network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create a pleasant walking environment by shortening the length of blocks within the street to encourage pedestrians to pass between each block. 2)For face blocks, network, building age, and development intensit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As for the street network, it has been analyzed that as the length of sidewalks per area increases, urban vitality increase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by expanding sidewalks. In the case of average building age, un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Korea, the more old buildings are concentrated, the more likely it is to be an underdeveloped area, which can lead to a decrease in urban vitality. Therefore, we should induce a strategy to increase urban vitality through redevelopment and regeneration projects, and consider ways to plan for harmony with surrounding new buildings centered on old buildings with high historical value and preservation valu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GPS technology in the future and use real street floating population data and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to analyze in detail the impact of streetscape on urban vitality.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a better study if landscape elements that increase urban vitality are derived using various cities as examples.
이혁재,유주한,리위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3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9 No.1
Daereungwon in Gyeongju is not only a famous tourist attraction nationwide, but also one of the historic sites of Gyeongju, where many tourists can be attracted every year. Therefore, street tree management in the Daereungwon area is particularly important.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health status of street trees in the Daereungwon area of Gyeongju-si and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rst of all, many related literature data on street trees were found and indicators were extracted for street trees in the Daereungwon area, one of the historical sites of Gyeongju. The growth status of four items was selected: height, chest height diameter, land height, and soil hardness, and the vitality of street trees was evaluated by score by referring to the reference literature on the growth status of each part of street trees was evaluated as a score. In addition, the average value of vitality is determined by dividing it into five grades, and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each item were reorganized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literature. The vitality of the entire street tree was evaluated by examining the height, chest height diameter, ground floor, and soil hardness of the Daereungwon street tree through an on-site survey, a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rowth status and vitality of each tree.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height and chest diameter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vitality of the pop tree, and the regress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of the pop tree and the vitality of the pop tree is not significant. It can be seen that the height, chest height, underground height, and soil hardness of the king cherry tree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vitality of the king cherry tree, while the height and soil hardness do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vital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t-test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chest, underground, and vitality of the pop and king cherry trees. 경주시 대릉원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관광 명소일 뿐만 아니라 경주의 유적지 중 하나로 매년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여 관광할 수 있다. 따라서 대릉원 지역의 가로수 관리는 특히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경주시 대릉원 지역의 가로수 생장 현황과 건강 상태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경주의 유적지 중 한 곳인 대릉원 지역의 가로수를 대상으로 가로수에 관한 많은 관련 문헌 자료를 찾고 지표를 추출하였다. 생장 현황은 수고, 흉고직경, 지하고, 토양 경도 등 4가지 항목을 선정하고 가로수의 활력도는 기준문헌을 참조하여 가로수의 각 부분의 생장 상태를 점수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활력도의 평균치를 5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판단하며 각 항목의 판단기준은 기존 문헌을 참고하여 현지 여건에 따라 재구성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해 대릉원 가로수의 수고, 흉고직경, 지하고 및 토양경도를 조사하여 전수 가로수의 활력도를 평가하였으며, 가로수의 활력도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수종별 생장 현황과 활력도에 대한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수고와 흉고직경이 이팝나무의 활력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팝나무 활력도는 종합 요소 분석 결과를 통해 수고, 흉고직경과 지하고는 이팝나무 활력도의 회귀 관계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왕벚나무에서 수고, 흉고직경, 지하고와 토양 경도는 왕벚나무 활력도에 유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하고, 수고와 토양 경도는 활력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종 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검정을 수행한 결과, 이팝나무와 왕벚나무의 흉고직경, 지하고와 활력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활력에 미치는 영향
이상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활력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학교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03명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활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변인 사이에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단순회귀분석에서는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활력을 66.1% 설명해 주고 있었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학교활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요인은 집단 참여 허용, 학교 문화의 창조, 목표 수용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학교장이 학교활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들 이 학교경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민주적인 학교문화 조성에 노력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mpacting teachers' school vitality by e 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vitality. A survey of 360 high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and the data from 303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principal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chool vitality, there was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Second, base on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chool vitalit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plained 66.1% of school vitality.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influence school vitality were acceptance of group participation, creation of school culture, and acceptance of go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for a high school principal to promote school vitality, followers should try to create a democratic school culture so that they can participate in school management.
외상 받은 치아의 치수생활력 검사 : Laser Doppler flowmetry를 이용한 증례보고
김영진,송윤주,김현정,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26 No.2
외상받은 치아에서 치수강폐쇄, 치수괴사, 치근흡수, 인접치조골소실, 치근단염증성변화 및 치아상실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치근형성정도, 탈구의 종류, 고정의 기간에 따라 예후가 달라진다. 외상 후 부작용의 빈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기에 치수생활력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미성숙치근을 가진 치아는 치수내 신경발달 분포가 불완전하고, 환자의 연령이 어려 술식에 대한 이해력이 부족하고 치과에 대한 공포감 때문에 전기치수검사등의 전통적인 치수생활력 방법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반면 laser Doppler flowmetry는 치수 혈류량을 측정하여 치수생활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보존적이며 객관적이고, 외상후 비교적 조기에 치수생활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가 높은 치수생활력 검사방법이다. 이에 저자는 외상받은 미성숙치아를 대상으로 냉검사, 전기치수검사, laser Doppler flowmetry를 이용하여 치수생활력을 검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외상받은 치아의 치수생활력은 초기에는 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양성으로 회복할 수 있어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하다. 2. 치수생활력은 냉검사, 전기치수검사 보다 laser Doppler flowmetry에서 더 빨리 나타났다. 3. 냉검사와 전기치수검사의 두가지 치수생활력 검사방법 중 전기치수검사 보다 냉검사가 신뢰도가 더 높았다. In the traumatized teeth, the major complications are pulp necrosis, and root resorption. The factors influencing to prognosis are the state of root development, type of injuries, quality of fixation. There are good prognosis in the case of immature teeth, minor luxation injuries. To minimize of occurrence of these compli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pulp vitality. This can help us decide whether or not to treat the teeth endodontically. Bu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of pulp vitality in immature teeth or traumatized teeth. In this case, pulp vitality test was done periodically on the traumatized upper central incisors, and the results were different among cold test, electric pulp test, and laser Doppler flowmetry. 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is ca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Pulp vitality of traumatized teeth should be negative early, but with time going pulp vitality could be recovered. 2. The positive reaponse of pulp vitality test was detected earlier in laser Doppler flowmetry. 3. Between cold teat and electric pulp test, cold test was more reliable in determining pulp vitality.
공간 빅데이터와 야간 위성영상을 활용한 도시 활력 평가: 대구시를 사례로
정시윤 ( Si-yun Jeong ),전병운 ( Byong-woon Ju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evaluated the urban vitality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18 using emerging geographic data such as spatial big data, Wi-Fi AP(access points)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The emerging geographic data were used in this research to quantify human activities in the city more directly at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scales. Three spatial big data such as mobile phone data, credit card data and public transport smart card data were employed to reflect social, economic and mobility aspects of urban vitality while public Wi-Fi AP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were included to consider virtual and physical aspects of the urban vitality. With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ive indicators were integrated and transformed to the urban vitality index at census output area by temporal slots. Results show that five clusters with high urban vitality were identified around downtown Daegu, Daegu bank intersection and Beomeo intersection, Seongseo, Dongdaegu station and Chilgok 3 district. Further, the results unveil that the urban vitality index was varied over the same urban space by temporal slots. This study provides the possibility for the integrated use of spatial big data, Wi-Fi AP and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 as proxy for measuring urban vitality.
( Yngvar Ommundsen ),( Pierre Nicolas Lemyre ),( Frank Abrahamsen ),( Glyn C Roberts ) 한국스포츠과학원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s Vol.25 No.2
The mediating role of types of pass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al climates and subjective vitality was examined among 283 experienced young Norwegian grassroots football players (aged 12-16 yea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based path model revealed that mastery climate predicted subjective vitality directly as well as mediated by harmonious passion and through a chain in which harmonious passion fuelled obsessive passion, in turn facilitating vitality. The former was the stronger mediation path of the two. A performance climate was unrelated to obsessive passion. The pattern of results generally supports the proposed motivational climate-passion-vitality link. However, the observed mediation chain involving also a positive mastery climate-obsessive passion-vitality link invites further examinations to better understand both young football players` subjective meaning making of harmonious and obsessive passion.
노인의 운동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활력과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이무연(Moo Yon Lee),김석일(Seok Il Kim) 한국사회체육학회 201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1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on vitality and optimism in elderly. The sample of this study were 184 elderly aged 65 and older. It indicated that on vitality and optimism, the main effects, two-way interaction and three-way interaction of gender(male and female), age(65-70, 71-75, over 76), subjective health status(high, medium, low) and participation of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or no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wo-way inte raction and three-way interaction effect were not significant, the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on vitality and optimism. In detail, elderly men showed high scores on vitality, and elderly participated in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showed high scores on vitality and optimism. Second, elderly aged 65-70 showed high scores on vita lity and optimism, and elderly participated in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showed high scores on vitality. Third, high group of subjective health status showed high scores on vitality and optimism, and elderly participated in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showed high scores on vitality and optim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