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울산·경남지역 직업병 감시체계

        김정일,김병권,김정원,채창호,이철호,강동묵,김지홍,김진하,김영욱,이영하,이지호,김정호,윤형렬,유철인,정백근,장태원,김운규,윤동영,강진욱,김종은,안진홍,이동준,장준호,이광영,송혜란,최영희,이용환,조병만,최홍렬,고상백,김은아,이유진,홍영습,정갑열,김정만,김준연 大韓産業醫學會 200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6 No.1

        Objective: Occupational medicine specialists in the Busan, Ulsan and Kyung-Nam areas established an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 and used this system to collected case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ccupational diseases Methods: l l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ystem. The authors selected five main diseases, which were hand-arm vibration syndrome (HAV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WRMSD), occupational asthma, occupational skin disease and occupational and occupational lung cancer and established their case definitions. All cases were reported on the web, and real time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Between April 2001 and April 2003, 192 cases of HAVS, 118 cases of WRMSD, 33 cases of occupational asthma, 17 cases of occupational skin disease and 17 cases of occupational lung cancer (for a total of 377 cases of these five main diseases) were reported. most of the HAVS cases came from shipbuilding, and 172 of them (92.7%) were associated with grinding. Of the four main types of WRMSD, carpal tunnel syndrome (CTS) was the most prevalent with 46 cases and shipbuilding was also the main industry involved (83.9%). The ergonomic risk factors involved mainly associated with the hand. In 19 (57.6%) and 4 (12.1%) cases of occupational asthma, the agents involved. The causative agents of occupational lung cancer included Cr, welding fume, PAH, Ni, etc. 10(58.8%) of the cases were diagnosed as squamous cell carcinoma and 5(29.4%) as adenoma. Conclusion: This result showed that an area-based occupational disease surveillance system might provide an effective method of evaluating the prevalence of such diseases, however the Busan, Ulsan and Kyung-Nam provinces are too large to be treated as individual areas.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 that each province should establish its own surveillance system.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동진강 수계 농업용수 수질평가

        한수곤,최정식,문영훈,엄미정,김갑철 한국환경농학회 200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9 No.2

        동진강 수계의 수질현황을 파악하기 1994∼1998년 까지 4∼9월에 월 1회에 걸쳐 5개년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월별로는 빗물에 의한 희석효과로 7, 8월에 수질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4월이 다소 불량하였으나 수도생육 피해 한계농도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지점별 수질현황은 생활하수 유입지인 정읍천과 지천의 폭이 좁은 원평천의 무기성분 함량이 높았으며 동진천 상류지역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연도별 현황은 '94년 이후 '95년까지는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95년 이후로는 각 성분 함량이 낮았지는 등 점점 양호해지고 있으며 COD함량으로 볼 때 특히, 정읍천의 수질이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총당량온 4월에 가장 높았고 7, 8월에 가장 낮았으며 양이온/음이온의 당량비는 5월에 높았고 7월이 가장 낮았으며 지점에 따라서는 총당량은 정읍천, 원평천, 동진천 하류, 중류, 상류의 순위였으며 양이온/음이온 총당량 비율은 원평천이 상대적으로 작은 수치를 보였지만 지역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수질 중 각 성분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대개의 성분 상호간에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NO₄^--N는 대개의 성분과 유의성이 없었고, PO₄^(3-)-P도 COD, NH₄^+-N, NO₃^--N, SO₄^(2-)과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irrigation water qualities along Dong-Jin river watershed. The water quality was surveyed at 6 sites from April to september during 1994∼1998.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July and August, water quality was better than that of any other months due to dilution with rainwater. Whereas, it became worse in April but it involved lower contents than limitted contents affected to the crop damage. Content of inorganic components was higher at Jeong-up and Won-pyeong stream. The reason for it that Jeong-up stream was deteriorated with sewage water from Jeong-up city, and Won-pyeong stream has narrow width. Water quality in upstream of Dong-Jin river, was evaluated best conditions in all sampling sites. For investigated period, water quality got worse from 1994 to 1995 but it was getting better to 1998 after 1995, especially at Jeong-up stream. The total equivalent of cation and anion was the highest at April through all months and at Jeong-up stream in sampling sites. Equivalent ratio of cation to anions(∑C/∑A) was higher at May than any other months and lower at Won-pyeong streams than any other sites. The value of most inorganic component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of other components. But the value of NO₃^--N was not correlated with that of most components, and PO₄^(3-)-P was not correlated with COD, NH₄^+-N, NO₃^--N, SO₄^(2-_.

      • KCI등재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시술 환자의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Angioseal^(�) 사용과 고식적 용수 압박법의 비교 : 전향적 연구

        김용훈,권현철,김필호,안석진,유철웅,최진호,이상철,김준수,김덕경,전은석,이상훈,홍경표,박정의,서정돈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5

        목적 :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은 최근 양적 및 질적으로 급격한 발전을 보였지만 시술 시 천자부위의 혈관 합병증은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저자들은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환자에게 천자부위 지혈을 위한 혈관폐쇄기구인 안지오실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고식적인 용수 압박법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5월 사이에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에서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200명의 환자(안지오실 사용군: A군, 100명, 고식적 용수압박법 사용군 B군, 100명)를 대상으로 시술 후 주요 합병증 및 경한 합병증, 지혈 후 환자가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보행개시 가능시간, 총 재원 기간과 시술 1주 후의 합병증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론 : 두 군에서 연령, 성별, 기저질환,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 시술의 종류, 시술 중 사용한 헤파린의 양, clopidogrel의 양, ticlopidine의 양, 지혈 시 수축기와 확장기혈압, ACT (activated clotting time)는 차이가 없었다. A군이 B군에 비해 시술 후 자리에 앉기까지의 시간 (A군: 4.3±0.3시간, B군: 13.7±0.8시간, p=0.004) 및 보행개시까지의 시간(A군: 6.8±0.5시간, B군: 18.8±2.1시간, p=0.013)이 유의하게 짧았다. 시술 후 주요 합병증은 두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A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A군: 28명, B군: 19명, p=0.003). 반상출혈의 경우는 A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지만(A군: 3명, B군: 12명, p=0.01), 혈종, 출혈의 발생은 두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총 재원기간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239). 시술 1주 후 경과관찰에서 주요합병증은 역시 두 군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한 합병증의 전체발생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A군: 15명, B군: 13명 p=0.418), 반상출혈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혈종의 발생은 A군에서 더 낮았다(A군: 2명, B군:6명, p=0.004). 두 군 모두에서 출혈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대퇴동맥을 통한 경피적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안지오실의 사용은 고식적 용수 압박법에 비해 환자의 침상 안정시간을 줄여 조기 활동개시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국소합병증의 위험도를 일부 낮추어, 시술에 따른 환자의 불편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 Although the number and the quality of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dramatically, the vascular complication at puncture site is still the major cause of patients' morbidity. We evaluat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newly of newly-developed collagen-based arterial closure device, Angioseal after transfemoral percuatenous coronary intervention.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prospective single center non-randomized comparative study. A total 200 patients undergoing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were enrolled between April 2002 and May 2003.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gioseal group (group A, n=100) and manual compression group (group B, n=100). The baseline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The time to sit up, the time to ambulation,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major and minor vascular puncture site complications were monitored.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1 week after procedure by telephone. Results : The baseline clinical characteriwtics, clinical diagnosis, cardiocascular risk factors, typesof procedure, doses and numbers of anticoagulants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The blood pressure and activated clotting time were also similar. The time to sit up (group A: 4.3±0.3 hours, group B: 13.7±0.8 hours, p=0.004) and the time to ambulation (group A: 6.8±0.5 hours, group B: 18.8±2.1 hours, p=0.013) were shorter in group A. No major vascular complications were noted. The incidence of hematoma and bleedin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 incidence of ecchymosis, howev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group A:12%, group B: 3%, p=0.001) The duration of gospital stay was similar between groups. During 7 days of follow-up period incidence of hematoma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 (p=0.004). Although the incidence of ecchymo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The angioseal may be associated with earlier ambulation and less patients' morbidity with low incidence of local complication rate compared to manual compression after transfemoral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KCI등재

        한국인 알코올의존환자에서의 제1형 부신피질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 호르몬수용체의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연구

        김철민,김성곤,김지훈,김현경,김미경,유정현,민은정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7 No.2

        스트레스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CRHR1 유전자 SNP와 알코올 의존과의 연관성에 관한 선행 연구들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백인을 대상으로 조사했던 기존연구와는 달리 한국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알코올 의존군과 정상 대조군의 CRHR1 유전자형 빈도 및 대립유전자형 빈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들은 알코올 의존군 268명(남자 218명, 여자 50명)과 정상 대조군 137명(남자 78명, 여자 59명)이었다. CRHR1 유전자 SNP를 SNP database와 선행연구를 근거로 선정한 후, 연구 대상자들의 이러한 SNP 유전자형을 PCRRFLP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의 CRHR1 유전자 SNPs로 7개(rs242938, rs404623, rs28364027, rs16940686, rs937, rs878886, rs878887)가 분석되었다. 이중 rs28364027의 A 대립 유전자의 빈도는 남녀 각각에서 알코올 의존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rs28364027의 AA 유전자형 및 A 대립 유전자와 rs878886의 CC유전자형 및 C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알코올 의존군내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CRHR1 유전자 SNP가 알코올 의존의 유전적 원인의 중요한 요인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 이러한 CRHR1 유전자 SNP가 알코올 의존의 유전적 원인에서 남녀간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There were several preceding studies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dependence and corticotropine releasing hormone receptor1(CRHR1) gene SNP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ponse to stress. The frequencies of CRHR1 genotypes and alleles were compared between alcohol-dependent patients and normal control subjects. Methods:The subjects were 268 alcohol-dependent patients(218 males, 50 females) and 137 normal controls(78 male, 59 female). CRHR1 gene SNP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SNP database and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ir genotypes were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Results:Seven CRHR1 gene SNPs(rs242938, rs404623, rs28364027, rs16940686, rs937, rs878886, rs878887) were found in Korean subjects. The frequency of rs28364027 A alle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than normal controls in both genders.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the frequencies of AA genotype and A allele of rs28364027, and of CC genotype and C allele of rs878886 were higher in female than male.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CRHR1 gene SNP is one of the important genetic factors in the etiology of alcohol dependence. And also it is supposed that the different frequency of SNP genotype could explain stress-related gender difference in the genetic etiology of alcohol dependence.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와 감기와의 관련성

        김동현,박신구,김환철,이의철,김정훈,임종한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2

        목적: 국내외를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감기 등과 같은 감염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국내에서의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직무스트레스와 감기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의 산업의학과에서 보건관리대행을 이행하고 있는 83개의 사업장, 근로자 6,699명에 대해 한국형직무스트레스-단축형(KOSS-SF)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4,637명의 설문지 중 부적절한 응답과 다른 호흡기와 관련한 폐질환을 앓고 있는 237명을 제외한 최종분석 근로자 4,400명(65.7%)의 설문자료를 근거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감기 경험과의 단변량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들과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보정한 후 시행한 직무스트레스와 감기 경험과의 로지스틱 희귀분석 결과 직무 자율성 결여를 제외한 직무스트레스 하부 영역 전반(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감기 경협 첫수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결론: 직무자율성 결여를 제의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요인 전체가 감기와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he common cold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infectious disease. Methods: A KOS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bas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6,699 workers, of which 4,63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the data for 237 were excluded due to poor response and having pulmonary disease other than common cold. Consequently, 4,400 (65.7%)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djusted for daily life stress, confounding variables and both, were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he common cold. Results: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ing variables and daily life stress, most of the subscales of job stress contributed to an increased risk of common cold.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job stres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the risk of the common cold and that further preventive efforts and studies are needed to reduce job stress and address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job stress among Korean employees.

      • KCI등재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 현황과 한국형직무스트레스 하부요인과의 관련성

        김정훈,박신구,김동현,김환철,임종한,이의철,이동훈,이지영 大韓産業醫學會 2009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1 No.2

        목적: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의 현황과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하부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중소규모 사업장 83곳 근로자들에 대해 한국형 직무스트레스요인 평가도구-단축형(KOSS-SF)과 사회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정 및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이나 조퇴 경험여부 등을 묻는 구조화된 자가 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응답한 4,350명에 대해 최종 분석을 시행하였다.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와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 하였다. 결과: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를 한 근로자는 남자에서 7%(196명), 여자에서 8%(113명) 로 조사되었고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하부요인과의 관련성에서는 남, 여 모두 직무요구,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영역의 스트레스가 높은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율이 증가하였다. 결론: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결근, 조퇴와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하부요인과의 관련성은 남자에서는 조직체계 영역이 가장 높았고, 여자는 직장문화 영역에서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of 4,350 workers in 83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ies, and its relationship to job stress factors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Methods: A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each respondent's Sociodemographics, job stress, experience of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Seven KOSS-SF domains of job stress were used. We estimated the relation of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and job stress factor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Absence or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occurred in 7% of male workers and 8% of female work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job stress-related absence/early leave and job demand, interpersonal conflict, organizational system, lack of rewards and occupational climate. Conclusions: Absence and early leave due to job stress is significantly attributed to organizational System and lack of reward for men, and occupational climate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women.

      • 동종 골수이식 후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과 동반되어 신증후군으로 발현된 IgA 신병증 1예

        정철권,김현수,박준성,정성현,조도연,최진혁,남동기,임호영,김명성,신규태,임현이,김효철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2

        동종 골수이식 후 발생하는 신기능부전은 원인이 다양하여 감별에 어려움이 있다. 만성 GVHD는 흉선의 기능저하에 따른 면역관용의 실패로 발생되는 자가면역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드물게 신장을 침범하여 신증후군을 일으키기도 한다. CaA의 용량을 줄이거나 투약중지 후 발생한 만성 GVHD에 동반된 신증후군의 경우 조기에 신조직검사를 시행하여 감별진단하고 CsA의 용량을 증량하거나 재투약하여 좋은 치료 결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들은 문헌고찰을 통해 동종 골수이식 후 발생된 신증후군이 유사한 임상양상을 보이며 발생기전에 만성 GVHD와 자가면역현상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종 골수이식 후 신증후군의 임상양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lgA 신병증을 진단하고 이러한 lgA 신병증이 발생기전에 만성 GVHD와 자가 면역현상이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을 최초로 확인하였으며 CsA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경험을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Renal insufficiency is occasionally encountered in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its cause is difficult to ascertain.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related to thymic dysfunction is immune-mediated and involves autoreactivity of T-lymphocytes derived from donor marrow to recipient's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MHC) minor antigens. The clinical mainifestations of chronic GVHD are similar to those of autoimmune disease but kidney involvement is rare. Few cases of nephrotic syndrome with membranous nephropathy or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chronic GVHD in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 recipient especially after cyclosporine A(CsA) withdrawal, and these cases have responded well to CsA. Therefore, it is prudent to differentiate the cause of post-transplant renal insufficiency using renal biopsy and to start CsA in a case of nephrotic syndrome associated with chronic GVHD as early as possible. We report a case who had a massive proteinuria during the post-allogeneic marrow transplantation period. The cause of nephrotic syndrome was diagnosed as IgA nephropathy by renal biopsy.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reintroduction of CsA.

      • TNF-α 유전자형과 방광암과의 관계

        정필두,김은정,엄민식,서정원,윤석중,김종석,이상철,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2

        연구목적: TNF-α는 일부 종양의 종양화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TNF-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TNF-α 촉진자 -308 부위의 유전적 다형성이 방광암과 관련이 있는지 유무를 알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전자 분석을 위하여 환자 113명 및 대조군 109명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PCR-RFLP 및 direct DNA sequencing을 통하여 TNF-α유전자의 다형성을 조사하여 방광암의 발생, 병기 및 분화도와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TNF-α 촉진자 -308 부위의 유전형은 대조군에서는 GG형이 83.5%(90례 및 GA형이 16.5%(19례)로 관찰되었으며 AA형은 없었다. 환자군에서는 GG 형이 85.4%(97례), GA형 및 AA형은 각각 13.1%(15례)및 0.8%(1례)에서 관찰되었다. 두 군 모두에서 GG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GA형을 보이고 AA형은 1례의 방광암 환자에서만 관찰되었다. -308부위의 경우도 두 군 사이에 유전자형의 차이는 없었다(p=0.259) 분화도별 분포를 보면 grade I이 20례, grade II가 49례, grade Ⅲ은 34례였고 병기별로 표재성인 경우가 90례였으며 침윤성은 14례였다. 분화도가 나빠질수록 GA형이 증가하였다(p=0.04). 그러나 병기와 TNF-α promoter -308부위의 유전자형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p=0.123). 결론: 방광암 환자의 혈액에서 GA genotype이 관찰되는 경우, 분화도가 나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좀 더 적극적인 치료와 세밀한 추적관찰을 함으로써 방광암으로 인한 사망과 암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s involved in tumorigenesis of several cancers as an endogenous tumor promo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 (-308) was associated with human bladder tumor. Materials and Methods: The DNA from 113 and 109 respective blood samples of bladder tumor Patients and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PCR-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d direct DNA sequencing methods to characterize the genetic polymorphism of -308 promoter region of the TNF-α gene in bladder tumor patients. We compared the association of bladder tumor with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308) in relation to the stage, grade, recurrence and progressio. Results : Eighty-six percents(97/113) of bladder tumor patients and 83.5% (90/109) of control group showed genotype GG at -308 region of TNF-α. Difference in genetic variations of TNF-α promoter (-308) did not exist between bladder tumor patients and control group(p=0.259). Tumor grad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GA genotype (p=0.04). The higher is the grade in bladder tumor, the more frequent was the GA genotype. Tumor stage, recurrence and progression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etic polymorphism of TNF-α promoter region (-308). Conclusion: The GA genotype of TNF-a promoter region (-308)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NF-α production and was related to higher grade tumor compared to GG genotype. TNF-α serum levels in bladder tumo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s. These data suggested that TNF-α might involve the tumorigenesis of the bladder rather than treatment or prevention of bladder tumor.

      • ZnO:In 가스 감지막의 특성 및 응용

        김영범,박종아,김진해,김권태,김정규,마대영,박기철 경상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1 工學硏究院論文集 Vol.1 No.-

        The microsensors to detect NH3 gas were fabricated by continous deposition of In film by evaporation and ZnO film by rf magnetron sputtering onto the Si3N4 diaphragm that was prepared by MEMS technology. The sensors were heat-treated to dope In into the ZnO thin film.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ensitive films were studied as a function of heat-temperature by 4-point probing method and electrometer. The dependence of the sensitivity, selectivity and time response of sensor on heat-treatment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The microsensor heat-treated at 400℃ that 3000 A ZnO:In film was chosen as gas sensitive film, showed the highest sensitivity 23% at 350ppm NH3 under 366mW heater power. The time response was 90sec. The sensitivity for CO and NOx was not ob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