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동시장 불안정시기의 채용시 건강진단에 대한 실태조사 : 난청을 중심으로 the Case of Hearing Loss

        고상백,김규상,장세진,차봉석,박종구,강동묵,김재용,김수근,최홍열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1

        목 적 : 노동시장의 불안정은 산업의학 측면에서 접근할 때 채용시 건강진단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노동시장의 불안정한 고용 구조하에서 채용시 건강진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노동시장 불안정의 지표 중의 하나인 직장 유지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Neumark 등(1999), Bernhardt 등(1999)의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취업 과정에서 채용시 건강진단의 회사내 운용현황과 내용을 검토하기 우하여, 취업 대상 총 79개의 사업장 보건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2001년 1월 1일부터 2001년 6월 30일까지 채용시 건강진단 수검자 총 1,8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건강진단결과 중 청력검사 자료를 연계하여 채용시 건강진단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직장유지율은 40.3 %였다(남자 38.53 %, 여자 52.01 %). 조사대상 사업장은 총 79개로 취업의 부적격자 선정을 위하여 시행하는 경우가 44개(55.7 %) 사업장이었고, 적성에 맞는 부서에 배치하기 위해 시행하는 경우가 3개(3.8 %) 사업장이었으며, 부적격자 선정과 적성배치를 둘 다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는 경우가 31개(39.2 %) 사업장이었다. 보건담당자 대부분은 난청, 척추질환, 간염 등이 채용시 문제가 된다고 인식하였다. 채용시 건강진단수검자 1,81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채용시 건강진단 실시시기의 경우 1,096명(60.3 %)이 채용 결정 전에 건강진단을 받았고, 채용이 결정된후 건강진단을 받는 경우는 530명(29.1 %)이었다. 수검자의 대부분이 1,591명(87.5 %)은 이전에 직장을 다닌 경력이 있었다. 채용시 건강진단에서 청력 검사 결과, 연령별 청력 이상자의 분포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청력 이상자의 비율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전 직장의 유무와 이직횟수에 따라서도 청력 이상자의 분포는 특히 4 ㎑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이 연구는 불안정한 고용구조가 채용시 건강진단에 밀치는 상황과 그에 대한 문제점을 보고자 하였다. 외환위기의 전후로 2년 직장 유지율의 변화는 장기근속자일수록, 비정규직일수록, 고연령층일수록 큰 폭으로 하락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와는 달리 채용시 건강진단을 받는 수검자에게 특히 과거 직장경력자나 고연령층의 경우 채용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노동시장이 불안정한 현실에서 업무 수행 능력이 있는 수검자가 단순한 건강문제로 노동권이 제한되는 부정적인 측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채용시 건강진단의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 of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in terms of hearing loss case, where workers have been experiencing job instability in the labor market. Methods : In order to measure the 2-year job retention rate of employees in 79 shipbuilding Neumark et al(1999), and Bernhardt et al(1999). We surveyed 79 heath and safety personnel from the companies with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resent status of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We reviewed the preplacement health certificates(result of audiometric hear-ing thresholds) of 1,818 recruits issued by Daewoo hospital from January 1 to June 30, 2001. Results : The job retention rate was 40.3 %(male 38.53 %, female 52.01 %). Of the 79 health and and safety personnel of companies, 44(55.7 %) perceived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as a tool for the selection of recruits, 3(3.8 %) as a procedure for job fitting and 31(39.2 %) as both. Most of them were against the acceptance of recruits with hearing loss, spinal disease and hepatitis. Among the 1,818 workers who underwent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530(29.1 %) were examined after employment, but 1,096(60.3 %) were examined before employment. The number with previous job experience was 1,591(87.5 %). In the audiometric hearing threshold results, the prevalence of hearing lo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hearing loss depending on previous job and number of quitting at 4,000 ㎐. Conclusions : The comparison of 2-year job retention rate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economic crisis of 1997 suggests that job stability has been aggravated especially for cohorts of long tenure, irregular job, and old age, This evidence shows that previous job and age play a role in determining worker employment based on perceived results from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a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be substituted for the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 based on the essential job functions and reasonable accommodation. Because it has little relevance in a wide range of employment and minor health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should not debar applicants from employment.

      • KCI등재후보

        일부 조선업 근로자의 직업성 요통 발생실태 및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고상백,김형식,최홍렬,김지희,송인혁,박준한,박종구,장세진,차봉석 大韓産業醫學會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1

        목적 : 이 연구에서는 한 사업장의 동일한 코호트내에서 직업성 요통의 발생 및 발생원인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1995년 12월 현재 한 조선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 중에서 1995년 12월 31일 까지 요통이 이미 발생한 근로자와 1995년 당시 검진 미수검자를 제외한 9,78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요통 발생군은 1996년부터 1998년까지 3년간 추적 관찰하여 요통으로 4일 이상 통원 또는 입원치료를 받은 근로자로 하였다. 발생률은 요통발생 당시 연도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연도의 4일 이상 신규치료를 받은 중등도 이상의 요통근로자를 분자로 하였고, 해당년도 사업장의 종사하는 근로자 총수(과거 요통자 제외)를 분모로 간주하였다. 요통 발생군은 외상성 요통과 직업관련성 요통으로 대별하였으며, 위험요인과 질병 발생간의 관련성을 보기 위한 Cox모형에서 그 위험도를 파악하고자 할 때에는 직업성 요통만을 환자군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및 결론 . 요통 발생률은 근로자 천명당 1998년 3.1명, 1997년 8.8명, 1996년 7.8명이었다. 요통점유율의 범위는 10.99∼25.66이었다. 연령별 요통 발생률은 30대, 40대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진단명에 따른 발생률은 추간판 탈출증, 염좌, 척추골절, 척추분리증, 척추협착증 순이었다 직업성 요통 발생자들의 직업적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요통 발생 당시 작업형태를 알아본 결과, 물건을 들다가 66명(35.3%)이 발생하여 가장 큰 빈도를 차지하였고, 물건을 옮기는 과정에서 19명(10.2%)이 발생하여 2위를 차지하였고, 넘어지거나(8.6%), 물건을 당기는 자세(8.0%), 값자기 일어서다(7.5%) 순으로 요통이 발생하였다. 직업성 요통에 영향을 주는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에 판한 상대위험도 및 95% 신뢰구간를 구한 결과, 요통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로는 체질량 지수(비만도), 교대여부, 중량물 취급여부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incidence rate,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the occupational low back pain among shipyard worker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9,784 workers who were employed in a ship-building industry (excluded workers who had a history of low pack pain before 1995 or did not tak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n 1995) . The cases were 220 people who experienced back pain from January 1, 1996 to December 31, 1998. To assess risk factors for occupational low back pain, Cox propotional hazard model was used. Results : During the recent three years from 1996 to 1998, the incidence rate per 1,000 persons was 7.8 in 1996, 8.8 in 1997, and 3.1 in 1998. The main causes of work-related low back pawn were sprain, strain and disc herniation. Lifting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back pain (35.3%) , and carrying (10.2%) and pulling (8.0%) were followed. In Cox proportional harzard model,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back pain were body mass index(R.R. ; 1.54, 95% C.1. : 1.06-2.25), shift work(R.R. ; 1.65, 95% C.1. : 1.19-2.28), and lifting heavy material(R. R., 3.95, 95% C.1. : 2.29-6.82).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isk factors of back pawn In shipyard work-ers were body mass index, shift work and lifting.

      • KCI등재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상백,손미아,공정옥,이철갑,장세진,차봉석 大韓産業醫學會 200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6 No.1

        목적: 이 연구는 정규직 근로자들과 비교하여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서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그리고 직무불안정의 차이를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 결과로 발생하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영남지역에 위치한 조선업종을 대상으로 원청 사업장 2개 회사의 정규직 681명과 하청업체 40개 회사의 하청근로자, 일용직, 계약직 근로자 1,032명으로, 총 연구대상자는 1,713명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사업장을 방문하여 연구의 취지를 알린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자 직접 기입법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적 특성,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 등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성, 연령, 학력, 결혼상태), 직무특성(근무년수, 급여, 주 평균근무시간, 고용형태, 실직, 이직 등),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사회적지지, 직업불안정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직업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변량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흡연, 취미생활, 불충분한 수면, 근무기간, 주당 평균 노동시간, 이직, 실직,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사회적지지 및 직업불안성 등이었다. 직업성긴장 수준에 따른 분포는 고긴장집단의 경우 정규직의 비해 비정규직이 훨씬 많은 분포를 보였고, 고립된 고긴장집단(iso-strain group) 역시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이 유의하게 많은 분포를 보였다.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유의한 변수였으며 나이가 젊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았다. 직무특성에서는 과거 실직경험이 있거나 이직 경험이 있는 경우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고용형태는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에서 스트레스가 높았음을 보여주었다. 직업적 특성에서는 직무요구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 직업불안정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이 정규직 근로자와는 다른 실직경험, 이직경험 및 직업불안정 등 다양한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추정 할 수 있다. 향후 객관적인 건강지표의 비교분석을 통한 비정규직의 건강문제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job characteristics (work demand, decision latitude, and job insecurity) and psychosocial stress levels of typical workers in the parent firm, to those of atypical workers in subcontracted firms. In addition the risk factors for psychosocial stress of atypical workers are evaluated. Method: The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and 1,713 shipbuilding workers (681; typical workers, 1,032; atypical workers) were recruited. A structured-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stress levels. We used the chi-square test for univariat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In univariate analy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oking, hobby, insufficient sleeping, work hours per week, quitting, unemployment, job decision latitude and job insecurity. The job stra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typical workers than in the typical workers. The proportion of iso-strain group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atypical workers than typical workers. Using psychosocial stress as the dependent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After adjustment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unemployment, quitting employment type, job demand, job decision latitude and job insecurity were all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ychosocial stress.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sychosocial stress of atypical workers i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such as job insecurity and labor flexibility.

      • KCI등재후보

        조선업 도장작업자의 유사노출군과 노출변이; 크실렌 노출을 중심으로

        고상백,노영만,임현우,신용철,김수근,최홍열,김재용,장성훈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조선업 도장 작업자의 크실렌 노출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직무 및 밀폐특성에 따라 유사노출군으로 구분하여 노출 변이 및 동질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3회 이상 반복측정이 이루어진 근로자 중동일공정에서 직무상 변동이 없는 근로자 총 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출농도 값을 대수전환(lOgtransformation)하여 근로자간, 근로자내 노출 분산요소을 추정하기 위하여, nested randomeffects ANOVA model을 활용하였다. 선정된 유사노출군 내 구성원의 측정 평균이 동일하다고 할수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분산요인(9f)을 산출하였고, 쿨즈0.031일 경우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또한 노출 값을 대수전환하여 95 %의 근로자(b-R9s)가 2배수 범위 내에 측정값을 가질 경우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 bwRSS의 값을 유사노출군내의 근로자들간(between worker)의 기하표준편차(bwsy)를 구한 후 exp(3.92 bwsy)로 계산하여 산출하였고, 그 값이 2이하이면 동일하다고 생각하였다. 결과 : 일반적으로 유사노출군은 노출농도가 비슷한 것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직무에 근거한 유사노출군은 동질성 검정상 이질적이었다. 분무도장과 붓도장 모두 bwRss은 2를 초과하였고, 룰 또한 0.031를 초과하여 변이 폭이 컸다. 그러나 밀폐특성에 따른 노출 분포의 변이성은 직무만으로 구분했을 때의 변이지표 보다 그 수치가 낮아 밀폐특성으로 직무의 변이성을 설명 할 수 있었다. 결론 : 직무에 근거한 유사노출군이 동질적이지알다는 결과는 유사노출군으로 구분된 근로자의 업무특성이 하나의 유사노출군으로 설정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작업환경 측정 시 직무뿐만 아니라 특정 업무(specific task) 또는 세부작업현황까지 파악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centration of xylene exposure and exposure variability of a similar exposure group (SEG) in accordance with job title and confined space. Method : The study subjects included 28 workers working in the painting process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Measurement of subjects were repeated three times. Within and between-worker exposure valiance components were estimated from log-transformed exposure concentrations employing a one-way nested random effects analysis of variance model. A uniformly exposed group was defined as one where the between-worker variance(σB2) was less than or equal to 0.031 or bwR95 ≤2, where bwR95 =exp(3.92 bwSy) , representing the radio of the mean exposures of the 97.5th and 2.5th percentile groups of the workers sampled. Result :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trary to popular belief, similar exposed groups based on job title were heterogeneous. The between-worker variance(σB2) is large(≥0.031) and the ratios of the 97.5th and 2.5th percentile workers of the log normally distributed exposures of each group of worriers was more than 2. However dividing job title into confined space (in-block, out-block, in/out-block) decreased the between-worker exposure variability. Conclusion : This stud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aspects of exposure in painters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We cannot accept the assumption that SEG are uniformly exposed, as a major component of variation in exposure relates to differences in tacks or other factors. Therefore, the observational schemes can be improved by investigating Job-specific task and practice.

      • SCOPUSKCI등재

        혈중 납과 혈압의 연관성에 관한 메타분석

        고상백,남정모,최홍열,차봉석,박종구,지호성,김춘배,Koh, Sang-Baek,Nam, Chung-Mo,Choi, Hong-Ryul,Cha, Bong-Suk,Park, Jong-Ku,Jee, Ho-Sung,Kim, Chun-Bae 대한예방의학회 2001 예방의학회지 Vol.34 No.3

        Objectives : To integrate the results of studies which assess an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and blood pressure. Methods : We surveyed the existing literature using a MEDLINE search with blood lead and blood pressure as key words, including reports published from January 1980 to December 2000. The criteria for quality evaluation were as follows: 1) the study subjects must have been workers exposed to lead, and 2) both blood pressure and blood lead must have been measured and presented with sufficient details so as to estimate or calculate the size of the association as a continuous variable. Among the 129 articles retrieved, 13 studie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meta-analysis. Before the integration of each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blood lead, a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Results : As the homogeneity of studies was rejected in a fixed effect model, we used the results in a random effect model. Our quantitative meta-analysis yielded weighted regression coefficients of blood lead associ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results of 0.0047 (95% confidence interval [CI]: -0.0061, 0.0155) and 0.0004 (95% CI: -0.0031, 0.0039),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published evidence suggested that there may be a weak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and blood pressure, but the association is not significant.

      • SCOPUSKCI등재

        스트레스와 생물학적 지표의 상관성

        고상백 한국역학회 2002 Epidemiology and Health Vol.24 No.2

        Stress can induce modifications in the central nervous(CNS), autonomic nervous and neuroendocrine system. Thus, the stress response has long been measured in laboratory experiments by biochemical changes in the hormone systems that are referred to as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SNS) and pituitary-adrenocortical axes(HPA). These axes react to acute stress or chronic stress. The activation of these two particular pathways result in elevated serum levels of catecholamines, cortisol, ACTH, dopamine, and others hormones. But there is considerable debate about the relevance of traditional laboratory stress findings to real-life situation. The neurobiology of stress is a key step to the understanding of stress-induced changes of immune functions. The immune system operates in communication with brain and endocrine system. Because of this extensive communication, the immune system can influence how we feel and behave. The stress are associated with endocrine and autonomic changes that can inhibit immune system function. The concept of neurocardiology renders plausible the various theoretical constructs of stress as they relate to circulatory vascular disease. Detailed reviews of the anatomic connections between the brain and the heart and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data on the role of the CNS in cardiac dysfunction can be found elsewhere. In this study, we reviewed that stress wa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through the known cardiovascular risk factors(hypertension, heart rate variability, homocycteine, and clotting system).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농업인 손상

        고상백,이기현,이경숙 대한의사협회 2012 대한의사협회지 Vol.55 No.1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gricultural injuries and to suggest measures to prevent and to manage them. To determine the scale of agricultural injuries in Korea, fatal injury data were analyzed by securing from th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and moderate to severe injuries were analyzed from the Emergency Department-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EDBISS). Nationwide data on minor injuries were analyz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KWCS), and the Farmers Survey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 The SMR of farm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occupations. When the distribution of severity of injury was investigated from the EDBISS data, the injury severity of farmer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occupations. The rate of industrial injuries from the KWCS data was 4.51% in skilled agricultural and fishery workers, which was around twice as high as those of craft and related trade workers (2.27%) and plant and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 (2.13%). The occupational injury reporting rate from KNHANES was the second highest, or 4.3%, in skilled agricultural and fishery workers, following that of plant and machine operators (6.2%), while the rates of manual workers, sales and service workers, clerks and professionals, and managers and administrators were 3.5%, 3.0%, 2.7%, and 2.1%, respectively (P <0.001). Social concern over this issue, a reporting system for occupational injuries, preventive measures such as safety education programs, and an accident compensation system are needed to prevent and manage agricultural inj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