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대 공포증이 가수에게 미치는 영향

        황은혜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is about singers who has the stage fright. This research considers about the causes and how to overcome. In order to do so, researcher selects, collects and organizes cases that actual active singers experience by other researches, various media material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singers for stage fright. To collect data by interviewing, questions are made based on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and the 3 musicians who are a graduate student studying composing, a postgraduate for music, a postgraduate for classic vocal music. The interviews are progressed by face-to-face interview and written interview on late November 2019 through early December 2019. The date are structured with interview results of 3 musicians. The process is to know the stage fright cases and solution of stage fright. Vital and mental capacity of singers on stage are easily affected by various given situations. Especially, stage fright strongly disturbs singer’s mental capacity, causes to lower singer’s performance potential, and its effect leads audiences feel nervous. Stage fright comes unexpectedly, regardless of how well skilled, how long trained or how much experienced singers are. Famous music masters have had stage fright and disappeared from the media. They never showed up again on live stage and only way to see their live performance is recorded digital data archive; music video and DV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blished music records and live performance with stage fright disappoints audiences because of the vocal performance’s quality. Stage fright takes away not only confidence of performer but also self-esteem of performer. In order to compar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ith perspective of singers who have experienced stage fright and the contents of “Influence that stage fright affects to singers”, 10 currently active singers are interviewed and the results of interviews are similar to the research. It emphasizes that vital and mental capacity of singers on stage are highly connected to expressive ability of vocals. Intension on live stage causes vocal cords disease which caused by muscle contraction, and external symptoms with internal symptoms will be followed to suffer after. The conflicts are depend on given situations and frequency of intension on live stage, but regardless of music style, experience and tendency, that every singers feels nervous proved by the research. However, intension on live stage could suggest good influences when nervousness is balanced suitably to the body. Many singers are not communicating well with audiences because of stage fright and first step to overcome is that practicing in their virtual stage as real. The virtual stage experience relieves psychological anxiety factors, predicts mistakes that could happen on real stage and prepares a few solutions for the mistakes. Second step is imagination which is image-training of themselves with self-confidence. As imaginating commanding on stage, enjoying on stage and being favored by audiences on stage, anxiety could be gone step by step. Third step is selecting song list considerably by music genre, musical style, melody and vocal range. Choosing right song for vocal range resolves intension on live stage rather than singing high range unreasonably. Forth step is communicating with audiences sincerely. Giving and taking their honest stories could make closeness between singers and audiences with mood to enjoy music as well. Given time is limited to show singer’s every potential which also causes intension, but every singers need to realize how nervous they are in order to plan live show going well. Majority of singers hide their intension without the thorough plan, but in order to last their music career long and overcome stage fright, they need to acknowledge their deficient points and find solutions. 본 연구는 가수들이 무대에서 겪는 공포증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로 무대 공포증에 대한 원인과 극복 방안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가수의 무대 경험을 사례로 선정하여 무대 공포증에 관한 문헌연구와 장르별 가수의 개인 면담과 각종 매체 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 질문지는 연구자와 음악 동료들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여 현재 음악대학원 수료생 작곡 전문가 한 명과 음악대학원 졸업자 한 명, 음악대학원을 졸업한 성악 연주자 한 명 총 3사람에게 감수를 받았다. 면담은 2019년 11월 말에서 12월 초까지 대면 면담과 서면 면담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각 장르의 가수와 면담한 내용을 중심으로 인터뷰 결과에 대해 구조화하였다. 이는 개인의 무대 공포증 사례와 해결 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무대에서 노래하는 가수들은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해 그날의 공연 컨디션이 결정된다. 특히 무대 공포증은 공연 컨디션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공연을 보고 있는 관객의 마음까지 긴장하게 만든다. 무대 공포증은 실력, 연륜 등과 상관없이 갑자기 찾아오는 불청객이다. 유명한 대가들도 무대 공포증에 시달리며 결국에는 매체에서 자취를 감춰버리기도 했으며, 이러한 이유들로 라이브 공연장에서의 모습 대신 음원이나 뮤직비디오 등 미디어 매체를 통해서만 음악을 들어야 하는 안타까운 상황에 이르게 되기도 한다. 내가 평소 들었던 가수의 음원 목소리와, 무대 공포증을 가진 가수의 라이브를 들을 때의 상반된 모습 때문에 실망할 때가 있었고, 무대 공포증은 음악적 능력을 떠나서 한 사람의 자신감과 자존감마저 빼앗아 갈 수 있는 치명적인 약점이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무대 공포증이 가수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의 내용과 가수들이 겪고 있는 무대 공포증에 대한 관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 활동 중인 가수 10명을 인터뷰하였고 인터뷰 결과, 가수들의 의견은 문헌연구를 통한 무대 공포증의 영향에 대한 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 무대에서의 긴장은 가수의 능력을 표현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무대에서 긴장은 근육 수축으로 인한 성대의 질병을 불러일으키며 외적과 내적 증상을 겪게 된다. 상황마다 긴장의 빈도수와 무대에서 느끼는 갈등은 다르지만 연구를 통해 장르와 경험, 성향에 상관없이 모든 가수는 긴장한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으며 그 긴장이 적절하게 우리 몸에서 타협이 될 때 좋은 영향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해 주었다. 무대 공포증으로 인하여 아직도 많은 가수들이 긴장, 두려움, 관객과 원활하지 못한 소통을 하고 있으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첫째, 가상의 무대를 만들어 실제 상황처럼 연습해 보는 것이다. 공개되지 않은 가상의 무대는 심리적 불안요소를 덜어주고 실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실수를 미리 경험해 봄으로써 다양한 대처 방법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신감 있는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는 이미지 트레이닝이다. 무대에서 자신감 있는 모습, 무대를 즐기는 모습, 무대에서 많은 관객들에게 박수받는 모습을 상상하며 두려운 상황에서 단계적으로 부딪혀 두려움을 개선할 수 있다. 셋째, 장르, 스타일, 멜로디, 음역대 등을 잘 고려하여 선곡하는 것은 가수들에게 아주 중요하다. 개인의 능력을 초과하여 무리하게 노래하는 것보다 자신에게 맞는 선곡을 하는 것은, 긴장을 줄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넷째, 솔직한 관객과의 소통이 필요하다. 자신의 솔직한 이야기를 주고받는 것은 관객과 가수의 친밀감을 조성할 수 있고 음악을 더욱 즐길 수 있게 만들어준다. 처음 보는 많은 관객들에게 짧은 시간 안에 나의 모든 실력을 보여줘야 한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긴장이 되지만, 모든 가수들은 자신의 긴장도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계획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은 철저한 방안이나 대책 없이 긴장하는 것을 숨기려고 하는데, 자신의 부족한 점을 인정하고 해결 방법을 찾는 것은 가수의 생명력을 오래 유지하고 무대 공포증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해결책이다.

      • 현대 교회의 예배음악에 대한 연구 : 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진민 백석대학교 기독교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15

        기독교 예배의 가장 중요한 내용은 본질적으로 하나님을 경배하는 것과 관계한다. 그러나 예배의 본질 안에는 또 다른 본질들을 내포하고 있다. 즉, 예배는 하나님께로 향하는 경배의 의미와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말씀하시는 선포의 의미를 가지며, 하나님의 섭리가 인간들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며 이러한 계기를 통해 하나님을 만나게 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예배음악은 이러한 예배로서의 내용을 잘 담아내야 한다. 그러나 예배에 대한 이해의 관점에 따라 그 내용의 범위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 대한 문제는 계속해서 논쟁이 되고 있다. 이것은 한국 교회의 목회자들과 음악사역자들에게 ‘과연 어떤 내용의 예배음악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게 한다. 특히 필자는 이러한 논쟁은 예배자가 예배음악을 통해 하나님의 풍성한 은혜를 자유롭게 예배하는데 장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예배와 예배음악에 대한 어원적, 역사적 연구와 함께 이를 바탕으로, 특히 예배음악의 본질을 연구하여 예배음악으로 하여금 하나님께 드려지는 예배 자체로서의 가치와 예배가 가지고 있는 본질들의 내용들을 풍성하게 담아낼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Ⅰ장에서는 본 논문에 대한 문제제기와 연구의 목적,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논지를 밝히고 있으며, Ⅱ장에서는 예배에 대한 어원적 연구와 역사적 연구를 통해 예배의 본질적 속성들을 탐구함으로써 예배가 경배로서만이 아닌 여러 가지 의미를 포함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Ⅲ장은 Ⅱ장에서의 방법과 같이 예배음악의 어원적, 역사적 연구와 이를 종합한 이해를 통해 예배음악의 본질을 연구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을 통해 연구된 예배음악에 대한 속성들이 회중과 성가대를 통해 각각의 위치에서 충실히 드러나야 한다는 것을 연구하였다. Ⅴ장은 본 논문의 결론으로서, 지금까지 진행된 논문의 내용을 요약정리하며 마무리 하였다. 이로써 본 논문은 예배음악이 예배로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어야 하고,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그의 말씀을 선포하는 것이어야 하며, 예배음악을 통해 신자들 서로가 서로에게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증거하고 그 속에서 하나님을 만날 수 있게 하는 것이어야 함을 말하고 있다. Essentially, the most important content of Christian worship is about worshiping God. But there are other essences in the essence of worship. Such as, worship contains worshipping to God and God's speaking to people. And the worship make us know that God's providence happens among the people, though which we meet God. Worship music should contains these content of worship. But because of the differences among the understanding to worship, the controversy about this problem is continually going on. This make the pastors of Korean church and workers of Christian music be trouble about ‘Indeed, what content of Christian music should be chosen?’. Specially, writer think that this kind of controversy will become the obstacle to worshiping the God's abundant grace freely through Christian music. This thesis make an etymological study of worship and worship music, on the basis of which writer want to research the essence of worship music so that the worship music-as the worship itself-can be offered to God and can contain more essential content of worship. Chapter one throw light on presentation to subject and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and the point. Chapter two, making an etymological and historical study, present worship is not only worshiping with music but also contain other meaning. Chapter three, using the same method with chapter two, through the synthesized understanding research the essence of the worship music. Chapter four researches that how to reveal the properties of worship music in the audience and choir. Chapter five, as the conclusion of the thesis, put all the contents of the thesis in order. So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contain the content as below. As the worship, worship music should give glory to God, and declare God's word to his people. And through the worship music, believers testify the great of God, and meet God in worship.

      •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이용한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 연구 : 스크릴렉스 음악의 <험블>을 중심으로

        김민정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이용한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이용한 현대 덥스텝 제작 분석과 스크릴렉스의 <험블>을 통해 덥스텝의 파생 장르인 글리치 합의 제작 기법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웨이브테이블은 현대에 사용률이 높은 합성방식이며 날로 발전해가는 가상악기의 합성방식중 하나이다. 웨이브테이블 합성방식이란 악기의 원음 샘플을 사용하여 악기음을 재생하는 방식으로 원음 샘플의 단일 주기 파형을 변조 하거나 합성하여 새로운 음색을 만드는 방식이다. 다른 합성 방식에 비해 원음 샘플을 사용하여 음질이 우수하다는 큰 장점이 있어 웨이브테이블 합성방식을 사용한 가상악기 세럼을 이용하여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을 연구한다. 덥스텝 음악은 레게에 뿌리를 두고 발전된 전자음악 장르이다. 이 음악의 특징은 드럼과 베이스를 증폭 시키는 등 보컬의 역할이 강조되지 않은 연주 음악 형태를 띠며 대부분 단조로 무겁고 어두운 성격을 가진다. 셔플이나 당김음을 포함하는 하프 패턴을 기반으로 두고 있으며 3연음을 사용하여 절름거리는 느낌을 준다. 덥스텝은 다양한 장르 합성으로 명칭이 다르게 불리는데, 덥스텝과 힙합이 합성된 장르를 글리치 합이라 명칭한다. 이러한 덥스텝 파생 장르 글리치 합 제작기법을 웨이블테이블 신시사이저 세럼을 이용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분석하고 이 합성방식의 가상악기를 이용하여 덥스텝 제작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웨이브테이블 이전의 합성방식과 이러한 방식이 나오게 된 이유를 문헌 조사를 통해 연구하고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사용하는 가상악기를 통해 이의 활용을 살펴본다. 웨이브테이블 합성 방식을 사용하는 가상악기로 X사의 세럼을 이용한다. 덥스텝 음악 제작 기법은 스크릴렉스의 <험블>을 중심으로 하며 덥스텝과 글리치 합에 대한 연구를 한다. 덥스텝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험블>의 모음 악보를 제작하고 곡 구성을 분석하였다. 세럼을 이용해 <험블>의 사운드를 연구 제작한 후 웨이브테이블을 이용해 목소리 효과음을 제작하고 구간마다 달라지는 주요 신스 브라스 주파수를 비교 하였다. 또한 제작 사운드의 오실레이터와 필터, LFO, 매트릭스의 설정 값을 그림과 표로 한다. 또한, 덥스텝 사운드 주파수 특징주파수를 알기위해 타 장르와 애널라이저 스펙트럼을 비교분석 한다. 이를 위한 비교 장르는 덥스텝, 팝 음악, 발라드 음악으로 한정한다. 그리고 <험블>의 원음과 제작곡 또한 주파수를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는 웨이브테이블 신시사이저를 사용하여 차별화된 사운드효과를 만들고 덥스텝 음악 기법과 사운드 제작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주류 음악이었던 덥스텝이 오늘날 수많은 장르 합성을 통해 다양한 하위 장르를 만들어 냈다. 이 연구를 통해 웨이브테이블 방식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사운드 제작과 덥스텝 음악과 글리치 합 음악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덥스텝의 합성 장르와 사운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재즈로 편곡된 찬송가 리하모니제이션 및 즉흥연주 비교분석 : - <Amazing Grace>를 중심으로 -

        임현재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재즈로 편곡된 찬송가에 나타나는 리하모니제이션 및 즉흥연주 기법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재즈로 편곡된 찬송가 중 대표적인 곡인 <Amazing Grace>를 분석할 곡으로 선정하여 이를 연주한 코리 헨리(Cory Henry), 앤더스 위크(Anders Wihk), 곽윤찬(Yoonchan Kwak)의 버전을 비교분석하였다. 테마에서는 아티스트들이 사용한 리하모니제이션 기법을 연구하였다. 코리 헨리는 세컨더리 도미넌트로 Ⅰ7을 연출하여 블루지한 사운드를, 앤더스 위크는 세컨더리 도미넌트로 Ⅱ-Ⅴ 진행에 기반한 팝적인 사운드를, 곽윤찬은 모달 인터체인지를 통한 펑키한 사운드를 연출하였다. 즉흥연주에서는 즉흥연주 기법을 분석도구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오른손 연주 스타일을 파악하기 위하여 어프로치 노트 사용, 스케일 사용을 분석도구로 삼았다. 왼손 연주 스타일은 컴핑 보이싱을 분석도구로 삼았다. 어프로치 노트의 경우 아티스트의 연주 스타일에 따라 그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스케일 사용의 경우 세 명 모두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에서 믹솔리디안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하지만 사용하는 목적과 효과가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컴핑 보이싱의 경우 아티스트의 연주 스타일보다는 악기 구성에 따른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재즈로 편곡된 찬송가는 찬송가가 가진 메시지를 전수함과 동시에 변화하는 대중의 음악적 기대에도 맞출 수 있는 장르이다. 이는 기독교 선교적인 측면, 음악적인 측면, 예배적인 측면에 도움이 된다. 재즈로 편곡된 찬송가는 한국 기독교음악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장르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harmonization and improvisation techniques that appear in Hymns arranged in Jazz. Among the hymns arranged in jazz, <Amazing Grace>, a representative song, was selected as a song to be analyzed. and the versions of Cory Henry, Anders Wihk, and Yoonchan Kwak, who played it,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e theme, the reharmonization technique used by artists was studied. Cory Henry directed I7 as the secondary dominant for a bluesy sound, Anders Wihk produced a pop sound based on II-V progression, and Yoonchan Kwak produced a funky sound through modal interchange. In improvisation, the improvisation technique was set as an analysis tool and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ight-hand playing style, the use of approach notes and the use of scale were used as analysis tools. In the case of the left hand, the analysis was focused on comping voicing. Approach notes showed different frequencies depending on the artist's playing style. In the case of scale use, all three used Mixolydian the most in the dominant seventh chord. But the purpose and effect of using it were different. In the case of comping voicing, the chang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instrument was greater than the performance style of the artist itself. Hymns arranged in jazz is a genre that can convey the message of the hymn and meet the changing public's musical expectations at the same time. This is helpful in terms of Christian missionary, musical, and worshipful aspects. Hymns arranged in jazz is a genre that can bring change to Korean Christian music.

      • 회중찬송으로서의 Modern worship 음악에 관한 연구 : 회중찬송의 조건과 Modern worship 음악의 비교 중심으로

        류수현 백석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인간은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 하나님께서는 인간에게 찬양의 목적은 주셨지만, 찬양의 방법에 있어서는 자유를 주셨다. 그러므로 인간은 음악 안에서도 마음의 자세만 하나님께 바로 서 있다면 자유롭게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다. 회중 찬송의 역사를 보아도 시대별 음악의 흐름에 따라서 회중 찬송의 모습도 변해온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은 수많은 장르의 음악이 찬양의 도구로 사용된다. 이것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데 다양한 도구가 되기도 하지만, 하나님만 영광되게 하는 데 있어 분주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것은 오늘날 회중 찬송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이런 면에서 오늘날 영?미 권에서 부흥의 바람을 맞고 있는 회중 찬송인 Modern worship 음악은 우리에게 좋은 거울이 된다. Modern worship 음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한국의 회중 찬송이 나아가야 할 실마리를 푸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회중 찬송은 모임 가운데 온 회중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음악적인 표현이다. 회중 찬송은 형식적으로는 예전 찬송과 비 예전 찬송으로 구분하며, 내용적으로는 가사의 내용에 따라 수직적인 찬양과 수평적인 찬양으로 구분한다. 역사적으로는 구약의 성막시대로부터 오늘날의 포스트모더니즘 시대까지 특징적인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회중 찬송의 역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회중 찬송은 그 시대의 음악적 흐름과 함께 이어져 내려오고 있었으며, 회중 찬송의 부흥은 곧 교회의 영적인 부흥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회중 찬송의 의의는 온 회중이 하나님을 찬양하기에 적합하도록 고려한 가사와 음악적 조건으로 가사의 조건은 성경 말씀에 근거하여 성 삼위 일체의 하나님을 찬양하는 내용이어야 하며 통일된 주제와 쉽고 단순한 문체로 회중의 영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회중 찬송이 갖추어야 할 음악적 조건은 쉬운 선율과 폭 넓지 않은 음역, 쉬운 리듬과 반복, 적은 화성변화, 유절형식 등이 있다. Modern worship 음악은 Modern rock을 기반으로 출발한 현대 젊은이들의 부흥을 위한 회중 찬송이다. 영국의 Soul survivor, 미국의 Passion conference, 호주의 Hillsong conference 등의 예배 음악이 그것인데, 오늘날 영?미 권의 수많은 젊은이들을 하나님께로 불러 모으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한 세계 전역으로 부흥의 바람을 맞고 있는 회중 찬송이다. Modern worship 음악의 특징은 곡 분석을 통해서 추론하였다. 곡 분석은 영?미 권의 가장 공신력 있는 Gospel Music Association Dove Award에서 2004년부터 2007년까지 Worship song 부문을 수상한 4곡을 분석하였다. 곡 분석 순서는 작곡가 소개, 가사의 내용 분석, 악기 편성 및 사운드 분석, 악보와 연주된 곡의 형식 분석, 마지막으로 리듬, 화성, 선율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회중 찬송의 의의와 비교하기 위해서 가사와 음악적 특징을 구분하였다. Modern worship의 가사는 회중 찬송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다. 이것은 Modern worship이 회중 찬송이기 때문인데, 하나님께 돌리는 찬양은 어떤 음악의 옷을 입던지 그 가사의 내용이 직접적이든지 간접적이든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찬양의 내용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음악적인 면에 있어서 폭 넓지 않은 음역을 갖고 있는 점과 쉽고 단순한 리듬의 반복된 구성, 그리고 적은 화성의 변화를 갖고 있는 것은 회중 찬송의 조건에 부합한다. 이러한 것들은 회중 찬송이 온 회중과 함께 찬양해야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생기는 특징이다. 이처럼 Modern worship 음악의 보편성은 회중 찬송의 조건 중에서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부분과 온 회중의 참여를 고려한 부분에서 기인한 특징이다. 가사적인 면에서는 대부분이 회중 찬송의 조건과 일치한다. 하지만 Modern worship 음악이 갖는 가사의 특징적인 부분을 본다면 보다 더 직선적으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수직적인 가사의 내용을 갖고 있다. 이는 Modern worship의 회중이 젊은 세대들이라는 데서 나오는 특징으로 그들의 언어로 그들의 마음을 직선적으로 표현하는 젊은 세대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음악적인 면의 차이점은 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Modern rock을 바탕으로 한 음악적인 특징과 회중이 젊은 세대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역동적이면서 강렬한 음악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회중 찬송으로서 Modern worship 음악을 연구한 결과, 회중 찬송은 그 모임의 회중이 누구인가에 의해 영향을 받아 음악적인 표현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며, 회중이 살아가는 문화-사회적인 표현 양식에 영향을 받아서도 음악적인 표현 방법이 달라진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Modern worship은 이런 회중의 음악 언어를 고려한 회중 찬송이기 때문에 큰 부흥을 맞을 수 있었다. 따라서 오늘날 회중 찬송은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회중의 특성을 고려하여 회중 찬송을 불러야 한다. 둘째, 오늘날의 문화-사회적인 표현양식으로 회중 찬송을 불러야 한다. 셋째,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회중 찬송이 많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처럼 Modern worship 음악을 거울삼아 우리의 음악언어로 하나님을 찬양하려는 노력이 커져서 한국 Man was made to praise God. God has given the goal of praise, but given a free rein in selecting the ways of praise. Therefore, the man is allowed to praise God, as long as he stands in front of God. Judging from the history of a congregation hymn, the features of a congregation hymn have been changed along with the trend in the music of the times. At present, a great many genres of music are used in praising. These have been used to honor God but, in addition have caused to be busy and pressed with work in glorying God only. These is our important problem to be solved today. Modern Worship Music which is very popular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is a good model.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Modern Worship Music can be a help to seek the first step toward the solution for finding the way of current Korean congregation hymn. Congregation hymn is a musical expression for people gathered together to glory God. It may be divided into two in terms with a form : sacrament hymn and non-sacrament hymn, classified in terms with the content of words : perpendicular hymn and horizontal hymn, and categorized into two according to history : Tabernacle of the Old Testament to postmodernism of the present time. It have been shown by the history of congregation hymn that the congregation hymn has been handed down along with the pattern of the music in those days and its revival has been the motive of the church's spiritual one. Congregation hymn should have all congregation praise the triune God with words which is suitable for giving glory to God and is based on the Bible. In addition, it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for the spiritual growth of congregation with an unified subject matter and a simple, easy literary style. It should meet such several musical conditions that have an easy melody, a small compass, an easy and repeated rhythm, a small change in harmony and an articulation form. Modern Worship Music is an congregation hymn for the revival of modern youth, based on Modern Rock. As such Modern Worship Music, there are Soul Survivor in England, Passion Conference in the United State and Hillsong Conference in Australia. Those music is calling together many young people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toward God and getting a great vogue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Worship Music were derived by the analysis of related tunes. These analyses were made with 4 tunes winning a prize in the section of Worship Song, in Gospel Music Association Dove Award from 2004 to 2007, which gets most public trust in England and American. The procedures of the analyses on these music were followed, in order : introduction of composers, content of words, formation of musical instrument, sound, form of musical performance, rhythm, harmony and melody. Words and musical features were classified to compare the meaning of congregation hymn. The Words of Modern Worship Music meet all the requirements of congregation hymn because it is congregation hymn and has an content of praise giving glory to God, whatever kind of music it is, or whether its content of words is directly expressed or not. In musical aspects, the reason why Modern Worship Music meets the condition of congregation hymn is that it has a small compass and consists of the repetition of an easy and simple rhythm. Those come from the characteristics that it sung by people gathered together. The above universality of Modern Worship Music is attributed to the features that it meets the conditions of congregation hymn absolutely and it calls congregation forward in front of God. Most of all in terms of words agree with the conditions of congregation hymn. However, From its characteristic standpoint of words, it includes the perpendicular content more directly to glory Go. This is due to the traits of young people that tend to express their thoughts directly with their own languages. It shows the dynamic and intense music because it stands on Modern Rock affected by postmodernism and is aimed at young generation. It was found that the way of musical expression in congregation hymn might be changed by the influence of a member of the congregation and by the expression form of their living culture and societ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on congregation hymn. Modern Worship Music has been revived remarkably because it is itself congregation hymn reflecting its musical language. Therefore, congregation hymn of the present tim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First, the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people gathered together. Second, the forms of expression in the culture and society today Third, the harmonization with Korean emotion It is desired that a great effort to praise God with our own musical languages on the model of Modern Worship Music will lead to congregation hymn which can get a foothold in the remarkable revival of Korean church and such a hymn will prevail over this earth.

      • 국내 디지털 음원 유통의 NFT 활용 :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오채련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usic utilization in the music industry, and aims to clarify the need for current distribution structural change. The music industry repeats the development and decline of certain industries, and determining the success of changing industries is to accept and apply the changing times. Technology that develops with the time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Industrial Revolution. Advanced technology has influenced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i.e., the means of music utilization have been developed. Developed means of music use have become the main means of use of the times and have changed the way people use music. Digital sound sources that convert simulated music into digital files have emerged, and digital sound sources have evolved into streaming services. Streaming services have changed from owning music to consuming musi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ound sources and the advantages of streaming technology, the distribution of music has become more convenient than before, but the digital music market has begun to form and rise. Some companies with streaming service platforms have monopolized the digital sound source market and created a distribution industry-centered distribution structure that pays half of the proceeds from digital sound source sales.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creators who sell their own creations has a negative impact on creators because their profits are less than those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The distribution industry has maintained its existing system without showing any willingness to improve. If there is no fundamental solution to the distribution structure, it will lead to the withdrawal of creators, which will affect the entire music industry.“ The music industry is showing signs of change after streaming. New technologies improv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begun to change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used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to produce music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representing the changing use of new concepts. NF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technology to develop changing forms of music use. NFT is a cryptocurrency that enables security and authentication of the original with blockchain technology. NFT is a technology that has rapidly increased interest, with trading volume and market value so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FT a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currently traded in the market a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using existing streaming services is expected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istribution structur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come a new digital sound source suitable for changing music usage. The music industry should not be biased toward either side, but should be constructed to create a virtuous circle of the entire yen belonging to the industry. A virtuous cycle will be the beginning of a sound music industry that benefits both diversity and industry members. I hope that the music industry will develop into a healthy music industry that can coexist with all participants. Key word : Digital Sound Source, NF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ound Source Distribution, Metaverse 본 논문은 음악 산업에서 음악 이용 수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현 유통구조 변혁의 필요성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음악 산업은 끊임없이 특정 산업군의 발전과 쇠퇴를 반복한다. 변화하는 산업의 성공을 정하는 것은 변화하는 시대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적용하는 자세이다. 시대에 따라 발전하는 기술은 산업혁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발전한 기술은 음악 제작 분야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곧 음악 이용 수단을 발전시켰다. 발전한 음악 이용 수단은 시대를 대표하는 주요 이용 수단이 되어 사람들의 음악 이용 형태를 변화시켰다. 아날로그 음악을 디지털 파일로 변환한 디지털 음원이 탄생했고, 디지털 음원을 유통하는 이용 수단은 진화를 거쳐 스트리밍 서비스가 되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음악을 소유하던 형태에서 음악을 소비하는 형태로 변화시켰다. 디지털 음원의 특징과 스트리밍 기술의 장점으로 이전보다 편리해진 음악 유통은 디지털 음악 시장의 형성과 상승세를 보였으나, 한계점 또한 드러나기 시작했다.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을 보유한 일부 기업이 디지털 음원 시장을 독과점하였고, 디지털 음원의 판매 수익의 절반을 유통비로 지급하는 유통사 위주의 유통구조를 만들어냈다. 창작자가 자신의 창작물을 판매함에도 창작자에게 돌아가는 수익은 유통사의 수익보다 적은 유통구조는 창작자에게 악영향을 주었다. 유통사는 개선의 의지를 보이지 않으며 기존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유통구조의 근본적인 해결이 없다면 창작자의 이탈로 이어질 것이고, 그로 인해 음악 산업 전체가 영향을 받게 될 것을 지적했다. 음악 산업은 스트리밍에 이어 다시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향상된 새로운 기술은 음악 제작 분야를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음악 제작 분야에 인공지능을 사용해 전문 지식 없이 음악을 제작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새로운 개념이 변화할 음악의 이용 형태를 대표할 것이다. NFT는 변화할 음악 이용 형태를 발전시킬 신기술로 주목받는다. NFT는 암호화폐 중 하나로, 블록체인 기술로 보안성과 원본 증명을 가능하게 한다. NFT는 거래량과 시장 가치가 폭등하는 등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한 기술이다. 현재 시장에 거래되고 있는 NFT와 유통구조를 통해 기존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용하는 유통구조와 차이점이 있으며 기존 유통구조의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변화할 음악 이용 형태에 적합한 새로운 디지털 음원 이용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음악 산업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진 구조가 아닌 산업 안에 속한 일원 전체의 선순환을 이룰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선순환 구조는 음악의 다양성과 산업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건강한 음악 산업의 시작이 될 것이다. 음악 산업에 참여하는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건강한 음악 산업으로 나아감을 희망한다. 주제어: 디지털 음원, NFT, 4차 산업혁명, 음원 유통, 메타버스

      • 사회적 관점에서 본 대중음악의 변화와 수용형태 : 20세기 이후의 대중음악 시장을 중심으로

        이초롱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15

        이 논문의 핵심은 음악을 통해 투영한 사회를 바라보고, 음악과 음악가들의 모습을 연구하여 대중음악과 사회가 서로에게 미치고 있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가까운 미래에 대중음악은 어떻게 변화할 것이며, 그렇다면, 음악을 연주하고 만들어야 할 연주자들이 어떤 모습과 태도를 갖추어야 할지, 보다 합리적인 방향을 찾는 것이다. 미국의 재즈음악은 흑인의 시대적 생활환경과 배경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하며 확립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인종차별이 만연했던 20세기 중반 이전에 음악교육을 받을 수 없던 흑인들과 즉흥연주의 연관성, 스윙시대의 쇠퇴와 세계대전 이후 미국 사회의 분위기 속에 맞물린 쿨재즈의 탄생, 흑인 인권 회복과 함께 등장한 백인 재즈 뮤지션 등 재즈는 항상 당대 사회의 모습과 함께 변화한다. 또한 현재까지도 많은 논란들과 함께 인종차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미국 및 서양 국가들의 대중음악은 흑인들의 음악과 그 문화에 큰 영향을 받으며 변화하고 있다. 디트로이트의 모타운 레코드를 시작으로 흑인의 소울 음악과 가스펠·힙합들은 현재의 수많은 백인음악에서 제외하고 논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그것은 미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 및 아시아, 유럽 등 세계의 음악시장을 설명할 때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00년대 초기 우리나라 음악의 모습은 일제 강점기의 영향으로 인해 신민요와 트로트 등 민속음악 이외의 것들이 등장 하였고 일본을 통해 미국의 재즈 유입이 있었다. 오케레코드에서 발매된 고복수의 타향살이(1934)의 히트는 강점기 말기와 해방 직 후 대중음악의 방향과 사회 분위기의 메타포로써, 대중음악이 사회를 반영하는 모습을 확연히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강점기 이후의 한국전쟁부터 민주항쟁 시대를 비롯한 현재에도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대중음악은 사회현상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하고 그에 따른 새로운 사회현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음악은 국내의 내정뿐 아니라 세계 흐름과도 맞물려있으며 외국도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국가의 음악시장끼리 마찰하며 꾸준히 변화하고 있다. 이는 음악이 단순히 개인적인 창작물로만 평가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로써, 창작자에게는 지극히 개인적인 것 일 지라도 그것을 접하는 타인과 그들을 이루는 사회가 상호 유기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중음악 시장은 당대 사회의 모습과 분위기를 반영하며 형성된다. 작곡자·연주자 혹은 음악관련 제작자들은 반경이 넓든 적든 그 영향을 얼마든지 사회에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망각하지 말아야 하겠다. 또한 자신의 창작물이 누군가의, 혹은 내 환경이나 배경 그 어떤 것에든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나의 연주나 곡이 누군가를 얼마든지 바꾼다던지, 누군가에게 위로나 혹은 반대로 위협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음악을 하는 오만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