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국내 디지털 음원 유통의 NFT 활용 : 이론과 사례를 중심으로

        오채련 백석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usic utilization in the music industry, and aims to clarify the need for current distribution structural change. The music industry repeats the development and decline of certain industries, and determining the success of changing industries is to accept and apply the changing times. Technology that develops with the time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Industrial Revolution. Advanced technology has influenced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i.e., the means of music utilization have been developed. Developed means of music use have become the main means of use of the times and have changed the way people use music. Digital sound sources that convert simulated music into digital files have emerged, and digital sound sources have evolved into streaming services. Streaming services have changed from owning music to consuming music.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ound sources and the advantages of streaming technology, the distribution of music has become more convenient than before, but the digital music market has begun to form and rise. Some companies with streaming service platforms have monopolized the digital sound source market and created a distribution industry-centered distribution structure that pays half of the proceeds from digital sound source sales.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creators who sell their own creations has a negative impact on creators because their profits are less than those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The distribution industry has maintained its existing system without showing any willingness to improve. If there is no fundamental solution to the distribution structure, it will lead to the withdrawal of creators, which will affect the entire music industry.“ The music industry is showing signs of change after streaming. New technologies improv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begun to change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used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to produce music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representing the changing use of new concepts. NF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technology to develop changing forms of music use. NFT is a cryptocurrency that enables security and authentication of the original with blockchain technology. NFT is a technology that has rapidly increased interest, with trading volume and market value so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FT a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currently traded in the market a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using existing streaming services is expected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istribution structur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come a new digital sound source suitable for changing music usage. The music industry should not be biased toward either side, but should be constructed to create a virtuous circle of the entire yen belonging to the industry. A virtuous cycle will be the beginning of a sound music industry that benefits both diversity and industry members. I hope that the music industry will develop into a healthy music industry that can coexist with all participants. Key word : Digital Sound Source, NF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ound Source Distribution, Metaverse 본 논문은 음악 산업에서 음악 이용 수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현 유통구조 변혁의 필요성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음악 산업은 끊임없이 특정 산업군의 발전과 쇠퇴를 반복한다. 변화하는 산업의 성공을 정하는 것은 변화하는 시대를 받아들이고 그것을 적용하는 자세이다. 시대에 따라 발전하는 기술은 산업혁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발전한 기술은 음악 제작 분야에 영향을 주었고 이는 곧 음악 이용 수단을 발전시켰다. 발전한 음악 이용 수단은 시대를 대표하는 주요 이용 수단이 되어 사람들의 음악 이용 형태를 변화시켰다. 아날로그 음악을 디지털 파일로 변환한 디지털 음원이 탄생했고, 디지털 음원을 유통하는 이용 수단은 진화를 거쳐 스트리밍 서비스가 되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음악을 소유하던 형태에서 음악을 소비하는 형태로 변화시켰다. 디지털 음원의 특징과 스트리밍 기술의 장점으로 이전보다 편리해진 음악 유통은 디지털 음악 시장의 형성과 상승세를 보였으나, 한계점 또한 드러나기 시작했다.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을 보유한 일부 기업이 디지털 음원 시장을 독과점하였고, 디지털 음원의 판매 수익의 절반을 유통비로 지급하는 유통사 위주의 유통구조를 만들어냈다. 창작자가 자신의 창작물을 판매함에도 창작자에게 돌아가는 수익은 유통사의 수익보다 적은 유통구조는 창작자에게 악영향을 주었다. 유통사는 개선의 의지를 보이지 않으며 기존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유통구조의 근본적인 해결이 없다면 창작자의 이탈로 이어질 것이고, 그로 인해 음악 산업 전체가 영향을 받게 될 것을 지적했다. 음악 산업은 스트리밍에 이어 다시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향상된 새로운 기술은 음악 제작 분야를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음악 제작 분야에 인공지능을 사용해 전문 지식 없이 음악을 제작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새로운 개념이 변화할 음악의 이용 형태를 대표할 것이다. NFT는 변화할 음악 이용 형태를 발전시킬 신기술로 주목받는다. NFT는 암호화폐 중 하나로, 블록체인 기술로 보안성과 원본 증명을 가능하게 한다. NFT는 거래량과 시장 가치가 폭등하는 등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한 기술이다. 현재 시장에 거래되고 있는 NFT와 유통구조를 통해 기존 스트리밍 서비스를 활용하는 유통구조와 차이점이 있으며 기존 유통구조의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변화할 음악 이용 형태에 적합한 새로운 디지털 음원 이용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음악 산업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진 구조가 아닌 산업 안에 속한 일원 전체의 선순환을 이룰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선순환 구조는 음악의 다양성과 산업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건강한 음악 산업의 시작이 될 것이다. 음악 산업에 참여하는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건강한 음악 산업으로 나아감을 희망한다. 주제어: 디지털 음원, NFT, 4차 산업혁명, 음원 유통, 메타버스

      • 돼지난자의 체외성숙단계에서의 hrG-CSF 처리가 배아발달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human recombinant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hrG-CSF) treatment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 on subsequent embryonic development

        채련 충북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과립구 클로니 자극 인자 (G-CSF)는 세포의 증식, 분화 그리고 생존에 필요한 인자이다. 본 인자는 또한 인간 배아착상에 있어서 난자의 발달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 이기도 하다. 사람에서 G-CSF의 농도는 전반 난소 주기가운데 배란시기에서 제일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먼저 과립 막 세포(GCs), 황체(CL), 난구세포 (CCs) 그리고 난자에서 G-CSF와 G-CSFR의 유전자 발현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후 난구세포-난자 복합체(COC)를 각각 1–3 mm (작은 난포) 와 3–6 mm (중간 난포)인 난포에서 채취한 뒤 무 단백질 체외성숙배지에 G-CSF(0, 10 and 100 ng/mL)를 여러 농도 별로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실시간 PCR분석을 진행한 결과 GCs, CL, CCs 그리고 난자에서 모두 G-CSF와 G-CSFR의 유전자 발현이 나타났고 흥미로운 것은 난자 내의 G-CSF의 유전자 발현양은 다른 유래 세포에서의 발현양보다 유일하게 낮게 관찰 되였지만 난자 내 G-CSFR의 유전자 발현양은 GCs에서 발현양과 거의 비슷하게 관찰 되였다. 난자를 44시간 동안 체외에서 배양한 뒤 세포핵 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각군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세포질 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작은 난포유래와 중간 난포유래의 실험 군에서 10ng/mL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ROS의 농도를 보였고 GSH의 농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단위발생을 통한 성숙난자의 발달능력을 평가한 결과 작은 난포유래 난자에서는 100ng/mL G-CSF처리군에서 (63.3%, 31.2%), 중간 난포유래 난자에서는 10ng/mL G-CSF처리군에서 (76.3%, 45.6%) 배아 분할율과 배반포 형성율이 대조군(38.6%, 49.0%, 52.1%, 61.3% 그리고 10.4%, 15.6%, 32.8%, 33.9%)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고 배반포 세포수를 평가한 결과 작은 난포에서나 중간 난포에서나 모두 10ng/mL 처리군(73.7, 106.5)에서 유의 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체외수정을 통한 성숙난자의 발달능력을 평가한 결과 다른 실험 군보다 중간난포 유래인 10ng/mL 처리군 (36.4%) 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배반포 형성효율을 보였다. 또한 체외수정 후 수정률 평가에서 수정효율이 모두 G-CSF 처리군 (29.1%, 44.0%)에서 대조군(20.5%, 34.5%)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성숙 후 난구세포에서 mRNA 발현을 분석한 결과 작은 난포유래와 중간 난포유래는 모두 G-CSF 처리군에서 Bcl2와 ERK2가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는 hrG-CSF는 세포질 내 ROS를 감소시킴으로써 체외수정 및 단위발생 배아의 발달능력을 향상시킴을 보여준다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is required for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survival of cells. It is also a biomarker of human oocyte developmental competence for embryo implantation. In humans, the G-CSF concentration peaks during the ovulatory phase of the ovarian cycle.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G-CSF and its receptor was analyzed by PCR in granulosa cells (GCs), corpus luteum (CL), cumulus cells (CCs), and oocytes. Cumulus oocyte complexes (COCs) were aspirated from antral follicles 1–3 mm (small follicles) and 4–6 mm (medium follicles). COCs from two kinds of follicles were matured in protein-free maturation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CSF (0, 10 and 100 ng/mL). By real-time PCR, the expression of G-CSF and its receptor were detected in GCs, CL, CCs, and oocytes. Interestingly, the G-CSF transcript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ocytes than in the other cell types, whereas the G-CSF receptor transcript levels in oocytes were similar to those in GCs. After 44 h of in vitro maturation, no differences in the rate of nuclear maturation were detected; however, the intracellular ROS levels in oocytes from both groups of follicles matured with 10 ng/mL hrG-CSF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05).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the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p < 0.05) higher in 100 ng/mL hrG-CSF-treated small (63.3 and 31.2%) and 10 ng/mL hrG-CSF-treated medium (76.3 and 45.6%) follicle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38.6, 49.0, 52.1 and 61.3%, and 10.4, 15.6, 32.8 and 33.9%). The total cell number in blastocysts from the small and medium follicle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0 ng/mL hrG-CSF-treated group (73.7 and 106.5) than in the other group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IVF), the blastocysts stage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in 10 ng/mL hrG-CSF-treated medium (36.4%) follicle. Fertilization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100 ng/mL of small (29.1%) and 10 ng/mL of medium (44.0%) follicle. I also examined the Bcl2 and ERK2 transcript levels and found that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mall and medium follicle treatment group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rG-CSF improve the viability of porcine embryos.

      • The effects of Korean-DASH diet on metabolic syndrome, insulin resistance and gut microbiota : 한국식 DASH 식단이 대사증후군, 인슐린저항성 및 장내미생물 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채련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Introducti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etS) has increased in Korea and it has been important issue in public health. The risk of MetS is associated with lifestyle and Dietary pattern is important factor to prevent and control the MetS. In addition, the intestinal microbiota is modulated by host diet and affects human metabolic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nfluence of a Korean DASH diet on metabolic syndrome, insulin resistance improvement in Korean adults and the changes of intestinal microbiota composition and diversity. Methods: Based on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patterns, the modified traditional Korean diet was developed. This K-DASH diet is rich in grains, vegetables, nuts, poultry and low in sodium and red meat. K-DASH diet intervention was conducted during 10-days with two sub groups of traditional Korean diet based Korean (TK group) who have been adhering traditional Korean diet and Western diet based Korean (WK group) who have been adhering western diet. A total 65 subjects participated in 10-days intervention. (TK group n=46, WK group n=19) We collected data of anthropometric, biochemical measurements and microbial materials at pre-post intervention each. The microbial sequencing were completed by the Illumina Miseq platform and after quality check the sequences, quantitative metagenomics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QIIME 1.8.0 software. Results: During 10-days K-DASH diet intervention the intakes of protein and fib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dietary sodium intakes were decreased (p<0.05). In metabolic syndrome indicators, the body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decreased (-0.90kg, -0.42cm; p<0.001) and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were reduced in whole subjects (-4.85mmHg, -2.45mmHg; p<0.01). Also the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leve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4.4mmo/L, -14.3 mmol/L; p<0.001).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 in insulin resistance index HOMA-IR and fasting insulin level. (-0.48, -2.30 pmol/L; p<0.01) Comparison of gut microbiota composition between groups showed that TK group have more diverse microbiota than WK group and TK group have relatively higher in Bacteroidetes and lower in Firmicutes than WK group. After 10-days K-DASH intervention the microbiota diversity and composition were altered including decreased Firmicutes / Bacteroidetes ratio and increased alpha diversity. And the changes of F/B ratio and the abundances of L.reuteri, L.zeae, C. butyricum, Roseburia s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sulin level and HOMA-IR (r>0.65, p<0.01) Discu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K-DASH diet could play a protective role in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The K-DASH diet was modified to remedy the disadvantages of traditional Korean diet, on this account K-DASH had an effect on both group. Dietary modulation altered gut microbiota composition and the carbohydrate dependent microbial abundance was reduced. Even though the absolute amount of nutrient was not changes, the relative amount of nutrient could affect the microbiota composition. For the more efficient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is needed with K-DASH diet

      • 트레할로스에 의한 자가포식 활성화 과정이 돼지 난자성숙과 초기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채련(CAI LIAN) 충북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1567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은 세포내 단백질의 축적물, 손상된 세포소기관 등이 리소좀으로 운반되어 분해되도록 하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분해된 물질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재활용 시스템이다. 이는 포유류의 난모세포 발생 및 배아의 발달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리 및 병리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포유류 라파마이신 표적 (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mTOR)은 자가포식작용의 주요 조절기전으로써 이에 관여하는 라파마이신과 같은 자가포식활성제가 널리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mTOR는 자가포식 과정 외에도 세포 성장과 대사를 제어하는 주요 신호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mTOR에 의존하지 않는 자가포식유도방법이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비환원성 이당류인 트레할로스는 다양한 신경 퇴행성 질환모델 연구에서 mTOR기전과 독립적인 자가포식 활성제로 밝혀졌다. 하지만 세포주 및 조직에 따라 그 기능과 기전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현재까지 돼지 체외 생산 (in vitro production; IVP) 시스템에 있어서 트레할로스에 의한 자가포식작용에 관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트레할로스와 자가포식작용과의 관련성 및 잠재적 기전을 밝히며, 돼지 난모세포의 체외성숙 및 배아 체외발달 과정에 처리했을 때 난모세포 성숙과 배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제1장에서는 돼지 난모세포의 체외성숙 과정 초기 22시간동안 트레할로스를 처리했을 때 난모세포의 성숙과 단위발생 후 배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자가포식 활성화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가포식 관련 마커(LC3) 및 세포사멸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체외성숙 과정에서 트레할로스의 처리는 난모세포의 핵성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단위발생 후 배반포발달률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면역 형광 염색을 통해 제2차 감수분열 중기의 난모세포 및 4세포기 배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LC3 단백질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단위발생 유래 배반포에서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 (LAMP2, pATG5, LC3)의 발현이 증가하고, BAX/BCL2 비율과 세포사멸사 유전자인 BAK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트레할로스가 자가포식 작용을 활성화함으로써 불완전한 체외성숙 환경에 의한 세포사멸을 감소시켜 돼지 배아 발달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2장에서는 트레할로스를 난모세포의 체외성숙 초기 22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난구세포 및 난모세포에서의 자가포식 활성화 여부 및 잠재적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LC3 회전율 분석법에 의해 난구세포와 난모세포 모두 트레할로스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자가포식작용이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qRT-PCR분석에 의해 자가포식 유도 주요 신호경로인 PI3K, Akt, mTOR, 그리고 Class III PI3K/VPS34 유전자가 트레할로스에 의한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면역 블로팅 방법에 의한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을 때 난모세포 및 난구세포에서 모두 PI3K/Akt 신호경로의 억제하였을 뿐만 아니라 mTOR의 활성화를 야기시켰고, VPS34의 활성화는 난모세포에서만 이루어졌다. 이에 반해 TFEB에 의해 조절되는 CLEAR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은 난구세포에서만 특이적으로 증가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트레할로스에 의한 자가포식 활성화는 난구세포와 난모세포에서 각각 다른 기전에 의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PI3K 억제제인 보르트만닌(Wortmannin; Wort)과의 비교연구결과로 확인하였을 때 앞서 확인한 단백질 발현 결과와 동일한 결과로써 PI3K/Akt 신호경로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항산화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트레할로스는 PI3K/Akt 경로를 억제하여 CLEAR 유전자들의 상향조절에 의한 리소좀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난구세포 내 자가포식 작용을 활성화하였고 자가포식소체(autophagosome) 형성에 관여하는 VPS34의 활성을 유도함으로써 난모세포 내 자가포식 기능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PI3K/Akt 경로의 억제를 통해 난자의 감수분열 동기화를 유도하여 mTOR의 활성화로 인한 감수분열 비대칭 분할을 개선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제3장에서는 단위발생 유래 배아의 체외배양 초기 48시간 동안 트레할로스의 처리가 돼지 배아의 발달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트레할로스의 처리는 유의적으로 배반포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사멸 세포의 수를 감소시켰다. 또한 난할구의 분열시기가 대조군에 비해 지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방추체 형성 체크 포인트 (spindle assembly checkpoint; SAC) 및 모계 접합자 전이(maternal to zygote transition; MZT)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qRT-PCR에 의해 추가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SAC 관련 유전자 중 AURKB, MAD2L1, MAD2L2 및 BUB3의 발현 및 MZT 관련유전자 중 모체관련 유전자인 ZAR1, BMP15 및 GDF9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트레할로스가 SAC 및 MZT 관련 유전자를 조절하여 난할구의 파편화를 감소시키며 단위발생 유래 배반포의 품질을 향상시켰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트레할로스를 돼지 IVP 시스템에 활용했을 때 난모세포의 성숙과 단위발생 후 배아 발달 능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트레할로스는 난모세포의 감수 분열과 배아의 난할구 분할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트레할로스는 돼지 IVP 시스템에서도 확실히 mTOR 비의존적 경로를 통한 자가포식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는 돼지 IVP 시스템에 있어서 트레할로스의 기전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자가포식 관련 연구에 기초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utophagy is an intracellular self-eating process that eliminates misfolded proteins and maintains proteostasis. It has been implicated in many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including mammalian oogenesis and embryogenesis. The mechanistic target of rapamycin (mTOR) is a major regulator of autophagy. Rapamycin, an mTOR inhibitor, is widely employed in autophagy-related research. In addition to autophagy, mTOR plays a vital role in major signaling pathways controlling cell growth and metabolism; therefore, autophagy activation methods with greater specificity (and less crosstalk) need to be identified. Trehalose, a non-reducing disaccharide, is a novel mTOR-independent autophagy enhancer known to be effective in various neurodegenerative disease models. Nevertheless, its function and underlying mechanism remain controversial, depending on the cell lines and tissues employed. For instance, trehalose was found to induce adenosine 5′-monophosphate 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dependent autophagy by inhibiting members of the SLC2A family in human liver cancer cells, and by enhanced cellular clearance via Akt mod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EB (TFEB) in HeLa cells, JNCL fibroblasts, and mouse embryonic fibroblasts. However, to date,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role of trehalose in porcine in vitro production (IVP)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rehalose contributes to autophagy induction and to reveal its underlying mechanism of action in porcine IVP. In CHAPTER I, the effects of trehalose on porcine oocyte in vitro maturation (IVM) and subsequent developmental competence of embryo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s were related to autophagic activation, expression levels of the autophagy-related marker LC3 and apoptosis-related genes were evaluated. Although trehalose supplementation during IVM was not found to affect the rates of nuclear maturation in oocytes, subsequent development viability of embryos derived from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was improved. Moreover, in metaphase-II stage oocytes and 4-cell stage embryos, appreciably higher LC3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trehalose-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using immunofluorescence staining. Further, in blastocysts derived from PA, the expressions of several autophagy-related genes were (LAMP2, pATG5, and LC3) increased, and the ratios of BAX/BCL2 and proapoptotic BAK transcript level were decreased with trehalose supplementation. Thes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ed that trehalose may activate the autophagic process for elimination of misfolded proteins and damaged organelles, thereby decreasing apoptosis caused by suboptimal in vitro conditions, ultimately enhancing porcine embryonic developmental potential. In CHAPTER II, it was determined whether trehalose activates the autophagic process and investigated the underlying mechanism during porcine oocyte maturation. To achieve this, an LC3 turnover assay was performed in cumulus cells (CCs) and oocytes using immunoblotting. Additionally, the mRNA transcription levels of genes correlated with several major autophagy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Class I PI3K, Akt, TSC complex, mTOR complex 1, AMPK, ULK1 complex, and class III PI3K/VPS34 complex, were evaluated. The expression levels of proteins in which the corresponding gene level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qRT-PCR were cross-checked by immunoblotting. Based on these results, trehalose was observed to inactivate PI3K/Akt, activate mTOR pathways in both CCs and oocytes, and activate the VPS34 pathway specifically in oocytes. Next, the effects of trehalose on the regulation of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and its downstream oxidative stress-related genes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wortmannin (Wort; PI3K inhibitor).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neither trehalose nor Wort individually exerted any regulatory effect on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there was a drastic decrease in the levels of NRF2, HO1, and GSR1 in the co-treatment group. This result further revealed that trehalose activates autophagy by inhibiting the PI3K/Akt pathway in CCs and inducing VPS34 activation directly in oocytes, instead of other signaling pathways. In CHAPTER III, the effects of trehalose supplementation on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porcine PA embryos in an embryo in vitro culture (IVC) were investigated. Trehalose was foun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quality of blastocysts and enhance development potential of PA embryos by decreasing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In addition, the time of mitotic division of embryos supplemented with trehalose was found to be delay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the effect reversed on trehalose removal. Based on these results, expression levels of spindle assembly checkpoint (SAC) and maternal-to-zygotic transition (MZT) related genes were next examined using qRT-PCR. As expected, trehalose supplementation led to a downregulation of the mRNA transcription levels of AURKB, MAD2L1, MAD2L2, and BUB3,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maternal genes (ZAR1, BMP15, and GDF9) dramatically decreas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ehalose regulates SAC-related genes to enable normal mitotic division and promotes MZT by effectively reducing the expression levels of maternal genes,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PA blastocysts. In summary, trehalose supplementation was found to improve embryonic developmental competence not only during in vitro maturation of oocytes, but also during in vitro culture of embryos. Trehalose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both meiosis and mitosis. Further, trehalose was found to exert an autophagy-activation function via an mTOR-independent pathway, which is useful for autophagy-related studies and large-scale production of high-quality porcine blastocysts in vitro.

      • 1인 가구 식생활유형이 비건식품 선택속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채련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 식생활유형에 따른 비건식품의 선택속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1인 가구를 위한 비건식품 발전방향 제시 및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20세에서 만 40세 사이의 1인 가구를 대상으로 297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의 식생활유형을 ‘편의추구형’, ‘건강추구형’, ‘경제추구형’, ‘미식추구형’의 4개 유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계획하고, 가설의 구성내용은 비건식품을 선택하는 요인인 ‘건강측면’, ‘윤리/환경측면’, ‘마케팅측면’의 속성들을 설정하여 식생활유형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하고 상관관계를 증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신뢰도 분석을 위해 크론바흐 알파의 신뢰도 계수 측정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각각의 유형별 요인분석을 진행하여 요인의 내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비건식품 구매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70.4%으로 나타났다. 비건식품을 구매하는 동기는 비건식품에 대한 호기심(37.8%)이 가장 높은 결과를 차지하였다. 비건식품은 모바일 앱(34.8%), 대형마트/슈퍼(32.3%)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입하는 비건식품의 종류에는 비건 냉동식품(21.5%), 비건 신선식품(20.1%), 비건 베이커리(16.9%)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인 가구 식생활유형은 비건식품의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중에서 ‘편의추구형’은 ‘마케팅측면’에, ‘건강추구형’은 ‘건강측면’과 ‘윤리/환경측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경제추구형’은 ‘윤리/환경측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비건식품의 선택속성과 만족도의 관계의 유의성을 알아본 결과 ‘건강측면’, ‘윤리/환경측면’ 그리고 ‘마케팅측면’이 비건식품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1인 가구 식생활유형이 비건식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건강추구형’과 ‘경제추구형’이 비건식품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1인 가구 식생활유형 중 ‘건강추구형’과 ‘경제추구형’의 고객층을 위해 비건식품의 본연의 기능인 건강기능측면에 대한 연구개발과 윤리/환경적 측면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고 윤리적 소비가치를 추구하는 고객층의 소비패턴에 맞춰 비건식품의 영역을 점차 넓혀 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를 위한 비건식품의 메뉴개발과 비건 식품업계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1인 가구의 식생활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ietary lifestyl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choice attributes and satisfaction of vegan food, and thereby,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egan food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provide basic marketing data. Data were collected from 297 single-person households between the ages of 20 and 40. In the present study, the dietary lifestyl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 'convenience pursuit type', 'health pursuit type', 'economy pursuit type', and 'gourmet pursuit type'.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the hypothesis, satisfaction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s by establishing the attributes of 'health aspects', 'ethics/environmental aspects', and 'marketing aspects', which are factors for selecting vegan food correlations, were compared and correlations were verif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reliability coefficient measurement method of Cronbach's alpha was used for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internal validity of factors was ver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for each type. In the result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70.4%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vegan food purchasing experience. For the motivation for purchasing vegan food, curiosity about vegan food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37.8%).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purchase the vegan food mainly from mobile applications (34.8%) and large marts/supermarkets (32.3%). The types of purchased vegan food included vegan frozen food (21.5%), vegan fresh food (20.1%), and vegan bakery (16.9%). The results of testing the present hypo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etary lifestyl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oice attributes of vegan food.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pursuit typ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arketing aspects’, while ‘health pursuit type’ on ‘health aspect’ and ‘ethics/environmental aspect’ and 'economic pursuit type' on 'ethics/environmental aspect'. Second, in the examina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ice attributes of vegan food an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health aspects’, ‘ethics/environmental aspects’, and ‘marketing aspec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egan food satisfaction.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ingle-person household dietary lifestyles on satisfaction with vegan food, it was found that 'health pursuit type' and 'economic pursuit typ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egan food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conclusively suggested that for the customer group of 'health pursuit type' and 'economic pursuit type' among the dietary lifestyles of single households, more attention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n health functional aspects as a natural function of vegan food and its ethical/environmental aspects are required and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expand the realm of vegan food in line with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ustomers who pursue ethical consumption value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widely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egan food menu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are constantly increas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vegan food industry.

      • 한국 성인 20-40대의 초가공식품 섭취량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7기(2013~2018) 자료를 이용하여

        채련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311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cause metabolic syndrome, among them, western-style eating habits and balance of nutrition intake are known to be closely related. Currently, in the case of modern people in their 20-40s,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consume processed foods and instant foods that can be taken in easily. Processed foods refer to the foods processed physically, chemically, and biologically to be eaten conveniently in order for taste, preference,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NOVA food classification system proposed by Monteiro et al., processed foods are classified into groups from NOVA 1 to NOVA 4. The closer to NOVA 4, the more processed. If food products in NOVA 4 are more taken in, it is possible to cause nutrition imbalance due to some nutrient shortage or hyper nutri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become exposed to diverse diseases, such as metabolic syndrome, hypertension, and obesity.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Korean 20-40s adults'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and their metabolic syndrom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22 adults in their 20s to 40s(men: 3,303 and women: 4,719) who participated in the 6-7th(2013-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The analysis items were about general matters(sex, age, education level, etc.), physical measurements(height, weight, etc.), and metabolic indicators(blood pressure, abdominal circumference, etc.). For the classification of processing steps, 24-hour dietary recall data were used. According to the NOVA food classification system proposed by Monteiro et al., foods were classified into NOVA 1 to NOVA 4. For statistics, complex sampling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an intake amount of ultra-processed food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Generalized linear model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Control variables were sex, age, an education level, marriage, drinking, smoking, and aerobic exercise.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was less than 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subjec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 T1, T2, and T3 had 9.3%, 25.8%, and 51.5% respectively(p<.001). The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ultra-processed food intake, fat (p<.001), saturated fatty acids (p<.001)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p<.001) T3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 intake amount than T1, and dietary fiber (p<.001) and iron (p<.001), intake of potassium (p<.001)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T3 compared to T1. The Metabolic indicat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ultra-processed food intake, regarding systolic blood pressure(p=.006), diastolic blood pressure(p=.008) and total cholesterol(p=.006), T3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ake amount than T1. In this study, the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ultra-processed food intake and the odds ratio by metabolic syndrome factor were analyzed. As a result, blood sugar(T3: OR, 1.17; 95% CI, 1.01-1.35; T3 vs T1, p-trend=.031) was related to ultra-processed food intake. In the case of those in their 30s, metabolic syndrome(T3: OR, 1.28; 95% CI, 1.02-1.60; T3 vs T1, p-trend=.030) and blood sugar(T3: OR, 1.40; 95% CI, 1.11-1.75; T3 vs T1, p-trend=.003) were related to ultra-processed food intake. The higher the intake amount of ultra-processed food, the more metabolic syndrome and the higher OR of the metabolic syndrome by factor. In this study, ultra-processed food increased fat intake and the intake of some nutrients such as dietary fiber and iron was low, and the effect of ultra-processed food intake on metabolic syndrome was verified.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ppropriate processed food intake guidelines that help to choose right foods, lessen the intake of processed foods, achieve balanced dietary life, and prevent metabolic syndrome. 대사증후군의 원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있는데 그 중 서구식 식생활습관 및 영양섭취의 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현재 20-40대의 현대인들의 경우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가공식품과 인스턴트의 소비나 식품섭취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가공식품은 맛, 기호성 및 편의성 등을 위해 식품을 먹기 편하도록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등으로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가공식품을 Monteiro등이 제안한 NOVA 식품분류 체계를 이용하여 NOVA 1에서부터 NOVA 4로 총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 중 NOVA 4일수록 가공이 많이 된 상태이며, NOVA 4에 속하는 식품의 섭취량이 많을수록 영양적인 문제로 일부 영양소 부족 및 과다로 인하여 영양 불균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대사증후군, 혈압 및 비만 등 다양한 질환에 노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성인 20-40대를 대상으로 하여 초가공식품의 섭취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7기(2013-2018년)에 참여한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8,022 명(남성 3,303 명, 여성 4,719 명)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분석항목으로는 일반사항(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 신체 계측(키, 체중 등), 대사 지표(혈압, 복부 둘레 등)로 하였다. 가공 단계를 분류하기 위해 24시간회상법 식사 자료를 이용하여 식품을 Monteiro 등이 제안한 NOVA 식품 분류기준으로 NOVA 1에서 NOVA 4로 분류하였다. 통계분석은 복합표본 분석을 실시하였다. 초가공식품 섭취에 따른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 초가공식품 섭취량을 3분위수로 구분하여 일반선형모형 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제변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결혼 여부, 음주 여부, 흡연 여부, 유산소 실천 여부로 하였다. 모든 유의수준은 0.05 미만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초가공식품 섭취량에 따라 3군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군의 섭취비율은 T1, T2, T3 각각 9.3%, 25.8%, 51.5%로 나타났다(p<.001). 초가공식품 섭취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한 결과 지방(p<.001). 포화지방산(p<.001), 단일불포화지방산(p<.001)의 섭취량이 T1 대비 T3에서 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이섬유(p<.001), 철(p<.001), 칼륨(p<.001)의 섭취량은 T1 대비 T3에서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가공식품 섭취에 따른 대사 지표를 분석한 결과, 대사 지표를 분석한 결과 수축기 혈압(p=.006), 이완기 혈압(p=.008), 총콜레스테롤(p=.006)의 수치가 T1 대비 T3에서 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가공식품 섭취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요인별 교차비를 분석한 결과 혈당(T3 : OR, 1.17; 95% CI, 1.01-1.35; T3 vs T1, p-trend=.031)에서 초가공식품 섭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에서 대사증후군(T3 : OR, 1.28; 95% CI, 1.02-1.60; T3 vs T1, p-trend=.030) 및 혈당(T3 : OR, 1.40; 95% CI, 1.11-1.75; T3 vs T1, p-trend=.003)에서 초가공식품 섭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가공식품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요인별의 OR 가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초가공식품 섭취에 따라 지방 섭취의 증가와 식이섬유, 철 등 일부 영양소의 섭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초가공식품 섭취가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올바른 식품을 선택하고,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여 균형 잡힌 식생활을 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을 위한 적절한 가공식품 섭취 가이드라인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