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직변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주대학교-한국철도대학 통합사례를 중심으로

        유인모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조직변화에 따른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조직의 변화는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하며, 최근 한국교통대학교로 통·폐합을 실시한 충주대학교와 한국철도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며, 현재의 조직으로 변화함에 따라서 교직원 개개인이 느끼는 직무만족은 어느 정도인지, 나아가 어떠한 요인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심층 인터뷰 방식을 취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는 현재 한국교통대학교에 근무 중인 6급이하 일반직 교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성별, 연령, 직급, 직렬, 근무연수 및 통합이전 소속대학별로 나누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직원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통합 이전과 비교하여 보수, 인사, 업무, 인정, 근무환경 및 조직분위기에 대한 만족도를 심층적으로 듣고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조직변화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상승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직변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적인 긍정적인 영향보다는 부정적인 영향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직변화를 실시하기 전·후에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방안이 필요하지만 그러하지 못하고 외형적인 변화에만 치중하기 때문이다. 조직변화를 실시하는 조직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조직 구성원에 대한 충분한 보상, 공정한 인사체계 확립, 업무량 의 적절한 배분, 조직 및 구성원의 사회적 인정을 위한 노력, 근무환경 개선과 조직분위기의 개선 등의 방안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조직변화로 인한 조직 구성원의 불만을 최소화 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여 조직변화의 본래 취지에 부합할 수 있어야 한다.

      • 지방의원의 역할인지 부조화 실태 및 개선방안 :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김동환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1991년 5월 30년만에 부활된 우리나라 지방의회는 한국의 특수한 정당정치의 구조적 제약속에서도 주민의 의사와 이익을 대변하고, 집행기관의 행정을 감시·견제하면서 공무원들로하여금 충실하고 친절한 공복이 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자치단체장의 강력한 권한과 전횡을 견제하고 있다. 중앙집권적이고 획일적인 국가정책의 수직적 권력분립을 이루어가고 있는 성과도 거두어 가고 있는 반면, 중앙정부와 국회의원과 정당이 법률과 제도, 선거공천권 등을 통하여 끊임없이 지방의원을 옥죄고 있는 현실과 함께 지방 최고의 의결기관임에도 지방의회의 역할에 대한 사회와 언론 및 주민들의 부정적 시각도 함께 공존하고 있으며, 지방의원들마저 스스로 자신의 역할에 대한 부조화 현상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이제 급변하는 시대적 환경변화와 성숙한 국민의 욕구에 부응하는 지방자치가 정립되기 위해서는 지방의원의 역할인지 및 기능에 대한 체계적인 진단이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을 통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보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또한 지역주민과 지역공무원과 지방의원이 스스로 지방의회의 의정활동과 지방자치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지방의회에 대한 지역주민의 반응성(Responsibility)과 신뢰성(Credibility)를 확인하여 지방자치발전에 대한 정책적 개선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함에 있어 두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하나는 지방의회의 역할과 의정활동 기능에 관한 문헌적 접근방법을 통해 지방의회의 역할개념에 관한 선행연구 및 현행지방의회제도 운영상태 등을 연구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이러한 문헌적 접근방법을 통해 연구 분석의 틀과 설문지 설계를 하고 이를 활용하는 설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가 설계한 설문지를 통하여 지방의원, 공무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방의원의 역할인지부조화 실태와 관련한 인식의 차이와 역할기능과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고자, 406부의 설문지를 신뢰도 분석 및 빈도분석, 분산분석(ANOVA), 교차분석, 상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지방의원의 역할인지부조화에서 남녀간의 인식차이는 특별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대별 분석에서 지방의원의 경우 60대이상보다 40대, 50대의 연령이 낮은 의원들은 지방자치제도의 본질적 한계에 의한 역할부조화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연령대가 낮을수록 지방의원이 소속정당에 예속되어 의정활동 제약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민주주의 발전보다는 지역주민 만족도 개선에 더 높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공무원의 경우 연령대가 낮을수록 지방의원의 의정활동비, 의정활동목적, 민주주의발전에의 기여도 등에서 지방의원에게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수준에서는 공무원과 일반인, 지방의원 모두 학력이 높을수록 지방의원의 활동성과 의정활동에 긍정적 평가를 하였으며, 지방의원과 일반인 모두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지방의원의 역할기능과 의정활동에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에 제약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인보다는 공무원 그룹이 지방의원의 활동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방의원의 역할인지부조화에 대한 실태 분석을 위하여 지방의원 집단과, 공무원집단과 일반인집단간의 인식차이를 파악한 결과, ①지방의원의 활동성에 관하여 일반인들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②지방의원의 청렴성에 관하여는 지방의원과 공무원은 비교적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으나, 일반인그룹에서는 아직도 지방의원의 청렴성에 부정적 의견을 가지고 있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③지방의원의 의정활동비에 관하여는 지방의원과 공무원 및 일반인그룹사이에 현격한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지방의원의 의정활동비에 관한 별도의 제도개선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④지방의원 의정활동지원 조직에 관하여는 지방의원과 공무원 및 일반인간의 인식에 현격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⑤지방의원의 권한정도에 있어서는 공무원 및 일반인은 모두 현행제도에 긍정적으로 응답하고 있으나, 지방의원은 부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⑥지방자치제도의 본질적 한계에 따른 제약의 인식정도에서는 지방의원은 의정활동의 문제점과 지방의원의 역할부조화 현상이 자치제도의 본질적 한계에 기인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공무원 및 일반인들은 지방의원의 역할부조화 현상을 제도보다는 의원개인의 역량과 활동성 부족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⑦의정활동의 제약조건에 대하여도 지방의원은 사회적, 제도적 제약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⑧의정활동의 목적대상 조사에서 지방의원은 의정활동의 목적대상이 지역주민전체를 위한 것으로 인식하면서도 또한 개별

      • 위험관리의 과정적 분석 및 효율화에 대한 연구 : AEO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김효준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2001년 9.11 테러 이후, 국제물류에서 화물 흐름의 효율성 제고와 물류 전반의 보안 강화가 중요한 현안으로 논의되면서 AEO 제도가 등장하였다. 우리나라는 2009년 4월부터 본격적으로 AEO 제도를 도입하여 2015년 9월 현재 AEO 공인기업수는 세계 5위, AEO MRA 체결수는 세계 1위의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이는 WCO의 SAFE Framework 국제협약을 준용하여 마련된 우리나라 AEO 지침에 의한 것이다. 이렇듯 AEO 지침은 AEO 제도를 운용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며 그 범위는 AEO 공인의 준비·획득·유지 등 모든 절차에 관련되고 있어, AEO 제도의 원활화 및 공고화에 대한 연구개발의 단초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AEO 지침의 구체성·명확성이 미흡하여 기업은 도입 및 운용 과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로 인해 AEO 제도의 궁극적 목적인 관세법 및 관련 법령에 대한 '법규준수'와 수출입 물품 및 정보 취급에 대한 '안전관리'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노정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 의식하에 본 연구는 AEO 지침의 구성요건 및 구성요소 중에서 AEO 위험관리를 개선 등의 대상으로 특정하였으며, 이는 AEO 위험관리가 자율적 법규준수를 이행하기 위한 지속적 환경 구축의 수단이고, 과거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시점의 제한이 없어 법규준수와 안전관리에 대한 과거 반성적이며 동시에 미래지향적 고찰을 할 수 있는 대표적 기준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한편, AEO 지침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인지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AEO 지침의 모든 구성요건 및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고, 이는 AEO 지침의 전체적인 구성요건 및 구성요소를 설계할 때 적합할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EO 위험관리에 대한 AEO 지침, 위험관리에 대한 모형별 기준·논문 등을 분석하는 문헌연구와 기업의 AEO 위험관리 과정에 참여 또는 그 이행을 관찰하는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AEO 위험관리의 단계별 참여 및 현황을 관찰하고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크게 2가지의 문제점과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AEO 위험관리에 대한 운용을 기업이 자의적으로 이행하고 있었으며 그 결과 AEO가 목적하고 있는 법규준수와 안전관리의 범위를 축소하거나 또는 전혀 달성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른 원인은 AEO 위험관리에 대한 수단과 방법을 기술한 AEO 지침의 제시어가 구체성·명확성이 미흡하기 때문이었고, 앞서 살펴본 연구 필요성의 이유와 일치되었다.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AEO 위험관리에 대한 AEO 지침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제시하여야 할 것이며, 그 예로는 범위·규격·수단·방법 등의 구체성과 명확성 확립이 있다. 둘째 AEO 위험관리 단계에 확장된 세분화가 필요하였다. 이는 위험요소 식별 단계·위험요소 평가 단계·관리대책 수립 단계·관리대책 평가 단계의 4단계에, 관리대책 검증 단계 및 환류 검증 단계의 2단계 신설이다. 기존단계와 신설단계를 종합하면 그 순서는 1단계 위험요소 식별 단계, 2단계 위험요소 평가 단계, 3단계 관리대책 수립 단계, 4단계 관리대책 검증 단계, 5단계 관리대책 평가 단계, 6단계 환류 검증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관리대책 검증 단계를 신설하는 이유는 관리대책 수립 후 관리대책 평가시 까지 기간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고, 환류 검증 단계는 환류된 개선사안이 효과적으로 지속되고 있는지 환류의 대상이었던 위험요소의 원인·빈도 등을 특정기간 관리하여 재발시 더욱 강화된 관리대책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AEO 제도는 자율적 법규준수를 목적으로 하기에 AEO 위험관리 에 대한 AEO 지침에는 최소한의 방향만 설정하고, 구체적 시스템의 마련을 기업에게 위임하는 것은 성격상 문제 되지 않는다. 다만 기업 자율적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할때 AEO 제도가 궁극적으로 목적하고 있는 법규준수와 안전관리를 항시 상기하도록, AEO 위험관리에 대한 AEO 지침에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제시어를 기술하여야 한다. 또한 기업의 자율적 내부통제시스템에 대한 적정성 평가는 대외통제의 주체인 심사관청에 의하므로 이로 인해 그 이견까지 최소화 할수 있는 것이다. AEO 위험관리의 적합성 및 효과성은 AEO 정책의 행정목적을 달성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를 공고히 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fter 9.11 in 2001, the issu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reight flow and enhance the security of logistics in the international logistic has been discussed as a key agenda which resulted in the advent of AEO system. My country (Korea) has introduced AEO system since April 2009 and as of Sep. 2015, it ranked at World top 5 for the number of AEO authorized enterprises and accomplished the No.1 in the world for the number of AEO MRA conclusions. This is based on AEO guideline of my country arranged in the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agreement of SAFE Framework of WCO. AEO guideline becomes the standard to operate the AEO system, and the range is related to all procedures such as preparation, acquisition, and renewal of AEO authorization which can be a clue of R&D to facilitate and consolidate the AEO system. However, as the AEO guideline has a lack of concreteness and clearness, the enterprises are having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operation which exposes the limit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compliance of regulation’ for the customs law and related statutes and the ‘safety management’ for handling the exporting/importing goods and information, which are the ultimate purpose of AEO system. Having a critical mind for these issues, this research featured the AEO risk management among composition requirements and elements of AEO guideline as an object of improvement because the AEO risk management is the means of continuous environment construction to implement the autonomous compliance of law, and also one of representative standards that enable us to consider the compliance of law and regulation and safety management in the aspect of reflection of the past as well as future-oriented view as there is no limit of the point from the past, the present to the future. Meanwhile, to identify the general status of AEO guideline and draw out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recognized problems, we need to judge all composition requirements and elements of AEO guideline comprehensively, which will be suitable when designing the overall composition requirements and elements of AEO guidelin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performed the research of references that analyzes the AEO guideline for AEO risk management and standards·papers by model for risk management as well as the experimental research that participates in the process of AEO risk management of enterprise or observes the progress.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participation in the risk management of AEO system by step and the status, and analyzing the problems, we could draw two kinds of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First, the enterprise is implementing the operation for AEO risk management arbitrarily and as a result, they reduced the range of compliance of regulation and safety management that AEO is aiming at, or failed to accomplish it. This is because that the suggestion words of AEO guideline that describes the means and methods for AEO risk management have a lack of concreteness and clearness which matches with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is needed as mentioned above. To improve the problems, AEO guideline for AEO risk management should be suggested concretely and clearly; for example, the establishment of concreteness and clearness for range, standard, means, methods etc. Second, the extended segmentation is needed in the phase of AEO risk management. This means the new establishment of 4 phases such as identification of risk elements, assessment of risk elements, establishment of management measures and management measures, and 2 phases such as verification of management measures and verification of reflux. When combined with the existing phases and new phases, the sequence will be divided into phase 1 for identification of risk elements, phase 2 for assessment of risk elements, phase 3 for establishment of management measures, phase 4 for verification of management measures, phase 5 for assessment of management measures and phase 6 for verification of reflux. The reason that we establish the phase for verification of management measures is to minimize the risk of period from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measures to the assessment of management measures and for the phase of verification of reflux, it is to manage the causes and frequency of risk elements which were the target of reflux during the specific period whether the returned improvement plans are maintained effectively and to arrange the more enhanced management measures if reoccurred. AEO system is to comply the laws and regulations autonomously and it does not matter in the aspect of personality when setting the direction at minimum on the AEO guideline for AEO risk management and giving authority to enterprises to arrange the concrete system. But when the enterprise is establishing internal control system arbitrarily, it is required to describe the clear and concrete suggestion words on AEO guideline for AEO risk management in order to remind of compliance of regulation and safety management always that AEO system is aiming at ultimately. In addition, the assessment of appropriateness for autonomous internal control system of enterprise is performed by deliberation office, the subject of external control, which minimizes the different opinions.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for AEO risk management is important factors to accomplish the administrative purpose of AEO policy, and consolidate the autonomous compliance of regulation and need to research and develop continuously.

      • 중국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에 관한 연구

        이림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정부가 세운 투자계획에 따라 중국의 은행산업이 신용을 배분하는 정책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2001년 중국이 WTO가입 이후에 선진화와 고도화의 목표 하에 은행산업의 큰 변화가 생겼고 은행업과 금융시장 대외개방을 적극적으로 진행해 왔다. 또 WTO에서 약속한 내용에 따라 중국 은행시장은 2006년까지 전면적으로 개방하고 외자은행에 대한 진입규제를 단계별로 폐지하기로 했다. 중국 은행업이 개방되어 가면서 외자은행들이 확대와 발전을 지속한다면 자유로운 금융시장환경 속에서 중국 은행산업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는 새로운 글로벌 금융환경 속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금융시장의 외국계 은행 특히 한국계 은행의 진출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한국계 은행이 중국 금융시장에 진출한 동기는 기존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연속성이 있으며, 중국금융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규제가 완화되었으며, 지리상에서 멀지 않고 중국 금융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있는 것이다. 한국계 은행은 현지법인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으며 취급상품도 다양화되고 있다. 주로 중국개인대상 인민폐 소매영업, 직불카드, 인터넷뱅킹, 방카슈랑스, 재테크 및 파생상품 준비 등이 있다. 또한 중국고객 수가 크게 늘어나고 중국 기업과 개인으로부터의 예수금이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현지인 지행장을 임명하거나 현지직원 채용을 확대하는 등 현지화 기초를 토대로 빠르게 발전해 나가는 중이다. 하지만 한국계 은행은 중국시장에 들어갈 때 많은 장애가 존재하고 있다. 첫째, 한국계 은행의 진출 지역을 살펴보면 상해, 북경등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다. 둘쨰, 지점망이 많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광범위적인 업무전개가 어려워졌다. 셋째, 한국계 은행의 브랜드 인지도가 부족하다. 넷째, 진출형태가 주로 지점설립 이라서 현지 시장에 깊이 들어갈 수 없다. 이런 약점을 가지고 있기에 한국계 은행은 진출 시간과 경험이 많은 선진국 은행과의 경쟁에서 아직도 뒤쳐져 있는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계 은행이 중국 금융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늘리고자 먼저 중국의 금융환경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또한 SWOT분석을 통하여 한국계 은행의 경쟁력 강화전략을 찾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진출 지역 차별화 전략이다. 원래 대도시 위주의 지역 진출 전략에서 벗어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출지역을 다양화하고 급속하게 발전하는 중국경제에 맞추어 연해에 경제가 발달한 지역에서 내륙지역으로 점차 영업망을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진출 방식의 다양화 전략이다. 사무소에서 지점으로 승격하는 고정된 진출형태에서 벗어나 지행과 분행 참여, 합작은행이나 다국적 투자은행으로 진출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고급 이미지의 구축과 인지도의 제고를 해야 된다. 넷째, 중국 소매금융시장에 공을 들인다. 중국시장의 수익성 확보와 업무 확대를 하기 위하여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중국의 소매금융시장을 중점적으로 공략해야 된다. 다섯 째,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이다. 현지 전문 인력을 채용하고 현지 금융회사에 대해 단계적 인수·합병을 통하여 현지화 경영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 관련서적과 연구논문을 참조하였으 며, 관련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정기간행물과 연구 보고서, 통계자료 등을 이용하 였으나 중국에 있는 각 한국계 은행과 관련 최신자료의 수집에 어려움이 많았고, 접근이 어려운 점이 있어서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한·중 양국의 은행산업을 비교 하기를 통해 한국계 은행의 대중국 진출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이런 분 석을 통하여 한국계 은행이 중국 금융시장으로의 효율적인 진출 전략과 경쟁력 업그레이드 방안을 제출해 시도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취업률 제고를 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우덕제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교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률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국내 취업지원 정책과 프로그램 동향, 각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한 결과 취업에 직접적인 관련이 높은 차별화된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첫째, 각 대학은 교육기관으로써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인 ‘전문화된 인재’를 양성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이를 취업지원 프로그램과 결합하여 우수한 취업률을 기록한 것으로 보여 진다. 이론과 실험·실습 시간을 균형 있게 배분하고, 전문화 취업지원 프로그램 교육시간을 대폭 늘려 전문 인력 양성에 주력하였다. 그리고 많은 대학이 현장밀착형 교육을 통해 기업이 원하는 ‘경력같은 신입’형 인재를 양성하고 있었다. 둘째, 각 대학은 취업지원 경력개발시스템의 활성화를 통해 학생의 ‘경력’ 형성을 돕는 동시에 취업에 관련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었다. 경력개발시스템은 광범위한 개인이력관리(학점, 자격증 현황, 어학점수 등)의 효율화를 통해 개인별 역량을 한눈에 알아 볼 수 있기 때문에 강점과 약점을 쉽게 파악하여 보완 발전시킬 수 있고, 졸업예정자의 취업 성향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여 취업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셋째, 각 대학은 타 대학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특성화 학과를 육성하고, 전문인을 양성할 수 있는 취업지원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거나 취업에 유리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희소성 있는 ‘특성화 학과’를 운영 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지원프로그램이 취업률 제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일회성 프로그램 보다는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장기 프로그램(취업강좌, 자격증취득과정, 창업/취업 동아리 등)이 더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전문성은 단기간에 형성되지 않는 것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전문성 및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프로그램과 취업스킬을 강화할 수 있는 중·단기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결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국내 주요 대학(‘가’, ‘나’, ‘다’ 그룹)의 취업지원프로그램 실시현황을 분석한 결과 취업지원프로그램은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제외하고, 모두 유사한 형태로 실시되고 있었다. 이는 장기간 지속된 실업문제, 특히 ‘청년실업’에 직면한 대학들이 오랜 기간 실시해 온 결과 가장 적합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도출해 낸 것으로 풀이된다. 취업지원 전담부서에서는 시기별, 월별, 기업별 채용 트렌드를 모니터링 하는 것에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채용트렌드에 포커스를 맞춰 취업 전담 부서에서는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취업률 상위권 대학이 취업지원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 또는 학과를 특성화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취업률 상위권 대학은 취업지원을 위해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 연구개발을 병행하고 있으며, 졸업 후 취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실습과 체험 시설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과 교육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와 노력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대학교에서 추진되는 각종의 취업 관련 교육과정이 의미 있는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대학교가 교통특성화를 위해 주력하고 있는 만큼 실제 기업과 사회가 요구하는 특성화된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일자리 수요가 넉넉지 않은 상태에서 국내 대학이 주력할 수밖에 없는 것은 바로 질적 수준 향상을 통한 현장ㆍ취업 중심의 ‘전문가양성’ 특화 취업지원프로그램을 ○○대학교의 현실과 특성(교육 환경, 지역적 특색)에 맞게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기업이 선호하는 ‘경력 같은 신입’을 양성하기 위해선 전공과 관련된 직장체험이나 현장실습, 연수 과정이 더욱 강화된다면 취업의 질적·양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취업지원을 위한 경력개발시스템(Career Development Planning)의 보완 및 활성화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대학교의 경력개발시스템은 학생이 본인의 적성 및 발전 가능성을 고려하여 직종 및 기업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과 로드맵 프로그램, 커리어 코칭을 연동하여 운영되고 있다. 핵심역량과 직업기초능력이 시스템적으로 구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 홍보 및 참여 부족으로 활성화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대학교의 취업지원 인프라가 총력적으로 집중된 경력개발시스템(Career Development Planning)을 홍보함으로써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내생적 제도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 입학사정관제도를 중심으로

        전은경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제도변화의 요인을 외부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제도 내부에서 찾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신제도주의 분파 중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에서 내생적 제도변화를 연구한 Mahoney and Thelen(2010)은 서로 다른 메커니즘의 제도변화유형(전치, 층화, 표류, 전환)을 설명하는 제도변화의 모형을 제시한바, 본 연구는 이모형을 분석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는 참여정부에서 도입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폭 확산시킨 입학사정관제도이다.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도의 제도변화를 Mahoney and Thelen(2010)이 제시한 모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제도변화를 유발하는 내생적 변화요인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나타난 입학사정관제도의 제도변화는 어떤 것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모형에 입각해 제도변화의 원인을 3가지 변수, 즉 ‘정치적 맥락의 특징’, ‘제도의 특징’ 그리고 ‘Change-Agent유형’으로 설정하고 연구한 결과, 첫째, 입학사정관제도를 둘러싼 정치적 맥락은 제도변화에 대한 약한 거부 가능성을 띄며, 둘째, 입학사정관제도의 특징은 규칙의 집행과 해석에 있어 높은 재량을 가지므로 모호성을 띄고, 셋째, 대학입시정책의 주요행위자인 정부(교육과학기술부)나 대학입시 주체인 대학은 입학사정관제도 및 대학입시운용에 있어 기회주의적 특징이 엿보이는바, Change-Agent유형 중 기회주의자에 해당함을 확인하였다. 기회주의자들은 새로운 목표, 기능, 목적을 위해 제도를 전환한다. 즉, 정권교체와 맞물려 기존의 제도를 장악한 이명박정부와 대교협은 입학사정관제도의 제도변화에 대한 정치적 맥락의 약한 거부가능성과 제도 자체의 모호성을 이용해 제도목적의 변화(전환)를 가져왔다. 결과적으로 입학사정관제도의 도입당시 목적인 교육의 공공성 구현을 통한 공교육 정상화의 목적은 약해지고, 대학입시의 자율만이 남게 되는 ‘제도적 목적의 변화’가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of institutional change not from the outside, but from the inside of institution. Mahoney and Thelen(2010) who studied endogenous institutional change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view point of the factions of new institutionalism suggested a model of institutional change that explains institutional change types of different mechanisms.(displacement, layering, drift and conversion), so this study set this model as an analytic frame. The example of this study is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hat was introduced by the Roh administration and drastically spread by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alyzing the institutional change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hrough the model suggested by Mahoney and Thelen(2010),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at are the factors of endogenous change that cause institutional change and what is the institutional change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fter studying the cause of institutional change by setting three variables, the feature of political context, feature of institution and change-agent type on the basis of this model, I confirmed that it applied to the opportunist of the change-agent type, because first, the political context around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howed a weak rejection possibility to institutional change, second, the feature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had an ambiguity because it has a high discretion in the execution and analysis of regulation, and third, the governmen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main performer of the college entrance policy or the university, the main agent of college entrance showed opportunistic feature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college entrance management. Opportunists change institution for new purposes, features or objectives. That means,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Korean University Education Council that dominate existing institution after regime change have brought the change of institutional objectives by using a weak rejection possibility to the political context on the institutional change i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he ambiguity of the institution itself. As a result, the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through realizing the publicness of education, which wa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has been weakened, and the 'institutional purpose change' that only leaves the autonomy of college entrance has appeared.

      • 지역인적자원 개발방안 연구

        오세문 한국교통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지난 2004년 평생학습이 시작된 이후 제정된 이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평생학습도시를 조성하고 추진중에 있다. 평생학습을 인적·사회적 자본을 축적하여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선 평생학습사회가 중요한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평생학습사회라는 것은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인적자원 양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평생학습도시는 지역차원에서 언제, 어디서, 누구나 원하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조성된 지역학습공동체를 의미한다. 이는 경제, 정치, 사회, 문화, 환경자원을 발굴하고 통합하여 도시경제를 조성 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들의 능력과 잠재성을 끌어낼 수 있는 토대를 형성하여 개인과 지역적 차원에서 사회결속력과 지역공동화 문제해결 등의 새로운 지역경제를 동력화 하는데 있다. 그러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경쟁력 확보차원에서 평생학습도시를 추진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나 사회적 통합 등 지역경쟁력확보 보다는 주민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역사업의 하나인 평생학습도시사업을 다양한 형태로 추진하는 과정에서 사업에 대한 지향성과 방향성의 불확실성, 재원과 행정서비스가 중복 내지는 낭비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경쟁력에 필요요소인 지역 인적자원개발를 위한 직업능력형 평생학습도시를 성공적으로 조성하고 추진중에 있는 청주시와 칠곡군을 대상으로 사례분석과 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여 운영현황을 분석하였다. 지역적 환경이 상반되지만 성공적으로 평생학습도시를 추진중인 청주시와 칠곡군 사례를 비교분석 하기 위해 선정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핵심변수인 직업능력개발형 평생학습도시 조성에 대한 구성변수 및 활성화변수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자치단체의 사례를 문헌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직업능력개발형 평생학습도시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조건들을 도출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평생학습도시 제도를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시키기 위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업능력개발 평생학습도시를 정착되기 위한 요소로 지역주체자의 인식과 교육 제공자적 활성화서비스인 유관기관 네트워크, 유관기관 학습파트너십, 학습수요 대상자 활성화 변수 참여촉진요인, 지역산업관련 프로그램 여섯 가지를 선정하여 청주시와 칠곡군의 평생학습제공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방법을 실시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문헌분석과 인터뷰 결과 평생학습도시는 지역사업의 하나로 정치적 성향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사업의 성숙도에 따라 정치적 성향의 영향은 줄어들었다. 문헌분석을 통해 잘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였던 유관기관 학습 파트너십의 네트워크 체계와 지역산업관련 프로그램 정책은 직업능력개발형 평생학습도시 정착을 위해서 차후에 더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많은 선행연구들은 평생학습도시의 효과적인 조성방안과 성과지표 측정방법, 그리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걸음 더 나아가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위해 직업능력개발형 평생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중요요소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보다 다양한 변수에 대한 계량적 분석이 미흡하였고, 소수 대상자만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확산되고 있는 평생학습도시 사업에 대해 보다 더 계량적 논의들이 진행된다면 가치 있는 연구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Since the start of lifelong learning with legislation in 2004, many regional governments have been creating lifelong learning cities. Lifelong learning is being recognized as important not only for individuals but also for the nation in helping accumulate human and social capital. Lifelong learning societies have been found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steady development of the nation. This shows higher awareness that lifelong learning society is key to nurturing human resources for greater national competitiveness. Lifelong learning city refers to the regional study community created by the regional government to provide a place where anyone can learn whenever, wherever, and whatever they want. It helps search economic,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resources and grows the city’s economy by integrating the resources and 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gion by laying the foundation to nurture the ability and potential of the residents and strong bonding in terms of individuals and region as well as address the problem of the region becoming hollow. Many regional governments are promoting the creation of Lifelong learning city to secure competitiveness, but they are concentrating on the higher satisfaction of their residents instead of securing higher regional competitiveness for higher quality of life for the residents or social integration, etc. Currently, multipl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s are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s one of the regional projects, and there are criticisms of the aim and direction of the projects being unclear and financial resources and administration services being duplicated or wasted. Accordingly, through case analysis and interviews,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ojects of Cheongju-si and Chilgok-gun, which are successfully building lifelong learning cities to cultivate vocational competencie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greater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s. The two regions have very different environments but we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since they are both successfully implementing the projects. The two key variables in the creation of a Lifelong learning city for higher vocational competencies as identified by previous studies – composition and revitalization – were mainly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ondition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lifelong learning cities for greater vocational competencies and improve the current policies and institu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of the two regional governments,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Perception of the region, networking between the relevant institutions (services from the education provider for activation), learning partnership of the relevant institutions, activation of learning demand targets, participation stimulation, and six regional industry-related programs were selected as key elements for the settlement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for greater vocational competencies in the region and were checked through interviews with lifelong learning providers in Cheongju-si and Chilgok-gun. The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s showed that a lifelong learning city can be affected by political tendency as one of the regional projects, but the impacts of the latter can be minimized depending on the level of maturity of the project. In particular, the literature review revealed that two policies – networking system for learning partnership between the relevant institutions and regional industry-related programs, which had been considered successful – actually need to be improved further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ifelong learning cities to develop the vocational competencies of the residents. Many preceding studies have been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ive creation of lifelong learning cities and issues in measuring performance indicators and development measures. This study is significant since it built on past studie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key elements in creating lifelong learning cities for greater vocational competencies of the residents to secure better human resources of the region.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however, it was condu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of a few interviewees without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various variables. Nonethel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pave the way for quantitative discussions on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s of regional governments, through which more valuable research results can be gleaned.

      • 한·중 연봉제에 관한 비교 연구

        유근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기업들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유능한 인재의 확보와 기업가치 극대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능력주의 인사제도로서 연봉제를 연구한다. 본 논문은 관련된 기존 문헌과 자료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연봉제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과 내용을 정리한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임금관리의 기본구조를 이루는 주요 내용들과 연봉제를 구성할 주요 임금항목들이 어떤 측면을 고려하여야 하는 가를 파악한다. 한국과 중국의 연봉제에 관한 기존 연구와 통계를 통해 한국 연봉제의 특징과 중국 연봉제의 특징을 도출한다. 중국 연봉제의 특징이 한국과 어떠한 차이점을 갖는지를 분석하여 이러한 차이들이 이론에서 제시된 기본지침을 통해서 볼 때 어떤 문제점을 갖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중국 연봉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의 개선방향과 이러한 개선방향을 원활히 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들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개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서론으로 문제의 제기,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연구의 구성을 기술하고자 하다. 제 2 장에서는 이론적 고찰로 연봉제의 개념, 유형, 연봉제 도입의 장단점, 연봉제 도입효과 등을 살펴보자고 한다. 제 3 장에서는 한국 실행하고 있는 연봉제의 도입배경, 실시하는 현황, 그리고 한국 기업의 연봉제 특징을 살펴보고 기술하고 자 한다. 제 4 장에서는 중국 경영자 연봉제의 도입배경, 유형, 현황 및 중국 기업의 연봉제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 5 장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연봉제에 대한 도입배경, 기업문화, 적응대상과 범위, 그리고 도입목적 등을 비교를 통해 중국 기업의 연봉제 실시에 따른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출한다. 제 6 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들을 요약 및 정리하는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방 도시 경쟁력 수준의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 : 충주시를 비롯한 지방 중위도시를 중심으로

        정재용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지방 도시 경쟁력 수준의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 -충주시를 비롯한 지방 중위도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광역자치단체를 제외한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시․도별 중위 수준에 해당하는 도시를 연구 대상으로 하며, 충주시와 타도시를 상호 비교·분석하면서 지방 중위 도시 간 어떠한 부문에서 우위에 있으며, 어떤 부문에서 열위에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충주시를 비롯한 지방 중위 도시의 경쟁력 수준을 알아보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체계를 행정·안전 부문, 생활·편의 부문, 경제·환경 부문, 의료·위생 부문, 교육·문화 부문에 걸쳐 5개 부문으로 나누고, 23개의 세부측정지표를 설정하였다. 측정지표의 기준년도는 2011년으로 하였다. 또한 측정지표들은 ‘국가통계포털(KOSIS)’를 중심으로 각도 통계연보, 시 통계 연보 등에서 추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후 실증적 분석을 하는데 실증분석의 경우 2차 데이터(각종통계자료)를 측정변수의 표준화점수(Z-score)를 구한 후 요인분석(factor Analysis)방식을 통하여 가중치가 부여된 표준화 점수로 지역별 도시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 부문의 도시경쟁력을 살펴보면 행정·안전 부문에서는 안동시, 강릉시, 경주시가 경쟁력이 높은 도시로 나타났으며, 생활·편의 부문에서는 포천시와 김포시가 높은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분석되었다. 의료·위생 부문에서 도시경쟁력 점수는 양산시, 경주시, 목포시 순으로 나타났으며, 경제·환경 부문은 양주시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고른 도시경쟁력 점수를 얻었다. 그중에서 거제시, 광양시, 안동시, 서산시의 도시경쟁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문화 부문에서는 광양시, 강릉시, 구리시가 경쟁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종합적으로 도시경쟁력 점수를 산출한 결과 광양시, 강릉시, 구리시는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분석되었으며,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도시는 경산시, 안성시. 오산시였다. 충주시의 경우 도시경쟁력 점수가 18개 도시 중에서 10등으로 나타나 중간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부문별로는 행정·안전 부문, 경제·환경 부문, 교육·문화 부문에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편의 부문과 의료·위생 부문에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충주시가 좀 더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생활·편의 부문에 해당하는 지표들과 의료·위생 부문에 나타나는 지표들을 좀 더 신경 써야 할 것이다.

      •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성과 및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Hospitality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권경리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15

        항공운송산업은 인적 자원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서비스 산업 중에 하나이다. 항공사 객실 승무원에 의해 제공되는 승객과의 직접적인 대면 서비스는 항공사의 기업 이미지와 경쟁력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 중의 하나로 모든 항공사들이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경쟁전략이다. 최근 항공운송산업을 둘러싼 사회변화들로 인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항공 시장의 발달로 인해 객실승무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항공서비스 관련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한 전문학원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승무원 양성학원이 상업적 이익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서비스의 품질이 왜곡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 있는 객실승무원 양성을 위해 수강생의 교육성과와 교육만족에 영향을 주는 학원교육 서비스품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승무원 양성전문학원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원교육 서비스품질 측정요인으로는 SERVQUAL 모델을 이용하였다. 학원교육의 서비스품질이 수강생의 교육성과와 교육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교육성과는 교육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원교육의 서비스품질 중 신뢰성을 제외한 유형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이 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학원서비스품질 중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이 교육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성과는 교육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학원에서는 전문적인 교육을 바탕으로 물리적인 시설 및 제도 외에도 수강생들이 심리적․내재적으로 교육에 대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수강생들과의 공감 및 이해를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