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 탐색 - COVID-19로 인한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

        이소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COVID-19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에 따른 수업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직장인 교육대학생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두 가지 측면의 특이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개별 공간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으로 학습자 간 단절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수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고 있었다.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 역할에 대한 중심 공간인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이 사라졌고, 이 때문에 각자 공간을 확보하여 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학교 외 공간에서의 수업은 접근성의 확대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용이함을 주었지만, 학생으로서 수업의 몰입을 어렵게 했고 대학원생이라는 인식도 옅어지게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갑작스럽게 도입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방식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공간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COVID-19의 상황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실행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 간 분리된 공간에서 수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학습 커뮤니티 형성이 어려워졌고, 발표와 토론이 많은 수업에 대한 참여의 비적극성이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수업방식에 각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으며, 수업의 집중이 떨어졌다. 둘째, 학교 공간은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라는 의미 이상의 학생이라는 역할 인식과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직장인 성인학습자에게 대면 수업의 학교 공간은 직장과 가정에서 분리되어 학생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였다.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학교와 관련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며 자연스럽게 학생으로서 역할 전환을 경험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은 불안정한 공간에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수업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수업방식과 수업공간이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와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원격 수업이 아닌 COVID-19로 인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관한 연구임을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공간과 학습에 관한 심도 있는 탐색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적합한 수업공간을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room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and  space  of  worker  adult  learners  who experience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peculiarities of two aspects in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First, students experienced disconnection between learner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conducted in individual spaces, which limi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Second, the physical classroom space, the school, which is the central space for the student's role as a worker adult learner, disappeared, and for this reason,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their own space. Classes  outside  of  school  provided  ease  of  access  to  the various  roles  of worker  adult  learners,  but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class  and  diminished  the perception  of  being  a  graduate  student.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s i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suddenly introduce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worker  adult learners adapting to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method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how do adult learners of workers experiences changes in the classroom space due to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that  experienc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was  made  in  a  class  participation  method  in  a  space  separated  between  learners. This made it difficult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activity of participation in classes of man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ppeared. In addition, it took time for each to adjust to the new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class was reduced. Second, the school space was a factor that affected students' role recognition and immersion beyond the meaning of a place where classes were conducted. For adult learners, the school's face-to-face classroom space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focus on student roles, separated from work and home. By sharing a space with members, they had conversations related to the school, exchanged information, and naturally experienced a role changes as a student.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workers  adult  learners  as  students  by  participating  in  classes  of  an  unstable  space  with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can help adult learners who play multiple rol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ass space and class methods by exploring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focusing on changes in class space that have not been noticed until now.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re may be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Also, let me clarify that this is a study o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not general remote classes. Finally,  if  we  suggest  a  follow-up  study  to  supplement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tudents  and  study  the  various  class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 Second,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a class space suitable for in-depth exploration of class space and learning an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95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움직임 기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Shelley K. Weisberg의 미술관 움직임 기법(Museum Movement Techniques)을 중심으로

        이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대상을 감각적으로 인식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미술 감상 교육에서 이론과 실제 사이에 괴리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Kelly(1999)는 이론은 실제와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쉽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는 내용 지식과 교수 이론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그에 따른 교육 방법이 학습자의 학습과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Weisberg(2006, 이하 와이즈버그)는 미술작품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역동적인 교수 방법으로써 미술관 움직임 기법(Museum Movement Techniques, 이하 MMT)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와이즈버그의 MMT가 학습자의 미술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는 것, 그들의 움직임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감상 표현의 창의적인 특성을 알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미술 감상 활동에서 움직임이 가지는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가? 둘째, 움직임 기법(Movement Techniques)을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에서 창의적 표현력의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움직임 기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은 조형 요소와 원리의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움직임이 가지는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고, 움직임으로 표현되는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와이즈버그(2006)의 MMT를 통해 미술 감상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움직임 기법의 내용을 분석하고, 움직임 기법을 적용한 미술 감상 수업의 발문들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움직임 기법을 적용한 예비 감상 교육을 시행하여 수정·보완을 거친 후, 5~6학년을 대상으로 총 7차시의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쳐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실기에 해당하는 학습자들은 움직임 활동을 하면서 작품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그대로 표현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움직임 활동 후 작품가치를 진지하게 판단하는 학습자들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는 추상 작품을 감상하면서 유창하고 융통성 있고 독창적인 움직임 표현을 보여주었다. 학습자의 창의적인 표현력은 사실적인 작품에서보다 추상 작품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움직임 표현도 추상 작품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셋째, 학습자는 조형 요소와 조형 원리의 특징을 나름대로 이해하여 움직임으로 표현하였다. 학습자들은 조형 요소가 주는 느낌을 신체 움직임의 물리적 속성과 연결지어 표현하였다. 또한 조형 원리를 신체 경험을 통해 체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 감상 교육에서 작품을 보고 느낌을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체계적인 교수 방법과 수업 과정에서 드러나는 창의적인 표현력의 특성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미술 감상 교육에서 움직임은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의 과정이자 결과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품이 되어보고 상상하는 활동은 학습자들이 작품의 의미를 스스로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다만 미술 감상 교육에 움직임 기법을 활용함에 있어 ‘체육’과와의 통합교육의 일환이 되거나 유희성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움직임 기법이 중심이 아니라, 미술 작품 감상이 중심이 되어야 함을 유념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 기법별로 작품을 선정하였다. 따라서 심화된 작품 감상을 위해서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재구성해야 한다. 셋째, 움직임 기법을 적용한 미술 감상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미술관 공간과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움직임 기법 중 ‘단체 움직임’은 사회 협력적 활동이므로, 움직임 기법을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에서 학습자의 움직임과 사회 협력적 능력관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유의미 할 것이다. 앞으로 본 연구가 보완되어 미술 감상 교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논의들과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 주요어 : 미술감상교육, 뮤지엄 교육, 창의적 표현력, 움직임 기법(Movement Techniques) * 본 논문은 2019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패턴 동시 기반 쓰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및 창의성 계발에 대한 연구

        김수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패턴 동시 기반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영어 학습 양상과 창의성 계발 가능성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이다. 즉, 패턴이 있는 동시를 먼저 읽고 이를 토대로 동시를 쓰는 활동을 하며, 이 과정에서 어휘력 향상 및 패턴 기반 쓰기의 효과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학습자들의 창의성이 계발되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패턴이 있는 동시 기반 쓰기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둘째, 패턴이 있는 동시 기반 쓰기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창의성 계발 가능성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서울시 S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1개 학급의 학생 26명(남 12명, 여 14명)을 대상으로 약 14주에 걸쳐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수업에 사용한 텍스트는 동시 선정 기준, 학습자들의 영어 수준과 관심사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텍스트의 난이도를 감안하여 단어, 어구 및 문장 수준의 패턴이 있는 동시를 순차적으로 제시하였다. 수업은 각 텍스트별로 크게 세 단계에 따라 실시하였다. 먼저, 준비 단계에서 배경 지식 활성화, 주요 어휘 학습, 텍스트 내용 파악 등의 활동을 하였다. 다음으로, 쓰기 단계에서 예시 텍스트의 패턴과 내용을 토대로 동시 쓰기 활동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유 단계에서 학습자들이 서로 동시 쓰기 결과물을 공유하고 피드백을 주고받는 기회를 가졌다. 수업의 과정을 통해 얻은 수업 활동 전사문,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 사전·사후 설문, 중간 및 최종 소감문, 교사 일지, 면담, 사전·사후 어휘 지식 지표 검사 결과 등의 다양한 자료를 범주화하고 그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전·사후 어휘 지식 지표 검사 결과와 같이 일부 자료의 경우 양적 분석 또한 병행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패턴이 있는 동시 기반 쓰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먼저, 학생들의 전반적인 어휘력이 향상되었다. 사전·사후 어휘 검사의 총점뿐만 아니라 동시의 언어 패턴별 사전·사후 어휘 검사 결과, 언어 수준에 따른 패턴별 사전·사후 어휘 검사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어휘 점수가 상승하였다. 또, 다양한 어휘에 관한 지식이 확장되는 결과도 얻었다. 사전 어휘 검사에서 단어에 대한 배경지식 부족으로 인해 문장을 쓰지 못했거나, 또는 단어를 활용하여 문장을 썼지만 품사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학생들이 다수였다. 그러나 사후 어휘 검사에서 단어의 의미와 품사를 인지하고 단어를 활용하여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장을 쓸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하는 성과를 얻었다. 다음으로, 패턴 기반 쓰기가 다양한 방면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순차적으로 단어, 어구 및 문장 수준의 패턴이 있는 동시를 쓰는 경험을 함으로써 쓰기를 수월하게 하였고 이는 쓰기에 대한 긍정적 태도 함양으로 연결되었다.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기존 어휘 지식에 새로운 어휘 지식을 더하여 완성도 높은 동시를 썼으며, 중위 수준의 학생들은 자신의 수준에서 한 단계 도약하여 다양한 어휘 사용을 시도하였다. 하위 수준의 학생들 또한 다양한 수단의 도움을 받아 동시 쓰기를 시도하였고 쓰기에 대한 흥미를 갖게 되었다. 또 학생들은 패턴을 발판으로 삼아 단어, 어구, 문장, 그리고 동시 쓰기를 수월하게 하는 경험을 함으로써 쓰기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실험 수업 이전에는 단어나 철자, 문장 내 단어 배열 순서 등에 대한 배경 지식을 충분히 갖추지 않아서 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가진 학생들이 많았다. 하지만 실험 수업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패턴을 익히면서 어휘의 의미와 역할, 문장 쓰기에 대한 배경 지식 등을 학습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쓰기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향상되고, 더 나아가 지속적인 쓰기 학습에 대한 동기와 의지를 보였다. 둘째, 패턴이 있는 동시 쓰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나타났다. 먼저, 학생들이 쓴 동시의 내용과 표현 방식에서 독창성이 발휘되었다. 학생들은 다른 사람들이 쉽게 생각해내지 못하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반영하여 새로운 단어 조합을 생성하기도 했으며, 내용뿐만 아니라 행의 배치 등 형식 측면에서도 독창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유연성 있는 사고를 자신의 동시에서 구현해 내었다. 하나의 대상에 대해 여러 가지 관점에서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찾아내어 동시 쓰기에 반영하기도 했으며, 서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이는 사물 사이에서 관련성을 찾는 등의 융통성을 발휘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기반으로 하여 자신의 아이디어를 반영한 해결책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상에서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가 초등영어 교육에서 가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턴이 있는 동시 읽기 기반 쓰기 활동이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적절한 지원과 흥미로운 주제가 제공되면 중·하위 수준의 학습자들도 비교적 완성도가 높은 동시를 쓸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은 언어 수준에 관계없이 자신의 창의적인 사고를 동시의 내용과 형식에서 모두 나타내었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가 초등영어 교육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더라도 다음 몇 가지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음을 밝힌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단어, 어구 및 문장 수준의 패턴이 있는 동시를 각각 세 편씩 선정하여 모두 아홉 편을 활용하여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단어, 어구 수준의 패턴이 있는 동시는 비교적 다양하게 고루 선정하였으나 문장 수준의 패턴이 있는 동시는 시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다양한 내용을 다루지는 못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동시를 쓰는 과정에서 나타난 독창성과 유연성의 측면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창의성의 인지적 특성에는 이뿐만 아니라 정교성, 민감성 등 다른 요인들도 있기 때문에 창의성을 구성하는 전체 요인을 모두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패턴이 있는 동시 읽기 기반 쓰기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보다 다양한 종류의 구문이 포함된 문장 수준의 패턴이 있는 동시를 장기간 제시하여, 학생들이 동시 쓰기에서 여러 가지 문장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면서 영어를 학습하는 양상을 파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패턴이 있는 동시 읽기 기반 쓰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의 인지적 특성을 구성하는 요소인 정교성이나 민감성 등의 측면까지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주요어: 영어 능력, 창의성, 초등 영어 쓰기, 패턴이 있는 동시 * 본 논문은 2019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imary school children’s English learning patterns and creativity development in patterned poems-based writing activities. In other words, learners first read patterned poems and then wrote their own poems based on what they had read. Throughout this process, we analyzed how vocabulary improvement and pattern-based writing effects appeared,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learners’ creativity was develop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are the learners’ English learning aspects in patterned poems-based writing activities? 2) What are the possibilities for learners to develop creativity in patterned poems-based writing activities? To find th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children’s patterned poem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oems selection criteria, learners’ English levels and their interests. Word, phrase, and sentence level patterned poems were presented successivel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6 fifth graders. Each session was carried out in three steps. During the first step, called ‘preparation’, activities such as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learning key words, and reading poems were performed. In the second step, ‘writing’, students wrote poems based on reading patterned poems. The final step is ‘sharing’, in which students had opportunities to share their poems and give feedback to one another. A variety of data such as pre- and post-questionnaires, pre- and post-vocabulary knowledge scale test results, class recordings and recording transcripts, students’ writing results, student intermediate and final responses, teacher’s diaries, and student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 qualitative manner. Some data, such as pre- and post-vocabulary knowledge scale test results, were analyzed in a quantitative manner. The data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patterned poems-based writing activities, students’ English learning was reflected in various aspects. The students’ overall vocabulary were improved. In addition to the total scores of pre- and post-vocabulary tests, the scores of pre- and post-vocabulary tests by pattern, and those of pre- and post-vocabulary tests by pattern according to language level also increased. On top of that, students’ knowledge about various vocabulary expanded.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did not write sentences because of the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bout certain words, or wrote sentences using these words, but did not understand the exact parts of speech in the pre-vocabulary tests. However,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meanings and parts of speech of words, and reached a level where they could write the sentences they wanted to express using the words. Next, students’ writing ability improved and it foster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writing. High level students wrote poems using new vocabulary which had been added to their previous knowledge. Intermediate level students tried to leap from their level and use various vocabulary. Low level students also tried to write poems with the help of many different means and became interested in writing. Furthermore, students develop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writing by experiencing writing words, phrases, sentences, and poems easier by using patterns as footsteps. Before starting this research,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did not have enough background knowledge about words, spelling, and the order of words in sentences and had difficulty writing. However, through the procedure of research, students learned various sentence writing patterns, and meanings and functions of vocabulary. As a result, students’ interests, confidence and motivation in writing improved, and they showed a greater will to learn writing consistently. Second, students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ir creativity can be developed through writing patterned poems. Originality was demonstrated in the content and ways of expressing students’ purpose in their poems. Students also created new word combinations from their creative ideas that people cannot easily come up with. In addition to the content, students displayed original aspects in terms of format such as arrangement of lines, background pictures, and so on. Next, students demonstrated flexibility in their poems. They found ideas and solutions from multiple perspectives on a single object, reflected it in their writing, and showed flexibility in finding relationships among things that seem to have nothing to do with one another. Additionally, they suggested solutions from their own ideas based on various problems in their daily l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implications can be made. First, writing activities based on reading patterned poems can positively affect students’ English ability improvement. Second, when appropriate support and interesting topics are provided, intermediate and low level students have shown high levels of completeness in their writing. Third, students showed their creative thinking in the forms as well as the content of their poems regardless of their language level. Despite the positive outcomes, this study had limitations to overcome. First, there are limits to the variety of sentence level patterned poems. The vast number of sentence level patterns would indicate that using a greater variety over word and phrase level patterns could potentially lead to more knowledge. However, due to time constraints, it was difficult to cover various kinds of sentence level patterned poems.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s of originality and flexibility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students’ writing. There are other aspects such as elaboration and sensitivity i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that were not examined closely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re ar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atterns of students’ learning English based on sufficient understanding of various sentences in writing poems by proposing many different kinds of sentence level patterned poems over a long period of time. Second, it is essential to incorporate all aspects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such as elaboration or sensitivity, in the writing activities based on reading patterned poems. Key words: creativity, English ability, patterned poems, primary English writing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석 사 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곽 노 의) 본 연구는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만4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하고,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1.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유창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2.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독창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3.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정교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4.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제목의 추상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5.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A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4세 21명과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4세 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인 만4세 42명 중 A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21명은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고,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21명은 누리과정지도서에 근거한 이야기나누기활동을 비교집단이다. 연구의 실험은 9월 7일~10월 30일의 8주 동안 주 3회씩 총 24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표준화 창의력검사 한국판 TTCT(도형) 검사(김영채, 2010)를 사용하여 창의성전체와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였다. 사전검사에서는 TTCT(도형)검사A형을 사후검사에서는 동형검사인 TTCT(도형)검사 B형을 모두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창의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54.80)이 비교집단의 아동(M=42.19)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32.50, p<.001). 둘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유창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26.24)이 비교집단의 아동(M=22.38)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14.50,p<.001). 셋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독창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13.34)이 비교집단의 아동(M=8.24)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18.11,p<.001). 넷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정교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5.38)이 비교집단의 아동(M=4.19)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19.01,p<.001). 다섯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제목의 추상성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4.90)이 비교집단의 아동(M=3.52)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17.50,p<.001). 여섯째, 창의성의 하위 요인 중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 효과가 있는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아동(M=7.10)이 비교집단의 아동(M=3.86)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F=40.87,p<.001).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만4세 유아의 창의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창의성 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이 일반적인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대안적인 교수-학습 활동의 예가 될 수 있으므로 만4세 유아의 교육활동에 있어 창의성기법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창의적 사고를 할 기회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주요어 : 창의성기법, 이야기나누기활동, 창의성 *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및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이은화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專門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및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공감능력 증진에 효과적인가? 둘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아동의 갈등해결능력 증진에 효과적인가? 위의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5학년 8개 학급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갈등해결전략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동질성을 보인 다른 1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3주간 총 10회기의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두 집단 모두 공감능력과 갈등해결전략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3.0을 활용한 검사지 반응의 통계적 분석, 프로그램 종료 후 아동 설문지, 매 회기별 소감문과 연구자가 관찰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집단 간 공감능력 및 갈등해결전략의 차이와 집단 내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 분석(MANOVA)을 실시하였으며, 검사지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공감능력이 유의미하게 증진되었으며,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의사소통적 공감 모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갈등해결전략에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갈등해결전략의 하위요인인 회피전략은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양보전략과 절충 및 협력 전략은 높았고, 지배전략은 낮았다. 아동 소감문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 분석 결과, 아동들은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면서, 예전보다 갈등상황에서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고 마음에 공감하여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려는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 핫시팅, 전문가 집단회의, 역할개입 등의 드라마 활동을 통하여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 타인에게 공감하고 표현해 보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갈등해결전략 역시 유의미한 변화를 하게 되었으며,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공감능력과 올바른 갈등해결전략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감능력 증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갈등해결전략의 변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해 연구 대상자의 범위 확대가 필요하며,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긍정적 변화를 유지시키기 위한 후속프로그램의 개발 노력도 필요하다. 주요어 : 공감능력, 드라마, 드라마 활용 공감교육 프로그램, 갈등해결전략 * 본 논문은 2019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논문임.

      • 초등학생 필자의 예상독자 인식 능력 발달 양상 : 친교의 글 쓰기를 중심으로

        진선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친교의 글 쓰기 지도에서 초등학생 필자의 예상독자 인식 능력 발달 양상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내용의 적절성 여부와 예상독자 인식 능력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학교 글쓰기 지도에서 예상독자 인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설명적 글 쓰기와 논증적 글 쓰기 장르를 중심으로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예상독자와의 친교 및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친교의 글 쓰기’ 장르는 그동안 연구 대상으로는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필자를 대상으로 예상독자를 인식하는 글 쓰기가 가능한 시기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제7차, 2007 개정,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의 적절성 여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친교의 글’의 위상과 예상독자 실재(實在)화의 가능성 및 교육과정에서의 실제 범주별 예상독자 관련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친교의 글 쓰기 지도에서 초등학생 필자의 예상독자 인식 능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조사 대상과 조사 방법을 알아보고 예상독자를 달리한 ‘사과하기’를 주제로 한 글 세 편, ‘감사하기’를 주제로 한 글 세 편 총 여섯 편의 쓰기 과제와 이와 같은 쓰기 과제를 구안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조사 연구를 통하여 수합한 자료의 처리 방법도 상세하게 언급하였다. Ⅳ장에서는 통계적인 비교와 대조를 바탕으로 학년별, 주제별, 대상별, 성별에 대한 예상독자 인식 능력 정도를 분석하고 각각의 수사적 이동에 따른 양상을 질적 방법을 병행하여 파악하였다. 통계 결과의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얻었다. 첫째, 예상독자 관련 내용을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1-2학년군으로 제시한 것과 6학년 때 ‘목적’과 ‘주제’를 고려하는 글 쓰기를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은 적절하다. 둘째, 친교의 글 쓰기는 1-2학년군, 3학년, 4-5학년군, 6학년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을 편성함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친교의 글에서 예상독자를 고려하는 글 쓰기 활동은 3학년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교과서 내용으로 구성함이 타당하다. 셋째, 동생과 친구는 비슷한 담화공동체로, 어머니는 다른 담화공동체로 인식하여 글쓰기 활동에서의 기본 학습활동은 ‘동생’이나 ‘친구’를 대상으로, 심화 학습활동은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전개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넷째, 예상독자를 고려하는 글 쓰기와 관련된 활동을 할 때, 남학생은 3학년 시기부터, 여학생은 1학년 시기부터 동질집단으로 모둠을 편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본 논문은 2013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손동작 중심의 신체활동이 3세 유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남하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최근 유아들의 주의집중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문제의식과 함께, 유아들의 주의집중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의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추세이다. 본 연구자 또한 만 3세 유아들의 주의집중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손동작을 실시하였을 때 유아들의 주의가 환기되며 주의집중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손동작 중심의 신체활동을 설계하여 Y병설유치원 만 3세 G반 유아들에게 실험처치를 해 본 후, 유아들의 주의집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러한 손동작 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에게 갖는 교육적 의미와 손동작 중심의 신체활동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8주 동안 16회의 실험처치를 하였고 실험처치를 하는 동안 연구에 참여하는 동료교사와의 심층면담, 연구자가 수집한 기록물들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실험처치 전 실시한 사 전검사와 실험 중간에 실시한 중간검사, 실험을 마친 후 이루어진 사후검사를 비교하여 연구 해석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모두 수집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만 3세 유아 16명의 손동작 중심의 신체활동 전, 중, 후 주의집중력 점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반복측정의 시점에 따라 총 3회의 주의집중력 점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손동작 중심의 신체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주의집중력을 상승시키는 데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손동작을 교육적으로 접근했을 때, 주의집중 및 창의성 계발 등 여러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들과도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손동작과 신체활동 접목을 통해 주의집중력이 발달했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가치가 있다. 둘째, 손동작 중심의 신체활동을 실시한 결과 나타난 유아의 반응은 다음과 같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유아들은 손동작과 신체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소극적인 유아들 또한 신체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유아들은 손동작에 많은 흥미를 보였으며 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에도 지속적인 흥미를 보이게 되었으며, 손을 이용한 놀이의 빈도가 높아졌다. 교사의 손동작을 모방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손동작을 만들어보고 반복해보면서 손의 움직임이 많아졌다. 이러한 유아들의 변화는 실험을 마친 후에도 지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손동작 중심의 신체활동을 통해 만 3세 유아에게 줄 수 있는 교육적 의미를 찾음과 동시에 만 3세 유아의 주의집중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고, 더 나아가 유아들을 위한 손동작 및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손동작, 신체활동, 주의집중력 * 본 논문은 2019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