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Bacillus subtilis cx1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의 특성

        김수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One specie of bacteriocin producing bacteria, and one bacteriocin sensitive strain were isolated from soil. Those were identified as B. subtilis and Curtobacterium sp. by morphology, biochemic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Antimicrobial agent produced by isolated B. subtilis cxl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including of B. subtilis, Curtobacterium sp. L. mesenteroids, Staphy. areus, S. faecalis and even gram-negative bacteria, P. areuginosa. Bacteriocins are reported proteins that have bactericidal effect on closely related organisms, but bacteriocin from B. subtilis cxl showed most effective bactericidal activity into Curtobacterium sp. This bacteriocin was partially purified by a 75% acetone precipitation and a acetonitrile elution with hydrophobic Sep-pak column. This bacteriocin activity was very stable at broad pH range; was stable at pH 2.5-pH 9.5 for 36hr or more. It was stable at low temperature but not at high temperature; was inactivated at 40℃ for 3hr. The antimicrobial agent was found to be proteinaceous material which was inactivated by protease, trypsin, proteinase K and carboxypeptidase, but not by α-amylase, lipase, aminopeptidase I. The antimicrobial agent from B. subtilis cxl was prepared by two different methods. One is an acetone precipitation and the other one is an adsorption of sep-pak column and elution with acetonitrile. The second one was more effective preparation method for this antimicrobial agent. Direct detec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n SDS-PAGE suggested a molecular weight was approximately below 10,000.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관련 심리적 특성 비교

        김수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in general families and those in multicultural families on family strength, self-esteem, and victimization and to find out how psychological features affect their adjusting to school lives.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251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235 of general families all from 3th grade to 6th attending to the elementary schools in Kyung-ki-d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f all, providing the connection among several psychological features of children in general families, the higher their family strength, the more improved their self-consciousness, and the more often positive coping strategies they showd, the better adaptation to school they presented, and vice versa.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school teachers improved when they were intimate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this resulted in better adaptation to school. Also amicable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implied their better adjusting to school. Higher self-consciousness accompanied superior adaptation to school. Contrarily, students with the pain of victimization alienated their relationship with peers and especially with frequent victimization, the children avoided problems they were facing or they often represented offensive attitude. Seocondly, among middle graders,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less of family strength than children in general families, while children in higher grades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d lower self-esteem than those in general families in junior years, and this continued to seniors but the distinction became marginal compared to juniors. Also regardless of grades,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ppeared poorer in adaptation to school and it kept more intensified as the grade got highe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of all grades felt the damage of victimization more severely than those in general families, and this distinction became more noticeable in higher graders. On the contrary, children in general families had little damage of victimization as they got higher grade. This indicated that children in general families learned how to deal with being victimized as they go up higher grades, but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d much more difficulty dealing with the problem. In junior years,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in general families seemed to have no difference with using positive-coping strategies but in seniors those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much lower ability to use it. On the other hand, children in multiculral families used negative-coping strategies more often as they get higher grades while those in general families didn't show much gap among the grades Third,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features on school-adjusting could be organized as this: school-adapta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predicted by positive-coping, self-esteem, suffering from victimization, negative-coping in this order. The forecasting factors on school-adaptation had 46.8% of reliability. With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distinction from positive-coping was the most accurate predicting factor. However, among children in general families positive-coping, self-esteem, and family relationship were proportionate factors ,and suffering from victimization was inversely proportional. In this case the preestimating factors were 54.2% reliable. Positive-cop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nd self-esteem which is individual character was principal factor; family relationship being considerable predicting factor was different from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가족건강성, 자아 존중감, 따돌림 피해 정도, 친구갈등 상황에서 대처방식 등의 심리적 특성을 전반적으로 비교 하였다. 또한 심리적 특성들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런 접근을 통해 얻어지는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이해는 이들이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고 만족감과 행복감을 가지고 생활하도록 돕는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3,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251명, 일반가정 아동 23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test,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아동의 여러 심리적 특성간의 관련성을 보면, 가족건강성이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이 향상될수록 긍정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짐을 나타냈다. 가족과의 유대가 밀접할수록 학교교사와의 관계가 좋아지며 따라서 학교생활적응도 높아진다. 가족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많이 할수록, 가정내 문제해결력이 높다고 느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에서 교우관계가 친밀해져 학교생활적응이 높아진다. 따돌림피해가 높을수록 학교에서 교우와의 관계는 소원해지고, 문제에 대해 피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대처와 따돌림피해는 정적상관관계를 가지며 부정적 대처와 따돌림피해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순환의 과정임을 알수 있다. 교우관계와 따돌림 피해는 부적상관관계가 있고 이는 교우관계 향상은 따돌림 피해를 감소 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가족건강성에서 중학년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게 나타났고, 고학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아존중감은 중학년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게 나타났고, 고학년에서도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낮으나 차이의 크기는 중학년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에서 중학년과 고학년 집단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보다 낮으며 중학년보다 고학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따돌림 피해 차이를 두 집단에서 비교한 결과 중학년과 고학년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고, 고학년에서 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일반가정 아동은 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중학년과 고학년 비교에서 따돌림 피해가 더욱 감소하였다. 일반가정 아동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따돌림 피해에 대해 적절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생기지만 다문화가정 아동은 여전히 어려움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긍정적 대처는 두 집단의 중학년 비교에서는 유의미하지 않고 고학년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부정적대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중학년, 고학년 모두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가정 아동들은 중학년과 고학년에서 차이가 없지만,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중학년에서 고학년으로 올라 가면서 부정적 대처가 더 크게 높아졌다. 셋째, 학교생활적응과 관련되는 심리적 특성 변인들의 상대적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은 긍정적 대처, 자아존중감, 따돌림 피해, 부정적 대처 순으로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대처는 학교생활적응에 부적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예측변인들은 학교생활적응에 대해서 46.8%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긍정적 대처방식의 차이가 학교생활적응을 가장 잘 예측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일반가정 아동은 긍정적 대처, 자아존중감 및 가족 유대는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정적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고 따돌림 피해는 부적인 방향의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예측변인들은 학교생활적응에 대해서 54.2%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일반가정 아동에서도 긍정적 대처가 가장 중요한 예측요인이었고 개인특성인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예측변인 이었으며 가족측면의 유대가 유의한 예측변인인 점이 다문화 가정 아동과 다른 점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은 심리적 특성 전체에서 평균 이상으로 긍정적인 지각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대략 30%의 아동들은 이중문화수용을 어려워 하고 따돌림 피해를 많이 경험하는 것을 볼 때 적응을 잘하는 집단과 못하는 집단에 대해 각각 강점과 자원을 살리는 한편 필요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보완해 줄 수 있는 탄력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 하였다. 둘째, 학교 내에 아동 자신의 심리적 안정 기반을 마련하여 학교와 가정을 연결함으로써 부모와 자녀관계 향상, 외국계 부모의 정서·문화적응을 도울 수 있도록 초등학교 내에 상담교사 배치 제도의 필요를 확인 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해서 또래관계향상 프로그램과 부정적 인지 변인을 고려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프로그램 필요를 확인하였다.

      • 플레이스 브랜딩 관점에서 본 대학박물관 공간 디자인 연구

        김수인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recent competitive society of universities, the best topic is 'specialization'. Under the expanded social change focusing on university consumers, 'specialization' could be the best choice to break through the current crisis by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refore, universities aim to compose the university bra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unique individuality, differentiation of image,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Based on the necessity of university brand, universities have achieved the modern/advanced development of visual identity such as university slogan, logo, symbol, and symbolic sculpture for the realization of university identity. However, due to the brand characteristics of non-profit organization like the fact that the focus of asset-building becomes the institute itself, intangibility of products, and absence of prior-brand experience, it is limited to deliver the visual identity as the only branding strategy. Thus, it aims to actively induce consumers' brand experience, and also to combine the place branding that could establish the placeness of space through exper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campus and consumers with university space. Regarding the detailed application of place branding, the in-depth research on place was don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levant literature.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place and human as the subject of experience, the identity of place is created, which is the basis of brand individuality and brand vision for the composition of brand platform. The identity of place could be extracted as four things like physical element, human's activity, conceptual meaning, and social bond. When these four elements are combined, the place is differentiated, which could be explaine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called 'placeness'. This paper composed a proposal of Konkuk University Museum based on the concept of place branding. In the project, under the large goal of four conten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y brand image, communication & relaxation, sharing education/research, and provision of sensuous experience, after selecting the main target, the analysis frame was applied, and then the basic & detailed display plan was composed based on the contents actually drawn. The placeness receiv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se four goals is imprinted in consumers as brand experience, and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is brand experience through experience exhibition that is a medium connecting three subjects like supplier(university), space that will become a place, and consumer. A program was composed through the space analysis frame combined with the target analysis based on the experience economy theory and the strategic experience module. Also, in this project based on this analysis frame, each program is composed by emphasizing the relational experience space with society, individuals, and school members, as a space for local exchanges and communication connected to region. Also, through the target analysis to find a program suitable for each space, spaces for sense, behavior, sensitivity, and cognitive experience are composed, and ultimately, this project is composed as measures to establish the university brand image through place branding that attracts consumers who connect ideal self or others, and culture again to the space. Like above, the space analysis using five elements of strategic experience module and target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fram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s measures of 'place branding' is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to compose space programs of experience exhibition for the accurate delivery of university brand image. 최근 대학의 경쟁 사회에서 최고 화두는 ‘특성화’이다. 대학의 수요자 중심으로의 사회적 변화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성화’는 대학의 경쟁력을 높여 현재의 위기를 돌파해 나갈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대학들은 저마다의 고유 개성개발 및 이미지 차별화와 아이덴티티 확립을 통해 대학브랜드를 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대학브랜드의 필요성에 따라 대학은 대학아이덴티티 구현을 위해 대학의 슬로건, 로고, 심볼, 상징적 조형물 등 시각적 아이덴티티에 대한 현대적·선진적 발전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자산 형성의 초점이 기관 자체가 된다는 점, 상품의 무형성, 그리고 사전 브랜드 경험의 부재라는 비영리기관의 브랜드 특성에 따라 시각적 아이덴티티 전달이 유일한 브랜딩 전략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수요자에 대한 브랜드경험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캠퍼스와 수요자의 관계에 있어 체험을 통한 공간의 장소성 구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대학공간에 접목하고자 한다. 이러한 플레이스 브랜딩의 세부적 적용에 대하여 먼저 플레이스, 즉 장소에 대해 심층적 연구를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에 장소는 장소와 장소경험의 주체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장소의 정체성을 만들어 내고, 이는 브랜드플랫폼 구성에 있어 브랜드개성과 브랜드비전을 갖게 만든다. 장소의 정체성은 물리적 요소, 인간의 활동, 관념적 의미, 사회적 유대라는 네 가지로 추출된다. 이 네 가지 요소의 조합이 이루어지며 장소는 차별화를 이루게 되며 장소적 특성, 즉 ‘장소성’을 갖는다고 설명할 수 있다. 논문에서는 정리한 플레이스 브랜딩 개념을 바탕으로 건국대학교 대학박물관 제안서를 구성하였다. 프로젝트에서는 대학브랜드 이미지 확립, 소통과 휴식, 교육·연구 공유, 감각적 체험제공이라는 4가지 콘텐츠를 큰 목표로 두어, 주요 타깃 선정 후 분석틀을 적용해보고 실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전시의 기본계획 및 세부연출계획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목표의 조합을 통해 얻어진 장소성은 수요자에게 브랜드 경험으로서 각인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브랜드 경험을 체험전시를 통해서 찾고자 하였다. 체험전시는 공급자(대학)와 장소가 될 공간, 그리고 수요자라는 3개의 주체를 연결지어주는 매개체로서, 체험경제이론을 통한 타깃분석과 전략적 체험모듈을 접목한 공간 분석틀을 통해 그에 대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에서는 지역교류 및 지역과 연계한 소통의 공간으로서 사회와 개인, 그리고 학교구성원과의 소통을 위한 관계적 체험 공간을 중시하며 각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또한 각 공간에 맞는 프로그램을 찾기 위한 타깃분석을 통해 그 외의 감각, 행동, 감성, 인지적 체험 공간이 구성되며, 최종적으로 프로젝트는 이상적 자아나 타인, 문화 등을 연결시키는 수요자에게 다시 한 번 공간을 찾게 만드는 플레이스 브랜딩을 통한 대학브랜드이미지 구축의 방안으로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조사된 ‘플레이스 브랜딩’의 방안으로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한 분석틀을 토대로, 타깃분석 및 전략적 체험모듈의 5가지 요소를 이용한 공간 분석을, 대학의 브랜드이미지의 정확한 전달을 위해 체험전시의 공간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참고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개성화의 동인(動因)이 되는 자아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

        김수인 능인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he main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animals is ego-consciousness. Humans developed dramatically since when the ego is controlled and integrated as the center of the human being’s sense. Ego-consciousness needs to be strengthened in order to prevent being easily exposed to the impulsive and chaotic influences of the unconscious when consciousness cannot be independent from unconscious. However, the development of ego-consciousness also increases the psychological distress and conflicts that is peculiar to mankind. Additionally, the fact that one-sided exaggerated attitude of the ego can lead to the disconnection of the unconsciousness and generate problems regarding psychological loss of balance,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ight attitude of the ego towards restoring mental health. 인간과 동물의 주된 차이는 자아의식(ego consciousness)에서 비롯된다. 자아(ego)가 의식의 구심점으로서 의식을 조절하고 통합하면서 인간의 의식은 비약적으로 발달할 수 있었다. 의식이 무의식(the unconscious)으로부터 적절히 독립될 수 없을 때, 무의식의 충동적이고 혼란스러운 영향력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에 그러한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아의식은 강화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자아의식의 발달은 인간 특유의 심리적 고통과 갈등을 가져왔다. 또한, 자아 태도의 과도한 일방성(one-sidedness)이 무의식 과의 단절로 이어져 심리적인 균형상실의 문제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정신의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자아의 올바른 태도가 어떤 것인지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 C.difficile infection의 중증도에 따른 약물 사용평가

        김수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s: Clostridioides difficile is a gram-positive, anaerobic, spore-producing bacterium known as a major cause of diarrhea in hospitalized patients. CDI(Clostridioides difficile Infection) is divided into mild, moderate, and severe cases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nd treatment recommendation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CDI. Metronidazole and oral vancomycin have been used as major therapeutic agents for CDI and consistently recommended the use of metronidazole in mild-moderate CDI and vancomycin in severe CDI. The guidelines of Society for Healthcare Epidemiology of America/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2018) suggest vancomycin and fidaxomicin for the first treatment of mild-severe CDI. Metronidazole is recommended when two drugs are not available. As domestic CDI treatment guidelines still recommend metronidazole as a treatment for mild and moderate CDI, we wanted to analyze the success rate of patients' treatment based on the severity of CDI and compare the success rate of metronidazole and vancomycin treatment to see if a new recommendation is necessary. Methods: This study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medical records of 1,195 patients who were selected as CDI patients in adult patients who took metronidazole or vancomycin from January 2017 to November 2019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used ATLAS score to categorize the severity of the patients. ATLAS score contains six clinical and laboratory variables(age, body temperature, leucocyte, albumin, and serum creatine). We evaluated the success rate of the treatment of drugs (metronidazole, vancomycin) by categorizing patients according to scores.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patient's treatment, and single-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factors in the treatment success and failure groups. Results : Our results showed that albumin, admission period, ICU admission period, tube feeding, the number of antibiotics used simultaneously, the type of antibiotics used simultaneously, and the use of antacid and steroids. Multivariate and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success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albumin. Further analyzed, confirming that treatment success rate of vancomycin was higher under 35g/dL. Also, the treatment success rate of vancomycin and metronidazole based on severity scores was analyzed through the Chi-square test and Fisher exact test to show that the success rate of vancomycin compared to metronidazole is higher in the moderate and severe CDI. Conclusions : Our findings suggest that vancomycin would be more effective in moderate-severe CDI or under albumin under 35g/dL.

      • 싱어송라이터 장덕의 작품 분석

        김수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음반 프로듀서인 장덕의 작품들의 가사와 음악적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녀가 지닌 문학적, 음악적 특징들을 고찰하고 있다. 장덕은 살아생전 300여 개의 작품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요제에서의 4번의 수상 및 후배와 동료 가수들에게 작품을 주거나 음반 프로듀서로 참여하였다. 이러한 업적과 많은 작품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장덕의 작품을 다룬 선행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장덕의 작품성에 대한 재조명을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먼저 장덕의 음악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음악 활동별로 구분하여 듀엣 활동, 싱어송라이터 활동, 프로듀서 활동 시기로 분류해 살펴보았고 작품들을 연도별로 구분하고 각각 작곡 작품, 작사 작품, 작곡·작사 작품으로 세분화했다. 장덕의 가사적 의미 분석을 위해서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1964)와 한국대중가요앨범11000(한국대중음악연구소 2003)의 자료들을 참고하여 추출한 128곡 중 음원과 가사가 실재하는 99곡에 대한 가사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각 작품에서 다룬 내용에 대해 그 의미를 재해석, 분석, 세분화하였다. 장덕의 음악적 특징의 분석에서는 음악적 요소에 대한 밀도 있는 분석을 위해 압축적인 연구범위 설정이 필요하였으므로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곡들을 선정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장덕이 활동하던 1970년대부터 1990년대는 팝뮤직의 르네상스와도 같은 시기였다. 그런 시기에 싱어송라이터 장덕은 새로운 음악적인 시도를 끊임없이 하였으며 그만큼 많은 업적도 쌓은 인물이다. 본 논문에서는 장덕의 작품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음악성과 더불어 가사적 의미에 대한 문학적 의미와 해석에 대해 살펴보고 장덕의 음악성의 재조명과 작품을 다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

      • 무용의 초기 현대화 과정에 나타난 인상주의 예술사조의 영향 : 던컨과 니진스키의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김수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무용의 초기 현대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인상주의적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이 시기의 대표적인 두 인물로 던컨과 니진스키를 선정하여 이들의 작품과 사상에서 인상주의 예술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는 요소들을 지적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모든 예술 분야에 걸쳐 혁신적인 현대예술을 이끌었던 인상주의가 무용 예술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던 것일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무용예술에서 역시 그 초기 현대화 과정 속에서 인상주의적 요소가 드러날 것이라는 전제하에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무용의 초기 현대화 과정을 대표하는 인물을 던컨(Isadora Duncan)과 니진스키(Vaslav Nijinsky)로 선정하여 이들의 작품과 사상을 살펴 그 속에서 지적할 수 있는 인상주의 예술의 특성과 공통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던컨의 인상주의적 요소로 전통에 대한 대립, 주관과 자아의 표현, 플롯의 약화와 시각적 인상의 강조, 자연에의 주목과 유동적 움직임을 지적하였고, 니진스키의 인상주의적 요소로는 반(反)전통적 특성, 플롯의 약화와 무대의 시각적 디자인의 강조, 움직임의 해체와 조립을 각각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당시의 무용에 지금까지 간과되어 온 인상주의 예술사상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였다는 점, 타(他)예술에서 다루어진 요소를 같은 시기의 무용분야에서 찾아 적용해본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무용의 현대화 과정을 설명하는 또 하나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mpressionism on the early modernization of dance. It is well known that Impressionism was deeply influenced by human society during early modern era. During this era, old system based on the traditional authority was destructed. And Impressionism showed the superiority of sensitivity over rationality, subjectivity over objectivity, and an instant over eternity. Although Impressionism was a powerful influence in many genres of fine art, literature and music, its bearing on modern dance was not as significant. The main question raised in this study was whether Impressionism ever appeared in the history of modern dance. This question was explored by first comparing dance and other fine arts of the same period, then examining the works and the thoughts of Isadora Duncan and Vaslav Nijinsky, the two representatives of the early modernization of dance. Through this study, the freedom from ballet tradition, the personal expression of artist, the descending of drama with the raise of visual stage art, the focusing on the nature as a subject of dance, the experiment of movement as an end of dance were found in the early modernization of dance as the similarities to Impressionism. According to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elements were pointed out from Duncan and Nijinsky. The opposition to the tradition, the expression of subjectivity and the "I", the weakening of plot and the stress on the visual Impression, the attention to the nature and unfixed movements were found as the elements of Impressionism in Duncan's works. In works by Nijinsky's, the break with convention, the diminution of plot while emphasizing on the visual effects, and the dissolution and assembling of movements were revealed as Impressionistic characters. Although Impressionism did not play a major role in modern dance history, the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ism can be seen during this era, supporting the fact that dance joined the mainstream of art from this time. Through this study, the discussion on the Impressionism in dance is begun, the relation between dance and the other arts at the same period is searched, and another foundation explaining the modernization of dance is presented.

      • 계획된 행동이론에 기초한 대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경로모형 분석

        김수인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model of prosocial behavior based on Ajzen(1991)'s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re are five constructs to cause prosocial behavior; the attitude towar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ive norm, the perceived control, intent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addition, our theorized model also included a sense of community, gender, and religion as control variables. Through two pilot tests and main survey, contents of prosocial behavior consturc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utilized Mplus 7.4 to analyze structure equation with 468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followings indicat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path of prosocial behavior was well explained b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mportantly,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perceived 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Second, among subjective norm, "supports by others" caused prosocial behavior, but motivation to conform did not have strong impact on prosocial behavior. Third, a sense of community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Fourth, both gender and faith in religion do not affect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raise the issu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education. Also the limitation and contribution were described on prosocial behavior. 타인을 돕고 타인과 협력을 통해 윤리적 행동을 하는 것은 민주 시민으로서의 기본 자질에 해당한다. 그러나 배려 행동과 이타적인 행동에 대한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하여도 실제로 그 행동을 수행하는 것과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태도와 행동의 불일치에 관한 연구는 사회심리학에서 매우 오랜 동안 활발하게 진행되어왔고 Ajzen(1991)이 제시한 행동 예측 모형이 전 분야에 걸쳐 행동 예측 분석의 기반으로 활용되어 왔다. 계획된 행동 이론을 통해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태도와 신념이 실제 행동 수행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친사회적 행동 수행에 대해 주변 사람들의 지지를 받고 이에 순응하려고 하는 정도와 행위자가 지각한 행동의 통제 요인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맥락적·상황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Ajzen의 계획된 행동 이론에 기반한 친사회적 행동 예측 모형을 검증하고 공동체 의식과 인구사회학적 요소인 성별 및 종교유무를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여 본 연구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2차에 걸친 예비조사와 본조사 후 친사회적 행동주제에 적합한 계획된 행동 이론 측정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조사에서는 전국의 대학생 4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이론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계획된 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친사회적 행동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계획된 행동 이론에 따라 지각된 통제 행위가 친사회적 행동 의도를 부분 매개로 하여 친사회적 행동 수행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규범으로 주변사람들의 지지는 친사회적 행동 수행을 예측하였으나, 순응 동기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통제변인으로 본 공동체의식은 친사회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종교유무 모두 친사회적 행동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함의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주변 사람들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지지가 순응 동기에 관계없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고등교육이 대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실천을 적극적으로 고무시키고 지원할 책무가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친사회적 행동을 함양할 수 있는 제언과 논문의 한계점 및 의의를 기술하였다.

      •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과 1차-2차 통제양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수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에 따라 1차-2차통제양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과 1차-2차통제양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대학에서 심리학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남·녀 대학생 300여명에게 집단주의-개인주의 질문지, 1차-2차통제양식 척도, 간이 정신진단 검사 등으로 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277명의 응답내용을 대상으로 t검증과 변량분석, chi-square검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주의 성향인들은 집단주의 성향인들보다 1차통제 점수가 높았다. 둘째, 1차통제와 2차통제의 주효과는 중간인 경우가 낮거나 높은 경우보다 정신건강이 양호했다. 셋째, 1차통제가 낮고 2차통제가 높은 통제양식이 정신건강에 가장 해로웠다. 넷째, 집단주의 성향인들은 1차통제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에 차이가 없었지만 개인주의 성향인들은 1차통제의 수준에 따라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개인주의 성향인들은 1차통제 수준이 중간인 경우 정신건강이 가장 양호한 반면, 1차통제 수준이 높은 경우 정신건강이 가장 양호하지 못했다. 이는 개인주의 성향인들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적절한 1차통제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다섯째, 개인주의 성향인들은 2차통제가 낮을 경우, 집단주의 성향인들은 2차통제가 높을 경우 정신건강이 가장 양호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건강에 이로운 통제수준과 함께 개인의 성향에 따라 정신건강에 유익한 통제양식과 해로운 통제양식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lo-idiocentrism and the primary-secondary control, and how allo-idiocentrism and primary-secondary control affect mental health. The question sheets were distributed to 300 students taking psychology classe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question sheets comprise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scale, primary-secondary control scale, and Symptom Checklist-90-Revision. The 277 answers out of 300 was collected and were analyzed using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 is as follows. Basically, idiocentric students marked higher score than allocentric students in the primary control test. Secondly, the students with mediate score in the primary-secondary control test have more stable metal health than those with higher or lower scores. Third, it was the most harmful to the mental health when primary control was low and secondary control was high. Fourth, whereas primary control status had no impact on the mental health of allocentric students, mental health of the idiocentric students were greatly influenced by primary control with meaningful variance. Idiocentric students were best in mental health when the score of the primary control was mediate but idiocentric students with high score in secondary control showed the poor mental health. This result suggests that proper primary control is crucial to the mental health of idiocentric students. Mental Health was poor in the cases when secondary control is lower for the idiocentric students and secondary control was high for allocentric students. The meaning of this study will be found in the sense that it exhibited control method beneficial to mental health and there existed beneficial and harmful control mechanism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individuals.

      • Protein Dimerization Using a Genetically Encoded Metal-Chelating Amino Acid : 금속-킬레이트 아미노산을 이용한 단백질 이합체 형성

        김수인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teins have evolved to function in various processes in organisms. Among numerous tactics that nature has selected, one effective way to deal with biological processes is the oligomerization of protein to efficiently execute reactions. Thus, constructing artificial protein oligomers can be applied to various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However, only a few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make protein oligomers and the methods are based on naturally occurr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s, which has limitations in choosing a target and designing the structure. Here, further improving our previous study making protein oligomers with 2,2′-bipyridylalanine (BPA), we developed a new strategy to make a heterodimer and direction-determined oligomers. By incorporating two BPAs in sites where the amino acids are closely located, a single protein could bind to a single metal ion as two BPAs bind to Ni2+ together. Owing to the nature of Ni2+ which forms an octahedral complex with three bipyridine molecules, a protein with a single BPA could bind to the empty coordination site of Ni2+ after the double-BPA protein binds to Ni2+. In this way, we could attach two different maltose-binding protein (MBP) mutants into one complex. Furthermore, by adding another BPA at the opposite side where two BPAs were originally incorporated, we could construct direction-determined protein oligomers. The method we developed can be done with many types of proteins and used in diverse applications including substrate chann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