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활용한 무용/동작 심리치료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연구 : 예비연구

        진선경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With the rapid growth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in recent years, Korean society is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nation. It is time for Korean society to take interest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o that they can settle well in society. They, however, suffe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deriving from poor Korean skills and maladjustment within a peer group even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At that poin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using collective non-verbal communication on the peer interaction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at purpose, a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was administered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a local civic center in E-gu and those at one in S-gu.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 each contained nine children.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a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using non-verbal communication over total eight sessions each lasting 60 minutes twice per week from April 16 to May 11, 2012. The Rating Scale for Peer Interaction Behavior revised and supplemented by Choi Hye-yeong (2004) based o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by Fantuzzo, Coolahan, Mendez, McDermontt, & Sutton-Smith (1998) was used to measure changes to peer interaction score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observation methods of Potential Nonverbal Communications Assessment Worksheet by Suzi Tortora (2005)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eight categori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used in the program in order to devise a rating scale to analyze the movements of peer interactions and measure changes to them across the eight categories. The study tested the effects of dance/movement psychotherapy using non-verbal communication by "Suzi Tortora" on the peer interaction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applied the eight categori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y "Suzi Tortora," namely quality of gazing, richness of facial expressions, quality and frequency of contacts, voice patterns, body shapes, non-verbal acts and regulations, and tempo of non-verbal behavioral patterns. The program was organized in a way that it could gradually increase interactions positively and emphasize movements by using one of the categories as a short-term objective of a sess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A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ased on the ratings by the homeroom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any changes to their peer interaction score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the investigator collected reports on h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anged at the kindergarten by their homeroom teachers and analyzed the data. In addition, video observations and measuring examination were carried out at the beginning and end of each session through paired-sample t-test with Excel 2007 in order to analyze their movements of peer interactions across the eight categori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Those data were used to produce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t-test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in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which are subfactors of peer interaction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of the homeroom teachers' questionnaires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reveal that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anged their behavior of peer interactions at the kindergarten in a positive way. Since there was no preliminary education about the program for the teachers, it was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no significant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of movements of peer interactions across the eight categori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paired-sample t-test on the scale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all the categories except for quality of gazing in Session 1 and quality and frequency of contacts in Session 3. Tho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using non-verbal communication is a psychotherapeutic approach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to the peer interaction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최근 한국의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 사회는 다문화·다인종 국가로 변하여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들도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 시점에 한국 사회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사회 속에서 잘 정착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취학하기 이전에 이미 언어적인 어려움과 함께 또래 안에서의 부적응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집단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활용한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또래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E구에 위치한 지역 주민 센터의 다문화 가정 아동들과 S구에 위치한 지역 주민 센터의 다문화 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치료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설정하였고, 치료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2012년 4월 16일 부터 5월 11일까지 주 2회로 60분씩 총 8회기의 비언적인 의사소통을 활용한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다문화 가정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 점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Fantuzzo, Coolahan, Mendez, McDermontt, & Sutton-Smith(1998)의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를 수정, 보완한 최혜영(2004)의 또래 상호작용 행동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다문화 가정 아동이 프로그램 안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8가지 범주 사용에 대한 또래상호작용 움직임의 점수변화를 측정하기 위해‘Suzi Tortora'(2005)의 Potential Nonverbal Communications Assessment Worksheet의 관찰법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프로그램에 사용된 8가지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범주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또래상호작용 움직임분석의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Suzi Tortora'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활용한 무용/동작 심리치료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이 연구에 적용된 ‘Suzi Tortora’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활용한 8가지의 범주는 시선 응시의 질, 얼굴 표정의 풍부함, 접촉의 질과 빈도, 음성 패턴, 몸의 형태, 비언어적 행위와 조절, 비언어적 행동양식의 템포이며 한가지의 범주를 한 회기의 단기목표로 사용함으로써 점진적으로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움직임을 강조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한 t-test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또래상호작용 검사 점수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담임선생님에 평정에 의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에 담임선생님들을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들이 유치원 안에서 변화된 모습이 보고된 자료를 함께 분석하였다. 또한 비디오 관찰을 통해 또래 상호작용 움직임에서 나타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8가지 범주에 대한 행동을 분석하여 측정한 점수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기 위해 Excel 2007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매 회기마다 도입부/결말부에 관찰, 측정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앞서 설명한 자료들을 토대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t-검증을 통해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담임선생님들로 부터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설문지에서는 다문화 가정 아동이 유치원 안에서 또래상호작용의 행동들이 긍정적으로 달라진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생님의 사전교육이 없었기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척도지에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8가지 범주에 대한 또래상호작용 움직임 분석 측정한 결과, 1회기의 시선응시의 질과 3회기의 접촉의 질과 빈도를 제외한 모든 범주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해 낸 결론으로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활용한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 가정 아동의 또래상호작용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끄는 심리 치료적 접근임을 밝히는 바이다.

      •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진선경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통시장의 개방으로 인해 양적으로 팽창되어 있는 우리나라 의류업체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Service Quality)의 강화는 치열한 경쟁환경 하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차별적이고 효율적인 신뢰획득의 수단으로써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직접적으로 이끌 수 있는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개발되어있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우리나라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측정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류점포의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 지각의 차이 및 의류점포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차원별 영향력, 그리고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서비스 품질 지각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현 상황에서 의류업체가 생존해 나가는데 꼭 필요한 대안, 즉 고품질 서비스로의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내에 위치한 6가지 유형의 의류점포(백화점, 독립된 유명상표 고급점, 중저가 대중전문점, 할인점, 대중도매점, 대중사입점)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성인여성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지는 의류점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성과’를 측정하는 부문, 의류점포의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부문, 인구통계적 변인을 측정하는 3부문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650부를 배부하여 성실하게 응답한 547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고, 자료분석 방법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크론바 알파 계수(Cronbach'α coefficien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과 Duncan-tes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존 문헌고찰 및 질적 조사를 통하여 4개 차원(개인적 상호작용, 정책, 편의, 시설 및 설비)의 22개 항목으로 구성된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2. 의류점포의 유형에 따라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 지각 및 차원별 서비스 품질 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은 백화점과 독립된 유명상표 고급점이 가장 우수하고, 중저가 대중전문점과 할인점, 대중사입점의 순으로 우수하며, 대중도매점의 서비스 품질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상호작용󰡓차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백화점과 독립된 유명상표 고급점, 중저가 대중전문점 및 할인점, 대중사입점 및 대중도매점의 순이었고, 󰡒정책󰡓차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백화점, 독립된 유명상표 고급점, 중저가 대중전문점 및 할인점, 대중사입점, 대중도매점의 순이었다. 󰡒편의󰡓차원의 서비스 품질은 백화점, 독립된 유명상표 고급점․중저가 대중전문점․대중도매점, 할인점 및 대중사입점의 순이었으며, 󰡒시설 및 설비󰡓차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은 백화점 및 독립된 유명상표 고급점, 중저가 대중전문점 및 할인점, 대중사입점, 대중도매점의 순이었다. 그리고 백화점 및 독립된 유명상표 고급점의 경우에는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4개 차원 중 󰡒개인적 상호작용󰡓차원의 서비스 품질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점포유형에서도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중저가 대중전문점, 할인점, 대중사입점, 대중도매점의 경우에는 󰡒개인적 상호작용󰡓차원보다도 󰡒정책󰡓차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의류점포의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차원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백화점󰡓의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에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차원은 개인적 상호작용, 정책, 시설 및 설비의 순으로 나타났고, 󰡒독립된 유명상표 고급점󰡓의 경우에는 개인적 상호작용, 시설 및 설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저가 대중전문점󰡓은 개인적 상호작용, 정책의 순으로, 󰡒할인점󰡓은 개인적 상호작용, 시설 및 설비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중도매점󰡓은 시설 및 설비, 개인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나타났고, 󰡒대중사입점󰡓은 개인적 상호작용만이 대중사입점의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 지각에 유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차원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들은 6가지 점포유형 모두에서 “개인적 상호작용” 차원을 다른 3차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었다. 4.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 소비자의 각 차원별 서비스 품질 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연령을 제외한 결혼여부, 직업,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소비자의 서비스 품질 지각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시설 및 설비” 차원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미혼여성이 기혼여성에 비해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직업 역시 “시설 및 설비” 차원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생산․서비스직만이 시설 및 설비의 서비스 품질을 가장 낮게 지각하여 그 외 모든 직업들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교육수준은 “정책” 및 “시설 및 설비” 차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의류점포의 정책 및 시설 및 설비 차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소득수준은 “편의” 차원을 제외한 모든 차원, 즉 󰡒개인적 상호작용󰡓,󰡒정책󰡓,󰡒시설 및 설비󰡓차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일반적으로 400만원 이상의 고소득 집단일수록 300만원 미만의 집단에 비해 위의 3가지 차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우수하게 지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측정 도구의 제시로 의류점포의 서비스에 대한 고객들의 평가 기준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의류점포 유형 및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소비자의 서비스 품질 지각의 차이와 의류점포의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차원별 영향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마케팅 관련자들은 의류점포의 유형별로 상대적 서비스 수준을 비교 분석할 수 있고, 이러한 분석 결과는 주요 경쟁기업에 대한 경쟁상황의 분석과 경쟁전략의 기초로 제공되어 의류점포의 운영목표에 따라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네트워크 약리학을 활용한 메니에르병에 대한 이진탕의 활성 성분과 치료 기전 연구

        진선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This study used a network pharmacology approach to explore the active compounds and therapeutic mechanisms of Yijin-tang on Meniere's disease. Methods The active compounds of Yijin-tang were screened via the TCMSP database and their target proteins were screened via the STITCH database. The GeneCard was used to establish the Meniere's disease-related genes. The intersection targets were obtained through Venny2.1.0. The related protein interaction network was constructed with the STRING database, and topology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CytoNCA. GO biological function analysis and KEGG enrichment analysis for core targets were performed through the ClueGO. Results Network analysis identified 126 compounds in five herbal medicines of Yijin-tang. Among them, 15 compounds(naringenin, beta-sitosterol, Stigmasterol, baicalein, Baicalin, Calycosin, Dihydrocapsaicin, formononetin, Glabridin, isorhamnetin, kaempferol, Mairin, quercetin, sitosterol, nobiletin) were the key chemicals. The target proteins were 119, and 7 proteins(TNF, CASP9, PARP1, CCL2, CFTR, NOS2, NOS1) were linked to Meniere's disease-related genes. Core genes in this network were TNF, CASP9, and NOS2. GO/KEGG pathway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se targets are primarily involved in regulating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such as excitotoxicity,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Conclusion Pharmacological network analysis can help to explain the applicability of Yijin-tang on Meniere's disease.

      •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교우관계의 관련성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진선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eer relationship Seon kyoung Jin Major in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and peer relationship examine whether any relevance. it has mediated effects of the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eer relationship there viewing at this purpose. Research issue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go- resilience and peer relationship between Are there any relevance? Second, does ego-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eer relationship? To conduct inspection questionnaire for children 365 people in the school, based in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more research to verify the problems analyzed 319 patients answered questionnaires enabling castle. Empathic understanding of the scale of the perceived level of teachers of children used in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scale of one of Carkhuff Go Eun-young(2001) revise the scal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operly Yang Jae-hui (2003). The scale measures the ego-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dified to fit the developmental level of use of the study measures the elasticity of a self-adaptive for the school Explore the child's Jeong Hye-yin (2010), consisting of a total of 24 questions. Finally, the scale for measuring the peer relationship of the elementary school is Kim Hyung-tae (1989) produced and Kim Young-jin (2005) complements this by modifying Jeong Hyeon-jin (2010) was used to modify the test used by the peer relationship. Data processing analysis of this study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basis of simpl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a research problem for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evance of peer relationship. In addi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z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in the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a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and peer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variables with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lso i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ship. Next was a positive correlation even between ego-resilience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verified mediated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evance of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and peer relationship. Ego-resilience has fully mediated that relevance between the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eer relationship. Research results show that more important factors than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teachers' empathic understanding is obviously a significant personal relationship, but internal factors of ego-resilience in children than it is in the peer relationship. Therefore, and in connection with the peer relationship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 student and teacher variables affecting factors suggest that the expected favorable growth of children with an amicable peer relationship form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eywords: empathic understanding, ego-resilience, peer relationship 국 문 초 록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교우관계의 관련성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학교상담전공 진 선 경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공감적 이해, 자아탄력성 및 교우 관계 간에서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교우관계의 관련성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공감적 이해, 자아탄력성 및 교우관계 간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교우관계의 관련성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갖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와 인천에 소재한 4개 초등학교의 아동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성의있게 답한 319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 수준 척도는 Carkhuff의 척도를 바탕으로 한 고은영(2001)의 척도를 초등학교 학생에게 알맞게 수정 보완한 양재희(2003)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또,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한 척도는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정혜인(2010)의 아동의 학교 적응성 탐색을 위한 자아탄력성 척도를 본 연구 대상의 발달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학생의 교우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김형태(1989)가 제작하고 김영진(2005)이 수정 보완하여 정현진(2010)이 사용한 교우관계 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기초 자료인 단순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 자아탄력성, 교우관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교우관계의 관련성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자아탄력성 및 교우관계간의 상관분석에서 세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자아탄력성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교우관계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자아탄력성과 교우관계 간에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교우관계의 관련성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에서는 교사의 공감적 이해와 교우관계의 관련성을 자아탄력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아동들의 교우관계에 있어서 환경적인 요인인 교사의 공감적 이해도 분명 유의한 관계가 있지만 그것보다는 아동의 개인 내적요인인 자아탄력성이 교우관계에서 보다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아동의 교우관계와 관련하여 영향을 미치는 학생 개인변인과 교사변인에 대한 고려를 통해 초등학교 아동의 원만한 교우관계 형성과 함께 아동의 바람직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핵심어 : 공감적 이해, 자아탄력성, 교우관계

      • Effects of Genetic Polymorphisms on Pharmacokinetics of Metoprolol and Omeprazole in Koreans

        진선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CYP2D6 및 CYP2C19의 유전적 다형성은 동양인과 서양인에서 차이가 있고, 약물대사에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YP2D6*10 유전형과 메토프로롤의 약동학 및 CYP2C19 유전자 일배체형과 오메프라졸의 약동학의 상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CYP2D6*10 유전형과 메토프로롤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한 한국인 지원자 107명을 대상으로 CYP2D6 유전형을 분석하여 세 군(*1/*1, *1/*10 및 *10/*10)으로 구분하였다. 각 군에 주석산 메토프로롤 100 mg (베타록□)을 단회경구투약하고, 혈장 중 메토프롤롤과 α-히드록시메토프롤롤은 HPLC-FS 검출기를 이용한 동시 정량법으로 분석하였다. 메토프로롤과 α-히드록시메토프롤롤의 약동학적 파라메타 및 대사분율을 세 군간에 비교하였다. CYP2C19 일배체형과 오메프라졸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50명의 건강한 한국인 지원자의 단일염기다형 및 일배체형을 분석하여 빈도가 0.1 이상인 세 개의 주요한 일배체형 (H1, H2, H3)을 발견하였다. H1/H1, H2/H2, H1/H2, H1/H3, H2/H3 군 (n=30)에 오메프라졸 40mg (로섹□)을 경구투약하고, 혈장 중 오메프라졸과 그 대사체인 5-히드록시오메프라졸, 오메프라졸 설폰을 HPLC-UV검출기를 이용하여 동시 정량하였다. 오메프라졸, 5-히드록시오메프라졸, 오메프라졸 설폰의 약동학적 파라메타 및 대사분율을 군간 비교하였다. CYP2D6*10/*10 군에서 메토프로롤 및 α-히드록시메토프롤롤의 AUC_(0)→_(∞), C_(max), 및 _(1/2)는 CYP2D6*1/*1 군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세 유전형군간의 대사분율 또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오메프라졸의 AUC_(0)→_(∞) 및 -(1/2)는H2/H2 및 H2/H3군이 H1/H1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p<0.05). H2/H2 및 H2/H3군에서 5-히드록시오메프라졸의 1/2는 H1/H1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다(p<0.05). 또한, 오메프라졸의 5-히드록시오메프라졸로의 대사분율은 다른 군보다 H2/H2 및 H2/H3 군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한국인에서 CYP2D6*10은 메토프로롤의 약동학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추후 CYP2D6의 기질로 작용하는 이와 유사한 의약품의 약동학적 특성 예측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인의 CYP2C19 일배체형에 따라 오메프라졸의 약동학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느린 대사군 예측에 이용하여 유사약물의 약동학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YP2D6 and CYP2C19 are clinically important in Koreans because of the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poor metaboliz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YP2D6 or CYP2C19 genotypes on the pharmacokinetics of metoprolol or omeprazole in Koreans, respectively. For CYP2D6, one hundred and seven volunteers were recruited and grouped as CYP2D6*1 / *1, CYP2D6*1 / *10 and CYP2D6*10 / *10 according to their genotypes. Metoprolol tartrate 100 mg (Betaloc□) was administered orally once to each subject in these three groups (n = 6, 7 and 5, respectively).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metoprolol and its metabolite, α-hydroxymetoprolol, and the metabolic ratio for the three groups were estimated for comparison. For CYP2C19, we analyzed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nd haplotypes of the CYP2C19 gene in 150 healthy Koreans and found three major (frequency > 0.1) haplotypes (H1, H2, and H3). Omeprazole 40 mg (Losec□) was administered to 30 subjects grouped as H1/H1, H2/H2, H1/H2, H1/H3, and H2/H3. The pharmacokinetics of omeprazole and its metabolites (5-hydroxyomeprazole and omeprazole sulfone) was analyzed.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AUC_(0)→_(∞)), th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_(max)) and the elimination half-life (T_(1/2)) of metoprolol and α-hydroxymetoprolol for the CYP2D6*10/*10 group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YP2D6*1 / *1 group (P < 0.05). The metabolic ratios of the three group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AUC_(0)→_(∞)) and elimination half-life (T1/2) of omeprazole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H2/H2 and H2/H3 groups than in the H1/H1 group (P < 0.05), while the metabolic ratios of omeprazole to 5-hydroxyomeprazole were markedly higher in the H2/H2 and H2/H3 groups than in other groups. The CYP2D6*10 allele and the CYP2C19 haplotypes altered the pharmacokinetics of metoprolol and omeprazole in Koreans, respectively. It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predict the pharmacokinetics of other drugs similarly metabolized by the CYP2D6 or CYP2C19 enzyme. In addition, CYP2C19 haplotyping method would be powerful tool in predicting the pharmacokinetics of omeprazole and other similar drugs.

      • 『악학궤범』에 나타난 아쟁에 관한 연구

        진선경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악학궤범에 나타난 아쟁에 관한 연구 진 선 경 이 논문는 관현악에서 저음부 선율을 담당하는 중요한 악기인 “아쟁”에 대하여 조선 성종 이전의 음악의 이론과 악기, 악현, 복식 등 음악이론을 집대성한 「악학궤범에」에 나타난 ‘아쟁’에 관한 기록을 분석하여 역사적 특징과 현행 아쟁과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성종24년(1493년)에 지은 「악학궤범」에 아쟁의 제도와 조현에 관한 기록이 그림과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고, 여러 음악의 진설도에 아쟁이 그려져 있다. 그러므로 아쟁의 악기론적 이론을 정리하는데 「악학궤범」은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구는 악학궤범(樂學軌範) 총 9권 가운데 ‘아쟁’에 관한 기록을 담고 있는 부분은 권2의 「속악진설도설(俗樂陳設圖說)」과, 권5의 「시용향악정재도설(時用鄕樂呈才圖說)」에 ‘아쟁’이란 명칭만 11회 나타나고, 권7의 「당부악기도설(唐部樂器圖說)」중에 ‘아쟁조(條)’에 아쟁의 도설(圖說)과 제도(制度)가 를 분석하였다. 첫째, 「악학궤범」 권7의 아쟁도설을 통하여 현재까지 알고 있는 아쟁의 제도와 재료, 조율법이 바르게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악학궤범에 기록된 아쟁의 활대는 지금까지 알려진 개나리나무 가지가 아닌 황매화 나무 가지이다. 악학궤범 시절 아쟁의 뒤판은 느릅나무를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앞판과 같이 오동나무를 사용하고 있는 것도 다른 점이다. 현행 아쟁은 창작곡과 관현악연주를 위하여 10현까지 줄의 수를 늘이고 부들을 없애고 봉미를 짧게 하여 줄을 봉미에서 바로 달 수 있도록 하였다. 악기의 길이와 폭은 더 커졌다. 둘째, 「악학궤범」 권2와 권5의 악기진설(樂器陳設) 통하여 아쟁을 사용한 악곡과 아쟁 배치에 대한 특징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공통적인 특징은 향당교주나 아당악기가 배열될 때 아쟁이 진설되어 조선 성종때까지 아쟁은 당악기로 취급하였다는 알 수 있다. 또한 항상 ‘대쟁(大箏)’과 짝을 이루어 배치하여 아악기인 금과 슬같이 상호보완적인 악기였다고 하겠다. 셋째, 악학궤범에 나타난 아쟁의 특징과 현행 아쟁의 제도와 조현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악기의 산형(散形)에 나타난 조율법은 당악조는 현행과 같으나, 향악조는 현재와 다르다. 악학궤범의 향악조 조율은 평조와 계면조 모두 5현을 중심으로 황종(潢鐘)에 맞추어 조율하였으나, 현재는 평조와 계면조 모두 4현을 중심으로 조율하고 있는 점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악학궤범」에 소재(所載)한 ‘아쟁’에 관한 기록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세부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던 분야에 대한 연구를 미진하게나마 이룰 수 있었다. 앞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세부적인 연구가 거듭되기를 기대한다.

      • 장용학 소설의 동굴 모티프 연구

        진선경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장용학 소설 중에서 「요한 詩集」「非人誕生」「易姓序說」「現代의 野」「圓形의 傳說」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다섯 개 작품 중 「요한 詩集」「非人誕生」「易姓序說」「圓形의 傳說」에서는 '동굴' 이라는 모티프가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現代의 野」에서는 신화학이나 심층심리학적 입장에서 볼 때 '동굴' 모티프와 공통된 原型性을 포함하고 있는 '무덤' 모티프가 나타나고 있다. 이 다섯 개 작품은 용학의 작품 가운데 가장 관심의 초점이 되어온 작품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용학 작품의 연구성과 중에는 그의 작품에서 '동굴'이 빈번히 등장했던 이유와 그 모티프가 나타난 작품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의 다섯 개 작품들 속에 일관되게 '동굴' 모티프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그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동굴' 모티프를 전체적으로 파헤치고 정리하여 작가가 그의 작품들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 또는 주제의식을 찾아보기로 했다. 본 논문 Ⅱ장에서는 먼저 '동굴'이라는 공간 모티프의 일반적 상징 의미에 대해 살펴 보았다. 동굴이 심리학적·신화적으로 상징하는 바와 용학 작품이외의 문학작품들 속에 나타난 동굴의 상징적 의미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위의 다섯 개 작품을 작품 발표순에 따라 「요한 詩集」「非人誕生」「易姓序說」「現代의 野」「圓形의 傳說」까지 작품별로 작품 전체 주제와 연관하여 '동굴' 모티프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용학은 먼저「요한 詩集」에서 진정한 자유에의 자각과 그것을 쟁취하기 위한 시련·시도를 표현하는 데 있어 '동굴' 이라는 모티프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非人誕生」「易姓序說」의 일련의 연작소설에서 현실세계를 거부하고 반문명의 세계인 天動時代에 이르기 위한 接點으로서의 역할을 '동굴'이라는 공간 모티프가 하고 있다. 또, 「現代의 野」에서 '동굴'은 새로운 세계를 꿈꾸는 자의 능동적인 投身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圓形의 傳說」은 용학의 '동굴' 모티프 완결판이라 할만큼 그의 앞서 발표된 소설들에서 보인 주제나 관심영역을 확대 부연하고 있는데, 이 작품 속에서 '동굴'은 일체의 제도와 구속이 없는 이상향의 세계를 상징하며 그러한 이상향을 思惟할 수 있는 관념의 공간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작품들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용학이 현실세계에서의 모든 부조리를 벗고 本來的 인간으로의 회복을 갈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작가가 전체 작품들을 통해 일관되게 드러내고자 한 생각은 바로 진정한 '자유에의 갈망'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자유에의 갈망'이라는 메시지를 드러내는데 있어 '동굴'이 지닌 原型, 상징성 등은 용학이 '동굴'이라는 공간 모티프를 매우 유용한 모티프로 빈번하게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iscuss Jang Yong Hak novels including Yohan Sijip, Biintansaeng, Yeokseongseoseol, Hyeondaeeuiya and Weonhyeongeui Jeonseol. There is a common motif, 'cave,' in four out of the five works of literature: Yohan Sijip, Biintansaeng, Yeokseongseoseol, and Weonhyeongeui Jeonseol. And Hyeondaeeuiya has a 'grave' motif that corresponds to 'cave' from the standpoint of mythology or in-depth psychology, as both are an archetype. The five novels gained most attention among Yong Hak work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o dig into his novels with the 'cave' motif and why that motif appeared frequently in his works. It's meant, therefore, in this study to take a comprehensive look at the 'cave' motif in his works and figure out their theme or what the writer intended to say about, since that motif was dealt with in all the five works. Chapter II described the general symbolic meaning of the spacial motif of 'cave.' What it stands for psychologically and mythologically and what it refers to in the works of other writers were explored. And then, the symbolic meaning of cave associated with the themes in each of the five novels was discuss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they were released. In Yohak Sijip, Yonghak chose the 'cave' motif to express a real awakening to freedom and ordeal that the hero suffer to win freedom. In the serial novels of Biintansaeng and Yeokseongseoseol, the spacial motif of 'cave' was used as a point of contact to reject the real world and reach the Cheondongsidae, or the uncivilized age, which means the world of anti-civilization. In Hyeongdaeeuiya, 'cave' played a role as a space where the hero who dreams of new world positively tries to find the new world. Finally, Weonhyeongeui Jeonseol enriched the themes and topics in the preceding novels to an extent that it's considered the perfection of his 'cave' motif. In this work, 'cave' stands as a symbol of an utopia that isn't bound by any system or restriction. At the same time, it's emerged as an ideological space where one could meditate on such an utopia. By studying the novels, it's found that Yonghak yearned for human being's restoration to his or her original being by casting away all the regularities in the reality. In conclusion, the writer could be said to consistently pursue 'a true freedom' throughout all his works. In revealing the message of 'a longing for a true freedom,' Younghak was able to repeatedly use 'cave' as a very useful motif owing to its archetype and symbolism.

      • 현대 주거공간을 위한 가변형 가구디자인 연구

        진선경 경일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rapid urbanization phenomenon in modern society has resulted in making living spaces smaller and changing living environments, and there are lots of problems with furniture produced in our country. All the situations make it hard to capitalize on spaces in an efficient manner. In order to ensure the efficient, practical and rational utilization of narrow living spaces, current living spaces should closely be analyzed, and there should be an ensuing change in furniture. Due to the spread of nuclear families and unmarried people, single- person households are on the rise, which are not in want of large furniture. They prefer the kind of unique furniture that is small, highly efficient, variable and makes a space around it aesthetic. Modern furniture should be appropriate to a limited space, and fit into the individuality and complex life style of users. At the same time, that should be multipurpose, economical, aesthetic, rational and comfortable. Existing variable furniture produced in our country highlights practicality in light of a space in which it is installed. In contrast, its decorative effect doesn't seem to be considered important. So that isn't successful in creating an unique and original space because of the lack of harmony between practicality and decorative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variable and multipurpose furniture in an effort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a limited space and to help users create an unique aesthetic space. Specifically, the focus of the study was placed on enhancing the practicality of furniture and its ornamental effect that was related to the assembly of components.

      • 관현악곡을 활용한 음악 지도 방안 : 중학생을 중심으로

        진선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음악을 실생활 속에서도 즐기고 음악적 창의 표현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음악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로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탐색하고 악곡의 구조를 이해하기에 용이한 관현악곡 비발디의 <사계>,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벤자민 브리튼의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을 중심으로 여러 음악 활동 중 학생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감상 영역에 대한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감상 영역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을 살펴보았다. 둘째, 현행 중학교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감상 활동을 살펴보고 감상 활동에 따라서 감상활동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셋째, 현행 18종 중학교 교과서에서의 관현악곡 비발디 <사계>,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벤자민 브리튼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에 제시된 악보를 바탕으로 악곡을 분석하고 지도해야 할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넷째, 현행 18종 중학교 교과서에서의 관현악곡 비발디 <사계>,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벤자민 브리튼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에 제시된 감상 활동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제시 빈도에 따라 강조되는 활동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교과서에서 강조되고 있는 활동을 바탕으로 2009개정 교육과정 내용체계 중 감상 및 생활화영역을 강조한 지도 방안을 재구상하고 4/4차시에 해당되는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적 요소의 이해와 함께 악곡을 직접 느끼고 표현하는 기회를 주어 창의적인 음악적 사고를 키워주기 위한 교수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음악 감상 수업에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실생활 속에서도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감상 지도의 방안을 생활화 지도와 연계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음악을 즐길 수 있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실제 지도 방안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로서 제공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학습자가 음악적 지식과 기능을 실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에 효과적인 감상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