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유치원-초등학교 연계 연수 프로그램 개발

        이진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A B S T R A C T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about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Lee, Jin Woo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Kim, Chang Bok Every March, the media is always full of reports about 1st-graders suffering from a case of ‘New Semester Syndromes’ as they enter elementary school and get exposed to an entirely new world that they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As a resul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re emphasized, as more and more children are suffering headaches, abdominal pain, lethargy, and lack of appetite due to institutional maladjustment. With parents and teachers showing interest in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ignific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Reflecting this, this study has begun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teachers must lead the chang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tinuity’ while confirm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rom a pedagogical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what it means to experience a training program that focuses on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during the ‘teacher training’ stage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present a practical alternative that could be used in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centered on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detailed research tasks s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order to enhance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 effective training program that focuses on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an be applied to all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all be designed. 2. After implementing the training program designed, analyze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knowledge, skills, and the attitud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hile also analyzing their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program and requests. 3. Develop a final draft of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applic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sts of five stages: Stage 1 - Analysis; Stage 2 - Design; Stage 3 - Preliminary Application of the Designed Training Program; Stage 4 - Effectiveness Verification, Feedback from Experts, and Program Revision; and Stage 5 - Writing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In the first stage, a literature review on prior studies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an analysis of the demand for a training program that focuses on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has been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s(FGI) with two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7-year-olds and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first-graders.In the second stage, an initial draft of the training program has been written based on the demands found in the earlier stage. Then, the feasibility and suitability of the draft has been secured through an expert review who are one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wo professors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third stage, the program has been applied preliminary. In the fourth stag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as been verified. Then, after receiving feedbacks from experts, the program has been modified. After all the courses have been completed, the final draft of the train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in Stage 5.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e five-stag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enhance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 detailed goal for achieving the main purpose is to improve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garding the following three aspect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Secondly, the main contents of the program has been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aspect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knowledge’ aspects include ‘understanding the concept,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even-year-olds and elementary school's first-graders’ and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first-graders’. ‘Skill’ aspects includ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guidance methods that can be applied on elementary school's first graders’ and ’planning and operation of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ogram for smooth adaptation of first-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attitude’ aspect consists of 'the willingness to take over the role of a first-grade homeroom teacher' and 'confidence in performing the role of a first-grade homeroom teacher'. Third, the ma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program were selected as learner participatory methods. The learner-centred participato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ve been mainly composed of ‘conversation-based’, ‘hands-on (practice-based)’, and ‘discussion through actual case’ methods, focusing on promoting ‘voluntary learning’ by securing enough time for the participants to share their thoughts with the program instructor and their colleagues. In order to finally confirm the program development plan, the program that has been conceptualized in the design phase have went through a preliminary application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cess. 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as been verified through a series of pre-application & post-application surveys. In addition, the program's effectiveness verification process has been improved through the feedbacks collected in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that has been conducted on some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etence on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aspects-knowledge, skill, and attitude.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a desire to learn and increase their expertise and establish an ideal educational perspective as a teacher. Third,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effects and advantages of participatory teaching/learning, which is the main teaching/learning method presented in the program, and the demand for participatory classes has increased.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preliminary program,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ir skills on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eacher expertise has improved significantly. Therefore, the final program has been confirmed and proposed after making additional modifications.   Keywords: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eacher Competenc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Continuity Training Program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July 2021. 논 문 요 약 예비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유치원-초등학교 연계 연수 프로그램 개발 이 진 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창 복) 매년 3월이 되면 ‘새 학기 증후군’을 겪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에 대한 언론 보도가 이어진다.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급격한 변화를 겪는 아동이 기관 부적응으로 인해 두통, 복통, 무기력, 식욕부진 등을 호소하는 상황이 늘어가면서 유·초 연계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교사와 학부모를 주축으로 유·초 연계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현장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런 점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유·초 연계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교육학적 측면에서 확인하고, 연계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먼저 변화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원 양성단계에서부터 유·초 연계 연수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고찰하고,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유·초 연계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세부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 초등교사의 유·초 연계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초 연계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2. 설계한 유·초 연계 연수 프로그램을 예비로 적용한 후, 예비 초등교사의 유·초 연계 교육 관련 지식, 기술, 태도의 변화 및 프로그램 만족도와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3. 유·초 연계 연수 프로그램의 예비 적용의 결과를 반영하여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유치원-초등학교 연계 연수 프로그램의 최종안을 개발한다.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유·초 연계 연수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1단계 분석, 2단계 설계, 3단계 설계한 연수 프로그램 예비 적용, 4단계 효과성 검증 및 전문가 피드백, 프로그램 수정, 5단계 프로그램 최종안 작성의 총 5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기 위해서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만5세 담당 유아교사 2인, 초등학교 1학년 담당 초등교사 2인의 전문가 심층면담(FGI)을 통해 유·초 연계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 요구를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의 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유아교육과 교수 1인, 초등교육과 교수 2인의 전문가 검토를 통해 타당성과 적합성을 확보하였다. 3단계에서는 구상한 프로그램을 예비로 적용하였으며, 4단계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후,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아 프로그램을 수정하였다. 모든 과정을 수행한 후, 5단계에서 연수 프로그램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5단계의 과정을 거쳐 개발한 프로그램 최종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유·초 연계 교육 역량 증진이다.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목표는 지식적 측면, 기술적 측면, 태도적 측면에서 예비 초등교사의 유·초 연계 교육 역량 증진이다. 둘째,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지식-기술-태도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운영하였다. 지식 측면은 ‘유·초 연계 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필요성 이해’, ‘만5세 유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발달 특성 이해’,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이해’를 포함한 내용이고, 기술 측면은 ‘1학년 아동에게 적합한 학습 지도와 생활 지도 방법’, ‘1학년 아동의 원활한 적응을 위한 유·초 연계 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이다. 태도 측면은 ‘1학년 담임교사 역할에 대한 의지’와 ‘1학년 담임교사 역할에 대한 자신감’을 포함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주요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 참여형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학습자 참여형 교수·학습 방법은 주로 대화형, 실습형, 사례를 통한 토론형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프로그램 강사, 동료와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자발적인 학습이 일어나게 돕는데 중점을 두었다. 최종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안을 확정하기 위하여 설계 단계에서 구상한 프로그램을 예비 적용한 후, 사전, 사후 설문조사 응답을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 참여 대상 중 일부와 심층 면담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보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의 유·초 연계 교육에 대한 교사 역량은 지식-기술-태도의 모든 측면에서 유의미한 향상도를 보였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는 교사의 전문성과 올바른 교직관을 확립하고자 하는 학습 의욕을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주요 교수·학습 방법인 참여형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와 장점을 이해하고, 참여형 수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졌다. 예비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예비 초등교사의 유·초 연계 역량 및 교사 전문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종 프로그램 안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을 추가적으로 수정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여 제안하였다. 주요어: 유치원-초등학교 연계 교육, 교사 역량, 예비 초등교사, 연계 연수 프로그램 *본 논문은 2021년 7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전문직 준비과정에 관한 연구

        서인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어떤 이유로 초등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결심하고 준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직과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 준비를 시작하게 된 주요 원인을 알아보고 임용시험 준비과정에서의 대응전략을 분석하여 교사로서의 직무 및 생활에 갖는 의미를 알아보며 나아가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제도 개선의 시사점을 얻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에서 초등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희망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준비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응시 준비과정은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및 생 활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20년도 서울시교육청 초등교육전문직 임용후보자 공개채용시험을 준비하는 서울 관내 초등학교 교사 8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을 희망하는 동기는 빠른 승진의 방법, 학급‧학교조직에서 지방‧중앙교육행정 조직으로 이어지는 영향력 행사 범위의 확장, 관리자의 갑질과 학부모 민원으로 인한 교사 소진과 감정노동에서의 도피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 참여자 대부분 한 가지 이유가 아니라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교육전문직 전직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 중 연구 참여자 전원이 밝힌 동기 요인은 승진이었으며, 기존의 승진서열 경쟁과는 다른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교육전문직 전직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준비전략을 알아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동료교사와 자료공유를 하고 사회적 지지관계를 형성하였다. 또한 업무 외 시간을 활용하여 개인학습을 병행하며 교육력 제고를 위해 학위취득, 연구교사제, 보직교사 경력, 파견근무 등 다양한 교육활동을 하고 관리자와 동료교사로부터의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을 위해 학교 및 학년업무에 충실하였다. 교사들은 준비과정에서 교육학 지식을 쌓으며 최신의 교육정책의 흐름을 파악하고 보직교사로서 사업기획안을 구상하게 된다. 또한 시범수업과 수업분석을 병행하며 장학능력을 키우고 집단토의 준비를 통하여 타인과의 협력적 의사소통능력을 신장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셋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응시 준비과정은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서의 성장을 도왔지만 교사 소진과 반복된 불합격으로 인한 자존감의 하락, 무기력을 학습하게 하였다.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전문성 신장을 이루었고, 교육이론과 정책을 학교 및 교실수업 현장에 적용해 볼 수 있었으며, 장학능력 및 교육행정 지식을 탑재하여 교과지도 능력 발전을 이루었다. 교사 자신의 교육력을 제고하는 대내외의 다양한 교육경험을 하는 동시에 학교 및 학급 경영에도 충실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교사의 일상생활은 이어지는 수험생활로 소진회복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근무평가 및 동료평가점수를 지나치게 의식하여 관리자 및 동료교사와의 갈등에 소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자존감 하락을 경험하게 하였다. 또한 반복된 불합격은 학습된 무기력으로 이어졌다. 그럼에도 교사들은 비교적 폐쇄적인 교직사회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얻고 자기 발전을 이루기 위하여 재도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논의에서는 승진에 대한 교육정책 현황 및 선행연구에서의 교원의 인식을 다루며 변화하는 교육정책을 통해 교육전문직으로의 전직동기가 더 이상 승진에만 있지 않을 것임을 보였다. 또한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의 전형이 지나치게 지필평가에 의존하여 장학행정의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견해들을 다루었으며 이는 평가 영역 및 방법의 다양화, 외부 평가자를 포함한 평가위원회 구성을 통한 전형절차의 투명성 확보를 통하여 극복할 수 있고, 수업결손을 위하여 교사의 현재 업무 수행능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교사이자 수험생의 역할갈등으로 비롯된 교사소진이 학생의 학습권 침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다루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임용시험 전형에서 학급경영 및 교과지도 영역을 추가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논의에서 다룬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교육전문직 전직제도가 승진의 방법으로서의 역할과 교육행정직의 현장성을 강화하는 역할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전형의 영역과 내용을 직전교육과 현직 교육에 적용해야 한다. 셋째, 초등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의 전형에 학급경영 및 교과지도 영역을 추가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교육청 교육전문직원 선발임용 시험에 응시한 초등학교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전직시험 지원동기 및 준비과정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서울을 제외한 지역 및 교육부의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준비과정의 사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전문직을 준비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의 입장에서 준비전략 및 여러 고충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교육전문직 임용시험 제도를 다루었으므로, 관리자 및 동료교원의 관점에서 교사의 교육전문직 준비로 인하여 겪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새로 시행되는 임기제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교사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wh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cide to change their career as a educational supervisors. So in this research, I will see the process of the preparation for the changing careers and the effects on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what is the main goal of their changing careers and also examine the strategies of their preparation for the exams, and also will see the meaning and lives of their career as a teacher. And also. will se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and get the improvement poi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sets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ir main purpose to wish career move as educational supervisors? Second, what is their strategies to prepare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ird, what meanings are in their elementary teachers’ career lives as they prepare this exam?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I had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ho are preparing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 an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to move their career is to find the fast way to promotion, to expand influence in provincial, state administration, not only the class and the school. And also, there is a motivation to escape from big powder trip of elementary school supervisors and emotional labors, and also they feel the lack of energy from parents’ complaints. But many interviewees said that there is not only one reason to move careers but also many combinations of reasons. And the motivation from all interviewees were promotion, and they gave important meaning that there is a different way from preexistence promotion method. Second, as we research the strategies for the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the interviewees had social supporting relation with other teachers as they share the materials for the exam. And they spent spare time to study their personal research and they had many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getting degrees, getting career as a research teacher, chief teacher. And they had enthusiastically did their class and school business for their positive images from other teachers and supervisors in the school. In the process, they accumulate pedagogy intelligence, figure out the newest educational policies flow and map out business plans as chief teachers. And they do many open classes and analysis their classes and raise their educational ability. They prepare to have many group discussions to improve their social communication skills with other people. Third,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exam helped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teacher in many ways. but they lack of energy and as they keep failing to pass the exam, they suffer from a lack of self-regard, and became lethargic. They had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had professional development, had many chances to apply the pedagogy policies on the class and the school, and also had educational skills and intelligence to develop their abilities. They had many educational experiences to develop not only their personal educational skills but also being faithful to their duties. On the other hand, their everyday life has been suffered and did not recover from undertaking the exam, and they were too conscious of the assessment from other teachers and supervisors. So they handle the conflicts too passively, and it leads to lack of self-regard. But interviewees keep challenging to certification exams to get self development and the new experiences in closed school society. In this research, there is a discussion of the educational policy for the promotion of teachers and also a awareness of teachers from the precedent research. So there will be discussion that the motivation of teachers to moving careers to supervisors is not only in the promotion itself. And there is a discussion that the educational supervisors certification test itself is mostly depend on the written paper-based exams, and that leads too chimerical exam. So i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way that the diversity of the methods and the fields are needed, and also can be improved by ensure transparency including external examiners. System is needed to examine teachers’ work performance in diverse ways. Finally. in the discussion, as both teacher and the test-taker, as they get conflict between the parts, there can be invasion for the students’ right to learn. So there is a opinion that the examination should include about teaching students and the class management. In the research,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 balance in the certification exam is necessary between the way of promotion and the field experiences of the educational supervisors. Second, the examination methods and contents should include both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the present education. Third, in the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class management and the teaching skill should be included. By these conclusions, I suggest the following research as below: First. in this research, I had a interview about the motivation of changing the career, and the preparation process with Seoul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test-takers. So the research about the other region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policy about the certification examination is needed except Seoul. Second, there is only a discussion with teachers’ about position of preparation strategies and many difficulties of them om this research. So from the school superivisors’ and the other teachers’ in the school perspectives are needed. Third, there is a new policy about educational supervisor certification examination, which has electoral terms, so the research that covers this issue is also needed.

      •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윤정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논 문 요 약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윤 정 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창 복) 본 연구는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어떻게 발달해 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관점을 ‘지식과 기술 발달’ ‘자기이해 발달’ ‘생태적 발달’로 나누어 멘토링을 실시하였으며 멘토링 과정에서 영아교사가 느끼는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멘토링을 통해 영아교사의 전문성은 어떻게 발달해 가는가? 연구문제 2. 멘토링을 통해 영아교사가 경험한 의미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P시에 위치한 국공립 S어린이집 교사 6명을 대상으로 멘토링 교사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의 방법 중 사례 연구가 이루어졌다. 멘토링의 과정은 비참여 관찰, 면담, 연구 참여자 저널, 현장노트가 자료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의 과정을 거쳐 개념화하였으며 이를 범주화하는 과정을 통해 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삼각검증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크게 두 가지로 범주화되었는데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영아교사의 경험의 의미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멘토링을 통한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은 지식의 형성으로 성장하는 교사 되어가기, 새로운 나 더 나은 나 되어가기, 사회적 관계를 넓히는 교사 되어가기로 분석되었다. 지식의 형성으로 성장하는 교사 되어가기는 기존의 지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을 형성하여 전문성 발달을 이루는 교사의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목표의 중요성을 깨달음, 놀이지원을 위한 개입수준에 대한 관심, 기질로 문제행동을 풀어가는 것에 대한 이해, 이론과 실제를 통합하는 지식의 적용, 발달에 적합한 기대감을 갖으며 성숙해 가는 교사의 모습이 나타났다. 새로운 나 더 나은 나 되어가기는 성격강점검사를 통해 현재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새롭게 인식된 자신의 모습과 강점을 파악하였으며 자기계발을 위한 계획을 세워 더욱 발전하고자 하였다. 이는 나와 마주하는 기회가 되어 알아가는 나, 나에게 새로운 강점이 있음을 인식한 재발견된 나, 자신의 강점을 기여하여 유익을 주는 나, 습관 길들이기를 통하여 잘 되는 내가 되고자하였다. 사회적 관계를 넓히는 교사 되어가기는 어렵게 느껴졌던 학부모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동료 교사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조직의 문화를 이루려는 의지가 나타났다. 이는 관점을 바꾸는 것은 좋은 관계의 씨앗, 모델링과 피드백을 통해 관계성 키워가기, 친밀함과 신뢰감을 느끼는 관계의 성장, 자신을 직장의 대표자로 인식하여 조직 문화를 꽃피우기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을 통해 영아교사가 느끼는 경험의 의미는 어려움이 있는 멘토링, 격려와 배움이 있는 멘토링, 변화를 경험하는 멘토링, 꿈을 꾸는 멘토링으로 분석되었다. 멘토링에 대한 부정적 의미인 어려움이 있는 멘토링은 멘토 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 멘토 교사의 개인적 역량에 대한 염려, 멘토링을 위한 시간조정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격려와 배움이 있는 멘토링은 멘티 교사가 경험한 의미로써 격려, 인정, 존중 등의 정서적 지지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느꼈으며 다양한 전문적 지원은 배움의 기회가 되었다. 이는 인정과 격려의 정서적 지지, 교수법의 격려를 통한 지지, 배움의 기회에 대한 감사로 나타났다. 변화를 경험하는 멘토링은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고 반성적 사고와 새롭게 알게 된 지식을 적용하고자 하는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멘토링의 과정은 멘토 교사 역시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열정적인 멘티 교사의 지원은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나 보람을 느끼게 되었다. 이는 서로를 알아가며 깊어진 친밀감, 반성적 사고를 통한 실천적 의지, 함께 성장하는 멘토 교사, 성장을 지켜보는 보람으로 나타났다. 꿈을 꾸는 멘토링은 자신의 내면에 갖는 바람으로 자신도 누군가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 싶은 멘티 교사의 바람이었고 보육교사로서 자신의 직업에 대한 긍지를 보였으며 영아교사로서의 신념을 확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멘티 교사가 좋은 멘토 교사가 되고자 자신의 멘토상을 그려나감, 교직에 대한 긍지, 교사로서의 신념을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멘토링을 통해 영아교사들은 지식의 형성으로 보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 나아갔고 자기이해 과정에서 교사로서의 신념을 확립해 나갔으며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친밀하고 신뢰로운 관계형성과 올바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자 하는 긍정적 의지가 나타났다. 또한 멘토링의 경험은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나 멘토 및 멘티 교사 모두의 성장으로 더 큰 기쁨과 보람이 있어 멘토링은 영아교사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으로 인식되었다. 주요어 : 멘토링, 영아교사, 전문성 발달 * 본 논문은 2017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관한 사회환경교육 전문가의 인식유형

        오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관한 사회환경교육 전문가의 인식 연구를 한 후 이를 유형화하고, 유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인식 유형의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의 연구 절차를 활용하여 41개의 Q 표본을 작성하였고, P 표본의 경우는 본 연구의 선정기준을 충족한 사회환경교육 전문가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Q 표본의 분류 단계에서는 추가로 후속 면담 및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자료처리 단계에서는 QUANL PC Program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로 다음과 같은 사회환경교육 전문가의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가치 연계 지식 추구형으로 현실과 연계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평생학습 차원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활성화하려고 노력하는 유형으로 환경 영역 뿐 만 아니라 사회, 경제 영역에 대한 관심이 크고 사회환경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려고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규범 연계 태도 추구형으로 지자체를 신뢰하고 환경교육을 중심으로 협력과 소통을 통해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신념 연계 행동 추구형으로 생활 속에서의 실천 즉 환경행동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위해서 전체적인 교육시스템의 검토와 변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세 유형 모두 ‘효과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서는 학교와 사회 두 영역을 비롯한 지역사회간의 상호협력이 아주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이런 유형간 공통 의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지자체 구성원들의 인식변화를 위한 노력과 교육 시스템 전반에서의 통합적인 접근,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하여 평생학습차원의 생애주기별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행된다면 지속적인 환경행동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서 지속가능발전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진화하고 발전하는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의 특성과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하여 각 지자체별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의 연계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향후에는 지도자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치관, 태도의 정립 등을 포함하는 지속가능발전행동에 관한 모형이나 이론의 수립에 관한 논의 및 연구가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erception study of experts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hen to typify it, and explore commonalities,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types. To this end, 41 Q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research procedures of the Q methodology in this study, and 42 experts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met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P sample. In the classification phase of the Q sample, additional follow-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data processing phase, we utilized the QUANL PC Program, and our findings derived from experts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following three perceptions types as follows; First, the value-linked knowledge-seeking type tries to vitaliz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inked to reality with the community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It is very interesting in not only environmental fields but social and economic ones, and try to actively condu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 the norm-linked attitude-seeking type can be seen as considering th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implemented throug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focusing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rusting the local government. Third, the belief-linked behavior-seeking type can be seen as considering that practice, environmental behavior, is very important in everyday life and recognizes that the overall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reviewed and transformed for this purpose. All three types recognized that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including schools and society,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based on common consciousness among these typ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reached: I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implemented based on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s of local government members, integrated access across the education system, and connections with the community,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can be achieved.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should continue on the link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local communities in each local govern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evolving and develop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uture, discussions, and research need to be conducted separately on the establishment of models or theori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behavior, including the values and attitudes of leader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온라인 기반 파닉스 교사교육의 효과 및 개선 방안

        박은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기반 파닉스 교사교육의 효과 및 개선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에서 사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사교육 교사의 전문성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의 사교육 교사 대상 교사교육의 경험을 바탕으로 온라인 기반 파닉스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체계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그 효과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파닉스 교사교육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 양상을 살펴본다. 둘째,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이러한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닉스 지도에 관심 있는 교사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11주에 걸쳐 온라인 플랫폼 줌(zoom)을 사용하여 실시간 비대면 교사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기존에 Y교사교육 기관에서 대면, 비대면 온라인 강의 시 활용했던 파닉스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파닉스 사전 지식 테스트, 사전 설문, 두 차례에 걸친 사후 설문과 면담, 연구자 일지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범주화하였고, 질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온라인 기반 파닉스 교사교육은 이론 지식의 체계적 확립과 각운의 이해와 활용을 통한 교수법 향상을 통해 교사 전문성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쳤다. 파닉스 이론 지식의 부재 및 부족으로 파닉스 지도와 학원 운영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던 교사와 학부모들이 교사교육을 통해 파닉스의 정의, 파닉스를 지도하는 올바른 순서, 영어의 자음과 모음에 대한 이해 등의 체계적인 이론 지식을 습득하였다. 습득된 파닉스 이론 지식을 통해 학원 운영 및 학생 지도, 구체적인 수업 운영에 있어 교사 전문성을 갖춘 문제해결력을 가지게 되었음을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교사교육을 통해 파닉스 지도 시 각운의 중요성과 활용을 이해한 교사들이 각운 활용 교수법을 적용하여 파닉스 수업을 진행하면서 일반적인 교수 상황에서뿐만 아니라 사교육을 받기 어려운 시골지역의 학생들, 중학생 영어 학습 부진아들을 지도할 때도 각운 활용의 효과가 뛰어났음을 볼 수 있었다. 파닉스 지도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활동에 대한 조사에서도 모두 각운을 활용한 활동이 선택된 점에서 각운 활용이 파닉스 지도에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 과정을 통해 파악한 온라인 교육의 장⋅단점을 기반으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기술 지원과 교수자 역할의 재조명이라는 온라인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11주 동안 진행된 온라인 교육을 통해 참여자들이 직접 느낀 온라인 교사교육의 장점은 시공간의 제약 극복, 높은 집중도, 파일 공유의 편리성 등이었으며, 교수-학습자간 그리고 학습자들간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인한 참여자들의 수동적인 참여, 교수자의 온라인 플랫폼 활용 기술에 대한 숙련도 부족에서 오는 온라인 교육의 불편함 등이 단점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가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사교육의 교사 전문성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교사교육, 특히 사교육 교사를 위한 다양한 교사교육 제공과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파닉스뿐만 아니라 영어 교육의 다른 영역, 예를 들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 4기능 영역과 어휘, 문법의 영역을 어떻게 잘 지도할 수 있을지에 관한 사교육 교사를 위한 다양한 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교사교육은 참여자들에게 교과목 관련 이론 지식의 체계적 확립과 효과적인 교수법의 습득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교사 전문성을 향상 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사교육 교사교육 제공과 함께 관련 연구의 필요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교육 교사교육에 관한 지속적 연구는 사교육 교사를 위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며 이는 교육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온라인 교사교육의 장⋅단점을 기반으로 앞으로 온라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면대면 교육에서 온라인 교육으로의 변화는 온라인 교육의 과도기적 문제점을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온라인 교육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기존 면대면 교육과 혼합 형태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으로 미래 교육의 방향을 잡아 나가면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위와 같이 온라인 기반 교사교육에 긍정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할지라도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파닉스라는 특정 영역에 국한되어 있어 후속 연구를 통해 영어의 다른 영역 관련 교사교육의 효과, 교사교육이 교과내용의 전문적 이해와 교수방법 이외의 다른 교사 전문성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힐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온라인 교사교육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 온라인 교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위한 두 가지 제언을 하였다. 하지만, 면대면 교육의 효과와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온라인 교사교육의 효과를 심도 있게 논의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온라인 교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위한 두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수-참여자, 참여자들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 줌 플랫폼에서는 소그룹 회의 기능, 채팅 기능 등이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 구현되는 기술이지만, 기존의 면대면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력은 아니다. 이에 온라인 교사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상호작용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수자의 역할이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온라인 교사교육에서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역할은 온라인 플랫폼 관련 기술 습득이다. 플랫폼에서 구현되는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때 교육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며, 이에 교수자들의 온라인 플랫폼 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이 충분히 제공되어지길 바란다.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 분석

        이혜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련된 변인들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사회환경교육 강사가 나아갈 바람직한 전문적 자질을 모색하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조사하였다. 측정도구는 27문항으로 직업적 프로필을 일반적 특성, 직업 전문성 인식, 직업 만족도로 세분화하였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적극성, 참여의식, 자율성, 윤리의식, 소명의식으로 세분화하여 구성하였다. 설문방법은 객관식과 리커트형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에 응답한 113명을 대상으로 IBM SPSS Statistics 25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환경교육 강사는 월 평균 강의 횟수가 많을수록 전문직 인식 수준과 사명감/목표의식이 높고, 재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자신의 강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이 길수록 가르치는 일 자체와 사회적 인식에 대한 직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비전공 학사그룹이 전공 학사그룹보다 사회적 인식에 대해 만족했고, 자격증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직업적 성취도는 높지만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척도에서 윤리의식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재교육의 필요성 인식, 자신의 강의 전문성 인식, 사명감과 목표의식 그리고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경교육사 자격증과 월 평균 강의 횟수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을 위해서는 직무 자체의 적성을 고려한 강사를 선발하고, 강사가 경력을 유지하는 동안 자신의 강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환경교육 전공자와 경력자의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 우대 조건이 필요하며,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이 현재의 강사 활동과 연계되도록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또한 강사들의 경력과 자격에 따른 보수 기준을 마련하는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교사의 전문성 : 심성함양의 관점

        이정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논문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성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밝힘으로써 교사의 권위를 정당화하고 교사란 어떤 존재인지를 설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다루는 질문은 크게 두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가르치는 일이란 어떤 종류의 일이며 어떤 성격을 지니는가? 둘째, 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지식은 어떤 종류의 지식인가? 이 두 질문에 대한 답을 내리기 위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진 교육에 관한 세 가지 관점-공학적 관점, 실천철학적 관점, 심성함양의 관점-을 다룬다. 세 관점에서 바라보는 교육은 어떤 종류의 일이며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지를 살핌으로써 결국 교사의 전문성에 핵심이 되는 지식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공학적 관점은 교육을 공학적 합리성에 비추어 바라보는 관점이다. 공학적 관점에서 정의하는 교육이란 ‘인간 행동의 계획적 변화’이다. 이 관점은 학생의 학습능력을 객관적인 수치로 정량화할 수 있다고 보고 객관화된 자료를 참고하여 학생의 학습능력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처방적 관점이다. 이 관점에서 교사는 행동공학자이며, 학생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적절한 수업기술을 적용시키는 기술자이다. 또한 교사가 전문성을 갖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은 기법적 지식(technical knowledge)이다. 기법적 지식이란 목적의 효과적 달성을 위한 방법에 관한 지식으로, 수단-목적 관계에 기초하고, 관찰 및 측정이 가능하며, 객관적이고 몰인격적인 특징을 지닌다. 공학적 관점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교사의 전문성을 오롯이 기법적 지식에서 찾음으로써 도리어 교사의 전문성을 도외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에 있다. 뿐만 아니라 교실의 구체적인 상황맥락을 간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실천철학적 관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 근거하여, 공학적 관점의 한계를 보완한다. 실천철학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지식은 실천적 지식(phronesis, practical knowledge)이다. 실천적 지식은 상황 맥락적 지식이며, 주어진 상황에서 올바르게 숙고하고 판단하고 실천하는 데에 작용하는 지식을 말한다. 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지식 역시 실천적 지식으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가 교실에서 매 순간 숙고하고 판단하여 학생에게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지도하는 데에 작용한다. 실천철학적 관점에서 교사는 ‘반성적 실천가’이다.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사는 매 순간 반성을 통하여 숙고와 판단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가장 적절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선택하여 실천한다. 이러한 실천철학적 관점은 교육의 사태를 잘 설명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지만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을 분리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을 부당하게 간과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심성함양의 관점은 학생에 관심을 두는 앞의 두 관점과는 달리 교사에 관심을 둔다. 심성함양의 관점에서 교육은 지적 전통에 학생들을 입문시킴으로써 지적 전통을 보전하는 일로 보는 피터즈(R. S.Peters)의 주장에서 더 나아가 학생과 교사의 심성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일로 설명된다. 심성함양이란 기능 수준의 마음을 본체로서의 마음으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하며, 심성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은 이론적 지식이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의 가장 핵심이 되는 지식은 이론적 지식이다. 여기에서 교사의 이론적 지식은 단지 교과 지식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일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교사 스스로의 존재에 대한 이해를 포괄한다. 교육에는 본래 어려움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이해와 가르치는 일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일을 계속해 나가려는 마음가짐은 교사로 하여금 사명감을 가지게 하며, 교육과 교사에 대한 이러한 이해야말로 교사의 전문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지식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심성함양의 관점에서 교사는 자기연찬자이며, 끊임없이 공부하고 학생들에 앞서서 심성함양을 계속해 나가는 존재이다. 세 관점에서 다루는 세 종류의 지식은 모두 교사에게 필요하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적절한 교수 기법이 필요하며, 매 순간 숙고하는 교사의 노하우도 중요하다. 또한 교과 지식 및 가르치는 일에 대한 이해 역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중에 교사의 전문성에 가장 핵심이 되는 지식은 이론적 지식이다. 나머지 두 지식이 부족해도 여전히 교사는 교사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가르치는 일을 계속해 나갈 수 있으며 스스로 더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하여 노력할 수 있다. 그러나 가르치는 일이 어떤 성격을 가지는지에 무관심하거나 교과에 대한 열정도 없이 교과를 통한 심성함양을 이루려는 노력을 게을리 한다면 그 사람은 교사로서 가르치는 일을 계속해 나가려는 마음가짐을 갖지 않게 될 것이다. 결국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의 이론적 지식에서 나오며, 가르치는 일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과 권위가 정당화된다.

      •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및 흥미 분석

        송혜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rothy Heathcote 's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mprovement of science attitude and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we developed educational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Second,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 Third,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drama.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3 students of 5th graders of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daemun gu, Seoul. It studied ‘Temperature and Heat’ in the part of ‘Materials and Energy’ and ‘Solar Systems and Stars’ and ‘Structure of Plants and its Features’ in the part of ‘Life and Earth’ from the textbook revised in 2009. It performed 11 times for the plays in total. After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the Mantle of the Expert, it analyzed the students’scientific attitude using daily records of the classes, consulting materials, movies and pictures taken for the classes and activity journal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onnected the play activity to the role play and helped students to concentrate into various jobs related science so that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uld be meaningful. The classes were formed so that the students actually live as a professional person. The classes are composed of the courses of ‘opening mind’, ‘suggesting the context’, ‘selecting a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 and making it mine’, ‘performing the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and ‘discussion’. Second,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positively affect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s such as curiosity, cooperation, and positiveness. They could be a responsible scientist understanding the society that is related to science through the activities and do the job with the sense of purpose by wearing the gown of a professional person. Third, the educational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fter the classes it interviewed and surveyed the students. It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science has increased after the classes and they had positive idea about the educational paly activities.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suggested the specific method of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proved the e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educational pla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to build and activate various subjects of scientific educational play classes,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scientific attitude in the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Dorothy Heathcote의 '전문가의 외투'(Mantle of the Expert)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와 흥미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을 개발하였고,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동대문구에 소재한 H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9 개정 교과서의 물질과 에너지 영역 1개 단원(온도와 열), 생명과 지구 영역 2개 단원(태양계와 별, 식물의 구조와 기능) 1~3차시씩 5회기, 총 10차시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이 이루어진 후 교사․학생의 수업일지, 면담 자료, 비디오 촬영 및 전사 자료, 활동지 등을 활용하여 나타나는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학생이 유의미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놀이 활동과 역할 입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이 과학에 관련한 다양한 직업들을 인식하고 역할에 몰입하여 활동하는 것을 바탕으로 ‘살아보기’를 경험하도록 구성하였다. ‘마음 열기’, ‘맥락 제시’, ‘전문가 역할 선정 및 내면화’, ‘전문가의 역할 수행’, ‘정리’의 5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중 호기심, 협동성, 적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역할을 입고 활동하는 것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과학자로, 과학과 관련한 직업인으로 활동하는 경험을 통하여 과학과 관련한 사회를 이해하고, 목표 의식을 갖고 활동할 수 있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 수업 후 인터뷰 및 설문지 결과 수업 후 과학에 대한 흥미를 보이는 학생들이 늘었고, 교육연극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외투' 수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 교육연극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의 태도 부분의 효과성을 입증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과학과 교육연극 수업,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수업, 과학적 태도 부분을 함양하고 활성화하는 방안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