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증명지도에서 소집단 및 발견학습의 효과 : 중학교 2학년 기하영역중심으로

        이소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증명지도에 있어서 소집단 및 발견학습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본 연구자가 1년 이상 지도하고 있는 학생 중 본 연구에서 증명을 처음 접하는 학생 4명으로 선정하였다. 2010년 1월 문헌연구를 시작으로 주당 1차시씩 2010년 3월부터 5월까지 수업관찰이 진행되었으며, 수업과정을 녹음하고 관찰을 기록하는 등 실험교수에서 지향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사례를 통해 학생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명수업에서 소집단 및 발견학습은 학생들끼리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듣고 비교, 검토하면서 문제의 해결 방안을 구상하고 토의가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소집단 및 발견학습은 학생들이 직접 발견하는 경험을 하게 하므로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여 수학수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였다. 셋째, 소집단 및 발견학습은 증명을 집단 협력 학습으로 해결하므로 학생의 부담감을 줄여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mall group collaborative and discovery learning. The researchers studied the map more than one year and one of the students who are new students in this study to prove four patients were selected. January 2010 to begin the literature review March-May 2010 class was observed in progress. recording the process of teaching and to record observations and experiments in teaching has undergone a series of process-oriented.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and teaching practic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rough a change in student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evidence that students in class small group collaborative and discovery learning through informal and spontaneous communication to hear the opinions of each other, compared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and discuss the initiative possible. Second, small group collaborative and discovery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to discover their own interests because the cause of students in math class were about to participate actively. Third, small group collaborative and discovery learning to reduce the burden on the students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 직장 내 대인관계와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남성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이소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직장 내 업무수행과정에서 겪게 되는 대인관계, 즉 동료와 상사와의 스트레스를 살펴보고,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가족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스트레스가 남성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조직 구성원들 간의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인 우울감을 최소화하고 원만한 가족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직장 남성의 우울감 및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직장 남성의 우울감 및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직장 남성의 우울감 및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직장 남성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5. 가족관계 스트레스는 우울감과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313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 척도, 가족관계 척도, 남성의 우울감 척도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25의 t-Test, 일원배치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감은 연령, 배우자와의 동거 상태, 첫째 자녀 연령, 함께 사는 가족수, 근속년수, 평균 1일 근무시간, 평균급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0대 이상 집단이 30대 이하보다 우울감이 더 컸고, 사별 및 이혼, 별거를 경험한 남성이나 주말 및 월말부부로 사는 남성은 미혼 또는 함께 사는 일반적인 부부보다 우울감이 높았다. 첫째 자녀가 학령기 이상인 남성이 자녀가 없거나 어린 자녀가 있는 남성보다 우울감이 높았으며, 함께사는 가족 수가 적은 2인 이하 가족의 남성의 우울감이 높았다. 근속년수가 오래되고, 평균 1일 근무시간이 적고, 평균급여가 300만원이상인 남성이 이하인 남성보다 우울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연령, 배우자와 동거 상태, 첫째 자녀 연령, 가족수, 평균 1일 근무시간, 평균급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0대 이하의 직장남성, 영유아기 어린 자녀가 있는 직장 남성이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고 미혼이거나 배우자와 동거하는 일반적인 부부가 동거 빈도가 낮은 부부보다 가족 수가 많은 직장 남성이 적은 남성보다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평균 1일 근무 시간이 8시간 이상이고 평균급여가 적은 경우에도 직장 내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함께 사는 가족수, 직급, 평균급여, 평균 1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0대 이하의 젊은 직장 남성, 미혼이거나 일반적인 배우자와 동거하는 부부가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았고, 함께 사는 가족수가 많고, 영유아기의 어린 자녀가 있는 직장 남성의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직장에서는 직급이 낮고 급여가 낮은 남성, 평균 1일 근무시간이 긴 남성의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우울감과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가족관계 스트레스, 기타 우울감과 관련된 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직장 남성의 우울감은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 가족 관계 스트레스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장 내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정(+)의 관계를 보인 변인은 배우자와의 동거 상태, 함께 사는 가족수, 평균 1일 근무시간이었고, 부(-)의 관계를 보인 변인은 연령, 첫째 자녀 연령이었으며,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정(+)의 관계를 보인 변인은 배우자와의 동거 상태, 함께 사는 가족수, 평균1일 근무시간이었고 부(-)의 관계를 보인 변인은 연령, 첫째 자녀 연령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장 남성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첫째 자녀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남성 우울감에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가족관계 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즉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가족관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고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가족관계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하였으며,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가족관계 스트레스는 유의한 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직장 남성의 우울감은 가족관계 스트레스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으므로, 일·가정 양립 정책을 확대하고, 기업의 가족친화인증 평가 시에 탄력적 근무제도, 자녀출산지원 뿐만 아니라 가족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교육의 기회제공이 요구된다. 그리고 직장 남성의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우울감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 등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효과

        이소희 인제대학교 대하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효과 이소희 ( 지도교수 : 이윤미 )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목적: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대상으로 하여 역할갈등, 회복탄력성, 직무만족의 정도를 확인하고,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재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 까지 이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소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4개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에 동의한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5.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Scheffé test 사후검정, Pearson Correlation ,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연구결과는 다음 내용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 성별은 모두가 여자로, 연령은 평균 33.19±8.28세 이었으며, 25세 이하 16명(13.2%), 26∼30세 45명(37.2%), 31∼35세 22(18.2%), 36세 이상 38명(31.4%)이었다. 결혼상태는 미혼 82명(67.8%), 기혼 39명(32.2%)이었다. 학력은 전문대졸 40명(33.1%), 대졸 71명(58.7%), 대학원졸 이상 10명(8.3%)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8.97±7.17년 이었고, 5년 미만은 42명(34.7%), 5∼10년 미만은 35명(28.9%), 10년 이상은 44명(36.4%)이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경력은 평균 2.92±1.45년 이었으며, 2년 미만 38명(31.4%), 2∼4년 미만 41명(33.9%), 4년 이상 42명(34.7%)이었다. 근무병동은 내과 계 병동 8명(6.6%), 외과 계 병동 113명(93.4%)이었다. 한 가지 항목이라도 일상생활수행능력 항목이 “전부도움”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은 10% 미만 82명(67.8%), 10∼25% 미만 26명(21.5%), 25% 이상 13명(10.7%)이었다. 간호사 1인당 병상 수는 평균 11.12±1.74개 이었으며, 10병상 이하 44명(36.4%), 11병상 이상 77명(63.6%)이었다. 근무형태는 고정근무 18명(14.9%), 3교대근무 103명(85.1%)이었다. 월 급여는 300만원 미만 58명(47.9%), 300만원 이상 63명(52.1%)이었다. 2. 역할갈등은 총 3점 만점에 2.06±0.32점이었고, 회복탄력성은 4점 만점에 3.21±0.50점 이었으며 직무만족은 4점 만점에 3.12±0.39점 이었다. 3. 역할갈등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연령(F=2.94, p=.036) 이었다. 연령은 31∼35세가 25세 이하 보다 역할갈등이 높았다. 회복탄력성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결혼상태(t=-2.09, p=.039)이었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미혼보다 회복탄력성이 높았다. 직무만족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없었다. 4. 직무만족은 역할갈등(r=-.38,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회복탄력성(r=.54,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역할갈등 및 회복탄력성 사이에서는 음의 상관관계(r=-.25, p=.007)가 있었다. 5.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없었으나,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z=-2.53, p=.012)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서 볼 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조절효과는 없고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상자의 역할갈등과 회복탄력성을 사정하고, 역할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와 더불어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중재가 필요하다. ────────────────────────────── 주제어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역할갈등, 회복탄력성, 직무만족 Abstract Effect of Role Conflict on job Satisfaction by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Nurses. :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by So Hee Lee (Advisor: Prof. Yun Mi Lee,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nursing and nursing integration service ward nurses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role conflict, resilience, and jobsatisfaction, and by identifying the control and mediated effects of resilience i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July to August 2020,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30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nd agreed to the survey for four hospitals that implemented integrated nursing and nursing services based in B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lso standard deviation, and t test and one-way layout ANOVA, Scheffé pos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dow 25.0 program.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gender was all female. The average age was 33.19 ± 8.28 years old, 16 people under 25, 45 people between 26 and 30, 37.2 percent, 22 people between 31 and 35 years old (18.2 percent), and 38 people over 36 (31.4 percent). There were 82 unmarried people (67.8 percent) and 39 married (32.2 percent). Forty college graduates (33.1 percent), 71 college graduates (58.7 percent), and 10 graduate graduates (8.3 percent). Total clinical experience averaged 8.97±7.17 years, 42 people under 5 years (34.7%), 35 people under 5~10 years (28.9%) and 44 people over 10 years (36.4%). The average ward experience of nursing care integration service was 2.92 ± 1.45 years, 38 people (31.4%) under two years, 41 people (33.9%) under two to four years, and 42 people (34.7%) over four years. Eight (6.6 percent) were in the internal medicine ward and 113 (93.4 percent) were in the surgical ward. For even one item,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DL items being "full help" was 82 patients (67.8%), 26 patients with less than 10-25% (21.5%) and 13 patients (10.7%) with more than 25%. The average number of beds per nurse was 11.12 1 1.74, 44 (36.4%) with 10 beds or less and 77 (63.6%) with 11 beds or more. The types of work were 18 regular workers (14.9%) and 103 three-shift workers (85.1%). 58 people (47.9 percent) paid less than 3 million won (47.9 percent) and 63 people (52.1 percent) paid more than 3 million won (52.1 percent). 2. Subjects’ Role conflict score was 2.06 ±0.32 out of three points resilience was 3.21±0.50 out of four points, and job satisfaction was 3.12±0.39 out of four points. 3. The characteristics that show a difference in role conflict are age (F=2.94, p=.036) Those aged 31 to 35 had higher role conflicts than those under 25.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is the state of marriage (t=-2.09, p=.039) Married couples were more resilient than unmarri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4.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r=-.38, p<.001)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r=.54, p<.001).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Role conflict and resilience(r=-.25, p=.007) 5.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found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z=-2.53, p=.012) but no moderating effect was found.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nurse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nurses, evaluation of their role conflicts, resilience, and interventions to alleviate role conflicts and improve resilience are necessary. ───────────────────────────── Key words: Nursing care, role, conflict, Psychological resilience, Job satisfaction

      • 뇌운동피질자극술에 대한 신경반응의 [F-18]FDG Micro PET을 이용한 기능적 뇌영상 : Neural Responses of the Motor Cortex Stimulation using [F-18]FDG Micro PET Functional Neuroimaging

        이소희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뇌운동피질자극술(MCS, Motor Cortex Stimulation)은 다양한 종류의 만성통증 및 운동장애를 치료하는데 이용되어 왔지만 아직도 그 치료의 메커니즘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지금까지MCS의 효과가 대뇌피질 수준에서만 작용한다는 것과 더 나아가 원심성 경로를 통해 척수 수준에까지 미친다는 서로 대립되는 결과들이 있으며, 제 일차 운동피질이 제 일차 몸감각피질, 시상 뒤배쪽핵, 척수시상로 등을 억제한다는 연구들이 제시되어 왔다. MCS가 통증경감 효과와 소동물에서의 행동변화를 가져온다는 관찰을 토대로 한 이런 실험들이 존재하지만 실제로 MCS가 뇌의 신경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 결과들은 거의 보고되지 않고 있다. 최근 고해상도의 micro PET을 이용한 소동물에서의 기능적 뇌영상이 가능해짐으로써 이 논문에서는 [F-18]Fluorodeoxyglucose (FDG)를 이용하여 마취 등 인위적인 제약을 가하지 않은 평상시 상태의 쥐에서의 MCS가 미치는 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영상화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MCS가 가해지는 동안 운동피질과 소뇌가 활성화 되었으며 다양한 감각인지관련 영역들의 활성이 억제 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Motor cortex stimulation (MCS) has been seen as a promising and potential surgical option to treat chronic pain in clinical practice. However, the exact mechanism of action of MCS remains to be elucidated. There is debate as to whether it acts at the cortical level or at the level of pyramidal neurons and their efferents. This debate most likely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primary motor cortex inhibits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ventral posterior thalamus, and spinothalamic tract.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demonstrated pain reduction on behavioral effects in rodents,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neural activity of the brain induced by MCS. This may be because it is difficult to measure functional changes in a conscious rat brain in vivo. Recently, a high-resolution functional neuroimaging technique has become available, the micro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for visualizing brain activities in small animals. Here, we used the [F-18] fluorodeoxyglucose (FDG) micro PET neuroimaging technology to examine the effects of MCS on brain activity in conscious freely-moving rats. We found that the motor cortex and cerebellum were activated and a diverse of sensory-related areas in the rat brain were deactivated when treated with MCS.

      •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이소희 대구한의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s on the status quo of Korea that as the desire for happiness increase and diversify, the long-term care(LTC) facilities which can are required to provide numerous services to gratify it. Thus, LTC facility service system which can actively reflect the desire should be well established. This study would offer basic data for planning and evaluating the LCT facility program by developing program rating scale which can assist planning, implement, and suggesting alternative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of the program and previous research, the rationale for the situation, input, process, evaluation area and item development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can be obtained. Second, this study establishes the preliminary evaluation areas and items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 consultation and opinion and program field survey, Third, based on questionnaires of the elderly medical-welfare institution program evaluation area and item aimed at the LCT facilities workforce, this study defines the measurement scale for program evaluations through factori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s the program evaluation scale of LCT facility program to assist the program development for LCT facility and the program for the facility. Also, this study develops sub-questions by setting evaluation areas as situation evaluation area, input evaluation area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customized program for future LCT customer based on basic data to assist the overall program evaluation by planning and promoting the program. Keywords: Elderly Medical-Welfare Facilities Program, CIPP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of Rating Scale 이 연구의 필요성은 현재 우리나라는 삶의 행복감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다양해짐으로써 노인의료복지시설에게도 그 욕구에 상응할 수 있는 많은 서비스를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욕구를 적극 반영할 수 있는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관리와 평가를 이룰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에서 활발하게 사용 중인 Stufflebeam의 CIPP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담당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동시에 책무성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과정평가(Prosess evaluation),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4개의 과정을 통한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준거 설정배경에서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논문 및 저서, 학술지, 발표자료, 장기요양기관평가 관련자료 등을 통한 CIPP 평가모형의 4가지 항목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프로그램 실태조사를 통한 영역간의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예비 평가 영역 내용과 항목을 구축하여 그 준거와 영역을 설정할 수 있었다. 둘째, 평가준거 개발에서 전문가 집단 중심의 포커스 그룹(Focused Group)의 의견조사를 거쳐 예비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고,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의 설문조사를 거쳐 SPSS 0.8과 AMOS 18 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해 전문가 협의 후 프로그램 평가 준거를 구축하였다. 셋째, 평가준거 확정에서는 모든 부분을 수렴, 정리하여 평가기준을 설정하고, 최종 CIPP 평가모형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 척도의 영역과 항목을 확정하였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에 필요한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노인의료복지시설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을 하였으며, CIPP 평가 모형에 근거하여 상황평가 영역, 투입평가 영역, 과정평가 영역, 산출평가 영역으로 평가 영역들을 설정하여 하위 문항을 개발하였다. 노인요양시설 대상자에게 맞춤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의 기획, 계획, 추진에 따른 전반적인 프로그램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한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경험

        이소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일상생활의 사진을 활용하여 유아가 그림이야기책 만들기 경험을 하였을 때 그림이야기책에 유아들의 이야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한 그림책 만들기 경험에서 유아들의 이야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충청북도 C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인 D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8명(남아 9명, 여아 9명)으로 본 유치원의 특색활동인 독서습관기르기를 통해 작은 이야기책 만들기나 내 단어책 만들기, 후속이야기 짓기 등의 그림책 관련 활동을 하며 그림책 만들기 경험을 했던 유아들이다. 연구 과정은 2015년 6월 29일(월) ∼ 9월 25일(금)까지 10주 동안 매일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질적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삼각측정법(Denzin, 1978)을 이용하여, 유아들의 그림책 만들기 활동 결과물 자료의 전사와 연구자의 연구일지, 참여한 유아들의 활동시 녹음 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하여 만든 그림이야기책의 내용을 보면 유치원에서의 일상적인 이야기들이 대부분 반영되었으며 그 속에는 유아들의 친구관계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갈등상황, 협력과 이해 또는 배려적 사고가 나타나 있었고, 유아 개인의 마음, 놀이와 학습경험에 대한 느낌과 생각들이 그대로 나타나 있었다. 유아들은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탐색하면서 친구와 함께 했던 경험을 기억하려고 하고 경험과 관련된 이야기를 구성하여 그림이야기책을 만들었다. 둘째,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하여 만든 그림이야기책의 내용을 보면 유아들의 일상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나 내면적 갈등, 고민거리를 상상적인 그림이야기로 표현하는 유아들도 있었다. 유아들은 친구와 자신의 마음 또는 유아간 갈등상황이나 경험을 바탕에 두고 상상적인 생각을 더하여 새롭고 재미있는 창의적인 그림이야기책을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들이 유치원 일상생활 사진을 활용하여 그림이야기책을 만들어봄으로써 평소 친구관계에서 나타나는 갈등, 친구와의 협력, 친구에 대한 이해를 그림이야기책에 나타내며 타인에 대한 배려심을 느낄 수 있게 해 주었고, 자신의 마음이나 놀이와 학습 경험에 대한 감정들이 그림이야기책에 표현되어 교사로 하여금 유아들의 유치원에서의 일상적인 삶을 이해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수생식물의 성장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율 평가

        이소희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Evaluation on the Efficiency of Pollutant Removal Rate based on Aquatic Plant Growth. So-Hee Le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To evaluate pollutant removal capacity of aquatic plants, I picked up 5 different aquatic plants and let them grow in a lab, checking growth status in a polluted environment and pollutant removal rate along with growth.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are: 1. Aquatic plants grow well compared to control group despite a polluted atmosphere because they have good photosynthesis and a lot of water in them. It means they have the capacity to remove pollutants while growing, and it indicates pollutants are moving smoothly through water exchange. 2. A lot of ion is moving through developed organs such as leaves, stems and roots,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of plants. By accumulating nitrogen and phosphorus as well as various ions such as Ca, Na, K, Mg in plants themselves, it is very effective to remove pollutants' ion. 3. After letting aquatic plants grow in a lab for 7 days and checking the quality of water, the average COD was 74% and TOC was 62%, which means that aquatic plants have quite an effective removal efficiency. Especially, the rate of removal for TN using Lemna minor was the highest at 87%, and the rate of removal for PO4-P using Hydrilla verticillata was the highest at 25%. Using a water analyzing kit for 16 days, the result of removal rates of nitrogen and phosphorus was that in the first 3 days of growth, nitrogen in Lemna minor was the highest at 78% and phosphorus in Nymphoides indica was rather high at 50%. After 10 days, however, the highest removal rate in both nitrogen and phosphorus is Trapa japonica, which means that there is big difference in the removal period an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types of plants. With this result, it is expected to purify water quality effectively if we use aquatic plants properly according to the pollutants' types and conditions.

      •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인권 감수성 및 장애수용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소희 군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n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non-disabled young people and verify the effect. For this purpose,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re was any positive change in disability awareness,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among young people when the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Detailed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Question 1. What effect does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non-disabled young people have on the disabili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Question 2. What effect does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non-disabled young people hav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Question 3. What effect does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non-disabled young people hav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established a direction with reference to precedent study regarding education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young people, materials about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discussion among human rights-related institutions and scholars and survey results on the demand of expert group. In addition, education cont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DIDAS model, a human rights education model based on learners' participation, to develop a program to teach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ctual participation. A draft version of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verified with its validity and suitability by expert group. Based on the results, a final program was prepared after some detail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89 first-year students at Y Girls' High School in Gunsan, Jeollabuk-do were selected; among them, 30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30 were in the comparison group and 29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once a week for 4 weeks,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information-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istributed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ce a week for 2 weeks. The control group watched an education video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ce without any educational treatment. For all the groups, disability awareness test, test for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est for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were conducted as pre- and follow-up tests.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by utilizing SPSS 25.0 program to identify homogeneity in the pre-test scores of the three groups, an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implemented with pre-test as a covariate, follow-up tes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group classification as a fixed factor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pre- and follow-up tests of the three groups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k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disability awarenes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is change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is change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is change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disability awareness, sensitivity to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cceptance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among non-disabled high school students. That is, this study implies that various learner-focused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s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relatively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young people's awareness of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ositively than existing education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delivering information. Based on these aspect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various activity-based education programs on the human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ncourage non-disabled young people to realize social integration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이들의 장애인식, 장애인권감수성, 그리고 장애수용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비장애 청소년 대상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장애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 연구문제 2. 비장애 청소년 대상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장애인권감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비장애 청소년 대상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인 인권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 국가인권위원회 및 국립특수교육원의 장애인 인권 자료, 그리고 인권교육 관련 기관과 학자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 인권 교육의 내용 요소, 전문가 집단의 요구도 조사 결과 등을 참고하여 교육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장애인 인권에 대한 개념 및 이해와 현실 참여를 함께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자 참여중심 인권교육의 모형인 ADIDAS 인권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 시안은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그 타당성과 적합성을 검증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부 내용들을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에 소재한 Y여고 1학년 학생 89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 30명, 비교집단에 30명, 통제집단에 29명을 무선배치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1회씩 4주 동안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국가인권위원회와 보건복지부에서 배포한 정보전달 위주의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주 1회씩 2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교육적인 처치 없이 장애인 인권교육 영상물을 1회 시청하게 하였다. 모든 집단에는 장애인식 검사, 장애인권감수성 검사, 그리고 장애수용태도 검사를 사전 및 사후 검사로 실시하였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3개 집단의 사전 검사 점수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3개 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량, 사후검사를 종속변인, 집단구분을 모수요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수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인식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둘째,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인권감수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셋째,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수용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비장애 고등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인권감수성 및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즉 본 연구는 기존의 장애인에 대한 정보전달 위주의 장애인 인권교육보다는 학습자 위주의 다양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장애인 인권에 대한 의식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상대적으로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활동중심 장애인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개발되어, 비장애 청소년이 장애인과 사회적 통합을 이루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국내 다소비 베이커리 제품의 지방, 당, 나트륨 함량 분석

        이소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홈 카페족’이 증가되면서 커피와 함께 섭취하는 빵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이 많이 섭취하는 13종 베이커리 빵의 지방, 당, 나트륨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함량 수준을 제품 100 g과 1회 제공량 기준으로 분석한 후 각 영양성분의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과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총 13종의 시료를 선정하였으며 9종은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년)의 식품섭취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식품으로 선정된 것이고 나머지 4종은 최근 국내 포털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검색의 빈도수가 높아 소비자들이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평가된 것이다. 13종의 시료는 모두 2020년 4~7월에 서울에서 수거하였다. 시료의 지방 함량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법(gas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당 함량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liquid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나트륨 함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발광광도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앙버터와 크루아상은 다른 빵에 비해 포화지방산 및 트랜스지방산 함량이 높게 나타난 반면 카스텔라는 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카스텔라는 나트륨 함량도 가장 낮게 나타났고, 당 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빵, 통밀식빵과 같은 식빵류의 경우 다른 빵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당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특징을 나타냈다. 빵의 종류에 따라 포화지방산, 트랜스지방산, 당 및 나트륨 함량은 큰 차이를 나타냈다. 13종 빵의 영양성분의 함량을 1회 제공량당 함량으로 나타냈고, 이를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과 비교하였다. 포화지방산은 1일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의 4.7~74.4%에 해당하였고, 트랜스지방산은 1일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의 0.5~20.8%에 해당하였다. 당과 나트륨은 각각 3.1~28.3%, 1.9~20.3%를 차지하여 13종의 모든 빵은 각 영양성분의 1일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13종 빵의 1회 제공량당 함량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시한 영양성분 섭취기준과 비교한 결과 포화지방산과 트랜스지방산은 각각 3.3~52.3%, 0.5~20.8%에 해당하였다. 당과 나트륨은 각각 6.1~56.6%, 2.2~23.4%를 차지하여 13종 빵 모두에서 WHO의 영양성분 섭취기준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활용에 사용될 수 있으며, 베이커리 빵 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올바른 선택 및 소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ast the fat, sugar, and sodium contents of frequently consumed bakery bread sold in Korea to their CDRR values. For this study, samples of 13 different kinds of bakery bread were analyzed. These included 9 kinds of bread that are regarded as key foods that contribute 85% of the diet’s intake of 17 key nutrients (including fat, sugar, and sodium), as well as 4 kinds of bread that customers commonly look for on websites and smartphone apps. All samples were collected in Seoul during 2020. Croissants and sweet red bean butter both have comparatively higher level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 and trans fatty acid content than the others. Castella has the highest total sugar level per 100 g while having the lowest total saturated fatty acid, trans fatty acid, and sodium content per 100 g or serving. Contrary to the others, plain bread and whole wheat bread often have higher sodium but lower total sugar content. All bread showed lower amount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s, total trans fatty acids, total sugar, and sodium per serving as compared to their CDRR values (4.7~74.4%, 0.5~20.8%, 3.1~28.3%, and 1.9~20.3%, respectively).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utilized to update the Korean food composition database and assist consumers in choosing bakery bread that is healthy to 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