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교사의 전문성 : 심성함양의 관점

        이정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논문의 목적은 교사의 전문성이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밝힘으로써 교사의 권위를 정당화하고 교사란 어떤 존재인지를 설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다루는 질문은 크게 두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가르치는 일이란 어떤 종류의 일이며 어떤 성격을 지니는가? 둘째, 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지식은 어떤 종류의 지식인가? 이 두 질문에 대한 답을 내리기 위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진 교육에 관한 세 가지 관점-공학적 관점, 실천철학적 관점, 심성함양의 관점-을 다룬다. 세 관점에서 바라보는 교육은 어떤 종류의 일이며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이 무엇인지를 살핌으로써 결국 교사의 전문성에 핵심이 되는 지식이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공학적 관점은 교육을 공학적 합리성에 비추어 바라보는 관점이다. 공학적 관점에서 정의하는 교육이란 ‘인간 행동의 계획적 변화’이다. 이 관점은 학생의 학습능력을 객관적인 수치로 정량화할 수 있다고 보고 객관화된 자료를 참고하여 학생의 학습능력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처방적 관점이다. 이 관점에서 교사는 행동공학자이며, 학생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적절한 수업기술을 적용시키는 기술자이다. 또한 교사가 전문성을 갖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은 기법적 지식(technical knowledge)이다. 기법적 지식이란 목적의 효과적 달성을 위한 방법에 관한 지식으로, 수단-목적 관계에 기초하고, 관찰 및 측정이 가능하며, 객관적이고 몰인격적인 특징을 지닌다. 공학적 관점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교사의 전문성을 오롯이 기법적 지식에서 찾음으로써 도리어 교사의 전문성을 도외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에 있다. 뿐만 아니라 교실의 구체적인 상황맥락을 간과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실천철학적 관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 근거하여, 공학적 관점의 한계를 보완한다. 실천철학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지식은 실천적 지식(phronesis, practical knowledge)이다. 실천적 지식은 상황 맥락적 지식이며, 주어진 상황에서 올바르게 숙고하고 판단하고 실천하는 데에 작용하는 지식을 말한다. 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지식 역시 실천적 지식으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교사가 교실에서 매 순간 숙고하고 판단하여 학생에게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지도하는 데에 작용한다. 실천철학적 관점에서 교사는 ‘반성적 실천가’이다.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사는 매 순간 반성을 통하여 숙고와 판단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가장 적절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선택하여 실천한다. 이러한 실천철학적 관점은 교육의 사태를 잘 설명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지만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을 분리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을 부당하게 간과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심성함양의 관점은 학생에 관심을 두는 앞의 두 관점과는 달리 교사에 관심을 둔다. 심성함양의 관점에서 교육은 지적 전통에 학생들을 입문시킴으로써 지적 전통을 보전하는 일로 보는 피터즈(R. S.Peters)의 주장에서 더 나아가 학생과 교사의 심성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일로 설명된다. 심성함양이란 기능 수준의 마음을 본체로서의 마음으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하며, 심성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은 이론적 지식이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의 가장 핵심이 되는 지식은 이론적 지식이다. 여기에서 교사의 이론적 지식은 단지 교과 지식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일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교사 스스로의 존재에 대한 이해를 포괄한다. 교육에는 본래 어려움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이해와 가르치는 일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 일을 계속해 나가려는 마음가짐은 교사로 하여금 사명감을 가지게 하며, 교육과 교사에 대한 이러한 이해야말로 교사의 전문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지식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심성함양의 관점에서 교사는 자기연찬자이며, 끊임없이 공부하고 학생들에 앞서서 심성함양을 계속해 나가는 존재이다. 세 관점에서 다루는 세 종류의 지식은 모두 교사에게 필요하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적절한 교수 기법이 필요하며, 매 순간 숙고하는 교사의 노하우도 중요하다. 또한 교과 지식 및 가르치는 일에 대한 이해 역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중에 교사의 전문성에 가장 핵심이 되는 지식은 이론적 지식이다. 나머지 두 지식이 부족해도 여전히 교사는 교사로서 자긍심을 가지고 가르치는 일을 계속해 나갈 수 있으며 스스로 더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하여 노력할 수 있다. 그러나 가르치는 일이 어떤 성격을 가지는지에 무관심하거나 교과에 대한 열정도 없이 교과를 통한 심성함양을 이루려는 노력을 게을리 한다면 그 사람은 교사로서 가르치는 일을 계속해 나가려는 마음가짐을 갖지 않게 될 것이다. 결국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의 이론적 지식에서 나오며, 가르치는 일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과 권위가 정당화된다.

      •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수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기에 교사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규명은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 변인(성별, 학력, 교육 경력, 혁신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은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교사 230명이 응답한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관계 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개인별 배경 변인인 성별, 학력, 교육 경력, 혁신학교 근무 여부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학교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정보공유가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에 따라 석·박사가 학사보다 교사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교과지식 이해력과 교수설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 경력에 따라서는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대체로 1~10년 경력의 교사보다 11~20년 경력의 교사와 21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혁신학교에서 근무했던 교사들이 일반학교에서 근무했던 교사들보다 학교 조직문화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분석을 시행한 결과, 대체로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의 관계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 특히 직무 만족도는 모든 연구 변인과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 조직문화(β=.528)와 교사 효능감(β=.376)이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 배경 변인과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직무 만족도를 45.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근무환경 만족도와 교직 만족도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각각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46.9%로 나타났으며 교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30.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 학교 조직문화와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교사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이해서는 교사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을 높이고 학교 조직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개인별 배경 변인에 따른 학교 조직문화, 교사 전문성,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사의 직무 만족도가 학생의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역량 등 교육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ff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s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important, we need to underst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Identifying variables that affect job satisfaction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up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gender, education, educational career, and whether to work in innovative school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how do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ffect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survey data from 2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in the study,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AMOS 23.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academic background, educational career, and whether or not working at an innovative school. According to gender, femal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ormation sharing, which is a sub-factor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lso,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the understanding of subject knowledge, which is a sub-factor of teacher expertise, and the design of teach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are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perceived by teachers depending on whether they worked in innovative schools.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general.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especially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tudy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β=.528) and teacher efficacy(β=.376)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more positively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s recognized and the higher the teacher's efficacy,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Four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45.9% of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s the subordinate variables,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was found to be 46.9%, and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30.9%.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have a great influence on explaining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fficacy and improve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basic data by examining differences i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eacher expertis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inuous research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follow-up studies on how teacher job satisfaction affects student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mpetence in general education are required.

      •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Development of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Program for Flow -A focus on Savina museum- Kang, Da Vin Major in Museum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Ryu. Jaman After COVID-19, many art galleries and museums developed exhibition experience programs using online spaces as a countermeasure against non-face-to-face situations. In that exhibitions can be enjoyed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online exhibition programs were used as a way to replace the existing exhibition methods. The online exhibition space drew attention for being able to provide the same experience as what you actually saw without visiting the actual space, being able to view anytime, anywhere,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visitors in real time. However, the online exhibition space was criticized for not sufficiently inducing visitors to immerse themselves in that there was a limit to feeling the aura and atmosphere of the field given by exhibits in the actual exhibition space. In addition, depending on age and individual ability, they may not fully enjoy online exhibition spaces due to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manipulate smart devices.Since the online space is a virtual space, the fact that you can easily feel tired if you watch it for a long time is also a factor that hinders the flow of visitors and has limitation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viewing program by applying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flow. In the flow theory organized by Csikszentmihalyi, a program that applies this was conceiv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three prerequisites necessary for flow: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4th graders of W Elementary School to check whether they experienced flow through flow scale tests, personal interview records, class recordings, and exhibition viewing appreci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learners could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online exhibition space to watch the exhibition, and what elements of the online exhibition viewing program helped flow.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n exhibition viewing program for flow, three prerequisites for flow must be included: "clear goal," "immediate feedback," and "challenge-skill balance." The students said that the pre-learning of exhibition viewing based on three elements was very positive for the exhibition viewing. Giving clear goals every hour and setting individual exhibition viewing goals helped them to recognize what they had to do in their activities, which naturally helped them to flow themselves in their activities.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check whether they were following the activities well with immediate feedback from teachers and questions within the activity sheet that they could look back on themselv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of forming prior knowledge necessary for viewing the exhibition and learning how to manipulate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were very helpful in flowing themselves in viewing the exhibition. Second, as a result,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experience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means that when an actor focuses on a task, he or she does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task. The students said that when they watched the exhibition, they did not think about anything o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work they were watching or their thoughts on the work, and they were only able to focus on the exhibition. In fact, none of the students did anything other than watching the exhibition during class. Thir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program also experienced 'transformation of time'. Most people who experience flow experience a 'transformation of time', often referring to feeling so focused that they lost track of time. Students were surprised to hear the notification of the end of class, such as "Are you done already?" and "Why is the time so short?" the most common words in class. It proves that most students were flowed in this exhibition program. Fourth,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had a 'autotelic experience'. Students started with a sense of duty that everyone should attend classes, but by the end of the program, they would rather try more enjoyed it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exhibition itself, such as wanting to go to an art museum, and they felt like I wanted to experience it more. Although it was an online space, it is expected to be a good motivating factor for future museum visits through the positive experience of exhibition viewing.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been revealed that exhibition viewing programs using online exhibition spaces can sufficiently attract viewers' flow. It can be a very good substitute for those who cannot visit and see an actual art museum due to conditions. In particular, for students in rural areas, such an online virtual art museum exhibition and viewing program can give them a new flow experience and act as a motivating factor to visit the actual art museum. In addition, it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because more people can enjoy various exhibitions if they can fully flow themselves in the works of famous overseas art museums through online exhibition spaces. keywords : online exhibition, virtual museum, museum program, flow 몰입을 위한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 개발 -사비나 미술관을 중심으로- 강다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박물관미술관교육전공 ( 지도교수 류재만 ) 분위기를 느끼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관람객의 몰입을 충분히 유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연령, 개인의 능력에 따라 스마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역량의 차이로 인해 온라인 전시 공간을 충분히 즐기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온라인 공간은 가상공간이다 보니 오랜 시간 관람할 경우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도 관람객의 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어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몰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 을 적용하여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칙센트미 하이가 정리한 몰입 이론에서 몰입에 필요한 전제 조건 3가지(명확한 목표, 즉 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에 주목하여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구상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W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몰입을 경험 하였는지를 몰입 척도 검사, 개인 면담 기록, 수업 녹화 장면, 전시 관람 감상 문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이 온라인 전시 공간에 서도 충분히 몰입하여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지, 온라인 전시 관람 프로그램의 어떠한 요소가 몰입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몰입을 위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 ‘즉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3가지 몰입의 전제 조건 요소를 포함 해야 한다. 학생들은 3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전시 관람 사전학습이 본 전시 관람에 매우 긍정적인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차시별로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 개별적인 전시 관람 목표를 설정한 것이 활동에서 스스로 해야 할 일 을 인지하도록 도움을 주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몰입에 도움이 되었다. 또한 학 생들은 프로그램 참여 중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스스로 돌아볼 수 있는 활 동지 내 질문들로 활동 내용을 잘 따라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 다. 더하여 본 전시 관람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형성하고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의 조작 방법을 익힌 내용이 본 전시 관람에 몰입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된 것 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 결과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대부분 ‘과제에 대한 집 중’을 경험하였다. ‘과제에 대한 집중’은 행위자가 어떠한 과제에 집중하게 되 면 과제 이외의 어떠한 생각도 하지 않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본 전시 를 관람할 때 관람하고 있는 작품의 내용이나 작품에 관한 생각 외에 다른 생각 은 하지 않았고 오직 전시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업 시간 중 전시 관람이 아닌 다른 행동을 하는 학생은 한 명도 찾아볼 수 없었다. 셋째, 본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시간 감각의 변형’도 경험하였 다. 몰입을 경험하는 사람 대부분은 ‘시간 감각의 변형’을 경험하게 되는데, 흔 히 너무 집중한 나머지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은 수업 중 가장 많이 했던 말이 “벌써 끝났어요?”, “왜 이렇게 시간이 짧아요?”와 같이 수업 시간 마무리 알림을 듣고 놀라는 표현들이었다. 학생 대부분이 본 전 시 프로그램에 몰입했다는 것을 방증한다. 넷째,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시 관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기 목 적적 경험’을 하였다. 학생들은 누구나 수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처 음엔 시작했으나, 프로그램이 마무리될 즈음에는 오히려 더해보고 싶다거나 직 접 미술관에 가보고 싶다는 등 전시 관람 그 자체를 목적으로 즐겼고 또 더 경 험하고 싶은 마음을 느꼈다. 이는 비록 온라인 공간이었지만 전시 관람의 긍정 적인 경험을 통해 앞으로의 미술관 방문에도 좋은 동기 요인이 될 것이라 예상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 공간을 활용한 전시 관람 프로그램도 충분히 관람자들의 몰입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건 상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여 관람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에게는 이와 같은 온라인 버추얼 미술관 전 시 관람 프로그램이 새로운 몰입 경험을 안겨주어 실제 미술관에 방문하게 되는 동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유명 미술관의 작품들을 온라인 전시 공간을 통해 충분히 몰입하여 감상할 수 있다면 더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전시를 향유할 수 있게 되므로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주요어: 온라인 전시, 버추얼 미술관, 미술관 프로그램, 몰입 * 본 논문은 2023년 1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1수업 2교사제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교사 협력을 중심으로

        김용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03

        이 연구의 목적은 1수업 2교사제가 운영되는 양상과 1수업 2교사제로 인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1수업 2교사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1수업 2교사제와 교사 협력, 그리고 학교 조직 문화의 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즉, 1수업 2교사제가 학교 조직 문화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또는 정책의 변용을 통하여 불응하는지 혹은 형식적으로 순응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업 2교사제 운영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1수업 2교사제로 인해 학교 조직 문화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넷째, 기존 학교 조직 문화로 인해 1수업 2교사제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교육청에서 1수업 2교사제 정책을 시범․운영 중인 2개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였다. 두 학교는 인근 지역에 위치했지만 서로 다른 학교 조직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상이한 학교 조직 특성으로 인해 1수업 2교사제의 운영 양상을 대비하여 조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목적에 비추어 의도적으로 표집하였다. 주요 면담 대상자들은 2개 초등학교에서 1수업 2교사제에 참여 중인 더불어 교사와 담임교사들로 총 15명이었다. 그리고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써 주요 면담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총 42회 실시하였으며, 수업 나눔 페스티벌을 활용하여 총 8회의 수업 참관을 하며 동영상으로 수업을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 참여자, 교육학 연구자, 박사과정 대학원생 및 석사과정 대학원생, 현직 교원, 그리고 현재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들로부터 여섯 차례의 검토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살펴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업 2교사제 운영 양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1차 연도와 2차 연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두 학교 모두 초기에는 한 교실에서 두 명의 교사가 함께 가르친다는 데에 부담감을 갖고 시작했다. 이후 사오 관계가 깊어짐에 따라 긴장과 갈등을 극복하면서 사전 수업 협의회가 활성화 되었고 그 결과 다양한 협력 수업 전략을 활용하였다. 다만, 수업시수 균등 분배 규범의 영향으로 인해 바다별초등학교의 1수업 2교사제는 교과 전담제의 형태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후 2년차에는 교수-지원 중심의 협력 수업 유형을 통해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을 추구하면서 1수업 2교사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더불어 교사의 연계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1수업 2교사제가 운영되지 않는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한편, 하늘별초등학교의 1수업 2교사제는 기존 동 학년 구성원을 유지하며 래포를 형성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며 동 학년 교사 협력이 보다 전문적인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2년 차에는 교원 학습 공동체와 연계하며 스테이션 수업 유형이 주로 활용되었고, 한 차시의 수업에 다양한 협력 수업 전략이 복합적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하늘별초등학교에서는 1수업 2교사제의 성공 경험이 다른 학년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1수업 2교사제로 인한 변화에 대해 수업의 변화, 교사의 변화, 교사 관계의 변화, 그리고 학교 조직 문화의 변화 차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바다별초등학교의 경우 1수업 2교사제를 통해 교사들의 초기 부담감은 점차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책임감으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교사 관계에 있어서 기존의 친밀감을 중시하는 동호회 성격의 관계를 넘어서 전문적 협력 관계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기존 학교 조직 문화의 영향이 워낙 강력하다보니 오히려 1수업 2교사제가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 결과 1수업 2교사제가 교사 간 경력 차이로 인해 멘토링 형태로 운영되거나 수업 시수 균등 배분 규범으로 인해 교과 전담제와 같이 운영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더불어 교사의 연계성을 확보하지 못하며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한편, 하늘별초등학교의 경우 스테이션 수업을 통해 교사들은 새로운 수업 방법 시도에 대한 성공을 경험하며 협력적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 관계에서는 개별 교사들의 전문성에 기반을 둔 상호 멘토링과 코칭의 관계로 성장하였다. 특히, 학교 조직 문화의 변화와 관련하여 기존 교원 학습 공동체와 1수업 2교사제를 연동하여 운영하며 교실 속 교사 협력이 심화되었고, 그 결과 다른 학년으로 협력 교수가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교사 개인 차원, 교사 관계 차원, 학교 조직 차원, 그리고 학교 조직 문화 차원으로 구분하고 두 학교의 사례를 대비하여 살펴보았다. 교사 개인 차원의 요인으로는 변화에 대한 부담감, 참여의 자발성 등이 있었고, 교사 관계 차원의 요인으로는 교육 경력 차이, 교육 철학 차이, 부장교사와 학교장의 리더쉽 등이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학교 조직 차원의 요인으로는 교원 학습 공동체 참여 여부, 혁신학교 여부, 학교 규모, 참여 교사의 연계성 확보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조직 문화 차원으로는 상호 불간섭 원칙, 동 학년 통일 규범, 변화에 대한 불만 속 순응, 연공서열 중시 등이 있었다. 이처럼 1수업 2교사제 운영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1수업 2교사제는 한 교실에 두 명의 교사가 함께 협력 교수함으로써 기존의 1인 교수 학교 조직 문화와 상호 교섭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책의 변형적 적용과 선택적 수용, 그리고 형식적 순응 현상을 보였다. 특히, 1수업 2교사제 운영 과정에서 단순히 두 명의 교사가 한 교실에서 가르치는 것만으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역설적이게도 교사들로 하여금 겉으로는 협력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즉흥 연주하듯 서로 눈치를 보며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가장된 협력’의 형태로 변형되어 나타났다. 또한, 연공서열을 중시하며 보이지 않는 수직적 위계가 암묵적 질서로 자리 잡은 전통적인 한국 학교 조직 문화의 특성으로 인해 위계적 협력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 결과 1수업 2교사제의 교사 협력이 멘토링, 교과전담제의 변형된 형태로 적용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수업 2교사제가 학교 조직 문화에 미친 영향보다 기존 학교 조직 문화로 인해 1수업 2교사제가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변형적으로 적용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수업 2교사제를 통한 교사 협력은 ‘계란 판’과 같이 교사들을 격리시키는 학교 교실의 물리적 구조를 극복하여 한 교실 안에 두 명의 교사가 함께 협력하여 가르치는 시도 자체만으로도 개인주의 교직 문화를 극복하기 위한 혁신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비록 1수업 2교사제가 비록 교육청으로부터 하향식으로 시범 운영되었지만, 교사들은 교육적인 가치를 중심에 두고 교사 간 전문적 협력의 관계를 형성하며, 기존의 학교 조직 문화에 의미 있는 변화를 느리지만 점진적으로 시도해 나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업 2교사제 운영 양상은 초기에 수업 공개에 대한 부담감이 컸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교사 간 함께 수업 계획하기가 활성화되고 관계가 깊어지며 점차 부담감을 극복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1수업 2교사제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인은 ‘관계’였다. 1수업 2교사제 운영 과정에서 교사들의 상호 신뢰적 관계를 바탕으로 협력적 전문성이 발현되지 않는다면 지속가능한 학교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셋째, 1수업 2교사제가 학교에 미치는 영향보다 오히려 기존 학교 문법으로 인해 학교가 1수업 2교사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수업 2교사제를 통한 교사 협력은 개인주의, 현재주의, 보수주의로 점철된 교직 문화를 극복하는 데에 미약하지만 긍정적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1수업 2교사제와 같은 급진적 형태의 교사 협력은 교사들의 자발적 참여와 헌신을 바탕으로 하여 점진적으로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 코티칭 연구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한국 특유의 학교 조직 문화로 인해 1수업 2교사제가 코칭, 상호 멘토링, 수습교사제와 같이 새로운 형태로 운영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섯째, 1수업 2교사제를 교원 학습 공동체와 연계하여 운영하도록 교육청의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1수업 2교사제는 코로나 시대에 학생들의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1수업 2교사제의 효과를 높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1수업 2교사제와 교원 학습 공동체 정책을 연계하여 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수업 속 교사 협력을 위해 교사 양성 기관과 연계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1수업 2교사제 수업과 교육 실습 등 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체계적인 교사 연수를 지원하고 교사들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1수업 2교사제를 정비해야 한다. 넷째, 코로나 19로 인한 교육 격차 문제 심화 등 기초학력을 보장을 위해 1수업 2교사제도의 체계적 검토와 전략적 대처가 필요하다.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기간이 2년으로 길지 않다는 점에서 1수업 2교사제에 대하여 종단적 차원에서 대규모의 질적 연구가 요청된다. 둘째, 1수업 2교사제를 운영 중에 있는 여러 지역의 학교를 대상으로 다양한 운영 양상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고, 교사 협력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대규모의 양적 연구가 요청된다.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관한 사회환경교육 전문가의 인식유형

        오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관한 사회환경교육 전문가의 인식 연구를 한 후 이를 유형화하고, 유형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인식 유형의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의 연구 절차를 활용하여 41개의 Q 표본을 작성하였고, P 표본의 경우는 본 연구의 선정기준을 충족한 사회환경교육 전문가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Q 표본의 분류 단계에서는 추가로 후속 면담 및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자료처리 단계에서는 QUANL PC Program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로 다음과 같은 사회환경교육 전문가의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가치 연계 지식 추구형으로 현실과 연계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평생학습 차원에서 지역사회와 함께 활성화하려고 노력하는 유형으로 환경 영역 뿐 만 아니라 사회, 경제 영역에 대한 관심이 크고 사회환경교육에서 적극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려고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규범 연계 태도 추구형으로 지자체를 신뢰하고 환경교육을 중심으로 협력과 소통을 통해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신념 연계 행동 추구형으로 생활 속에서의 실천 즉 환경행동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를 위해서 전체적인 교육시스템의 검토와 변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세 유형 모두 ‘효과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서는 학교와 사회 두 영역을 비롯한 지역사회간의 상호협력이 아주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이런 유형간 공통 의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지자체 구성원들의 인식변화를 위한 노력과 교육 시스템 전반에서의 통합적인 접근,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하여 평생학습차원의 생애주기별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행된다면 지속적인 환경행동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서 지속가능발전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진화하고 발전하는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의 특성과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하여 각 지자체별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의 연계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향후에는 지도자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치관, 태도의 정립 등을 포함하는 지속가능발전행동에 관한 모형이나 이론의 수립에 관한 논의 및 연구가 별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erception study of experts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hen to typify it, and explore commonalities,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types. To this end, 41 Q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research procedures of the Q methodology in this study, and 42 experts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met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P sample. In the classification phase of the Q sample, additional follow-up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data processing phase, we utilized the QUANL PC Program, and our findings derived from experts in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following three perceptions types as follows; First, the value-linked knowledge-seeking type tries to vitaliz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inked to reality with the community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It is very interesting in not only environmental fields but social and economic ones, and try to actively condu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 the norm-linked attitude-seeking type can be seen as considering th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implemented throug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focusing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rusting the local government. Third, the belief-linked behavior-seeking type can be seen as considering that practice, environmental behavior, is very important in everyday life and recognizes that the overall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reviewed and transformed for this purpose. All three types recognized that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including schools and society,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based on common consciousness among these typ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reached: I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implemented based on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s of local government members, integrated access across the education system, and connections with the community,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can be achieved.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should continue on the link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local communities in each local governmen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evolving and develop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uture, discussions, and research need to be conducted separately on the establishment of models or theori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behavior, including the values and attitudes of leader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ChatGPT-4를 이용한 식용식물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 개발

        김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전문가 기반(전통적 수업 프로그램 설계)의 방식과 ChatGPT 기반(최근 OpenAI에서 공개한 ChatGPT의 최신 버전, ChatGPT-4를 이용한 수업 프로그램 설계)의 방식으로 식용식물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학교 현장에서 ChatGPT를 활용한 수업(원예 교육을 중심으로)을 설계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식용식물프로젝트학습 및 ChatGPT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선행연구를 탐색하고 먼저 ChatGPT 기반 학습의 비교군이 되는, 전문가 기반 식용식물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어 ChatGPT를 활용한 동 주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선행 절차로 프로그램 개발 관련 프롬프트(명령어)를 선정하는 ‘프롬프트엔지니어링’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였다. 양 프로그램 개발 후에는 각각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ChatGPT를 이용한 수업 설계 시의 장점·단점을 분석하여 교육적 적합성을 살펴보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 기반 식용식물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식용식물프로젝트학습을 통한 학생의 식습관 개선’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한 10차시의 소프로젝트학습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둘째, ChatGPT 기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실시하여 ‘일반-특수(General-to-Specific)검색적 접근’과 ‘구체적 사례 제공(Few-shot learning)’ 원칙을 설정하였다. 셋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기반 프로그램과 동 주제의 ChatGPT 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단계로는 체제 중심 교육 설계 모형인 ‘ADDIE’ 모형을 참고하여, ‘시연’, ‘주제목차선정’, ‘교안작성’, ‘평가 및 환류’ 4단계 절차를 고안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각 개발 단계의 핵심 프롬프트를 선정하여 일반화를 도모했다. 넷째, 전문가 및 ChatGPT 기반 수업 설계를 비교한 결과 ChatGPT 기반 수업 설계는 수업자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학생 맞춤형 수업 설계가 가능하고, 교육의 최신 경향을 반영한 수업 설계가 수월하며, 다양한 수업 자료를 발굴·적용하는 데 유리하다는 점에서 강점을 보였다. 또한, ChatGPT 기반 수업 설계는 교사의 창의적 수업 설계가 제한될 수 있고, 부정확한 정보 제공의 가능성이 있으며, 수업자의 목적 및 의도에 맞는 수업안 작성이 어렵고, 비현실적 수업 설계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단점을 보였다. 다섯째, ChatGPT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은 ChatGPT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수업 계획 및 수업 활동에 ChatGPT를 활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전문가 기반 프로그램과 ChatGPT 기반 프로그램의 비교에서, ChatGPT 기반 프로그램의 장점으로는 ‘시간과 노력의 절약’과 ‘다양한 수업 자료의 발굴 및 적용’을 주로 선택하였고, 단점으로는 ‘부정확한 정보 제공의 가능성’과 ‘비현실적 수업 설계의 가능성’을 주로 선택하였다. 여섯째, 설문에 응답한 교사들은 수업 설계 과정에 ChatGPT를 이용하더라도 미래 교사 역할의 중요성이 현재보다 강화되거나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며, 미래 교사는 AI 기술 활용 책임자이자 전문가로서, ChatGPT를 주도적, 비판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 연구는 ChatGPT를 이용한 수업을 계획할 때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의 일례를 제시하고 수업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여러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원예 교육을 중심으로 ChatGPT를 이용한 수업 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앞으로 효과적인 ChatGPT 활용 교육을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 외에도 다양한 수업 계획 및 실천 사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원예 교육에 ChatGPT를 활용하는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ChatGPT와 같은 AI 챗봇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실질적인 교사 연수 및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으며 AI 기술의 발달에 따라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미래 학교 현장의 교사 역할에 대한 추가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design of lessons (focusing on hor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using ChatGPT, by developing and comparing edible plant project learning programs based on expert knowledge (traditional curriculum design) and ChatGPT (recently released ChatGPT-4 by OpenAI). To achieve thi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edible plant project learning and educational use of ChatGPT was conducted, and an expert-based edible plant project learning program, which serves as a control group for the ChatGPT-based learning, was developed. Subsequently, a program on the same topic using ChatGPT was developed, with 'prompt engineering' to select relevant prompts (commands) as a preliminary procedure, thus enhancing the program's completion. After developing both programs, the content was compared and analyzed. Furthermo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 ChatGPT in lesson design were analyzed to examine educational suitability,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perception of its applicability in actual school situation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expert-based edible plant project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program's objective was set to 'improve students' eating habits through edible plant project learning,' and a ten-lesson subproject learning program was planned to achieve this goal. Second, prompt engineering was conducted for ChatGPT-based program development, setting the principles of 'General-to-Specific' search approach and 'providing specific examples (Few-shot learning).'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prompt engineering, expert-based and ChatGPT-based programs on the same topic were developed. The 'ADDIE' model, a systematic education design model, was referred to for program development stages, devising a four-step procedure of 'demonstration,' 'topic selection,' 'lesson plan development,' and 'evaluation and feedback.' Key prompts for each development stage were selected to facilitate generalization. Fourth, a comparison between expert-based and ChatGPT-based lesson design revealed that ChatGPT-based lesson design could save instructors' time and effort, enable personalized lesson planning, easily incorporate the latest trends in education, and be advantageous in discovering and applying diverse educational materials.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it could limit teachers' creative lesson planning, potentially provide inaccurate information, make it difficult to prepare a lesson plan according to the teacher's purpose and intention, and possibly lead to unrealistic lesson planning. Fifth,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of ChatGPT showed that while most teachers were interested in ChatGPT, its use in lesson planning and activities was not widespread. In the comparison between expert-based and ChatGPT-based programs, teachers primarily chose 'saving time and effort' and 'discovery and application of various teaching materials' as the advantages of the ChatGPT-based program, and 'potential for providing inaccurate information' and 'possibility of unrealistic lesson planning' as disadvantages. Sixth,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anticipated that the role of future teachers would be strengthened or similar even if ChatGPT is used in lesson design. They determined that future teachers should be responsible for using AI technology and act as experts, being able to use ChatGPT proactively and critically.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example of a specific method that can be applied when planning a lesson using ChatGPT, and to help in lesson design utilizing ChatGPT, focused on horticulture education,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to consider during lesson planning. For effective education utilizing ChatGPT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 into various lesson planning and practical case studies will be required bey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a variety of attempts and studies applying ChatGPT to elementary school horticulture education are needed.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substantial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regarding the educational use of AI chatbots like ChatGPT. As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is expected to bring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 on the role of teachers in the school field should also be conducted.

      •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 분석

        이혜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에 따른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관련된 변인들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사회환경교육 강사가 나아갈 바람직한 전문적 자질을 모색하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조사하였다. 측정도구는 27문항으로 직업적 프로필을 일반적 특성, 직업 전문성 인식, 직업 만족도로 세분화하였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적극성, 참여의식, 자율성, 윤리의식, 소명의식으로 세분화하여 구성하였다. 설문방법은 객관식과 리커트형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에 응답한 113명을 대상으로 IBM SPSS Statistics 25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환경교육 강사는 월 평균 강의 횟수가 많을수록 전문직 인식 수준과 사명감/목표의식이 높고, 재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자신의 강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이 길수록 가르치는 일 자체와 사회적 인식에 대한 직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비전공 학사그룹이 전공 학사그룹보다 사회적 인식에 대해 만족했고, 자격증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직업적 성취도는 높지만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척도에서 윤리의식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재교육의 필요성 인식, 자신의 강의 전문성 인식, 사명감과 목표의식 그리고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경교육사 자격증과 월 평균 강의 횟수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르치는 일 자체의 만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환경교육 강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을 위해서는 직무 자체의 적성을 고려한 강사를 선발하고, 강사가 경력을 유지하는 동안 자신의 강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환경교육 전공자와 경력자의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 우대 조건이 필요하며,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이 현재의 강사 활동과 연계되도록 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또한 강사들의 경력과 자격에 따른 보수 기준을 마련하는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교사전문성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혜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지각을 바탕으로 교사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의 수준을 밝히고, 교사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전문성 매개 효과 중심으로 알아봄으로써,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한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사전문성의 중요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의 수준은 어떠한가? 나.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나-1. 교사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2. 교사 임파워먼트가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3. 교사 임파워먼트가 교사전문성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22개 학교 33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교사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14문항, 교사전문성과 관련된 11문항, 직무성과와 관련된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배경변인별 수준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측정오차와 구조 오차를 고려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한 교사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 수준은 모두 높았으며 배경변인인 교직경력이 높으면 모든 변인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사전문성, 직무성과의 세 변인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만이 세 변인에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성별, 보직여부, 교직경력, 학교 규모를 통제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 임파워먼트는 직무성과, 교사전문성 각 변인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교사전문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전문성은 교사 임파워먼트가 직무성과에 대한 전체 효과 중 약 50.7% 정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은 적합하게 나타났으며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는 약 59.7%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은 교사에게 적극적으로 권한을 부여하고 교사가 영향력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하여 교사들의 임파워먼트 인식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동시에 교사 스스로도 교사 임파워먼트 신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전문성은 실제 전문성 보유 수준의 영향이 크지만 이는 각종 교육경험의 누적과 연수 참여, 대학원 진학 등의 교사전문성의 질을 높이려는 시도의 결과라고도 볼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성 개발을 장려하고 공유하는 교직 문화를 구축하고, 각종 지원책 마련과 연수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 셋째, 교직경력은 모든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저경력 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장과 교사 모두 노력하고 지원해야한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를 연구하여 학교장이 어떠한 영역에서 어느 정도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교사 임파워먼트 인식 신장에 효과적인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학교장의 권한 부여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사전문성이 교육 지식, 교수 기술, 인간관계, 환경 조성 능력 등과 교사 자질과 관련된 개인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아우를 수 있도록 교사전문성 영역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학업성취도와 같은 교육 결과와 심리적인 만족감과 동일시 등을 포함한 학생과 밀접하게 관련된 교사의 직무 성과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주요어 : 교사 임파워먼트, 교사전문성, 직무성과 * 본 논문은 2015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to the duty result through the teacher professionalism. These are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How is the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uty result that the elementary teachers are aware of? b. In the effect of the empowerment that elementary teachers are aware of to the duty result, how is the effect of teacher professionalism? b-1. How does the teacher empowerment influence duty result? b-2. How does the teacher empowerment influence teacher professionalism? b-3. How does the teacher empowerment influence duty result that is carried by teacher professionalism? To solve the problems, I have done a research targeting Seoul 22 elementary school’s 330 teachers. The survey constitute teacher empowerment related question 14, teacher professionalism related question 11, duty result related question 10. To acknowledge the level difference from background variable, I've done t/F test, and to analyze each variable relationship, I've don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To inquire the indirect effec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at considers the error of research model goodness and structure error, I've don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the teacher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uty result that teachers are aware of were all high, and if the teaching career, which is background variable, was high, all the variables standard was high. Secon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3 variables which were teacher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uty result had statically significant matter. Only the teaching career from the background variable had significant matter to 3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nforcing regression analysis which has gender, appointment, teaching career, size of the school as control factors, teacher empower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to duty result, and teacher professionalism variable. By having teacher professionalism as mediator variable and don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t showed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mediate teacher empowerment and duty result about 50.7%. From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by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he settled research model had shown suitable and the indirect effect of teacher professionalism was 59.7%. By the above results of research, I’ve made conclusions. First, principal has to put effort in to make teacher’s empowerment cognitive level high, by giving authority aggressively to the teacher and let them feel influential. At the same time, teachers themselves have to put effort in to increase teacher empowerment. Second, teacher professionalism has big influence about the amount of professionalism retention level, but this is the result of trying to increase quality of teacher professionalism by teacher career accumulation, catch training program, graduate school advancement. So there needs to be continuing effort of professionalism development. Also we need to encourage developing professionalism, construct teacher culture of sharing, preparing support measures, and developing training program. Third, teaching career has significant influence to all variables, so to increase standard of teacher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and duty result, principal and teachers all have to put effort in it as support it. By the research result and the conclusion, these are the proposal for follow-up study. First, by researching where the teacher empowerment awareness starts, and need to research what area and how much authority of principal will help apprehend teacher empowerment expand recognition. Second, we need to research of the teacher professionalism part to put together teacher qualification related individual aspects syntagmatically such as education knowledge, technique of teacher, human relations, and ability of environment development to teacher professionalism. Third, there needs to be additional research of teachers duty result that has close relation with students, including study achievement and mental satisfaction. Keyword : Teachers' empowerment, Teacher professionalism, Duty Result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에 대한 전문강사의 인식

        김수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인공지능이 삶의 많은 부분에 사용되면서 인공지능 교육이 교육 현장에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초등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 교육은 전문 교원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교사와 전문강사가 협업하여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에 대한 전문강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초등 인공지능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 인공지능 교육을 하는 전문강사 196명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을 사전 조사하여 네이버 엔트리, 단순 인공지능 체험 플랫폼(퀵드로우, 오토드로우, 두들 바흐, 아키네이처), 스크래치 3.0, Teachable Machine, mBlock, MakeCode, App Inventor, Machine Learning for Kids, AI for Oceans, KT AI Codiny(지니블록), Orange3, 엘리스 12개의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을 선정한 후, 360명을 대상으로 접근성, 교육용 콘텐츠, 플랫폼 성능, 교수・학습 관리, 공공성, 초등 수준 적합도, 피지컬 컴퓨팅과의 연계 가능성, 커뮤니티의 8가지 기준에 대한 인식조사를 온라인 설문조사로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8가지의 선택 기준 중 접근성이 제일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에 방문하여 수업을 해서 교육 환경에 의해 수업에 활용하려는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중 초등 인공지능 교육에 제일 적합한 것으로는 8가지 모두 높은 점수를 얻은 네이버 엔트리가 선정되었는데, SW 교육으로 초등 실과 교육에 사용되고 있어 친숙하며, 웹 버전으로 편리한 접근성과 양질의 많은 교육용 콘텐츠가 있고, 교수・학습관리가 가능하고 인공지능 기능이 크게 강화되었으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초등 수준에 적합하며, 하드웨어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피지컬 교구들과 연계를 할 수 있고, 나의 작품을 쉽고 편하게 공유할 수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은 기술의 발달로 지속해서 개발, 업데이트가 되고 있다는 제한점이 있어서 일정 기간 단위로 인식조사를 하고, 공유하여 인공지능 교육 전문강사 양성 프로그램을 기획하며, 인공지능 교육에 더욱 적합한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개발 및 업데이트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인공지능 교육을 위하여 교사는 학생들의 인공지능 교육 성취 목표를 기준으로 교수・학습 설계를 하고, 전문강사는 인공지능 교육의 기술적인 부문을 담당하며 서로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교사와 전문강사 양성 맞춤 프로그램도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 is used in many parts of lif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actively being introduc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s widely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teachers and professional instructors due to difficulties in securing professional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y analyzing professional instructor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o this end, 196 professional instructors in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in advance to select Naver Entry, Simple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ence Platform (QuickDraw, Autodrow, Doodle Bach, Aquinature), Scratch 3.0, Teachable Machine, mBlock, MakeCode, App Inventor, Machine Learning for Kids, AI, AI, Odensey, 12 public learning platform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physical computing and the perception of the community's eight criteria. The survey found that accessibility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eight selection criteria, as it is hope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 to be used in class by visiting schools will not be used b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mo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Naver Ent.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for elementary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t is used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s SW education. It has convenient accessibility,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s are greatly enh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and upda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o they should be investigated and shared on a certain period of time to pl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structors training programs, and help develop and updat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s more suitabl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addition, for effe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eachers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students' AI education achievement goals, professional instructors are in charge of the technical sector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a customized program for teacher and professional instructor training should also be studied.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