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웹사이트에서의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장명숙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대학을 둘러싼 교육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대학들도 기업이나 각종 사회단체들과 마찬가지로 매스미디어 채널을 통해 각 대학의 발전 가능성과 우수한 장점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게 되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의 등장으로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학들은 웹사이트를 구축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입시생 및 학부모의 대학교 웹사이트 이용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학에게 있어 미래의 고객이 될 수 있는 주요한 홍보 타겟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대학교 웹사이트는 이러한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각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입시생 및 학부모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시각적 디자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텍스트는 기본적인 정보전달의 기호이다. 화면상의 텍스트는 정보를 올바르게 전달해야 하며, 읽기 쉬어야 하고, 인터페이스 안에서 구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 서브메뉴는 가시성 및 가독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글자크기를 조절하고 좀 더 선명한 색상 대비를 줄 필요가 있다. 둘째, 이미지는 가장 일반적인 시각적 표현 매체로 많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시각언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는 이미지의 흑백톤 사용을 줄이고, 각 페이지별 주제에 따라 그 의미가 전달되는 다양한 이미지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덕여대만의 느낌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인터페이스에서 색체의 사용은 중요한 정보를 강조할 수 있으며, 화면의 구성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의 각 페이지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는 글자색과 바탕색의 선명한 대비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질서 있는 레이아웃이 필요하다.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은 일관성 있는 구성과 기능을 가져야 하며 심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동덕여자대학교 웹사이트는 일부 어수선한 사진 배치가 시각적으로 좋지 못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불필요한 사진요소는 줄이고 적절한 크기 및 배치 조절을 통해 전체적 화면의 레이아웃을 심미성 있게 만들어야 한다. 이처럼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부분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 그중에서도 시각적 디자인요소는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 가장 빠른 전달력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과거의 단순한 텍스트 위주의 웹사이트가 불과 몇 년 만에 화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웹사이트로 변화하였다. 앞으로의 웹사이트는 더욱 디자인에 민감한 웹사이트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 가정하였을 때 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대학교 웹사이트도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제공과 그러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요소가 고려된다면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이다. Following changes with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actively publicize their growth potentials and advantages through mass media channels, similar to the methods used by corporations a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Particularly, with the introduction of high-speed internet, most universities within Korea are actively utilizing websites. Within such a background, the rate of use for university websites are increasing among new students and parents. At the same time, such visitors are a major publicity targets who may become potential future customers. Consequently, university websites must contain information which satisfies user needs. At the same time, interface design which effectively delivers such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As a resul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new students and parents to find information most required and analyzed the website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focusing on visual design elements of interface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xt is the most fundamental symbol for information delivery. Text must properly delivery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be displayed within the interface. Consequently, the sub menus of each website must adjust the font size and utilize clearer colors for added receptivity. Second, as a most fundamental form of visual expression, images can be considered to be a type of visual language which includes much information. Accordingly,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website must decrease use of black and white images, but rather use various images which delivers accur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opic of each page. In addi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photos and illustrations which aptly delivers the distinctive feeling of Dongduk Womens University must be used. Third, use of colors within the interface can highlight important information while separating screen configuration can improve user understanding. Consequently, the main menus and sub-menus of each page within the Dongduk Womens University website requires more clear contrast between text colors and background colors. Fourth, in order to effectively delivery information to users, an organized layout is necessary. Some of the photos layout within the website do not give a great visual impression. Consequently, this study concludes that unnecessary photos should be reduced and the overall layout should be improv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size and layout. As shown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is study, many areas must be improved in order to raise user satisfaction. However, visual design elements are the fastest in delivering information to users and their significant effects are profoundly clear. In addition, the simple text-based websites of the past have been transformed into colorful and varied websites in just a matter of years. When considering that websites will continue to develop in terms of design, it is believe that web interface designs which consider visual elements will continue to become more important. Consequently, user satisfaction can be expected to increase if university websites provide information needed by users and consider visual interface design elements within website designs.

      •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김희은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Outcomes among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university's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the group of non-participating students.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upport program for the past three years and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t classified 324 participants in the university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223 non-participating groups, and used the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rograms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in this study, all variables, except for positive psychologists, had a direct relationship with learning performances. In other word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not to have a direct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s. Second, looking at the mediating effec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directly affects learning performances through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r learning flow. In addi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shown to have an indirect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s by double-mediati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alysis between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non-participating groups. In the case of the nonparticipating group, there was no impact of learning flow on learning performances, and all the mediating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confirmed the achievement of improving learning performances by organically linking the internal factors of individuals with those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learning. Therefore, a long-term and integrated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produce the best learning performances along with learning methods based on strategies that enhance learning performances by increas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fo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hich are internal factors of learners, and to raise the degree of learning flow experienced in the learning process. From the design stage of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the learners themselves should continue to manage the performances of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through activities that can develop programs that can promote learning performances with various strategies, participate in the program, complete learning, and evaluate and analyze performance. Keywords : University Learning Support Program, Structural Relations Analysi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arning flow, Learning Performance 이 연구는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자기결정성 동기, 학습몰입,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비참여 학생 집단과 구조적 관계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의 12개 4년제 대학 재학생 중 최근 3년간 학습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과 한번도 참여하지 않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 집단 324명과 비참여자 집단 223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적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들은 학습성과에 대하여 직접적인 관계가 있었다. 즉, 긍정심리자본은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은 자기결정성 동기 또는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은 자기결정성 동기와 학습몰입을 이중 매개하여 학습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와 비참여자 집단의 구조모형분석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비참여자 집단의 경우,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몰입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개인의 내적요인과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요인들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학습성과 향상을 도모하는 성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내적요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자기결정성 동기를 높여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학습몰입의 정도를 끌어올리는 전략을 기반으로 학습법과 함께 최상의 학습성과를 도출하게 하는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한다.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설계 단계부터 다양한 전략으로 학습성과를 고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학습을 완료한 후 학습자 스스로가 성과를 평가하고 분석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대학 학습지원 프로그램, 구조적관계분석, 긍정심리자본, 자기결정성 동기, 학습몰입 학습성과

      • 대학보건소의 현황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시내 여자대학을 중심으로

        권수경 同德女子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보건소의 기능과 역할평가를 통해 대학보건사업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며 구체적으로는 첫째, 보건소의 시설, 인력, 보건서비스, 교육현황을 분석하여 둘째, 보건소의 역할과 기능을 평가하고 셋째, 대학 보건소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대학병원을 소유하지 않은 서울시내 5개 여자대학의 보건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문헌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설문자료, 보건소 이용현황 및 시설, 인력 현황 등은 백분율을 이용한 기술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학교의 부칙에 나와 있는 보건소 요원에 대한 명시와는 달리 실제로 근무하는 인력은 근무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해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다. 의약품은 의용약은 모두 갖추고 있었으나 내복약의 경우 단순한 내복약만이 비치되어 있었으며, 의사의 지시가 있을 경우 처방하게 되어 있었다. 상근의사가 있는 학교에서는 종류별 개수뿐만 아니라 기자재의 질적인 측면도 뛰어 났다. 특히, 이 학교는 치과 진료를 하고 있어 흉부 간접촬영 카메라, 치과 X-RAY, UNIT, CHAIR(치과용 진료의자)의 기자재를 갖추고 있으며, 그 밖에 초음파, 심전도도 갖추고 있었다. D여대의 경우 학생수에 비하여 침상수의 비율이 다른 네 학교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C여대는 학교 총 면적에 대한 보건소 면적이 다른 네 학교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건강예방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중 다섯 학교에서 모두 이루어지고 있는 사항으로는 건강상담을 들 수 있다. 특이 사항으로는 방역사업을 주관하고 하고 있는 학교도 있었다. 학교별로 실시하는 각종 검사는 학교별로 차이가 많았으며, 이와 같은 검사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 학교도 있었다. 예방접종은 주로 위탁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진료업무에 관한 사항으로는 기본적 업무는 모두 하므로 보건소의 진료 업무에 관한 사항은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대학별 비품 및 문서관리를 살펴보면, 모든 사항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 학교의 경우에 학생 건강기록지가 없고 대신 일일기록지로 대체하고 있다. 여자대학의 특성상 여성건강과 관련된 보건교육이 많이 실시되고 있었으며,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보건교육의 내용은 성교육, 피임교육, 결핵예방 및 관리, 비만교육, 구강보건, 절주교육, 성인병교육, 정신건강교육, 응급처치 등이었다. 보건소의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었으며, 여자대학 특성상 이루어지고 있는 서비스 및 진료를 살펴보면, 성교육의 내용이 주를 이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5,000명 이상의 여학생과 교직원이 상주하고 있는 대학에서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능과 역할은 매우 위축되어 있으며, 학내 보건문제의 파악은 물론이고 교내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대학보건소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의 보건소가 건강관리의 중심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질적으로 수준 높은 건강증진, 예방사업(예방접종, 신체검사, 건강검진, 건강상담, X선검진, 임상검사), 학교 환경위생 유지관리와 개선, 모든 학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건강증진사업의 기반 확보(전문인력, 보건소 예산, 기자재 보유, 의뢰체계의 확립), 보건교육(보건학 강좌 개설, 건강강좌, 건강교실 및 시청각 교실 운영), 적극적인 홍보활동(인터넷, 공공장소 게시판 이용)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ctivation program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function and role of university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net, questionnaire survey, university bulletins, utilization data of health center, and official documents of 5 women's universities do not hav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rom November 1, 2000 to November 15,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nly one university had full-time doctor, the other had part-time doctor, and the rest had only nurse unlike regulation of each university health center. 2. Drugs for internal and external use which could be medicated without doctors prescription and 23 kinds of medical devices were equipped for the students and school people. 3. The size of university health center were less than 0.1% of total campus area and number of beds for rest in health center were 4 to 8. 4. Health services provided by health center were health counseling, physical examination and various clinical examinations, medications, health education, and vaccination. 5. Number of visit to university health center were ranged 5,000 to 12,000 per year by student and school people and major symptom were minor digestive, respiratory, and muscular skeletal diseases such as indigestive, constipation, diarrhea, common cold and sprain. 6.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provided by university health center were focussed on sex and contraceptives, quit smoking and drinking, obedity, mental health, oral health, and first aid. 7. The budget of university health center were less than 0.2% of total university budget. In conclusion, the stratege to activate university health center is to development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health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to secure budget and professional manpower to be able to implement health project form university authority, and to develop university health center homepage to inform health information and educate the students.

      • 한국연극치료의 역사적 고찰과 실태

        최윤주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한국의 예술치료분야가 통합의학의 한 축으로까지 인식되고 있는 이때에 이미 역사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치료, 표현예술치료 등의 타 예술분야와 달리 연극치료의 역사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문간 균형 있는 발달과 후학들을 위해서 연극치료학의 역사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연극치료가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 1990년 초부터 실용화 단계에 이른 현재까지 약 20년의 정착 및 성장과정을 역사적 흐름에 맞게 교칙한다. 둘째,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높아지는 현대인들의 힐링 욕구에 힘입어 그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사회에 한국연극치료의 올바른 학문적 활용을 도모한다. 셋째, 한국의 연극치료 실태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의 전망과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도입 및 정착과 사회·임상·교육·연구적 동향으로 구분하여 사회적 동향은 언론매체를 신문사 6곳(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방송사 4곳(KBS1·2TV, EBS, MBC, SBS)을 대상으로 연극치료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관 및 단체의 개설현황을 연극치료와 명칭이 일치하거나 연극치료를 다루는 유사관련 단체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연구범주에 해당되는 기간 중 시행된 임상활동은 정부기관, 공공기관, 사립기관, 병원과 같은 지원기관을 기준으로 임상적 동향에서 정립하였으며, 전문 연극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적 동향을 고등교육기관과 중등교육기관으로 구분한 뒤 대학원과 대학의 학과명 및 전공명 일치 또는, 연극치료 교과교수 현황을 각 성격별로 비교분석하고,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방과 후 연극치료 활동을 전문상담사 및 Wee클래스 배치 현황과 관련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적 동향을 통해 국내 출간되어 있는 연극치료 학위논문을 크게 연도·성격·연구대상·검사 도구별로 분류 및 비교하고, 국내 출판되어있는 학술지논문과 서적현황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공적기록을 바탕으로 연구물을 분석한 결과, 한국연극치료는 1990년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인한 심리적 안녕이 절실해지던 때 홍유진 박사에 의해 한국에 소개되었다. 이후 1992년부터 2000년도까지 텔레비전을 포함,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그녀가 주도적으로 연극치료 소개 및 시연을 활발히 하였다. 현재까지 방송매체에서 연극치료사 또는 치료프로그램을 다룬 프로그램은 약 42편이며 그 중에서도 1992년부터 2004년까지 홍박사의 연극치료 작업을 다룬 프로그램이 주류를 이루었던 반면에 2005년부터 박미리, 송연옥 등 다양한 연극치료사들의 작업이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볼 때, 이는 한국의 연극치료분야가 다양한 전문가들의 활동으로 폭 넓게 발달하고 활성화되었음을 반증하는 바람직한 사례라 하겠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연극치료 방송프로그램의 1990년대 초 도입기는 시연을 통한 연극치료 소개 또는 치료사 중심의 특별기획으로 진행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최근 매스컴의 동향은 SBS와 EBS 처럼「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달라졌어요 시리즈」처럼 대상중심의 상담 솔루션 형태로 기획되어 방영되는 추세이다. 특히 1992년경 연구소가 개소되기 시작하면서 정신건강을 바라는 이들의 욕구에 충족하고자 관련 기관 및 학회단체도 등장하였다. 이는 도입 후부터 2000년 전후로 약 10여년이 지나서야 각 분야에서 연극치료활성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는데 고무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1세대 연극치료인들이 활발한 임상활동으로 ‘국민 정신건강 회복’이라는 사회적 측면에 힘썼으며 타 예술치료분야의 발전과 함께 의료계에 ‘통합의학’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패러다임을 여는 가능성도 보였다. 전문연극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한 학계의 움직임도 활발해졌다. 2001년 원광대학교 보건환경의학대학원 공연예술치료 전공에서 연극치료사를 양성하기 시작하였으며 2006년에는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의 연극심리학과 연극치료전공이 개설되면서 명실 공히 한국 최초로 연극치료학과가 대학에서 개별학과로 탄생되었다. 또한 초기에 발표된 연극치료관련 학술지논문과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연극요법(Dramatherapy)연구”(중앙대학교 연구논집, 한명희 1991)학술지논문과, “CATHARSIS: Ritual & Theater”(홍유진, 1992, 뉴욕대: 박사학위논문), “An Exploration of ‘Roles’ in Naerim Kut, the Korea Shaman Initiation Rite”(김진숙, 1994, 뉴욕대: 박사학위논문), “한국무속의례의 연극치료(Dramatherapy)”(한명희, 1994, 중앙대: 석사학위논문)가 있다. 연극치료 관련서적은『카타르시스: 굿과 연극 그리고 드라마치료』(홍유진, 1993, 서울: 들불)를 시작으로 저서 5권과, 연극치료를 체계화시킨 해외이론가들의 번역서 10권으로 총 15권이 출판되었다. 번역본은 연극치료의 대표적 학자인 영국의 Sue Jennings, 미국의 Robert Landy와 David Read Johnson이 고안한 EPR모델, Role모델, DvT모델의 정의 및 기법을 소재로 저술한 이론이 주를 이룬다. 1970년대 이후 미국 뉴욕대학교와 영국 허트포드셔 대학교 그리고 센트럴 오브 스쿨 스피치&드라마 대학교 등과 같은 해외교육기관의 활성화와 함께 한국의 연극치료 발달과정은 1990년대는 도입기로 90년대 말로 가면서 해외유학파들이 국내에서 활동을 전개하던 시기이다. 그들은 연극치료 1세대들로서 미국에서 수학하고 동덕여대 연극치료학과를 개설한 홍유진 교수, 역시 미국에서 수학하고 명지대 예술심리치료학과를 개설한 김진숙 교수, 영국에서 수학한 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한명희 연극치료사가 있으며. 국내파로는 용인대 연극치료학과를 개설한 박미리 교수와 다수의 외국 서적을 번역한 이효원번역가 등이 있는데 그들은 모두 한국연극치료 발전에 적지 않은 기여를 한 대표적 인물들이라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연극치료분야는 1세대들의 왕성한 활동에 힘입어서 2세대의 활약이 기대되는 시점이다. 이제 연극을 포함한 각 예술치료분야는 상호보완적 관점에서 통합예술치료로서의 전향적 발전에 노력해야한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한국예술치료교수협의회 발족은 예술치료의 발전에 의미 있는 행보로 보여 진다. 한국연극치료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제성장과 정신문명에 순응하며 급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추후 통합과 통섭이라는 학문적 비전과 과제를 수행하고 전 인류의 정신문명 발전에 기여되는 연극치료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In the recent years, the field of art therapy in South Korea has been recognized as the realm of Integrative Medicine; however, the historical research on drama therapy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unlike music, art, dance and expressive arts therapy. Thus, research on history of drama therapy is essential to develop the balance betw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foster students in drama therapy maj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drama therapy for twenty years from its introduction in the early 1990's to its practical application stage up to the present with the historical approach. Second, it promoted to find method to apply the Korea drama therapy to contemporary men who seek to find the holistic healing in the fast growing society. Finally, it suggested the prospect and vision of the Korea drama therapy by analysing application condition of it. The research method was designed to analyse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and social, clinical, and educational, research trends of the Korea drama therapy; therefore it collected the data from six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such as Kyunghyang Newspaper, Dong-A Ilbo, Maeil Business Newspaper, Chosun Ilbo, JoongAng Ilbo, Hankyoreh and four broadcasters such as KBS1 · 2TV, EBS, MBC, SBS.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ere divided into the two categories; (1)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ith the title of drama therapy and (2)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dealing with drama therapy. Clinical activity during the research period was defined by the standard of support agenci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public institutions, private institutions, hospitals based on the clinical trends. Next, To analys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professional drama therapy, it researched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sed the after school drama therapy activities and arrangement status of school counselors and Wee class from elementary schools to high schools on a national scale, and it also research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sed the statu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by its title, features and the number of professors. Finally, it analysed the current publications such as thesis and articles in journals related to drama therapy. Especially, the theses were categorized and compared by their publication year, features, research target and method. Thus, based on public records and analysed data, the Korea drama therapy was introduced by Dr. Youjin Hong in 1990 when the society had a desperate need of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1992 to 2000, she played a major role on introducing drama therapy and it effect by demonstrating it through the various media including TV. Broadcast media has been covering approximately forty three programs of drama therapists or therapeutic programs. Among them, from 1992 to 2004, the mainstream of the programs was dealing with Dr. Hong's drama therapy works. On the other hand, from 2005 Miri Park, Yeonok Song's drama therapy works also were introduced by media. This proved that Korea drama therapy has developed by the various therapists. In addition, Korea drama therapy programs in the early 1990s were mainly focused on demonstrating drama therapy to introduce its function and effect or on therapist-centered programs; however, the recent media trends has changes to a target-oriented counselling solutions aired in SBS and EBS "My child has changed", "We are different now series". In particular, research institutions began to open in 1992 and in this regard, the institutions and agencies related to drama therapy had emerged to meet the public's need to become mentally well-be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drama therapy in Korea, it has been a tremendous impact on the society that the drama therapy could effect and apply to all kind of field and this overall progress seems very encouraging. As mentioned, the first generation of drama therapists were focused on the social aspect, 'national mental health recovery' and now it shows that a new perspective paradigm of drama therapy as 'integrative medicine' could open in the future. In academia, it became very active to train professional drama therapists. In 2001, Wonkwang University started to foster drama therapists in the department of performing arts therapy, Graduate School of Health & Complementary Medicine. In 2006, Dongduk Women's University opened the drama therapy major in the department of drama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Performing Arts and it was the first independent academic department which offered drama therapy major. The early published articles in journals and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drama therapy were as stated below; "Research on Dramatherapy"(Chung Ang University Research Journal, Myunghee Han 1991), “CATHARSIS: Ritual & Theater”(Yujin Hong, 1992, Newyor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An Exploration of ‘Roles’ in Naerim Kut, the Korea Shaman Initiation Rite”(Jinsuk Kim, 1994, Newyor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Dramatherapy of Korean Shamanistic Ceremony” (Myunghee Han, 1994, Chung Ang Univeristy; Master's thesis). Also there are fifteen books related drama therapy published; five of them were written by Doctor Yujin Hong and her first publication was 『A Catharsis: Gut(shamanistic ritual), Play and Drama therapy』(Yujin Hong, 1993, Seoul, Deulbul), and ten of them were translated books of drama therapy theories which covers the definition and method of EPR model, Role model DvT model created by Sue Jennings from the UK, Robert Landy and David Read Johnson from the USA respectively. Since the 1970s, drama therapy field has continued to prosper through the oversea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New York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University of Hertfordshire in the United Kingdom, University of London-Central School of Speech & Drama etc.; apart from this, drama therapy in Korea was introduced in 1990s and in the late 1990s, students studying abroad regarded as the first generation in the drama therapy field returned to Korea and brought a new phase in drama therapy development. They are professor Yujin Hong who studied in the USA and open a drama therapy major in Dongduk Women's University, and professor Jinsook Kim who studied in the USA as well and open an arts psycho therapy major in Myongji University. and Myunghee Han, a drama therapist, who studied in the UK and has been actively working in the field in Korea. In addition, there are Miri Park who studied in Korea and opened a drama therapy major in Yongin University, and Hyowon Lee, a translator who has translated numerous books related to drama therapy. They all are leading figures who has considerab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in Korea. As stated above, the first generation of therapists in the field of drama therapy has been fully devoted to their works, and now expectation to nurture and flourish the field is high for the second generation. Thus, not only drama therapy but also other arts therapy should strive to develop under the category of integrative arts therapy with complementary perspectives. In that sense, inauguration of Korean professor council for arts therapy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progress of the development of arts therapy. Korea drama therapy has radically developed to adapt to rapidly changing economic growth and spiritual civiliz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study on drama therapy should carry out academic vision and task through integration and convergence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civilization of all mankind.

      • 국내 여자 프로골퍼들을 위한 골프웨어 스타일링 연구

        심지현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Modern sports have become a symbol of changing society and lifestyle. As social class has exerted no influence on participation in sport, many people, regardless of their age and sex, enjoy sports. Golf, particularly exemplifying such social change in sports area, has been developed in different way from other sports. Korean players’ eight-time victories on LPGA tour in 2010 impressed upon the world the potential of Korea’s Women’s Golf and triggered Korean domestic golf apparel market to be more developed. Accordingly, golf apparel industry has been specialized and expanded and the competition among brands became fiercer. From this market change, companies have utilized sponsorship for professional golf players as marketing strategy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However sponsorship which only focuses on promoting their products finally resulted in hindering fashionable and creative styling of golf players on the green. Excessive exposure of the sponsor’s brand logo rather caused a feeling of repulsion in people who watched the players’ outfit.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a new direction in compensating the defect of sports sponsorship which is most fast growing in the area of sports marketing and in improving the image of both golf players and their sponsoring brands by developing and researching various designs and styling of golf apparel for the female professional golfers based on the functional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golf apparel industry and the problems of sponsorship marketing by adopting the method to establish theoretical background of golf apparel styling through researching documents and materials ranging from academic articles to golf specialty publications, to analyze golf-related design materials,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specialty publications, and internet materials, and to empirically conduct a field survey. From the process of complementing the defects which were drawn from the styling research of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female professional golfers, nine sets of golf apparel with functionality and sense of fashion are designed and their styling is created. This study unfolds in the following stages. In the first chapter, the objectives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methodology and study context are presented. The second chapter, first of all, reviews the history of golf and golf apparel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and photographic material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golf apparel industry and its development is discussed. Secondly, 2011 Spring/Summer season colors, materials and designs of ten representative domestic golf apparel brands which are providing sponsorship to the players are analyzed through the field survey, in order to consider the definition of sports marketing and sponsorship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golf apparel brands’ sponsorship. Thirdly, the concept and elements of styling are examined and the impact and the necessity of it are also proposed. In the third chapter,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female golf apparel styling are discussed. As a result, the problems of the domestic golf apparel styling such as overexposure of sponsor’s brand, oversized logos, overemphasis on new products without considering golf players’ own style and fit, function-oriented styling and reckless use of vivid colors are deriv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he fourth chapter, based on the market research covering ten different sponsoring brands new colors, materials and designs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ree concepts; Traditional, Stylish and Active sports. Three styling concepts are proposed in terms of theme. First, the ‘Illuminate Chic’ concept of ‘Neo-traditional theme’combines British traditional look with American Preppy in the modern and flexible way. Secondly, in the ‘Visionary Luxe’ concept of ‘Stylish casual theme’, luxurious gold look with glamorous and rich colors are proposed. Thirdly the ‘Temperate Reformer’ concept of ‘Sports theme’ visualizes positive energy with the creative silhouette and colors. Based on the nine works of golf apparel design, styling for the domestic female professional golf players is proposed with the additional styling elements such as accessories, hair style and makeup in order to create favorable image of them. As a result of this study, new styling may help Korean female golf players not only to enhance their golf performance but also play game in style on the green. Thus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flatter the outlook of Korean female golf players and reinforce their prestige on the international stages. Through the follow-up research on the golf apparel styling, sponsorship marketing which takes place between the players and the sponsors is expected to systematically evolve and expand further as a powerful marketing tool. 현대의 스포츠는 변화하는 사회상 및 라이프스타일의 상징이 되었고 스포츠를 즐기는 특정 집단의 한계가 사라지면서, 연령과 성별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이 스포츠를 즐기게 되었다. 특히 골프는 스포츠 분야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를 보이는 예로서 여타의 스포츠보다 빠른 발전양상을 나타내어 왔다. 2010년 한 해에만 한국 선수가 거둔 LPGA 대회 8승은 전 세계에 한국을 여자골프의 신흥강국으로 각인시키며 국내 골프시장을 더욱 성장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에 골프의류시장 또 한 전문화되고 확대되어 브랜드별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러한 시장 변화에 따라 기업들은 타 브랜드와 차별화의 일환으로 프로골프 선수들에게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는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기업들의 상품홍보에 중점을 둔 스폰서 마케팅으로 인하여, 선수들은 패션성과 독창성이 배제된 스타일링을 연출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브랜드 홍보에만 치중한 과도한 브랜드 로고의 노출은 오히려 보는 이로 하여금 거부감을 갖게 하는 역효과를 초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여자 프로골퍼들을 위하여 기능성을 기본으로 한 골프웨어의 디자인 개발과 새롭고 창의적인 스타일링을 연구하여, 마케팅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스포츠 스폰서쉽(Sponsorship)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선수의 이미지와 스폰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모두 향상 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학술논문, 골프전문서적 등의 문헌 자료를 통하여 골프와 골프웨어의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골프의류에 관련된 디자인 자료와 국내·외 패션관련 전문서적과 간행물, 인터넷 기사 등의 분석과 현장조사 자료수집 등의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여 골프웨어 시장의 현황과 스폰서쉽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국내·외 여자 프로골퍼의 스타일링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기능성과 패션성을 가미한 골프웨어 9작품을 디자인하고 실제적인 스타일링을 연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전개 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연구 내용과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 2장에서는 첫 째, 골프의 역사와 골프웨어의 변천사를 문헌자료와 사진자료를 통해 고찰하고 국내 골프웨어의 발전 과정과 시장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 째, 스포츠 마케팅과 스폰서쉽의 정의와 국내 골프웨어 브랜드의 스폰서쉽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 10개 대표 스폰서 브랜드의 2011년 S/S 제품의 컬러, 소재, 디자인을 현장 조사를 통해 연구하였다. 셋째, 스타일링의 개념과 요소를 알아보고, 스타일링의 효과와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국내·외 여자 프로골퍼들의 스타일링을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하였다. 그 결과 지나치게 많은 로고와 큰 사이즈의 로고, 선수의 개성과 체형을 고려하지 않은 신상품 위주의 홍보와 기능성에 무게를 둔 스타일링, 그리고 비비드(Vivid)한 컬러감만을 강조한 무분별한 컬러의 사용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10개 스폰서 브랜드의 시장연구결과를 토대로 트레디셔널(Traditional), 스타일리쉬(Stylish), 액티브 스포츠(Active sports) 세 가지 컨셉에 맞추어 새로운 골프웨어의 컬러, 소재,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디자인은 세 가지 테마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 새로운 트레디셔널 테마 (Neo traditional theme)인 Illuminate Chic는 전통을 강조하는 영국적 트레디셔널 라인에 아메리칸 프레피(Preppy)룩을 모던하고 유연하게 결합하였다. 두 번째 스타일리쉬 캐쥬얼 테마(Stylish casual theme)인 Visionary Luxe에서는 화려하고 풍부한 색감으로 럭셔리 골드 룩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스포츠 테마(Sports theme)인 Temperate Reformer는, 창의적인 라인과 컬러로 긍정적인 에너지를 표현하였다. 제작된 9점의 작품을 바탕으로 골프웨어 스타일링의 효과적인 이미지 연출을 위해 액세서리, 헤어 및 메이크업 등의 스타일링 요소들을 조합하여 국내 여자 프로골퍼들을 위한 스타일링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골프웨어 스타일링은 국내여자 프로골퍼들에게 뛰어난 골프실력과 더불어 스타일리쉬한 면모도 갖추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로 인해 날로 높아져가는 골퍼들의 위상을 국제대회에서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서 골프웨어의 스타일링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선수와 브랜드간의 스폰서 마케팅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전개되는 계기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10대 여자 청소년의 소속욕구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SNS 이용과 상향비교의 순차적 매개효과

        황채은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10대 여자 청소년의 소속욕구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 이용과 상향비교가 순차적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소재 중학교 1, 2, 3학년과 고등학교 1, 2학년 10대 여학생 및 SNS를 통해 모집한 10대 여자 청소년 2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속욕구와 이상섭식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소속욕구와 SNS 이용, 상향비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소속욕구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SNS 이용과 상향비교는 각각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속욕구와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SNS 이용과 상향비교는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10대 여자 청소년의 높은 소속욕구는 SNS 이용 동기를 높이고, SNS 이용은 그들이 상향비교를 더욱 자주 하게 만들어 이상섭식행동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10대 여자 청소년의 이상섭식행동을 이해할 때, 그들의 발달적 위험요인인 소속욕구가 SNS 이용을 거쳐 상향비교로 이르게 되는 경로를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10대 여자 청소년이 소속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SNS를 과도하게 이용하지 않도록 현실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을 높이고, SNS 이용 태도에 대한 교육을 통해 SNS상의 편향된 이미지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SNS usage and upward comparison hav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to belo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mong teenage female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235 female teenager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an online self-report surve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ed to belo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bu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need to belong, SNS usage, and upward comparis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to belo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SNS usage and upward comparison each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Third, SNS usage and upward comparison had a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to belong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male teenagers’ need to belong increases their motivation to use SNS, and SNS usage induces more frequent upward comparisons that lead to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ordered eating behavior of teenage female adolescent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evelopmental risk factor, need to belong, which leads to upward comparison through SNS usag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interactions in real world to prevent excessive engagement in SNS and to provide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critically accept biased images on SNS for female adolescents.

      •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능력과 일상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살아나는 몸 · 나 · 너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김정은 동덕여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능력과 일상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융(1916)의 적극적 상상기법과 Halprin(1979)의 동작중심 표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근거로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능력과 일상적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살아나는 몸·나·너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 여부에 따른 변화와 집단 간의 사전·사후 평균차이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연구 대상자들의 질적 변화를 심층면담, 관찰일지 및 경험일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살아나는 몸·나·너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창의성의 개념과 분류 유형을 탐색하여 구성요소를 결정하였다. 둘째, 융(1916)의 적극적 상상기법과 Halprin(1979)의 동작중심 표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프로그램의 모형 및 단계구성을 조직하는 등 내용을 개발하였다. 셋째,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16회의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전문가 회의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의 내용타당도를 확립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은 목적표집(purpose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에 소재한 D여자대학교 현대무용전공자 16명을 대상으로 무용경력, 수상경력, 무용수행 수준을 근거로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120분씩 16회에 걸쳐 ‘살아나는 몸·나·너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김화숙(1989)의 무용창작능력 평가지와 정은이(2002)의 일상적 창의성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과 종속 t-검정으로 처리하였다. 프로그램 진행에 따른 무용창작능력과 일상적 창의성의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 중 연구자의 판단에 의해 참여도와 집중도, 성실성이 높다고 판단된 5명의 참여자를 선발하였다. 프로그램 활동을 녹취 및 촬영하고 심층면담, 관찰일지, 경험일지를 기록하여 영역분석법을 통해 그 내용을 영역별로 나누고, 분류체계 분석 및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여 질적 변화를 규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1916)의 적극적 상상기법과 Halprin(1979)의 동작중심 표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능력(김화숙, 1989)과 일상적 창의성(정은이, 2002)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살아나는 몸·나·너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16회의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 그 타당도를 입증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집단 간 ‘살아나는 몸·나·너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현대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창작능력의 사전·사후검사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무용창작능력의 하위변인인 독창성, 다양성, 표현력, 구성력, 연속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현대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일상적 창의성의 사전·사후사전·사후검사의 평균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관계적 개방성과 탐구적 몰입, 모험적 자유추구, 독창적 유연성, 대안적 해결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통제집단은 모든 분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무용창작능력에서의 질적 효과는 ‘독특한 발상’, ‘다양한 수용’, ‘내면적 표현’, ‘미적 구성’, ‘리듬성’으로 범주화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상적 창의성에서의 질적 효과는 ‘협동성과 몰입경험’, ‘확장된 사고’, ‘독립성’, ‘긍정적 자아감’, ‘유연한 적용’, ‘다양한 해결능력’으로 범주화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살아나는 몸·나·너 프로그램’은 현대무용전공 대학생들이 자신의 내면으로부터 창작의 근거를 탐색하고, 독창적인 표현방식을 발견하는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자각을 바탕으로 하는 통합적 과정을 통한 무용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인 ‘살아나는 몸·나·너 프로그램’은 지적 능력 및 창의성을 갖춘 미래의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교육적 실현을 가능케 하며, 대학 무용교육에 있어서 현대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능동적인 학습과 창의적 활동을 위한 교육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program for improving dance creative ability and everyday creativity, an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at. For that, on the bases of active imagination of Jung(1916) and movement based expressive art education program of Halprin(1979), ‘Living BodyㆍMeㆍYou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dance creative ability and everyday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An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at program, changes by participating or not, and pre and post mean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sed with study participants. And, qualitative changes of study objects who participated in program were analysed by in-depth interview, observation note, and experience note. The first step of development process of ‘Living BodyㆍMeㆍYou Program’ was decision of components by searching concepts and classifications of creativity from preceding researches. The second step was contents development with model and stage composition on the theoretical bases of active imagination of Jung(1916) and movement based expressive art education program of Halprin(1979). The third step was verifying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by experts' conference after 16 times of pre-test on expert group. An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program,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ere performed together. The 16 program participa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were selected from D women`s university in Seoul by purposive sampling, and were classified into 8 of experimental and 8 of controlled group according to their dancing career, award winning career, and dance performance level. The experimental group had 16 times of ‘Living BodyㆍMeㆍYou Program’, in 120 minutes at a time and once a week, and, had pre and post test with dance creative ability evaluation of Kim Hwa-sook(1989) and everyday creativity examination of Jeong Eun-Yi(2002). The materials were analys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t-test with SPSS/WIN 18.0. To investigate qualitative changes of dance creative ability and everyday creativity according to program progress, 5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researcher`s judgement in high levels of participation, concentration, and sincerity. Program activity was recorded and filmed, and, in-depth interview, observation and experience notes were recorded, and, the qualitative changes were investigated by classifying with domain analysis and categorizing with classification system analysis and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iving BodyㆍMeㆍYou Program’, aiming at improvement of dance creative ability(Kim, 1989) and everyday creativity(Jeong, 2002), was developed by verifying content validity with 16 times practice on expert group, on the bases of active imagination of Jung(1916) and movement based expressive art education program of Halprin(1979). Second, according to pre and post test on mean differences of dance creative ability between participating and nonparticipating group,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iginality, diversity, expressiveness, organizing ability, and continuity, and, controlled group(nonparticipating) had in originality, among sub factors of dance creative ability. And, according to pre and post test on mean differences of everyday crea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al openness, adventurous freedom pursuit, inventive flexibility, and alternative solving ability, and controlled group didn`t have. Third, qualitative effects of dance creative ability were classified into ‘unique idea’, ‘various acceptance’, ‘internal expression’, ‘aesthetic composition’, and ‘rhythmicality’, and, of everyday creativity were classified into ‘cooperativity and immersion experience’, ‘extended thinking’, ‘independence’, ‘positive self-concept’, ‘flexible adaptation’, and ‘various solving ability’, and, were analysed by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Lving BodyㆍMeㆍYou Program’ was effective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by improving ability for searching creative basis from their inner side and finding inventive expression method. As a danc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Lving BodyㆍMeㆍYou Program’ could produce talented with intelligence and creativity, and, would be us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active study and creative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ntemporary dance.

      •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행태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장은비 동덕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s have affected the service of libraries, and such environmental changes have accelerated the growth of e-journals.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e-journals thanks to the benefits of e-journal such as superb accessibility and offer of up-to-date information, and user needs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in line with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and user behaviors of e-journals in an effort to seek the ways of revitalizing the use of e-journals.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survey questionaires and interviews of students who took a general education course 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offered in D University.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regarding use, user behaviors, service quality, library user education and advertisement of e-journal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library website and interviewed libraria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 of using e-journals was lower amo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no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mpari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former mostly made use of domestic e-journals, whereas the latter made even use of domestic and foreign e-journals. Regarding the prior purpose of using e-journals both students used them to perform their study tasks. As for barriers to the use of e-journal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replied that there weren't materials they wanted, and that it wasn't easy to find which databases included the information they wanted. In other h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nswered that it's hard to choose relevant materials from the materials they retrieved. As for the quality of services about e-journals provided by the library, they viewed it satisfactory in general while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there were several problems with e-journals: First,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knew about e-journals through their professors or leaflets,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ccurately learned and practiced how to use e-journals when they took major cours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way of knowing about e-journals. Second, the students preferred to use Internet portal sites, which seemed to imply that they were more fond of the quantity of information than its quality. Third, simple keyword searching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select materials, and they took a passive attitude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any problems. Fourth, some of the students took a little negative view of the library since the library didn't possess materials they wanted or since they had some grievance about the library fac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we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boost the use of e-journals for college students. First, professors should encourage their students to make use of e-journals by assigning tasks requiring the use of e-journals. Second, library user education should provide users search methods both simple search and advanced search of e-journals. Third, a wide variety of P.R. activities regarding e-journals should be conducted by utilizing posters or SN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Fourth, the environments of the library should be improved to attract both users and non-users. Finally, the college should fully b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for librarians and offer full-fledged assistance for that. 정보환경의 변화는 도서관 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전자저널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전자저널은 접근의 용이성 및 최신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에 입각하여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요구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현황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전자저널 이용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일반학생과 전자저널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설문조사방법으로 일반대학생 81명,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131명, 총 212명을 대상으로 전자저널 이용행태를 측정하였다. 둘째, 이용자 면담조사 방법으로 인문대학 및 사회과학대학 학생 4명과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3명 총 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셋째, D대학교 도서관의 전자정보원 담당사서 2명과 그룹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전자저널을 제공하고 서비스하는데 있어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일반학생은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에 비해 전자저널 이용률은 낮았으며, 일반학생은 국내 전자저널에 비중을 두어 이용한데 비해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해외전자저널까지 고루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과제작성”을 위해 전자저널을 이용하였으며, 장애요인으로 일반학생은 “원하는 자료의 부재” 및 “원하는 정보가 어느 DB에 속해 있는지 선택이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검색결과에서의 자료선정의 어려움”으로 조사되었다. D대학교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전자저널 서비스품질의 만족정도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일반학생에 비하여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은 전자저널에 대하여 교수님의 시연 혹은 인쇄물을 통하여 숙지하였고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전공시간을 통하여 실습과 병행하여 정확한 이용방법을 숙지함에 따라 인지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인터넷포털사이트 사용을 선호하며 이는 정보의 질 보다는 양을 선호하는 성향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간단한 키워드 검색으로 인해 자료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문제해결 방식에 있어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넷째,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소장 자료의 부족함 혹은 도서관 시설에 대한 불만 등으로 도서관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학생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생의 전자저널 이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전자저널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담당교수는 학생들이 전자저널을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과제를 교과과정에 포함하여 전자저널 사용을 독려한다. 둘째, 선호하는 이용자교육과 함께 간략검색 및 상세검색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홍보의 다양화로 포스터 및 SNS 등을 활용한 지속적인 노출 및 학생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이는 도서관만의 노력이 아니라 학생들의 참여와 관심 또한 필요하다. 넷째, 도서관의 이용환경 조성으로 도서관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에서는 사서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담당사서의 재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김하령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 및 현재 수행수준을 파악하여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진로개발준비 영역에 대해 도출하고, 학년별, 계열별 차이를 파악하여 여대생의 진로개발 지원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도 현재 수행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도 수행수준은 어떠한가?연구문제 1-2 여대생의 학년에 따른 진로개발준비도 수행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3 여대생의 계열에 따른 진로개발준비도 수행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1.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2.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3.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계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여대생의 교육 요구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1.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교육 요구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2.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교육요구도는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3.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교육요구도는 계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D여자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진로개발준비도 설문 도구는 임언·윤형한(2005)이 개발한 진로개발준비도 설문 문항을 교육요구도 측정을 위해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현재 수행수준과 중요도 인식수준을 조사하고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여대생은 진로개발준비도 영역에서 자기이해, 의사결정자신감, 진로결정확신도, 전공 및 직업지식, 관계활용효능감의 순으로 높은 수행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학년별, 계열별로 진로개발준비도 수행 수준의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4년제 여대생은 진로개발준비도 영역에서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구직기술, 진로결정확신도, 관계활용효능감, 의사결정자신감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 인식 수준은 학년별, 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확인한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 최상위 우선순위는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구직기술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통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 지원을 위한 대학의 전반적인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여대생의 자기이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나 스스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 과정이나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현재 수행 수준의 계열별 차이의 원인을 분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대생을 위한 차별화된 진로지도가 필요하다는 선행연구의 의견에 따라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를 학년별, 계열별 집단 차에 따라 구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도의 교육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 D여자대학 학생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에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표본의 추출을 통한 연구대상의 확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domain which should be developed preferentially was drawn by apprehending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and current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obtained by apprehending the difference in each grade and each affiliation. The study problems raised for this are as follows. Study problem1. How is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tudy problem 1-1. How is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tudy problem 1-2. How is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llowi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grade? Study problem 1-3. How is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llowi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affiliation? Study problem 2. How i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2-1. How i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2-2. What difference doe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grade? Study problem 2-3. What difference doe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Study problem 3. How are the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3-1. How are the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3-2. What difference do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grade? Study problem 3-3. What difference do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nrolled students in D Women’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perform these study proems.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questionnaires developed by Lim Eon·Yoon Hyung-Han(2005) were modified to measure the educational needs and were utilized.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and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were surveye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means of the Borich needs formula and the model ‘The Locus for Focu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howing a high performance level in order of the self-understanding, decision making confidence, career decision confidence, major and occupation knowledge, and relation use efficacy. Also,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performance level by grade and affiliati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recognized importantly in order of the self-understanding, knowledge on the major and occupation, job-seeking technology, career decision confidence, relation use efficacy, and decision making confidence in the domain of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lso,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by grades and affiliation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educational needs top priorities on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ich were confirmed through the Borich needs formula and the model ‘The Locus for Focus’ were the self-understanding, knowledge on the major and occupation, and domain of job-seeking technology. The proposals through thes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college’s overall awareness for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suppor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curriculum or program which can raise the understanding of oneself because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self-understanding by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high. Thir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ause for the affiliation difference of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aving assorted the educational need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grade-affiliation group difference in line with the precedent study arguing the differentiated career guidanc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as required. However, it has a limit in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because it selected only students from D Women’s University as a subject to survey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bject through the extraction of various samples in the future.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박지윤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재학 중인 대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RLSS-CS)와 스마트폰 중독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 설문지를 배부하여 온오프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따라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으로 구분하여 집단별로 주요변인의 기술통계치와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한 후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 모두에게서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성향 및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정적상관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 사용자군 대학생에게서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 모두에게서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 사용자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심화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중독 성향에 따라 상이한 매개효과가 도출된 본 연구결과는 중독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개입이 필요하며 특히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에 대해서는 보다 세밀하고 통합적인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기술하였다. 주요어: 생활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스마트폰 중독 경향, 고위험 및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일반 사용자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mediated by adaptive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university students. We collected on/off line questionnair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from 351 Korea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addiction to smartphone, they were divided into high/potential risk user group and general user group. We identifi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ationships between major variables on these groups. To verify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e used a three-step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Ou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if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addictive tendency of smartphone, and the static correlation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ere significant in both high/potential risk user group and general user group. Seco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addiction tendency of smartphone in general user group college student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on the addiction tendency of smartphone was not significant in both high/potential risk user group and general us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if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eneral user group directly affects the addiction tendency of the smartphone and that the tendency of addiction of the smartphone can be intensified through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From the results, different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addiction tendency, we suggest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are needed depending on the addiction tendency, and more detailed and integrated examination is needed especially for the high/potential risk users. We described the valuabl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y. Key words: Life Stres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igh/Potential Risk User Group, General User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