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2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 화학영역을 중심으로

        김하령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2 교과서 중 화학 단원의 탐구활동을 분석하였다. 단원별로 제시된 탐구활동을 탐구과정요소, 탐구상황, 탐구유형으로 분석하였고, 탐구내용을 8가지 과학실천에 따른 세부 성취 목표와 개방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초 탐구과정요소는 관찰, 예상, 추리, 측정은 골고루 사용되었지만, 분류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통합 탐구과정요소는 자료해석과 자료변환이 대부분 사용되었고, 결론도출과 일반화는 아주 적게 사용되었지만 문제인식, 가설설정, 변인통제는 사용되지 않았다. 탐구상황에서는 대부분 순수과학적상황이 사용되었고 자연환경적상황과 일상적 상황은 매우 적게 사용되었지만 기술사회적상황은 사용되지 않았다. 탐구유형으로는 토의와 실험이 대부분이었고 조사는 아주 적게 사용되었으며, 과제연구 및 견학은 사용되지 않았다. 탐구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탐구활동에는 실험과정이 제시되어 있었고 실험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작성하였으며 토의를 통하여 결론을 이끌어 내도록 하였으며 제시된 모든 탐구활동의 개방도는 1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별 탐구활동의 구성요소들과 세부 성취 목표 등을 비교하여 미흡한 점을 보완하여 수업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읽기과정 중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김하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It is true that studies on task have focused on the macro-skills such as speaking or listening. But recent studies prove that reading tasks can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reading and the type of reading tasks affects reading comprehension. In addition to task type, text type has also been studied as a factor affecting reading comprehens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sk type and text type during reading on reading comprehension of learners of Korea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ill task type during read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2. Will text type during read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3. Will task type and text type during reading have the effect of interaction? 4. Will reading comprehension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ran an experiment with 32 students studying Korean in two Korean university-affiliated language institutes from October 10 to October 17, 2007. This experiment performed a 2×2 ANOVA on the data and adopted the repeated-measures design. The study includes two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ask type (i.e., semantic mapping and prediction task) and text type (i.e., expository text and narrative text). The dependent variable was a multiple-choice reading comprehension test composed of specific comprehension, gen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The text difficulty, text familiarity, task difficulty, and usefulness of task were investigated by a questionnaire after performing a tas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group for semantic mapping and the group for prediction task. Each group was given the pretest and performed each task for their groups. They also filled in the questionnaire. After the treatment, they were give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ask type during L2 reading did not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of semantic mapping group and that of prediction task group. Second, text type during L2 reading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comprehension. The mean of those reading narrative text was higher than that of expository text, and the means of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ird, task type and text type did not have the effect of interaction. Therefore, task type and text type during L2 reading affected reading comprehension independently. Forth,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was affected by task type. Text type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but task type did so significantly, among specific comprehension, gen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guidelines for designing reading materials. In the beginning level, comprehensible narrative texts are appropriate to read and in the intermediate or advanced level more expository texts should be available. Also,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is affected by task type and this result should be considered in selecting tasks in textbook or in class for reading.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the explanations of related terms. Chapter II provides a theoretical description of L2 reading compared with L1 reading and the two main factors such as task type and text type. This chapter also reviews general studies about teaching reading for learners of Korean and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s of task and text. Chapter III describes the method of this study, which includes information on overall design, participants, materials,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Chapter IV analyzes and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Chapter V describ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eaching Korean as foreign language studie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한국어 교육을 비롯한 외국어 교육에서 과제에 관한 연구는 그 동안 말하기와 듣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읽기 교육에서도 과제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으며 과제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있다는 실험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텍스트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모국어 읽기에서부터 점차 외국어 읽기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읽기 과정 중에서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과정 중 과제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읽기 과정 중 텍스트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읽기 이해에서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있는가? 넷째, 읽기 이해의 유형별로 읽기 이해도가 다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 소재 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 4급 학습자들과 교환학생으로 와 있는 학생들 32명을 대상으로 2007년 10월 10일부터 17일까지 실험하였다. 실험은 반복측정 설계를 사용하고, 2×2 이원분산분석으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수인 과제 유형으로는 읽기 교재와 수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조도 그리기와 추측하기 과제를 사용하였고, 텍스트 유형으로는 설명적 텍스트와 이야기체 텍스트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수인 읽기 이해는 4지 선다형 읽기 이해력 평가였는데, 세부적 이해, 전체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로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또 읽기 텍스트 지문의 친숙도, 난이도, 과제의 난이도 및 과제의 도움 여부에 대해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실험참가자들은 두 집단, 즉 구조도 그리기 과제를 수행하는 집단과 추측하기 과제를 수행하는 집단으로 나누어졌다. 각 집단은 동질성 검사를 한 뒤 집단별로 각각의 과제를 수행하는 실험처치를 받고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도 그리기 집단과 추측하기 집단의 사후검사 평균 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과제 유형이 읽기 이해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텍스트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야기체 텍스트의 평균 점수가 설명적 텍스트의 평균 점수보다 높았고,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므로, 이야기체 텍스트가 설명적 텍스트보다 읽기 이해 면에서 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읽기 이해에서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 사이의 상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은 읽기 이해에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과제 유형에 따라 읽기 이해의 유형별로 읽기 이해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텍스트 유형에 따라서는 읽기 이해의 유형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제 유형에 따라서는 세부적 이해, 전체적 이해 및 추론적 이해라는 세 가지 읽기 이해의 유형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읽기 수업을 하는 교육 현장에서 읽기 과제를 활용하거나, 읽기 교재를 개발할 때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초급에서는 이해가 쉬운 이야기체 텍스트를 많이 활용하고, 중급과 고급에서 설명적 텍스트를 좀 더 많이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또한 읽기 교재나 읽기 수업에서 과제의 유형에 따라 효과적인 읽기 이해의 유형이 달라진다는 것을 고려하여 과제 유형을 선택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본 논문은 I장 - V장으로 구성된다. I장 서론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및 용어의 정의를 기술하였다. II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외국어 읽기를 외국어 읽기와 비교하며 외국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고, 그러한 요인 중에서 본 연구의 두 가지 중요한 요인인 텍스트 유형과 읽기 과제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읽기 교육을 개관하고 읽기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에 관한 실험연구들을 살펴보았다. III장 연구방법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설계 및 실험참가자, 실험도구, 실험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하였다. IV장 결과 및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의 통계분석 및 해석을 기술하였고, V장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시사점 및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김하령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 및 현재 수행수준을 파악하여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진로개발준비 영역에 대해 도출하고, 학년별, 계열별 차이를 파악하여 여대생의 진로개발 지원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도 현재 수행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도 수행수준은 어떠한가?연구문제 1-2 여대생의 학년에 따른 진로개발준비도 수행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3 여대생의 계열에 따른 진로개발준비도 수행수준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1.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2.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3.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계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여대생의 교육 요구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1.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교육 요구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2.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교육요구도는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3.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4년제 여대생의 교육요구도는 계열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D여자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진로개발준비도 설문 도구는 임언·윤형한(2005)이 개발한 진로개발준비도 설문 문항을 교육요구도 측정을 위해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진로개발준비도에 대한 현재 수행수준과 중요도 인식수준을 조사하고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여대생은 진로개발준비도 영역에서 자기이해, 의사결정자신감, 진로결정확신도, 전공 및 직업지식, 관계활용효능감의 순으로 높은 수행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학년별, 계열별로 진로개발준비도 수행 수준의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4년제 여대생은 진로개발준비도 영역에서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구직기술, 진로결정확신도, 관계활용효능감, 의사결정자신감 순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요도 인식 수준은 학년별, 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확인한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 최상위 우선순위는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구직기술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통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 지원을 위한 대학의 전반적인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여대생의 자기이해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나 스스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 과정이나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현재 수행 수준의 계열별 차이의 원인을 분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여대생을 위한 차별화된 진로지도가 필요하다는 선행연구의 의견에 따라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에 대한 교육 요구를 학년별, 계열별 집단 차에 따라 구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4년제 여대생의 진로개발준비도의 교육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 D여자대학 학생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에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표본의 추출을 통한 연구대상의 확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domain which should be developed preferentially was drawn by apprehending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and current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areer development suppor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obtained by apprehending the difference in each grade and each affiliation. The study problems raised for this are as follows. Study problem1. How is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tudy problem 1-1. How is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tudy problem 1-2. How is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llowi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grade? Study problem 1-3. How is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llowing the female college students’ affiliation? Study problem 2. How i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2-1. How i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2-2. What difference doe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grade? Study problem 2-3. What difference does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Study problem 3. How are the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3-1. How are the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tudy problem 3-2. What difference do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grade? Study problem 3-3. What difference do educational nee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show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nrolled students in D Women’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perform these study proems.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questionnaires developed by Lim Eon·Yoon Hyung-Han(2005) were modified to measure the educational needs and were utilized.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and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were surveye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means of the Borich needs formula and the model ‘The Locus for Focu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howing a high performance level in order of the self-understanding, decision making confidence, career decision confidence, major and occupation knowledge, and relation use efficacy. Also,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performance level by grade and affiliation.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recognized importantly in order of the self-understanding, knowledge on the major and occupation, job-seeking technology, career decision confidence, relation use efficacy, and decision making confidence in the domain of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lso,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wareness level by grades and affiliations. Third, it was revealed that the educational needs top priorities on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ich were confirmed through the Borich needs formula and the model ‘The Locus for Focus’ were the self-understanding, knowledge on the major and occupation, and domain of job-seeking technology. The proposals through thes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college’s overall awareness for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suppor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curriculum or program which can raise the understanding of oneself because the educational needs for the self-understanding by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high. Thir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ause for the affiliation difference of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 on the career development prepa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aving assorted the educational needs on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grade-affiliation group difference in line with the precedent study arguing the differentiated career guidanc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as required. However, it has a limit in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because it selected only students from D Women’s University as a subject to survey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bject through the extraction of various samples in the future.

      • Joint user clustering and beamforming i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etworks

        김하령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Recently, as the Internet usage increases, the transmission rate in the cellular network has became critical. To overcome the lack of higher data rate and to increase spatial reuse,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technology that can handle more users and signals attracts attentions. Traditionally, data is delivered either in frequency or time domain, whereas NOMA leverages power domain. In NOMA, because how user clusters are organized determines the total throughput and fairness largely, pairing the users for the cluster is the main challenge. Besides NOMA, beamforming can increase the spectral efficiency by focusing on SNR of the specific user or group. However, combining beamforming with NOMA to achieve higher performance is highly complex problem and requires careful approach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joint user clustering and beamforming scheme to maximize the utility in NOMA with beamforming. For solving our problem, several features that highly effect the utility are analyzed, and with those features the heuristic algorithm is suggested. This solution can reduce the beamforming and NOMA interference effectively, and increase the signal power.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의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매우 중요해졌다. 이러한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대한 결핍을 극복하고 공간 재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기존보다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는 비직교 다중 접속 기술(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이 주목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하나의 시간 혹은 주파수 영역에 데이터가 할당되었으나, NOMA 에서는 파워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NOMA 에서 사용자의 클러스터가 어떤식으로 구성되어있는지에 따라 전체 처리율과 공정성이 크게 영향을 받고, 이러한 연유로 사용자를 어떻게 짝짓는가는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NOMA 뿐만 아니라 빔포밍 기술 또한 특정 사용자나 그룹에 신호 대 잡음비를 집중함으로써 공간 재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두 기술을 같이 사용하여 보다 높은 성능을 내는 것은 매우 복잡한 문제이며 신중한 접근을 요한다. 이 논문에서는 유틸리티를 최대화하기 위한 사용자 클러스터링과 빔포밍을 결합한 문제를 소개한다.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유틸리티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분석한 요소들을 통해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해당 알고리즘은 NOMA 및 빔포밍에 기인한 간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전력 신호를 증가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