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민화 모란도의 현대적 변용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장은비 청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조선후기에 이르면 모란도는 화려한 색채와 풍성한 꽃의 형태로 서민 뿐 아니라 궁중에서도 화원들에 의해 다양하게 그려지고 활용되는 각광받는 소재였다.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모란이 이처럼 사랑받았던 이유는 미적 대상으로서만이 아니라 부귀와 영화를 상징하는 꽃으로서 인간의 기본적인 소망과 욕구를 구현하는 길상적 의미가 담긴 소재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화원들의 미적 표현이나 규범을 벗어나 자유스러운 표현을 구가하는 서민들의 모란도에 주목하여, 페미니즘적 시각으로 탈근대적 해석을 시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연구자의 연구 작품에서도 모란은 인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기본적인 욕망의 표현인 동시에 오늘날의 페미니즘 미술에 대한 하나의 소재로서 차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민화가 갖는 역사적 의의와 특성을 근간으로 민화의 중요한 소재로 애용되었던 모란도를 집중 분석한다. 서민들의 정서와 미감이 응결된 모란꽃의 유형별 분류, 상징적 의미, 조형적 특성 등 모란도가 지니는 특성을 고찰해보고 내재되어있는 현대적 의미와 감성을 찾아본다. 또한, 민화 속 모란도에서 보이는 조형미를 차용하여 작업한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연구자의 작품과 비교하여 분석해 본다. 연구자의 작품은 모란도에 현대적 기법으로 접근한 경우이다. 기본적으로 인류와 함께 태어나, 인간의 창조적 표현 중 하나로 한정적인 틀 안에서 시각적, 리듬적 표현을 용이 하게 할 수 있는 패턴을 기용, 본래의 형태를 단순화, 패턴화 하고, 그 안에 같은 형태의 중첩과 반복을 통하여 정지된 화면 안에서 시간적 요소를 개입시켰다. 나아가 번짐 기법을 통해, 각기 다른 색색의 물감을 종이에 떨어트리는 행위와 그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재창조된 조화를 추구하고, 전통 회화에서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는 드로잉적 요소와 선을 근간으로 연구자의 작품을 분석해 본다. 또한, 연구 작품의 제작과 표현에 있어 한계점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한계를 뛰어 넘어 앞으로의 방향 제시 및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도뇨관에 의한 방광내 불편감을 완화하기 위한 리도카인 방출 도뇨관의 효과

        장은비 한양대학교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도뇨관은 소변 배출과 요도 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통증, 긴급뇨, 염증등을 포함한 방광 불편감 (catheter-related bladder discomfort)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한다. 본 연구팀은 방광 불편감을 줄이는 목적으로 개발된 리도카인 방출 도뇨관 (Lidocaine_PLGA_eluting catheter; L_PLGA 도뇨관)을 임상에서 사용하기 위해 도뇨관의 효과를 동물 실험을 통해 검정하고자 했다. L_PLGA 도뇨관이 도뇨관의 자극으로 예민해진 방광을 완화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cystometrogram (CMG )을 이용했다. 실험 동물은 도뇨관을 삽입하지 않은 군, 도뇨관을 삽입한 군, PLGA sheet를 감은 도뇨관을 삽입한 군, L_PLGA 도뇨관을 삽입한 군으로 나눠 실험하였으며, 정상 방광 외에 방광의 자극을 극대화한 cyclophosphamide induced cystitis model을 추가하였다. 도뇨관을 방광에 삽입한 직후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눈의 움직임, 뒷다리의 힘을 확인하는 행동관찰을 실시하였다. CMG가 끝난 이후 방광 조직 생검과 채혈을 하여 통증 인자 (NGF), 염증 인자 (IL_6, COX-2)의 mRNA (qRT-PCR), 단백질 (IHC staining)의 발현 확인을 통해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 지를 확인했다. 추가적으로 IL-6는 ELISA를 통해 분비되는 양이 감소되는 지를 보았다. 정상 방광군과 방광염군의 L_PLGA 도뇨관은 다른 도뇨관군들과 비교하였을 때 방광 압력과 수축 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통해 방광 예민도를 감소시켰다. 염증 인자와 통증 인자 또한 L_PLGA 도뇨관을 삽입한 방광 조직에서 발현이 감소했으며, IL_6는 혈액에서 방출하는 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L_PLGA 도뇨관은 도뇨관의 자극으로 발생하는 방광 불편감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L_PLGA 도뇨관이 도뇨관으로 힘들어 하는 환자들의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urethral catheter is used in various clinical situations such as diagnosing urologic disease, urine drainage in patients after surgery, and for patients who cannot urinate voluntarily. However, catheters can cause numerous adverse effects, such as infection, obstruction, bladder stones, urethral injury, and catheter-related bladder discomfort (CRBD). CRBD significantly reduces patient’s quality of life and can lead to several complications. T herefore,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efficiency of the Lidocaine_PLGA_eluting catheter (L_PLGA catheter) that developed for the reduction of CRBD in vivo. Cystometrogram (CMG) was performed to measure if the L_PLGA catheter reduced CRBD. The animal group is divided into a normal bladder group and a cystitis-induced bladder group. Each group consists of 4 sub-groups that no catheter group (control), 1cm catheter group, 1cm PLGA (Poly Lactic-co-Glycolic Acid, without lidocaine) coated catheter group, and 1cm L_PLGA catheter group. To determine whether pain was reduced after surgery for CMG, animal behavior observations (eyes and movements) were performed. After CMG, bladder tissue and serum were biopsied to identify mRNA (qRT-PCR) and protein (IHC) expression of pain marker (NGF), inflammation marker (IL-6 and COX-2). Additionally, the reduction of IL-6 secretion was also identified in serum by ELISA. In the normal bladder group and cystitis-induced bladder group, L_PLGA catheter group reduced bladder sensitivity including pressure and contraction interval. Expression of NGF, IL-6, and COX-2 was reduced in the bladder of L_PLGA catheter group, and the secretion of IL-6 was reduced in serum.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L_PLGA catheter groups reduced CRBD. We expect that the L_PLGA catheter would reduce CRBD.

      •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행태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장은비 동덕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s have affected the service of libraries, and such environmental changes have accelerated the growth of e-journals.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e-journals thanks to the benefits of e-journal such as superb accessibility and offer of up-to-date information, and user needs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in line with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and user behaviors of e-journals in an effort to seek the ways of revitalizing the use of e-journals.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survey questionaires and interviews of students who took a general education course 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offered in D University.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regarding use, user behaviors, service quality, library user education and advertisement of e-journal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library website and interviewed libraria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 of using e-journals was lower amo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no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mpari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former mostly made use of domestic e-journals, whereas the latter made even use of domestic and foreign e-journals. Regarding the prior purpose of using e-journals both students used them to perform their study tasks. As for barriers to the use of e-journal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replied that there weren't materials they wanted, and that it wasn't easy to find which databases included the information they wanted. In other h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nswered that it's hard to choose relevant materials from the materials they retrieved. As for the quality of services about e-journals provided by the library, they viewed it satisfactory in general while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there were several problems with e-journals: First,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knew about e-journals through their professors or leaflets,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ccurately learned and practiced how to use e-journals when they took major cours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way of knowing about e-journals. Second, the students preferred to use Internet portal sites, which seemed to imply that they were more fond of the quantity of information than its quality. Third, simple keyword searching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select materials, and they took a passive attitude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any problems. Fourth, some of the students took a little negative view of the library since the library didn't possess materials they wanted or since they had some grievance about the library fac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we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boost the use of e-journals for college students. First, professors should encourage their students to make use of e-journals by assigning tasks requiring the use of e-journals. Second, library user education should provide users search methods both simple search and advanced search of e-journals. Third, a wide variety of P.R. activities regarding e-journals should be conducted by utilizing posters or SN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Fourth, the environments of the library should be improved to attract both users and non-users. Finally, the college should fully b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for librarians and offer full-fledged assistance for that. 정보환경의 변화는 도서관 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전자저널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전자저널은 접근의 용이성 및 최신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에 입각하여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요구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현황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전자저널 이용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일반학생과 전자저널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설문조사방법으로 일반대학생 81명,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131명, 총 212명을 대상으로 전자저널 이용행태를 측정하였다. 둘째, 이용자 면담조사 방법으로 인문대학 및 사회과학대학 학생 4명과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3명 총 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셋째, D대학교 도서관의 전자정보원 담당사서 2명과 그룹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전자저널을 제공하고 서비스하는데 있어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일반학생은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에 비해 전자저널 이용률은 낮았으며, 일반학생은 국내 전자저널에 비중을 두어 이용한데 비해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해외전자저널까지 고루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과제작성”을 위해 전자저널을 이용하였으며, 장애요인으로 일반학생은 “원하는 자료의 부재” 및 “원하는 정보가 어느 DB에 속해 있는지 선택이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검색결과에서의 자료선정의 어려움”으로 조사되었다. D대학교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전자저널 서비스품질의 만족정도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일반학생에 비하여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은 전자저널에 대하여 교수님의 시연 혹은 인쇄물을 통하여 숙지하였고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전공시간을 통하여 실습과 병행하여 정확한 이용방법을 숙지함에 따라 인지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인터넷포털사이트 사용을 선호하며 이는 정보의 질 보다는 양을 선호하는 성향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간단한 키워드 검색으로 인해 자료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문제해결 방식에 있어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넷째,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소장 자료의 부족함 혹은 도서관 시설에 대한 불만 등으로 도서관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학생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생의 전자저널 이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전자저널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담당교수는 학생들이 전자저널을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과제를 교과과정에 포함하여 전자저널 사용을 독려한다. 둘째, 선호하는 이용자교육과 함께 간략검색 및 상세검색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홍보의 다양화로 포스터 및 SNS 등을 활용한 지속적인 노출 및 학생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이는 도서관만의 노력이 아니라 학생들의 참여와 관심 또한 필요하다. 넷째, 도서관의 이용환경 조성으로 도서관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에서는 사서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담당사서의 재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 병리학적 미분류된 뇌 교종에서의 영상 기반 위험 분류를 통한 예후 예측에 대한 후향적 연구

        장은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To determine whether imaging-based risk stratification enables prognostication in diffuse glioma, NOS (Not Otherwise Specified). Methods Data from 220 patients classified as diffuse glioma, NOS,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20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Two neuroradiologists analyzed pre-surgical CT and MRI to assign gliomas to the three imaging-based risk types considering well-known imaging phenotypes (e.g., T2/FLAIR mismatch). According to the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the three risk types included (1) low-risk, expecting oligodendroglioma, isocitrate dehydrogenase (IDH)-mutant, and 1p/19q-codeleted; (2) intermediate-risk, expecting astrocytoma, IDH-mutant; and (3) high-risk, expecting glioblastoma, IDH-wildtype.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estimated for each risk type. Time-dependen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using 10-fold cross-validation with 100-fold bootstrapping was us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an imaging-based survival model with that of a historical molecular-based survival model published in 2015, created using The Cancer Genome Archive data. Results Prognostication according to the three imaging-based risk types was achieved for both PFS and OS (log-rank test, p<0.001). The imaging-based survival model showed high prognostic value, with areas under the curves (AUCs) of 0.772 and 0.650 for 1-year PFS and OS, respectively, similar to the historical molecular-based survival model (AUC = 0.74 for PFS and 0.87 for OS). The imaging-based survival model achieved high long-term performance in both 3-year PFS (AUC = 0.806) and 5-year OS (AUC = 0.812). Conclusions Imaging-based risk stratification achieved histomolecular-level prognostication in diffuse glioma, NOS, and could aid in guiding patient referral for insufficient or unsuccessful molecular diagnosis.

      • 다중 목표 상황에서 조절 초점-해석 수준 부합이 수행에 미치는 영향

        장은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다중 목표 상황에서 조절 초점과 해석 수준의 부합도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목표 상황을 자기 조절 상황으로 규정하고, 이 상황에서 다중 목표 추구에 대한 적절한 인지적 해석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건강 유지하기’와 ‘학업 장면에서 성공하기’처럼 한 개인이 지니고 있는 목표들이 모두 포기할 수 없는 중요한 목표인 경우,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해 또 다른 목표 추구를 포기하는 것은 바람직한 선택이라고 볼 수 없으며 두 과제 모두를 균형있게 잘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한정된 자원을 각 목표들에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에 관한 구체적 사고와 각 목표들을 포기하지 않고 수행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추상적 사고, 즉, 다중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과 다중 목표 추구의 궁극적 의미에 대한 지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상 초점은 높은 추상 수준의 해석과, 그리고 예방 초점은 낮은 추상 수준 해석과 연합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선행 연구(예: Freitas, Liberman, Salovey, & Higgins, 2002; Pennington & Roese, 2003; Semin, Higgins, Montes, Estourget, & Valencia, 2005)에 근거하여 다중 목표 추구 장면에서는 조절 초점과 해석 수준이 부합하지 않을 때가 부합할 때에 비해 다중 목표 추구 전략과 다중 목표 추구에 대한 궁극적 의미 지각이 동시에 발현되어 수행이 우수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 가정에 따라서 향상 초점과 추상적 해석 수준이 발현되는 조건에서는 다중 목표 추구에 대한 궁극적 의미 지각은 강하게 발현되지만 목표 추구 방법에 관한 사고는 강하게 발현되지 않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반면에, 예방 초점과 구체적 해석 수준이 발현되는 조건에서는 다중 목표 추구에 방법에 대한 사고는 강하게 발현되지만 다중 목표 추구에 관한 궁극적 의미지각은 강하게 발현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험에서는 2(조절 초점: 향상 초점/예방 초점) × 2 (해석 수준: 추상적 수준/구체적 수준)의 이원 피험자 간 무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참가자들은 30분 동안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였으며, 각 과제의 정답률을 합산하여 평균한 값을 이중 과제 수행 측정치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가설과 일관되게 조절 초점과 해석 수준이 부합하지 않을 때, 부합할 때에 비해, 이중 과제에서 평균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과제 각각의 정확도를 비교해보았을 때에도 조절 초점과 해석 수준이 부합하지 않을 때, 부합할 때에 비해, 두 과제 모두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각 과제 지속시간을 비교해본 결과, 조절 초점과 해석 수준이 부합하지 않을 때에는 두 과제 지속 시간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조절 초점과 해석 수준이 부합할 때는 두 과제 지속 시간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조절 초점과 해석 수준이 부합하지 않을 때, 부합할 때에 비해, 두 과제에 균등한 자원할당을 하였으며 두 과제 모두를 균형적으로 잘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절 초점과 해석 수준이 부합하지 않는 조건에서 두 과제 지속 시간의 차이는 없었지만 이중 과제 평균 정확도와 각 과제에서의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이 조건에서 이중 과제 수행과 관련된 전략적 사고가 발현되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Cyt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origin derived calli and adventitious roots and their phenolics profiling in Camellia japonica

        장은비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동백에서 다른 4종의 절편체에서 기원 된 캘러스와 부정근의 세포학적 특성과 페놀물질을 분석하여 프로파일링하고, 광질에 따른 페놀물질 축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배양체의 기원이 배양체의 생장과 2차대사산물의 함량에 미치는 지를 구명하고자 하였고, 또한 페놀물질 함량이 높은 바이오매스의 대량생산시 적합한 배양 시스템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잎, 뿌리, 꽃잎, 자방 등 4종의 절편체에서 유도 캘러스(CL, CR, CP, CO)와 부정근(AdL, AdR, AdP, AdO)을 유도하여 본 실험에 이용하였다. 각각 최적화된 증식배지에서 배양된 4종의 캘러스와 부정근의 생장을 조사한 결과, 생체중과 건중은 자방 유래 캘러스(CO)에서 가장 높았다. 부정근 라인중에서는 잎에서 유도된 부정근이 생체중과 건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차부정근의 수도 가장 많았다. 항산화 물질인 페놀물질의 함량은 캘러스보다 부정근에서 높았지만, 전체적인 배양기간과 바이오매스 축적량을 고려할 때 페놀화합물 생산을 위해서는 캘러스가 가장 적합한 배양 시스템이었다. 동백 캘러스에서 페놀화합물 축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단일 광과 혼합광 등[white(W), red(R), blue(B), red+blue(RB), red+green+blue(RGB)] 하에서 캘러스를 4주간 배양하였다. 광질 처리별로는 R 단일광과 RB 혼합광 하에서 배양한 캘러스는 암배양과 캘러스 생장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RB에서 배양한 캘러스에서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 라디칼 소거능도 가장 높았다. HPLC 분석 결과 역시 RB 혼합광 처리에서 배양된 캘러스에서 분석된 페놀 화합물이 가장 높았다. 흥미롭게도 혼합광 처리에서만 카테킨이 분석되었다. 절편체 4가지 기원별 캘러스를 RGB 혼합광 아래에서 배양한 결과 CL과 CR에서 붉은 색소가 발현되었으며, CR과 CP에서는 초록색의 기관분화능이 있는 캘러스가 관찰되었다. 페놀화합물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인코딩하는 PAL과 CHS 유전자의 발현은 CR에서 높았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R과 CP 라인 캘러스에서 높았으며 항산화능은 CL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 없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동백에서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고함량 캘러스의 대량생산시 적합한 배양 시스템을 구명하였으며, 절편체 기원과 광질에 따라 캘러스의 바이오매스와 생리활성 물질인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비교함으로써 동백 캘러스의 산업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calli and adventitious roots were induced from four different explants (leaf, root, petal, ovary) and their cyt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ant origin and in vitro cultures in Camellia japonica. For this, growth, cell division pattern, and DNA contents were investigated, bioactive compounds and the expression of its specific genes were analyzed in two separate studies. In first study, two in vitro culture systems [callus and adventitious root (AR)] were compared by investigation of biomas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4 different origin-derived calli and AR in Camellia japonica. Callus and AR were induced from leaf, root, petal, and ovary. Among 4 calli and 4 AR lines, the highest biomass was achieved in ovary-derived callus (CO), and in leaf-derived adventitious root (AdL). Between two culture systems, callus culture was more suitable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phenolic compound when considering the culture period and biomass than adventitious root system while the phenolics content per gram DW was higher in adventitious root cultures than that of callus. In second study, the effect of light quality on phenolic compounds accumulation was investigated in callus of Camellia japonica. To increase the accumulation of phenolic compounds, 5 light treatments [(three monochromes white (W), red (R), blue (B), and two mixed lights (red: blue (RB), red:green:blue (RGB)] were treated. FW and DW of callus were investigated after 4 weeks of culture under different lights, and total 22 phenolics were analyzed by HPL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llus growth of R and RB light compared to that of control (dark).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were obtained in callus cultured under RB light,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higher in this treatment than others. The results of HPLC analysis also showed the highest content in callus cultured under RB treatment. Interestingly, catechin was detected only in mixed light treatment such as RB and RGB. The effects of RGB on calli derived from 4 different origins (CL: leaf-derived callus, CR: root-derived callus, CP: petal-derived callus, CO: ovary-derived callus) were investigated. After 4 weeks of culture under RGB, red pigment was expressed in CL and CR, and organogenic callus was observed in CR and CP. Expression of PAL and CHS gene was higher in CR than other callus lines. Total content of phenolics and flavonoids were higher in CR and CP, and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highly obtained in these callus lines.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biomass and phenolic compounds in C. japonica for the industrial use.

      • Role of goal adjustment i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academic burnout in Korean students

        장은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6 국내박사

        RANK : 248623

        In South Korea, not only middle and high school but also college students experience high level of academic stress. Prolonged academic stress leads to academic burnout, and it caus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blems. Academic burnout consists of three symptoms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cynicism, and inefficacy. Emotional exhaustion refers to feeling emotionally and physically drained. Next, cynicism means negative and skeptical attitude toward the meaning of schoolwork and study itself. Lastly, inefficacy represents feeling incompetent and unproductive as a stud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among perfectionistic concerns (i.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discrepancy), goal adjustment (i.e., goal disengagement, goal reengagement) and academic burnout. More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mediating role of goal adjustment (i.e., goal disengagement, goal reengagement) i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academic burnout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In Study 1, perfectionistic concerns, goal adjustment capacities, and academic burnout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 Total 279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goal adjustment i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academic burnou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performed using AMOS 18.0. When both goal dis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were included as mediators in the model, the path from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goal dis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Thus, after removing the goal disengagement from the model, only goal reengagement was inputted as a mediator in the model. As a result, the model fit showed adequate fi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oal reengagement i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academic burnout was significant. Specifically, higher perfectionistic concerns predicted lower goal reengagement, and lower goal reengagement in turn linked to higher academic burnout. In Study 1, the mediation effect of goal reengagement in the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academic burnout was confirmed, but it was modest and did not mean causal relationship among three variables. Also, the mediation effect of goal disengagement was not found. Thus, to identify more clear relation among the variables, Study 2 was executed with the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In Study 2, individuals who received high scores on perfectionistic concerns in Study 1 participated. Participants had to solve ten mathematical problems during twenty minutes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dependent variables (i.e., emotional exhausti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Because academic burnout is occurred by prolonged academic stress, affect which has significant relation with burnout was measured as the indicator of academic burnout. In addition, emotional exhaustion, which is the first symptom of burnout was measured after modifying the original items. In Study 2, there were three conditions such as persistence condition, reengagement condition, and disengagement condition. In disengagement condition, participants could choose to disengage from the original goal (i.e., giving up solving the one problem within two minutes). In comparison, in reengagement condition, participants could reengage in alternative goal (i.e., solving alternative problem within two minutes) after disengage from the original goal (i.e., giving up solving the original problem). Lastly, in persistence condition, participants had to persist the original task. In the analyses, participants who persisted the task regardless of the original condition were classified as the optional persistence condition. In reengagement condition, two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the optional persistence condition. In contrast, in disengagement condition, all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the optional persistence condition because they persisted the original task. Thus,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were used in the analyses: forced persistence condition which do not have option to reengage or disengage, reengagement condition, and optional persistence condition. Using SPSS program, analyses of covariance (ANCOVAs) were executed. As a result, when the number of correct answer was controll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conditions. Specifically, participants in the reengagement condition reported lower negative affect compared with participants in the other two conditions (i.e., forced persistence condition, optional persistence condi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onditions in the positive affect and emotional exhaustion. This study offers a number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a new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academic burnout. Finding out the mediating role of goal reengagement in this relation was the first attempt. Also, the current study not only measured but also manipulated the goal adjustment in the experimental setting. Even though manipulation of disengagement was not as effective as expected, this study attempted to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is study. First, mediation effect of goal reengagement was not strong in Study 1, so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is effect carefully. Second, in Study 2, even though participants responded that it was impossible and difficult to solve a problem within two minutes in the manipulation check, they may not actually feel that the goal was unattainable. Thus, in the next study, manipulation of unattainable goal should be revised. Next, there was no comparison group which consisted of non-perfectionists. Therefore, it would be careful to interpret the result of Study 2. If non-perfectionist group is included as a comparison group, a clear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ic concerns and goal adjustment could be identified. In addition, this study did not classify the sub-type of goal reengagement and goal disengagement. Thus,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interpret the result of Study 2.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and prevent academic burnout for students with perfectionistic conce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