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티오펜이 결합돤 니켈(II)-거대고리 착물을 이용한 자기조립단분자막전극에서 norepinephrine 정량

        권수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elf-assembled monolayer electrode was made from thiophene derivative Nickel(II)-macrocyclic complex. The effect of electrocatalytic response for the oxidation of norepinephrine at SAM electrode was studied by cyclic voltam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is slightly increased and the peak potential is shifted to lower potential in comparison with bare gold electrode. And several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orepinephrine were investigated. The analyt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electrocatalytic determination of norepinephrine using Ni(II)-macrocyclic complex SAM electrode.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norepinephrine were as follows: pH, 7.8 ; temperature, 25℃; preconcentration, 120s; the stability of Ni(II)-macrocyclic complex SAM electrode, a series of 25 repeated scans at a relative standard deviatioin of 5.28%. The calibration curve for the determination of norepinephrine in buffer solutions by differential pulse volatmmetry : linear range, 5.0×10-7 ~ 8.0×10-6 M (r =0.996)and 1.0×10-6 ~ 1.0×10-3 M (r =0.998) ; the limit of detection was 3.0 × 10-7 M; Interferences were investigated by 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 이야기를 활용한 도덕 수업 연구

        권수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 학습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야기의 교육적 성격을 살펴보고, 그 논의를 토대로 계획하고 실천한 도덕과 수업의 모습을 설명하는 데에 있다.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교사는 수업을 통하여 자신이 이해한 도덕적 지식의 의미를 학생에게 전달하고, 학생은 자신의 경험과 사고를 끌어들여 고유의 의미로 받아들인다. 수업에 활용되는 이야기는 교사의 전달과 학생의 이해를 돕는 교육 방법이자 자료이다. 인간이 지식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은 이 때까지 형성된 그의 자아를 바탕으로 지식에 대한 나름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브루너는 지식을 구성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의미 만들기 과정을 반영하는 사고 양식의 특성을 명제적 사고양식과 대비하여 내러티브 사고양식으로 설명한다. 내러티브 사고 양식은 지식의 의미를 인간의 삶의 문제와 관련지어 이해하는 방식이다. 이야기는 내러티브 사고 양식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업에서 활용되는 이야기에는 교과 지식에 대한 전달자의 이해가 구체적 인간 활동의 맥락을 배경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식을 전수하는 여타의 교과교육에서와 같이 도덕교육에서도 이야기는 꾸준히 활용되어 왔다. 가치 갈등 이야기, 도덕적 모범 이야기, 학생의 도덕 경험 이야기는 인지발달적 접근, 인격 교육적 접근, 서사적 접근의 논의를 직접적으로 반영하 는 교육 방법이자 자료라 할 수 있다. 이들의 교육적 의의는 각 접근에서 표방하는 이론적 입장에서 뿐만 아니라 대안적 입장에서도 파악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각각의 이야기는 자신의 도덕적 사고를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뿐 아니라 모범적 행동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자료이며 학생에게 삶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깨닫게 한다. 이야기의 교육적 의의는 도덕과 교수 학습 과정에서 드러나는 교사와 학생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더욱 세밀히 설명된다. 도덕 수업에서 전달자로서의 교사에게는 학생과 동등한 위치에서 도덕적 지식에 대한 학생의 이해를 높은 수준으로 이끌어야 한다는 과제가 주어진다. 만일 교사가 이해 수준의 차이를 강조하여 지식의 의미를 전달한다면, 교육내용은 하달하는 식의 명령이나 설득의 모습으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수업에서 활용되는 이야기에는 이러한 교사의 이중적 위치가 반영되어 있다. 이야기는 전달자가 이해한 의미를 직접 설명하거나 직설적으로 진술하지 않는다. 이야기의 표면에는 물리적 시간에 따라 전개되는 사건과 인물의 행동이 표현되어 있을 뿐이다. 반면에,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건의 이면에 침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야기의 이중구조는 전달자의 이해 과정을 그대로 나타낼 수 있는 사건과 행동을 표면에 드러냄으로써 피전달자 편에 전달자와 동일한 상황과 동일한 역사적 맥락에 존재하고 있다는 의식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이야기 이면에서 전달하고 있는 의미에 대해 해석하게 한다. 학생은 수업을 통해 이야기 속의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자신의 판단을 검토하고 수정하는 경험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의미를 획득한다. 학생에게 이해된 이야기의 의미는 이야기의 무한한 의미 가운데 하나이며 그것은 교사의 이해 수준을 넘어서 존재하는 논리적 기준과 닿아 있다. 이와 같이 이야기는 상위의 수준에 있는 교사의 위치를 드러내지 않고 교사가 이해한 의미를 전달하며, 이해의 주체자로서 학생의 역할을 강조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야기의 교육적 성격에 관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계획하고 실천한 수업을 보고함으로써 도덕 수업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수업의 주제는 초등학교 교과서 3학년 1학기 5단원과 관련된 ‘예절의 의미’로 선정하였으며 ‘꿩과 비둘기와 까치’ 그리고 ‘도형 나라 이야기’의 두 가지 이야기를 활용하였다. 수업을 계획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예절의 의미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두 가지 이야기에 어떤 방식으로 녹아들어 있는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수업을 보고하는 장에서는 수업의 흐름을 9개의 소주제로 구분하고, 교사와 학생이 공동의 진술을 찾아가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수업 보고는 수업에서 차지하는 이야기의 위치와 역할 뿐 아니라 이야기를 활용한 도덕 수업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역할을 시사한다. 교사에게 요구되는 노력은 다름 아니라 도덕적 지식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세대를 거쳐 전승되는 이야기의 의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말한다.

      • 감귤과피 물균질액을 첨가한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 특성

        권수경 大邱가톨릭大學校 保健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trus peel water homogenate(WHCP) on the dough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ater homogenate of citrus peel was prepared by using of homogenizer under condition of 12,000rpm for 5 min. And the homogenate was added to 1-5% against wheat flour. pH and volume of dough, loaf volume index of bread with WHCP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The contents of total carotenoids, hesperidin and naringin in the bread with 3% of WHCP were 0.14, 38.4 and 25.3 mg%, respectively. The bread with WHCP(3%) showed comparable cohesiveness, springiness, but higher hardness than control products. The bread with WHCP(3%) showed best quality evaluated by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aste, flavor and texture.

      • 얼굴을 이용한 도자표현연구 : 상징적 표현을 중심으로

        권수경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도자예술은 추상표현주의의 개념과 미학을 점토의 물성에 접목시킴으로써 점토의 표현방법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다. 즉, 전통적 도자개념에서 벗어나 작가의 표현 수단으로 점토를 이용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추상표현주의도자, 펑크(Funk)도자, 수퍼오브제(Super Object) 등의 양식으로 변화 되었으며, 현대로 이어지면서 표현방식에 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개인의 독창성이 강조됨으로써 더욱 다양한 양식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도자예술의 여러 가지 표현방법 중 상징적 표현은 작가의 내면세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그것은 일반적인 형식으로 전달하기 어려운 정신세계를 가시적인 것이나 실제적인 것으로 형상화 시켜 전달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상징적 표현은 형상과 본질이라는 양면성을 서로 융화시켜 작품의 내적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시키는 기능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그것은 도자예술분야에서 중요한 표현방법의 하나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도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시대의 맥락 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상징적 표현을 매개체로 하여 인간의 심상을 얼굴로 형상화하였다. 사람의 신체 중 얼굴은 인간의 감정이 가장 투명하게 드러나는 부분이다. 얼굴표정은 단순히 표면 그대로 보여 지는 형태만이 아니라 인간의 내재된 감정과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얼굴 표정은 그 당시의 심리·상태에 대한 상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언어와는 또 다른 강력한 의사전달의 매개체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얼굴의 상징을 소재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를 주관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형태를 해체, 단순한 선과 면으로 재구성시키는 작업과정을 통해 현대사회의 물질만능주의에서 비롯한 인간의 여러 가지 정신적인 문제를 함축시켜 회화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분야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을 알아보고 이를 작업의 근거로 삼아 얼굴을 상징적 표현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표현방법의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물들이 점토를 이용한 도자예술의 한 영역으로써 도제소품이나 오브제 등에 다양하게 응용되길 바라며, 얼굴 이외에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상징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란다. Today's ceramic art made a huge change on the way of expressing clay by adding the concept of Abstract Expressionism, Aesthe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Clay. Namely, deviating from traditional ceramic concept, the clay is used as a device for artist's manifestation. This trend changed its form into Abstract Expressionism Clay, Funk Clay, Super Object and whatnot. Also, as it is connected to modern society, the study about the form of expression is conducted in many ways and it leads to the fact that individual's uniqueness is more focused; therefore it is appeared in many different forms. A Symbolic Expressionism, one of the ceramic art's expressing methods is one of the ways to deliver the artist's inner world effectively. It is used when the spiritual world, which is hard to be delivered using the general form, is shaped to convey unrealistically, and realistically. This symbolic expression contains functional value of delivering the work of art's inner meaning effectively by harmonizing both side characteristic of the shape and the substance. This has been used as one of the important forms of expression in the field of ceramic art, and it is constantly changing through the study in many different ways in the connection of an era. This study formed the image of a human being into a face by using the symbolic expression as a medium that appears in many ways as the time flows. Out of the whole human body, the face is where the human's feeling and emotion are most showed clearly. The look of a face does not simply show as it looks but it reveals the human being's inner mind and emotion. Therefore, the look of the face can be used as a symbol of a psychological condition at the time and through this, it can be looked as a powerful medium of communication other than language. Using this symbol of the face as a material, this study was to redefine in subjective and objective point of view, dismantling the form, and reorganizing into just simple line and surface. Through these steps of work, the study intended to express conversationally by implying different kinds of human being's spiritual problems that are from materialism in today's society.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ymbolic expression that is appeared in art field and using this as a base of the work, the study was to suggest other possibility of expressing method by using the face as symbolic expressing devi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one part of fields of the ceramic art using the clay, would be practiced hopefully in clay pastel or in object and also, a study in many ways which would show symbolic expression effectively using materials other than face would be conducted as well.

      • Nathalie Sarraute : Une Ecriture Iconoclaste

        권수경 Universite de Tours - Francois Rabelais 2000 해외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성상파괴주의적 글쓰기>의 측면을 중심으로, 프랑스 20세기 작가인 나탈리싸로트 (Nathalie Sarraute)의 작품을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여기에서 <성상파괴주의>라는 용어는 그 역사적, 종교적 배경과 의미를 내포하는 동시에, 무엇보다 <문학적 기능의 메타포어>로서 이해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탈구상의 미학, 혹은 형상과 이미지의 파괴와 왜곡이 나타나는 현대 조형 예술과 회화의 분야로의 우회를 통해, 하나의 문학 작품에서는 성상 파괴주의가 어떻게 표현되고 기능하며, 어떤 목표를 지향하고, 그것이 이르는 궁극적인 결과에 어떠한 가를 살펴보고 있다. 현상학적, 존재론적, 윤리적 접근이 곁들여지는 것은 성상파괴주의적 글쓰기가 지향하는 것이 결국은 <자아의 재확인>이라는 점에서 요구되며 또한 정당화된다. 나탈리 싸로트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설명하는 성상파괴주의는 세 단계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로, 19세기 사실주의로 대표되는 기존의 문학 전통에 대한 반기를 든다는 점에서, 나탈리 싸로트의 성상파괴주의는 반순응주의(anticonformisme)의 의미로 이해된다. 억압 체계와 자유 정신, 그룹과 개인 사이의 대립을 보여줌과 아울러, 싸로트는 관습적인 생각과 형태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두 번째로, 나탈리 싸로트는 작중인물을 해체시키고 개인의 정체성을 부인하는데, 그것은 작중인물의 개성과 정체성이 인간의 <표현불가능한> 현실을 변질시키고 그 모습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제공한다는 생각에서이다. 이점에서 싸로트의 입장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성상파괴주의와 맞닿고 있다. 외형을 파괴함으로써 그것이 나타내는 실제까지도 공격하고자 하는 현대 철학과 예술의 일련의 경향과는 다르게, 싸로트의 글쓰기는 언제나 발견을 목적으로 하는 <창조의 노력>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그의 탐구에 동기를 부여하며, 그 중심에 놓이는 것은 바로 <새로운 심리적 재료의 조명>이다. 무한한 자아의 존재를 그의 여러 결정면들 가운데 하나에 국한시키는 형태를 거부하는 태도에서 우리는 모든 선입견과 제압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아를 재확인시키려는 노력을 발견한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구분되는 자아의 존재 자체를 거부하고 모든 존재들이 동일함을 내세움으로써, 싸로트는 그러한 파괴의 과정에도 살아남는, 파괴가 불가능한 무형의 인간 본질을 보여주고자 한다. 겉모습과 우상의 이면, 또는 그것들의 파괴가 드러낸 공백에서 작가는 그 위를 가로지르는 보이지 않는 생명의 움직임을 느끼게 해 준다. 형태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운 의식은 이 공백에 머무는 숨결의 형태로 남는다. <의혹>은 고정된 형태와 선입견을 깨뜨리고 자아의 의식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 자아는 한정된 틀에서 벗어나 끝없는 광대함 속에 위치하고, 시적이며 우주적인 통찰의 중심에 자리 잡는다. 거기에서 해방된 자아의 <창조의 노력>과 작가의 글쓰기의 자아가 만난다. 고정적이고 단선적인 정체성의 파괴가 그것의 모든 파열을 아우르는 새로운 통합적 의식 탐구의 또 다른 얼굴이라는 것이 우리의 가정이다. 마지막으로, 성상파괴주의적 시각은 작가에게 새로운 소설적 글쓰기 형태를 창조하게 하며, 이 글쓰기는 점차 시에 근접한다. 싸로트에게서 비전은 그것을 표현하고자 하는 글쓰기에 영향을 주고, 그것의 형태를 결정한다고까지 말할 수 있다. 싸로트의 문체는 <트로피슴>의 내적 움직임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인물의 정체성 파괴와 열림과 동요로 구체화되는 글쓰기 형태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 1부에서 우리는 싸로트의 인물들의 심상의 양태와 작가에 의한 탈형상화를, 제 2부에서는 동일자와 타자의 변증법적 관계와, 인물의 자아상과 자의식에 대해 타자의 존재가 미치는 상호 영향을, 제 3부에서는 싸로트의 인물에게서 나타나는 자아 재확인의 노력과 자의식의 움직임의 양태를,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 4부에서는 공간과 창조와 시(詩)의 영역으로의 자아 의식의 확산을 살펴본다.

      • 유리 슐레비츠(Uri Shulevitz)의 그림책 속에 나타난 '자연' 표현연구

        권수경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린이 그림책은 문학성을 지닌 글과 심미성을 갖춘 그림이 조화를 이루는 하나의 예술 작품이다. 이러한 그림책은, 문자를 읽는 것에 미숙한 취학 전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글보다는 그림의 비중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림책에서의 글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하고 간결한 문장이라는 특징을 지니며 이러한 특징은 상대적으로 그림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을 이용한 어린이 그림책은, 시각을 통해 직감적으로 어린이들에게 전달되어 글보다 먼저 친화되며 그 인지효과도 크다. 또한 일러스트레이션은 어린이의 상상력과 호기심을 자극하여 이야기에 쉽게 빠져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어린이들은 이와 같은 그림책의 이미지를 통해 많은 것을 경험하고 배우고 느끼면서 성장할 수 있다. 때문에 어린이의 성장 과정에 관여하는 어린이 그림책에 있어서 작가, 일러스트레이터, 편집자는 어린이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안내하는 중요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린이 그림책에서 글작가와 일러스트레이터가 어린이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곧 주제로 나타난다. 그림책에 있어 주제란 이야기에 내재되어 있는 중요한 생각이며, 이야기를 묶어놓은 틀이다. 즉, 이야기 전체에 흐르는 생각이 주제이며 작가와 일러스트레이터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라는 것이다.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에서 그것이 다루고자 하는 주제의 범위는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어린이의 발달영역 혹은 어린이와 관련된 주제들로 이야기가 구성될 때 비로소 읽는 이와의 공감대 형성과 전달 효과는 더욱 극대화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시대를 거듭하면서 현 시대에 오기까지 ‘자연’을 주제로 한 이슈들은 꾸준히 거론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유리 슐레비츠(Uri Shulevitz)는, 자연을 주제로 표현한 그림책 작가 중에서 정중동의 표현을 통해 자연의 변화를 가장 잘 그려내는 작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자연의 변화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데, 이러한 표현법은 자연이라는 주제를 더욱 부각시킴으로써 어린이들로 하여금 자연에 대한 성숙된 성찰을 유도하여 공감을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그의 작품 중 자연을 주제로 한 작품만을 선별하여 그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현 시대의 화두가 되는 주제를 잘 표현한 어린이 그림책의 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는 바이다. 시대는 계속 변하고, 그 시대가 갖게 되는 문제들도 변화하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앞선 세대들은, 어린이의 미래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고 그들이 육체적&#8228;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시킬 의무를 지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고는 지속적으로 사회 이슈가 되는 주제를 중심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그림책을 어린이들에게 보여주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이라고 판단했으며, 이에 슐레비츠의 그림책을 선정하게 되었다. 어린이들은 슐레비츠 그림책의 정중동 표현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해 할 수 있으며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재확인하며 새로운 자세나 통찰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 생식기 기형을 가진 여성과 정상여성의 외음부 길이의 분석

        권수경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및 목적: 외래에서 환자들을 접하다 보면 외음부의 모양이 개인마다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식기 기형을 가진 환자 뿐 아니라, 정상 여성에 있어서도 결혼여부 및 분만 방식, 폐경 여부에 따라 외음부 길이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외음부의 길이 확인을 통해 생식기의 기형을 진단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8년 6월 에서2011년 6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외음부 길이를 측정하였다. 정상환자 279명을 성교여부, 결혼여부, 자연 분만 또는 제왕절개, 폐경을 기준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리고 생식기 기형을 가진 환자와의 비교관찰을 위해 116명의 미혼 여성 중 40세 이상 여성 1명을 제외한 115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정상환자에서 미혼 여성군은 폐경 여성을 제외한 기혼여성군과 외음부 평균 길이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연 분만한 기혼 여성군은 미혼 여성군에 비해 음핵 하단에서 요도 중간까지의 길이가 유의하게 더 짧았으며, 요도 중간에서 음순소대 후벽의 길이가 더 길었다. 제왕절개 분만한 군에서는 미혼 여성군에 비해 음핵 하단에서 요도 중간까지의 길이와 음순소대 후벽에서 항문까지의 길이 의 길이가 더 짧았지만 요도 중간에서 음순소대 후벽의 길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분만하지 않은 기혼 여성군은 분만한 기혼여성군에 비해 요도 중간에서 음순소대 후벽 의 길이가 유의하게 짧았다. 생식기 기형 환자와 대조군과의 비교에서는 외음부의 길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자궁경부 무형성을 동반한 질 무형성증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전체 길이에 대한 음핵 하단에서 요도 중간까지의 길이 비율만 유의하게 더 짧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한국 여성에 있어서 분만 여부, 분만 종류 및 폐경 여부에 따라 외음부 길이의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생식기 기형을 가진 환자 중 자궁경부 무형성을 동반한 질 무형성증 환자군만이 정상군과 비교하였을 때 외음부 길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Sentinel-2 영상으로부터의 자연림과 인공림의 분류

        권수경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림은 과거 목재 생산과 광산 개발 등의 목적으로부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문제에 대처하는 천연 자원으로서 가치를 가지고 있다. 특히 요즈음 미세먼지나 산림 황폐화로 인해 환경문제가 더욱 두드러짐과 동시에 산림의 가치는 높아지고 있다. 자연림은 자연으로부터 이어져온 산림으로 병충해나 재해 등 환경스트레스에 강하며 야생동물의 안식처가 되는 등 안정적인 산림이며 보존 가치가 높은 산림이다. 인공림은 사람이 조림 및 관리하는 숲으로 목재생산, 토양침식, 방풍 등 목적을 가지는 산림이다. 인공림은 목재 생산을 목적으로 하므로 관리에 용이하도록 일제 동령림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수직 구조가 발달되어 있지 않고 지반이 불안정한 산림으로 환경 스트레스에 약하다. 자연림과 인공림의 구분은 두 산림 형태의 목적과 관리 방법이 상이하므로 산림조사에서 기본적으로 조사하는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자연림과 인공림의 구분은 항공사진 양안 시 판독 또는 행정적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 분석에 유리한 분광정보를 기존 위성에 비해 다수 제공하는 Sentinel-2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인공림과 자연림의 분광적 특징을 이용한 분류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에서는 분류도를 제작하기 위해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즉 인공신경망을 이용한다. Forests have value as natural resources to cope with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from the purpose of development such as past wood production and mine development. Especially these days, the value of forests is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and deforestation. Natural forests are naturally made forests, which are resistant to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pests and disasters, and are stable forests and make habitats for wildlife. Artificial forests are forests that are planted and managed by people, and are forests with the purpose of wood production, handling with soil erosion and windbreak as well. Since the planted forest(artificial forest) is intended for the production of timber, it has the form of even-aged forest for easy management. Therefore, the vertical structure is not developed and the ground is unstable and also vulnerable to environmental stress. The forest type is fundamentally investigated in forest surveys because the purpose and management methods of the two forest types are different. In general,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forest is carried out through the reading of aerial photographs or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this study, we propose a classification method using the optical features of artificial forest and natural forest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 which provides various spectral information especially useful for vegetation analysis compared to existing satellites. In this metho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is used to classify forest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