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한국 청소년에서 식사 패턴과 식행동과의 관련성 분석

        박지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dolesence’s food intake, dietary patterns through factor analysis, and analyze the relevance of food behavior. Among th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hich is a nationwid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156 people who responded faithfully using data from 2007 to 2018, and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mber of people surveyed was 1,463 in the 4th phase, 1,391 in the 5th phase, 1,233 in the 6th phase, and 1,069 in the 7th phase, with the gender of those surveyed showing a highest number of male students(52.2% in 4th phase, 52.8% in 5th phase, 52.6% in 6th phase, and 52.2% in 7th phase). As time went by, the percentage of teenagers who were perceived as obese increased, and the percentage of those who said they had no experience in smoking tended to increase,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 also increas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no drinking experience," "skip breakfast," "breakfast without family," and "eating out" has increased over time. Food intake was generally similar, with consumption of grains and vegetables showing a tendency to decline overall, and consumption of nuts, meat, fish, soft drinks, coffee, sugar drinks, fast food and breads tended to increase. Among them, male students eat much more meat, soft drinks, caffein drinks, sugar drinks, fast food and bread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e case of dietary patterns, all subjects,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were judged by factor analysis and scree plot to confirm that the three patterns were most prominent. It was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dietary pattern' in which grains are main dishes and vegetables are side dishes,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in which meat, soft drinks and fast food are consumed mainly, and 'Healthy Western dietay patterns' in which bread and milk are consumed. These dietary patterns have shown that as times go by, the intake tendency of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increases, while "Traditional dietary patterns" and "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decrease.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three types of dietary patterns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quartiles showed that the more people took 'Traditional dietary patterns', the more they did not drink, take breakfast, take dinner, breakfast with family and dinner with family, which resulted in the same results for girls and boys, except for drinking and dinner with family. The more people consumed the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the more significant the tendency was for drinking, skip breakfast, take dinner, breakfast without family, dinner without family and eating out, except for dinner for male students, and for female students, drinking, skip breakfast, and skip dinner. The more people consumed the '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the more significant the tendency was for non-drinking, take breakfast and breakfast with family, which was the same for boys and girl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levance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dietary behavior, the study subjects who takes 'Traditional dietary patterns' showed that they had relevance with no drinking experience, take breakfast and dinner, breakfast with family. This was the same for male students, 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re was an additional relevance between dinner with fami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drinking. Research subjects who takes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tend to skip breakfast, eat dinner, breakfast and dinner witout families, and eat out frequently. These dietary patter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who skip breakfast and eat out frequently, while female students shows significant relevance in breakfast and dinner without families, eat out frequently. The study's relevance to ‘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indicated the relevance of eating breakfast with families. This is the same for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and healthy dietary habits and desirable dietary behavior is also great, and the connection between unhealthy and undesirable dietary habits is also great. In particular, the more you skip breakfast and take dinner, the more you consume high-calorie and low-nutritive foods such as fast food and soft drinks, which can be used as data when conducting research on the importance of breakfast in the future. Accordingly, education on dietary behavior as well as eating meals should be provided when nutrition education for healthy meals is conducted, and not only students but also their families should be educated as it is highly related to eating with their familie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식품 섭취에 대해 조사하고 요인분석을 통한 식사 패턴을 도출한 후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조사는 전국단위의 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데이터 중 2007년부터 2018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성실하게 응답한 대상자 5,15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기수 별 대상자는 4기 1,463명, 5기 1,391명, 6기 1,233명, 7기 1,069명이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성별은 모든 기수에서 남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4기 52.2%, 5기 52.8%, 6기 52.6%, 7기 52.2%). 시대 흐름에 따라 비만으로 인지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여부에 대해서는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부모님의 학력 또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조사에 따르면 시대가 지나면서 음주를 경험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아침은 결식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아침식사를 가족과 함께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외식을 자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식품별 섭취량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곡류, 채소류 등의 섭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견과류, 육류, 어패류, 청량음료류, 커피류, 당음료류, 패스트푸드류, 빵류 등의 섭취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중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육류, 청량음료류, 커피류, 당음료류, 패스트푸드류, 빵류의 섭취 증가량이 훨씬 높은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요인분석과 스크리도표를 통해 전체 대상자, 남학생, 여학생의 식사 패턴을 분석한 결과 3가지 패턴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곡류를 주식으로 하고 채소류를 반찬으로 섭취하는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과 육류, 청량음료류, 패스트푸드류 등을 주로 섭취하는 ‘건강하지 않은 서구적 식사 패턴’, 빵류와 우유류를 섭취하는 ‘건강한 서구적 식사 패턴’이 도출이 되었는데 이러한 식사 패턴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건강하지 않은 서구적 식사 패턴’의 섭취경향이 증가하며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 및 ‘건강한 서구적 식사 패턴’은 섭취경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3가지의 식사 패턴을 4분위수로 구분하여 각 분위군과 식행동을 비교해 본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는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을 섭취할수록 음주 경험이 없고, 아침섭취, 저녁섭취, 가족 동반 아침식사, 가족 동반 저녁식사의 식행동과 유의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여학생도 동일하게 결과가 도출되었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을 섭취할수록 아침섭취, 저녁섭취, 가족 동반 아침식사의 식행동에서 유의한 경향이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에서 ‘건강하지 않은 서구적 식사 패턴’을 섭취할수록 음주경험이 있고, 아침결식, 저녁섭취, 가족 동반하지 않은 아침식사, 가족 동반하지 않은 저녁식사, 잦은 외식횟수의 식행동과 유의한 경향을 보였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음주경험이 있고, 아침결식, 가족 동반하지 않은 아침식사, 가족 동반하지 않은 저녁식사, 잦은 외식횟수 항목에서, 여학생의 경우에는 가족 동반하지 않은 아침식사, 가족 동반하지 않은 저녁식사, 잦은 외식횟수항목에서 유의한 경향을 나타냈다. 전체 연구대상자에서 ‘건강한 서구적 식사 패턴’을 섭취할수록 음주경험이 없고, 아침섭취, 가족 동반 아침식사의 식행동과 유의한 경향을 나타냈고, 이는 남학생, 여학생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도출된 식사 패턴에 따라서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을 섭취하는 연구 대상자는 주로 음주경험이 없으며, 아침과 저녁을 섭취하고, 아침식사를 가족과 함께하는 식행동과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남학생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과 가족과 함께 저녁을 섭취하는 식행동과의 관련성이 추가적으로 나타났으며 음주경험여부와는 관련성이 유의하게 나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하지 않은 서구적 식사 패턴’을 섭취하는 연구 대상자는 주로 아침을 결식하고, 저녁을 섭취하고, 아침과 저녁을 가족과 함께 섭취하지 않으며, 외식을 자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식사 패턴은 남학생의 경우 아침결식을 하고, 외식을 자주 하는 식행동에서만 관련성이 유의하게 나왔으며, 여학생은 아침과 저녁 식사를 가족과 함께 섭취하지 않으며 외식을 자주 할수록 관련성이 높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에서 ‘건강한 서구적 식사 패턴’과의 관련성은 아침을 섭취하며 아침식사를 가족과 함께 섭취하는 식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과 여학생에서도 동일한 관련성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이고 건강한 식사는 바람직한 식행동과의 관련성이 크며, 건강하지 않은 식사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생활과의 관련성 또한 큰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아침식사를 결식하고 저녁식사를 섭취수록 패스트푸드나 청량음료 등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섭취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같은 결과는 향후 아침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시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건강한 식사에 대한 영양교육을 진행할 시 식사섭취 뿐 아니라 식행동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가족과의 식사 등과의 관련성도 높게 나온 것으로 보아 학생 뿐 아니라 가족까지 함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제안 : 킥고잉을 중심으로

        박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사회는 소비와 생산의 과잉으로 인하여 크게 환경오염과 경제 위기를 겪고 있다. 이렇듯 혼란스러운 경제 상황에서 새로운 패러다임 즉, 과거 대량 생산으로 인해 소유가 중요했다면 이제는 소유의 개념이 아닌 공유를 하는 문화로 발달해 나아가고 있다. 장소, 물건, 교통, 지식 등의 다양한 형태의 공유경제를 지향하는 플랫폼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다. 그 중에서도 2010년부터 휴대하기 편하고 주차 및 친환경적인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 1인 가구 수가 빠르게 늘어가는 가운데 교통체증과 주차문제 그리고 엄격해지는 환경 규제강화 등으로 인하여 대도시에서는 새로운 교통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주로 전기 동력을 사용하는 퍼스널 모빌리티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어 친환경적이고,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여 교통난과 주차난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기업들에서는 발 빠르게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가 선보이며 많은 사람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은 서비스가 빠르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지정된 주차장이 없이 도크리스 형태로 운영되는 편리함으로 인해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지 못하도록 찾기 어려운 곳에 주차를 하여 사유화를 하거나, 이용 후 아무 곳에나 주차하여 보행에 방해 등 도로의 질서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또한, 현행 규제에 대해서 사용자들의 대다수가 잘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함께 도시의 질서와 공유 가치를 만들고, 퍼스널 모빌리티가 공해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하여 퍼스널 모빌리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미 일상생활에서는 익숙한 게이미피케이션의 요소인 도전, 성취, 보상, 동기부여 등의 시각적인 요소를 적용하여 자칫하면 지루하게 다가올 수 있는 문제들을 즐거운 습관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캐릭터를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였고, 각 퍼스널 모빌리티에 캐릭터를 대입하여 해당 기기를 공유가치로 인지하며, 나의 점수를 도입하여 사용자의 이용을 평가하도록 하여 안전하고 건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 본인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비교를 통하여 얼마나 많이 환경에 기여를 하였는지를 랭킹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도전과제를 통해 보상을 통하여 동기부여를 받고 습관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국내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필요성이 증대된다.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사용자의 안전, 공유가치의 인식 그리고 도시의 질서와 조화를 만들어 나아가는 데에 큰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향후 지속적으로 발전할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의 전략적 수단과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I propose a design based on Kickgoing among personal mobility services using gamification. Domestic personal mobility services are generally considered as low pollution due to personal mobility due to low citizens awareness and neglect of roads due to private mobility and neglect of roads. Domestic use regulations can not keep up with rapidly growing market. Even users have a common problem that they do not recognize. However, there is no good guideline to solve this problem ye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used the gamification to encourage the users to have fun and interest as a game element to solve the problems, and to continuously recognize and solve the problems. The definition, element and habit formation model of gamification a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personal mobility, service status, and general perception of people were identified. Since then, I have investigated applications using gaming services and domestic and foreign personal mobility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we derived characteristic parts to apply for kicking among the functions of the gamification component and the personal mobility service. Based 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case studies to establish the new directionality of Kickgoing and improve the problems of Kickgoing, I proposed a new Kickgoing function definition, design concept, information structure design, and prototype. The proposed personal mobility mobile application design has a limit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how much useful the mobile application design is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application because the nature of the research has not been actualized and finished at the design stage and usability evaluation is not performed.

      •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법에 관한 문헌 분석 : 환경중심언어중재와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를 중심으로

        박지윤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자연적 교수절차인 환경중심 언어중재와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하여 중재별 국내ㆍ외 연구 특징과 질적 지표 요인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중재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출간된 국내 석ㆍ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36편, 국외 학술지 게재 논문 18편, 총 54편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별 국내ㆍ외 연구 특징을 분석한 결과 중재목적은 국내의 경우 의사소통 의도 향상과 자발화 증진에 집중되어 있었다. 반면 국외의 경우 특정 중재목적에 편중되는 경향없이 다양한 목적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중재대상은 국내 환경중심 언어중재와 국내ㆍ외 PECS의 경우 3명이 가장 많았고, 국외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경우 2명에서 6명까지 대상자의 수가 다양했다. 중재환경은 두 중재 모두 개별치료실 및 특수학급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자는 국내 환경중심 언어중재와 국내ㆍ외 PECS의 경우 연구자 및 교사 실행 중재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국외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경우 편중되는 경향없이 연구자 및 교사, 가족 중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방법은 PECS가 환경중심 언어중재보다 실험처치회기가 더 길었으며, 국내ㆍ외 모두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경우 놀이활동 위주로, PECS의 경우 1:1 훈련과 놀이활동 위주로 중재가 제공되었다.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적용 방식은 국내의 경우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국외의 경우 시범, 요구-모델, 시간지연, 우발학습의 주요 4가지 기법 중 3가지 기법을 적용한 것이 가장 많았다. PECS의 경우 1~6단계 중 1~3단계와 1~4단계를 적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지표 요인에 따른 특성을 분석한 결과 PECS보다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가 질적 충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구분없이 국내ㆍ외 연구를 비교했을 때 국내 연구는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 충실도, 여러 대상 및 상황 실험 효과, 사회적 타당도 영역에 대한 측정과 서술이 국외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경중심 언어중재와 PECS중재 모두 큰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의사소통 의도 향상은 PECS중재에서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발화 증진은 환경중심 언어중재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향후 중재 연구가 갖추어야 할 요소와 효과적인 중재 선택을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researc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tervention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quality indicators home and abroad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hrough meta analysis by analyzing single-subjects researches that applied two representative natural teaching procedures, milieu language teaching and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PECS), to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analyzed 54 papers including 36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and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and 18 papers published in foreign journals from 2000 to 2011.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researc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terventions home and abroad, the goals of intervention were concentrated in improving communicative intention and increasing spontaneous nature in South Korea. In other countries, there was no inclination towards certain goals of intervention with researches being conducted for various objectives. As for the subjects of intervention, three was the most popular number in Korean milieu language teaching and PECS home and abroad. The number varied from two to six in overseas milieu language teaching. As for intervention environments, both the interventions were administered most in individual treatment rooms and special classes. As for intervenors, researcher and teacher-administered intervention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in Korea milieu language teaching and PECS home and abroad. There was no inclination towards certain inventors in overseas milieu language teaching with an even distribution among researchers, teachers and family. As for intervention methods, PECS had longer experiment and treatment sessions than milieu language teaching. Milieu language teaching focused on play activities and PECS on 1:1 training and play activities both home and abroad. As for the application methods of milieu language teaching, the most researches applied enhanced milieu teaching in South Korea, whereas the most researches applied three of the four major techniques, namely modeling, demand model, time delay, and incidental teaching in other countries. As for PECS, most researches applied Stages 1~3 or Stages 1~4 of Stages 1~6. Seco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quality indicators of single-subject researches were analyzed. As a result, milieu language teaching researches had a higher quality satisfaction level than PECS researches. When researches home and abroad were compared regardless of interventions, the Korean researches showed poorer measurement and description in interobserver reliability, fidelity of implementation, external validity and social validity than overseas researches. Third, the meta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both milieu language teaching and PECS were moderately effective.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intention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was more effective in PECS than in milieu language teaching, which showed more effective spontaneous improvement than PECS. Based on tho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elements required from future intervention research and directions for effective intervention selection.

      • 은둔형 고립청년의 일 경험에 관한 해석 현상학적 연구

        박지윤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은둔형 고립청년들이 사회 적응 과정에서 겪는 일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세 이상 34세 미만의 청년으로서 3개월 이상 고립과 은둔 생활을 경험하였으며, 탈고립을 위해 일 경험을 하였거나 일 경험중인 청년을 대상으로 7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Jonathan Smith(2015)의 해석 현상학적 연구방법(IPA)에 근거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5개의 주제 및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5개의 주제는 ‘고립을 넘어 평범한 삶을 향한 절박함’ ‘고립의 연장선에 있는 느낌’ ‘탈고립의 길에서 새롭게 만나는 나’ ‘혼자만의 방에서 나와 세상으로’ ‘일 경험과 함께 하는 심리적 안전기지’로 나타났다. ‘고립을 넘어 평범한 삶을 향한 절박감’은 은둔형 고립청년들이 방에서 나와 평범한 삶을 살고 싶은 간절함과 일 경험에 대한 바람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평범한 삶을 위하여 은둔형 고립청년들은 새롭게 생활의 루틴을 만들어가고, 사회적 편견을 마주하면서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일을 하면서도 고립의 연장선에 있는 느낌’은 청년들이 고립과 은둔에서 벗어나 사회 속에서도 고립감을 경험하고, 고립 생활로 되돌아갈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 ‘탈고립의 길에서 새롭게 만나는 나’는 청년들이 탈고립과 탈은둔의 과정에서 스스로를 재발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일 경험을 통해 자신의 능력과 자원을 발견할 뿐 아니라, 내면을 성찰하게 됨으로써 과거의 상처에서 벗어나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혼자만의 방에서 나와 세상으로’는 청년들이 일 경험을 통해 세상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화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일 경험과 함께 하는 심리적 안전기지’는 일 경험에서 은둔형 고립청년들에게 심리적 안전기지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상담과 코칭, 멘토링, 그리고 비슷하게 고립과 은둔 경험이 있는 청년들의 지지는 세상을 향해 탐험을 지속할 수 있게 해주는 심리적 안전기지가 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은둔형 고립청년의 일 경험과 그 체험의 심층적인 의미를 탐색함으로써 이들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이해를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고립과 은둔으로부터 다시 사회에 적응하기까지 청년들이 마주하는 내적인 갈등과 어려움, 변화와 성장의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이들을 깊이 이해하고 심리적 지원을 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외측연수경색에서 지속적인 안진

        박지윤 순천향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Most of the spontaneous nystagmus of lateral medullary infarction(LMI) disappears through the process of central vestibular compensation. However, rarely their survivors have the spontaneous or gaze induced nystagmus persisted in the chronic phase. However, patterns and causes of persistent nystagmus in the chronic phase of the LMI have not been studied ye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atterns and mechanisms of persistent nystagmus (PN) that lasted more than one year in LMI. Method; We recruited 13 patients with PN due to LMI and another 13 with transient (< one year) nystagmus served as a control (TN). All patients had oculography, rotatory chair test, caloric test, bedside head impulse test, Korean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KDHI) and initial brain MRIs. Result; All patients had spontaneous horizontal-torsional nystagmus beating away from the lesion side during the acute phase. At least one year later, all patients with PN had nystagmus during lateral gazes, but only 4 showed spontaneous nystagmus in the primary gaze. Most patients (12/13, 92%) with PN revealed evolution in the direction of the initial contralesional nystagmus. One patient (8%) exhibited contralesional torsional nystagmus (T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During lateral gazes, the PN included pure torsional (n=5), torsional-downbeat (n=3), pure horizontal (n=2), ipsiversive GEN and torsional during contralesional gaze (n=2). During rotatory chair test, the gains of the vestibulo-ocular reflex (VOR) in PN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TN group to the lesion side at 0.02 Hz and 0.64 Hz. The KDHI score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The ventrolateral part of the vestibular nuclei was mostly involved in patients with PN. Conclusion: The patterns of nystagmus frequently change in patients with PN from LMI. The presence of PN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more severe dizziness in LMI. Damage to the vestibular nuclei or vestibular afferents and resultant vestibular asymmetry may be responsible for PN in LMI.

      • 윌프레드 비온의 방해하는 대상에 관한 연구

        박지윤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신에게 지나치게 비판적이며, 이루어내는 모든 것에서 의미를 찾지 못하는 개인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틀로서 윌프레드 비온의 방해하는 대상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이론들은 개인 내의 비판하는 나를 “초자아”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프로이트, 클라인, 로젠펠드 등의 이론가들은 유난히 가혹한 초자아의 발생에서 타고난 욕동의 영향을 보다 강조하면서 타고난 특성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충분히 기술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비온의 방해하는 대상 개념은 “가혹한 나”의 발생에 영향 미치는 개인과 환경의 측면을 모두 고려했을 뿐만 아니라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설득력 있게 기술하고 있다. 또한 비온의 방해하는 대상 개념은 “가혹한 나”가 병리적인 방식으로나마 개인을 보호하기 위해 발달되었다는 것을 설명해 줄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방해하는 대상 개념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임상 사례 속에서 방해하는 대상이 어떻게 드러나고 변형되는지 살펴봄으로써 방해하는 대상을 자기 파괴적인 개인을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으로 소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비온의 방해하는 대상 개념은 유아기 외상 속에서 O와의 접촉에 따른 파국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전능적 조직이며, 동시에 자신의 개인적 진실 O와의 연결을 공격함으로써 새로운 성장과 발달을 방해하는 병리적 조직이다. 둘째, 임상 장면에서 개인이 자신의 정서에 접촉되고 삶을 살아내고자 할 때 방해하는 대상은 모든 것에서 의미를 제거함으로써 치료적 진보를 방해한다. 셋째, 분석가와 피분석자의 담고 담기는 과정 속에서 개인의 정서적 진실을 사고하는 능력이 자랄 때 피분석자는 방해하는 대상과 분리되어 방해하는 대상의 통제와 공격에서 벗어나게 된다. 개인은 방해하는 대상의 지배에서 벗어나 삶을 살아내고 성장할 수 있게 된다. This study proposes Wilfred Bion's Obstructive Object concept to understand individuals who are being overly critical of themselves and feel meaningless everything they are doing. The traditional theories describe “severely critical self” as a “superego” concept. The leading theorists such as Freud, Klein, and Rosenfeld, who describe severely critical self as superego, have not fully considered the interaction between innate characteristics and their environment by emphasizing effect of the drive in the harsh superego. However, Bion’s obstructive object persuasively presents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their environment as well as considering personal and environmental aspects that cause severely critical self. It can also explain that severely critical self is pathologically developed to protect oneself. Thus,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obstructive object can be an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self-destructive individuals by exploring the obstructive object concept theoretically and looking at how it revealed and transformed in the clinical cas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 obstructive object of Bion is not only an omnipotent organization but also pathological organization. The omnipotent organization that protects personal from the catastrophe that results from contact with O in infant trauma. The pathological organization prevent personal from growing and developing by attacking the connection with own personal truth O. Second, it interferes with therapeutic progress of individuals by removing meaning from everything when they try to be in contact with their emotions and live to be themselves Third, Individuals can be separated from the obstructive object and free from its control and attack when their ability to think emotional true grows in container-contained between analyst and analysant. Individuals can survive and grow their lives away from the obstructive object dominance.

      •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관계 특성 비교

        박지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 지도교수 권 치 순 ) 본 연구에서 초등영재의 정의적 특성 중 하나인 완벽주의 성향에 대하여 성별, 학년별 관점에서 분석하고, 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이 대인관계 특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초등영재 112명과 일반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완벽주의 성향 검사, 대인관계 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성별, 학년별로 구분하여 초등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의 검사 결과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고, 초등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관계 성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완벽주의 성향의 학년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또 초등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은 일반학생 보다 높았다. 이로 인해 완벽주의 성향이 영재의 정의적 특성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영재의 학년별 대인관계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성별 대인관계는 여학생의 유의미하게 높은 사회관계 성향, 표현 성향이 존재했다. 반면 반항적․불신적 표현 성향은 남학생이 더 높았다. 일반학생의 학년별 대인관계 특성은 역할 성향, 사회관계 성향 등에서 6학년 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고, 성별 차이는 반항적․불신적 표현 성향만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을 비교하면 지배적․우월적 역할 성향, 과시적․자기도취적 표현 성향은 영재가 높았고, 반항적․불신적 표현 성향은 일반학생이 높았다. 영재들이 자신이 설정한 기준에 부합하기 위하여 대인관계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특성이 대인관계의 어려움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과 지배적․우월적 역할 성향, 독립적․책임감적 역할 성향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과시적․자기도취적 표현 성향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지배적․우월적 역할 성향, 사교적․우호적 사회관계 성향, 과시적․자기도취적 표현 성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관계 특성의 항목에 정적 상관관계는 초등영재의 대인관계 특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뒷받침 하는 결과이다. 초등영재의 높은 완벽주의 성향은 대인관계에서 지배적․우월적 역할 성향, 과시적․자기도취적 표현 성향 등에 영향을 주어 대인관계 문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영재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영재의 심리적 지원과 진로 및 상담 계획을 수립하는데 밑받침이 될 뿐만 아니라 영재 스스로 자신의 성향을 깨닫고,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이끄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언어발달 특징

        박지윤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에게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검사를 실시하고 자발화를 수집하여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언어연령과 의미론적 특성과 구문론적 언어발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중언어 환경 아동 3, 4, 5, 6세 각 3명, 7명, 9명, 7명씩 총 26명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 3, 4, 5, 6세 각 3명, 7명, 8명, 6명씩 총 2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언어연령에서 수용언어연령의 경우 언어 환경 간 5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표현언어연령의 경우 언어 환경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언어연령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간 언어발달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수용언어연령의 경우 3세와 4세, 3세와 5세, 3세와 6세, 4세와 6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4세와 5세, 5세와 6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현언어연령의 경우 3세와 5세, 3세와 6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다른 연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의미론적 언어발달에서 의미유형의 경우 단일어와 개별의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의미관계의 경우 4세의 3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의미관계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별 단일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구문론적 언어발달에서 언어 환경 간 연령별 평균발화길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3세와 5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to compar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Subjects included 26 children of 3 to 6 years old in the bilingual environment, and 24 children of monolingu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5 years of receptive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ages in expressive age.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eptive age and expressive age among ages i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results of one-way ANOVA.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percentage of one-word and semantic role.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4 years of 3-words in semantic relations.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s in one-word i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results of one-way ANOVA.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MLU-m.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years and 5 years i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MLU-m in results of one-way ANOVA.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감상과 비평」 수업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박지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한 사회의 변화 속에서 지식과 정보의 양이 그 속도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 흐름 속에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정확한 지식을 선택하여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하는 비평 학습을 강조하며 「음악 감상과 비평」과목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롭게 개정된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감상과 비평」과목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연구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음악 감상과 비평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음악 비평 학습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 감상과 비평」과목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또한 음악 감상과 음악 비평의 개념 및 관계를 탐구하여 음악 비평의 교육적 가치를 제시하였고, 이러한 방향성을 토대로 스톨니츠, 펠드먼, 게히건이 제시한 비평의 유형과 방법을 고찰하였다. 이후 연구된 내용을 바탕으로 음악 비평 학습모형을 설계하였고,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음악 비평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음악 비평을 위한 모형으로는 펠드먼과 게히건의 비평 방법과 스톨니츠의 예술비평 유형을 바탕으로 비평 학습모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고, 베토벤의 교향곡 제3번 “영웅”과 그리그의 「페르 귄트 제1모음곡」을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총 3차시로 구성된 두 개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음악 비평 교수·학습 지도안을 통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음악을 감상하며 음악 작품의 가치를 해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음악적 감수성을 기르며, 논리적인 토론 활동과 비평문 작성을 통해 음악에 대한 통찰력과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a rapid social change, the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apidly increases to the extent that the speed cannot be estimated. In this flow of modern times,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that can select, analyze and evaluate accurate knowledge is required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emerges as an important issue. Accordingly,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newly proposed the subject,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emphasizing critical learning based on critical thinking.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the subject,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o that systematic and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es can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music criticism learning and summed up the detail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Music and the subject,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and correlation of music appreciation and music criticism to present the educational value of music criticism and discussed the types and methods of criticism presented by Stolnitz, Feldman and Geahigan based on this directivity. Then, based on the details researched, this study designed a model for the learning of music criticism and present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music criticism for the 1st graders of high school. As a model for music criticism, this study designed and presented a model for the learning of criticism based on the method of criticism of Feldman and Geahigan and Stolnitz’s types of art criticism and selected Beethoven’s Symphony No. 3 “Eroica” and Grieg’s “Peer Gynt Suite No. 1” as theme music to investigate two teaching and learning plans consisting of a total of three class hour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develop musical sensitivity by appreciating a variety of music and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value of the works of music through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music criticism proposed in this study and improve their insight in music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a logical discussion activity and the writing of critical essays.

      • 小型空港의 部分 平行誘導路 運營效率性 分析

        박지윤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 자치 단체는 왕래가 어려운 도서 지역에 중소형 공항을 설립하여 지역 경제 성장의 발판으로 삼고자한다. 성공적인 공항 유치는 관광 산업 성장 등 지역 발전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으로도 의미가 있기 때문에 정부와 협약하여 국가적·지역적 발전을 가져오는 좋은 기회가 된다. 다만 한정적인 자원에 맞춰 해당 지역과 그 지역에 투자한 정부가 감당할 수 있는 규모의 공항을 건설해야 한다. 이때 건설비용을 감축하는 방안을 찾아 공항 시설을 축소해나가게 된다. 합리적인 수준에서 공항 시설을 줄이는 것이 자금을 감축할 수 있다. 공항 건설의 비용을 고민하는 도시 및 도서 지역이 본 연구를 통해 공항의 시설 일부(평행유도로)를 축소하여 소형공항의 건설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신뢰도 높은 미래 수요 예측이 이루어진다면 온전한 평행유도로 없이도 공항 운영에 차질이 없음을 확인하고 소형공항 건설을 추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