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개 고등학교 결핵 집단 발생 사례 보고

        최윤,박미선,결핵전문역학조사반수도권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학교, 의료기관 등 집단시설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면 국가결핵관리지침에 따라 결핵역학조사를 통해 추가 결핵환자 및 잠복결핵감염자를 조기 발견하여, 결핵의 전파를 차단하고 잠복결핵감염 예방치료를 통해 결핵 발병을 예방한다. 일개 고등학교의 결핵역학조사 사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10주 가량 기침증상이 있었으며, 도말 양성 폐결핵으로 신고되어 2017년 9월 19일부터 접촉자를 대상으로 흉부X선 검사와 IGRA를 실시하였다. 접촉자는 학년, 접촉강도, 신분(학생/교직원), 가족접촉자 여부에 따라 분류하였다. 지표환자 및 접촉자의 특성에 따른 잠복결핵감염률을 분석하였고, 결핵환자로부터 분리된 결핵균에 대한 유전형을 분석하여 역학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교내 접촉자 850명 중 추가결핵환자 29명,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74명(9.1%)이 확인되었고, 가족접촉자 85명 중 추가환자 1명,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25명(29.4%)이 확인되었다. 학생 중 밀접접촉자의 잠복결핵감염률은 20.9%, 일상접촉자의 감염률은 6.3%이었다. 지표환자와 '추가환자 1'과의 접촉 시간이 길수록 추가환자 발생이 많았다. 환자로부터 분리된 결핵균 15주에 대해 유전형 분석(Spoligotyping, 24-loci MIRU-VNTR)결과 모두 일치하였다. 일치한 균주에는 '추가환자 1'의 가족도 포함되어 있었다. 결론: 일개 고등학교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여 7개월 동안의 역학조사를 통해 30명의 추가결핵환자를 발견하였고, 잠복결핵감염자 74명(9.1%) 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내 결핵환자의 진단지연은 집단 결핵 발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조기 결핵진단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결핵의 표상과 생명정치

        허병식(Huh, Byungshik)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39

        결핵은 일제시대의 대표적인 질병이었다. 그래서 세워진 것이 해주구세요양원이었다. 이 요양원은 1928년 3월 기독교조선감리교회 선교사 하락의 창설로 개원되었다. 『요양촌』에는 결핵에 대한 의사들의 논문과 환자들의 투병기, 여배우 등과 같은 유명인의 격려편지, 그리고 문예 기사가 실려 있다. 이 잡지에 실린 글들은 과학주의에 기반한 결핵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잡지 『요양촌』이 매호 발간시에 가장 중점을 기울여 게재하고 있는 것이 「폐결핵과 공기」(제1호),「일광요법과 자외선 광선요법」(제2호),「폐결핵과 ‘비타민’」(제3호),「결핵과 유전」(제5호),「각혈과 그의 처치」(제7호) 등 결핵에 대한 예방, 요양, 치료에 대한 전문의사들의 논문들이라는 점은 이 잡지가 지니고 있는 위상을 짐작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요양촌』은 질병에 대한 계몽적 지식의 전달과 환자들의 정보 교환을 위한 담론 공간을 주요한 목표로 삼고 있었다. 이 잡지는 위생과 질병에 대한 당대의 담론을 선도하는 의료정보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요양촌』에는 실제 환자들과 의사들만 아니라 이태준, 임화, 박태원, 송영과 같은 기성 작가들이 시, 소설, 희곡, 수필을 싣고 있다. 이들 자신이 폐병이라는 병의 메타포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이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결핵에 대한 인식과 표상의 구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이 해주요양원에서 발간된 잡지에 문예를 연재함으로써 독자 대중에게 미치고자 한 영향을 살필 수 있다. 해주구세요양원은 국가가 설치한 기관은 아니었지만, 제국주의의 통치와 기독교의 선교가 연계하여 설치한 통치의 장치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요양촌』은 결핵이라는 병을 다스리는 식민지의 관리자들의 담론과 결핵요양원에서 관리되는 주체들이 자신들의 육체를 인식해가는 과정을 둘러싼 이야기들이 산출하는 장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Tuberculosis, was a typical disease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So the was built was the Haizhu Salvation recuperation Institute. Haeju sanatorium has been opened in the creation of a lowering of the missionaries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in March 1928. 『Yoyangchon(Care Village)』 is, doctor of paper and the patient"s illness Symbol for tuberculosis, encouragement of the letter of celebrities such as actress and rests is literary article,. Articl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is magazine, has emphasized the need for awareness of tuberculosis that is based on scientific principles. Magazine 『Yoyangchon(Care Village)』 has posted Tilt the most emphasis at the time of publication every issue, “pulmonary tuberculosis and air” (No. 1), “sunlight therapy and ultraviolet light therapy”(No. 2), “tuberculosis and vitamin”(No. 3), “tuberculosis genetic”(No. 5), “hemoptysis and his treatment”(No. 7), such as the prevention of tuberculosis, medical treatment, the treatment is that paper of professional doctor for , is sufficient to estimate the phase with this magazine. The discourse space for enlightening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patient information exchange of the disease was a major objective of 『Yoyangchon(Care Village)』. This magazine, for the sake of health and illness, had played a role as a medical information magazine to lead the discourse of contemporary. 『Yoyangchon(Care Village)』 is put not only the actual patient and physician procedure, but writers such as Imwha, Parktaewon, Yitaejun, established pick-up, novels, plays, essays. These it was a people who have closely related to the metaphor of the disease called lung disease. Through analysis of this work,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pecificity of the representation and recognition for tuberculosis. In addition, by series a literary magazine that has been published in these give us Haeju sanatorium, it is possible to look around the effects of trying to give the reader the masses. Haeju sanatorium, the country was not in the installation and institutions, the rule of imperialism and the Christian missionary has the meaning of the apparatus of governance, which was installed in cooperation. 『Yoyangchon(Care Village)』 has a meaning as a place to calculate the talk over the process in which management has been mainly in the discourse and tuberculosis recuperation Institute of colonial administrators who govern the disease called tuberculosis continue to recognize their body.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일 도시 간호 대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이인숙(Inso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일 도시 간호 대학생들의 결핵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여 간호 대학생을 위한 결핵예방관리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15년 4월부터 7월까지 총 175명의 간호 대학생에게 수집되었다.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의 결핵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결핵에 대한 지식 수준이 낮았고, 태도는 부정적이었다. 지식과 태도, 결핵에 대한 교육경험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핵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영향요인으로서, 대전시 간호 대학생에서는 태도와 성별이 결핵지식을 15.3%설명해 주었고, 연변시 간호 대학생에서는 태도와 학년이 결핵지식을 40.2% 설명해주었다. 또한 대전시 간호 대학생에서는 지식, 건강관심도와 결핵교육 경험이 결핵에 대한 태도를 23.5% 설명해 주었고, 연변시 간호 대학생 에서는 지식과 건강관심도가 결핵에 대한 태도를 23.9% 설명해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에게 결핵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고 긍정적 태도가 확립되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효율적인 결핵예방관리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 on tuberculosis for the nursing students in Daejeon, South Korea and Yanbien, China.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July of 2015 in each college and a total of 175 students assigned to 107 in Daejeon and 68 in Yanbi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21.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and attitude on tuberculosi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both groups, the mean score of knowledge and attitude was very low. In both groups, the correlation among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tuberculosis was positive. In Daejeon nursing students, the attitude and gender explained about 15.3% and in Yanbien students, the attitude, grade explained about 40.2% in knowledge on tuberculosis. In Daejeon nursing students, the knowledge, health interest and educational experience explained about 23.5% and in Yanbien students, the knowledge and health interest explained about 23.9% in attitude on tuberculosis.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 which can guide nursing students to have correct information and positive attitude should be designed to manage tuberculosis infection. Therefore, it would be utilized in tuberculosis management education effectively for them.

      • Drug resistance pattern in patients with extrapulmonary tuberculosis: a retrospective study of seven Korean tertiary care hospitals

        목정하,강보형,김효정,이현경,이승준,이태훈,전두수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

        배경: 한국에서 폐외결핵의 약제 내성 현황을 보고한 자료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폐외결핵 환자의 약제 감수성 검사 결과를 통해 폐외결핵의 약제 내성 현황을 분석하고 폐결핵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방법: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7개 병원에서 결핵균 배양 양성으로 항결핵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5,599명의 전체환자 중 폐결핵은 5,279명(94.3%)이었고, 폐외결핵은 320명(5.7%)이었다. 폐결핵과 비교시 폐외결핵 환자의 나이가 더 어렸고(53.4±21.1세 vs. 50.4±19.9세, p=0.014), 여성의 비율이 더 많았으며(41.1% vs. 51.6%, p<0.001), 재치료자의 비율이 더 적었다(12.5% vs. 4.4%, p<0.001). 폐외결핵의 위치는 흉막이 115명(35.9%)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골/관절(64명, 20.0%), 임파선(59명, 18.4%), 그리고 복부(28명, 8.8%) 순이었다. 폐외결핵 환자의 약제 감수성 검사 결과,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미드에 대한 내성은 각각 10.9%, 4.4%, 3.4%, 2.2% 였다. 폐결핵 환자와 비교시 폐외결핵 환자는 리팜핀 내성결핵(7.6% vs. 4.4%, p=0.034) 및 다제내성결핵(6.9% vs. 3.8%, p=0.028)의 비율이 의미있게 더 적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폐외결핵은 폐결핵에 비해 리팜핀 내성결핵과 다제내성결핵의 비율이 더 낮았다. 폐외결핵 환자의 약제 내성 자료를 구축하고 그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51 폐결핵과 폐외결핵에서 결핵항원자극 CXCR3 ligands 농도의 비교

        정우영,정윤정,이규성,박주헌,신승수,박광주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

        배경: 결핵에서 CXCR3 ligands는 Th1 세포면역에 관여하며, 임상적 표지자로의 유용성이 보고된 바 있다. 방법: 결핵 환자 및 건강대조군의 전혈에 결핵항원 ESAT-6, CFP10 and TB 7.7을 넣고 20-24시간 배양 후 혈장 내 interferon (IFN)-γ 및 CXCR3 ligands인 CXCL9과 CXCL11의 농도를 ELISA 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1. 결핵환자는 220명으로 단독폐결핵 (146명, 44.5±19.1세), 단독폐외결핵 (34명, 43.8±13.5세), 폐결핵/폐외결핵 동반 (40명, 41.1±15.9세)으로 분류하였고 건강대조군은 163명, 44.2±10.5세였다. 2. 폐외결핵은 결핵성 흉수 21예, 림프절염 48예, 기타 7예였다. 3. 항원자극 CXCR3 ligands의 농도는 단독폐외결핵에서 폐결핵보다 낮았다. 4. 림프절과 결핵성 흉수와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ROC 분석에서 총결핵군을 대조군과 구분하기 위한 CXCL9, CXCL11, IFN-γ의 AUC는 각각 0.94, 0.96, 0.92였다. 4. 각 세부결핵군과 대조군과 구분하기 위한 CXCL9, CXCL11, IFN-γ의 AUC는 단독폐결핵군에서 각각 0.95, 0.97, 0.92였고 단독폐외결핵군에서 각각 0.90, 0.91, 0.91이었으며, 폐결핵/폐외결핵 동반군에서 각각 0.94, 0.97, 0.91이었다. 결론: 폐결핵의 진단에서는 결핵항원자극 CXCR3 ligands는 IFN-γ보다 우월하였으나 단독폐외결핵에서는 진단력이 더 낮았고 IFN-γ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잠복결핵에 감염된 의료인의 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희수(Hee soo Kim),이혜진(Lee Hye Ji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우리나라는 결핵환자의 계속적인 증가로 인해 결핵접촉자에게 잠복결핵 검사를 시행하고 치료를 권고하도록 결핵관리지침이 개정되었다. 이에 따라 그동안은 시행하지 않았던 잠복결핵의 검사와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잠복결핵에 감염된 종합병원의 의료진이 겪는 치료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현재 잠복결핵을 진단받고 치료중인 8명의 의료진을 편의표집하였다.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4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핵심범주는 ‘잠복결핵의 감염에 대한 심리적 충격’, ‘잠복결핵 치료에 대한 거부감’, ‘잠복결핵의 치료를 수용함’, ‘재감염에 대한 불안감’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잠복결핵에 감염된 의료진을 심리사회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잠복결핵 관리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의료진, 의료기관과 국가 차원에서 잠복결핵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결핵에 대한 전략 수립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As Korea continued to increase tuberculosis patients, Guidelines for Tuberculosis management was revised so as to conduct latent tuberculosis tests on TB contacts and recommend treatment. As a result, latent tuberculosis that has not been conducted has been examined and treated so fa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orld of treatment experience of medical staff at general hospitals identified as positive in latent tuberculosis diagnosis. The subjects were eight doctors under treatment for latent tuberculosis, convenience sampling, and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method of Colaizzi was derived or 4 categories and 11 themes. The 4 major categories were psychological impact for infectious diseases of latent tuberculosis , refusal to treat , do not accept treatment for latent tuberculosis , Anxiety . The above results provide data useful for psychosocial understanding of medical staff infected with latent tuberculosis so that it can grasp the disability factors of latent tuberculosis management and identify medical staff,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state We hope to present a suggestion of hidden tuberculosis management at the level and prepare strategies for tuberculosis.

      • KCI등재

        결핵예방법의 격리명령의 실행과 한계에 관하여

        김장한 대한의료법학회 2015 의료법학 Vol.16 No.2

        일반적으로 결핵은 기침, 대화, 노래 부르기와 같은 일상적인 생활에서 전파되는데, 전염성 결핵 환자는 1년 동안 10명 이상의 사람을 감염시킨다고 한다. 우리 사회로부터 결핵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전염원이 되고 있는 결핵 환자에 대한 치료와 관리가 필수적이며, 의료진의 치료 지시에 불응하는 환자는 본인의 건강과 공중 보건 측면에서 큰 문제가 된다. 일차적으로는 결핵균을 외부로 배출하는 결핵 감염 환자가 문제이지만, 이차적으로는 치료에 의하여 감염성이 일시적으로 없어진 경우라도, 지속적인 치료를 받지 않으면, 예컨대 결핵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 결핵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은 결핵 환자라면, 치료 불응이 개인과 공중보건에 잠재적 위험이 될 수 있다. 결핵 환자가 의료진의 치료 지시 또는 권유에 불응한다면, 의료적 조치는 공적인 강제력과 결합하게 된다. 결핵은 환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공중보건에 위해를 일으키는 감염병이기 때문에, 환자의 치료 거부권은 공공복리를 위한 기본권 제한 사유(헌법 제37조 제2항)가 되는 것이다. 다만 환자에 대하여 강제력을 부가하는 경우에도, 시행하고자 하는 강제의 방법에 따라 기본권의 제한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제 구금과 같은 신체의 자유에 대한 강한 제한을 시행하기 이전에, 약한 정도의 제한이 가해지는 직접복약확인치료(Directly Observed Therapy, DOT)와 같이 환자가 자신이 약을 복용하는 것을 약속하고, 직접 의료진이 확인함으로써, 치료 순응도를 확인하고 환자의 자유를 좀 더 보장하는 것이 강제 구금과 같은 강한 기본권 제한 방법보다 좋을 것이라는 점은 일응 타당하다. DOT 치료에 대하여 순응하지 않거나, 기존에 환자가 보여 주었던 태도에 비추어 치료에 불순응할 것으로 강하게 예측되는 경우라면, 의료진은 환자를 강제 구금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취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결핵 예방법은 강제 구금과 관련하여, 두 단계의 명령 제도를 가지고 있는데, 첫째는 입원명령제도(결핵예방법 제15조)이고, 둘째는 격리명령제도(결핵명령법 제15조의2)이다. 본 논문에서는 강제 구금 명령에서 가장 기본권 제한의 정도가 심한 격리 명령을 분석하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입원명령과 격리 명령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치료 불순응 결핵 환자에 대한 강제 조치로서 격리 명령 제도의 실행 방안과 실행에 있어서 법적 한계를 다루고자 하는 것이다. The tuberculosis is the infectious disease. Generally, the active tuberculosis patient can infect the 10 persons for one year within the daily activities like casual conversation and singing together. The infectivity of tuberculosis can continue for a life time, and infected persons can remain at risk for developing active tuberculosis. To control this contagious disease, along with the active tuberculosis patients, non-infectious but non-compliant patients who can be infectious if their immune systems become impaired have to be managed. To control the non-complaint patients, medical treatment order should be combined with the public order. Because tuberculosis is the risk of community health, the human rights like liberty and freedom of movement can be restricted for public welfare under the article 37(2) of constitution. Even when such restriction is imposed, no essential aspect of the freedom or right shall be violated. The degree of restriction on the rights of citizens is different what methods are chosen to non-complaint patients. For example, under the directly observed therapy program, the patients and medical staffs make an appointment and meet to confirm the drug intakes according to the schedule, which is the med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he mildest public order. If the patients break the appointments or have the history of disobedient, the involuntary detention can obtain the legitimate cause. The Tuberculosis Prevention Act has the two step programs on this involuntary detention, The admission order (Article 15) is issued when the patients are infectious. The quarantine order (Artle 15-2) is issued when the patients are infectious and non-complaint. The legal criteria for involuntary detention are discussed and published through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covenants. For exampl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d made guidance on human rights and involuntary detention for tuberculosis control. The restrictions should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our law and in the legitimate objective of public interest. And the restriction should b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nd not imposed in an unreasonable or discriminatory manner. We define and adopt these international criteria under our constitution and legal system. Least restrictive alternative principle, proportionality principle and the individual evaluation methods are explained through the reviews of United States court decisions. Habeas Corpus Act is reviewed and adopted as the procedural due process to protect the patient rights as a citizen. Along with that, what conditions and facilities which are needed to performed quarantine order are discussed.

      • Pyrosequencing 분석법을 이용한 rifampin and isoniazid 항 결핵약제내성의 빠른 검사법

        오서영,김효빈,신민식,김진욱,박성휘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7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7 No.-

        결핵 치료의 기본은 항 결핵제를 사용하는 화학요법이다. Rifampin(RIF)과 isoniazid(INH)은 결핵치료를 위한 중요한 약제 중에 하나이며 이 약제의 내성은 결핵균이 가지고 있는 rpoB gene과 katG gene에 돌연변이(mutation)가 나타난다. rifampin(RIF) 약제내성 은 rpoB gene의 amino acid 507-533 region에서 90% 이상의 돌연변이가 일어나며 isoniazid(INH) 약제 내성은 katG gene의 amino acid 315에서 대부분 Ser315Thr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결핵관리 지침서에는 약제 내성 환자들이 늘어 항 결핵약제 치료시 초기에 약제 내성 검사를 실시하여 효과적인 결핵 약제를 사용하여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Pyrosequencing 법은 20bp-70bp정도의 짧은 서열을 빠른 방법으로 정확하게 서열을 분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이용하여 Rifampin(RIF)과 isoniazid(INH) 약제 결핵 내성에 관련되는 돌연변이를 빨리 검출 할 수 있는 검사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건국대학교병원 호흡기 알레르기 내과에서 의뢰한 검체로 TB PCR 양성을 보인 35명의 환자DNA를 이용하여 결핵약제 내성에 맞는 primer를 제작하고 PCR로 증폭 시킨 후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5명의 항 결핵약제내성 검사에서 rifampin약제에 감수성을 나타낸 환자가 80%로 가장 많고 그 중 ripampin약제 내성으로 나온 환자는 35명 중 7명으로 20% 의 약제내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isoniazid약제내성 검사에서는 isoniazid약제 감수성을 나타낸 환자가 85.7%로 가장 많고 isoniazid약제 내성으로 나온 환자는 35명 중 5명으로 14.3% 의 약제내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pyrosequencing을 이용한 분석이 다른 결핵약제 내성 검사보다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pyrosequencing 분석방법을 항 결핵약제내성 검사에 활용이 된다면 결핵환자에게 투여 할 약제의 선택이 용이해지고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항생제 치료를 함으로써 결핵환자에게는 항생제에 대한 고통을 덜어주며 항생제 과잉처방을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KCI등재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결핵 연구의 현재와 향후 방향

        최홍조,김명희,정혜주 한국보건사회학회 2014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5

        Background: Korea is a country with intermediate tuberculosis (TB) burden andthe highest incidence, mortality and multidrug-resistant TB incidence in OECDcountrie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xplore social determinants of TB inKorea. The study primarily intends to review the present status of TB researchfocusing on social determinants. Secondly, the study aims to compareinternational TB research with domestic situation in terms of social determinantsof TB. Final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recommend a few suggestions todevelop evidence-based TB policy in Korea. Method: The study constructs a modified typology of TB contributory factors. Based on the typolog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with keywordsusing ‘tuberculosis’ in title and ‘social determinants’ in keyword among internationalstudies and ‘tuberculosis’ and ‘Korea’ or ‘Korean’ in title through ‘Web of Science’. Result: In international studies, two articles are focused on individual behavioralfactors, nine are cultural factors, and 22 are political, economic and institutionalfactors. In domestic studies, 42 studies are performed in the area of bio-medical perspective. Three studies include individual behavioral factors, 1 study is relatedto politic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Five domestic studies cannot becategorized to the typology. Conclusion: Korean TB studies are highly concentrated to bio-medical area. Toexplore social determinants of TB in Korea, following issues should beconsidered. Firstly, multidrug-resistant TB is a still crucial issue to be examined. Secondly, the effect of health intervention including TB policy and its relationwith the change of TB statistic should be studied and researches to standardizesurveillance system would be required. Thirdly, TB derived stigma should beexamined. Finally, low adherence to TB treatment and its social causes would be studied. 한국은 OECD국가 중 결핵 발생률, 사망률, 다제내성결핵발생률이 1위인 만큼 결핵으로 인한 질병부담이 상당한 국가이다. 하지만,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탐구하기 위한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첫째, 2000년 이후 국제적으로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들의 현황을파악하고 그 성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1990년대 이후 한국의 결핵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결정요인과 관련한 국제적 연구 흐름에 비추어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근거기반 결핵 정책 개발을 위해 한국의 결핵연구가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결핵의 기여인자에 대한 기존 문헌의 유형표를 수정하여 사용한다. 수정된 유형표에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하며, 검색어로 제목에 ‘tuberculosis’, 주제어에 ‘social determinant’가포함된 국외문헌들과, ‘tuberculosis’와 ‘Korea’ 혹은 ‘Korean’이 제목에 포함된 국내문헌들을 확인하였다. 국외연구 검토 결과, 2개의 문헌은 개인행동요인, 9개의 문헌은 문화적 요인, 22개의 문헌은 정치/경제/제도적 요인과 결핵의 관련성을 기술하고 있다. 국내연구 검토 결과, 42개의 문헌이 생의학적요인에 관한 연구였으며, 개인행동요인을 포함한 3개의 연구와 정치/경제/제도적 요인을 탐구한 1개의문헌, 마지막으로 유형표에 따라 분류할 수 없는 문헌이 5개 확인되었다. 한국 결핵 연구의 경향은 생의학적 요인의 탐구에 절대적으로 편중되어 있다. 한국에서 결핵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탐구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생의학적 원인으로서의 다제내성결핵 발생률의 증가는 여전히 향후 연구의 주요한 주제가 되어야 한다. 둘째, 결핵관련 정책을 포함하는 보건의료중재와 이의 결과로서 결핵관련 지표의 변화에 대한 탐구는 물론, 한국결핵조사체계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도 보다 적극적으로 제기되어야 하며, 세계 혹은 국내 경제 여건의 변화가 한국의 결핵지표에 어떠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역할을 하는지와 함께 이를 조절 및 매개하는 요인에 대한 확인 작업도 지속되어야 한다. 셋째, 결핵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존재 확인을 넘어서낙인을 야기하는 혹은 낙인을 통해 나타나는 결핵관련 결과에 대해서도 주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치료중단이라는 낮은 치료순응도를 야기하는 사회적 요인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질서유지 권력과 공중보건 권력: 20세기 초 미국사회의 결핵

        김서형 한국미국사학회 2018 미국사연구 Vol.47 No.-

        Tuberculosis, one of the oldest infectious diseases in human history has influenced since the industrialization. Many doctors thought overworks, unsanitary environments and imbalanced diet as the cause of tuberculosis and tried to treat patients with fresh air and well balanced food. American society was no exception. After the discovery of tuberculosis bacillu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re was no special treatment of tuberculosis. However, as fatalness of tuberculosis grew all the more serious, it was the most deadly factor to threat public health and sanitation in American society. People suggested they need to treat not only in the private sphere, but in the public sphere and tuberculosis had to be treated as serious problems in American society. The first trial in the public sphere to control tuberculosis began in Virginia. There were almost 10,000 tuberculosis patients per year in Virginia and more than 5,000 people died. To resolve this serious problem, government of Virginia established tuberculosis sanatorium, supported by state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in American history. It was Catowa Sanatorium at Roanoke in 1909. Lots of patients gathered at Catowa, so state government decided to build Blue Ridge Sanatorium, another tuberculosis sanatorium and Piedmont Sanatorium for African Americans. These sanatoriums were symbols of state government, which exercised police power to preserve and develop public health through epidemiology and control of the infectious diseases. State government was not the only institution, which had interest in tuberculosis in American society. Federal government also tried to exercise Bio power by controling tuberculosis. Federal government that had tried to improve public health and sanitation through public health act established tuberculosis sanatorium for Native Americans and enforced several policies including treatment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ese policies were to accept desirable people as American citizen. In this process, police power of states government and bio power of federal government were overlapped and caused conflicts about main agent of control power. In spite of this, different public health power aimed to control tuberculosis effectively. In this sense, tuberculosis sanatorium was the place of conflict, collision and intricateness of dual public health powers in the 20th century American society.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질병 가운데 하나였던 결핵은 산업화 이후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많은 의사들은 과도한 노동과 도시의 비위생적 환경, 그리고 불균형적인 식사 때문에 결핵이 발생했다고 생각했고, 신선한 공기와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결핵을 치료하고자 했다. 미국사회도 예외는 아니었다. 19세기 말 결핵균이 발견된 이후에도 특별한 결핵 치료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세기 이후 결핵의 치명성이 더욱 심각해지면서 이는 다른 어떤 전염병보다도 미국사회의 공중보건과 위생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요인이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사적 영역을 넘어 공적 영역에서 결핵을 치료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었고, 이제 결핵은 미국사회 전체가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부상했다. 공적 영역에서 결핵을 적극적으로 통제하고자 하는 시도는 버지니아 주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 당시 버지니아 주에서는 매년 1만 명 이상의 결핵 환자가 발생했고, 5천 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버지니아 주정부는 미국역사상 최초로 주정부가 후원하는 결핵 요양소를 설립했다. 1909년 로어노크에 설립된 카토바 요양소가 바로 그것이다. 결핵 요양소에 수많은 환자들이 몰려들면서 버지니아 주정부는 블루리지 요양소를 설립했고, 가난한 흑인들을 위해 피드몬트 요양소를 설립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결핵 요양소는 질서유지 권력을 행사함으로써 역학과 질병 관리를 통해 공중보건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고자 했던 버지니아 주정부의 정책의 상징이었다. 미국사회에 만연했던 결핵에 관심을 가졌던 것은 비단 주정부뿐만이 아니었다. 연방정부 역시 결핵 통제를 통해 생명 권력을 행사하고자 했다. 공중보건법을 통해 미국사회의 위생과 공중보건을 향상시키고자 했던 연방정부는 아메리카 원주민 결핵 환자들을 위한 요양소를 설립하고, 여러 가지 정책들을 시행했다. 이와 같은 연방정부의 정책들은 무엇보다도 바람직한 사람들을 미국시민으로 수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과정 속에서 주정부의 질서유지 권력과 연방정부의 생명 권력은 중첩되면서 공중보건과 관련된 통제 권력의 주체를 둘러싼 갈등을 야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층위의 보건권력의 궁극적인 목적은 결핵이라는 치명적인 유행성 전염병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20세기 초 미국사회의 결핵 요양소는 이중적인 보건 권력의 갈등과 마찰, 그리고 얽힘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