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유리더십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진욱,장영철,정병헌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6 창조와 혁신 Vol.9 No.1

        본 논문은 독립변수인 공유리더십이 종속변수인 조직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를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공유리더십의 하위 요인인 지시적 공유리더십, 거래적 공유리더십, 변혁적 공유리더십, 위임형 공유리더십, 모두 조직 신뢰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유리더십이 조직 내의 갈등 해소 및 화합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한 연구(Pearce & Sims, 2002)과 같은 맥락에서 그 이유를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지시적 공유리더십을 제외하고는 종속변수에 조절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리더십은 다양하고 많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성 때문에 공유리더십 자체만으로도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연구도 있다(김진욱, 2013). 다시 말해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없이도 충분히 공유리더십은 조직 신뢰에 정(+)의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impacts of Shared Leadership on dependent variable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communica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inter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shows that sub-factors of Shared Leadership - directive shared leadership, transactional shared leadership, transformational shared leadership and delegated shared leadership – positively impact organizational trust. The reason for this can be found in the same context with the study of Shared Leadership resolving organizational conflicts and effectively contributing to the cohesion(Pearce & Sims, 2002). However, self-efficacy holds no moderating effects in dependent variables except directive shared leadership. As Shared Leadership allows various organizational members to exercise leadership, Shared Leadership, in and of itself, can be said to have a strong positive impact on employee engagement. That is, even without a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Shared Leadership can be analyzed as having a sufficiently positive impact on trust and communication of an organization.

      • 생물학적 수소생산의 연구동향

        김진욱,황재웅,김진욱,이재화 신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5 自然科學論文集 Vol.14 No.-

        미국, 일본, 유럽 등은 수소에너지를 이용한자동차를 개발하였고 상용화시킬 계획까지 세우고 있다. 그리고 이미 수소충전소를 설치하였고 설치 계획 중인 나라들고 증가하는 추세이다 수소는 태양광, 석탄, LPG 등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2차 에너지이다. 그 중 폐수의 슬러지를 이용하여 혐기성 발효시켜 수소를 발생시키는 방법이 1차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보다 생산비가 절감된다. 혐기성 발효공정에는'가수분해 단계', '아세트산 생성단계', '메탄생성 단계' 로 나뉜다. 수소 생산 균의 pH, 온도, 체류시간에 따라 활성이 틀리고, 그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 되었다.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Europe back the commercial business anger to develop the automobile which uses a hydro energy until the plan which it will make it is building. And the country which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planning already hydrogen charging smallness to establish it holds and it is a tendency which increases. The hydrogen uses the solar storehouse, the coal and the LPG back and it is a 2nd energy which it produces. It uses the sludge of the waste water in that and anaerobe it takes effect and the method which occurs the hydrogen is reduced 1st using an energy compared to the cost of production. To anaerobic taking effect process singer disjointing phase, acetic acid creation phase, it causes to defecate with the methane creation phased. The pH and temperature of the hydrogen production germ, it followed at stay hour and the activity was incorrect, it raised the efficiency and the methods which are various for were researched.

      • IRR은 공학적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제대로 측정하는가?

        김진욱,임노현 대한산업공학회 2020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11

        NPV와 IRR은 금융투자사업뿐만 아니라 공학적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해 왔다. NPV는 채택-기각 결정의 기준으로서는 제 역할을 하지만 공학적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완전하게 표현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IRR은 Multiple IRRs의 존재라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어 투자사업의 채택-기각 결정의 기준으로도 사용할 수 없다. 어떤 투자사업의 IRR이 유일한 실수값을 가짐으로써 NPV와 동일한 선택-기각 결정을 할 수는 있지만, 투자에 대한 수익성을 표시하는 척도는 아니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소득불평등 변화 요인 분석 -가구주 특성을 중심으로

        김진욱 한국사회경제학회 2002 사회경제평론 Vol.19 No.-

        본 연구는 1996년~2001년 도시가계연보를 이용하여 한국의 소득불평등을 추계하였고, 가구주 특성(가구주의 연령, 학력, 성)별로 구분하여 소득불평등의 악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도시가계연보 자료는 가구소득을 공표하므로, 가구소득을 균등화지수로 수정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가구의 소득과 소비수준을 바탕으로 비근로자가구의 소득을 추정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의 소득불평등은 1998년에 크게 악화되었으며, 2001년까지 회복하지 못한 상태이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았을 때는 50대 가구주의 소득분배와 중학교 학력의 가구주 가구의 소득불평등이 가장 크게 악화되었으며, 여성의 소득불평등도가 1998년에 악화되어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소득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서 정부는 50대 가구주 가구를 위한 정년연장을 재고하고, 저학력 가구주나 여성 가구주를 위한 직업재훈련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changes in income inequality in Korea based on household head characteristics; age, schooling years, and gender. Using the data of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of the Korean Statistical Office from 1996 to 2001, the Gini coefficients a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Households for which the age of the head is 50-59 years were most seriously affected by the economic crisis and income inequality within this group has been the worst. - Income inequality has been the worst for the households whose heads are middle-school graduated. - Not only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female-headed household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headed households, but the female-headed households were more directly affected by the economic crisi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tirement age of the household head should be extended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low-income group who are less educated and lack the necessary skills should be increased through job training and career-placement services.

      • 日本企業의 經營特性에 관한 小考

        김진욱,김종관 釜山 大學校 經營 經濟 硏究所 2000 經營 經濟 硏究 Vol.19 No.1

        이 연구는 일본식 경영특성의 원류를 이루는 年功序列形 終身雇用制를 중심으로 이의 생성 및 유지과정을 검토하고 최근 기업지배구조의 개혁을 포함하는 변화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일본기업의 경영특성에 관한 기존논의를 검증해 보고자 한 것이다. 검증의 결론은 비록 일본의 종신고용제가 일본 특유의 문화적 요인에 의하는 부분도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경제적 배경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이다. 종신고용제의 생성 및 유지배경도 그렇거니와 최근의 채용제도 임금제도의 변화와 더불어 자본의 논리가 보다 강화된 기업지배구조로의 변화 움직임은 일본의 종신고용제는 물론 일본의 경영특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밖에 없음을 추론케 하고 있다.

      • KCI등재

        Myrinet을 위한 흐름 제어 기능을 갖는 UDP

        김진욱,진현욱,유혁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0 No.3

        Network-based computing such as cluster computing requires a reliable high-speed transport protocol. TCP is a representative reliable transport protocol on the Internet, which implements many mechanisms, such as 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and retransmission, for reliable packet delivery. This paper, however, finds out that Myrinet does not incur any packet losses caused by network congestion. In addition, we ascertain that Myrinet supports reliable and ordered packet delivery. Consequently, most of reliable routines implemented in TCP produce unnecessarily additional overheads on Myrinet. In this paper, we show that we can attain the reliability only by flow control on Myrinet and propose a new reliable protocol based on UDP named RUM (Reliable UDP on Myrinet) that performs a flow control. As a result, RUM achieves a higher throughput by 45% than TCP and shows a similar one-way latency to UDP. 클러스터와 같은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는 신속하고 신뢰성이 보장되는 데이타 전송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송 프로토콜은 TCP이다. TCP는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혼잡 제어, 흐름 제어, 재전송 등을 수행한다. 본 논문은 클러스터의 하부 네트워크로서 많이 사용되는 Myrinet을 분석한 결과,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한 패킷 손실이 Myrinet에서는 발생하지 않음을 새롭게 보인다. 또한 Myrinet에서는 패킷의 순서 뒤바뀜과 손실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따라서 TCP의 혼잡 제어, 패킷 순서화, 재전송 등과 같은 신뢰성을 위한 기법들은 불필요한 오버헤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은 Myrinet에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이 흐름 제어임을 보이고, TCP보다 오버헤드가 적은 UDP에 흐름 제어만을 구현한 RUM(Reliable UDP on Myrinet)을 제안한다. 성능 측정 결과, RUM은 신뢰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TCP보다 최대 45% 높은 처리량을 보이며 UDP와 비슷한 낮은 단방향 지연시간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