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민찬홍 예명대학원대학교 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가족돌봄청년의 고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사회복지영역에서 이들을 지지하고 지원하기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온라인 포털에서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어떤 이슈로 나타나고 있는가?’, ‘둘째, 온라인 포털에서 가족돌봄청년이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은 어떤 이슈로 나타나고 있는가?’, ‘셋째, 온라인 포털에서 가족돌봄청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어려움은 어떤 이슈로 나타나고 있는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 대형 포털사이트인 네이버, 다음,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문서, 블로그, 뉴스, 카페, 지식인, 학술정보 전체, 페이스북, 유튜브를 수집 채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자료 수집을 위한 키워드로 ‘가족돌봄청년’, ‘강도영 사건’, ‘청년간병살인’, ‘영케어러’를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의 기간 안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것을 통해 수집된 문서는 총 93,192건이다. 분석결과 주제어 빈도분석에서는 ‘영케어러(601)’, ‘청년(229)’, ‘가족돌봄청년(220)’, ‘지원(198)’, ‘가족(170)’, ‘돌봄(73)’, ‘케어링(70)’, ‘지원사업(70)’, ‘간병살인(70)’, ‘간병(68)’ 등의 순으로, 가족돌봄청년과 관련된 단어들의 빈도가 분포되고 있다. 또한, 상위 11위부터는 가족돌봄청년의 어려움과 관련된 주제어인 ‘문제(65)’, ‘장애(51)’, ‘질병(48)’ 등의 단어 순으로 포진되고 있다. 이러한 빈도분석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영케어러’와 ‘가족돌봄청년’이 인터넷 게시글에 가장 많이 노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음으로 ‘지원’과 ‘돌봄’ 그리고 ‘간병살인’과 ‘간병’ 등이 인터넷 게시글에서 가장 많이 상위에서 노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감성어휘 분석에서는 긍정키워드로써 호감, 흥미, 기쁨이라는 차원으로 분류되었고 호감 차원은 ‘안정적이다’, ‘좋다’, ‘우수하다’라는 감성 표현들이 제시되고 있고 흥미 차원에서는 ‘특별하다’, ‘기대하다’, ‘희귀하다’ 기쁨 차원은 ‘감사하다’라는 감성적 표현들이 상위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호감 차원의 ‘안정적이다’라는 가족돌봄청년들이 안정적 삶을 필요로 하지만 그렇지 못한 현실적 상황을 드러내는 인터넷 게시글 내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좋다’는 감성적 표현을 가족돌봄청년의 정보를 전달하는 전달자에게 대중들이 감사하다는 것과 가족돌봄을 홀로 감당하는 어려운 현실을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응원과 지지의 메시지로써 호감을 표현한 게시글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우수하다’라는 감성적 표현은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직접적 지지나 지원과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홍보 서포터즈 모집에 대한 우수 시상 내지는 우수 지원사업 등을 담은 내용이 상위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반해 부정적 키워드는 거부감, 통증, 슬픔, 두려움, 분노 차원으로 분류되었고, 거부감 차원은 ‘부담스럽다’, ‘어렵다’, ‘난해하다’의 감성 표현들이 제시되었다. 통증 차원은 ‘아프다’라는 감성 표현이 제시되었으며, 슬픔 차원에서는 ‘힘들다’, ‘포기하다’, ‘울다’라는 감성적 표현들이 상위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두려움 차원은 ‘소심하다’, ‘막막하다’, ‘걱정하다’, 놀람 차원은 ‘갑작스럽다’가 감성 표현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분노 차원은 ‘거지같다’, ‘파괴’, ‘분노하다’의 감성적 표현들이 상위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부정적 키워드는 가족돌봄청년들이 겪는 심리적 스트레스와 물리적, 정서적 고통을 반영하는 감성적 표현들로 나타나고 있다. 먼저 거부감 차원의 ‘부담스럽다’는 가족돌봄청년들이 혼자 부양 부담을 떠안음으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거나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어렵다’는 감성적 표현은 어린 나이에 가족 구성원을 돌보는 과정에서 겪는 현실적 어려움과 돌봄 부담 속에서 미래를 계획하는데 직면한 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 ‘난해하다’의 이들이 겪는 직접적인 감성적 표현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가족돌봄청년을 지칭하는 또 다른 용어인 ‘영케어러’라는 영어 단어에 대한 난해함으로 나타나고 있다. 통증 차원의 ‘아프다’는 가족구성원들이 경험하는 육체적, 정신적 고통과 가족돌봄청년들이 겪는 고통을 나타내는 내용의 게시글이 상위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슬픔 차원의 ‘힘들다’는 가족 부양의 부담으로 인한 학업 중단, 취업 난항 및 경제적 곤란과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과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느끼는 고통과 소외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슬픔 차원의 ‘포기하다’는 가족을 돌보는 과정에서 이들이 포기해야 했던 개인적인 삶의 기회를 나타내고 있으며, 한편으로 돌봄 부양으로 인해 포기하지 않도록 정부 지원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 ‘포기하다’의 감성적 표현에서 상위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슬픔 차원의 '울다'는 강도영 사건과 같은 극단적인 사례들을 통해 가족돌봄청년들이 겪는 심리적 및 감정적 고통의 극단적인 순간들을 반영하는 게시글 내용이 상위 비중을 차지하였다. 두려움 차원에서 ‘소심하다’는 특정 사건에 국한된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 이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막막하다’는 병원비와 생활비 부담, 열악한 생활환경, 건강 문제 등 가족돌봄청년들이 직면한 실제 문제들을 반영하는 내용으로 상위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걱정하다’는 취업 준비나 사회생활 중 가족을 지킬 수 있는 보호자의 부재와 기초적인 생활 조건의 열악함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 및 사회적 고립감을 나태내고 있다. 놀람 차원의 ‘갑작스럽다’는 가족돌봄청년이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직면해 겪는 두려움과 혼란으로 나타내고 있다. 분노 차원의 ‘거지같다’는 사전적 의미로 ‘보잘것없고 시시하여 마음에 달갑지 않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원문 게시글에서 나타나는 ‘거지같다’는 같은 감성 표현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의 감성적 차원의 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이와 더불어 분노 차원의 ‘파괴’는 가족돌봄청년들이 경험하는 직접적인 감성적 표현이라기보다는 간접적으로 가족 돌봄의 문제를 단순한 개인적 문제가 아닌 사회적 차원에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내용의 게시글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분노 차원의 ‘분노하다’는 가족 구성원들을 돌보는 과정에서 겪는 복잡한 간병과 복지 행정 업무, 그리고 막대한 병원비와 간병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반영 게시글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에서는 토픽 1의 주제와 관련해서는 가족돌봄청년의 생계와 돌봄 부담에 대한 대책 및 민간 기관 캠페인의 중요성으로 의미화되고 있다. 토픽 2의 주제에서는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 서포터즈의 모집, 그리고 이것을 통한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청년의 발굴과 지원의 중요성, 복지 정책의 신청주의 한계점으로 의미화되었다. 토픽 3의 주제에서는 가족돌봄청년으로 선정한 사례를 통해 우리 사회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 가족돌봄청년 현황 파악과 실태조사의 필요성이 의미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통해 아래와 같은 논의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 쟁점화되고 있는 가족돌봄청년을 국가적 사회복지 안전망 안에 어떻게 포함시킬 것인가에 대한 정부 차원의 시급하고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가족돌봄청년의 가족돌봄 부담에 다른 심리적, 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족돌봄청년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인식의 개선, 효과적인 지원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연구 결과 및 논의점을 토대로, 가족돌봄청년을 지원하기 위한 세 가지 제언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족돌봄청년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가족돌봄청년을 효과적으로 발굴하고 통합적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가족돌봄청년들이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쉽게 접근하고 신청할 수 있는 전담 기관의 마련과 온라인 기반의 앱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적극적인 캠페인 실시가 필요하다. 넷째, 가족돌봄으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휴식 및 상담 지원 서비스 실시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로서 온라인 게시글에서 나타나는 우리 사회의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가족돌봄청년의 문제점과 지원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은 점들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데이터 출처의 한계와 데이터의 범위 및 깊이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주로 온라인 포털과 소셜 미디어에서 수집된 것으로, 이는 특정 인구 집단의 의견을 대표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시간적, 지역적 한계로 본 연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특정 시간대의 데이터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특정 포털 등의 게시글 데이터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다. 셋째, 연구 설계와 분석 방법의 한계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 설계는 연구 방법으로서 텍스트마이닝의 여러 가지 분석 방법 중 특정 분석 방법이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온라인 포털과 소셜 미디어 외에도, 인터뷰, 설문 조사, 사례연구 등 보다 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함으로써 가족돌봄청년들의 경험과 필요를 더 광범위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가족돌봄청년들의 개인적 경험과 감정을 깊이 있게 탐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llenges faced by young carers and explore solutions, provid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upporting and assisting them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o achieve this, the study has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sues reflect the social perceptions of young carers on online portals? Second, what issues reflect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young carers on online portals? and Third, what issues reflect the social difficulties of young carers on online portals?’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selected various sources as its collection channels. These included web documents, blogs, news articles, online community forums, Jisik-in (a Q&A platform) on Naver, academic information, Facebook, and YouTube, provided by large portal sites in the nation such as Naver, Daum, and Google. The search terms used to gather materials were ‘young carer’ in Korean, ‘Kang Do-yeong scandal’, ‘nursing homicide by young people’, and ‘young carer’ in English.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1, 2020 and June 30, 2023, resulting in a total of 93,192 documents.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indicate that ‘young carer(601)’ in English had the highest frequency and was followed by ‘young people(229)’, ‘young carer(220)’ in Korean, ‘support(198)’, ‘family(170)’, ‘care(73)’, ‘caring(70)’, ‘support project(70)’, ‘nursing homicide(70)’, and ‘nursing(68)’ in that order. The frequency distribution covers words related to young carers. The ranking from 11 to 20 include keywords related to the challenges faced by young carers such as ‘problem(65)’, ‘disability(51)’, and ‘disease(48)’ in that order. These frequency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young carer’ in English and Korean was most exposed in postings on the Internet and followed by ‘support’, ‘care’, ‘nursing homicide’ and ‘nursing’. Second, the study conducted an analysis with emotional words. Positive keywords were categorized into liking, interest, and joy. The liking dimension featured such emotional expressions as ‘stable’, ‘good’, and ‘excellent’. The top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interest dimension were ‘special’, ‘expect’, and ‘rare’. The top emotional expression of the joy dimension was ‘thankful’. Under ‘stable’ in the liking dimension, a high percentage of online postings revealed the reality that young carers needed a stable life but could not live one. Under the emotional expression of ‘good’, a high percentage of online postings conveyed the people's gratitude to the individuals who delivered the information about young carers and expressed their liking to young carers with their cheering and supporting messages for the young carers in a difficult reality of caring for the family by themselves. Under the emotional expression of ‘excellent’, a high percentage of the postings covered awards for excellent recruits of promotional supporters and excellent support projects rather than direct support and assistance for young carers. Negative keywords were categorized into rejection, pain, sadness, fear, and anger. The rejection dimension included such emotional expressions as ‘burdensome’, ‘difficult’, and ‘difficult to understand’. The pain dimension included ‘sick’. The top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sadness dimension were ‘hard’, ‘give up’, and ‘cry’. The fear dimension included ‘timid’, ‘at a loss’, and ‘worry’. The surprise dimension featured the emotional expression of ‘sudden’. And the top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anger dimension were ‘shitty’, ‘destruction’, and ‘angry’. These negative keywords consist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that reflect the psychological stress and physical and mental pain of young carers. ‘Burdensome’ in the rejection dimension reflects how young carers had to suspend their study and had a difficult time finding a job as they were solely burdened with supporting the family. The emotional expression of ‘difficult’ depicts the difficulties that they faced when planning a future amid the realistic difficulties and caring burdens in the process of caring for a family member at a young age. ‘Difficult to understand’ concerns th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English expression, ‘young carers’ rather than the direct emotional expressions that they experienced. Under ‘sick’ in the pain dimension, a high percentage of postings covered the physical and mental pain that the family members experienced and the pain of young carers. ‘Hard’ in the sadness dimension covered suspension of study due to the burden of family support, difficulties with finding a job, economic hardship, and pain and isolation due to the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 In the same context, ‘give up’ in the sadness dimension represents personal life chances that young carers had to give up in the process of caring for their families. The top emotional expression of ‘give up’ was to raise a need for government support so that they would not give up due to their caring and support burdens. Under ‘cry’ in the sadness dimension, a high percentage of postings reflected the extreme moments of young carer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ain based on some extreme cases like the Kang Do-yeong scandal. ‘Timid’ in the fear dimension was interpreted to show reactions limited to certain events and thus excluded from the study. Under ‘at a loss’, a high percentage of postings reflected the real problems faced by young carers including hospital bills, living expenses, poor living environment, and health issues. ‘Worry’ represents their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social isolation due to the absence of guardians to keep the family safe and the poor state of basic living conditions during preparation for a job and social life. ‘Sudden’ in the surprise dimension represents the fear and confusion that young carers faced in an unexpected situation where they had to support their families. ‘Shitty’ in the anger dimension connotes the meaning of ‘undesirable to the heart for being trivial and insignificant’ in the dictionary. ‘Shitty’ found in original texts was, however, not the same emotional expression as this and thus excluded from the study's analysis at the emotional level. Under ‘destruction’ in the anger dimension, a high percentage of postings emphasized a need for total and concrete measures at the social level rather than at the individual level to address family care issues rather than a direct emotional expression of young carers. Under ‘angry’ in the anger dimension, a high percentage of postings reflected the complicated nursing and welfare administration work that young carers had to go through in the process of caring for their families and also their economic burdens with huge hospital bills and nursing fees. Lastly, the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s signified measures to address burdens of young carers related to livelihood and care and the importance of campaigns by private institutions under Topic 1. Topic 2 covered the recruitment of promotion supporters to enhance the social perceptions of young carers, the importance of identifying and supporting young carers at a blind spot of welfare,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inciple of application for welfare policies. Topic 3 signified a need to examine the current and actual reality of young carers who were known to society on a full scale through their selected cases. Thes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discussion points: first, there should be an urgent and specific discussion at the government level over how to include young carers who are becoming a social controversy in the social welfare safety net of the nation; second, there is a need for specific support policies and programs to addres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young carers according to their burden of family care; and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ocial perceptions of young carers and establish an effective support system to solve their difficulties. Based o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points above, the study made three proposals to support young carers. First, there should be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to young carers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Second, it is required to set up a devoted agency and develop an online-based application to help young carers have easy access to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services and apply for them in order to identify young carers effectively and support them with an integrated service. Third, there should be an active campaign to increase the social perceptions of young carers. Fourth, there is a need for a resting and counseling support service to reduc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tigue of young carer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ocial perceptions of young carers in society based on postings on the Internet and proposed measures to address their issues and improve the support system for them in the nation,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study, however, has its share of limitations. First, it has limitations with the source, scope, and depth of data. The study collected data mainly from online portals and social media, and the collected data might not -*represent the opinions of certain population groups. Secondly, the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time and region. The data of the study was restricted to certain time zones between January 1, 2020, and June 30, 2023. In addition, it has limitations with the generalization of its findings since it focused on postings uploaded at certain portals mainly used in the nation. Thirdly, the study has limitations with its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method. Its research design was based on certain analysis methods and theories under text mining.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First, a follow-up study will need to collect and utilize data through more diverse paths including interviews, surveys, and case studies in addition to online portals and social media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young carers more broadly.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empirical research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current findings to policies. Finally, a follow-up study will have to investigate the personal experiences and emotions of young carers profoundly by using qualitative methodology.

      • 모빌리티의 상상과 새로운 삶의 실험 : 농촌 이주 청년들의 서사를 중심으로

        김반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ir own narratives. I argue that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should be regarded as practice for envisaging and reconstructing their future lives through the mobility towards rural areas. In a situation where young people feel that their lives cannot be sustained in the survivalistic atmosphere in urban areas, they seek to regain their agency and initiatives for rebuilding their own biography in the unstable world. Before examining young people’s narratives, I first looked at the semantics of the ‘gwinong/gwichon’(return-to-farm/return-to-rural) discourse in Korea. In the period of the financial crisis of late-90s in Korea, ‘gwinong’ has emerged as a social phenomena, which is promoted as alternative for unemployment on the one hand, and ecological movement on the other hand. Young people, meanwhile, appeared as main agent in the ‘gwinong/gwichon’ discourse in recent years, in the crisis of demographic declination in rural areas and shortage of manpower in agricultural sector. In the ‘gwinong/gwichon’ discourse,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is often viewed as seeking for economic opportunities in agricultural sector, or pursuing ecological value and establishing community in rural areas. It is this point that this study raises question. Comparing with that of older people, who have been the main actor of ‘gwinong/gwichon’ phenomena, young people’s urban-to-rural involves much more risks and unstability, in that they have few resources to utilize, and are in very vulnerable status in rural areas. Thus, the problem of the motivation of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cannot be simply explained in the viewpoint of their value orientation―economic value or ecological/ alternative value, because they have to take many risks and challenges in order to pursue their values in rural areas. From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s young people’s narratives of their migration into rural areas, focussing on their imagined future. The narratives analyzed in this study cover the general course of young people’s migration, starting from their experiment in urban areas before their migration, their encounter with rural areas and decision of migration, and their settlement in countryside and experiment for new way of lif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young people’s stress and skepticism in urban areas is not only the problem of trouble and difficulty in their current lives, but also related to the impossibility to project their lives into the future. In the interview, the interviewees said that they could not sustain their lives anymore in the urban areas. Meanwhile, facing the lethargy in urban life, they had steadily pursued change of lifestyle before they moved to rural areas. These experiences can be interpreted as their construction of agency to envisage their future and making their own biography in the unstable world. And it can be said that young people’s experiment of lifestyle in their days in urban areas later influenced their migration to rural areas for searching for new life. Second, the process of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seems to be contingent process involving various chances of encountering and experiencing the rural, rather than linear process involving deliberate planning and preparation for migration. Along this course of encountering the rural, young people project their lives into the unfamiliar space of rural areas, examine the possibility of rural life, and give shape to their imagination of moving into rural areas. Finally, young people who moved into rural areas try to make their own lifestyle in each aspects of their lives. In the core of their project is ‘agency’ and ‘autonomy’ to design their life course. Unlike in urban areas where they could not have initiative of their own lives, in rural areas they could be protagonist of their labor and living, planning their daily lives, and own the output of their work. Such experience was at the heart of young people’s narratives of their lives in countryside. In this way, young people reconstruct their prospect of future lives and try to build sustainable lifestyle in rural areas.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사회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청년들의 농촌 이주 현상을, 청년들 자신의 삶의 서사로부터 다시 규명해 가려는 연구이다. 청년들이 도시에서 겪었던 생존경쟁과 불안정한 삶의 여건 가운데 더 이상 자신의 삶을 지속해 갈 수 없다고 느낀 상황에서, 농촌이라는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동을 통하여 자신들의 삶의 자율성과 주도권을 회복하고, 자신들의 삶의 전망을 재구성해 가는 실천으로서 청년들의 농촌 이주에 주목하였다. 우선은 청년들의 농촌 이주 현상의 배경을 살피기 위해, 한국사회의 농촌 이주 현상 전반을 아우르는 ‘귀농귀촌’ 담론의 흐름과 그 의미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90년대 말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에, 정부의 실업자 구제책의 일환으로서 ‘귀농’이 정책적으로 장려되고, 한편에서는 생태운동의 일환으로서 ‘귀농운동’의 흐름이 등장하면서, ‘귀농귀촌’이 사회적인 현상으로서 가시화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해 농촌의 세대교체를 담당할 젊은 인력들이 필요해지면서, 청년들의 귀농귀촌을 장려하는 움직임이 최근 들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만들어진 청년 귀농귀촌 담론에서는, 청년들의 농촌 이주를 ‘농촌에서의 창업’으로서 규정하거나, 경쟁적이고 소비적인 도시에서의 삶의 방식에 저항하며 농촌에서 대안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활동으로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가 문제제기를 하는 지점은 바로 이 부분에서이다. 청년들이 농촌으로 이주한다는 것은, 이제 막 삶의 진로와 향방을 정해야 하는 이행기적 시기에, 동원할 수 있는 자원도 부족하고, 농촌사회 내에서의 위치도 훨씬 취약한 상황에 놓인다는 점에서, 장년층의 귀농귀촌에 비해 훨씬 많은 위험요소와 불안감을 감수해야 하는 결정이다. 그러한 점에서 경제적인 기회나 대안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귀농귀촌 담론의 설명틀만으로는 청년들이 그 모든 불안감에도 불구하고 농촌에서의 삶을 선택하는 이유를 제대로 설명해낼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는 청년들의 농촌 이주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들 자신의 미래에 대한 전망과 상상의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농촌 이주 서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년들이 농촌으로 이주하기 전 도시에서의 경험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들이 농촌을 접하고 경험하면서 농촌으로의 이주를 결심하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농촌으로 이주한 이후 새롭게 미래를 꿈꾸며 자신의 삶을 꾸려 나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이 농촌 이주 이전 도시에서 겪었던 회의와 스트레스는, 이들이 더 이상 자신의 삶의 미래를 전망할 수 없다는 무기력함과 연결되어 있다. 청년들이 도시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어려움은 단순히 현재의 삶의 어려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대로는 자신의 삶의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는, 삶의 전망의 불가능성으로 이어진다. 한편 청년들은 도시에서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가운데, 다양한 형태의 경험을 거치며 스스로 삶의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경험들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이는 농촌으로 이주하기 전, 도시에서부터 이미 불안정한 삶의 전망을 마주하는 가운데 자신의 삶을 기획해 나가고자 하는 계기들을 마련해 온 것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과 모색의 경험들은 이후 이들이 농촌이라는 새로운 삶의 무대에 자신을 던지는 데도 영향을 주었다. 둘째로 청년들의 농촌 이주 과정은, 처음부터 농촌 이주를 목표로 하고 치밀하게 준비하는 과정이라기보다는, 농촌을 접하고 경험하는 다양한 계기들이 누적되는 가운데 농촌에서의 삶을 실험하고 모색한 끝에 비로소 본격적인 이주로 이어지는 비선형적인 형태를 띠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청년들이 농촌이라는 미지의 공간에 자신을 던져 보면서, 농촌에서의 삶의 가능성을 가늠해 보고, 농촌의 삶에 대한 막연한 상상을 구체화시키는 과정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이동에 대한 상상은, 청년들의 농촌 이주를 뒷받침해 주는 정책이나 공동체와 같은 다양한 기회구조를 경유하면서, 구체적인 이동의 실천으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청년들은 농촌으로 이주한 이후 각자의 삶의 영역에서 자신의 삶을 새롭게 꾸려 나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청년들의 삶의 기획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자율성’이다. 도시에서는 자기 삶의 주도권을 갖지 못했던 데 비하여, 농촌에서는 자기가 직접 노동과 삶의 주인이 되어 자신의 삶을 자율적으로 기획해 나가고, 약소하나마 노동의 결과물을 자신이 향유하고 자급자족할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농촌 이주 동기와 이주 이후의 삶에 대한 서사에서 되풀이되어 등장했다. 이렇게 자기 삶의 주도권을 회복하고, 자신의 행위 공간을 확보해 나가는 가운데, 청년들은 도시에서와는 또 다른 삶의 전망을 구성해 나가고, 지속가능한 삶의 모델을 추구하며 자신의 생애를 기획해 나가는 것이다. 청년들의 농촌 이주가 사회적으로 관심의 대상으로서 떠오르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농업의 세대교체나 지역 발전, 혹은 대안적인 공동체의 건설과 같은 청년들의 농촌에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농촌 이주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청년들이 농촌으로 오기를 바란다면, 청년들에게 모종의 역할을 기대하기 이전에 이들이 농촌을 자신의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택하고, 그곳에서 자신의 삶을 펼쳐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청년들이 농촌에서 어떠한 삶을 살아 나가기를 원하는지, 청년들 자신의 고민과 이야기로부터 시작하여 다시 논의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청년들의 삶의 전망과 미래에 대한 꿈의 차원으로부터 청년들의 농촌 이주 서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청년직장인의 여가 활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하나 경성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청년직장인의 여가활동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적합한 19세~34세 이하의 연령대로 면담 시점 3개월 이상 지속하고 있는 여가 활동이 있는 청년직장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거주지와 면담 가능 시간,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 연구참여자의 의사에 따라 대면 또는 화상면담으로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은 연구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녹화하였다. 연구를 위한 인터뷰는 2022년 6월부터 2022년 9월까지 90분씩 2회 진행되었고, 필요시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이 끝나면 축어록을 작성하고 Giorgi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과 해석의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청년직장인의 여가 활동 경험에 대한 181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고, 35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묶은 뒤 10개의 구성요소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구성요소는 ‘나를 위한 여가 활동 시작’, ‘직징인이 된 후 여가 활동에 변화가 생김’, ‘좋아하는 만큼 내가 극복해야 하는 현실의 어려움’, ‘여가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또 다른 노력’, ‘나를 위한 시간이 되어 행복함’, ‘다양한 관계를 통해 나의 삶에 긍정적 영향’, ‘소진되지 않도록 일과 생활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됨’, ‘나의 삶에 일만큼 여가 활동 또한 중요함’, ‘내 삶의 중요한 가치와 나의 여가’, ‘나의 여가 활동 경험에 대한 정리’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직장인에게 여가 활동은 ‘일이 없어 남는 시간에 하는 활동’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활동이다. 여가 활동을 통해 몸과 마음을 돌보며 긍정적 에너지를 얻고, 나에게 집중하고 내가 살아있음을 느낄 수 있어 자신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한다. 둘째, 자신의 몸와 마음의 건강을 돌보기 위해 여가 활동을 지속하게 되었다. 셋째, 직장인이 된 후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경험할 수 있는 여가의 폭이 넓어지고 비용이 드는 여가 활동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청년직장인들이 여가 활동에 열심히인 이유는 여가 활동을 하며 나에게 집중할 수 있고, 나라는 사람이 살아있음을, 그 순간 꾸며지지 않은 내 모습을 볼 수 있어 행복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다섯째, 일만 하고 살 수 없고 내가 좋아하는 활동을 통해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여가 활동을 하는 순간 뿐만 아니라 기다리는 시간도 행복하고 찌들어 있는 삶 속에서 벗어나 힐링되는 활동 그 자체만으로도 즐겁고 일상을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여섯째, 여가 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며 성장하고 싶어 한다. 현재의 목표를 이루고 난 뒤에는 내가 하고 싶은 여가 활동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며, 앞으로도 꾸준히 해나가고 싶은데, 질리지 않도록 계절별로 즐길 수 있는 휴식과 쉼을 주는 다양한 여가를 만들고, 계속해서 새로운 걸 하면서 조금씩 더 경험치를 늘려 성장하고자 한다. 일곱째, 청년직장인의 여가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는 연구참여자에게 자신의 여가 활동 경험을 나누며 생각보다 여가를 자신의 삶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자신의 삶에 여가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관을 정리해보고,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앞으로의 여가도 계획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청년직장인들의 여가 활동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해봄으로써 청년직장인의 여가 활동에 필요한 실질적 요인들을 탐색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청년직장인을 삶을 질을 높일 수 있는 여가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bout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f young office worker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experience. To this end, the study participants suitable for this study are 19 to 34 years of age young office workers with leisure activities that have lasted for more than 3 months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were selected, and data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Considering the study participants' residence, available time for interviews, and COVID-19 situation, the study participants' intention was conducted face-to-face or video interviews, and this process was recorded and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study participants. Interviews for the study were conducted twice for 90 minutes from June 2022 to September 2022,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if necessary. After the in-depth interview, a dictionary was written and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was performed using Giorgi's research method. As a result, 181 semantic units for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f young office workers were derived, grouped into 35 sub-components, and then categorized into 10 components. The componen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re 'Starting leisure activities for me', 'Changing leisure activities after becoming a direct person', 'Difficulties in reality that I have to overcome as much as I like', 'Another effort to continue leisure activities', ‘Happy to be a time for me’, ‘Positive influence on my life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Driver to balance work and life so that it does not burn out," "leisure activities are as important as work in my life," "Important value of my life, and "Summary of my leisure experienc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First, for young workers, leisure activities are essential and important activities beyond the concept of 'activity in the remaining time without work'. Through leisure activities, I can get positive energy by taking care of my body and mind, focus on myself, and feel alive, so I recognize it as a very important part of my life. Second, he continued his leisure activities to take care of his body and mind's health. Third, after becoming an office worker, the scope of leisure that can be experienced as economically stable has expanded, and leisure activities that require costs can be freely selected. Fourth, the reason why young workers are working hard on leisure activities is that they can focus on me while doing leisure activities, and they feel happy to see me alive and unpainted at that moment. Fifth, because I can't work and live and grow through my favorite activities, not only the moment I do leisure activities but also the time I wait is a driving force for me to live a pleasant and daily life. Sixth, I want to grow up with various experiences through leisure activities. After achieving my current goal, I want to have fun doing leisure activities that I want to do, and I want to continue to do it steadily, create various leisure activities that give me rest and rest by season so that I don't get tired of it, and continue to increase my experience little by little. Seventh, research on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f young workers gave research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what leisure means in their lives, and to organize important values in their lives and plan future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values.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practical factors necessary for leisure activities of young workers by understanding the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s of young workers, and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leisure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 workers.

      •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고미희 韓南大學校 學際新學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년기는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들과 부딪치게 되는 장으로 한 사람이 독립된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준비 기이며 아동이 성인이 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도기이다. 이 시기에 청년들은 역할의 변화와 그에 따른 적응문제, 확대된 교우관계, 이성문제, 진로문제, 가치관 문제 등 지금까지 없었던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이러한 시기에 있는 청년들이 부딪치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는 정체감 혹은 정체감 확립의 문제이다. 청년들이 “나는 누구인가?” “ 나는 무엇에 가치를 두고 있다고 보는가?”라는 물음에 직면하고 있을 때, 이것에 대한 자신있는 확답을 얻지 못하면 정체감의 혼란에 빠지며 심각한 문제의 행동을 일으키게 된다(이형득, 1999). 이런 위기와 갈등속에 있는 일반 청년들의 자아정체감 발달 프로그램의 연구와 그에 따르는 효과는 입증되어 왔지만, 기독 청년들의 자아정체감 발달 프로그램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그나마 연구된 프로그램은 주로 중.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되었고 내용 면에서는 신체적 움직임을 요하는 놀이위주 프로그램이어서 기독 청년들이 신앙 인으로써 하나님과 나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한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목적과 가치를 가지고 타인을 수용하여 나 자신을 어떻게 발달시켜 나가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제한성이 있었다. 대부분의 교회에서는 기독 청년들에 대한 교육이나 자아정체감 발달에 관심을 집중하기보다는 장년 층을 주된 대상으로 강단 중심의 목회에 국한하여 교회 안에 있는 청년들을 소외와 갈등으로 방치해 둠으로써 더욱더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발달 프로그램에 대한 요청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신앙 생활을 하면서 자기정체성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기독 청년들에게 그리스도가 나의 구주 되심을 믿고 신앙 안에서 내가 누군지, 자기존재를 분명히 하여,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하고 신앙 공동체를 통해 자신을 더욱 발달시켜 나가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과 프로그램의 실제로 구분하였다. 먼저 기독 청년들이 겪고 있는 갈등과 정체성 위기에 대한 현 상황과 문제점을 개관하고, 이론적으로는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정의, 자아정체감 저해요인, 자아정체감 발달요인, 자아정체감 발달 프로그램 등 네 분야로 구분했다. 프로그램의 실제에서는 발달 프로그램을 10회로 나누어 진행하도록 구성했다. 이론적인 배경에서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주로 가정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가족간의 부족한 의사소통, 학교에서는 학업성적, 사회에서는 또래친구들로부터의 소외감, 교육받지 못한 이성교제, 교회에서는 신앙과 실생활의 불 일치감에서 오는 죄의식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 발달을 돕는 요인으로는 하나님과 나와의 관계에서의 일치성, 신앙과 믿음으로 구속자 하나님을 통해 나의 존재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또한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가정은 서로 많은 대화와 부모의 수용적 태도이며, 학교에서는 성적에 대한 자유함, 사회에서는 공동체 생활, 올바른 이성교제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기독교 성교육 등이다. 따라서 기독 청년의 자아정체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죄의 고백과 용서의 확신, 하나님의 임재경험, 신앙과의 관계에서, 나의 실패를 통한 하나님의 목적알기, 신앙 가치관 정립, 타인을 수용하는 단계로, 역할극을 통한 가족수용(가정), 공동체를 통한 신뢰감 형성(사회), 성경으로 본 친구이해(학교), 거울 속에서 만난 나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기 등과 같은 내용이 발달시키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프로그램의 틀은 10단계로 구성되어 시작단계(1회), 죄의 고백과 용서의 확신(2회), 하나님의 임재 경험(3회), 나의 실패를 통한 하나님의 목적 알기(4회), 신앙 가치관 정립(5회), 역할극을 통한 가족수용(6회), 공동체를 통한 신뢰감 형성(7회), 성경으로 본 친구이해(8회), 거울 속에서 만난 나(9회), 마무리의 단계(10회)로 구성되었다.

      •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철기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역할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조절효과의 영향 관련성 파악을 목적으로 시도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전국의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2022년 10월 5일부터 10월 1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기관을 통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520명의 대상자 중에서 총 501부를 최종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와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연구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잠재변수를 구성하는 관측변수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변수 간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집단 간의 경로계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분석, 부트스트랩(bootstrap)을 통해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의 크기를 산출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연구변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의 7가지 유형을 제시한 가운데 목표추구형을 제외한 하위 유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은 대인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라이프 스타일의 선택전가추구형을 제외한 하위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고 대인관계의 4가지 하위요인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은 대인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영향 관계에 대해 객관적 변수로는 소득, 학력, 경제활동과 주택 보유 형태를, 주관적 변수로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계층적 분석과 소득 만족도를 활용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객관적 조절변수인 소득과 주관적 조절변수인 소득 만족도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객관적 조절변수로 거론된 학력, 경제활동, 주택 보유형태 그리고 주관적 조절변수인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계층의식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위의 연구 결과는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의 유의한 영향과 매개변수인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조절변수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는 ‘소득’ 변인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변인들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을 A.I.O. 및 VALS의 관점에서 목표추구형, 절약추구형, 여가추구형, 긍정추구형, 선택전가추구형, 자극추구형, 럭셔리추구형의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고, 대인관계의 매개역할이 검증되었다. 셋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소득’과 관련된 변인을 제외한 다른 변인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로부터 독립해 생활하는 성년이자 청년인 1인 가구에게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보다 청년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더욱 크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넷째, 청년 1인 가구 중에서 여성 삶의 만족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높여야 한다. 청년 여성에 대한 라이프 스타일을 새롭게 분석하여 다인가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인해 여성이 주로 겪어야만 했던 출산과 육아 그리고 양육과 가사, 경력단절 등으로 인한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만 한다. 다섯째, 청년 정책의 수혜적 범위를 넓힘과 동시에 정책의 알림과 홍보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다만, 청년에 대한 정책적 복지 수혜의 범위를 정하는 데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사회·경제적으로 국가의 재정이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정책발굴과 시행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 청년 1인 가구의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1인 공동체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1인 가구에게 대인관계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국가적·사회적 기관자원들은 청년들에게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청년과 지역이 상생하는 활력의 장으로 변모해나가도록 한다. 일곱째,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라이프 스타일의 존중과 사회·경제적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urvey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in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with the grasp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targeted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nationwide, gender was not considered, and conducted a self-reporting survey from October 5 to October 17, 2022, with an online survey agency. Among the responses from 520 respondents, a total of 501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final results. The analysis method is as follows. SPSS 25.0 and AMOS 25.0 were employed to conduct the following analyses: frequency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study variab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testing of measurement tools;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test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study variab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ity testing of observed variables constructing the latent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or testing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the study variables; multigroup analysis to test the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between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groups; conduction of bootstrap to calculate the size of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and the significance was tested;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 hoc test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difference in the study variables p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following describes the major outcomes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were also found in the subtypes except for the goal-seeking type, one of the 7 lifestyle types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econd, the lifesty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were found in the subtypes except for the choice shift-seeking type among the lifestyle types.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 the four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Fourth,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wed the following. The lifestyle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Fifth, regard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for objective variables, income,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and house ownership type, were employed; for subjective variables,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income satisfaction was employed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income, an objective moderating variable, and income satisfaction, a subjective moderating variable. However, the objective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and house ownership type; the moderating effect of class consciousness regarding subjective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parameter,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other variables except for the "income" variable on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 moderating variabl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grounding on the abovementioned study results. First, this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for classifying the lifestyle of single-person young households through A.I.O. and VALS into 7 types: goal-seeking, frugality-seeking, leisure-seeking, affirmation-seeking, choice shift-seeking, stimulation-seeking, and luxury-seeking,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econd,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tested. Thir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except for income-related variabl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youth has a greater effect than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heir parents for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or adults who are not dependent on parents. Fourth, life satisfaction-related policy support for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uld be expanded. By freshly analyzing the lifestyle of young women, an institutional measure should be prepa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caused by childbirth, childcare, childrearing, housework, and career interruption, which women had to experience in return for forming a multi-family household. Fif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benefits of youth-related policies and publicize and advertise policies proactively. However, forming a social consensus, as well as finding and implementing viable policies in light of the national budget from a socioeconomic point of view should be followed. when determining the scope of benefits of policy welfare for the youth. Sixth, economic support for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with a myriad of programs for single-person commun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ingle-person households; national and social institutional resources should present various community programs to young people, making these programs transform into a dynamic place where young people and the region can live together. Seventh, this study suggests that cherishing the lifestyle and improving socioeconomic awareness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is necessary.

      • 왕숴(王朔)와 최인호 문학의 청년 표상 연구

        송향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the youth in the novels of Wang Shuo and Choi Inho, representative popular writers of China and Korea, using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so doing, I attempt to capture the significance of the youth representation emerging in a period of “cultural transition.” An approach to the imagery of the youth in their novels will lead to a new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period in which a new youth culture began to germinate. Also, a close examination of the multi-layered youth images in the two writers’ works will shed new light on the two countries’ youth culture, which has been defined as a mere subculture of popular culture, as well as on the implication of youth i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Despite the popular success of Wang and Choi during the cultural transition, there has been bitter controversy over the two writers among literary historians of both countries: their old preconceptions about literature confined the critical discussions of the two writers to the scope of popular culture. In spite of the many parallels between the two writers, especially their significance as leading young writers in Chinese and Korean literary history, no study has compared them before. By comparing the two writers,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find some points of cross-reference which will enrich the meaning of their works more than an individual study of each writer can do. An extensive study of Wang’s and Choi’s literary works shows that they are not a mere manifestation of decadence and nihilism as defined in previous research but the product of the two writers’ endeavors to reveal the problematic reality. In Chapter 2, I will give an overview of the two writers’ works under three keywords. Part 1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agonists and their fathers described in the two writers’ novels. For the protagonists, their father is their first encounter of the world and, therefore, their attitude towards father expresses their own way of perceiving the world. Precocious children and their despicable fathers repeatedly appearing in early novels of Choi and mean sons and their good-for-nothing fathers in Wang’s novels form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from the first. But they come to an accommodation in the end, which is far from the typical father-son relationship in the modern novel. I seek to consider the protagonists’ distinctive attitudes towards their fathers in connection with the two writers’ ideas of authority and ideology. Part 2 delves into the two writers’ view of ideology, focusing on how the motives of theater and stage in Wang’s works and ‘playing house’ in Choi’s works are linked to their responses to reality. Eventually, those responses turn out to be transposed into the matter of writing. Part 3 investigates the two writers’ attitude towards literature as a means to express their self-awareness. Given that both Wang and Choi, despite common prejudice against their works, continued their literary creation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literary writing, I argue, was a means for them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most candidly. Chapter 3 discusses “loafer-type” youths and “fool-type” youths which epitomize Wang’s and Choi’s responses to reality. Part 1 explores marginal youths as subaltern figures who are yet to become fools or loafers. Bidding farewell to the heroic age, Wang’s loafer-youths cross the legal boundaries to fulfill their heroic dreams in an anti-heroic manner. Going through resocialization, however, they begin to feel guilty about their inhumanity and behave within the framework of law and order. Socially excluded fool-youths in Choi’s works bring up the question about the utility of life. A “death-leap” is the only gesture with which the fool-youths can express their subjectivity. Various types of death-leaps, depicted as a philistine attempt to extort money from others or, on the contrary, a sublime attempt to approach the truth, imply the meaninglessness of a trivial death. Part 2 analyzes the loafers and the fools integrated into everyday life. The loafers form youth solidarity based on fun and friendship, while satirizing the older generation, mainly their parents’ generation, and followers of the West. As the youth solidarity becomes organized over time, however, a hierarchy is generated internally and the fun of satirizing is replaced with an occupational mission. In Choi’s works, college-student fools, the leading role of youth culture, are depicted as being lighthearted, whereas subaltern youths are portrayed in a gloomy way. Although they are mere nobodies, the fool college students create future-oriented affective solidarity through which they share their joys and sorrows. Part 3 focuses on the youth who have returned to their daily life. Wang’s loafers stay at home, leaving the task of self-reflection in the Althusserian last instance. For the middle-aged loafers, love and marriage are never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y regard bereavement and divorce as a sort of salvation from their monotonous daily life. The daily experience of the fools discloses the mechanism of oppression pervasive even in the microscopic dimension of society. At a mundane level, the protagonists hang out with ants which symbolize the masses seduced by the speculation frenzy, mass media, and commercialism. On the other hand, the protagonists also intervene in this mundane life, from the standpoint of the excluded, driven by their unyielding will to subjectivity. Chapter 4 explores the new meaning the loafers and the fools give to the youth. In Part 1, I argue that both Wang and Choi reflect in their works the shift of the youth from historical heroes to a generation in sociological terms. The problematic human-types of loafers and fools are the bearers of the two writers’ literary spirit as well as the vivid imagery of the youth going through a period of cultural transition. They strengthen their solidarity of friendship and empathy by sharing culture, which includes fad words and styles, instead of seeking a sense of identity through historical engagement. Part 2 deals with the social life of the youth. While the older generation brand their social intercourse as being decadent, the youths boisterously laugh at the older generation’s puritanism and didacticism. In Part 3, I argue that Wang and Choi helped the youth to restore their position, which was lost in their downward mobility from the protagonists of history to a mere social group, in the sphere of culture. Wang’s literary works and style, created outside the literary system, provided the mainland youth with space where they, as cultural subjects, can survive the encroaching tide of capitalism and the huge influx of popular culture from Hong Kong and Taiwan. Digging youth culture out of rapidly growing popular culture, Choi empowered the youth with cultural subjectivity with which to revolt against authority. Forging solidarity of sensibility in this cultural territory in the 1970’s, the youth began to assert their sovereign power through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이 논문은 한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인 중국의 왕숴(王朔)와 한국의 최인호 소설에서 부각된 청년 표상을 비교문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문화적 과도기’로 간주되는 중요한 역사적 시기에 양국에서 나타난 청년 표상이 가지는 시대적 의미를 포착하였다. 소설에서 형상화된 청년에 대한 접근은 청년문화를 배태한 과도기적 시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나아갈 것이며, 그간 대중문화의 하위범주로 규정되었던 청년문화를 두 작가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청년 표상의 여러 층위에 대한 면밀한 접근을 통해 각각의 문학에서 청년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할 수 있다. 왕숴와 최인호는 ‘문화적 과도기’에 대중적으로 가장 성공한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문학사적 정리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그들에 대한 평가 역시 오래된 선입견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대중문화의 범주로 국한되어 있었다. 두 작가는 비슷한 역사적 맥락에서 자국 문학사에서 유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청년작가로 기억되지만 왕숴와 최인호에 대한 비교연구는 아직까지 전무하다. 본 연구는 개별 연구로는 조망할 수 없었던 면들을 두 작가를 마주 세워 비교함으로써 상호 참조적 요소를 발견하고, 이들의 문학을 더욱 복합적이고 새롭게 다루고자 했다. 그간 퇴폐적이고 허무의식의 발현에 그치는 것으로 평가받았던 왕숴와 최인호의 문학을 폭넓게 조명해보면 이들이 문제적 현실을 드러내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두 작가의 문학 전반을 3가지 키워드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고찰한 1절의 경우, 아버지는 그들이 최초로 접하는 세상이며 아버지에 대한 그들의 태도는 세계를 인식하는 또 다른 방식의 표현이다. 최인호의 초기 소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조숙한 아동과 비열한 아버지, 왕숴 소설에 등장하는 영악한 아들과 무능한 아버지는 최초부터 대립하며 모순 관계를 형성하지만 결말에 이르면 오히려 화해의 국면에 접어드는 등 근대소설의 도식적인 부자 관계를 따르지 않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처럼 아버지에 대해 두 작가가 취하고 있는 독특한 태도를 2절에서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권위와 권력적 이념에 대한 생각과 결부하여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이를 면밀히 고찰하였다. 왕숴 작품에 드러나는 극장과 무대, 최인호의 소설에 나오는 ‘소꿉놀이’를 이념에 대한 작가적 태도와 현실 대응방식과 연결해 보았다. 결국, 이러한 방식들은 글쓰기의 문제로 치환된다. 3절에서는 작가로서의 자의식이 발현하는 기제로 작동하는 문학에 대한 태도를 각각의 소설을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왕숴와 최인호가 과도기적 선입견들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창작활동을 진행하는 행보를 보여준 사실은 문학과 글쓰기는 그들이 세상과 소통하는 가장 직접적인 매체임을 입증한다. 3장에서는 최인호와 왕숴의 일련의 현실 대응의식을 집약하고 있는 ‘놈팡이(顽主)’형 청년과 ‘바보’형 청년에 대해서 논하였다. 1절에서는 일상의 ‘바보’와 ‘놈팡이’이기 전에 하위주체의 모습을 하고 있는 주변부 청년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왕숴의 ‘놈팡이’ 청년은 과거의 영웅시대와 작별하고 새로운 ‘사회인’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치르면서 법의 경계를 넘나들고 영웅의 꿈을 악당의 모습으로 시도하거나 비인간성에 가책을 느끼면서 법적 질서의 내부로 들어오는 양상을 보여준다. 최인호의 작품에서 배제된 ‘바보’ 청년들은 생명의 효용성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다양한 방식의 ‘투신’ 자살은 ‘바보’ 청년들이 유일하게 주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몸짓이다. ‘투신’은 돈을 공갈하거나 혹은 그와 반대로 진리에 다가가려는 시도로 그려질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하찮은 죽음의 무의미성을 드러낸다. 2절에서는 일상의 범주에 들어온 ‘놈팡이’와 ‘바보’들을 분석하였다. ‘놈팡이’는 기성세대와 부모세대, 서구 추종자들을 풍자하는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재미’와 ‘우정’을 기반으로 청년 연대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청년 연대는 시간을 거듭할수록 조직화 되면서 내부적 권위가 생겨나게 되고 풍자 놀이의 즐거움이 직업적 사명으로 변질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무거운 분위기를 띠는 하위주체 청년을 보여줬던 최인호는 청년문화의 주인공이었던 대학생 ‘바보’ 청년들의 경우 매우 명랑한 방식으로 다룬다. ‘바보’ 청년들은 시시한 대학생이지만 함께 울고 웃는 감정의 연대를 산출하면서 미래 지향적인 자세를 보여준다. 3절에서는 일상으로 귀환한 ‘청년’들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왕숴의 ‘놈팡이’들은 개인의 주체적 성찰을 최종 심급으로 남겨둔 채 각자의 삶의 장소인 가정에 머무른다. 이들 중년 ‘놈팡이’들은 사랑과 결혼의 양립 불가한 상황이 드러난다. 따라서 사별과 이혼은 피할 수 없는 권태로운 일상에서 자신을 지켜내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 하찮은 ‘바보’들의 일상적인 직업 경험은 오히려 사회의 시시하고 미세한 차원까지 스며들어 작동되는 억압의 기제들을 포착하고 고발하는 계기가 된다. 개발 지역의 광기를 보여주는 민중과 대중방송의 현혹에 걸려든 관중들, 상업주의 욕망에 걸려든 대중을 상징하는 개미들과 함께 어울리며 일상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직장인’ 주인공들은 한편으로 배제된 자의 시선으로 개입하면서도 주체적인 의지의 끈을 놓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4장에서는 ‘놈팡이’와 ‘바보’들이 보여준 새로운 청년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왕숴와 최인호가 그린 청년이 기존의 ‘역사적 영웅’으로 간주되었던 청년세대로부터 ‘사회적’ 청년세대로 전환하는 시대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음을 탐색하였다. ‘놈팡이’와 ‘바보’ 청년을 통해 보여준 문제적 인간형은 작가의 문학정신의 담지자이자 ‘문화적 과도기’를 살았던 청년들의 모습이며, 그들은 역사적 참여에서 동일성을 찾는 것이 아니라 유행어, 스타일 등의 문화를 기반으로 우정과 공감의 연대를 키워간다. 2절에서는 청년들이 어울리는 방식을 놓고 기성세대는 퇴폐의 낙인을 붙이지만, 이들은 오히려 웃음과 명랑성을 내세우며 일상의 민낯을 드러내고 엄숙성을 해체하며 계몽의 숭고성과 이념의 경직성을 폭로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3절에서는 과도기의 독특한 청년들을 둘러싸고 결코 그들에게 우호적이지 않았던 시대에 왕숴와 최인호는 역사적 청년에서 사회적 청년으로 ‘하락’한 청년들에게 다시 문화의 공간에서 입지를 찾아준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고찰하였다. 왕숴가 문학 제도 밖의 공간에서 창작해 낸 작품들과 스타일은 곧 도래할 자본주의 질서 속에서 청년의 문화적 주체가 존속할 공간을 마련해주었는데, 왕숴 식의 ‘본토화’ 청년문화는 홍콩, 대만식 대중문화의 홍수 속에서도 자기만의 자리를 남겨둘 수 있었다. 최인호는 급속도로 성장하던 대중문화에 묻혀있던 청년문화를 구분해내고 청년에게 문화적 주체의 성격을 기입하여 권위에 대응하는 방식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영토에서 감수성의 연대를 길러낸 70년대 청년들은 80년대의 민주화운동에 이르러 ‘주권자’로 행동하게 되었다.

      • 예비청년창업가의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이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 :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선량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창업기회의 발견이라는 개별적 상황은 청년창업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개인 창업가에게 발생한 기회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그 기회가 어떤 과정을 통해서 인식되고 평가되는지도 역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청년창업의 경우 기회형 창업이 절실하다. 따라서, 우리나라 창업교육에서 기회형 창업 비중이 작게 책정되어 있는데 창업기회역량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그 비중을 늘리는게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40세 미만 예비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을 매개변수로 해서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이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창업정책은 대부분 대학생과 청년층을 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창업교육 또한 청년창업사관학교 등의 제도를 통해 청년층 위주로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을 지향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적 지원이 창업의지 등에 미치는 영향 관련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하여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이 매개변수를 복수로 하는 연구모형에서 기회형 창업 추진에 필요한 역량과 관련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청년창업가의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이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경기도 등 수도권 거주 예비청년창업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450부를 배부하여 수집된 자료는 총 412부로 집계되었으며 이중 결측값이 있거나 불성실한 응답 38부를 제외한 374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0을 사용한 분석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분석, 신뢰성분석, 상관분석 및 차이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관관계와 간접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Process macro v3.0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과관계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창업동기와 실패부담감은 창업기회역량의 하위변수인 기회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창업동기만이 기회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실패부담감이 기회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창업동기가 창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으로 나타났지만 실패부담감이 창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창업효능감은 기업가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기업가지향성중 혁신성과 위험감수성만 기회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진취성과 위험감수성만이 기회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를 매개하여 독랍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업동기가 혁신성, 창업효능감과 혁신성, 창업효능감과 진취성을 매개하여 기회인식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적이었다. 하지만 창업효능감 단독으로 매개하여 기회인식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동기가 창업효능감, 창업효능감과 진취성, 창업효능감과 위험감수성을 매개하여 기회평가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적이었다. 그러나 혁신성, 창업효능감과 혁신성을 매개하여 기회평가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을 매개하여 실패부담감과 기회인식 간의 간접효과만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그 외 모든 경로에 대한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실패부담감과 기회평가간의 모든 간접효과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창업효능감은 기회인식에 대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은 기회평가에 대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업동기 유형에 따른 창업기회인식 배양을 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지향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창업기회평가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지향성과 창업효능감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핵심주제어 : 예비청년창업가, 실패부담감, 창업동기, 창업효능감, 기업가지향성, 창업기회역량

      •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 문제 해결을 위한 독서모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에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1인 가구 중 청년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하여 어떠한 정보요구 특징을 보이는지를 알아본 후, 이를 바탕으로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을 해결하기 위한 독서모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1인 가구, 독서모임, 사회적 고립, 청년 세대, 독서지도 등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고, 청년 1인 가구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 청년 1인 가구와 도서관 전문가 및 1인 가구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하였다. 세 번째로, 청년 1인 가구와 도서관 및 1인 가구 전문가 인터뷰의 녹취록을 작성하고, 중복코딩을 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네 번째로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반영하여 독서모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은 도서관 전문가와 1인 가구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고 개선하였다. 본고의 연구 질문은 첫째 청년 1인 가구는 어떠한 정보요구 특징을 보이는지와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 문제 해결을 위한 독서모임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지에 관한 것이다. 만 19세부터 만 34세인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들은 1인 가구의 삶, 지적인 호기심 충족, 1인 가구의 삶과 지적인 호기심이 결합한 주제의 정보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많이 이용하는 정보원은 인터넷이었으나, 책과 같은 인쇄매체의 활용도는 낮았다. 청년 1인 가구 각자의 가치관, 선호 분야, 성향 등이 다르고, 선호하는 독서모임 도서에 대해서도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따라서 다양한 주제로 독서모임이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였다. 청년 1인 가구 독서모임 요구 활동은 책과 관련된 체험활동, 친밀감을 쌓을 수 있는 활동, 지역 커뮤니티의 재발견, 안 읽는 책 나누기, 이해가 어려운 책 함께 읽기 등이 제시되었다. 독서모임의 규칙은 존중, 참여, 다양성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인터뷰에 참여한 1인 가구는 독서모임이 이들의 사회적 고립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도서관 및 1인 가구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에서는 독서치유, 자발성, 도움 주고받기, 사회적 관계망 형성, 독서를 위한 모임이라는 범주 내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반영하여 사회적 고립 문제 해결을 위한 청년 1인 가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지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 가구가 추구하는 정보를 습득하고 익힐 수 있도록 설계될 것, 둘째, 독서모임을 통해 사회적 고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될 것, 책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는 독서모임으로 볼 것, 넷째, 참여자의 자존감, 사회적 유대감을 고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사회적 고립 문제 해결을 위한 청년 1인 가구 독서모임 프로그램은 ‘책 읽어 주세요’ 그림책 독서모임, 체험과 연계한 독서모임, 마음 건강을 다루는 독서모임, 지역을 재발견하는 독서모임, 여러 가지 주제의 책을 읽는 독서모임이 제시되었다. 청년 1인 가구의 사회적 연결망이 취약한 경향이 있는데, 본고에서 제시된 청년 1인 가구 독서모임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 1인 가구가 책을 매개로 모여서 사회적으로 연결되고, 꾸준히 독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연구가 다른 연령 그룹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에 원동력을 주어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1인 가구 독서모임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as a share of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increases, the response to thi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ook club program to reduce social isolation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needs by conducting individual interview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 proceed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I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single-person households, book clubs, social isolation, young generation, and reading guidance, and investigated the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second, I interviewed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experts of librari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third, I transcribed the interview contents and different researchers double-coded to ensure reliability; fourth, I developed a book club program after dwelling up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interviews; and fifth, I revised and improved the book club program through receiving feedback from the expert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paper are, first, about what information needs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and second, about the development of a book club program to solve the social isolation of young people who live alone. The researcher conducted interviews with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ges 19 to 34, and they had a high demand for information on their life of living alone, satisfaction of intellectual curiosity, and the combination of both topics. The most frequently used source of information was the Internet, but the utilization of print media such as books was low. Each young individual who lives alone has different values, preferences, and tendencies, and has different opinions on preferred book club boo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book clubs on various topics. The book club activities required for young people living on their own included experiential activities related to books, activities to build intimacy, rediscovery of local communities, sharing books that are not read, and reading books together which are difficult to understand. Respect, participation and diversity are important in book club rules. Single-member household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possibility that the book club would reduce their social isolation. In interviews conducted with library and single-person household experts, they offered opinions within the categories of bibliotherapy, spontaneity, giving and receiving help, building social support networks, and meetings for reading. The aim of the young one-person household book club program is to reduce social isolation. In considering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interviews, we need the consider the following. First, the book club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acquire and learn the information needed by single residents ages 19 to 34. Second, we need to focus on solving social isolation. Third, we should view book clubs as a place where we can make various attempts centered on books. Fourth, book clubs will be able to inspire self-esteem and social bonding among participants. The book club program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o solve social isolation was presented with a book club that reads picture books and volunteers for children, a book club linked to experiential activities, a book club on mental health, a book club rediscovering the local communities, and a book club on miscellaneous topics. The social support networks of young single households tend to be weak, and with the book club program presented in this paper, young people living alone will be able to gather through books, connect socially, and read steadily. This study targeted young people who live alone, and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impetus for follow-up studies on other age groups to revitalize single-living household book clubs for various age groups.

      • 청년층 자살행동과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희용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자살행동 관련 변인들을 확인하고, 관련요인의 효과 크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8월까지 발간된 청년 자살행동 관련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38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태체계 분류에 따라 5개의 변인군과 24개의 하위변인으로 분류하여 어떤 변인들이 청년 자살행동과 보다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자살행동 관련 변인은 배경 변인군, 개인 변인군, 가족환경 변인군, 사회환경 변인군, 사회문화 변인군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5개의 변인군을 분석한 결과, 사회환경 변인군이 청년 자살행동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배경 변인군, 개인 변인군, 가족환경 변인군, 사회문화 변인군 순으로 청년 자살행동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각 변인군별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배경 변인군에서는 나쁜 건강상태, 학대경험 등이 청년 자살행동을 가장 잘 예측하였고, 자살노출 경험, 연령, 성별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변인군에서는 우울이 자살행동을 가장 잘 예측하고 있었고, 자기침묵, 무망감, 속박감, 충동성 순으로 효과크기가 컷다. 사회환경 변인군에서는 취업스트레스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고, 지각된 생활스트레스, 인간관계스트레스, 정서중심대처, 학업스트레스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문화 변인군의 경우, 인터넷 중독 변인 하나만 포함되었는데, 이는 청년층에서도 인터넷 중독 변인이 자살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변인군 별로 구분하지 않고 청년층 전체를 대상으로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우울이 청년 자살행동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취업스트레스, 지각된 생활스트레스, 낙관성, 학대경험, 가족관계 스트레스 순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청년 자살행동 관련 변인을 찾아냄으로써 청년 자살 예방과 상담적 개입을 위한 유용하고 실증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청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후속 연구들의 방향성과 접근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youth suicide behavior and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related factors comprehensively. To this end, 38 domestic academic and academic papers on youth suicide behavior published from 2000 to August 2019 were analyzed by meta-analysis and classified as five variable groups and 24 sub-variates to see which variables were more related to youth suicide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classifie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behavior of young people's suicide into five groups: the background group, the personal group, the family environment group, the social environment group, and the social culture group. Second, the analysis of the five variable groups showed that the social environment variable group was the best predictor of youth suicide, followed by the background variable group, the individual variable group, the family environment variable group, and the social culture variable grou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ze of the effects of each variable group, in the background group, poor health conditions was the best predictive of the youth's suicide behavior, followed by experience of abuse, the suicide exposure experience, age, and gender. In the personal variable group, depression was the best predictive of suicide behavior, followed by self-silence, ignorance, bondage, and impulsiveness. In the family environment variable group, the effect size of family relationship stress was the largest, and open family communication was shown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ariable group, the effect size of employment stres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perceived life stress, human relations stress, emotional treatment, and academic stress. The social culture variable group included only one Internet addiction variable, and the Internet addiction variable also showed a significant prediction of suicid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the entire variable without distinguishing the variable group, depression was foun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youth. In addition, it showed high effects in the order of employment stress, perceived life stress, optimism, experience of abuse and family relationship stress. Through this study, empirical basic data for youth suicide preventi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 could be presented by finding variables related to youth suicide behavior.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able to present follow-up research directions for youth suicide prevention and related studies. Th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exclu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