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지방·고단순당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느릅나무 유백피의 항당뇨 효과

        김하나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당뇨병(Diabetes mellitus)이란 인슐린 분비와 작용의 결함으로 탄수화 물, 지방 및 단백질 대사의 장애가 생겨 만성 고혈당을 특징적으로 나타 내는 대사장애질환이다. 당뇨병 환자의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는 식이요 법, 운동요법, 약물요법을 실시하여 혈당을 정상 수준에 가깝게 유지하 는 것이지만, 약물요법은 여러 가지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므로 천연물 에서 항당뇨 생리활성 물질을 발굴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이다. 느릅나무 유백피는 in vitro에서 α-glucosidase 저 해활성이 우수하므로 항당뇨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제 2형 당뇨병을 식이로 유도한 실험동물에서 느릅나무 유백피의 항당뇨 효과를 체계적으 로 조사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고단 순당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느릅나무 유백피의 혈당 조절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7주령의 C57BL/6J 마우스를 세 군으로 나눠 대 조군(Control group, CON)에게는 65%의 전분, 5% 옥수수유가 함유된 식 이를, 고지방·고단순당 식이군(High-fat high–sucrose, HFHS)에게는 10.1%의 전분, 33%의 지방, 3%의 옥수수유, 27%의 단순당이 함유된 식 이를 느릅나무군(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UD)에게는 느릅나 무 추출물을 0.5% 수준으로 함유한 HFHS 식이를 12주간 제공하였다. HFHS군의 공복혈당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UD군의 공복 혈당은 HFHS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HFHS군의 혈청 인슐린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UD군의 인슐린 농도는 HFHS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 이는 없었다.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값은 HFHS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UD 군의 HOMA-IR값은 HFHS군에 비해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성지방 농도는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HFHS군의 총 콜레 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UD군은 HFHS군 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UD군의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농도는 HFHS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 대조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UD군의 Glutathione (GSH) 농도는 HFHS군이 비해 증가하였고 대조군에 비해 유 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고지방·고단순당 식이섭취로 인해 당뇨병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느릅나무 유백피 추출물은 고혈당 및 인슐 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glutathione을 증가시키고 TBARS 농도 를 감소시켜 항산화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Diabetes mellitus is a metabolic disorder characterised by chronic hyperglycemia resulting from defects in insulin secretion and action. The primary treatment goal for individuals with diabetes is to maintain blood glucose levels as close to normal as possible through dietary, exercise, and medication interventions. However, oral hypoglycemic agents for type 2 diabetes often have various side effects. Therefore, numer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natural compounds with antidiabetic propertie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UD) has excellen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 vitro.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examining the effects of UD in experimental animals with diet-induced type 2 diabete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diabetic effects of UD in mice fed a high-fat, high-sucrose (HFHS) diet. Six-week-old C57BL/6J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fter one week of adaptation. The control group was fed a basal diet for 12 weeks. The HFHS group was given an HFHS diet containing 10.1% corn starch. 27% sucrose, 3% corn oil, and 33% lard. The UD group was fed the HFHS diet containing 0.5% UD extract, respectively. The serum glucose levels in the HFH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showed a reduction in the group treated with UD (p<0.05). Serum insulin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H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ended to decrease in the UD group. The HOMA-IR values of the U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HFHS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s among the three groups (p<0.05). Th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the HFH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UD consump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cholesterol levels compared to the HFHS group (p<0.05). The TBARS levels in the HFHS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sumption of UD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s in these parameters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HS group. Glutathione concentration in the UD group increased compared to the HFHS group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could improve insulin resistance and hypoglycemia and alleviate oxidative stress in mice a fed high-fat, high-sucrose diet.

      •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아동센터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김하나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코칭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시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 10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다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 10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팀활동과 일대일 코칭을 포함한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주3회 12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검정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대한 검사를 사전, 사후로 나누어 실시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코칭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체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에는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진로코칭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체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개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종속변인인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대해 사후검사에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주관적 경험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진로코칭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세부 활동 중 가장 유익하고 좋았던 프로그램은 일대일 코칭이라고 응답하였다. 결과적으로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실험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모두 향상되었고 이로서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진로교육에 있어서 진로교육, 진로상담, 진학상담과는 다른 방법인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areer coach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For this study, ten first and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community child center in Jeju City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 group and ten students from different community child center from outside of Jeju City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career coaching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which included team activities and one-to-one coaching. Each session was 120 minute long, and was held three times a week.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observed o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coaching sessions for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areer coaching program on the experiment group contributed to significant change in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2. Career coaching program on the experiment group contributed to significant change in career maturity in every subdivisions. 3. The post test showed significant change 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hich wer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expe 4. The analysis of subjective experience of students attended career coaching program showed that the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program helped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fore they participated the program and chose the one to one coaching as the most beneficial and instructiv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aching program is a meaningful program to enhance the career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sts. Th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the generalized programs for the various groups. As a result, the effectiveness of career coaching program was verified because both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the career coaching program had been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take part in the program. There is a further significance since this research suggested career coaching program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ways of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such as career consulting and admission consulting.

      •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 영향요인

        김하나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도 및 약물복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Y시와 B광역시, M시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및 의원에서 혈액투석치료 중이거나, 신장병 환우모임 혹은 신장장애인협회에 소속된 혈액투석환자 14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2월 1일부터 2017년 1월 15일까지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약물이행도를 측정하기 위하여Morisky 등[23]이 개발한 약물이행도 측정도구 MMAS-8(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8)을 사용하였고, 약물복용행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윤수[15]가 개발한 약물이행관련요인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 후 간호학 교수 1인, 내과간호사 20인에 의해 내용타당도를 검증 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ANOVA, S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co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7.9세였고 50대가 46명(32.9%)으로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120명(85.7%), 동거인이 있는 경우가 102명(72.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교육정도는 고졸 67명(47.9%), 중졸 26명(18.6%), 대졸이상 25명(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은 117명(83.6%)이 가지고 있지 않으며, 종교는 87명(62.1%)이 가지고 있었다. 혈액투석기간은 5년 이상-10년 미만이 33명(23.6%)으로 가장 많았고, 투석원인질환은 당뇨병 56명(40.0%), 고혈압 54명(38.6%)으로 나타났다. 비처방약 복용여부는 127명(90.7%)이 복용하지 않고 있었고, 하루 동안의 약물복용빈도는 평균 2.48회로 나타났으며 하루 동안의 복용하는 약물개수는 11-15개가 46명(32.9%), 6-10개 37명(26.4%), 16-20개 28명(20.0%)으로 나타났다.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대해서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84명(60.0%)이었고, 대상자의 37명(26.4%)이 약물 부작용 경험이 있으며, 약물 복용 시 불편함은 63명(45.0%)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약물 부작용 중 소화기계 관련이 23명(28.4%), 심혈관계 관련 12명(14.8%), 신경계 관련 11명(13.6%), 약물복용 시 불편함 중 약물의 특성(가루형태, 제형이 큼 등)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 대상자가 32명(33.3%), 약물개수가 많음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 대상자 26명(27.1%), 약물복용을 자주 잊어버림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낀 대상자 12명(12.5%)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약물이행도 평균 점수는 6.34점(8점 만점), 약물복용행태의 총 평균 점수는 41.1점(72점 만점)이었다. 약물복용행태의 하부영역인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은 평균 점수 2.61점(4점 만점),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은 평균 점수 1.89점(4점 만점), 약물 복용에 대한 지식은 평균 점수 2.56점(4점 만점), 약물 복용에 대한 태도는 평균 점수 2.10점(4점 만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약물이행도의 차이는 주관적인 건강상태(F=5.21, p=.007), 약물 부작용(t=-2.18, p=.031), 약물복용 시 불편함(t=-4.2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약물이행도와 약물복용행태의 상관관계는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r=.46, p<.001)이 약물이행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r=-.35, p<.001)은 약물이행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약물이행 영향요인을 분석해본 결과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35, p<.001),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22, p=.004), 약물복용 시 불편함(=-.20, p=.010)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영향요인들이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도를 29%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 종합해 볼 때,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약물이행도와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 약물 복용에 대한 거부감과의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약물 복용에 대한 기대감, 약물에 대한 거부감, 약물 복용 시 불편함이 약물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혈액투석환자에게 맞는 약물이행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추후 혈액투석환자의 약물이행도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 한국 노인소비자의 만성통증 대처전략 유형화와 사회문화적 해석

        김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의 노인소비자가 만성통증을 경험하고 대처하는 과정을 맥락적으로 살펴보고, 통증 대처전략의 특성에 따른 유형화를 시도하여 사회문화적으로 해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빠른 고령화와 베이비붐 세대의 노인인구 합류로 인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노인소비자의 통증관리는 필수적이고, 특히 그들이 오랜 시간 지속되는 만성통증에 대처하는 행동방식은 효과적인 통증관리와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대해 의학에서는 노인 의료소비자의 통증 치료에, 간호학에서는 통증 중재관리에, 심리학에서는 통증으로 인한 우울감 및 삶의 질 측정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만성통증을 느끼는 노인 의료소비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의료소비주의 트렌드에 걸맞는 접근이 부족한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소비자의 만성통증에 대한 대처행동을 측정하여 해석하기 위해 서양에서 개발되어 널리 쓰이는 CSQ(Coping Strategy Questionnaire) 척도를 한국에 적용하였다. 먼저, CSQ를 사용하여 한국 노인소비자들이 만성통증에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한 요인구조를 파악한 후 유형화하였다. 더불어 한국 노인소비자에게만 적용되는 대처 행동에 대해 보다 더 심층적인 해석의 뒷받침을 위해 사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그럼으로써 그들의 대처 행동 유형별 특성에 대해 사회문화적 해석을 시도하고 논의하며 함의를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U대학병원 정형외과 외래에 내원하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로 제한하는 판단표본추출을 통해 실시하였고, 자료의 수집은 2019년 2월 11일부터 2019년 5월 10일 까지 진행하여 유의한 설문지 205부가 통계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for Window 17.0프로그램, AMOS 22프로그램, MULTILOG 7.03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FA), 확인적 요인분석(CFA), 문항분석(IRT), 신뢰도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 및 일원산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CSQ의 각 유형별 사례를 추출하여 실시한 사후 심층면접은 2019년 11월 30일부터 2019년 12월 5일까지, 개방형 질문형태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와 그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통증대처 요인구조에 대한 해석이다. CSQ 설문문항 48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문항분석, 최종 확인적 요인분석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한 결과 총 14문항 3요인(조절적 대처, 회피적 대처, 파국적 대처)이 나타나 기존의 타문화권이나 국내선행연구의 결과와 다른 요인구조를 보였다. 그동안 선행연구에서는 통증에 대한 대처행동으로 타인이나 신과 같은 외부적인 힘에 의지하여 기도를 하거나 희망하는 전략이 대표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노인소비자들에게는 기도와 희망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우리나라가 현재 의료보험제도의 편의성, 교통의 발달, 수많은 의료정보로 인해 의료접근성이 좋은 상황이어서 외부적인 힘에 의지하기보다는 스스로 적극적인 행동으로 통증에 대처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또한 통증감각의 재해석, 통증감각의 무시와 같은 대처전략도 서양의 통증대처 요인구조에 비해 약하게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높은 노인소비자들에게 스스로 감각을 통제하는 대처전략은 공감이 어려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심층면접의 결과에서도 감각의 통제보다는 주변인에 대한 생각을 기저에 두고 정신력의 통제를 더 사용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이어서 통증대처 유형화에 대한 해석이다. 한국 노인소비자들의 통증 대처행동을 CSQ의 척도개발로 정제된 3요인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절적 대처형, 전방위적 대처형, 파국적 대처형의 3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 째, 조절적 대처형은 비교적 젊은 노인층(50-56세)으로 미혼자녀와 함께 동거하며 스스로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유형이다. 시작되는 만성통증에 대해 상실감을 느끼지만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태도로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운동, 긍정적인 생각으로 대처행동을 하고 있다. 통증 기간이 짧고, 통증정도도 다른 집단에 비해 약하게 느끼며, 아직 미혼인 자녀와 함께 동거하기 때문에 파괴적인 생각 보다는 스스로 다양한 감정집중 전략을 사용해 통증에 대처하는 행동을 하며, 자신의 존재가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 번째, 전방위적 대처형은 우리나라 베이비 붐 세대를 포함한 연령층(57-70세)으로 자녀의 수는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많지만 부부만 살거나 노령의 부모님과 동거하는 경우가 많았다. 스스로 매우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고, 치열한 삶의 시기가 지났지만 자녀를 출가시킨 뒤에도 손주를 봐주거나 부모부양의 의무를 짊어지고 통증스트레스까지 얻었다. 그래서인지 통증정도도 가장 높았고, 통증 대처의 모든 요인이 다 높게 나타났다. 만성통증에서 벗어나고자 통증이 주는 슬픔을 이겨내려 하고, 동시에 자신의 상태에 대해 주변인의 공감을 원하고 있었다. 그들은 모든 대처행동을 전방위적으로 시도하는, 어쩌면 가장 대표적인 한국 노인소비자의 모습을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는 유형이다. 세 번 째, 파국적 대처형은 고령의 노인층(71세-87세)이 많고 이혼, 별거, 사별 등으로 인해 혼자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다른 집단에 비해 스스로를 건강하다고 생각하고, 가장 교육수준이 높은 유형이지만 통증에 대한 대처행동은 파국적 성향을 보였다. 이 유형은 높은 학력으로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있고, 노화로 인한 신체기능 상실에 대한 인지가 있기 때문에 스스로 건강한편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내면에서는 스스로 건강하다는 생각과 다가올 죽음에 대한 서글픈 생각 사이에서 갈등하며 긴 시간 경험하는 만성통증에 대해 더 이상 참지 못하고 함몰되는 형태를 보였다. 위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CSQ를 한국에 적용하여 퇴행성 관절염을 경험하는 노인의 통증대처전략에 따라 그들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에 따른 사회문화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고령화시대에 생물학적으로 신체 기능 저하가 동반되는 노인소비자의 경우 만성통증은 건강한 삶의 영위를 침해하는 커다란 요소이기 때문에 그 통증에 대처하는 노인소비자의 행동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가 한국 노인소비자의 만성통증 대처 행동을 해석하기 위해 여러 국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중인 CSQ의 요인구조를 파악하여 타당성을 검증했다는 점은 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통증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CSQ를 통한 유형화를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통증대처에 대한 유형별 특성에 대해 사회문화적인 이해의 가능성을 확장해 주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통증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의 이해를 통해 통증전문심리상담사, 노인소비자 유형별 맞춤식 치료지침 등 제도적 제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퇴행성 관절염으로 인해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노인소비자를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대상자 선정 편향(selection bias)의 문제가 있고, CSQ 적용에 있어 나타난 문화적 타당도의 문제, 동시타당도의 검증 부족과 같은 제한점이 있음을 밝히고, 추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experiencing and coping with chronic disease of elder consumers of Korea in context, and to classify characteristics of pain coping strategy to interpret them socially and culturally. Pain management of rapidly increasing elder consumers due to aging and joining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old population is essential, and specially, their behavior of coping with prolonged chronic pain is an important issue related with effective pain management. Medical science is researching this issue by focusing on pain treatment of elder medical consumers, nursing science on pain intervention, and psychology on depression by pain and measuring quality of life. There is insufficient approach appropriate for the trend of medical consumers as figuring out what elder medical consumers with chronic pain truly want.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the widely used CSQ(Coping Strategy Questionnaire) in Korea which was developed in the west to measure and interpret coping behavior for chronic disease of elder consumer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and classified the factor structure using CSQ about how Korean elder consumers cope with chronic pain. Also, post-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support a deeper interpretation of the coping behavior that only applies to Korean elder consumers. In doing so, this study intended to attempt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and discuss characteristics by type of their coping behavior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that limited samples to degenerative arthritis patients who visit orthopaedic outpatient department of U university hospital, and the collected data from Feb 11 to May 10, 2019 of 205 copies of significant questionnaire were used on statistic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item analysis(IRT), credi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 analysis, one-way ANOVA, and post-hoc comparison using SPSS for Window 17.0 Program, AMOS 22 Program, and MULTILOG 7.03 Program. The post-indepth interview conducted in this study by extracting cases by type of CSQ appeared in research result was progressed in open-ended questionnaire format from Nov 30 to Dec 5, 2019.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ir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 interpretation of the pain coping fact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em analysis, and fin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peatedly on 48 questions of CSQ, total 14 questions and 3 factors(regulative coping, withdrawal coping, catastrophic coping) appeared that showed a different factor structure from existing other cultures or results of domestic precedent studies. In precedent studies, praying and hoping on external power as others or God appeared as a representative coping behavior for pain. However, prayer or hope did not appear in elder consumers of this study. This signifies that people cope with pain actively themselves instead of depending on external power because they have good access to medical care by convenience of health insurance system,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a wealth of medical information. Also, coping strategies as reinterpretation of sensations associated with pain and ignoring a sense of pain appeared weaker than the pain coping factor structure of the West. This signifies that a coping strategy of controlling senses is difficult to relate to for elder consumers.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support these results as control of one's mind was used more based on the opinion of surrounding people than control of the senses. Next is an interpretation of the type of pain coping.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3 purified factors by scale development of CSQ, pain coping behavior of Korean elder consumers was classified into 3 groups as adjustable coping type, all-round coping type, and catastrophic coping type. First, the adjustable coping type was the relatively young elderly(50-56 years old) who live with unmarried sons and daughters and feel unhealthy. They felt a sense of loss about their chronic pain but were conducting coping behavior with positive mind as exercising to control pain with constructive and stable attitude. They had a short period of pain and felt less pain than other groups, and they dealt with pain through various strategies of concentrating on their feelings than thinking destructively because they were still living with their unmarried sons and daughters and wanted to confirm their value of existence. Secondly, the all-round coping type was the age group including the baby-boomer generation of Korea(57-70 years old) who had the most children than any other group but do not live with children or live with their elderly parents. They feel very unhealthy themselves, and they even got pain stress by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or supporting their aged parents. Therefore, the degree of pain was the highest and all factors of pain coping were high. They were trying to overcome the sadness caused by pain to be free of chronic pain, and at the same time, they wanted empathy from people around them about their condition. They were probably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of Korean elder consumers who attempt every coping behavior in all-encompassing way. Thirdly, the catastrophic coping type was mostly the elderly group(71-87 years old) who live alone by divorce, separation, or bereavement. The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healthy compare to other groups, and had the highest education level but showed a catastrophic coping behavior for pain. This type with a high level of education had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pain management, and considered themselves to be quite healthy because they had recognition of the loss of bodily functions due to aging. However, they were experiencing conflicting emotions inside of considering themselves to be healthy and sad emotion about the approaching death, and could not tolerate the chronic pain that they have experienced for a long time and broke down. As stated above, this study classified elders suffering from degenerative arthritis by applying CSQ in Korea according to their pain coping strategies, and attempted sociocultural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Coping behavior against pain of elder consumers has a very important significance because chronic pain is a big factor that infringes upon the dignity of life of elder consumers with biologically impaired bodily functions in this era of aging popul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and verified validity of the factor structure of CSQ that is being used in different countries and in various fields to interpret coping behavior against chronic pain of Korean elder consumers. Also, this study classified through CSQ when there are insufficient pain researches, and has expanded the possibility of sociocultural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by type of pain coping by conducting further in-depth interview. Moreover, this study discussed institutional suggestions as customized treatment guideline by type of pain specialist psychology counselor and elder consumer through the sociocultural understanding of pain. Also, this study had a problem of selection bias of research subjects because this study has limited research subjects to elder consumers on medication for degenerative arthritis, and stated to have limitations as insufficient validation for cultural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at appeared in CSQ application.

      • 보름달 상황에서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빛의 진행에 대한 개념 비교

        김하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보름달이 보이는 상황에서의 초등학교 5학년 과학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빛의 진행에 대한 개념을 비교하여 해당 단원에서의 교수․학습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름달이 우리 눈에 보이기까지의 과정에는 태양, 지구, 달의 상대적인 위치 뿐 아니라 빛의 진행에 대한 개념도 관련이 있다는 가정 하에 학생들의 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조사 및 개별 면담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청주시의 영재학급 및 교육청 영재교육원 학생 53명과, 일반 학급 학생 33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름달 상황을 설명하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태양, 지구, 달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유형 조사 결과 지구-달(E-M), 지구-태양-달(E-S-M), 태양-달-지구(수직), 태양-달-지구(수평), 태양-지구-달(S-E-M)의 순서로 설명하는 모습을 보였다. 과학 영재 학생의 89%가 과학적인 순서인 태양-지구-달(S-E-M)의 개념 유형을 보였고, 일반학생의 46%는 태양-달-지구(수평)의 개념 유형을 보였다. 일반학생 중에서 과학적 순서인 태양-지구-달(S-E-M)의 개념 유형을 가진 학생은 30%에 불과했다. 둘째, 학생들이 보름달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하는 빛의 진행 개념에는 ‘광원’, ‘빛의 경로’, ‘빛의 반사’가 있었으며, 각각의 범주에서 과학 영재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보다 과학적 개념을 정확히 설명하고 있었다. 특히 광원 범주에서 ‘태양이 점광원의 집합으로 한 점에서 빛을 방사형으로 방출한다(Ssm)’는 과학적 개념을, 빛의 반사 범주에서 ‘빛이 달 표면에서 난반사한다(Rri)’는 과학적 개념을 가진 학생이 과학 영재 집단에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5학년 과학 영재 학생들은 일반 학급의 학생들보다 보름달 상황에서의 천체의 상대적인 위치와 빛의 진행에 대하여 과학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영재학생들의 89%가 태양-지구-달(S-E-M)의 과학적 순서로 보름달 상황을 설명하고 있는데 비해, 일반 학급의 학생들 중에서는 46%가 태양-지구-달(S-E-M)의 과학적 순서로 보름달이 우리 눈에 보이는 상황을 설명하였다. 또한, 과학 영재 학생들의 ‘광원’, ‘빛의 경로’, ‘빛의 반사’에 대한 개념은 일반 학급의 학생들보다 과학적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의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개념이 빛의 진행에 대한 개념과 바르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지도가 필요하며,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과학적 개념의 형성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상 개념의 제시 순서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청년직장인의 여가 활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하나 경성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년직장인의 여가활동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적합한 19세~34세 이하의 연령대로 면담 시점 3개월 이상 지속하고 있는 여가 활동이 있는 청년직장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의 거주지와 면담 가능 시간,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 연구참여자의 의사에 따라 대면 또는 화상면담으로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은 연구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녹화하였다. 연구를 위한 인터뷰는 2022년 6월부터 2022년 9월까지 90분씩 2회 진행되었고, 필요시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이 끝나면 축어록을 작성하고 Giorgi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과 해석의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청년직장인의 여가 활동 경험에 대한 181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고, 35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묶은 뒤 10개의 구성요소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구성요소는 ‘나를 위한 여가 활동 시작’, ‘직징인이 된 후 여가 활동에 변화가 생김’, ‘좋아하는 만큼 내가 극복해야 하는 현실의 어려움’, ‘여가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또 다른 노력’, ‘나를 위한 시간이 되어 행복함’, ‘다양한 관계를 통해 나의 삶에 긍정적 영향’, ‘소진되지 않도록 일과 생활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됨’, ‘나의 삶에 일만큼 여가 활동 또한 중요함’, ‘내 삶의 중요한 가치와 나의 여가’, ‘나의 여가 활동 경험에 대한 정리’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직장인에게 여가 활동은 ‘일이 없어 남는 시간에 하는 활동’이라는 개념을 넘어서 필수적이고 중요한 활동이다. 여가 활동을 통해 몸과 마음을 돌보며 긍정적 에너지를 얻고, 나에게 집중하고 내가 살아있음을 느낄 수 있어 자신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한다. 둘째, 자신의 몸와 마음의 건강을 돌보기 위해 여가 활동을 지속하게 되었다. 셋째, 직장인이 된 후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경험할 수 있는 여가의 폭이 넓어지고 비용이 드는 여가 활동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청년직장인들이 여가 활동에 열심히인 이유는 여가 활동을 하며 나에게 집중할 수 있고, 나라는 사람이 살아있음을, 그 순간 꾸며지지 않은 내 모습을 볼 수 있어 행복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다섯째, 일만 하고 살 수 없고 내가 좋아하는 활동을 통해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여가 활동을 하는 순간 뿐만 아니라 기다리는 시간도 행복하고 찌들어 있는 삶 속에서 벗어나 힐링되는 활동 그 자체만으로도 즐겁고 일상을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여섯째, 여가 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며 성장하고 싶어 한다. 현재의 목표를 이루고 난 뒤에는 내가 하고 싶은 여가 활동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며, 앞으로도 꾸준히 해나가고 싶은데, 질리지 않도록 계절별로 즐길 수 있는 휴식과 쉼을 주는 다양한 여가를 만들고, 계속해서 새로운 걸 하면서 조금씩 더 경험치를 늘려 성장하고자 한다. 일곱째, 청년직장인의 여가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는 연구참여자에게 자신의 여가 활동 경험을 나누며 생각보다 여가를 자신의 삶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자신의 삶에 여가가 어떤 의미인지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관을 정리해보고,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앞으로의 여가도 계획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는 청년직장인들의 여가 활동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해봄으로써 청년직장인의 여가 활동에 필요한 실질적 요인들을 탐색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청년직장인을 삶을 질을 높일 수 있는 여가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bout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f young office workers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experience. To this end, the study participants suitable for this study are 19 to 34 years of age young office workers with leisure activities that have lasted for more than 3 months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were selected, and data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Considering the study participants' residence, available time for interviews, and COVID-19 situation, the study participants' intention was conducted face-to-face or video interviews, and this process was recorded and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study participants. Interviews for the study were conducted twice for 90 minutes from June 2022 to September 2022,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if necessary. After the in-depth interview, a dictionary was written and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was performed using Giorgi's research method. As a result, 181 semantic units for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f young office workers were derived, grouped into 35 sub-components, and then categorized into 10 components. The componen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re 'Starting leisure activities for me', 'Changing leisure activities after becoming a direct person', 'Difficulties in reality that I have to overcome as much as I like', 'Another effort to continue leisure activities', ‘Happy to be a time for me’, ‘Positive influence on my life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Driver to balance work and life so that it does not burn out," "leisure activities are as important as work in my life," "Important value of my life, and "Summary of my leisure experienc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First, for young workers, leisure activities are essential and important activities beyond the concept of 'activity in the remaining time without work'. Through leisure activities, I can get positive energy by taking care of my body and mind, focus on myself, and feel alive, so I recognize it as a very important part of my life. Second, he continued his leisure activities to take care of his body and mind's health. Third, after becoming an office worker, the scope of leisure that can be experienced as economically stable has expanded, and leisure activities that require costs can be freely selected. Fourth, the reason why young workers are working hard on leisure activities is that they can focus on me while doing leisure activities, and they feel happy to see me alive and unpainted at that moment. Fifth, because I can't work and live and grow through my favorite activities, not only the moment I do leisure activities but also the time I wait is a driving force for me to live a pleasant and daily life. Sixth, I want to grow up with various experiences through leisure activities. After achieving my current goal, I want to have fun doing leisure activities that I want to do, and I want to continue to do it steadily, create various leisure activities that give me rest and rest by season so that I don't get tired of it, and continue to increase my experience little by little. Seventh, research on the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f young workers gave research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what leisure means in their lives, and to organize important values in their lives and plan future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values.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practical factors necessary for leisure activities of young workers by understanding the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s of young workers, and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leisure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 workers.

      • 리더십 유형이 리더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능성과 관계성의 매개효과

        김하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task-oriented leadership and relation-oriented leadership on leaders’ work engagement, mediated by their perceived competence and relatedness. Data was collected from 389 leaders. The results showed that leaders’ perceived compet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oriented leadership and leader’s work engagemen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leader’s perceived competence and relatednes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relation-oriented leadership on leaders' work engagement.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on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leadership behavior on leaders’ work engagement. 본 연구는 과업지향 리더십과 관계지향 리더십이 리더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리더가 지각하는 유능성과 관계성이 매개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리더 역할을 수행 중인 직장인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업지향 리더십은 리더가 지각하는 유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를 통해 리더의 직무열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업지향 리더십과 리더의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유능성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관계지향 리더십은 리더의 직무열의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가 지각하는 유능성과 관계성 모두에게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리더의 직무열의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관계지향 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유능성과 관계성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리더십이 리더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며, 리더십 행동 유형에 따라 리더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서로 다른 경로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한국과 프랑스 중등교육에서의 언어ㆍ문화 교육 비교

        김하나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Une langue reflète la culture de ceux qui parlent cette langue. En d'autres termes, la langue montre un aspect de la culture. Alors, Apprendre une langue étrangère, c'est non seulement acquérir les savoirs linguistiques, mais aussi apprendre le point de vue, la mode de pensée et la culture de ceux qui la parlent. De nos jours, dans l'enseignement de la langue étrangère, l'enseignement de la culture s'occupe une place de plus en plus important. Puisqu'à mesure que les échanges économiques s'accroissent les besoins de la culture augmentent également. Tenant compte de cette situation, j'ai essayé de montrer l'aspect de la langue et la culture dans l'éducation secondaire de la Corée et en France. Pour cela, j'ai examiné premièrement les concepts généreux et les relations de la langue et la culture qu'on définit généralement. Ensuite, j'ai tenté de saisir la situation actuelle de l'éducation secondaire en France et en même temos, j'ai examiné la méthode de l'enseignement de la langue et la culture dans les régions de ce pays. Derenièrement, j'ai exeminé les méthodes et les problèmes de l'enseignement de la langue étrangère et en particulier, ceux de l'enseignement française, en tenant compte de la situation actuelle de l'enseignement secondaire en Corée. J'ai également analysé les matériaux et les sites internets française et j'ai montré les dossiers pédagogiques afin d`améliorer la méthode éfficace de l'éducation de la langue et la culture française en Corée. Enfin, dans cette étude, j'ai essayé d'arranger et montrer les problèmes et les solutions de l'enseignement de la langue et la culture française en Corée, fondé sur les contenus que j'ai montré dans tous les chapitres. Il nous reste à effectuer l'utilisation pour clarifier l'efficacité de ma recherc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