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시·박람회의 효율적인 통합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 전문전시장 식품/음식 전시·박람회 사례 분석

        민철기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본질은 식품/음식을 주제로 하는 전시ㆍ박람회는 일반 산업 전시ㆍ박람회와는 구별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식품/음식 전시ㆍ박람회만의 특징적인 통합마케팅 전략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식품/음식 관련 전시ㆍ박람회 개최를 위한 효율적이고 합목적적인 통합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전문전시장 10곳의 식품/음식 관련 전시ㆍ박람회 개최 현황에 대한 전수 조사 결과로 13개의 개최 현황이 파악되었으며, 그 중에서 전문가그룹의 자문을 받아서 전시참가업체 규모와 관람객 수가 비슷한 식품/음식 전시ㆍ박람회를 대상으로 최종 5개의 사례를 선정하였고, 각 사례별 식품/음식 전시ㆍ박람회를 개최한 주최사, 주관사의 통합마케팅 담당자들의 경험과 인식의 해석 과정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인터뷰를 통한 내용과 획득된 자료를 기반으로 세부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통합마케팅의 제작 및 집행은 대부분 주최, 주관사의 실무 담당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대부분이 사전 기획에서 집행까지 1인~3인의 전임제로 운영되며, 별도의 총괄대행사나 광고/홍보전문대행사를 운영하더라도 실무담당자의 책임 하에 기획, 제작, 운영되고 필요에 의해 조직 내부 TFT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둘째, 통합마케팅의 비용은 각 사례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략적으로 전체 예산에 10%~20%에서 설계되고 있는데, 해외 통합마케팅의 집행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례에서 조금 더 많은 비용을 집행하고 있었다. 셋째, 통합마케팅의 기대기간과 실제기간에는 다소의 차이를 보였는데, 집행 시기는 대부분이 6개월에서 1년 전에는 시작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3개월에서 6개월 전부터 집행을 하고 있다. 이는 사전 계획의 지연, 예산 부족, 습관적 시기 조절 등의 문제로 개선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체계적으로 계획된 통합마케팅 전략수립이 시급하다. 넷째, 통합마케팅의 매체계획 목표는 전시ㆍ박람회를 통한 국가 간, 참가업체간, 관람객과의 비즈니스와 정보 교환의 장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가장 중요시 생각하며 이를 위한 활동으로는 사전 기획 및 보도자료 작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의 기반은 사전 철저한 시장 조사와 매체/언론 관계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고 사후 통합마케팅에 대한 효과분석과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의 경우 지역사회 및 주민과의 관계증진도 중요한 요소이며, 국외의 경우 재외공관 및 교민사회와의 관계증진도 중요한 요소로 분석된다. 다섯째, 각 사례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본다면 통합마케팅 수단으로 중요한 것은 TV NEWS 보도, 방송프로그램의 협조, 신문 보도기사 등 IMC를 통한 광고 분야보다는 MPR 등의 홍보/PR 분야가 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전시ㆍ박람회라는 특성상 통합마케팅 수단에서 광고의 영역을 배제시킬 수는 없으며, 매체 각각의 독립적인 개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TV-SPOT 광고, 라디오 광고, 신문 광고, 인쇄물 제작, 현수막 제작, 온라인 광고 등의 전략적 IMC 활동이 기반이 된 상태에서 홍보/PR이 복합적으로 집행될 때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나 식품/음식 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통합마케팅 수단에 대한 실무담당자들의 의견은 조금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조금 더 주의 깊게 살펴볼 것은 전시ㆍ박람회의 통합마케팅 수단이 식품/음식이기 때문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관람객의 대상에서 기인한다는 것이다. 즉, Main Target이 식품/음식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주부, 여성층이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의견을 견지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특수 박람회’로 구분되어야 하고 그에 맞는 통합마케팅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합마케팅의 사전 계획 및 집행도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통합마케팅의 효과적 매체를 이러한 Main Target의 성향이나 라이프사이클에 맞추어 해당 식품/음식 전시ㆍ박람회에서 적용하는 것이 Target Marketing Coverage를 확보하는 방법이며, 마케팅에서 분석된 연구 자료를 토대로 적절하게 배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산업 전시ㆍ박람회에 비해 식품/음식 관련 전시ㆍ박람회는 예산 규모가 작고 실소비자 위주로 운영되기 때문에 그에 맞는 Main Target인 주부 마케팅이 철저하게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자칫 이러한 전문적인 전시ㆍ박람회가 Market 개념으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문전시장에서 개최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은 시간적, 상황적 제한과 본 연구자의 부족으로 식품/음식 전시ㆍ박람회의 전문가 그룹에 대한 심층인터뷰에 The essenc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establishing an efficient and purpose-driven integrated marketing strategy to hold food and beverage related exhibitions and displays by studying the unique integrated marketing strategies of food and beverage exhibitions and displays, as they have characteristics distinguishable from other exhibitions and displays for general industries. As for study method, the current situation of 13 cases have been understood as a result of specialized research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food and beverage related exhibitions and displays held at 10 Korea’s professional showrooms, and among them, 5 cases were chosen in the end with similar business scale and number of viewers with the consultation of professional groups. The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the hosting and managing firms that held food and beverage exhibitions and displays were analyzed into details based on the data and contents achiev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y each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creation and execution of integrated marketing is made mainly by administrative managers from hosting and managing companies, mostly operated by 1~3 exclusive persons on duty from planning to execution, and is planned, made, and operated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administrative managers even though a separate general agency of advertisement/PR exclusive agencies run the whole process. Also, if necessary the inner TFT of the organization is to be formed. Second is that the expense of integrated marketing is designed at about 10%~20% of the total budget with some difference by each case, but in cases prioritizing on executing foreign integrated marketing is allocated with more budget compared to other cases. Third is that the expected term and actual term of integrated marketing showed some difference, whereas the execution period was mostly judged to start before 6 months to 1 year, but was executed before 3 to 6 months. The cause of the delay is thought to have not been improved due to postponement of pre-planning, budget insufficiency, and conventionary term adjustment, and establishing a systematically planned integrated marketing strategy is in desperate need. Forth is that the goal of media planning in integrated marketing prioritizes on the purpose of becoming a place of exchanging business and information among nations, participating companies, and viewers at the exhibition and displays, and to do so, pre-planning and writing up new report are thought to be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The foundation to such activities needs fluent communications between strict pre-market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in media and speech, and to find problems through effect analysis and research for post-integrated marketing and make efforts to improve them. Moreover, in case of domestic integrated marketing, improving relationship between local society and its citizens is an essential factor, but in case of foreign,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offices abroad and people residing abroad is analyzed to be important just as well. Fifth is that the publicity/PR field operates more effectively as a measure for integrated marketing rather than the advertisement field through IMC such as TV news broadcasts, cooperation from broadcasting firms, and news reports as a result of making in-depth interviews by each case. However, the field of advertisement cannot be put aside as a measure for integrated marketing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exhibitions and displays, and it is even more effective to execute publicity/PR based on strategic IMC activities such as TV-spot, radio, news advertisement, and print, screen production, and online-advertisement making full consideration of independent individualities of each media. Nonethel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od and beverage, opinions for effective measure of integrated marketing differ by every administrativ

      • 영상유도 체부 방사선 수술 시 환자 맞춤형 정도관리 시스템 연구

        민철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velop customized 3D moving phantom respiratory system called RRSS (Real-time Respiratory Simulation System) that can analyze patient’s breath quantitatively and patient’s breathing pattern. The movement of RRSS was measured quantitatively in both static and dynamic motion. We use self-development analysis software, DDCheck, to do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plemented irregular breathing and analyze the result. Real-time Respiratory Simulation System consist of two robots that can implement the body surface and internal organs movements due to breathing movements. For geometric accuracy, we chose micro-stepping driven method. We produced our control program and assembly for implementing the robot. RRSS can implement movements of body surface and internal tumor motion independently as 3D movements.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3D movements of RRSS was run by real-time quantitative evaluation of 3D movements of RRSS was run by real-time laser displacement sensor in each axis. The evaluation of phantom’s static movement was done by assigning 12 points in each axis. The evaluation of dynamic movement was done by analyzing the comparison between measured value and the calculated value using sine wave of each axis and we repeated the measuring to find out reproducibility. With the patients whose breathing affect movement of their tumor, geometric and dosimetric evaluations were done by self-developed program called DDCheck program.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static movement of the RRSS was about 0.01 ∼ 0.06 mm. Also, i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dynamic movement by producing a formalized sine wave with the phase of four seconds per cyc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and calculated values for each cycle length in the robot that is in charge of body surfaces and the robot that is in charge of the movement of internal tumors showed 0.10 ∼ 0.55 second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calculated and the measured values were 0.998 ∼ 0.999.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ximum and the minimum amplitudes were 0.01 ∼ 0.06 mm, and the reproducibility was obtained within ±0.5 mm. In the case of the application and non-application of respiration, the target errors were obtained by -0.05 ∼ 1.05 mm and -0.13 ∼ 0.74 mm, respectively, and the entire target errors were 1.30 mm and 0.79 mm, respectively. When using gold fiducial tracking method without applying breathing, at the central section, dose difference value was on average 0.25 Gy, difference of average DTA(distance to agreement) value was 1.28 mm, and average value of gamma index was 0.38. The result of evaluating radiation after applying the respiratory data, at the central section, dose difference was 0.27 Gy on average, difference of average DTA value was 1.60 mm, and average value of gamma index was 0.48. When the breathing was applied to patients and non-applied to patients, at the central section, dose difference value was 0.17 Gy on average, difference of DTA was 0.56 mm on average, and average gamma index was 0.45. Based on the accuracy in the RRSS system, irregular respiration patterns of patients can be reproduced in real-time. Also using self- development DDCheck program, we can analyze dose distribution quantitatively according to the respiration. When performing advanced image guided radiosurgery, RRSS and DDCheck program will be useful and optimal tool for patient-specific QA.

      • 1990년대 학생운동의 쇠퇴원인 : 정치적 기회구조를 중심으로

        민철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운동으로서 학생운동의 침체를 규정지을 수 있는 많은 요소들 중에 과연 어떠한 요인들이 90년대 학생운동의 쇠퇴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무수히 지적됐던 학생운동 내부의 문제, 이를테면 폭력성, 이적성, 도덕성, 비민주성과 관련된 문제보다는 학생운동을 둘러싼 외부적인 요인들의 작용을 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사회운동으로서 한국 학생운동의 급격한 몰락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는 작업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크게 일곱 부분으로 구분된다. 먼저 1장 서론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목적을 밝히고, 2장에서는 연구문제와 연구방법을 제시한다. 3장은 이론적 논의에 대한 부분으로 부정적 집합행동과 그에 관한 이론, 긍정적 집합행동과 그에 관한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그 속에서 본 연구가 취하는 입장이 소개될 것이고, 분석틀이 제시될 것이다. 4장은 문민정부 출범 이전의 학생운동과 정권에 대해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문민정부 출범 후의 학생운동의 기반인 학생회의 출현배경과 이후 학생운동의 변화과정이 갖는 의미를 보기 위해서는 군사정권 하에서의 학생운동의 경향성을 어느 정도는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5장은 문민정부 출범 이후 학생운동을 비롯한 대학사회에 변화를 주게 된 사회적 조건들을 찾는 작업이 될 것이며 그 속에서 학생운동은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주목할 것이다. 6장은 90년대 한국사회를 특징짓는 요소로서 신자유주의적 질서 재편이 대학과 사회에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7장에서는 분석결과를 통해 90년대 학생운동의 변화 과정과 사회적 조건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자면, 집합행동론은 사회심리학적인 불만과 같은 요소를 사회운동의 원인이라고 규정한 반면 자원동원론은 이러한 집합행동이론을 비판하면서 운동조직의 자원동원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정치과정론은 정치적 기회구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90년대 학생운동의 쇠퇴 과정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당시 정치적 기회구조political opportunities를 분석할 것이다. 2세대 자원동원론인 정치적 과정론에서 제기한 정치적 기회구조의 개념을 중심으로 운동의 발전과 쇠퇴에 이르는 역동적인 국면을 살펴볼 것인데 이는 현재 학생운동의 모습을 있게 한 구조적 요인들을 살펴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기회구조의 연구를 통해 운동집단의 내적 연구에서 외적연구로의 확장을 꾀할 것이다. 지금까지 운동집단의 내적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운동조직에 대한 연구를 내적 연구로부터 외적 연구로 확장해야 하며 사회운동과 기타 사회제도 및 대중들과의 관계 등 외적 연구로 확장해야 한다는 맥아담McAdam의 지적은 사회운동논의의 외연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정치적 기회구조와 운동조직이 어떤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정치적 기회구조를 네 가지로 설정할 것이다. 맥아담에 따르면 정치적 기회구조는 제도화된 정치체제의 상대적 개방성, 엘리트 제휴체제의 안정성, 엘리트 동맹세력의 존재, 국가의 억압능력과 성향 등의 4가지이다. 그 중 제도화된 정치체제의 상대적 개방성은 문민정부의 등장을 통해, 국가의 억압능력과 성향은 학생운동에 대한 정부와 이에 협력하는 학교당국의 대응 내지 탄압방식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엘리트 제휴제제의 안전성과 엘리트 동맹세력의 존재는 한국사회에서 엘리트 집단을 대표하며 여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언론과 학생운동의 관계를 통해서 살펴볼 것인데 이는 사회운동논의의 외연을 더욱 확장해야 한다는 맥아담의 지적에도 부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치적 기회구조 외에 90년대 한국사회에 중요한 함의를 갖는 신자유주의와 학생운동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 모든 부문이 신자유주의적 정책에 따라 움직이고, 정부뿐 아니라 기타 사회의 모든 부문이 신자유주의의 영향에서 독립적일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강력한 이데올로기이면서 경제정책인 전세계적 흐름의 국내 유입이 정치적 기회구조연구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는 과정이 될 것이다. 연구결과 학생 운동권 내부의 문제도 물론 있었겠지만 그 문제뿐 아니라 대학과 학생운동을 둘러싼 여러 지형들이 학생운동권에게 결코 유리하게 작용하지만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여러 요인들이 중첩되고 접합되면서 학생운동의 위기는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밖에 없었다. 정치적 기회구조로 설정될 수 있는 외부적 조건들이 한국 학생운동의 존재 기반이었던 학생회 매커니즘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했고, 그에 대한 해결책이 쉽게 모색되지 않는 상황에서 정부와 언론에 의한 물리적 탄압 및 이데올로기 공세는 위축되어만 가던 학생회 조직을 더욱 붕괴시켜버렸기 때문이다. 물론 정치적 기회구조가 닫혀 있다고 해서 운동 조직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만은 아니고 반대로 정치적 기회구조가 열려 있다고 해서 운동 조직에 유리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살펴본 바 있다. 7, 80년대 학생운동이 결코 유리하지 않은 정치적 기회구조 속에 있었지만 그것을 유리한 정치적 기회구조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은 학생들과 대중의 지지였다. 하지만 90년대, 특히 문민정부의 출범과 신자유주의의 도입과 이에 따른 지각변동, 그리고 정부의 탄압과 언론의 공세는 운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지기반인 학생들과 대중들부터의 지지를 상실하게 만들었다. 문민정부의 등장이라는 유리한 정치적 기회구조도 사실은 불리한 정치적 기회구조가 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정부와 학교당국, 그리고 언론에 의한 공세는 7, 80년대와 비교했을 때 변한 것이 없지만 다른 정치적 기회구조와 맞물려 학생운동에 대한 지지를 없애버린 결과를 초래했고 학생운동 진영이 공세적으로 유리한 정치적 기회구조를 창출할 수 없게 만들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신자유주의적 질서 재편과 교육정책, 그리고 경제위기 이후의 삶은 운동 자체에 대한 지지는커녕 신경도 쓸 겨를마저 없애버려 운동조직에 심각한 타격을 야기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90년대 학생운동에 신자유주의는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The research will cover what specific features have influenced the stagnation and even an inactivity of the 90's students' political movement. The study examines the internal problems, such as prevalence of violence, absence of ethics, integral anti-democratism, of students' body of political movement. In doing so, the research aims at being the work of looking back at the processes of rapid declination in the students' political participation. The paper consists of seven chapters. The presentation of the topics and the reason for research will be illuminated in the first chapter. The third chapter will cover theoretical background of positive and negative group/social behavior and at the same time present the analytical tools that the study implements. In the fourth chapter, there will be an examination of the students' political movement preceding the Civil Government on the context of the military regime and looks at the character of this military government because to understand the emergence of the haksanghui; the students' political club under the Civil Government, which had been the main body in the students' political participation, it is imperative that we examine it from the historical contexts that descends from the Military Government. Chapter 6 will observe at how the new order, which had been shaped and affected by neo-liberalism, influenced on the academia and society. And finally, chapter 7 reiterates the process and the condition of transition in the 90's students' political movement. To introduc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briefly, while the group behavior theory provides that social-psychological dissatisfaction is the reason behind social movements, the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criticizes this stand and emphasizes organization's ability in mobilizing resources. To understand what factors have affected the declination of students' political movement, this study analyzes the political opportunities with the political process theory which can be translated as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resource mobilization theo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ynamics of political opportunities, this research will develop from internal study to external research. Until now, there have been bursts of research in examining the internal problems of a political organization. However, as McAdam properly notes, the research of political organization should expand to studying external factors, such as relationships of institutions and the public. Therefore, to analyze what mutual influences existed between the political opportunities and political organization, four distinctive political opportunities will be specified and presented in the paper. In addition to political opportunitie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neo-liberalism which is significant factor in the social dynamics of Korea in the 90's and looks at the influence it had on the students' political movement. Every constituent of society cannot stand alone immune to influence from neo-liberalism which acts as powerful ideology in contemporary society, and from this standpoint, it is important that the context of neo-liberalism is included in the study. Concluding the study, it becomes certain that not only the internal problems of political organization played a role in the declination and stagnation of students' political movement, the topography surrounding the political movement has not been particularly advantageous as well. External conditions have afflicted the political movement body and faced with this adverse situation, physical oppression of the government and ideological assaults from the press have completely destroyed the students' political organization. However, closed political opportunity alone does not render an adverse condition i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a political organization and vice versa. The 70's and 80's political movement have faced the same situation and what turned this adverse condition to a success was the enthusiastic support from the general public. What distinguishes 90's from the earlier period is the introduction of neo-liberalism that destroyed the unity among the students and the public taking away the support from th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neo-liberalism have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declination of the political movement and neutralization in academia in the 1990's.

      • 世親(vasubandhu)의 熏習개념연구

        민철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불교종파는 헤아릴 수 없이 많고, 그만큼 많은 개수의 불교학설이 橫行한다. 그러나 불교를 지탱하는 가장 기본적 사유는 四法印(一切皆苦, 諸行無常, 諸法無我, 涅槃寂靜)에 의지하고 있다. 여기서 諸行無常, 諸法無我의 敎說을 풀어 말하자면 이 세상에 "나(a ̄tman)"라고 할 수 있는 존재는 없다는 뜻으로 해석가능하다. 하지만 인도의 문화풍토에서 모든 인간은 윤회를 거듭하는 존재임이 당연시되어 있었기에, 붓다(Buddha)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이전까지의 의미와는 전연 다른 "業"이론을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그전까진 현생의 삶을 지배하는 숙명적인 의미로 이해되었던 業의 개념이 불교에 와서야 연기로 얽혀있는 인간의 현재 행위와 과보를 설명하는 하나의 이론적 장치로 다루어지기 시작한다. 불교에서는 그 業을 만들게끔 하는 궁극적 원인을 인간의 무지, 즉 無名(Avidya ̄)이라고 정의한다. 그 無明으로부터 인간의 마음(心, citta)은 미움, 슬픔, 분노, 집착 등등의 상징조작을 수행해간다. 불교의 이념 및 용어들을 철학적으로 체계화한 阿毘達磨(Abhidharma) 시대의 불교는 이 "業"이론을 붓다가 강조한 "無我"이론과 모순되지 않도록 정비하였고 동시에 인간의 마음에 대한 분석, 즉 心과 心所에 대한 분석작업에 착수하게 된다. 說一切有部논서의 집대성이랄 수 있는 『大毘婆沙論』과 그 강요서인 『阿毘達磨俱舍論』에서는 身業, 語業, 意業으로 業을 구분하고, 業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을 하고 있는 한편으로, 5위 75법으로 세상의 모든 다르마(Dharma, 法)를 분류하는 작업을 통해 인간의 마음을 분석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는 바로 원시불교에서 부터 끊임없이 제기되어온 業과 心의 문제에 대한 그들 나름의 학문적인 정비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원시불교에서는 業이 어떻게 생성되고 다음 생에까지 지속되는 것인가와 인간의 마음이 어떠한 작용을 거쳐서 어떤 심리상태를 유발시키는가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阿毘達磨에 이르러서는 補特伽羅, 窮生死蘊, 有分識, 無表業등등의 개념적 장치가 등장하면서 業에 대한 설명들이 더욱 구체화 세분화되었고 동시에 心의 작용과정 다시 말하면 대상에 대한 인식과정과 그 마음의 소산들 또한 더욱 세분화된 설명으로 다루기 시작했다. 그러나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無我說과 業說을 어떻게 동시에 설명하는가 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說一切有部와 經量部철학과의 논쟁에서 새로운 실마리를 얻은 唯識論師들은 『解深密經』, 『瑜伽師地論』, 『攝大乘論』등의 經論에서 "無我와 業"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을 구성해내기 시작한다. 바로 阿賴耶識(a ̄laya-vijnˇa ̄na)과 熏習(va ̄sana ̄)이라는 개념이다. 즉 "業의 주체는 아트만이 아닌 一切種子識이자 異熟果識인 阿賴耶識"이다 라는 사유가 瑜伽師들에게 자리를 잡게된다. 그러나 문제는 阿賴耶識과 아트만의 차이가 과연 무엇이었는가에 대해서 초기의 唯識佛敎논사들은 고심을 했음에 분명하다. 그 차이를 드러내기 위해 부각된 것이 바로 熏習개념이다. 다시 말하자면, 熏習개념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아트만과 阿賴耶識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業說을 인정하는 불교에서 業의 주체를 완전거부할 수는 없었기에 唯識佛敎에서는 阿賴耶識을 내세웠다. 그러나 "無我"의 이론에 역행하면 안되었기에, 그 阿賴耶識은 분명 아트만이 아닌 다른 개념상의 존재가 되어야 했다. 아트만은 그 외양 즉 현상은 다양한 변화가 있을지언정 실체로서는 변화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阿賴耶識은 刹那마다 相續轉變差別한다. 왜냐하면 熏習을 받기 때문이다. 이로써 아트만과 阿賴耶識은 개념상 다른 차원의 것이 되었다. 熏習이라는 개념장치가 등장함으로써 아트만과 阿賴耶識의 이론상의 차별상은 분명해졌다. 이 세상의 有情物은 아트만의 지속으로 인해 業의 果報를 받는 것이 아니라, 阿賴耶識에 熏習된 業習氣로 말미암아 業의 果報가 현생에 전개되는 것임을 밝히는 과정이 『大乘成業論』에서 世親과 他部派논사들과의 논쟁을 통하여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世親은 이러한 阿賴耶識과 熏習의 개념을 더욱 확대하여 세계에 대한 인식 즉 인간의 총체적인 인식과 경험이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한 설명으로까지 나아간다. 『唯識三十論頌』과 『顯識論』은 識轉變(vijnˇa ̄na-parina ̄ma)이라는 개념을 새로 창출해 내면서, 그 이전까지 業說에 대한 보조개념으로 쓰이던 阿賴耶識과 熏習개념을 이 현실세계에 대한 인식과 경험과정의 해명으로 그 의미의 외연을 확대하고 있다. 한마디로 말한다면, 熏習이란 개념은 유식논사들이 과거 원시불교와 아비달마불교에서 명확히 밝히지 못한 業의 주체를 밝히는 작업과정에서 불교내 他部派 논사들과의 논쟁속에서 발견한 개념장치이고 그 개념은 世親을 통해 더욱 발전해서 인간인식과 경험의 해명으로까지 나아갔음을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연구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inconsistency of 'Non-self Theory'(Anatma-va ̄da) and 'karma-Theory' is the pivotal problem of Buddhist philosophy since the Nirva ̄na of Buddha. Throughout the A bhidharma age, the Buddhist philosophers had sought to solve this inconsistency. They tried to bridge the gap of these theories by creating new concepts which were thought to be devoid of the chronic trouble of A ̄tman, for example, pudgala(wholes or ego, 補特伽羅) bhavaˇnga-vijnˇa ̄na(dormant consciousness or latent deep consciousness, 有分識), mu ̄la-vijnˇa ̄na(root-consciousness, 根本識), everlastings kandha (窮生死蘊). These concepts were the result of Buddhist philosopher's unexhausted debates which endeavored to prove consistency between 'Non-self' and 'karma'. The Sarva ̄stiva ̄da school which was the most influential Buddhist philosophy through A bhidharma age and the Sautra ̄ntika school simultaneously discussed with the Sarva ̄stiva ̄da owing to their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philosophical standpoint in explaining the true meaning of Buddhist doctrine also had to take pains in solving this problem. The concepts of the Sarva ̄stiva ̄da's avijnˇa ̄pti karma and the Sautra ̄ntika's bja surely stand for their efforts . And it is the A bhidharmakos´a(『阿毘達磨俱舍論』) that express explicitly the difference of their philosophical stnadpoint in this point. And Sarva ̄sa ̄tivda and Sautra ̄ntika's debate stimulated the formation of new Buddhist philophers. The Yoga ̄ca ̄ra philosophers which were coming to the front in this controversial atmosphere also had a critical mind on this problem. So The Yoga ̄ca ̄ra school invented the new conception, that is A ̄laya-vijnˇa ̄na(阿賴耶識),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satisfy Buddha's Non-Self theory and karma theory. But other Buddhist philosophy school and non-Buddhist philosopher did not seem to under stand the difference between A ̄tman and A ̄laya-vijnˇa ̄na. So they needed to invent new concept which was able to make sure their distinction. The Yoga ̄ca ̄ra school were hinted at this point by the Sautra ̄ntika's "bj ̄a theory" and "the theory of mutual perfuming between body and mind"(色心互熏). The Sautra ̄ntika school maintained that the bj ̄a is neither identical with, nor different from the mind, because bj ̄a is not a separate entity(dravya), but only a pnrjnˇa ̄nap ti(nominal) dharma. It is believed that the Sautra ̄ntika's concept of bj ̄a was presented at to explain the causal succession of deeds and minds. The Sautra ̄ntika's theory that the bj ̄as are neither identical with, nor different from the mind bears a close resemblance to the theory of pudgala which is also described as neither different from nor identical with the five skandhas(蘊). Whereas the pudgala was believed to be the reality, the Sautra ̄ntika's insisted on the nominaity(prjnˇa ̄napti-matra) of the bj ̄ as. Thus A bhidharma Buddhist philosophers had invented new concepts, not to violate the consistency of Buddha' two doctrine, 'Non-self Theory' and 'karma-Theory'. Alluded by this effort, Yoga ̄cra school made a logical argument on the theory of A ̄laya-vijnˇa ̄na and conclud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A ̄tman and A ̄laya-vijnˇa ̄na lie in the va ̄san(perfuming, impression ). The lay A ̄laya-vijnˇa ̄na perfumed by their words and deeds is continuing it s procession(相續) and transforming(轉變) and drawing a discrimination(差別). But A ̄tman is the substance which is eternal in its reality, though variable in its appearance and attribute. If there must exist the subject of karma, it is not A ̄tman that activate and manifest it s karma in this life, but "A ̄laya-vijnˇa ̄na, what is called retributory consiousness , perfumed from the beginning"(ana ̄di-va ̄sa ̄na, 無始以來熏習). Karmasiddhi-prakarna(『大乘成業論』) of Vasubanduh(世親) demonstrate this theory on A ̄laya-vijnˇa ̄na and va ̄sana ̄ in detail. And Vasubandhu made the concept of va ̄sana ̄ more elaborate in his treatises on "vij nˇa ̄pti-ma ̄tra"(唯識). Already Asanga(無着) distinguish v san into three concepts in Maha ̄ya ̄nasangraha(『攝大乘論』), that is 1. Ming-yen va ̄sana ̄, the perfuming energy created by "names and concepts", 2. va ̄sana ̄ of A ̄tman - adhesion, 3. va ̄sana ̄ of Bhavang a : the Bijas which proceed from deeds, karmabij as, which bring about retribution in the three Dhatus. Vasubandhu classify these three va ̄sana ̄ into two concepts in Trmsika ̄-Vijnapti-ka ̄rikah(『唯識三十論頌』), va ̄sana ̄ of various previous deeds(gra ̄hadvayava ̄sana, 二取習氣) and the habit-energy of the two 'Apprehensions '(karmano va ̄sana ̄, 業習氣). Whereas karmano va ̄sana ̄ is the concept to explain the subject of the karma, gra ̄hadvayava ̄sana is suggested to demonstrate how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present world is associated with the karma. The aim of this study is taken at showing the developing history of the va ̄sana ̄ concept in Vasubandhu's vijnˇa ̄pti-ma ̄tra thoughts and Buddhist philosophy.

      •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철기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역할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조절효과의 영향 관련성 파악을 목적으로 시도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전국의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2022년 10월 5일부터 10월 1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 기관을 통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520명의 대상자 중에서 총 501부를 최종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와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연구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잠재변수를 구성하는 관측변수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변수 간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집단 간의 경로계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집단 분석, 부트스트랩(bootstrap)을 통해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의 크기를 산출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연구변인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의 7가지 유형을 제시한 가운데 목표추구형을 제외한 하위 유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은 대인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라이프 스타일의 선택전가추구형을 제외한 하위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고 대인관계의 4가지 하위요인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은 대인관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영향 관계에 대해 객관적 변수로는 소득, 학력, 경제활동과 주택 보유 형태를, 주관적 변수로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계층적 분석과 소득 만족도를 활용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객관적 조절변수인 소득과 주관적 조절변수인 소득 만족도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객관적 조절변수로 거론된 학력, 경제활동, 주택 보유형태 그리고 주관적 조절변수인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계층의식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위의 연구 결과는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의 유의한 영향과 매개변수인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조절변수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는 ‘소득’ 변인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변인들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을 A.I.O. 및 VALS의 관점에서 목표추구형, 절약추구형, 여가추구형, 긍정추구형, 선택전가추구형, 자극추구형, 럭셔리추구형의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고, 대인관계의 매개역할이 검증되었다. 셋째,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소득’과 관련된 변인을 제외한 다른 변인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로부터 독립해 생활하는 성년이자 청년인 1인 가구에게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보다 청년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더욱 크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넷째, 청년 1인 가구 중에서 여성 삶의 만족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높여야 한다. 청년 여성에 대한 라이프 스타일을 새롭게 분석하여 다인가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인해 여성이 주로 겪어야만 했던 출산과 육아 그리고 양육과 가사, 경력단절 등으로 인한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만 한다. 다섯째, 청년 정책의 수혜적 범위를 넓힘과 동시에 정책의 알림과 홍보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다만, 청년에 대한 정책적 복지 수혜의 범위를 정하는 데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사회·경제적으로 국가의 재정이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정책발굴과 시행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 청년 1인 가구의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1인 공동체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1인 가구에게 대인관계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국가적·사회적 기관자원들은 청년들에게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청년과 지역이 상생하는 활력의 장으로 변모해나가도록 한다. 일곱째,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라이프 스타일의 존중과 사회·경제적 인식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urvey research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in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with the grasp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targeted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nationwide, gender was not considered, and conducted a self-reporting survey from October 5 to October 17, 2022, with an online survey agency. Among the responses from 520 respondents, a total of 501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final results. The analysis method is as follows. SPSS 25.0 and AMOS 25.0 were employed to conduct the following analyses: frequency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 of study variab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testing of measurement tools;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test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study variab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ity testing of observed variables constructing the latent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or testing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the study variables; multigroup analysis to test the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between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groups; conduction of bootstrap to calculate the size of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and the significance was tested;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 hoc test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difference in the study variables p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following describes the major outcomes from the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were also found in the subtypes except for the goal-seeking type, one of the 7 lifestyle types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econd, the lifesty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were found in the subtypes except for the choice shift-seeking type among the lifestyle types.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 the four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s. Fourth,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wed the following. The lifestyle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Fifth, regard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for objective variables, income,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and house ownership type, were employed; for subjective variables,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income satisfaction was employed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income, an objective moderating variable, and income satisfaction, a subjective moderating variable. However, the objective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and house ownership type; the moderating effect of class consciousness regarding subjective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parameter,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other variables except for the "income" variable on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 moderating variable.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grounding on the abovementioned study results. First, this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for classifying the lifestyle of single-person young households through A.I.O. and VALS into 7 types: goal-seeking, frugality-seeking, leisure-seeking, affirmation-seeking, choice shift-seeking, stimulation-seeking, and luxury-seeking,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econd,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tested. Thir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except for income-related variabl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youth has a greater effect than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heir parents for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or adults who are not dependent on parents. Fourth, life satisfaction-related policy support for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should be expanded. By freshly analyzing the lifestyle of young women, an institutional measure should be prepa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caused by childbirth, childcare, childrearing, housework, and career interruption, which women had to experience in return for forming a multi-family household. Fif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benefits of youth-related policies and publicize and advertise policies proactively. However, forming a social consensus, as well as finding and implementing viable policies in light of the national budget from a socioeconomic point of view should be followed. when determining the scope of benefits of policy welfare for the youth. Sixth, economic support for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with a myriad of programs for single-person commun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ingle-person households; national and social institutional resources should present various community programs to young people, making these programs transform into a dynamic place where young people and the region can live together. Seventh, this study suggests that cherishing the lifestyle and improving socioeconomic awareness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is necessary.

      • 그래픽 자동차 시뮬레이터에서 후각자극의 마스킹 효과와 고농도 산소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철기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driver performs driving, a tension is caused with high concentration of consciousness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various external stimuli, a driver gets distracted by feeling stress and fatigue, and the arousal level of the driver increases, which deters the safe driving. The factors that distract a driver in a vehicle may be the external stimuli and the secondary tasks that a driver performs besides driving. Until now, though there have been the studies on the masking effect using sound stimuli, which have high pleasantness, to reduce the damage due to the external auditory stimuli, it is true that there are no sufficient studies on the masking effect of olfactory stimuli. And also, the studies to relieve fatigue and stress due to secondary tasks in a dynamic environment of driving are not enough.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uditory stimuli on drivers and the masking effect of olfactory stimuli were investigated with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and also it was observed whether highly concentrated oxygen was effective to the stress due to secondary tasks in a dynamic environment. To find out the masking effect of olfactory stimuli on the auditory stimuli with a graphic driving simulator, bio signals(HRV, GSR) were observed, and how oxygen concentration(40%) affected the stress due to secondary tasks was observed through HR and driving performance abilit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n the masking effect of olfactory stimuli on the auditory stimuli, GSR response increased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pre-and post auditory stimuli experiment(1)(p<0.01), experiment(2)(p<0.05), experiment(3)(p<0.01), driving performance experiment(2)(p<0.01), experiment(3)(p<0.01), and olfactory stimuli experiment(3)(p<0.05) respectively. It means that when auditory stimuli were presented, sympathetic nervous system got activated and a driver was in an arousal state. However, Peppermint aroma didn’t affect the arousal state by auditory stimuli during driving. That is, the masking effect of olfactory stimuli on auditory stimuli wasn’t certified. The reasons of the failure of the masking effect are supposed as follows, that is, ①GSR is to measure skin resistance, and as the perspiration exuded by the tension due to driving performance affected the measurement of skin resistance, it was certified that GSR measurement was not appropriate to a dynamic environment ② adaptation to aroma stimuli ③ preference of aroma and ④ Simulator sickness. In the ratio of LF/HF of HRV, there was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Peppermint aroma was presented or not in the situation where auditory stimuli was presented during driving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auditory stimuli during driving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presenting Peppermint aroma, it decreased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at is, the activation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got reduced and parasympathetic nerve system got activate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was a masking effect of olfactory stimuli on the noise as arousal level happened by the auditory stimuli during driving got lower due to Peppermint arom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n stress relie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xygen concentration(21%) and oxygen concentration (40%)(p<0.01) and HR increased when oxygen concentration was 2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imuli (Control, Driving, Driving + Task)(p<0.05), and as a result of post hoc test(LSD), Driving + Task increased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Control(p<0.01). That is, when a driver performed addition tasks during driving, his or her sympathetic nervous system got activated. Especially, when highly concentrated oxygen(40%) was presented, Heart Rate(HR) decreas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highly concentrated oxygen(40%)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addition tasks during driving more positively than oxygen concentration(21%).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driving perform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oxygen concentration(21%, 40%). That i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driving performance.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rough this study, the masking effect of olfactory stimuli on the auditory stimuli was examined, and whether highly concentrated oxygen affected the stress due to secondary tasks or not was observed. However, as the experiment was proceeded only in a limited condition in this study, there are things still desired. First, though conducting the experiment using a real vehicle may give trouble in keeping the safety of a driver, as the driving environment using a graphic driving simulator was different from that of driving a real vehicle, the subject felt a difficulty in graphic driving simulator and complained of Simulator sickness. A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ly for the men in twentieth,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o females and the men in over twentieth. In a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get the objective statistic data by including the people in various age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subjects, and by diversifying the driving scenario of graphic driving simulator, there will be a study of the masking effect and distraction due to secondary tasks. 자동차 운전 수행은 다양한 외부자극들의 정보처리를 위한 고도의 의식집중에 의해 긴장감을 유발하여 운전자는 스트레스, 피로감 등을 느끼게 되어 주의가 분산되고 운전자의 각성수준은 증가하는데, 운전 중 과도한 각성수준의 지속은 안전운전을 저해한다. 자동차에서 운전자가 주의분산이 일어나는 요인은 외부자극이나 운전 이외의 과제를 수행하는 동시과제를 들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외부 청각자극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쾌적성이 높은 소리자극을 이용한 마스킹효과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다른 자극 즉, 후각자극에 의한 마스킹 효과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운전 중인 동적인 환경에서 동시과제 수행으로 인한 피로감,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자하는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운전 중에 청각자극이 운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후각자극에 의한 마스킹 효과를 자율신경계 반응으로 알아보았고, 또한 동적인 환경에서 동시과제 수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고농도 산소가 효과가 있는지 관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 그래픽 시뮬레이터에서 청각자극에 대한 후각자극의 마스킹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생체신호(HRV, GSR)를 관찰하였으며, 동시과제수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산소농도 40%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체신호(HR), 운전수행능력을 통해 관찰하였다. 청각자극에 대한 후각자극의 마스킹 효과에 관한 실험 결과, GSR반응은 청각자극 실험(1)(p<0.01), 실험(2)(p<0.05), 실험(3)(p<0.01), 운전수행 실험(2)(p<0.01), 실험(3)(p<0.01), 후각자극 실험(3)(p<0.05) 각각의 전 후를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차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이것은 청각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각성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Peppermint 향이 운전수행 중 청각자극에 의한 각성상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즉, 청각자극에 대한 후각자극의 마스킹 효과를 확인 할 수 없었다. 마스킹 효과 실패이유로 ① GSR은 피부저항측정이므로 운전수행으로 인한 긴장감에 의해 땀 배출 때문에 피부저항 측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 되어 동적인 환경에서는 GSR 측정이 부적절 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② 향 자극에 대한 순응 ③ 향의 선호도 ④ Simulator Sickness 등으로 추측된다. HRV의 LF/HF비에서는 운전수행 중 청각자극을 제시한 상황에서 Peppermint 향의 제시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Peppermint 향 제시 전 후에 대한 운전수행 중 청각자극을 비교한 결과 유의차(p<0.05)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즉, 교감신경계의 활성이 감소하고,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된 것이다. 이것은 Peppermint 향으로 인해 운전수행 중 청각자극에 의해 발생한 각성의 수준이 낮아졌다고 볼 수 있으므로 후각자극으로 소음에 대한 마스킹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스트레스경감에 대한 실험 결과, 산소농도 21%와 산소농도 40% 간 에 유의차(p<0.01)가 인정되었으며, 산소농도 21%일 때 심박동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자극 간(Control, Driving, Driving + Task)에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으며, 사후검증 결과 Driving + Task가 Control에 비해 유의차(p<0.01)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즉, 운전 수행 중 덧셈과제 수행 시 운전자의 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되었다. 특히 산소농도 40%의 고농도 산소를 제시 하였을 때 심박동율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산소농도 21% 보다 산소농도 40%의 고농도 산소가 자동차 운전 중 덧셈과제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운전수행능력 비교 결과 산소농도(21%, 40%)에 따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운전수행능력에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청각자극에 대한 후각자극의 마스킹효과를 알아보고 고농도 산소가 동시과제로 인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실험의 진행이 한정된 조건에서 진행되어 아쉬운 점이 있다. 첫 번째는 실제 차량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는 것은 운전자의 안전 유지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나 자동차 그래픽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운전 환경이 실제 차량으로 운행하는 것과는 다르므로 피험자는 어려움을 느끼고 Simulator sickness를 호소하였다. 두 번째는 피험자 대상이 20대 남성으로 한정 하였으므로, 여성 및 다른 나이대 이상으로 일반화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다양한 연령대와 수를 증가시켜 객관적인 통계적 데이터를 얻을 필요가 있고, 화상 자동차 시뮬레이터의 운전 시나리오를 다양화 하여 마스킹 효과와 동시과제로 인한 주의분산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 대학생의 보편적 복지와 선택적 복지에 관한 인식 연구

        민철기 호서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대학생의 보편적 복지와 선택적 복지에 관한 인식 연구 민철기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 이 용 재 2010년 6월 지방선거에서 보편적 무상급식이 선거의 핵심 쟁점이 되면서 보편주의 복지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었다. 그 이후로 반값등록금, 무상급식, 기초노령연금, 무상보육 등의 복지정책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 갈등과 논쟁이 계속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갈등과 논쟁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보편적 복지와 선택적 복지를 대학생들이 어떻게 인식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복지 정책 및 복지제도와 복지 실천의식 등에서 보편적 복지와 선택적 복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구체적으로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복지 전공여부, 복지수혜계층 유·무, 사회복지 과목수강 및 봉사경험에 따른 선택적 복지와 보편적 복지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제도가 미치는 사회적 영향 및 효과에 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복지 전공여부, 복지수혜계층 유·무, 사회복지 과목수강 및 봉사경험 등이 보편적 복지와 선택적 복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넷째, 대학생의 사회복지 전공여부, 복지수혜계층 유·무, 사회복지 과목수강 및 봉사경험 등에 따른 사회복지제도가 사회적 영향 및 효과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갖고 대학생들에게 설문 기법을 활용 하였으며,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주요 변수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복지전공, 복지수혜계층 가족여부, 복지과목 수강, 봉사경험이 복지정책과 사회적 효과에 대한 사회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중에서 영·유아와 함께 생활하는 가족들에 있어 복지정책에 대한 복지인식의 차이는 그렇지 않은 가족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효과에 대한 사회복지 인식의 차이에서는 초·중·고 학생을 둔 가족에서 인식의 차이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복지관련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봉사활동 경험을 가진 학생들에게서 복지인식의 차이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복지정책과 사회적 효과에 대한 인식을 다중비교(scheffe)한 결과에 따르면 사회복지관련 4과목 이상 수강한 학생들이 1과목 또는 사회복지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봉사활동 경험에 있어 복지정책의 인식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효과에 대한 사회복지의 인식에서는 월4회∼6회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사회복지 인식은 타 전공 학생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에게 있어 ‘사회복지 정책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는 보편적 복지가 선택적 복지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다. 평균 3.92점(표준편차=.995)로 가장 높았으며, 계열별로는 인문사회계열 평균 4.09점(표준편차=.923), 자연공과계열 평균 3.79(표준편차=1.033)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대학생들의 복지인식에 있어 사회복지제도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와 그에 따른 요소로는 성별, 사회복지전공 요인이 사회복지제도에 미치는 복지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복지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성별, 전공, 영·유아 및 초·중·고생 가족, 복지수강과목, 봉사활동경험으로 밝혀졌으며, 보편적 복지에 대한 선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향후 대학생 및 사회구성원들에게 필요한 사회복지정책의 개발 또는 사회복지제도의 실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좀 더 폭넓은 대학생 사회복지인식의 후속연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 상권 변화에 따른 상업시설 생존율과 생존요인 비교 : 서울시 홍대상권 음식점을 중심으로

        민철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권의 변화와 상업시설의 개업과 폐업은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음식점이 상권의 활성화 과정에서 크게 증가하며, 상권의 활성화는 기존 상권의 이동 또는 확장과 관련이 있는 점을 고려하며 기존 상권과 이동 또는 확장된 상권에 위치한 음식점의 생존율과 생존요인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동교동‧서교동‧상수동‧연남동이며, 시간적 범위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이다. 연구자료는 마포구청의 음식점 인허가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구축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점포 특성, 입지 특성, 인구‧경제 특성의 3가지로 범주화하고 세부적으로 15개의 변수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홍대지역의 음식점 개업분포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커널밀도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음식점의 생존율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생존분석을 활용하였다. 먼저, 커널밀도 분석을 통해 음식점의 개업분포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홍대상권은 홍대앞에서 시작하여 점차 상수동, 연남동 일대로 확장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콕스비례위험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상권의 공간적 변화에 따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거나 그 영향력에 차이가 있었다. 점포 특성의 경우 일반음식점 여부를 나타내는 업종 변수와 프랜차이즈 변수의 경우 음식점의 폐업에 미치는 영향이 상권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입지 특성의 경우 일부 상권에서 대로변에 위치한 음식점의 폐업위험이 올라갔으며 인구‧경제 특성은 폐업위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먼저, 예비창업자라면 프랜차이즈 활용과 업종을 선택함에 있어 어느 상권에 가장 적합한지를 살펴보아야한다. 기존 매출 관련 연구에서 입지 특성이나 인구 특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점포의 특성이 중요하였다. 매출 증가와 점포의 생존은 다를 수 있음을 로 수익에 초점을 둔 매출 영향요인 뿐만 아니라 생존 영향요인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 일부 상권에서 대로변에 위치한 경우 폐업위험이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식점이 가시성과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좋은 대로변이 아니어도 상권에 따라서는 골목상권이나 이면 도로에서 생존에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urvival rate and survival factors of restaurants located in existing trade area and extended trade area.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elf-employment in Korea is the high dependence on the restaurants business. Then, the number of restauran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rocess of revitalization of trade area. Considering these points, It needs to look at the survival rat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urvival of restaurant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Donggyo-dong, Seogyo-dong, Sangsu-dong, Yeonnam-dong, and the time range is from 2000 to 2017. The research data were based on the Mapo-gu Office’s restaurant licensing data. Independent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f store characteristics,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and economy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view of the preceding study and utilized 15 variables in detail. As an analysis method, kernel densit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the opening distribution of restaurants in Hongdae area and survival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survival rat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survival between reataurants. First, the Kernel Density Analysis looked at the distribution changes of restaurants, and it showed that the Hongdae area started in front of Hongdae and gradually expanded to Sangsu-dong and Yeonnam-dong areas. The analysis with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survival varied or differed in their influence, depending on the spatial variation of the trade area. For store characteristics, type variables and franchise variables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rade area in the impact of restaurant closures. Location characteristics raised the hazards of closing down restaurants located on the boulevard in some trade areas, and the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had little effect on the hazards of clos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f you are preliminary entrepreneurs or owners who are currently operating a store, you should look at which stores are best suited for the use of franchises and the choice of business type. While previous sales-related studies have shown that location 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the characteristics of stores were important in this study. In other word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ors of survival as well as to the factors of revenue impact that focus on revenue, that increase in sales and the survival of stores can be different.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hazards of closure increases when located on a boulevard in some trade areas. This suggests that even if the restaurant is not located in a boulevard for visibility and accessibility, depending on the trade area, it may be advantageous for survival in the alleyways or on the back roa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