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왕숴(王朔)와 최인호 문학의 청년 표상 연구

        송향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the youth in the novels of Wang Shuo and Choi Inho, representative popular writers of China and Korea, using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so doing, I attempt to capture the significance of the youth representation emerging in a period of “cultural transition.” An approach to the imagery of the youth in their novels will lead to a new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period in which a new youth culture began to germinate. Also, a close examination of the multi-layered youth images in the two writers’ works will shed new light on the two countries’ youth culture, which has been defined as a mere subculture of popular culture, as well as on the implication of youth i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Despite the popular success of Wang and Choi during the cultural transition, there has been bitter controversy over the two writers among literary historians of both countries: their old preconceptions about literature confined the critical discussions of the two writers to the scope of popular culture. In spite of the many parallels between the two writers, especially their significance as leading young writers in Chinese and Korean literary history, no study has compared them before. By comparing the two writers,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find some points of cross-reference which will enrich the meaning of their works more than an individual study of each writer can do. An extensive study of Wang’s and Choi’s literary works shows that they are not a mere manifestation of decadence and nihilism as defined in previous research but the product of the two writers’ endeavors to reveal the problematic reality. In Chapter 2, I will give an overview of the two writers’ works under three keywords. Part 1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agonists and their fathers described in the two writers’ novels. For the protagonists, their father is their first encounter of the world and, therefore, their attitude towards father expresses their own way of perceiving the world. Precocious children and their despicable fathers repeatedly appearing in early novels of Choi and mean sons and their good-for-nothing fathers in Wang’s novels form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from the first. But they come to an accommodation in the end, which is far from the typical father-son relationship in the modern novel. I seek to consider the protagonists’ distinctive attitudes towards their fathers in connection with the two writers’ ideas of authority and ideology. Part 2 delves into the two writers’ view of ideology, focusing on how the motives of theater and stage in Wang’s works and ‘playing house’ in Choi’s works are linked to their responses to reality. Eventually, those responses turn out to be transposed into the matter of writing. Part 3 investigates the two writers’ attitude towards literature as a means to express their self-awareness. Given that both Wang and Choi, despite common prejudice against their works, continued their literary creation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literary writing, I argue, was a means for them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most candidly. Chapter 3 discusses “loafer-type” youths and “fool-type” youths which epitomize Wang’s and Choi’s responses to reality. Part 1 explores marginal youths as subaltern figures who are yet to become fools or loafers. Bidding farewell to the heroic age, Wang’s loafer-youths cross the legal boundaries to fulfill their heroic dreams in an anti-heroic manner. Going through resocialization, however, they begin to feel guilty about their inhumanity and behave within the framework of law and order. Socially excluded fool-youths in Choi’s works bring up the question about the utility of life. A “death-leap” is the only gesture with which the fool-youths can express their subjectivity. Various types of death-leaps, depicted as a philistine attempt to extort money from others or, on the contrary, a sublime attempt to approach the truth, imply the meaninglessness of a trivial death. Part 2 analyzes the loafers and the fools integrated into everyday life. The loafers form youth solidarity based on fun and friendship, while satirizing the older generation, mainly their parents’ generation, and followers of the West. As the youth solidarity becomes organized over time, however, a hierarchy is generated internally and the fun of satirizing is replaced with an occupational mission. In Choi’s works, college-student fools, the leading role of youth culture, are depicted as being lighthearted, whereas subaltern youths are portrayed in a gloomy way. Although they are mere nobodies, the fool college students create future-oriented affective solidarity through which they share their joys and sorrows. Part 3 focuses on the youth who have returned to their daily life. Wang’s loafers stay at home, leaving the task of self-reflection in the Althusserian last instance. For the middle-aged loafers, love and marriage are never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y regard bereavement and divorce as a sort of salvation from their monotonous daily life. The daily experience of the fools discloses the mechanism of oppression pervasive even in the microscopic dimension of society. At a mundane level, the protagonists hang out with ants which symbolize the masses seduced by the speculation frenzy, mass media, and commercialism. On the other hand, the protagonists also intervene in this mundane life, from the standpoint of the excluded, driven by their unyielding will to subjectivity. Chapter 4 explores the new meaning the loafers and the fools give to the youth. In Part 1, I argue that both Wang and Choi reflect in their works the shift of the youth from historical heroes to a generation in sociological terms. The problematic human-types of loafers and fools are the bearers of the two writers’ literary spirit as well as the vivid imagery of the youth going through a period of cultural transition. They strengthen their solidarity of friendship and empathy by sharing culture, which includes fad words and styles, instead of seeking a sense of identity through historical engagement. Part 2 deals with the social life of the youth. While the older generation brand their social intercourse as being decadent, the youths boisterously laugh at the older generation’s puritanism and didacticism. In Part 3, I argue that Wang and Choi helped the youth to restore their position, which was lost in their downward mobility from the protagonists of history to a mere social group, in the sphere of culture. Wang’s literary works and style, created outside the literary system, provided the mainland youth with space where they, as cultural subjects, can survive the encroaching tide of capitalism and the huge influx of popular culture from Hong Kong and Taiwan. Digging youth culture out of rapidly growing popular culture, Choi empowered the youth with cultural subjectivity with which to revolt against authority. Forging solidarity of sensibility in this cultural territory in the 1970’s, the youth began to assert their sovereign power through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이 논문은 한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인 중국의 왕숴(王朔)와 한국의 최인호 소설에서 부각된 청년 표상을 비교문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문화적 과도기’로 간주되는 중요한 역사적 시기에 양국에서 나타난 청년 표상이 가지는 시대적 의미를 포착하였다. 소설에서 형상화된 청년에 대한 접근은 청년문화를 배태한 과도기적 시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나아갈 것이며, 그간 대중문화의 하위범주로 규정되었던 청년문화를 두 작가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청년 표상의 여러 층위에 대한 면밀한 접근을 통해 각각의 문학에서 청년이 가지는 의미를 규명할 수 있다. 왕숴와 최인호는 ‘문화적 과도기’에 대중적으로 가장 성공한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문학사적 정리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그들에 대한 평가 역시 오래된 선입견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대중문화의 범주로 국한되어 있었다. 두 작가는 비슷한 역사적 맥락에서 자국 문학사에서 유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청년작가로 기억되지만 왕숴와 최인호에 대한 비교연구는 아직까지 전무하다. 본 연구는 개별 연구로는 조망할 수 없었던 면들을 두 작가를 마주 세워 비교함으로써 상호 참조적 요소를 발견하고, 이들의 문학을 더욱 복합적이고 새롭게 다루고자 했다. 그간 퇴폐적이고 허무의식의 발현에 그치는 것으로 평가받았던 왕숴와 최인호의 문학을 폭넓게 조명해보면 이들이 문제적 현실을 드러내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두 작가의 문학 전반을 3가지 키워드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고찰한 1절의 경우, 아버지는 그들이 최초로 접하는 세상이며 아버지에 대한 그들의 태도는 세계를 인식하는 또 다른 방식의 표현이다. 최인호의 초기 소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조숙한 아동과 비열한 아버지, 왕숴 소설에 등장하는 영악한 아들과 무능한 아버지는 최초부터 대립하며 모순 관계를 형성하지만 결말에 이르면 오히려 화해의 국면에 접어드는 등 근대소설의 도식적인 부자 관계를 따르지 않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처럼 아버지에 대해 두 작가가 취하고 있는 독특한 태도를 2절에서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권위와 권력적 이념에 대한 생각과 결부하여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이를 면밀히 고찰하였다. 왕숴 작품에 드러나는 극장과 무대, 최인호의 소설에 나오는 ‘소꿉놀이’를 이념에 대한 작가적 태도와 현실 대응방식과 연결해 보았다. 결국, 이러한 방식들은 글쓰기의 문제로 치환된다. 3절에서는 작가로서의 자의식이 발현하는 기제로 작동하는 문학에 대한 태도를 각각의 소설을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 왕숴와 최인호가 과도기적 선입견들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창작활동을 진행하는 행보를 보여준 사실은 문학과 글쓰기는 그들이 세상과 소통하는 가장 직접적인 매체임을 입증한다. 3장에서는 최인호와 왕숴의 일련의 현실 대응의식을 집약하고 있는 ‘놈팡이(顽主)’형 청년과 ‘바보’형 청년에 대해서 논하였다. 1절에서는 일상의 ‘바보’와 ‘놈팡이’이기 전에 하위주체의 모습을 하고 있는 주변부 청년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왕숴의 ‘놈팡이’ 청년은 과거의 영웅시대와 작별하고 새로운 ‘사회인’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치르면서 법의 경계를 넘나들고 영웅의 꿈을 악당의 모습으로 시도하거나 비인간성에 가책을 느끼면서 법적 질서의 내부로 들어오는 양상을 보여준다. 최인호의 작품에서 배제된 ‘바보’ 청년들은 생명의 효용성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다양한 방식의 ‘투신’ 자살은 ‘바보’ 청년들이 유일하게 주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몸짓이다. ‘투신’은 돈을 공갈하거나 혹은 그와 반대로 진리에 다가가려는 시도로 그려질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하찮은 죽음의 무의미성을 드러낸다. 2절에서는 일상의 범주에 들어온 ‘놈팡이’와 ‘바보’들을 분석하였다. ‘놈팡이’는 기성세대와 부모세대, 서구 추종자들을 풍자하는 모습과는 대조적으로 ‘재미’와 ‘우정’을 기반으로 청년 연대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청년 연대는 시간을 거듭할수록 조직화 되면서 내부적 권위가 생겨나게 되고 풍자 놀이의 즐거움이 직업적 사명으로 변질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무거운 분위기를 띠는 하위주체 청년을 보여줬던 최인호는 청년문화의 주인공이었던 대학생 ‘바보’ 청년들의 경우 매우 명랑한 방식으로 다룬다. ‘바보’ 청년들은 시시한 대학생이지만 함께 울고 웃는 감정의 연대를 산출하면서 미래 지향적인 자세를 보여준다. 3절에서는 일상으로 귀환한 ‘청년’들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왕숴의 ‘놈팡이’들은 개인의 주체적 성찰을 최종 심급으로 남겨둔 채 각자의 삶의 장소인 가정에 머무른다. 이들 중년 ‘놈팡이’들은 사랑과 결혼의 양립 불가한 상황이 드러난다. 따라서 사별과 이혼은 피할 수 없는 권태로운 일상에서 자신을 지켜내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 하찮은 ‘바보’들의 일상적인 직업 경험은 오히려 사회의 시시하고 미세한 차원까지 스며들어 작동되는 억압의 기제들을 포착하고 고발하는 계기가 된다. 개발 지역의 광기를 보여주는 민중과 대중방송의 현혹에 걸려든 관중들, 상업주의 욕망에 걸려든 대중을 상징하는 개미들과 함께 어울리며 일상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직장인’ 주인공들은 한편으로 배제된 자의 시선으로 개입하면서도 주체적인 의지의 끈을 놓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4장에서는 ‘놈팡이’와 ‘바보’들이 보여준 새로운 청년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왕숴와 최인호가 그린 청년이 기존의 ‘역사적 영웅’으로 간주되었던 청년세대로부터 ‘사회적’ 청년세대로 전환하는 시대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음을 탐색하였다. ‘놈팡이’와 ‘바보’ 청년을 통해 보여준 문제적 인간형은 작가의 문학정신의 담지자이자 ‘문화적 과도기’를 살았던 청년들의 모습이며, 그들은 역사적 참여에서 동일성을 찾는 것이 아니라 유행어, 스타일 등의 문화를 기반으로 우정과 공감의 연대를 키워간다. 2절에서는 청년들이 어울리는 방식을 놓고 기성세대는 퇴폐의 낙인을 붙이지만, 이들은 오히려 웃음과 명랑성을 내세우며 일상의 민낯을 드러내고 엄숙성을 해체하며 계몽의 숭고성과 이념의 경직성을 폭로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3절에서는 과도기의 독특한 청년들을 둘러싸고 결코 그들에게 우호적이지 않았던 시대에 왕숴와 최인호는 역사적 청년에서 사회적 청년으로 ‘하락’한 청년들에게 다시 문화의 공간에서 입지를 찾아준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고찰하였다. 왕숴가 문학 제도 밖의 공간에서 창작해 낸 작품들과 스타일은 곧 도래할 자본주의 질서 속에서 청년의 문화적 주체가 존속할 공간을 마련해주었는데, 왕숴 식의 ‘본토화’ 청년문화는 홍콩, 대만식 대중문화의 홍수 속에서도 자기만의 자리를 남겨둘 수 있었다. 최인호는 급속도로 성장하던 대중문화에 묻혀있던 청년문화를 구분해내고 청년에게 문화적 주체의 성격을 기입하여 권위에 대응하는 방식을 고안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영토에서 감수성의 연대를 길러낸 70년대 청년들은 80년대의 민주화운동에 이르러 ‘주권자’로 행동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