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목관절의 거골 골연골병변에 대한 자가 골연골 이식술에서 병변의 위치가 의미있는 예후인자 인가?

        민찬홍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 경 : 거골의 골연골 병변(OLT)을 치료하는 전통적인 수술 방법은 골수 자극 기법(BMS)을 통한 것이다. 자가 골연골 이식술(AOT)은 골연 골 병변의 크기가 큰 경우, 연골하 낭종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혹은 골 수 자극 기법에 실패한 경우 대안으로 시행되고 있다. 반면 내측과 외측 병변 간에는 수술적 접근 방법 등의 본질적 차이점이 있다. 이에 본 연 구에서는 거골의 내측 및 외측 골연골 병변에 대해 자가 골연골 이식술 을 시행한 경우의 중기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서는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받은 환자 중 3년 이상 의 추적 관찰이 이루어진 45명을 후향적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외측 병 변이 15명이었고 나이와 성별에 맞추어 30명의 내측 병변 환자를 선택하 였다. 외측 병변은 절골술 없이, 내측 병변은 내과 절골술과 함께 연골 이식술이 이루어졌다. 임상 평가는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AOS)와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AAM)를 이용하여 실시 되었다. 방사선학적 평가에는 관절 표면의 불규칙성(연골하 골판), 퇴행 성 관절염의 진행, 그리고 거골 경사도의 변화가 포함되었다. 결 과 : 수술 후 두 군에서 평균 FAOS 및 FAAM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수술 후 1년까지의 기간 동안 두 군 간에 FAAM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내측 군에서 평균 75.3 점, 외측 군에서 평균 87.2 점, P<.001). 내측 군에서는 내과 절골술의 지연 유합 또는 부정 유 합이 4예 (13%)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내측 군에서 3예 (10%)에서 관절 의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관절 표면의 불규칙성과 거골 경사도의 변화에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자가 골연골 이식술로 치료된 내측 및 외측 거골의 골연골병 변 간의 중기 임상 결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거골의 내측 골 연골 병변 환자는 일상생활 및 스포츠 활동 능력을 회복하는 데 더 오랜 기간이 필요하였다. 또한 내측 골연골 병변에서 시행되는 내과 절골술 후 합병증 발생률이 더 높고, 방사선학적 추시 상 진행성 관절염의 빈도 가 더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 The conventional operative method to treat an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OLT) is one through bone marrow stimulation (BMS). Autologous osteochondral transplantation (AOT) is being used as an alternative option in cases with a large OLT, accompanying subchondral cyst, and/or failed BMS. But there are major differences including surgical approaches between medial and lateral lesions. So we aimed to compare the intermediate-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between medial and lateral OLTs after an AOT procedure. Methods :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AOT, 45 cases with at least 3 years’ follow-up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had 15 cases of lateral lesions and selected 30 cases of medial lesions matched for age and gender. Lateral lesions were resurfaced without an osteotomy; medial lesion resurfacing was combined with a medial malleolar osteotomy. Clinical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the Foot and Ankle Outcome Score (FAOS) and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AAM). Radiographic assessment included the irregularity of articular surface (subchondral plate), the progression of degenerative arthritis, and the change of the talar tilt. Results : The mean FAOS and FAAM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surgery in both groups. Up to 1year postopera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AAM scores between both groups (mean 75.3 points in medial group and 87.2 points in lateral group, P<.001). Delayed union or malunion of the malleolar osteotomy was found in 4 cases (13%) in the medial group. In addition, the progression of joint degeneration was observed in 3 cases (10%) in the media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rregularity of articular surface and the change of talar tilt between both groups. Conclusion : A comparison between medial and lateral OLTs treated with AOT demonstrated comparable intermediate-term clinical outcomes. However, patients with medial OLT required a longer period to restore ability for daily and sport activities. In addition, we found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rate of progression in the radiological arthritis grade after medial malleolar osteotomy.

      • 항만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시 수중소음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민찬홍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한정적 자원으로 인한 국토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입 지에 대한 검토를 다양하게 하고 있으며, 개발과 환경적 보존을 위한 다양 한 규제들이 적용되어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행정 절차를 이행하고 있다. 현재 10년간 협의완료된 환경영향평가 사업은 전체 1,719건이며 그중 항 만의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협의 건수는 170건이다. 항만의 건설사업 협 의내용을 살펴본 결과, 수중소음에 대한 의견이 나온 건은 6건이며 이마저 도 수중소음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이 나온게 아니라 보편적인 모니터링 및 사후환경영향조사시 조사계획에 관한 내용이 전부였다. 해외 다른나라의 경우 어류 및 고래류 등과 같이 수중소음 발생으로 인 한 해양생태계에 영향이 있을 것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수중소음 환경기준 이 있는 것에 반해 우리나라는 아직 육상양식장에 대한 환경분쟁 배상액 산정기준에서 제시된 피해인정기준만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해상이 아닌 육상에 있는 양식장을 대상으로 피해인정기준 을 제시하였을 뿐 항만의 건설사업과 같이 해양에서의 해양생태계 피해인 정기준은 우리나라에서 정립되어 있지 않았으며, 우리나라에는 구체적으로 수중소음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어 선박운용이 많으며, 바다 매립 과 방파제 및 부두건설, 항로준설 등 해상공사가 많다. 그래서 바다를 주 생활터전으로 삼는 어업인들의 피해 및 어류와 같은 해양생태계에 관한 피 해를 줄이기 위해 수중소음에 대한 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항만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시 소음항목에 대한 평가서 작성 은 대부분 수중소음에 대한 현황조사 및 영향예측, 저감방안, 사후환경영향 조사계획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항만건설사업 특성상 해상에서 진행되는 공사가 많은 것에 비해 수중소음에 대한 피해영향의 무관심한 편이였다. 이에 따라 항만건설사업 대상지 중 하나를 선정해서 항타시 수중소음 영 향예측을 시행한 결과, 44.5m, 및 76m 이내 지역에서 해외 수중소음 목표 기준 어류 206 dBpeak, 고래류 202 dBpeak를 만족하여 피해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론은 연구대상지의 지역인 충청남도 보 령시와 인접한 지역인 충청남도 태안군 지역의 보정계수 F 17을 적용하여 예측된 결과이다. 하지만, 좀 더 신뢰성 있는 수중소음 예측을 위해 보정계수 F를 10∼21 으로 적용하여 예측한 결과, 보정계수 F가 10일 때 수중소음 목표기준 어 류 206 dBpeak, 고래류 202 dBpeak를 만족하는 영향범위는 각각 630m와 1,600m로 예측되었다. 이에 해상공사(항타)로 인한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범위가 넓은 것으로 파악되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만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도 해상풍력 발전사업 환경영향평가와 같이 수중소음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영향예측을 하고 저감방안을 수립하 여 해상공사가 진행될 시 사후환경영향조사 계획에 따라 수중소음에 대한 모니터링과 해양생태계 피해 영향을 파악하고 관리 및 감독하는 것을 제언 한다.

      • AHP와 IPA를 활용한 중소수출기업의 FTA 활용 결정요인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민찬홍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2년 현재 대한민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는 58개국이다. FTA는 국제무역과 관련한 경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한국 제품의 해외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원산지 규정으로 인해 세계 각국과 수많은 FTA 체결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들 사이에서는 FTA가 널리 시행되지 않고 있다는 의견이 널리 퍼져 있다. 특히, 중소기업은 운영의 여러 측면에서 문제가 있어 국내 시행률이 낮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FTA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중소기업 차원에서 FTA 활용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정책방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방법으로는 FTA 전문가의 의견을 활용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법과 중소기업의 의견을 활용한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법을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CEO의 의지, 원산지 규정에 대한 교육을 받은 인력 확보, 정부 지원 컨설팅 품질 향상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에 대해 중소기업이 적극적으로 개선점을 내놓기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중심으로 개선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In 2022, there are 58 countries that have concluded Free Trade Agreement (hereafter FTA) with Republic of Korea. In order to support the economic activities with regard to international trade operation, FTA is widely regarded as a new opportunity that can enhanc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products overseas. However, it is widely mentioned that due to the complicated rules and regulations on origin, FTA is not widely implemented among Korean companies despite the numerous amounts of FTA deals with countries around the world. Especially,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hereafter SMEs) have problems on various ends of its operation which leads to the low implementation rates in the country. This study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FTA for SMEs and to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use of FTAs at the SMEs level and the policy direc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to help them in more detail. As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method using the opinions of FTA experts and the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alysis method using the opinions of SMEs were used in paralle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will of Chief Executive Officers, having the educated workforce on rules of origi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government-supported consulting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bout these factors,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for SMEs to actively come up with improvement point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focusing on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 실내 위치 서비스 기반 긴급 호출 시스템

        민찬홍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내 위치 서비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음영지역인 실내에서 보다 정확한 위치를 판별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실내 위치 판별 기법과 디바이스 연동 방법들을 구성하여 인프라를 구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실내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위치 판별을 위한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을 가공 및 처리하고 통신한다. 이를 통한 관련 기술로 실내의 전시물을 사용자의 위치에 맞추어 설명해주는 도슨트(Docent) 시스템과 실내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목적지를 판별하여 안내 역할을 하는 실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당 기술은 센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 수, 각도 등을 계산하여 위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 시스템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센서 값을 가공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소지하는 형태와 들고 있는 습관, 사용자의 걸음걸이 등을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에 따라 정확도가 하락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손목에 착용하는 방식의 실내 위치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통해 복지 기관 및 병원을 대상으로 가정하여 실내 위치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고, 해당 위치 서비스를 기반으로 실내에서의 긴급 호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손목에 시계 형태로 되어 있는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센서 값을 받아 별도의 단말기에 전달하고,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센서 정보들을 웹 서버로 요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보호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피보호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며 긴급 상황 시 알람을 받을 수 있는 형태로 동작한다. 이를 통해 복지 기관이나 병원 등 비교적 넓은 실내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실내 위치 서비스를 이용하여 빠른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ndoor location service is a technology that is used to determine a more accurate location in the indoor shadow area of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construct an infrastructure by configuring various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techniques and device interworking methods. In order to construct such an indoor infrastructure, information collected from sensors for determining a user's location is processed, processed, and communicated. As a related technology, for example, the Docent system, which describes the indoor exhibition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indoor navigation service, which serves as a guide by identifying the location and destination of the user in the room. The technology provides location services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steps and angles of users using geomagnetic sensors, acceleration sensors, and gyro sensors built into smartphones to extract sensor data. However, these conventional system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ccuracy is reduced depending on the user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form of carrying a smartphone, the habit of holding it, and the user's gait, since the sensor values ​​are processed and processed through the smartphon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door location service system that is worn on the wrist to solve this problem. In addition, we built an indoor location service infrastructure for welfare institutions and hospitals, and implemented an emergency call system indoors based on the location service. The proposed system receives the sensor value from the processor board in the form of a watch on the wrist and delivers the sensor value to a separate terminal. It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operates in the form of receiving an alarm in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is, if an urgent situation occurs in a relatively large room such as a welfare institution or a hospital, it may be possible to respond quickly by using the indoor location service.

      • 증강현실 기반 공공시설물 계획에 관한 연구

        민찬홍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우리 주위에 모든 것이 디지털화 되고 커뮤니티 정보공간의 잠식과 같은 문제점과 일방향 정보전달 매체를 거쳐 양방향 정보전달을 통한 상호작용 형태인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 뉴미디어 분야가 주목받으면서 빠르게 상용화 되고 있다. 우리 주변의 생활 밀착 시설인 공공시설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공공시설물은 기능성, 통합성, 안정성, 보편성, 환경성, 연속성과 정체성의 7가지 디자인 기본방향을 갖고 사용자 및 보행자 중심의 도시를 위한 공공시설물 설치를 위한 기능, 통합, 안전, 배려, 조화를 구현한다.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여러 정책들을 세워 장려하는 등의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며 단체와 개인별 맞춤 서비스가 증가되고 있다. 이를 더욱더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의 현실세계에 가상 정보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면, 보다 직접적이고 직관적 체험으로써 실시간으로 시간과 공간에 제한 없이 현실의 공간에서 정보 영상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형식적인 통일된 현실과 우리의 혼란스럽고 다양한 경험 간의 사이를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증강현실이라는 용어는 보잉의 톰 코델이 1990년 항공기의 전선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이해하기 쉽게 실제 환경에 가상이미지를 중첩시켜 설명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증강현실은 상호작용, 현실감, 몰입감,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 현재 증강현실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사용자가 보다 나은 현실 환경에 필요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고 가상정보의 범위와 상호작용을 하며 사람의 감각기관을 통해 느끼게 하여 오감을 넘어 공감각의 정보로 확대 되고 있어 과거, 현재, 미래,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원하는 정보환경을 경험할 수 있고, 이제는 모든 분야에 적용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강현실이 적용된 공공시설물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AR공공시설물의 특성과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R기술이 적용된 공공시설물의 사례연구를 위한 대상 선정 범위로 첫째, 공공적 환경에 AR기술의 급격한 사용성이 나타났던 2014년부터~현재(2020년)까지의 시기를 기준으로 하였다. 둘째, 국내외에서 일상생활 중 접근성이 높은 시설물로 서울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분류군 중 서비스시설물, 통행시설물과 상징조형물 및 디지털영상매체 등을 포함하는 기타시설물의 3가지 분류군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음으로 만들어진 국가차원의 법정계획으로서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2018-2022)과 서울시를 비롯한 지자체의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2017)을 기반으로 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기본개선 방향 7가지 특성과 증강현실기술의 5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사례를 분석하였다. 체계성을 띄는 접근방법을 통해 증강현실에 따른 공공시설물 공간의 표현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접근방법으로는 유형별 증강현실 공간의 특성과 공공시설물 계획 디자인 방향 특성을 분석하여 AR 표현특성을 찾아냄으로써 결론에 도달한다. As science and technology advances, everything around us is becoming digital, problems such as erosion of community information space, and the AR (Agulated Reality) new media sector, which is an interactive form of communication through one-way information delivery media, are quickly commercialized. With growing interest in public facilities, which are life-friendly facilities around us, public facilities have seven basic design directions: functionality, integration, stability, universality, environmentality, continuity and identity, and implement functions, integration, safety, consideration and harmony for installing public facilities for user and pedestrian-oriented citi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public design and encouraging various policies, customized services by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are increasing. To further meet this, if the existing real world can be presented with the desire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with virtual information, a more direct and intuitive experience can provide information video messages in real-time, real-time, space-free space and time. In other words, it can be used to link between formal unified reality and our confused and varied experiences. The term Augmented Reality began to be used by Boeing's Tom Cordell in 1990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aircraft's wires by superimposing virtual images in the real world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Augmented reality has features that enhance interaction, realism, immersion, interest, and understanding. Currently, augmented reality is being expanded beyond five senses to empathic information by providing users with additional information needed for a better real environment, interacting with the scope of virtual information, and making them feel through human sensory organs,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desired information environment in real time, regardless of past, present, future, time and space, and is now being commercialized in all area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AR public facilities and the direction of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of public facilities applied with augmented reality. In this study, the scope of selection for the case study of public facilities with AR technology was based on the period from 2014 to present (2020), when the rapid use of AR technology was shown in the public environment. Second, three categories of other facilities, including service facilities, transit facilities, symbolic sculptures, and digital video media, were selected as the most accessible facilities in daily life at home and abroad. Third, the case was analyzed based on seven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improvement directions for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nd fiv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based on the comprehensive plan for promoting public design (2018-2022) and the urban design guidelines (2017) of local governments includ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we inte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on of public facilities spaces according to augmented reality. The approach is to reach a conclus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space by type and the design direction of public facilities to find AR expression characteristics.

      • 경기지역 조선 후기 분묘유적 출토 인골 연구 : 병리학적 특성 및 식생활 복원을 중심으로

        민찬홍 한양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옛 사람의 뼈에서 추출되는 정보는 당시 생활상을 추론할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로서 높은 가치를 지닌다. 뼈의 체질학적 분석을 통해서 해당 개체의 인구특성과 병리학적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뼈 내 콜라겐의 화학적 분석을 통해서 해당 개체의 식생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점에 따라 고고학에서도 옛 사람의 뼈를 이용한 생활상 복원 연구가 여러 건 수행되었다. 조선시대 후기를 대상으로 한 분석 사례가 많지는 않으나, 조선 후기 생활상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며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한반도 경기 일대 유적에서 출토된 인골개체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조선 후기 한반도 경기 지역의 병리 양상과 식생활 양상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체질인류학적 분석과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조선 후기 경기 지역 인골 개체의 체질 특성과 병리, 식이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체질적 특성에서는 이른 사망률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연령 추정 결과 대다수(90%)가 50세 미만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고, 청년층(20-35)의 사망률이 절반에 가까웠다. 이에 따라 조선 후기 사회는 짧은 기대수명을 지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대상 집단의 고병리흔 분석 결과 치아질환과 관절질환이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관절질환은 대부분 골관절염으로 확인되었다. 골관절염은 노화 및 역학적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본 집단에서는 골관절염이 전 연령대에 고르게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연구대상에서 나타나는 관절염은 노동과 같은 반복적 운동 스트레스와 관련이 높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치아질환은 대부분 충치와 에나멜 형성 부전증으로 확인되었다. 충치의 주요 발병 인자는 탄수화물 내 특정 당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표본 집단의 높은 탄수화물 섭취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에나멜 부전증은 유아기 영양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본 집단에서는 앞서 높은 탄수화물 섭취가 추론된 바 있다. 따라서 높은 에나멜 형성 부전증 양상은 단일 영양소에 의한 영양 불균형에 따른 것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 표본 집단의 주요 식료원과 식생활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C3식물이 높은 비율(50% 이상)을 차지하며 주요 식자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보조적으로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가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식료섭취 비율 모형(MixSIAR)을 통해 식료범주별 섭취율을 추산한 결과 C3식물 > 가축 > 어류 > 초식동물 > C4식물 순으로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표본 집단 내 인구, 질병, 묘제, 유적입지 요인에 따른 식생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평균비교분석 결과 요인별 식생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해당 인구집단에서는 균일한 식이 섭취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양상의 원인에 대해서 농업생산량 증가와 유통경제의 발달에 따른 주요 식자원 공급확대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부 확인되는 이질적 식이가 나타나는 개체들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질적 식이 섭취 개체들 사이에서는 특정한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 집단적 유사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질적 식이를 나타내는 개체들은 개인적 요인에 의한 식이 섭취의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 추정했다. 개인적 요인에서 고려할 수 있는 가정으로 거주 입지·환경, 특수 직업군의 종사, 신분의 차이에 따른 이질적 식이 등을 상정해 볼 수 있으나 본 연구결과로 추론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뼈를 통해 살펴본 연구대상의 병리·식이 양상을 종합하면 첫째, 구강건강과 관절건강이 불량했으며 낮은 기대수명을 지녔던 것이 확인된다. 둘째, 쌀, 보리, 콩 등 몇몇 작물 위주의 단일화된 식이 섭취가 이루어졌으며,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른 식단의 차이가 없었던 것이 확인된다. 이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는 현대에 비해 열악한 양상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생활에 있어서는 일부 곡류의 의존도가 높은 식단 구성을 지녔으며 사회경제적 요인과 상관없이 균일한 식단을 섭취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