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그룹 교회 활성화를 위한 기획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김반석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그룹 교회 활성화를 위한 기획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김반석 신학대학원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오늘날 큰 교회가 곧 좋은 교회요 성공한 교회라는 전제 때문에 교회는 병들어 버렸고, 병든 교회는 세상으로부터 지탄받게 되었다. 대그룹을 지향하는 교회는 물질과 부조리로 인해 분열・붕괴되기 십상이고, 소그룹을 지향하는 소그룹 교회는 소외받기 일쑤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유기체적 교회의 모습으로 소그룹 교회를 제시하고, 소그룹 교회의 정립과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써 기획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거론되는 두 가지 개념인 소그룹 교회와 기획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소그룹 교회는 소그룹 자체를 하나의 교회로 인정하는 동시에 소그룹을 통해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역할을 실현할 수 있다. 소그룹이 교회이며, 그 소그룹들의 모임 또한 교회이다. 그것은 교회가 건물이 아니며, 유기체적 존재인 사람이 교회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반면에 소그룹 교회뿐만 아니라 모든 교회는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다. 당연히 그 안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면서 갈등과 문제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 내제되어 있는 기획적 성품을 따라 소그룹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에 기획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기획이란 소그룹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들의 윤곽과 질서를 잡아주는 도구이며, 나아가 소그룹 교회에 활력을 넣어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기체적 특성을 지닌 소그룹 교회에 오늘날 현대인들의 구미에 맞는 합리성의 총체적 개념으로써의 기획을 어떻게 접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다. 나아가 기획을 통해 한국 교회에 진정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소그룹 교회를 정착시키고, 또 소그룹 교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도구로써 기획을 제시하고자 한다.

      • L. H. Berlioz의 연가곡 <Les Nuits d'été> op.7에 관한 분석연구

        김반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Les Nuits d´Eté is a song cycle written by Louis Hector Berlioz (1803-1869), an important Romantic French composer who established the basis of program music. In this study, I researched and analysed Les Nuits d´Eté, an important art work in the history of french Melodie. This work is a melodie with the characteristic of program music as the main source, and is the suite of 6 poems from the 「La Comedie de la mort」 of Theophile Gautier(1811-1872), a friend and critic of Berlioz. The course of the research first has a look at the life, characteristics of Berlioz and the compositional background of Les Nuits d´Eté. The study also analyses the special features of Les Nuits d´Eté through the text, formation, harmony, melody, and the accompaniment. The analysis results are coinciding melody to the meaning of lyrics, identically composed in ternary form except rondo type of the forth song, frequent modulations such as diminished and altered harmony, orchestral effect on piano accompaniment. All the take together, Les Nuits d´Eté was composed as the rich harmonic style of Romantic perio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singers to play in high quality. So he or she who sings this song cycle can express more profoundly and effectively by understanding the musical features of Les Nuits d´Eté, and particular intention through the musical language of Berlioz.

      • 모빌리티의 상상과 새로운 삶의 실험 : 농촌 이주 청년들의 서사를 중심으로

        김반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ir own narratives. I argue that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should be regarded as practice for envisaging and reconstructing their future lives through the mobility towards rural areas. In a situation where young people feel that their lives cannot be sustained in the survivalistic atmosphere in urban areas, they seek to regain their agency and initiatives for rebuilding their own biography in the unstable world. Before examining young people’s narratives, I first looked at the semantics of the ‘gwinong/gwichon’(return-to-farm/return-to-rural) discourse in Korea. In the period of the financial crisis of late-90s in Korea, ‘gwinong’ has emerged as a social phenomena, which is promoted as alternative for unemployment on the one hand, and ecological movement on the other hand. Young people, meanwhile, appeared as main agent in the ‘gwinong/gwichon’ discourse in recent years, in the crisis of demographic declination in rural areas and shortage of manpower in agricultural sector. In the ‘gwinong/gwichon’ discourse,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is often viewed as seeking for economic opportunities in agricultural sector, or pursuing ecological value and establishing community in rural areas. It is this point that this study raises question. Comparing with that of older people, who have been the main actor of ‘gwinong/gwichon’ phenomena, young people’s urban-to-rural involves much more risks and unstability, in that they have few resources to utilize, and are in very vulnerable status in rural areas. Thus, the problem of the motivation of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cannot be simply explained in the viewpoint of their value orientation―economic value or ecological/ alternative value, because they have to take many risks and challenges in order to pursue their values in rural areas. From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s young people’s narratives of their migration into rural areas, focussing on their imagined future. The narratives analyzed in this study cover the general course of young people’s migration, starting from their experiment in urban areas before their migration, their encounter with rural areas and decision of migration, and their settlement in countryside and experiment for new way of lif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young people’s stress and skepticism in urban areas is not only the problem of trouble and difficulty in their current lives, but also related to the impossibility to project their lives into the future. In the interview, the interviewees said that they could not sustain their lives anymore in the urban areas. Meanwhile, facing the lethargy in urban life, they had steadily pursued change of lifestyle before they moved to rural areas. These experiences can be interpreted as their construction of agency to envisage their future and making their own biography in the unstable world. And it can be said that young people’s experiment of lifestyle in their days in urban areas later influenced their migration to rural areas for searching for new life. Second, the process of young people’s urban-to-rural migration seems to be contingent process involving various chances of encountering and experiencing the rural, rather than linear process involving deliberate planning and preparation for migration. Along this course of encountering the rural, young people project their lives into the unfamiliar space of rural areas, examine the possibility of rural life, and give shape to their imagination of moving into rural areas. Finally, young people who moved into rural areas try to make their own lifestyle in each aspects of their lives. In the core of their project is ‘agency’ and ‘autonomy’ to design their life course. Unlike in urban areas where they could not have initiative of their own lives, in rural areas they could be protagonist of their labor and living, planning their daily lives, and own the output of their work. Such experience was at the heart of young people’s narratives of their lives in countryside. In this way, young people reconstruct their prospect of future lives and try to build sustainable lifestyle in rural areas.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사회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청년들의 농촌 이주 현상을, 청년들 자신의 삶의 서사로부터 다시 규명해 가려는 연구이다. 청년들이 도시에서 겪었던 생존경쟁과 불안정한 삶의 여건 가운데 더 이상 자신의 삶을 지속해 갈 수 없다고 느낀 상황에서, 농촌이라는 새로운 공간으로의 이동을 통하여 자신들의 삶의 자율성과 주도권을 회복하고, 자신들의 삶의 전망을 재구성해 가는 실천으로서 청년들의 농촌 이주에 주목하였다. 우선은 청년들의 농촌 이주 현상의 배경을 살피기 위해, 한국사회의 농촌 이주 현상 전반을 아우르는 ‘귀농귀촌’ 담론의 흐름과 그 의미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90년대 말 외환위기를 전후한 시기에, 정부의 실업자 구제책의 일환으로서 ‘귀농’이 정책적으로 장려되고, 한편에서는 생태운동의 일환으로서 ‘귀농운동’의 흐름이 등장하면서, ‘귀농귀촌’이 사회적인 현상으로서 가시화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농촌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해 농촌의 세대교체를 담당할 젊은 인력들이 필요해지면서, 청년들의 귀농귀촌을 장려하는 움직임이 최근 들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만들어진 청년 귀농귀촌 담론에서는, 청년들의 농촌 이주를 ‘농촌에서의 창업’으로서 규정하거나, 경쟁적이고 소비적인 도시에서의 삶의 방식에 저항하며 농촌에서 대안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활동으로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가 문제제기를 하는 지점은 바로 이 부분에서이다. 청년들이 농촌으로 이주한다는 것은, 이제 막 삶의 진로와 향방을 정해야 하는 이행기적 시기에, 동원할 수 있는 자원도 부족하고, 농촌사회 내에서의 위치도 훨씬 취약한 상황에 놓인다는 점에서, 장년층의 귀농귀촌에 비해 훨씬 많은 위험요소와 불안감을 감수해야 하는 결정이다. 그러한 점에서 경제적인 기회나 대안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귀농귀촌 담론의 설명틀만으로는 청년들이 그 모든 불안감에도 불구하고 농촌에서의 삶을 선택하는 이유를 제대로 설명해낼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는 청년들의 농촌 이주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이들 자신의 미래에 대한 전망과 상상의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농촌 이주 서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년들이 농촌으로 이주하기 전 도시에서의 경험으로부터 시작하여, 이들이 농촌을 접하고 경험하면서 농촌으로의 이주를 결심하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농촌으로 이주한 이후 새롭게 미래를 꿈꾸며 자신의 삶을 꾸려 나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이 농촌 이주 이전 도시에서 겪었던 회의와 스트레스는, 이들이 더 이상 자신의 삶의 미래를 전망할 수 없다는 무기력함과 연결되어 있다. 청년들이 도시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어려움은 단순히 현재의 삶의 어려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대로는 자신의 삶의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는, 삶의 전망의 불가능성으로 이어진다. 한편 청년들은 도시에서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가운데, 다양한 형태의 경험을 거치며 스스로 삶의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경험들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이는 농촌으로 이주하기 전, 도시에서부터 이미 불안정한 삶의 전망을 마주하는 가운데 자신의 삶을 기획해 나가고자 하는 계기들을 마련해 온 것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과 모색의 경험들은 이후 이들이 농촌이라는 새로운 삶의 무대에 자신을 던지는 데도 영향을 주었다. 둘째로 청년들의 농촌 이주 과정은, 처음부터 농촌 이주를 목표로 하고 치밀하게 준비하는 과정이라기보다는, 농촌을 접하고 경험하는 다양한 계기들이 누적되는 가운데 농촌에서의 삶을 실험하고 모색한 끝에 비로소 본격적인 이주로 이어지는 비선형적인 형태를 띠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청년들이 농촌이라는 미지의 공간에 자신을 던져 보면서, 농촌에서의 삶의 가능성을 가늠해 보고, 농촌의 삶에 대한 막연한 상상을 구체화시키는 과정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이동에 대한 상상은, 청년들의 농촌 이주를 뒷받침해 주는 정책이나 공동체와 같은 다양한 기회구조를 경유하면서, 구체적인 이동의 실천으로 이어진다. 마지막으로, 청년들은 농촌으로 이주한 이후 각자의 삶의 영역에서 자신의 삶을 새롭게 꾸려 나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청년들의 삶의 기획에서 핵심이 되는 것은 ‘자율성’이다. 도시에서는 자기 삶의 주도권을 갖지 못했던 데 비하여, 농촌에서는 자기가 직접 노동과 삶의 주인이 되어 자신의 삶을 자율적으로 기획해 나가고, 약소하나마 노동의 결과물을 자신이 향유하고 자급자족할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농촌 이주 동기와 이주 이후의 삶에 대한 서사에서 되풀이되어 등장했다. 이렇게 자기 삶의 주도권을 회복하고, 자신의 행위 공간을 확보해 나가는 가운데, 청년들은 도시에서와는 또 다른 삶의 전망을 구성해 나가고, 지속가능한 삶의 모델을 추구하며 자신의 생애를 기획해 나가는 것이다. 청년들의 농촌 이주가 사회적으로 관심의 대상으로서 떠오르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농업의 세대교체나 지역 발전, 혹은 대안적인 공동체의 건설과 같은 청년들의 농촌에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농촌 이주를 다루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청년들이 농촌으로 오기를 바란다면, 청년들에게 모종의 역할을 기대하기 이전에 이들이 농촌을 자신의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택하고, 그곳에서 자신의 삶을 펼쳐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청년들이 농촌에서 어떠한 삶을 살아 나가기를 원하는지, 청년들 자신의 고민과 이야기로부터 시작하여 다시 논의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서 청년들의 삶의 전망과 미래에 대한 꿈의 차원으로부터 청년들의 농촌 이주 서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서비스 로봇에서 의인화된 디자인의 효과

        김반석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ervice robots are robots that help people in their living spaces. Examples include floor cleaning robots, indoor and outdoor delivery robots, and airport or museum guidance robots. While a traditional manufacturing robot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 factory and operated by a professional technician, service robots have a wide range of functions and operating spaces, and users are non-professional people. The reason why the service robot, which had been introduced on a trial basis, has rapidly emerged is the COVID-19.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the demand for service robots has exploded because they are free from infection and provide untact services. In particular, they are active in disinfection and delivery. When designing a service robot, a user-oriented design is required that can be used comfortably by ordinary people. Against this backdrop, anthropomorphic designs are applied to robots so that people can feel familiar with them. Anthropomorphic design is the application of human-like designs to the robot's appearance, facial expression, behavior, and voice. Anthropomorphic design has positive effects on product acceptability, reli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However, if the appearance of the robot is too similar to a human being, it can cause discomfort and the effect of anthropomorphism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the context of the robot, so the design should reflect its specificit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anthropomorphism of robot appearance and voice agent, focusing on serving robots. Is there a difference in user evaluation of robots depending on the appearance of robots and the voice agents? To answer this, experiments wit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a hypothesis that robot appearance and voice agent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to verify this, online experiments an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2x2 factorial designs. The robot appearance falls into human-like or machine-like design. Using Haslam's concept of human nature, the voice agents’ messages were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high human nature or low human nature. Dependent variables were determined to be likeability, user experience, and intention of restaurant use.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39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ere analyzed through MANOVA. Six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in-depth. MANOVA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lua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robot appearance. On the other hand, high human nature voice agent was rated higher for likeability, user experience, and intention of restaurant use than the other voice agent. In-depth interviews have found a demand for stable designs and design elements that can be viewed when talking to robots, and some have mentioned concern and rejection of human-like service robots. The results of MANOVA and in-depth interviews have been aggregated to draw four design points that can be referenced when designing serving robots. First, It is better to make the appearance of a serving robot resemble a character or an animal rather than a person, giving it a cute impression or designing it faithful to its function. Second, the appearance of the serving robot should be stable with a low height. Third, when a person talks to a robot, there should be a design that people can look at it like a robot's eye. Finally, it is recommended to reflect human nature when designing voice agents for serving robots. Through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effects of anthropomorphic robot appearance and voice agents on serving robots and outlined other things to be reflected in the design. It was also confirmed again that individual robot purposes and usag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service robots. Serving robots, which carry goods and interact with users, account for a high proportion of service robots. It is hoped that design sugges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design of serving robots in the field and for subsequent research. 서비스 로봇은 사람들의 생활공간에서 사람들을 도와주는 로봇이다. 바닥 청소 로봇, 실내외 배달 로봇, 공항이나 박물관 안내 로봇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통적인 산업용 제조 로봇이 공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며 전문 기술자에 의해 조작되는 반면, 서비스 로봇은 기능과 운영되는 공간이 다양하며 사용자도 전문 기술이 없는 일반인이다. 시범적으로 도입되던 서비스 로봇이 급부상하게 된 계기는 코로나19 사태다. 2020년 세계적으로 대유행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감염 위험이 없으며 비대면 서비스에 적합한 서비스 로봇에 대한 수요가 폭발한 것이다. 특히 방역과 배송 분야에서 활약상이 크다. 서비스 로봇을 디자인할 때 일반 사람들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지향적인 디자인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이 로봇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로봇에 의인화된 디자인을 적용하기도 한다. 의인화된 디자인이란 로봇의 외형, 표정, 행동, 음성 등에 인간을 모방한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다. 의인화된 디자인은 제품 수용성, 신뢰도, 사용만족도 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하지만 로봇 외형이 사람과 지나치게 흡사하면 오히려 불쾌감을 형성하기도 하고 로봇의 목적과 사용 맥락에 따라 의인화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특수성을 반영해 디자인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빙 로봇을 중심으로 로봇 외형과 음성 에이전트의 의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로봇 외형 및 음성 에이전트의 의인화 수준에 따라 로봇에 대한 사용자 평가에 차이가 있을까? 이에 답하기 위해 실험 및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먼저 로봇 외형과 음성 에이전트를 독립 변인으로 하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2×2 요인 설계로 온라인 실험과 설문을 진행했다. 로봇 외형은 인간형과 기계형을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음성 에이전트는 Haslam의 인간적 본성 개념을 사용하여 높은 인간적 본성과 낮은 인간성 본성에 해당하는 발화 내용을 디자인해 비교했다. 이에 따라 로봇에 대한 호감도, 사용자 경험, 레스토랑 이용 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20, 30대 3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결과를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통해 분석했다. 추가로 설문 응답자 중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로봇 외형에 따라 평가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에 음성 에이전트는 높은 인간적 본성의 음성 에이전트가 반대의 경우보다 호감도, 사용자 경험, 레스토랑 이용 의도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는 안정감 있는 디자인과 로봇과 대화할 때 바라볼 수 있는 디자인 요소에 대한 요구를 발견했으며 인간을 닮은 서비스 로봇에 대한 우려와 거부감이 일각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변량 분산분석 및 심층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서빙 로봇을 디자인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네 가지 디자인 요점을 도출했다. 첫째, 서빙 로봇의 외형은 사람을 닮기보다는 캐릭터나 동물을 닮게 해서 귀여운 인상을 주거나 기능에 충실하게 디자인하는 편이 낫다. 둘째, 서빙 로봇의 외형은 높지 않은 높이 등으로 안정감을 줘야 한다. 셋째, 사람이 로봇에게 말할 때 로봇 눈과 같이 시선이 향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서빙 로봇의 음성 에이전트를 디자인할 때 인간적 본성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서빙 로봇에서 의인화된 로봇 외형과 음성 에이전트의 효과를 확인했으며 이밖에 디자인 시 반영해야 할 사항을 정리했다. 또한, 서비스 로봇을 디자인할 때 개별적인 로봇의 목적과 사용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했다. 물품 운반과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서빙 로봇은 서비스 로봇 중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디자인 제언이 앞으로 현장에서 서빙 로봇을 디자인하는 데와 후속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그리스도인의 의에 대한 성경적 근거에 대한 연구 : 시편 17-18편의 주석적 신학적 연구

        김반석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시편 17, 18편의 신작 연구를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의 의를 연구하는 것이다. 시편 기자는 하나님께서 인정하시는 의에 대해 말하고 있다. 시인의 언어는 바리새인의 자기 '의'에 대한 기도와 매우 유사하다. 본 논문은 시편 기자의 의와 바리새인의 자기 '의'가 어떻게 다른가를 다루고자 한다. 시편 기자의 '의'는 하나님과의 언약관계에 기초하고 있다. 하지만 시편 기자의 의는 신약이 말하는 이신칭의와 모순된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이신칭의는 인간이 하나님을 믿기 이전에 의롭지 못하고, 오직 믿음으로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인간은 예수님을 믿어야만 구원을 얻을 수 있다. 구원을 받은 사람은 구원에 따른 의로운 행동을 해야 한다. 반면 시편 17, 18편 기자의 '의'는 구원에 이르는 의가 아니다. 이 '의'는 구원을 받은 이후 하나님께서 인정하시는 행위적 의이다. 구약성경이 말하는 구원은 신약적인 의미의 구원인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죄용서 받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이 아니다. 시편의 구원은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한다. 구약성경의 구원은 하나님과의 언약적 관계를 가지고 하나님의 백성에 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약은 바른 언약적 관계를 명확히 규정하는데, 그것은 예수님을 구주와 하나님으로 믿는 것을 의미한다. 시인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통하여, 독자로 하여금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 것을 강력히 권하고 있다. 시편 17,18은 그리스도인은 의로운 행동을 해야 하고 기도 가운데에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겠다고 결심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시편기자가 어떻게 우리를 권면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ighteousness of Christians through the study of theology in Psalms 17 and 18. In these Psalms the author speaks of righteousness, which God acknowledges. The Poet's language is very similar with Pharisees who spoke of his self-righteousness in the New Testament. This study will research what the difference with self-righteousness of Pharisees and the Poet's righteousness. The Poet's righteousness is based on covenantic relationship with God the Almighty. It may seem that Poet's words contradict with a dogma of "Salvation through faith." But this dogma refers only to those people who did not yet believe, and they cannot be righteous before God. Only faith we deserve salvation by grace which is Jesus Christ gives us. In this case, when a person is saved, he is supposed to do righteous deeds, consequent his salvation. When the Poet is speaking of his righteousness, he does not mean the righteousness leading to his salvation. That righteousness is after a person had been saved. In the Old Testament salvation means part-taking in God's Covenant. In the New Testament right covenant-relationship with God implies faith in Jesus Christ. The Psalmist having right covenant-relationship with God gives us a good example how we must take right decisions to follow God's Word. Christians must do righteous deeds and pray to God of their readiness to follow God's Word. Thus, this study is dedicated to this problem.

      • 자율운항선박을 위한 의미기반의 선상정보모델에 관한 연구

        김반석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함께 해양산업에도 디지털화, 자동화 및 지능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자율운항선박 기술의 도입으로 선박의 모든 장비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표준화된 형태로 수집, 교환, 그리고 통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IEC, ISO 등과 같은 국제표준화기구에서는 선박에서 발생한 정보의 교환 및 활용을 위한 데이터표준을 정의하고 있으며, 특히, IMO에서는 S-100 표준 기반의 CMDS를 정의하였다. 하지만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다루고 있는 정보의 범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율운항선박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 표준화된 정보모델을 개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자율운항선박을 포함하여 해양분야에서의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해양 표준데이터를 조화롭게 통합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화된 해양정보모델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 표준데이터, 특히 선상에서 발생하는 항해정보, 운용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의미를 기반으로 식별하는 정보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선박의 항해 정보인 IEC 61162-1 데이터와 운용정보인 ISO 19848에서 정의된 선상데이터의 특성을 분석하여 의미를 추출하고, 추출된 의미에 따라 선상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계층화되고 일반화된 오브젝트 모델을 정의한다. 또한, 정의된 데이터 모델에 따라 항해정보와 운용정보를 의미기반의 데이터 모델로 제 정의함으로써 의미기반의 데이터 모델의 적합성과 선상정보모델의 활용성을 증명한다.

      • 스마트 교육을 위한 가창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김반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교육의 가창영역에 스마트 교육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가창역량을 강화하고 자발적 학습참여와 성취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가창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스마트 교육은 학습자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21세기 교육 패러다임으로 자기 주도적인 학습, 동기부여, 수준과 적성에 맞는 학습, 풍부한 자료, 정보 통신 기술의 도입의 의미를 지닌 지능형 맞춤 학습체제로 정의할 수 있다. 스마트 교육을 가창영역에 적용하여 가창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가창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소양을 두루 갖춘 전인적 인격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연구에 앞서 음악 가창영역 학습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가창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표적 모바일 운영체제인 iOS와 안드로이드에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조사하였으나, 취학 전 아동을 위한 소수의 동요 어플리케이션이 제외하고는 중등교육에 유의미한 가창 어플리케이션 출시여부를 규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으로 가창수업과 연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개발을 기획하는데 있어 실효적 구상을 고려한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를 선택하고 교육용 가창 어플리케이션의 개요와 특징을 설명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의 순서도와 요목별 기능 목록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가 학습자에게 친근한 도구와 자유로운 가창환경을 기반으로 한 긍정적인 체험을 제공하여 가창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교육용 가창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활용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pplies smart education to singing domain in music education to strengthen the singing ability of a learner and encourage volunteering learning and achievement motiv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inging application. Smart education is defined as intelligent customized learning system that includes self-directed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onsidering one’s level and aptitude, affluent materials and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a 21st century educational paradigm to develop a learner’s ability. If the singing application is applied in learning singing, it is helpful to form whole-rounded personality of a person who can obtain basic knowledge and manner on singing. Before proceeding with the study, it investigated educational applications based on iOS and Android which are famous mobile operations systems to understand the status singing application being used for learning singing.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only a few singing applications for children who are not old enough to attend to elementary school. It was hard to find a significant singing application for middle or high school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n educational application that can be realistically applied to self-directed learning in relation to singing class. The followings are the effective conside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pplication. First, the operating system will be android. It explains the int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singing application. Second, it forms the list of the order and function of each item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students can use it easi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positive experience of familiar tool and free singing environment for the learner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usage of educational singing application together with the change of recognition on singing.

      • 국내 RhD 음성 헌혈자에서의 DEL형의 Rh-Hr 표현형 및 유전자형 분석

        김반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hD antigen, which is a highly immunogenic following ABO antigen, can lead to severe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and hemolytic disease of the fetus and newborn. It has been known in the past that DEL antigen, which contains very small amount of D antigen does not create anti-D antibodies when transfused to an RhD negative recipient. However, recent reports show that there have been some cases of anti-D antibodies production in an RhD negative patient after having been transfused with DEL type blood component. In this study, we studied RhD negative red blood cells supplied to our hospital for analyzing the prevalence, phenotype, allele of DEL antigen. Adsorption-elution test, multiplex-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cluding exon 4, exon 7, exon 10 and promoter of RHD gene,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and direct sequencing of exon 9 of RHD gene were performed. In 100 Rhd negative samples with multiplex PCR and MLPA test, 78 showed RHD gene homozygote deletion, 4 showed the RHD-CE-D hybrid, and 18 showed RHD gene heterozygote deletion. In 18 cases with the RHD gene heterozygote deletion were confirmed by adsorption-elution test to be DEL type and the ‘Asian DEL type’ RHD (K409K, 1227G>A) polymorphism was detected by MLPA and direct sequencing of exon 9 of RHD gene in all of 18 cases. In addition, C antigen were expressed in all 18 DEL type in RhCE phenotype analysis (Ccee 14 (77.8%), CcEe 4 (22.2%)). It is necessary for a newly developed transfusion exanination system, which distinguishes between purely D negative and DEL type blood through RHD gene examination for safer transfusion of RhD negative blood products. RhD 항원은 ABO 항원 다음으로 면역원성이 강한 항원으로, 생성된 anti-D 는 심각한 용혈성수혈반응 또는 태아신생아용혈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약 D형 중 극소량의 D항원을 가지고 있는 DEL 항원은 과거에는 RhD 음성 환자에게 수혈되어도 anti-D가 생성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 RhD 음성 환자에게 DEL형의 혈액제제가 수혈된 후 anti-D 가 생성된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원으로 공급되는 RhD 음성 농축적혈구제제에서 DEL형의 빈도, 표현형 및 DEL형의 대립유전자를 분석하기 위해 흡착-용출 시험과 RHD 유전자의 exon 4, exon 7, exon 10, promoter 부위에 대한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검사,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및 RHD 유전자 exon 9 부위의 직접염기서열 분석을 시행하였다. RhD 음성혈액 100검체 중multiplex PCR과 MLPA 검사 결과 78건이 RHD 유전자 동형접합체 결손을 보였고, 4건이 RHD-CE-D 하이브리드 형성, 18건이 유전자 이형접합체 결손을 보였다. 유전자 이형접합체 결손을 보인 18건은 흡착용출 시험에서 DEL 형으로 확인되었고, MLPA 검사와RHD 유전자exon 9의 직접염기서열 분석을 한 결과 18건 모두에서 ‘Asian DEL type’인RHD (K409K, 1227G>A) 변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DEL 형의 RhCcEe 표현형을 분석한 결과 18건 중 Ccee가 14건 (77.8%), CcEe가 4건 (22.2%) 으로 18건 모두 C 항원이 표현되었다. RhD 음성혈액의 안전한 수혈을 위하여 RhD 음성혈액으로 공급되는 혈액제제의 RHD 유전자 검사를 통해 순수한 D 음성 혈액과 DEL 형을 구분하는 새로운 수혈검사 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

      • 리튬 이차전지용 비정질 삼원계 실리사이드 매트릭스를 포함한 실리콘계 나노복합체 음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김반석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내연기관 차량의 전동화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전기차 시장의 규모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으로 널리 사용되는 흑연은 상대적으로 낮은 이론용량 (372 mAh g-1, LiC6)과 열악한 고율특성을 나타내어 차세대 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 적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실리콘 (Si)계 음극소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흑연 음극소재를 대체할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높은 초기 가역용량, 높은 초기 쿨롱효율, 우수한 고율특성, 고수명특성)을 갖는 실리콘계 음극소재 제조를 목표로 하였다. 높은 이론용량 (3578 mAh g-1, Li3.75Si)을 나타내는 실리콘은 리튬과 합금상을 형성 시 큰 부피변화가 동반되어 수명특성이 급격히 감소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실리콘의 부피변화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비정질의 리튬-비활성 실리사이드 매트릭스와 전도성 흑연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고에너지 볼밀링 (high-energy ball milling, HEBM)을 통해 실리콘계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우선, 다양한 삼원계 전이금속 실리사이드를 제조한 후 실리콘과의 HEBM 공정을 거쳐 실리콘계 복합체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체는 삼원계 전이금속 실리사이드의 매트릭스 효과로 인해 실리콘에 비해 전기화학적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비정질 결정구조의 Ni3ZnSi2 (a-Ni3ZnSi2)를 포함하는 Si/a-Ni3ZnSi2 복합체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이는 복합체 내에서 극히 낮은 결정성을 갖는 a-Ni3ZnSi2 매트릭스에 의해 실리콘이 매우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실리콘의 부피변화 및 그에 따른 응력이 효과적으로 완화되기 때문이다. 성능 향상을 위해 흑연과의 추가적인 기계적 밀링 공정으로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흑연 매트릭스에 의한 전도성 향상과 함께 실리콘 입자의 응집 및 조대화가 억제되어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나타냈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Si/a-Ni3ZnSi2/G 복합체는 비정질 결정구조의 리튬-비활성 a-Ni3ZnSi2 매트릭스와 전도성 층상 흑연 매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실리콘 나노결정립으로 구성되며, 1239 mAh g-1의 높은 초기 가역용량, 82.4%의 높은 초기 쿨롱효율, 200회의 충방전 이후 85.5%의 우수한 용량유지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높은 전류밀도에서도 흑연에 비하여 높은 가역용량을 나타내어 우수한 고율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