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에 대한 편견·고정관념· 사회적 거리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소재 대학교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김시라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necessity recognition,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rejudice, stereotypes, and social distance toward multiculturalism, which is centered on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universities in Gyeonggi-do, and the acceptance of empathy values with them.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cognized by the social welfare major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the three sub-factors (bias, stereotypes, and social distance) that constitute negativ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peopl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arameters and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Second, prejudice is a negative perception that occurs internally to individuals who are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is an important cause of the final discrimination in schools and social communities. If the multicultural people can intervene appropriately in the process of forming prejudice through 'interest' and 'consideration', it is judged that i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the process of prejudice change into discrimination in advance. Third, negative adjectives for stereotypes are caused by internalize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behavior, and it is not possible to learn from childhood and remove them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it is judged that effective community citizen education can be possible by establishing long-term educational goals and reviewing experts and supporting government policies. Fourth, since the inter-intrinsic causal relationship has been prov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rejudice and stereotype perception toward multicultural people,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distance is, the mor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reduce prejudice and stereotypes in various curriculums of universities in order to narrow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education that respects and cares for others and ethics education that cares about other cultures and people. Fifth, the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of this study are not good in moral theory to criticize and reject the relative culture morally, but they accept positive cultural relativism by reinterpreting it value-wise through inclusion and empathy value. Furthermore, the value education of the university course on multicultural society will help to clearly set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multicultural adult education, and the core val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able to heal the old disputes such as human dignity and value, equality rights, prevention of cultural reverse discrimination, prohibi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in order to grow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s talented people who can lea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multicultural educa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that reduces prejudice, stereotypes, and social distance for multicultural people. In conclusion, the ‘bias’ of social welfar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should be changed into an effort to sympathize with them in a position of a stationary position (local area),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friendly attitude of ‘interest’ and ‘consideration’. In addition, various contacts with minority groups reduce anxiety and stereotypes of minority groups, so it suggests a positive mind that recognizes differences rather than wrong.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대학교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다문화에 대한 편견, 고정관념, 사회적 거리감의 인식 차이가 다문화를 포용하고 그들과의 공감 가치를 수용하는 것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특히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다문화 출신자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 3가지(편견, 고정관념, 사회적 거리감)는 각각 매개변수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편견은 다문화 출신자를 바라보는 개인에게 내적으로 발생하는 부정적 인식으로서 학교와 사회 공동체 속에서 최종적인 ‘차별’과 연결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편견의 형성 과정에서 다문화 출신자들에게 ‘관심’과 ‘배려’를 통해 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다면 편견이 차별로 변화되는 과정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고정관념에 대한 부정적 인식들은 내면화된 편견과 차별 행동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유년기부터 학습되고 이를 제거하는 것도 단기간의 시간 안에 달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인 교육 목표를 수립하고 전문가 집단의 검토와 정부의 정책 지원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효과적인 공동체 시민 교육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다문화 출신자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거리감도 아울러 높아진다는 상호 내적인 인과 관계가 증명되었으므로, 사회적 거리감을 좁히기 위하여 대학의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편견과 고정관념을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함께 인정하는 다문화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교육 그리고 나와 다른 문화와 사람에 대한 관심을 갖는 윤리 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섯째, 본 연구의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은 도덕적으로 상대 문화를 무작정 비판하고 배척하는 것은 도덕론 적으로 좋지 않지만, 포용과 공감가치를 통하여 가치론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긍정적 문화 상대주의를 수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다문화 사회에 대한 대학 과정의 가치교육은 다문화 성인 교육에 대한 방향과 목적을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다문화교육의 핵심 가치들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평등권, 문화적 역차별 방지, 천부 인권침해 금지와 같은 해묵은 논쟁의 여지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시키기 위하여 다문화 출신자에 대한 편견, 고정관념, 사회적 거리감을 감소시키는 대학교육의 새로운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표준 교육체계’를 정립해 주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사회복지학 전공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다문화 출신자들에게 갖는 ‘편견’은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자세로 그들과 공감하는 노력으로 전환해 나가야 할 것이며 ‘관심’과 ‘배려’의 우호적 자세를 견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수 집단에 대한 다양한 접촉은 소수 집단에 대한 불안과 고정관념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틀림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는 긍정 마인드로 전환을 제시하였다.

      •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

        왕로연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frequent crises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student suicides, campus violence, student-teacher conflicts, academic corruption and financial crises, etc. The social repercussions have seriously affected the normal teaching order and the overall image and reputation of universities. It even affects the harmony,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manage.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new media era has brought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the crisis manage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university management and construction development, and a realistic and difficult task for university administrators to deal with various crisis events in the new media era and to predict and evaluate the role and influence of new media in the process of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new problems faced by the crisis management of Chinese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as the research background. The research hypotheses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new media on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are analysed and test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lead to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ituation of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special survey on crisis management in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conducted from December 2020 to March 2021 in eight key universities in China, including Tsinghua University, Henan University, Northwestern University, Xi'an Jiaotong University, Renmin University of China, Central University of Finance and Economics, China University of Mining and Technology, and Nanjing University, and the responses of 1,967 participants. Key universities were chosen as the research subjects because they are higher than ordinary universities in terms of management mechanism,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ystem and resources, as well as the overall quality and level of teachers, staff and students. It is representative and convincing to use key universities as the research subjects. At present, the literature and research results combining the "new media era" and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are still relatively few. After the SARS outbreak, as the research on emergency management intensified, universities did not have a comprehensive emergency response plan (Peng Zongchao, Zhong Kaibin, 2003). This thesis argues the research hypothesis of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in the new media era with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ase analysis and comprehensive index analysis. The impact of the variables in the management stages that should be present in the crisis management of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on the research subject is demonstrated. It is expected that in future research, more samples will be collected and further refinements will be made through more in-depth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one by one in conjunction with the empirical data results. The analysis methods used to validate the hypotheses were factor analysis, trust analysis, case study analysis, composite indicator analysis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analysis using SPSS 26.0. This thesis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monitoring, early warning and prevention and control work of crisis management in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crisis response and disposal work, crisis rehearsal and recovery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mechanism, etc.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is relevant research, a comprehensive capability evaluation of crisis management capability was conduct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data results were carried out separat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s emergency assessment. (1) Crisis management in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should be composed of six systems: early warning system, planning system, organization system, leadership system, control system and evaluation system. Crisis management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x systems, which affect each other and are indispensable to each other. (2) After the SARS outbreak, with the in-depth research on emergency management, the learning situation and psychological state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ve improved, but there is no comprehensive emergency response pla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eng Zongchao, Zhong Kaibing, 2003). An evaluation index system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were developed to assess the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 empirical analysis of a "double first-class" university in Chin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cientific reasonableness and operability of the index system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3) This paper proposes countermeasures for the crisis manage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It is suggested that a crisi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priorities and power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daily management of universities, so as to ensure the timely, comprehensive, efficient and orderly handling of crisis emergencies in universities. (4) Many universities are currently facing the same or similar situation. In fact, the occurrence of many crisis emergencies has its international background, so "in the handling of crisis, although there are geographical or 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the world, the responses are similar" (R.J Stillman, 1989). In terms of technical support and emergency resources for crisi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integrate the emergency resources scattered in different regions and units, form a resource guarantee system with clear division of labour, complementary advantages and synergy, and an integrated service platform for emergency information, as well as to improve the technological content of equipment and speed up the construction of emergency rescue teams (Xue Lan, Zhong Kaibin, 2005). This paper researches the methods to enhance the crisis management of universities, which provides reference and reference for universities to avoid and prevent all kinds of risks in a timely and effective manner, minimize the damage in unexpected events, and provide reference for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universities. 뉴미디어 시대는 대학교의 위기관리에 새로운 도전을 가져다 주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대학교에서 위기사건이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학생자살, 교사도덕과 교사기풍, 학교폭력, 교사와 학생 간의 충돌, 학술부정, 재정위기 등 현상이 끊임없이 나타나 사회반향이 강렬하고 대학교에 대한 영향이 날로 두드러지고 있다. 학교의 정상적인 교학질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대학교의 전체 이미지와 명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며 심지어는 대학교의 조화, 안정과 발전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대학교의 관리가 날로 어려워진다.국가 및 관련 부서는 대학교의 안전과 위기관리에 대해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대학교의 위기관리 능력을 제고하는 중요한 의미를 깊이 인식하고 있어 대학교의 위기관리를 강화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관리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 위기관리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을 진행하였으며,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 위기관리와 관련된 일련의 문제에 대해 깊은 토론을 진행하였다. (1) 첫째, 본 연구는 대학교가 뉴미디어 시대에 발생하는 각종 위기사건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대학교 위기처리 과정에서 뉴미디어가 일으키는 역할과 영향을 미리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이 대학교 관리와 건설 발전의 중요한 업무중의 하나이며 또한 대학교 관리자들이 직면한 현실적이고도 간고한 임무라고 생각한다. 이론적으로 보면 본 연구는 대학교 위기관리의 연구대상인 "대학교 비상사건"을 분석하였다. 대학교 비상사건과 위기관리의 특징에 따라 대학교 비상사건을 6 가지로 분류하였다. 대학교 위기관리의 과정의 분석에 따라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 위기관리의 핵심은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일정한 인적자원과 물자 등을 통해 투입, 조기 경보 및 관리를 통해 비상사건에 대한 학교, 교사와 학생 등 주체로 인하여 초래된 손실과 상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2) 둘째, 연구를 바탕으로 뉴미디어 시대의 배경에서 대학교 위기관리에 존재하는 문제를 분석하였다. 대학교 관리는 새로운 시대, 뉴미디어와 새로운 환경의 "3 가지 새로운"시대에서 직면한 새로운 문제, 새로운 담체와 새로운 상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의 전반적인 위기관리체계를 구축할 것인가 분석하였다. 셋째, 위기관리의 의미를 깊이 탐색하기 위해 중국 "쌍일류"대학의 전반적인 위기관리시스템의 실제 적용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리과정으로부터 조기 경보 시스템, 처리시스템, 보장시스템, 사후처리시스템으로 나뉘며 관리기능에 따라 계획시스템, 조직시스템, 지휘시스템, 통제시스템, 평가시스템; 능력구성요소 차원에서는 대학 위기관리의 자원과 지식능력으로 나뉜다. 위 각 차원의 분석을 종합하여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의 전반적인 위기관리체계의 3 차원 구조를 구축하였다. 이런 요소들을 종합해 중국 '쌍일류'대학의 위기관리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위기관리에 대한 대책과 건의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 위기관리의 구조와 실질적인 문제를 전면적이고 깊이 있게 해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뉴미디어 시대를 연구배경으로 중국 대학교의 위기관리가 직면한 새로운 문제에 대해 연구를 전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교 위기관리에 대한 뉴미디어의 영향,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의 위기관리 연구를 분석하고,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의 전반적인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현재 대학교의 위기관리 현황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중국 '쌍일류'대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중점대학이 일반대학교비해 관리메커니즘, 관리체계, 관리제도와 자원배치 및 교사, 직원과 학생 등 전반적인 자질과 수준 등 면에서 높은 편이고 중점대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표성과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위기관리의 기술적 뒷받침과 위기자원 보장의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역과 단위별로 분산되어 있는 위기자원을 통합하고, 분업이 명확하고, 강점을 보완하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자원보장 체계와 위기정보와 위기사례의 종합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고, 뉴미디어의 장비를 과학기술로 적시에 향상시켜 긴급구호대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현재, "뉴미디어 시대"와 "대학교 위기관리"를 결합한 문헌 및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비상사태에 따른 위기관리 연구의 깊이에 따라, 현실적 측면에서 볼 때, 각 대학교는 아직 위기관리 시스템을 완벽하게 갖추어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뷰, 사례분석, 통해 뉴미디어 시대의 대학교 위기관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 뉴미디어 시대의 대학교 위기관리에 대해 대책을 건의하였다. 대학교의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대학교 일상적인 관리 중에서 주요 순서를 분명히 하고, 권한과 책임이 명확하도록 하여, 대학 위기 비상사건의 적기적 전면적 효율적인 처리와 질서를 보장한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의 대학교의 위기관리 방법을 제고하고, 대학교를 위해 각종 위기와 위험을 효과적으로 회피하고 예방하며, 만일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대학교의 안전과 안정을 위해 관련 대책과 건의를 제기하였다.

      • 중국 대학교 비전공 교육 효율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서효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대학교의 예술교육은 비예술계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교육이며, 교육의 목적은 예술계의 전문 인재 양성이 아니라 비전공자의 예술적 자질을 끌어올리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학생의 미적 자질과 지혜를 발굴해내고 있다. 본고의 연구는 주로 대학교의 예술교육 중에서 비전공 음악 교육을 예로 들어 실증분석을 진행했다. 이에 따라 예술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제기하였으며, 나아가 대학교의 비예술계 음악 교육의 개혁과 혁신에 참고 가치가 되기를 기대한다. 본고는 중국의 대학교 비전공 음악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이론 정리와 설문 조사, 인터뷰를 토대로 대학교 음악 교육의 효율성 향상 문제를 분석하였으며, 또 대학교의 음악 교육과 교육 개혁, 음악 교육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이론과 실천을 탐구하였다. 첫째, 본고는 대학교 음악 교육과 교육 효율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음악 교육과 효율 등을 이론적으로 통합하여 음악 교육을 둘러싼 인재 양성 기능을 분석하였다. 중국 일부 비예술계 대학교를 연구 표본으로 삼았고, 대학교의 음악 교육에서의 학생의 심리 건강과 인간관계 능력을 조사하고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음악 교육은 학생의 자기 일치성(Self Consistency)과 우울 성향 교정에 순기능적인 역할을 하고 인간관계에 대해서는 순기능과 역기능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둘째, 연구의 배경과 이론 정리를 토대로 대학교 음악 교육의 효율 현황에 대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대학교 음악 교육의 기본적 내용을 정리했으며, 대학교 음악 교육이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를 제기하였다. 첫째, 가장 기본적으로 음악 이론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둘째, 기본적인 감상 능력과 인지 능력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중국과 해외의 예술 음악의 발전 역사와 시대적 배경, 대표작품, 명인 명가 등을 이해해야 한다. 넷째, 현대 예술 음악의 흐름과 유파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개인 취미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표현력을 갖춰야 한다. 중국 대학교의 음악 교육 현황과 효율 등의 이론을 분석하여 대학교 학생들의 음악 교육에 대한 태도와 인지, 평가, 개혁과 희망 사항 등 문제에 대해 설문조사를 설계 및 진행했으며 통계분석법과 모형(spss)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경제적 효과 분석을 바탕으로 음악 교육의 효율성을 정량평가하는 연구모형을 통해 예술(음악) 교수 확대, 수업시간 확대, 물질적 투자를 교육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삼고, SPSS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종합하였고 상관분석과 회귀 분석을 통해 가설의 정확성을 검정하였다. 넷째, 대학교 음악 교육의 실체와 교육 투자-산출의 특성에 따라 인력, 물력, 재력과 시간 등 네 가지 측면의 투자를 고려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예술(음악) 교사의 확대와 수업시간 확대, 물질적 투자를 효율성 평가 지표로 삼았다. 산출 지표는 “양”과 “질” 두 가지 측면에 따라 교재 편찬 수, 과학연구 프로젝트, 논문 발표 및 수상 횟수, 예술단 공연 횟수, 예술 수상 횟수 등을 더한 합을 효율성 평가의 산출 지표로 삼았다. 산동농업대학의 2015년~2020년 예술교육의 측정(measurable) 가능한 투자-산출 데이터를 표본으로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넷째, 중국의 대학교 음악 교육 효율이 낮은 원인은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 대학교의 교육 목표는 덕·지·체·미가 종합적으로 발전한 사회주의 현대화사업의 건설자와 후계자를 양성하는 것이다. 중국의 경우, 아직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미육(美育)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에 덕·지·체와 비교해보면 미육에 대한 자원배치는 교사 배치, 수업 시스템, 교육 여건, 목표 설정, 교육 이념 등이 미흡한 상태에 놓여있다. 교육 자원배치가 인재 양성의 목표와 맞지 않으면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둘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교의 음악 교육 수업 시스템은 계획적이지 못하고 교육 목표와 시스템 구조가 합리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수요와 국가의 인재 양성 목표에 대한 이해가 깊어야만 교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오늘날 대학교의 예술교육(음악 교 육)을 보면, 교육의 시행 과정과 학교의 인재 양성 목표가 연계되지 않았고 음악 교육의 수업 시스템도 능동적으로 설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학생들의 음악 교육 수요는 양에서 질적인 변화로 바뀌었으며, 갈수록 심층적인 음악적 이론과 기법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수업 시스템으로 학생들의 다차원적인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렵고 나아가 대학교의 음악 교육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다섯째,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다차원적인 음악 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의 음악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여러 대학교에 대한 설문 조사와 인터뷰에서 얻은 시사점과 음악 교육의 효율성이라는 특수성을 결합하여 본고에서는 대학교 예술교육의 교육 시스템을 세 단계로 나누었고, 또 대학교의 교육 대상(학생)을 세 단계로 분류했다. 학생의 상황에 따라 논자는 대학교의 교육 시스템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수업. 둘째, 학생 개인별 수요에 따른 선택 수업. 셋째, 음악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화 수업 등이다. 여섯째,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음악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대학교의 음악 교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비예술계 대학교의 음악 교육에 나타난 문제점은 교육 자원이 부족하고 수업의 시간 배치가 합리적이지 않고 교수진이 부족한 것이다. 인터넷과 정보기술은 전 세계의 우수한 교육 자원을 하나로 통합하여 완전히 새롭고 완전한 ‘교(教)’와 ‘학(学)’을 실현하였다. 논자는 대학교 음악 교육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대해 MOOC 교육 모델을 참고하였고, 음악 교육의 특성과 결합하였으며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인터넷 음악 교육 플랫폼을 개발하여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살리고 다양한 음악 교육의 수요를 만족시키려고 한다. 인터넷 음악 교육 플랫폼은 학습 지식, 질의응답, 학습 토론, 수업 테스트, 시스템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온라인에서 음악 교육의 목표를 잘 수행할 수 있다.

      • 대학생 모바일 숏클립앱 지속 이용 의도의 영향 요인 연구

        손시웬 신한대학교,신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인터넷 앱이 광범위하게 퍼지고 모바일 스마트 기기가 빠르게 보급되면서 대학생들에게 숏클립이 쉽고, 공유하기 편하며, 빠르게 전파되는 특징을 바탕으로 주목받고 있고, 숏클립의 문자, 이미지, 음악, 동영상, 특수효과 등을 결합하여 대학생들의 심리적 문화생활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장으로 자리잡으면서 대학생들의 학습방식, 교제방식, 사고방식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숏클립을 대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숏클립과 대학생의 교육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숏클립을 활용한 대학생의 전반적인 교육 활용 전략을 모색하여, 신세대 대학생의 발전 가능성과 교육 실효성을 높인다. 본 연구는 문헌분석법으로 숏클립과 대학생의 연관성 및 숏클립을 통한 대학교 교육의 강점을 설명한 후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이론과 문헌을 정리하고, 현 시대 배경을 접목하여 기술수용모델(TAM), 희망확인모델(ECM) 등의 모델이론에 기초하여 대학생의 지속적인 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7가지 영향요인, 유용성 감지, 오락성 감지, 유사성 감지, 대학생의 영향, 만족도, 관습, 응용모델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어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 수집 작업을 벌이고 SPSS 22.0과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여 가설 변수가 대학생의 지속적인 이용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유용성 감지, 오락성 감지, 유사성 감지, 사회적 영향 감지 등은 모두 몰입 체험과 만족도를 통해 대학생의 지속적인 이용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습관, 몰입 체험, 만족도는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이용 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숏클립의 발전은 대학교 교육 패러다임의 혁신에 전례 없는 기회를 가져왔다. 숏클립은 오프라인 수업 형식을 풍부하게 하고 온라인 수업을 발전시키며 대학교 교육 업무를 보조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교 교육이 시대에 맞게 발전하려면 반드시 새로운 미디어 기술의 강점을 활용하고, 교육 패러다임을 혁신하며, 숏클립이라는 새로운 매체의 기능과 가치를 중시해야 한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숏클립이 대학교 교육의 강점, 폐해, 현실의 어려움에 대해 힘써야 할 점으로 “플랫폼의 사회적 영향력 발휘”, “혁신적 콘텐츠의 질적 향상 대학생 교육융합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모색” , “정부의 규제완화를 통한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 , “대학생의 전반적인 미디어 소양 향상” 등 4가지 대안책을 제시하여 단기 영상 과학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활용을 촉진하고, 대학생 교육의 혁신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With the widespread penetration of Internet applications and the rapid popularization of mobile smart terminals, short video apps have been favored by college students due to their advantages of simple production, convenient sharing, and rapid dissemination.Short video integrates text, pictures, music, video, and special effects,which has become a new field that satisfies the spiritual and cultural life of college students, and has an important impact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style, communication style, and thinking style.This research analyzes the mechanism of short video APP attracting the continuous use of college students, organically combines short video with the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explores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the all-round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with short videos, and enhances the overall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in the new era.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This research adopts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which firs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videos and college students and the advantages of short video APPs that can help college education, and then combs the research theories and literature of scholars at home and abroad.Combining the background of the current era, based on the technical acceptance model (TAM),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ECM) and other model theories, seven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willingness of college students to continue to use are proposed, namel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tertainment, perceived similarity, and social influence ,Habits,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nd constructed a model of influencing factors for college students' continuous use of short video APP.Then, the data collection work is carried out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SPSS22.0 and AMOS software to verify the influence of hypothetical variables on the willingness of college students to continue to us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tertainment, perceived similarity, and social influence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of college students through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Habits,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directly affect the willingness of college students to continue using.The development of short video apps has brought unprecedented opportunities to the innovation of college education models,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enriching offline classroom forms, developing online teaching and assisting college education.In order to adapt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college education must make good use of the advantages of new media technology, innovate educational models, and attach importance to the function and value of short video APP, a new medium in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author starts from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difficulties faced by short videos in assisting college education, and emphatically puts forward:the platform exerts social influence and innovates content to improve quality; colleges and universities follow the mainstream trend and explore new ways of education integration; the government improves the supervision system to create a new environment for healthy education; college students comprehensively improve media literacy and other four aspects.In order to further promote the scientific, reasonable and effective use of short videos for the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 education.

      •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박순옥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로 대학생활에서 겪고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그 어려움과 대처방법을 탐색하여 향후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경기북부 지역에 위치한 대학원에 재학 중인 몽골인 유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하였고,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 중 국내 논문에 소개되어 있는 Colaizzi의 분석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알 수 없는 환경 : 고독한 유학생활’, ‘환영과 친절한 대학원 생활’, ‘유학생활의 만족과 기대’, ‘글로벌 세상과 함께 ’의 4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몽골유학생은 중국유학생을 포함한 외국 유학생들과 유사한 학업적, 경제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도움을 받거나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노력 혹은 종교단체로부터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몽골 유학생들은 유학생활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졸업 후 사회적인 지위를 보장 받거나 대부분 몽골로 돌아가 전문 분야에서 일하기를 희망하였고 사회적으로 유학생을 위한 제도적 개편을 가장 많이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학생에 대한 연구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로써 몽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토대가 되는 것에 그 의의를 두었다. A Study on the Mongolian students of the college experience, this study in university life is suffering from various difficulties and to learn about and the difficulties and responding method.Navigate through the measures in the event of futur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can improve and aimed. The study is 12 foreign students attending graduate school located in northern Mongolia, Gyeonggi-do, Korea,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of data.Introduced in article I selected the analysis of the colaizzi. Studies show that, in this work ‘an unknown environment : a lonely life studying abroad’, ‘I extend a warm welcome and friendly school life’, ‘studying abroad lif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global world and ‘With four areas of the ’ was derived. Mongolian students are similar to Chinese students for overseas studies, including academic, economic,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appear that having a hard time.In order to meet the challenge is around the active efforts to resolve the problem for help or being helped from religious groups. Mongolian students professional knowledge through studying abroad and guaranteed social position or most of its area of expertise back to Mongolia after graduation to work.And socially for the students hope appears to be the most looking forward to the institutional reform. Mongolian students with A Study on the students of the college experience, this study as qualitative study on the Mongolian students for college life adaptation elevation of the real foundation.Put sense to the. Mongolian students, experience, college life. : juyongeo

      •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학생의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영국에 대한 비교 연구

        이대성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학생의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영향 : 한국과 영국에 대한 비교 연구 본 연구는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실제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대학들의 국제 교류 정책의 방향성 제고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 및 영국 대학 20곳의 학생 520명(한국 300명, 영국 200명)이었으며, 편의군집표집법에 의해 선정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유학생 정책 정도에 따른 학생의 글로벌 역량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학생 정책 정도가 높은 대학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전반적 글로벌 역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및 영국 대학생의 국가에 따른 글로벌 역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글로벌 역량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변인인 해외취업, 글로벌 이슈 관심, 글로벌 리더십에서는 영국 대학생이, 글로벌 경쟁력 개발에서는 한국대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한국을 대상으로 대학의 유학생 정책 정도에 따른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글로벌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글로벌 이슈관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다. 넷째, 영국을 대상으로 대학의 유학생 정책 정도에 따른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글로벌 역량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었다. 하위변인에서는 유학생 정책 정도가 높은 대학 학생들의 글로벌 경쟁력 개발, 글로벌 이슈 관심, 글로벌 리더십이 그렇지 않은 대학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학생들이 인식하는 현실성, 개인이 노력해야 하는 글로벌 경쟁력 개발, 외국 문화를 받아들이고 공존하는 능력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향후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외국인 학생의 유입뿐 아니라 학생들의 국제적 이슈에 대한 관심, 타문화에 대한 이해 및 수용 등 글로벌 역량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무용교육에서 Dance Flow요인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의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7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status quo of danc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analysis on factors such as the status quo of national policies, teachers' teaching, and students' learning, and the setting of professional dance courses as the research background.The main research contents include dance flow, dance cognition input, dance behavior input, dance emotion input, student-teacher interaction, and the concept, connotation, composition and measurement method of learning gains. On the basis of specify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research delves into the influence and connection between them. It combines existing Dance Flow-related theoretical foundations and research findings to carry out literature research, and create a theoretical model suitable for measuring Dance Flow's impact on student-teacher interaction and learning gains in the practical teaching and research of danc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include: First, define the proper term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lay the foundation for later research. Second, create a theoretical model applicable to measure Dance Flow's impact on student-teacher interaction and learning gains in the practical teaching and research of danc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hird, explore and verify the applicability of measuring the practical teaching of danc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Dance Flow. Construct a measurement scale suitable for measuring the student-teacher interaction and learning gains in the practical teaching of danc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Fourth,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cognition input/dance behavior input/dance emotion input and Dance Flow, between Dance Flow and student-teacher interaction, and between Dance Flow and learning gains, and verify the regulating role of student-teacher interaction in Dance Flow and learning gai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path, it finds out the mechanism of their interaction, and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education and research of dance majors in universities. The main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on the mechanism of university students' Dance Flow on student-teacher interaction and learning gains, and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cognition input, dance behavior input, dance emotion input, Dance Flow, student-teacher interaction and learning gains. Through analysis of the model, I find out the key factors and key influencing paths for education in dance majors in universities, so that educators can provide theoretical basis and guidance in education practice in dance majors in universities. It makes education on dance majors more scientific and purposeful, works out the right entry point to render students more active and happier in devoting themselves to learning, and improves the efficiency of education to allow students to have greater learning gains in the school, refine their knowledge structure and enhance their social competitiveness. It helps relevant departments of the university to take targeted measures to correctly intervene in the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and ultimately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students and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Innovation of this research is first of all seen in the research field. At present,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mainly promotes professional evaluation and teacher's certification.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the learning gains of dance majors. It's second shown in the research perspectives. There is no research on learning gains from the perspective of Dance Flow and student-teacher interaction currently in the Chinese education circle. The third is the innovation of measurement tools. I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dance major with relevant measurements of contemporary learning gains, and re-arranges the questionnaires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nce majors. The last is the innovation in research models. It constructs a new research model with the influence of Dance Flow on learning gains as the main line, and student-teacher interaction as the moderating variable. Upon full theoretical research, four hypotheses are put forward around Dance Flow's effect on student-teacher interaction and learning gains. And on the basis of grasping the status quo and trends of Dance Flow research, empirical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expert interviews, questionnaire surveys and data analysis. Based on the measurement tools widely used in the world, coupled with related theories as the support, three tests have been conducted to work out the Dance Flow's impact on dance students in Chinese universities. The Dance Flow part contains a total of 24 question sections, including 6 for dance cognition input, 5 for dance behavior input, 4 for dance emotion input, and 9 for Dance Flow; the student-teacher interaction scale part covers 12 question sections; the learning gains influence scale incorporates 13 question sections altogether.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are handed out in the research, with 547 retrieved, showing a recovery rate of over 90%. After further screening to remove those incompletely filled or filled in an obvious rule, 516 are retained. Relevant data are analyzed with ANOVA,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validation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and mediating effect test to finally validate the research hypotheses. The main conclusions of the research include: Conclusion 1.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is research verifies that Hypotheses H1, H2, and H3 are established.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with dance cognition input, dance behavior input, and dance emotion inpu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dance flow as dependent variable to have the statistical result F=145.279, p=.000, proving that the regression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ance cognition input, dance behavior input, and dance emotion input a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ance flow, thus proving relevant hypothesis is valid. Conclusion 2. This research verifies the validity of hypothesis H4 through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with dance flow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gain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have the statistical result F= 259.485, p=.000, proving that the regression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hypothesis is valid. Conclusion 3. This research verifies that Hypotheses H5, H6, and H7 are valid through intermediary regression analysis. With dance cognition input, dance behavior input, and dance emotion input as independent variables, dance flow as mediating variable, and learning gain as dependent variable, I use SPSS to conduct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dance flow, and the results show that dance flow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cognition input, dance behavior input, dance emotion input and learning gains. Conclusion 4. This research verifies the invalidity of hypothesis H8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n the first stage,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with dance flow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gains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have the t > 1.96 and the p being .000 (significance level below .05),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ving that the hypothesis is valid. In the second stage,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with dance flow, student-teacher interac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gains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have the t > 1.96 and the p being .000 (significance level below .05),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ving that the hypothesis is valid. In the third stage,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with dance flow, student-teacher interaction, and interaction item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learning gains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have the t of the interaction item being -1.031 (less than 1.96) and the p being .303 (significance level greater than .05), which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ving that the hypothesis is not valid.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hypothesis that student-teacher interaction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dance flow and learning gains is not valid. 본 연구는 중국 대학 무용 교육의 현황으로부터 시작하여 국가 정책 현황, 교사의 수업 현황, 학생의 학습 현황, 무용 전공 과정 설치 상황 등 요소에 대한 분석을 연구 배경으로 한다. 주요 연구 내용은 Dance Flow, 무용 인지 몰입, 무용 행위 몰입, 무용 감정 몰입, 학생-교사 상호작용, 학습 효과의 개념, 내용, 구성 및 측정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문제들을 명확히 한 기초에서 그들 사이의 영향의 연관성을 연구한다. 현재 Dance Flow 관련 이론 기초와 연구 성과를 결합하여 문헌 연구를 전개하고, 중국 대학 무용 전공 실천 교육 연구에서 Dance Flow가 학생-교사 상호작용과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 모형을 창건한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을 정의하자면 다섯가지가 있다. 먼저 첫째, 연구에 관련되는 전문용어를 정의하여 향후의 연구의 기초를 만든다. 둘째, 중국 대학 무용 전공 실천 교육에 적용하는 학생-교사 상호작용과 학습 효과에 대한 Dance Flow의 영향의 이론적 모델을 구축한다. 셋째, 중국 대학 무용 전공 실천 교육에 대한Dance Flow의 측정성을 탐색, 검증하여 중국 무용 전공 실천 교육에 적용하는 학생-교사 상호작용과 학습 효과 측정척도를 구축한다. 넷째, 무용 인지 몰입, 무용 행위 몰입, 무용 감정 몰입과 Dance Flow의 관계를 검증하고, Dance Flow와 학생-교사 상호작용의 관계를 검증한다. 또한, Dance Flow와 학습 효과의 관계를 검증하며, 학생-교사 상호작용이 Dance Flow와 학습 효과 사이에서 일어나는 조절 작용을 검증해야 한다. 그리고, 경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찾아내 대학 무용 교육 업무 및 연구에 이론적 의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주요 의의는, 학생-교사 상호작용과 학습 효과에 대한 Dance Flow의 작용 메커니즘을 탐색하고 무용 인지 몰입, 무용 행위 몰입, 무용 감정 몰입, Dance Flow, 학생-교사 상호작용, 학습 효과 등 각 변수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작용 모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학 무용 전공 교육의 핵심 요소와 핵심 영향 경로를 찾을 수 있으며, 교육 종사자가 대학 무용 전공 교육 면에 대한 이론 근거와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용 전공 교육을 더욱 과학성과 목적성을 가지게 하여 정확한 접점을 찾게 할 수 있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더욱 능동적이고 더욱 즐겁게 학습에 몰입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교육의 효율을 제고하여 재학 기간에 더욱 큰 학습 효과를 가지게 하여 그들 자신의 지식구조를 완비하고 사회 경쟁력을 강화시킨다. 대학의 관련 부서가 목적성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학생의 학습 태도에 정확하게 간섭하며, 최종적으로 대학생의 학습 효과와 고등교육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의 주요 혁신은, 우선 연구 분야의 혁신이다. 현재 중국 교육부는 주로 전공 평가와 사범 인증을 추진하고 있고, 본 연구는 무용 전공 학생의 학습 효과를 위한 첫 실증 연구에 속한다. 다음으로, 연구 관점의 혁신이다. 교육학계에서는 Dance Flow 와 학생-교사 상호작용의 관점을 통해 학습 효과를 탐색하는 연구가 아직 없다. 그 다음으로, 측정 도구의 혁신이다. 대학 무용 전공의 특성과 현대 학습 효과 측정의 관련 측정표를 결합하여 무용 전공의 특성에 맞는 설문지를 재편성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모델의 혁신이다. Dance Flow가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주선으로 하고, 학생-교사 상호작용을 조절변수로 하여 새로운 연구모델을 구축한다. 이론적 연구를 충분히 진행한 후, Dance Flow를 중심으로 학생-교사의 상호작용과 학습 효과의 역할에 대한 네 가지 가설을 제시하고, Dance Flow의 연구 현황 및 추세를 파악한 기초에서 질적 연구, 전문가 인터뷰, 설문조사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한 연구 방법을 통해 실증적 연구를 전개한다. 국제적으로 널리 응용되는 측정 도구를 바탕으로 관련 이론을 결합하여 3차에 걸친 시험을 통해 중국 대학 무용 전공 Dance Flow 학습에 미치는 영향 측정표를 작성하였다. Dance Flow 부분은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그 중 무용 인지몰입에 6개 문항, 무용 행위몰입에 5개 문항, 무용 감정몰입에 4개 문항, Dance Flow에 9개 문항이 설치되었다. 학생-교사 상호작용 부분에는 총 12개의 문항이 포함된다; 학습 효과 영향 측정표의 학습 효과 부분으로, 이 부분에는 13개의 문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연구는 총 55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총 547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90% 이상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를 추가로 조사하여 일부 불완전하거나 작성 과정에서 뚜렷한 규칙이 있는 설문지를 삭제하고 선별하여 총 532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관련 데이터에 대해 분산 분석, 서술적 통계, 탐색적 인자 분석, 검증적 인자 분석, 상관 분석을 진행하고 구조 방정식 모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경로 분석과 중개 작용 검사를 하여 연구 가설을 최종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론 1. 본 연구는 회귀 분석을 통해 가설H1,H2,H3 및 그 하위 항목의 성립을 검증하였다. 무용 인지 몰입, 무용 행위 몰입, 무용 감정 몰입을 독립 변수로, Dance Flow를 함수로 하여 회귀 분석을 수행할 때 그 통계적 결과는F=145.279, p=.000이므로 회귀 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따라서 무용 인지 몰입, 무용 행위 몰입, 무용 감정 몰입은 모두 Dance Flow에 선명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관련 가설은 성립된다. 결론 2. 본 연구는 회귀 분석을 통해 가설 H4의 성립을 검증하였다. Dance Flow를 독립 변수로, 학습 효과를 함수로 하여 회귀 분석을 수행할 때 그 통계적 결과는 F= 259.485,p=.000이므로 회귀 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관련 가설은 성립된다. 결론 3. 본 연구는 회귀 분석을 통해 가설H5,H6,H7의 성립을 검증하였다. 무용 인지 몰입, 무용 행위 몰입, 무용 감정 몰입을 독립 변수로, Dance Flow를 조절 변수로, 학습 효과를 함수로 하여 SPSS 조절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Dance Flow의 중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 무용 인지 몰입, 무용 행위 몰입, 무용 감정 몰입과 학습 효과 사이의 관계에 중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 4. 본 연구는 회귀 분석을 통해 가설H8의 불성립을 검증하였다. 단계1에서는 Dance Flow를 독립 변수로, 학습 효과를 함수로 하여 조절 회귀 분석을 수행할 때t값>1.96,p값은 .000(현저성 수준 0.05이하)이므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며 가설은 성립된다. 단계2에서는 Dance Flow, 학생-교사 상호작용을 독립 변수로, 학습 효과를 함수로 하여 조절 회귀 분석을 수행할 때t값>1.96,p값은 .000(현저성 수준 0.05이하)이므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며 가설은 성립된다. 단계3에서는 Dance Flow, 학생-교사 상호작용, 상호작용 항목을 독립 변수로, 학습 효과를 함수로 하여 조절 회귀 분석을 수행할 때 상호작용 항목의 t값은 -1.031(1.96보다 작음), p값은 .303(현저성 수준 0.05 이상)이므로 통계학적으로 무의미, 즉 가설은 성립되지 않는다. 연구 결과는 학생-교사 상호작용이 Dance Flow와 학습 향상 사이에서 상당한 중개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 성립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 체육활동이 대학생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엽동해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results of Werner and Smith's 30-year follow-up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in high-risk environments in the 1950s triggere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mental resilience, making it gradually accepted by scholars as a research topic. The complexity and profound significance of mental resilience have greatly stimulated the enthusiasm of researchers. Therefore, the research field of mental resilience has emerged one after another. From the exploratory research of phenomenology to the systematic practical research, from the single qualitative research to the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of mental resilience has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However, the research of mental resilience is also under the focus of attention, and its deficiencies are also fully revealed: although the explanatory models derived from different civilizations, social systems and traditional cultures have been put forward one after another, most of them are difficult to get universal recognition. As a result, the concept of elasticity and measurement tools are still under constant debate. The general significance and basic theory construction is still to be solved. Some forward-looking scholars have focused on the impact of disparate external factors on individuals. Some of them have studied physical exercise,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past, studies on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have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st. It will be a new idea for future research whether to obtain theoretical inspiration from China, a long-established civilization, and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ge students, a special group, participating in physical exercise. The further the study goes, the more complex the risk or protective factors that researchers have identified, and the unknowable variables that are most likely to contribute to the intervention have been ignored. Seeking the most effective factor and the most essential factor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intervention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bin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on mental resilience and the changes of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experimental methods. Under the background of the new era,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has not been deeply explored, and there is also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the structure of mental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theoretical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ropos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sports and the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ntemporary college students from the fields of traditional culture, social system, physical education, psychology and pedagogy. Search the resilience of the profound traditional culture connotation, refined new psychological elastic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reparation of individual mental resilience scale for college students, from the character of college students' mental flexibility, elastic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mental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development features, trying to buil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elastic development model, To find out the main factors of physical activitie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and the change of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methods to solve the problems, and further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mental resilience in different intervention method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discipline can play a positive role in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education, can shape good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romote individual mental health level, and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from various aspects. Physical activities can not only strengthen physical fitness, but also cultivate morality, intelligence and beauty. Cultivate sports spirit, develop a good life attitude and life style, and effectively improve the coefficient of individual mental resilience. How to classify different types of physical activities and what kind of impact physical activities will have on the psychology of college students have been the subject of endless debate in the academic circle.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ment, this study searched for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ies on the mental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and the change of subjective well-being, clarified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activities,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fou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daily sports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are mainly dominated by skills and physical fitness, which is also the focus of this study. The main form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re colleg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fter-school physical activities, sports associations, sports and fitness clubs, etc.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trol of experimental variables, this study takes college sports optional classes of freshmen as the main forms of physical activities. At presen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ifferent sports at home and abroad, and more and more studies have confirm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Ye Donghai (2020) The difference of overall mental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is significant; The time of physical activity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mental resilience, and there is no sequential effect among different types of courses. Interests and hobbies in the course of physical activities play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mental resilience. Gilligan (1995) believed that the mental resilience of some college students could be improved through various forms including physical exercise. It can be seen that physical exercise can play a positive role in strengthening the psychological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Yan Xiaofeng (2014) has proved through experiments that individuals engaged in heavy physical exercise load have a higher level of mental resilience. American scholar Kabir (1999) pointed out in his academic report that participating in physical exercise can promote the cultivation of mental resilience of the organism and have a positive helping effect on individu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but this influence is limited by conditions. There are also some domestic researchers using mental resilience as a mediating variable to study the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on stress coping or other aspects of mental health. Most studies show that regular physical activity is one of the important means to promote individual mental health level. Sports activities of different events are helpful for participants to maintain a positive emotional state, correctly deal with the inevitable difficulties and setbacks in life, and give full play to their potential. Therefo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mental resilience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healthy growth of college students. The Chinese government has always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On May 6, 2016, the General Office of the CPC Central Committee and the State Council issued the Opinions on Strengthening School Physical Education to Promote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Stud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 Opinions pointed out: To improve the school physical exercise system, schools should include students' regular physical activities in the teaching plan, included in the schedule of work and rest, linked with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effectively ensure that students every day one hour of campus physical activitie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trategic theme of "insisting on people-oriented and implementing comprehensive quality education" in the Outline of the National Medium and Long Term Education Reform and Development Plan (2010-2020), and in combination with the needs of The Times in the development of the "new normal" of Chinese society, college students' health education, especially mental health education, should have a new orientation. All localities should regularly carry out a series of sunshine sports activities and mass extra-curricular physical exercise activities with the theme of "get off the Internet, get out of the dormitory and go to the playground", so as to form a system of regular extra-curricular physical exercise for college students covering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The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exercise is issued as a government document, from which we can also see the role of regular physical activities in improving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In the existing studies, most scholars believe that physical activities contribute to the positive psychology of individuals, which can promote exercisers to adopt positive coping styles and reduce the application of negative coping styles. Moreover, physical activitie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individual self-efficacy. Then, whether physical activity can improve the individual mental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f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or negative correlation, whether regular physical activity can predict the mental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variable, etc., Based on this, adva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nd college students' mental flexibility research, through in-depth to explore all kinds of sports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lasticity, as well as the sports intermediary variables affecting mental flexibility, in order to improve college students' mental flexibility to find new ways and means, to perfect and enrich exercise psychology theory to provide the reference and basis. The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Study 1: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ental resilience were investigated by empirical research, and the scale of college students' mental resilience was constructed. The results show that :(1) College students' mental resilience is composed of cognitive dimension and control dimension. The cognitive dimension includes self-confidence, understanding, resilience, acceptance, family perception and initiative factors. The control dimension includes learning mastery, sense of control, mental adjustment, sense of purpose, sense of existence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factors. (2) The self-designed college students' mental resilience questionnaire ha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3) In general, college students score higher in the cognitive dimension of resilience, but lower in the control dimension; (4) The model has a good degree of fit, and mental resilience plays an important regulat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Research 2: Based on different form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different sports activities, based on educational psychology, sports training theory. Using the methods of literature, investigation, experiment and mathematical statistics,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ies on college students' mental resilience and the change of subjective well-be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During physical exercise It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there is no sequential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sports optional courses. Mental resilience in different types of sports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improving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1) the longer the duration of skills-oriented and physics-oriented physical activities is, the better the effect of improving college students'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is. The experiment on the influence of different sports activities on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8 weeks and 16 weeks, 2 times a week of moderate intensity exercise, the results show that the 16 weeks of significant correlation, while the 8 weeks of correlation is not obvious. (2) The interaction of different sports activities on the level of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s well as the sub-dimensions, time and group were different in significant degree. Through effect analysis and multiple comparisons, in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ies on mental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kills-led group of college students i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performance-led group of physical activities, the skills-led group of mixed physical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3) All sports activities can effectively reduce the individu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promot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enhance their subjective well-being. (4) Through the research, it is found that "mental resilience" plays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happiness in the skills-oriented sports activities, while "mental resilience" does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improvement of college students' happiness in the physical-oriented and mixed sports activities. The results have positive significance for sports activitie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ense of well-being. Werner와 Smith가 1950년대 고위험 환경에서의 아동 발달에 관한 30년 추적에서 심리적 탄력성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심리적 탄력성이 연구 과제로 점차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심리적 탄력성의 복잡성과 깊은 의의는 연구학자들의 열정을 크게 북돋았고, 이로 인해 심리적 탄력성 연구의 물결이 일면서 현상학의 탐색적 연구부터 체계적인 실천적 연구, 단일 양적 연구에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결합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탄력성 연구는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심리적 탄력성 연구도 지나친 주목 하에 서로 다른 문명, 사회체제, 전통문화에서 비롯된 해석의 모형이 잇따라 제시되고 있지만 대부분 보편적으로 인정받기 어려워 연구의 한계점과 제한점이 단적으로 드러난다. 또한 탄력성 개념, 측정 도구 논란도 계속되고 있는데 보편적이고 기초적인 이론구축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일부 유망한 학자들은 다른 시각으로 외부 요인이 개체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체육 단련과 심리적 탄력성, 주관적 행복감 등의 관점에서 연구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체육 활동이 심리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및 주관적 행복감 변화를 실험을 통해 유익한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새로운 시대적 배경 하에 다양한 체육 활동,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상관관계가 깊이 규명되지 않았고, 대학생들의 심리적 탄력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부족했다. 따라서 이전 연구의 이론적 성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전통문화, 사회체제, 체육학, 심리학, 교육학 등의 분야에서 현시대 대학생의 심리발전에 있어서 운동프로그램과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사이의 상관관계를 제시한다. 전통문화 속 심리적 탄력성의 깊은 함의를 탐색하여 새로운 심리적 탄력성의 개념과 특점을 제시하고 대학생에게 적합한 개인별 심리적 탄력성표 작성,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및 대학생 심리발전의 특징에 대한 다각적인 고찰,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 발전모델 구축을 시도하여, 체육활동이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 변화에 미치는 주요 요인 및 문제해결 방법을 모색하고 심리적 탄력성이 다양한 변수의 개입 하에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조절효과를 연구한다. 체육학과의 특성은 대학생의 심리 건강 교육에 긍정적인 작용을 일으키며 양호한 개인 심리 상태를 만들고 개인의 심리 건강 수준을 촉진하며, 다방면으로 인성을 배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체육활동은 신체를 튼튼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덕, 지, 미, 체육 정신을 배양하고 양호한 생활 태도와 생활 방식, 효과적인 개인 심리 탄력성 지수를 높일 수 있다. 과연 체육활동이 어떻게 분류되고 체육활동이 대학생들의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학계의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체육활동이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 관점에서 찾아내고, 체육활동, 심리적 탄력성, 주관적 행복감의 3자 관계를 정리하여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낸다.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참여하는 체육활동이 기능과 체력 주도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이번 연구의 중점이다. 대학생의 체육활동 참여는 대학 체육수업, 방과 후 체육활동, 체육 동아리, 체육 헬스클럽 등이 주를 이루며, 실험 변수의 통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학 신입생 대학 체육선택 과목을 체육활동의 주요 형태로 한다. 그렇다면 체육활동이 대학생 개개인의 심리적 탄력성을 높여줄 수 있는지, 둘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있다면 정의 관계인지 부의 관계인지, 정기적인 체육활동과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 둘 사이에 조절변수가 있는지 등을 기초하여 체육활동과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다양한 유형의 체육활동과 심리적 탄력성의 상관관계를 심도 있게 검토하여 대학생들의 심리적 탄력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며 심리학 연구에 참고와 의거를 제시할 예정이다.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연구1: 실증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의 구조와 특징을 고찰하고 대학생 심리 탄력표를 구축했다. 연구에 따르면 (1)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은 인지적 척도와 제한적 척도로 구성되며, 인지적 척도에는 자신감, 깨달음, 강인성, 수용성, 가족감지, 능동적 인자가 포함되며, 제한적 척도에는 학습, 통제감, 마음가짐 조절, 목적감, 존재감 및 인간관계 상호요인이 포함된다. (2) 직접 작성한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 설문지는 높은 효율성과 믿음성을 제공하였다. (3) 전체적으로 대학생들은 핵심 심리적 탄력성에서는 인지적 측면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고 있으며, 그 이외 제한적 측면에서 비교적 낮은 점수를 받았다. (4) 구축된 모델은 비교적 좋은 적합성을 가지고 있으며 심리적 탄성은 대학생의 발전에 중요한 조절 작용을 한다. 연구 2 : 대학생들의 다양한 체육 활동 참여에 기초한 교육심리학, 운동훈련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문헌고찰분석, 조사 분석, 실험분석, 실증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체육활동이 대학생의 심리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주관적 행복감의 변화를 연구한다. 실험 전후 대학생들의 전반적인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가 두드러지고, 체육 단련 시간은 대학생들의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수준이 높아지는 것과 비례해 체육 과목의 선택과목은 순차적 효과가 없으며, 체육활동에서는 '심리적 탄력성'이 대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1) 기능 위주의 운동, 체력 위주의 운동 체육활동이 길어질수록 대학생들의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효과가 크다. 대학생의 체육활동은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험 팀이 8주와 16주, 주 2회 중강도 운동에 연속 참여한 결과, 16주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에 8주 연관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2) 체육 활동은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수준 및 각 하위 척도에 대한 시간적 상호작용이 현저하게 다르다. 효과 분석 다중 비교를 실시해 체육활동이 심리적 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능 위주 운동 체육 활동 팀 대학생은 체력 위주 운동 체육 활동 팀, 기능+체력 결합 활동 팀 및 기타 팀보다 현저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모든 유형의 체육활동은 대학생 개개인의 불안감을 덜어주고 심신의 건강과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4) 기능을 주도적으로 하는 체육 활동의 경우 '심리적 탄력성'이 대학생의 행복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하고, 체력 주도유형과 혼합 체육 활동의 경우 '심리적 탄력성'이 대학생의 행복감 향상 조절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본 실험 결과는 체육활동이 대학생들의 행복감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지연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 지 연 신한대학교 대학원 남북협력복지행정학과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과도기를 지나고 있는 대학생 을 대상으로, 대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인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을 확 립할 수 있도록 건강한 가족기능을 찾는 데 있다. 가족기능과 자기분화의 관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 대학생의 안 정적인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가족기능 향상을 위 한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경기 북부에 거주 중인 대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07월 10일부터 2023년 8월 10일까지 자기 보고식 온라 인 설문조사와 대면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실제 177부 전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연구대 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연구 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 본 t 검정과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변이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족기능이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정서 조절과 자 기효능감의 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효능감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주교와 불교가 없음보다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님의 결혼상태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분화의 자기주장과 자기효능감 전체와 자기조절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자기분화의 자기주장과 자기효능감 전체, 자기조절 효능감은 이혼/사별/기 타가 기혼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동거인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자기효능감 전체와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전체와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은 친구/연인 /기타가 부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 수준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가족기능 전체와 가족응집성, 가족 의사소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 전체 와 가족 응집성, 가족 의사소통은 부유한 편이 어려운 편보다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가족에 대한 느낌에 따른 연구 변인의 차이에서 가족기능 전체와 가족 응집성, 가족 적응성, 가족 의사소통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가족기능 전체와 가족 응집성, 가족적응성, 가족 의사소통은 매우 행복, 행복, 보통, 행복하지 않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기분화에서는 가족에 대한 느 낌에 따른 자기분화 전체와 자기주장, 정서 조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분화 전체는 매우 행복이 보통과 행복하지 않음보다 높 게 나타났고 자기주장과 정서 조절은 매우 행복이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기 효능감에서는 가족에 대한 느낌에 따른 자기효능감 전체와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 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전체,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은 매우 행복이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가족에게 느 끼는 차이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가족기능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일곱째, 가족기능이 자기분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은 자기분화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가족 응집성, 가 족 적응성, 가족 의사소통 요인 중 가족 의사소통, 가족 응집성, 가족 적응성 순으 로 자기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가족기능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기능은 자기효능감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의 하위요인인 가족 응집 성, 가족 적응성, 가족 의사소통 요인 중 가족 의사소통, 가족 적응성, 가족 응집 성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는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 감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학문적 측면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을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으로 접근하여 가족기능에 관 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가족기능과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증명 하였으며, 가족기능과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가족의사소통 의 주요한 역할이 검증되었다. 셋째,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에 주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 이란 가설이 검증되었으며, 따라서 가족기능을 높이기 위해 현재 시행 중인 가족 복지정책의 구체화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측면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부터 청소년 후기인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건강한 가족을 위한 교 육을 국가 정책으로 수립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은 미래의 가정을 이룰 예비부부로서 부부역할, 부모역할, 바람직한 자녀 교육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 각 대학에 건강한 가족 구성원으 로서의 역할을 배울 수 있는 교양필수과목을 개설하여야 한다. 셋째, 가족생활 주기에 적합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종합사회복지관 설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실천적 측면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는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있어 가족기능이 중 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교육 및 상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자 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자기실현 교육 및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형태의 가족소통방식과 차이를 연구하고, 성공적인 가족의사소통 사례를 발굴·공유하여 가족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 기관에서는 가족이 형성되기 전 혹은 초기 단계에 결혼 준비교 육, 신혼기 부부 교육, 예비 부모 교육 등의 선제적이고 보편적인 가족복지 서비 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대학생, 가족기능, 자기분화, 자기효능감 This study aims to find healthy family functions to establish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for college students, for college students go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from late adolescence to adulthood.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family fun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policies for developing programs and improving family function for stabl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77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elf-report online survey and a face-to-face questionnaire from July 10, 2023 to August 10, 2023, and all 177 copies were actually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5.0 program to calculat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grasp the level of the research variable,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o grasp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 wer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tion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fidence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Second,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relig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was higher than that of Catholicism and Buddhism.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lf-asser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parents' marital status. Self-assertion, overall self-efficac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of self-differentiation were higher in divorce/division/other than in married. Fourth,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partn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elf-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The overall self-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were higher in friends/lovers/other than parents. Fifth,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living standar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veness, and family communicatio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communication were higher in the wealthy than in the difficult side. In self-differenti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assertion and emotional immersion of other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iving. In terms of self-efficacy as a whole, the wealthy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and the difficult, and the confidence was higher than the difficult, and the self-regulatory efficacy was higher than the rich. Sixth, in the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feelings about fami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The overall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were high in the order of very happiness, happiness, normal, and not happiness. In self-differenti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self-differentiation,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feelings about family. As for the whole of self-differentiation, very happiness was higher than normal and not happy, and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ere very higher than normal. In self-efficac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according to feelings about family. In terms of overall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icacy, happiness was very higher than normal. In one word, the difference that college students feel about their families can be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family function. Seventh, in the effect of the family function on self-differentiation, the family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differenti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factors, family communication,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elf-differentiation in order. Eighth, in the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self-efficacy, family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function, 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mmunication factors, family communication, family adaptability, and family cohesion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self-efficacy in order.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fun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and suggest the following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The suggestions for the academic asp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family function was examined by approaching the family function as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function and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was empirically proved, and the main role of family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was verified.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 family function will act as a major variable i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as verified, and and thus the necessity of specifying the family welfare policy currently in place was confirmed to enhance the family function. The suggestions for the policy asp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healthy families from infancy to late adolescent college students should be supported as a national policy. Second, college students should open mandatory liberal arts courses at each university to learn the role of healthy family members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carry out marital roles, parental roles, and desirable child education as a prospective couple who will form a future family.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ultifunctional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that can develop and provide programs and services suitable for the family life cycle. The suggestions for the practical asp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should emphasize that family fun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fficacy, and prepare policies to provide self-realization education and practical help to increase self-efficacy.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types of family communication methods and differences, discover and share successful family communication cases, and use them in programs to improve family function. Thir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need to provide preemptive and universal family welfare services such as marriage preparation education, newlyweds education, and pre-parent education before or at the beginning of family formation. Keywords: College student, family function, self-differentiation, self-efficacy

      • 간호대학생의 그릿, 긍정심리자본, 스트레스대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현희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간호대학생의 그릿, 긍정심리자본, 스트레스대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 긍정심리자본, 스트레스대처, 대학생활적응의 관 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대학생활적응 증진을 위한 중재를 마련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은 2023년 9월15일부터 10월 6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경기도 D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 생 3∼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 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그릿의 점수는 5점 만점에 3.17±0.61점, 긍정심리자본 점수는 6점만 점에 4.26±0.72점, 스트레스대처 점수는 5점 만점에 3.48±0.41점, 대학생활적응 점 수는 5점만 점에 3.43±0.68 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그릿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난 학기성적 (F=8.933, p<.001), 간호학과 지원동기(F=4.281, p=.006), 교우관계(F=3.354, p=.038), 전공 만족도(F=20.506,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긍정심리자본을 분석한 결과 학년(t=-2.036, p=.044), 지난 학기성적(F=10.856, p<.001), 간호학과 지원동기(F=3.811, p=.012), 성 격(F=5.177, p=.007), 교우관계(F=4.931, p=.008), 가족관계(t=2.169, p=.032), 전공만 족도(F=16.20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적 응은 지난 학기성적(F=10.308, p<.001), 간호학과 지원동기(F=4.717, p=.004), 성격 (F=3.804, p=.025), 교우관계(F=6.472, p=.002), 전공 만족도(F=13.72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학생활적응과 그릿(r=.574, p<.001), 긍정심리자본(r=.778, p<.001), 스트레스대 처(r=.437, p<.001))는 양의 상관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은 긍정심리자본 (r=.611, p<.001), 스트레스대처(r=.049, =p.554)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긍정 심리자본과 스트레스대처(r=.418, p<.001)에서도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6.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희망(β=1.125, p<.001), 꾸준한 노력(β=.724, p=.005), 사회적지지 추구(β=.439, p=.015), 낙관주의(β=.134, p=.032),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그릿, 긍정심리자본, 스트레스 대처간의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영역 희망과 낙관주의, 그릿의 하위영역 노력의 꾸준함, 스트레스대처의 하위영역 사회적지지 추구가 대학생활적 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대학생활적응을 증진하 기 위하여 긍정심리자본과 그릿을 강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과 스 트레스대처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상담 및 지지체계를 활성화하여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개선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tress coping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tress coping, and university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adaptation to develop intervention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The research design involved descriptive survey research, conducted from September 15th to October 6th, 2023, targeting nursing students in their 3rd to 4th year at a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26.0 software, employ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scored 3.17±0.61 out of 5 for grit, 4.26±0.72 out of 6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3.48±0.41 out of 5 for stress coping, and 3.43±0.68 out of 5 for university adaptation. 2. Analyzing grit based on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vious semester grades (F=8.933, p<.001), motivation for choosing nursing (F=4.281, p=.006), peer relationships (F=3.354, p=.038),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F=20.506, p<.001). 3. Analyz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year (t=-2.036, p=.044), previous semester grades (F=10.856, p<.001), motivation for choosing nursing (F=3.811, p=.012), personality traits (F=5.177, p=.007), peer relationships (F=4.931, p=.008), family relationships (t=2.169, p=.032),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F=16.204, p<.001). 4. Analyzing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vious semester grades (F=10.308, p<.001), motivation for choosing nursing (F=4.717, p=.004), personality traits (F=3.804, p=.025), peer relationships (F=6.472, p=.002),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F=13.725, p<.001). 5.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university adaptation and grit (r=.574, p<.001),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778, p<.001), and stress coping (r=.437, p<.001). Gr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611, p<.001) and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ress coping (r=.049, p=.554), whil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coping (r=.418, p<.001). 6.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adaptation were identified as hope (β=1.125, p<.001), consistent effort (β=.724, p=.005), seeking social support (β=.439, p=.015), and optimism (β=.134, p=.032), in descending order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gr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tress coping was identified. Hope and optimism in the sub-area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ency in Grit's sub-area efforts, and social support in the sub-area of stress coping affect college life adaptation. Based on this study,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grit and counseling and education systems that can appropriately use stress coping should be activated to find ways to improve successful college life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