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섭(統攝)의 관점에 따른 교육공학 접근 방법의 재조명

        권성호(Sungho Kwon),신종호(Jongho Shin),정태희(Taehee Chung),오현숙(Hyunsook Oh),문수진(Soojin Moo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7 학습과학연구 Vol.1 No.-

        통섭(統攝)은 진리를 향한 하나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각되면서 제학문의 연구에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통섭이라는 개념과 이에 근거한 방법론이 교육공학이라는 학문 연구에 의미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통섭의 관점은 다양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교육공학의 개념 및 연구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교육공학은 단순한 학제간 (Inter-disciplinary) 연구를 뛰어 넘어 각 학문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학문의 개념과 방법론들이 녹아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범학문적 연구(trans-disciplinary study)를 지향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공학의 개념 및 연구영역을 통섭적 개념에 근거하여 재탐색하였다. 교육공학이 타학문들과 적당한 수준에서 혼합 활용될 경우, 특히 문제해결 도구 및 기술로 인식될 때 교육공학은 학문으로서의 정체를 밝힐 수 없으며,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통섭적 관점에 근거하여 교육공학의 내부적 통섭과 외부적 통섭을 추구할 때 극복될 수 있다. 교육공학이라는 이론적?실천적 목적 해결을 위해서는 외부적으로는 다양한 학문 영역의 본질적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주어진 연구문제를 파악해나가고, 내부적으로는 동일한 분야에서의 영역 간의 상호보완과 통합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 즉, 외부적 그리고 내부적 통섭의 관점이 필요한 시기이다. As consilience emerges as a new method to seek after the truth, it draws considerable attentions for studying all related subjects. Then, what does the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 method based on this concept imply in terms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concepts and there research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that consilience perspective acknowledges the diversity. Thus,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be heading to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 and concept of each discipline beyond simpl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rough which it should be intended to pursue trans-disciplinary study developing new ideas by blending them. Accordingly,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concepts and research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from consilience perspective. Educational Technology cannot only establish its identity as the discipline, but also limit its development in case that Educational Technology is blended with other disciplines and applied just at the proper level and especially that it is considered as one of problem-solving tools and techniques. These problems will be resolved when Educational Technology expands a view from internal and external consilience perspective. To achieve theoretical and practical purposes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is the time that externally need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als of various disciplines and grasp the research subjects and that internally needs experiments to support and comprehend boundaries in the same field. That is the perspectiv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silience.

      • 통섭의 관점에서 바라본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과 교육공학의 역할

        방선희(Sunhee Bha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9 학습과학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과 이에 따른 유비쿼터스 학습이라는 새로운 환경으로의 진입을 앞 둔 현 시점에서 그 동안의 교육공학에 대한 비판점을 돌아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통섭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응용학문으로서 교육공학은 대상에 대한 올바른 파악과 이를 통한 유의미하고 현장 적용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데 그 의무가 있다. 교육공학에 대한 비판은 그동안의 교육공학의 연구가 현장중심적이지 못하며 현실에 적용되지 못하는 연구가 많았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발전 역사를 통해 교육공학 연구에서 대상에 대한 전방위적 시선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시선이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에서는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대안으로 통섭의 관점을 가질 것을 제안한다. 통섭의 관점은 대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학문간 소통을 해야 하며, 이를 통해 나온 연구결과가 올바른 판단과 시대를 위한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공학 연구가 대상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하고 어떻게 기여해야 하는 지,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통섭의 개념은 또한 사회 전체를 조망하고 그 안에서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것들과 마지막으로, 사회의 요구에 맞는 학습 목표와 교육공학의 역할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reviews criticism of educational technology made so far at this point in time as we are entering into a new environment of ubiquitous learning and a ubiquitious environment. And it proposes consilience as an alternative. Educational Technology as an applicable study is responsible for properly understanding its subjects and extracting research results that are meaningful and applicable. Criticism of educational Technology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that is neither field-centered nor applicable. To this,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to have a rounded view of subjects by studying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media.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such a view is all the more important in a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proposes the perspective of consilience as an alternative. A perspective of consilience means that different fields of study sh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proper understanding of subjects and that meaningful research results for proper judgment befitting the era can be acquired. In view of this, consilience suggests how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approach its subjects of research, how to contribute and the research direction to take. The concept of consilience suggests how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grasp its subjects and apply theories. Also, it suggests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view the entire society and to support learning in it. Last, it proposes the goal of learning befitting social demand and the role of educational Technology.

      •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권숙진(Sukjin Kwon),박선희(Sunhee Park)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분야에서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를 H대학 사례를 통하여 실행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학전공교수 3인과 교육학 교수 1인이 연구도구를 개발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설문에 응답한 졸업생 31명, 면담에 참여한 졸업생 15명, 설문에 응답한 고용주 9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졸업생이 평가한 교육목표 달성도 평균은 교육목표1, 3, 4의 경우 평균 3.3점~3.4점으로 나타났다. 교육목표3 "평생 자기 혁신을 통해 기독 전문직업인으로서 사회적, 도덕적, 책임의식을 다하고 있는가?"의 경우 평균 2.7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답자 중 개인적으로 종교관이 다른 경우 낮은 점수를 표시한 것으로 분석된다. 교육목표 중요도 평균은 교육목표별 3.7점~4.0점으로 나타났다. 교육목표 달성도 평균이 교육목표 중요도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졸업생대상 교육과정 적절성에 관한 면담의 경우, 전공교과목에 대한 의견으로 현장교육강화, 발표수업 및 실험수업 내실화, 기초역학수업 정교화, 최신동향이 적용된 수업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동아리 활동의 경우 전공동아리 활동이 기업현장에서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나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영어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전공관련 차별화된 영어 교과목, 영어로 발표하는 연습 및 외국인과 의사소통 등을 위주로 하는 등의 교육내용 개선을 요구하였다. 셋째, 고용주의 경우 각 교육목표 달성도 평균은 3.8점~4.1점으로 나타났고, 교육목표 중요도 평균은 4.2점~4.3점으로 나타났다. 고용주의 경우 교육목표 개선을 제시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 the evaluation about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aims to draw the reform measur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at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in H University in Korea.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researcher invented a research instrument with three professors at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and one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Regarding data collection method, survey and interview were adopted. The participants included 31 graduated students (survey respondents), 15 students (interview respondents) and 9 employers. According to the data, first, the mean scores of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1, 3, 4) elicited from the graduated students ranged from 3.3 to 3.4.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3 "As a christian and specialized professionalist, do you fulfill your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scored 2.7 (5 total score). This means that individuals with different religious faith showed low scores. The mean score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objectives ranged from 3.7 to 4.0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Mostly,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scored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Second, regarding the employers,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ranged from 3.8 to 4.1, an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ranged from 4.2 to 4.3. It is interpreted that the employers did not offer the improvement of each educational objectives. Finally, regarding the interview data about the appropriacy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elicited from the graduated students,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e classes with a focus on the reinforcement of work-experience, lessons with a focus on presentation, elaboration of the experiment lecture, refinement of basic dynamics, and the application of up-to-dated contents. Concerning the club activities, clubs related to one"s majors seem to play an influential role in business field, thus, club activities should be reinforced. Lastly,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importance of English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y required the English curriculum different from majors and lessons with a focus on English presentation as well as the conversation with native speakers.

      •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수업모형 개발

        방선희(Sunhee Bhang)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0 학습과학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매체언어교육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의 실제적 수업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메체언어교육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미디어의 특성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의 수업모형 도입의 필요성을 짚어보았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되기 위한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을 기반으로 한 수업모형과 활동 및 준비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매체언어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어 글의 논리를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인터넷 시대’의 매체언어교육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현재의 ‘인터넷 시대’가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보고 이를 반영한 수업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둘째, ‘창의적’ 매체언어교육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교사가 ‘창의적’으로 그리고 학생이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수업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적 매체언어 교육이 고려해야 할 요소와 교수학습 모형을 설명하고 실례를 들어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instructional model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For this, the needs for using CPS instructional model in search of the meaning and purpos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s explored. In this case, we particularly consideredew media, which is based on Web 2.0 and social media. Also, this study suggested elements and an example of instructional model for CPS. This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First, media language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s among the media of today and it is should be reflected in instructional model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Second, it should be ‘creative’ media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found that media language education has to focus on fostering creativity of students by using media actively and creatively. In this paper, we suggested an instructional model that a teacher can use to stir creativity from students.

      • 초·중등교원 대상 STEAM 융합교육 인식 조사

        신재한(Shin, Jae-ha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연령, 학교규모, 영재교육 담당 경험, STEAM 융합교육 인식 정도 및 연수경험, STEAM 융합교육 수업설계 및 적용유무 등 초중등 교원 배경 변인별 인식 차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STEAM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과 향후 STEAM 융합교육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STEAM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STEAM 융합교육 연수 이수 여부에 따른 맞춤형 STEAM 융합교육의 목적을 설정하고 교원의 전문성을 확보하며 활성화 방안 모색해야 한다. 둘째, 학교급이나 STEAM 융합교육 수업설계 경험에 따른 맞춤형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STEAM 융합교육 연수 프로그램은 교육과정 재구성 및 설계 능력과 STEAM 융합교육에 대한 교과 지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융합교육 연수 이수 여부, STEAM 융합교육 수업설계 경험 여부, 학교급 등 교원 배경변인에 따라서 STEAM 융합교육 방향이 다르므로, 교원 배경변인에 적합한 맞춤형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STEAM 융합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설문 조사 중심의 양적 연구와 더불어 참여관찰, 심층면접 등을 포함한 질적 연구 방법을 동시에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consider and establish effectiv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ie, the school level, gender, teaching experience, age, school size,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perception level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eaching training experience, whether teachers hav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and application experience or not. To practice effectiv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he followings must be considered. First, we should set up the goal for the customized STEAM convergence educ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completion of the STEAM convergence education, ensure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earch for the activation plan. Second, we should need to develop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school level or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Third,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raining programs should be composed to develop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design skills and content knowledge about STEAM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comple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STEAM convergence,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school leve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the appropriate customized STEAM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o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in order to the activation for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t needed to be conducted survey-based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including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 태국 교육정보화 동향 및 요구 분석을 통한 시사점 고찰

        김영환(Young-hwan Kim),이서연(Seo-yeon Lee),김선정(Seon-jeong Kim),김상미(Sang-mi Kim)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 교육정보화에 대한 최근 현황과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교육정보화와 관련하여 태국을 포함한 개도국과의 국제협력사업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6년~2013년 APEC e-러닝 연수에 태국 교육정보화 전문가로 초청된 참여 연수생들의 연구보고서(48건)를 내용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국 교육정보화 현황에 있어 자국의 전문가 집단이 지적하는 주요 문제점은 교사의 지식 및 동기부족, 교육자원 부족, 부적절한 ICT 정책, ICT 장비미비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교육통합체제 구축, 훈련 및 연수, 정책개선, 교사 동기화, 센터설립 등이 제시되었다. 둘째, 태국 교육정보화에 있어 가장 높은 요구는 훈련 및 연수 부분이었고 다음으로는 교육 포탈 구축과 정책 개선이었다. 현황 분석에서 나타난 이러한 요구들은 지난 8년간 거의 유사하게 지속되고 있었다. 그러나 2010년 이후로 하드웨어 보급과 관련된 문제 및 요구사항들은 이전과 달리 많이 지적되지 않고 있어 최근 ICT 보급과 관련된 문제는 많은 부분 해결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태국의 교육정보화의 주요 이슈들은 하드웨어 중심의 인프라 구축 단계를 지나 정책 수립 및 개선, 전문인력 양성, 사회적 참여 및 동기 제고 등으로 진전되고 있는 한편, 향후 태국관련 교육정보화 사업을 추진할 때는 그만큼 교육정보화 관련 정치 및 사회문화와 같은 여러 가지 요소들을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가 증대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current status and need in education informatizaion of Thailand and search for som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and solutions which are included in 48 final reports of 76 Thai trainees participated in APEC e-Learning Training Program from 2006 to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jor problems of th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in Thailand suggested by Thai trainees are lack of teachers’ knowledge and motivation in using ICT, insufficient educational resources, inadequate government policy and lack of ICT infrastructure. The propose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re to provide trainings and workshops, to build educational network system, to improve educational policy, to motivate teachers and to build ICT center. Regarding those problems, it was revealed that the three main problems have been adverted repeatedly in the last 8 years. But to the contrary, as the issues related to the lack of hardware or ICT equipment are not being mentioned recently. Second, the strongest demand on in education informatizaion of Thailand was training and workshop to enh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of teachers. Those result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in relation to international cooperative projects and activities with Thailand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in the future.

      • Improving the quality of adults literacy education through ICT integration in Bhutan

        K. SingyeDorji,SunghoKwon(권성호),Minkyoung Sung(성민경)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0 학습과학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ICT를 활용하여 교사의 역량을 높임으로써 부탄 성인 문맹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탄에 실현 가능한 ICT 기반의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ICT 활용이 학습지원의 질을 높일 수 있는지 진단하고, 한국을 비롯한 타국가의 사례를 검토하여 부탄의 비정규 평생교육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바를 제안한다. 기존의 부탄의 문맹교육은 학습자의 동기, 훈련된 교사, 관련 인프라 및 ICT 활용에 대한 정책이 부족하다. 또한 문맹교육에 대한 관심과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동기 또한 부족하다. 그러나, 문맹교육에 ICT를활용하면학습을증진시키고, 문맹교육에의 접근성을 확대시키며, 학습자의 여건과 상황에 맞는 내용을 제공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며, 보다 문식성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문헌고찰, 사례연구, ICT 활용교육을 개발하고자 원하는 한국의 기관방문을 통하여 부탄에 필요한 추진전략을 도출하고 실행계획을 제안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to improve the quality of Non Formal Education (NFE) in Bhutan through integration of ICT in adult literacy education. It is intended to achieve the following aims of: developing an appropriate ICT-based training program for implementation in Bhutan; assessing whether the use of ICT improves the quality and access of learning support; formulating recommendations from the research findings for a NFE education policy; and reviewing Korean and other world cases on ICT education to draw policy implications.Adult literacy education in Bhutan lacks learner motivation, trained educators, infrastructure and policies on the use of ICT in literacy education. Also, there is limited commitment to adult literacy education and little attention paid to quality of literacy education. However, use of ICT in literacy education may resolve these problems by enhancing learning, broadening access to literacy education, creating local content,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ly, and cultivating a literacy-conductive environment.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and visiting Korean facilities that develop and support ICT use for teachers this study draws policy recommendations and suggests policy actions.

      • 사회과 교육정보화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윤혜순(Yun, Hye-Su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정보화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주요 성과와 연구과제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학술지에서 선정한 사회과 교육정보화 관련 논문 106편을 내용분석법을 통해 연도 및 학술지 별 연구현황,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1996년 이후로 연구가 시작되었고, 200년대 들어 교육정보화정책과 첨단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이 확대되면서 연구도 증가하였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 교육공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었으나, 29개의 학술지에 발표될 정도로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실험연구가 가장 많고, 문헌연구, 개발연구, 조사연구의 순으로 많았다. 넷째, 연구영역은 설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활용과 개발에 관한 순서로 진행되었다. 다섯째, 테크놀로지 유형에 따른 연구는 기술변화에 따라 연구가 이루어졌고 웹기반 학습, 모바일 러닝, 컴퓨터기반 학습 활용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최근 모바일러닝에 관한 연구가 확대된 것은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따른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교육정보화 관련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ill look at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social studies upon ICT Policy in education and analyze its major performance and tasks. Toward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subjects, method, and topics of 106 theses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upon ICT Policy in education selected from academic papers registered or to be registered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First, the research began in 1996 and increase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ICT Policy in education and expansion of education using advanced technology in the 2000s. Second, although the research mainly involved subject of social studies and Educational Technology, it was studied in diverse fields as can be seen in the publications in academic journals as many as 29. Third, as for the research method, experiment research was most frequent,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 development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Fourth, as for the research domain, design was most frequent, followed by usage and development. Finally, research on the technology type changed according to evolving technology and there were a number of studies regarding the usage of web-based learning, mobile learning and computer-based learning. The recent expansion of research on mobile learning can be at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 for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future tasks of research on social studies upon ICT Policy.

      • 오감학습법의 작용과 전망

        김현철(Kim, Hyun-Chul)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오감학습의 관점에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현행 인성교육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앞으로 학교폭력뿐 아니라 근본적으로 인간개발이라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있어 오감학습이 출발점이 된다는 점을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난 2014년 4월21일부터 6월26일까지 서울의 한 중학교의 학교부적응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안교실에 오감학습 오감학교 협동조합의 오감학습 프로그램을 적용,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세계에 대한 올바른 감각과 감수로부터 올바른 의식의 형성은 가능하다는 오감학습법의 교육적 적용과 확장 가능성이 높아졌다. 둘째, 12경락 진단척도를 통해 개인별, 유형별 오감학습법을 위한 진단척도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셋째, 오감학습법의 대상별, 단계별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을 확산시키고 지금까지 제기된 오감학습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들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오감학습법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면서 학생들의 행동수정의 순차는 단순히 보고 읽고 쓰는 오관의 능력을 넘어서 인간의 오감능력은 리더십으로 그리고 경세력과 소통력으로 발달된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a hypothesis that Five-Senses Learning is a starting point in the essential purposes of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 as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is progressed in the viewpoint of Five-Senses Learning. To reappraise the suitability of Five-Senses Learning Model this study applied this learning model to a student group of school maladjustment of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observed from 21 April 2015 to 26 June 2015.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possibility of educational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Five-Senses Learning Model that development of the right consciousness is possible only from the correct senses and sensory receptions in the objective world was higher. Secondly, a basis of diagnostic scale development by individual and type for Five-Senses Learning Model was established in the diagnostic scale of 12 meridians, the pathway of Chi energy flow. Thirdly, necessities of Five-Senses Learning Programs by object and type were spreading and many other programs by Five-Senses Learning methods were organizing. Lastly, when Five-Senses Learning Model is applied to the school environment the behavior modification in sequential of student will be developed from the ability five-senses to the leadership, self-governing and administration ability, and Sotong ability beyond the simple sensory receptions like seeing, reading and writing.

      •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실버계층의 자기표현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안병룡(ByungYoungAh),이지연(JiYeon Lee),김은지(EunJi Kim),이동화(DongHwa Lee),임정하(JungHa Lim)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1 학습과학연구 Vol.5 No.1

        전 세계적으로 고령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으며, 이제 노인은 단순히 사회적 약자가 아닌 사회적 권리를 지닌 주체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우리 사회는 지식정보화시대를 넘어 지식창조의 시대로 패러다임의 전환기를 맞고 있다. 소셜미디어(Social media), 스마트 기기(Smart device) 등의 출현은 새로운 가치의 창출을 보다 손쉽게 만들었으며,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life style)을 변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급격한 세상의 변화 속에서 살아가는 노인들은 상대적으로 상실감 내지 고립감을 느끼기 쉬우며,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한다. ‘노인미디어교육’은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는데, 이는 노인들이 보다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현재 발전하고 있는 기술을 익히고 실생활에 활용하며 나아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능력을 길러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노인 미디어 교육은 대부분 ‘정보화 교육 수준’에만 머물러, 고령층의 창의적인 미디어 학습 욕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노인들이 스마트미디어의 기술을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하여 미디어생산이라는 가치창출을 통해 자기표현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주체자로서 자기만족과 목적의식, 자아정체성을 강화시키고자 한다. 이는 정보화 사회에서 노인의 정보 접근 문제를 해소하고, 노인 스스로가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게 할 것이다. 그리고 노인의 문화와 여가 활동을 다양하게 할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노인의 미디어 문화 접근권 보장과 확장을 가능케 하고, 노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 기대해 본다. Globally,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s increasing and Korea will become a super-aged society in 2026. As a result, seniors are recognized as main agents of having social rights not simply the weak people. Today our society is at a turning point of paradigm from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o Knowledge creation society. People has created new values with social media and smart media tools. The movement of change has appeared inquiring more meaningful educational concerns using these media in educational ways. Smart phone fever is inevitable in the media innovation age but seniors suffer from emerging problems. Problems are kinds of sense of loss or isolation since having difficulty of catching up with ceaselessly changing new technology. For living independently in this change, value creation ability is needed not only by learning but using techniques. But most conventional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seniors can not reflect needs of creative and independent media learning. The programs are targeted at the level of informational learning only and they are passive learning form.(Jinsuk Kang, 2010) Thus, our educational program is for reinforce seniors" self-contentment, a sense of purpose on life and selfidentity through improving self-expression ability using smart media not just learning smart media techniq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