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이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창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종호,Shin, Jongho 한국공학교육학회 2022 공학교육연구 Vol.25 No.5

        The effects and factors of th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eative self-efficacy of students who took the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was improved, and th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arning contents factor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creative self-efficacy was 'creativity development attribute and creative attitude' and the learning activity factor was 'taking theoretical lectures' about creativity.

      • KCI등재
      • KCI등재

        제품 사용데이터를 활용한 제품 열화상태 평가 방안에 대한 연구

        신종호(Jongho Shin),전홍배(Hongbae Jun),Cedric Cattaneo,Dimitris Kiritsis,Paul Xirouchakis (사)한국CDE학회 2013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18 No.1

        In general, the product is used under several circumstances including environmental and usag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the product has various performance degradation processes. In order to optimize the lifecycle of product usage, it is important to observe the degradation process and make suitable decisions on product operations. However, there are not much research works in evaluating the degree of product degradation based on product usage data. Recently, due to emerg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ies, it becomes possible to get the product usage data. Based on the gathered data,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degree of product degradation. The analysis of product usage data can improve product use and product design with advanced decisions. To this end, this study addresses one approach based on FMEA/FMECA method, called PDMCA (Performance, Degradation Modes and Criticality Analysis) for evaluating product degradation status and making suitable decisions.

      • KCI등재

        대학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학습자 저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신종호(Shin Jo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저항은 학습자 측면에서 학습참여와 교육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수자 측면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을 적용하려는 시도를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학습자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예비조사를 통해 50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문항을 만들고, A대학교 학생 59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가지 요인을 도출한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업준비에서의 저항행동, 수업활동에서의 저항행동으로 구성된 2요인의 특성을 갖는 학습자 저항 측정도구가 제안되었다. 그리고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통해 학습자 저항 측정 도구의 내외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신뢰로운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학습자 저항 측정 도구는 학습자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자 저항에 관한 국내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tudent resistance in learner centered teaching negatively affects student engage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and could hinder professors attempts to apply the learner centered teach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student resistance in a learner centered teach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50 preliminary item of the scale to measure student resistanc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eliminary research was developed and examined on 598 students from A universit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four factors with 23 items.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suggested scale consisted of two factors, resistance behavior in class preparation, resistance behavior in in-class activity. Finally, valid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iterion validity analysis. Developed scale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hat can reduce student resistance, and could contribute to activate of domestic research on student resistance.

      • KCI등재

        공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경험의 속성 탐색

        신종호(Shin Jongho),이신형(Rhee Shin Hyung),윤주현(Eune Juhyun),조은별(Cho Eunbyul),백아롱(Beik Ahrong),조수연(Jo Suyeon),이병윤(Lee Byung Y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예술경험이 공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미친다면 관련된 예술경험의 속성은 무엇 인지를 확인하고자 예술경험을 가진 공학도를 대상으로 개인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경험은 공학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섯 가지의 예술경험 속성이 주로 관련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아인식 경험이다. 자아인식 결과는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공학 연구 의 방향과 전략을 구체화하는 데에 적용되었다. 둘째, 직관을 활용한 경험이다. 예술경험을 통해 강화된 직 관이 공학 연구에 적용되었으며, 기존의 전략을 보완하면서 보다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이끌어냈다. 셋째, 한계를 극복하는 경험이다. 한계를 극복한 예술경험이 있을 때, 새로운 공학 연구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예술 영역의 지식을 확보하였다. 넷째, 타인지향적 표현 경험이다. 감상자의 공감과 이해를 중시하는 예술 분야의 표현 경험을 연구의 성과 공유에 도입함으로써, 이들의 공학 창의성은 보다 긍정적인 사회적 평가를 이끌어냈다. 다섯째, 카타르시스 경험이다. 카타르시스 경험은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정 정서를 해소하고 손상된 심리적 자원을 회복하도록 하여 연구에서의 창의성 발현이 가능한 심리 상태를 확보하도 록 하였다. 본 연구는 공학 영역에서의 창의성 교육에서 예술경험을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근거가 되 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artistic experience affects engineering creativity, if it does, which characteristics of artistic experience influence engineering creativity. In order to do so, a qualitative study is conducted for engineers who have some artistic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artistic experience affects positively engineering creativity, and that there are fiv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experience influencing engineering creativity. First, they had a clear self-awareness experience. Being aware of oneself was applied to specifying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engineering research in which they could manifest creativity. Second, they utilize their intuition. Their intuition was used in their engineering research, which led them to creative problem solving by reinforcing the existing ways. Third, they have challenged their limit and tried to overcome it. When they had some artistic experience, which made them challenge their limit and overcome it, they were able to try a new research in engineering and secure re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can actually be applied to their research. Fourth, they had an others-oriented experience. As they adopt their appreciating experience, which puts emphasis on empathy and understanding, into their research performance, their creativity gained positive social recognition. Fifth, they had a cathartic experience. A cathartic experience helps to reduce negative feelings, which could happen during an engineering tasks, and to recover that hurt feelings so the engineers could be at the stage in which they could manifest creativity with a psychological stabil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urther directions for creativity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창작과 감상 예술경험이 창의적 수행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신종호(Shin Jongho),조은별(Cho Eunbyul),문지원(Moon Chiwon),민지연(Min Jiyeon),최예은(Choi Ye-Eun),백근찬(Baek Keuncha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6 창의력교육연구 Vol.16 No.1

        창의성은 학생들이 뛰어난 미래인재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으로 교육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왔으며 최근 들어 예술경험을 활용한 창의성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108명을 대상으로 예술경험이 창의적 수행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심층적으로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때 예술경험의 유형은 주제에 대한 자기표현의 경험인 창작경험과 외부자극에 대한 재해석 경험인 감상경험으로 나누고, 예술경험의 질적 속성을 인지적 자극, 부정적 감정, 자기참조, 긍정적 매력이라는 네 가지 요소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경험이 타 경험과 차별되는 요인은 ‘자아(self)’와 관련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수행과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경험의 질적 속성은 창작과 감상경험에 따라 다르게 확인되었는데, 창작경험집단에서는 자기참조를 많이 할수록 창의적 사고를 요하는 과제점수뿐만 아니라 과제노력 수준이 높았다. 반면 감상경험은 창의적 수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감상경험에 대한 긍정적 매력을 느낄수록 과제흥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육에서 자기인식 및 표현 활동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며, 예술경험의 질적 속성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Creativity has been considered as a capacity that students need in order to become as a talented future leader, artistic experiences have been suggested in order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In this study, artistic experience was divided into two types: Self-expression on the subject (cre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he external stimulus (appreciation), and four qualitative factors (cognitive stimulation, negative emotionality, self-reference, and positive attraction) were examin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artistic experiences, creative performance, and motivation by using a sample of 108 undergraduates.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the self-reference factor that differentiated the artistic experience from the other experience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creative performance and motiva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artistic experience among the qualitative factors of artistic experience. In details, the task performance that required creative thinking and the level of efforts were higher as participants in the creation group were more willing to express themselves, whereas participants in the appreciation who had higher positive attractiveness group were more interested in the task.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lf-awareness and self-expression are important factors in creativity education and there are discriminatory effects among the qualitative factors of artistic experience.

      • KCI등재

        융합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경험의 특성

        신종호(Jongho Shin),조은별(Eunbyul Cho),부은주(Eunjoo Boo),백아롱(Ahrong Beik),조수연(Suyeon Jo),강미라(Mira K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융합교육에서 학습자 경험의 특성을 분석하여, 미래교육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A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개설된 ``통합창의디자인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 및 수강생과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융합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경험은 ``융합의 조건 보기 경험``, ``개인의 한계 넘어서기 경험``, ``결과물 중심의 융합 완결하기 경험``으로 정리되었다. ``융합의 조건 보기 경험``은 학습자가 융합 실현을 위한 기본 조건을 확인하고 융합의 개념과 방향성을 수립하는 경험이었다. 학습자들은 전문 영역들의 차이와 각 영역의 고유한 가치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융합 실현의 최소한의 기준임을 알게 되었다. ``개인의 한계 넘어서기``는 학습자들이 도전적인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에 직면하고 이를 극복해가는 경험이었다. 학습자들은 자신감과 잠재력을 향상시키면서 이 수업에서의 경험을 성장경험으로 인식하였다. ``결과물 중심의 융합 완결하기 경험``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전문 영역의 관점과 평가를 균형적으로 반영한 최종 결과물을 산출해냈다. 결과물을 완결하는 경험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융합교육에서만 가능한 ``하나의 경험``으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에서의 학습자 경험이 기존 영역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개인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융합 결과물을 산출하는 총체적인 경험이라는 점에서 융합교육의 고유한 특성을 드러낸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build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converge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of learner experience. The study`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s of participants and several in-depth interviews during a semester-long course titled Integrated Creative Design Project of "A" University, which were then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earner experienc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nfirming the requisites of convergence", "going beyond one`s limits", and "completing convergence by developing the final products." First, the learners established their own concepts and directions on convergence. In this step, they comprehended the minimum standard to participate in the convergence program, which was to learn the distinctiveness and values of the separate domains. Second, the learners confronted challenges and overcame their limitations. In other words,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confidence and potentials while committing themselves to the project which aimed to produce outputs. Third, the learners finished their products by reflecting on various evaluations based on the different domains. This experience helped them to recognize that they had acquired ``an experience`` that was only possible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arner experience in convergence education has uniqueness in that it is regarded as a holistic experience while learners are challenging their limits of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