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주민참여형 최적관리기법 적용 연구

        임정하 ( Jungha Lim ),신민환 ( Minhwan Shin ),유나영 ( Nayeong Yu ),김종건 ( Jonggun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집중호우시 농업지역에서 다량의 토양이 유실되고 고농도의 탁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하천 수질 악화, 하류 취·정수 처리비용 증가 등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비점오염원관리지역 내 비점오염저감시설 보급 정책 등이 수행되었으나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저감시설보다 발생원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불특정한 경로로 광범위하게 유출되는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농민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농민 스스로 지속 가능한 저감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인 자운지구 내 강원도 홍천군 내면 자운 1~4리 마을 일원으로, 참여농가는 총 75농가, 참여농지 면적은 151.68 ha이다. 주민들이 직접 작성한 참여신청서를 바탕으로 BMPs를 보급하였으며, BMPs의 종류는 볏짚거적, 눈개승마, 양파망, 완효성비료, 잔디, 호밀이다. 또한, 농업비점오염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스스로 비점오염원의 문제를 인식하여 지속가능한 저감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역량강화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BMPs 설치 농경지와 미설치 농경지의 수질 농도를 비교하고자 주민 스스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자운1~4리 총 75농가의 BMPs 보급현황을 분석한 결과 볏짚거적 1농가(1.3%), 눈개승마 2농가(2.7%), 양파망 68농가(90.7%), 완효성비료 9농가(12.0%), 잔디 10농가(13.3%), 호밀 1농가(1.3%)로 조사되었으며, 주민들은 볏짚거적, 잔디와 같이 설치 및 수거 시 시간이 크게 소모되는 BMP 보다는 설치 및 수거가 비교적 쉬운 양파망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MPs 보급 후 이행현황을 조사한 결과 자운1리 3농가, 자운2리 3농가, 자운3리 3농가, 자운4리 4농가가 미설치 된 것으로 조사되어, 75농가 중 18%(13농가)는 설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6월 23일 강우시 주민이 직접 4개의 농경지에서 시료(양파망이 설치되어있는 밭 유출수 4개, 미설치된 밭 유출수 4개) 8개를 채취하여 BOD<sub>5</sub>, SS, T-N, T-P, TOC를 분석한 결과 대조구 대비 양파망의 저감효율은 농경지1 36.3% ~ 88.9%, 농경지2 35.8% ~ 87.9%, 농경지3 52.0% ~ 91.0%, 농경지4 23.6 ~ 85.7%의 범위로 나타났다. 분석한 4개의 농경지 모두 대조구 대비 양파망을 설치한 밭의 유출수의 농도가 낮게 나타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T-P 항목의 저감효율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인 자운지구에서 발생되는 농업비점오염원은 농민 스스로가 노력하여 지속적으로 저감활동을 실천한다면 저감효과가 극대화 될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농촌 거버넌스 활성화및 확대를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저수구역 내 경작지의 영양염류 및 유기물 용출 특성 분석

        임정하 ( Jungha Lim ),유나영 ( Nayeong Yu ),우수민 ( Sumin Woo ),강태성 ( Taeseong Kang ),임경재 ( Kyoungjae L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저수구역 내 경작지의 영농활동과 초지 등의 토양에 포함된 영양염류는 용출되어 호내로 유입되어 내부부하를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작지에서 용출될 수 있는 영양염류의 양과 용출조건을 파악하는 것은 호소의 수질관리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호 유역 홍수조절지 내 경작지의 토양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대청호 상류에서 영농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대상으로 영양염류 및 유기물의 용출속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논, 밭, 초지에서 각각 채취한 토양시료를 이용하여 2번의 용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1차 실험에는 현장용수를 이용하여 호기조건과 혐기조건을 유지하였으며, 2차 실험에서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호기조건을 유지하여, 현장용수와 증류수에 따른 용출반응 속도를 분석하였다. 1∼2차 실험결과 COD 용출속도는 현장시료(호기성)의 경우 45.91 ㎎/㎡/day (밭), (-)19.92 ㎎/㎡/day (논), (-)25.12 ㎎/㎡/day (초지), 현장시료(혐기성)의 경우 19.06 ㎎/㎡/day (밭), (-)20.79 ㎎/㎡/day (논), (-)19.92 ㎎/㎡/day(초지), 증류수(호기성)은 65.48 ㎎/㎡/day (밭), 41.58 ㎎/㎡/day (논), 37.42 ㎎/㎡/day (초지)로 나타났다. T-N 용출속도는 현장시료(호기성)의 경우 28.70 ㎎/㎡/day (밭), (-)8.37 ㎎/㎡/day (논), 22.35 ㎎/㎡/day (초지), 현장시료(혐기성)의 경우 7.71 ㎎/㎡/day (밭), (-)15.27 ㎎/㎡/day (논),(-)15.01 ㎎/㎡/day (초지), 증류수(호기성)의 경우 81.57 ㎎/㎡/day (밭), 4.05 ㎎/㎡/day (논), 5.18 ㎎/㎡/day (초지)로 나타났다. T-P 용출속도는 현장시료(호기성)의 경우 4.60 ㎎/㎡/day (밭), 0.52 ㎎/㎡/day (논), 0.15 ㎎/㎡/day (초지), 현장시료(혐기성)의 경우 5.18 ㎎/㎡/day (밭), 0.07 ㎎/㎡/day (논), 0.48 ㎎/㎡/day (초지), 증류수(호기성)의 경우 1.30 ㎎/㎡/day (밭), 0.25 ㎎/㎡/day (논), 0.35 ㎎/㎡/day (초지)로 나타났다. 밭의 경우 유기물과 영얌염류가 호기 또는 혐기 조건 상관없이 용출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의 경우 산화-환원 전위의 변화영향을 많이 받아 혐기조건에서 인의 용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밭은 유기물과 영얌염류의 용출이 모두 발생하였으나, 논의 경우 용출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도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통해 얻은 용출특성은 침수된 경작지가 저수구역 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효율적 농업비점오염 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농경지 외에 논과 초지를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용출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농업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주민참여형 최적관리기법 적용 연구

        임정하 ( Jungha Lim ),신민환 ( Minhwan Shin ),유나영 ( Nayeong Yu ),김종건 ( Jonggun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집중호우시 농업지역에서 다량의 토양이 유실되고 고농도의 탁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하천 수질 악화, 하류 취·정수 처리비용 증가 등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비점오염원관리지역 내 비점오염저감시설 보급 정책 등이 수행되었으나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저감시설보다 발생원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불특정한 경로로 광범위하게 유출되는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농민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농민 스스로 지속 가능한 저감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인 자운지구 내 강원도 홍천군 내면 자운 1~4리 마을 일원으로, 참여농가는 총 75농가, 참여농지 면적은 151.68 ha이다. 주민들이 직접 작성한 참여신청서를 바탕으로 BMPs를 보급하였으며, BMPs의 종류는 볏짚거적, 눈개승마, 양파망, 완효성비료, 잔디, 호밀이다. 또한, 농업비점오염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스스로 비점오염원의 문제를 인식하여 지속가능한 저감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역량강화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BMPs 설치 농경지와 미설치 농경지의 수질 농도를 비교하고자 주민 스스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자운1~4리 총 75농가의 BMPs 보급현황을 분석한 결과 볏짚거적 1농가(1.3%), 눈개승마 2농가(2.7%), 양파망 68농가(90.7%), 완효성비료 9농가(12.0%), 잔디 10농가(13.3%), 호밀 1농가(1.3%)로 조사되었으며, 주민들은 볏짚거적, 잔디와 같이 설치 및 수거 시 시간이 크게 소모되는 BMP 보다는 설치 및 수거가 비교적 쉬운 양파망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MPs 보급 후 이행현황을 조사한 결과 자운1리 3농가, 자운2리 3농가, 자운3리 3농가, 자운4리 4농가가 미설치 된 것으로 조사되어, 75농가 중 18%(13농가)는 설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6월 23일 강우시 주민이 직접 4개의 농경지에서 시료(양파망이 설치되어있는 밭 유출수 4개, 미설치된 밭 유출수 4개) 8개를 채취하여 BOD<sub>5</sub>, SS, T-N, T-P, TOC를 분석한 결과 대조구 대비 양파망의 저감효율은 농경지1 36.3% ~ 88.9%, 농경지2 35.8% ~ 87.9%, 농경지3 52.0% ~ 91.0%, 농경지4 23.6 ~ 85.7%의 범위로 나타났다. 분석한 4개의 농경지 모두 대조구 대비 양파망을 설치한 밭의 유출수의 농도가 낮게 나타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T-P 항목의 저감효율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인 자운지구에서 발생되는 농업비점오염원은 농민 스스로가 노력하여 지속적으로 저감활동을 실천한다면 저감효과가 극대화 될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농촌 거버넌스 활성화및 확대를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고랭지밭의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최적관리기법 적용

        임정하 ( Jungha Lim ),신민환 ( Minhwan Shin ),유나영 ( Nayeong Yu ),홍은미 ( Eunmi Hong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밭은 비료의 사용량이 많고, 강우시 유출량이 많아 토양유실이 발생하여 홍수기에 하천과 호소의 탁수 문제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특히 고랭지밭 비율이 높은 강원도의 경우 적은 강우에도 토사유출이 심하기 때문에 비점오염발생원 관리를 통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랭지 밭의 가장 효과적인 최적관리 기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비점오염 저감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지점은 강원도 홍천군 자운2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8년 6월 말부터 9월 초까지 유출이 발생한 7회의 강우사상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이 이루어졌다. 시험구는 식생토낭과 양파망, 잔디와 호밀, 볏짚피복이며 강우시 모니터링으로 대조구 대비 시험구의 유출량과 오염부하량, EMC를 비교하고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유출량은 대조구 대비 식생토낭 28.2%, 잔디 75.9%, 볏짚피복 96.9%, 양파망 27.2%, 호밀 23.6%의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식생 토낭에서는 50.3∼67.0(평균 59.5)%의 오염부하 저감효과가 나타났으며, 초생대(잔디)는 86.3∼94.1(평균 90.3)%, 지표피복은 93.2∼99.7(평균 96.2)%의 오염부하량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양파망은 26.3∼67.3(평균 43.8)%의 오염부하량 저감효율을 보였으며 호밀은 29.2∼56.0(평균 47.9%)의 오염부하량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SS 항목의 평균 EMC 저감효과는 식생토낭 43.4%, 초생대 80.4%, 지표피복 91.3%, 양파망 50.9%, 호밀 17.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볏짚피복 시험구가 가장 효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파망 및 식생토낭의 경우 큰 강우에 두둑 터짐 문제로 효율이 낮게 산정되었으며 호밀은 식재 시기가 늦춰져 활착이 적시에 이루어지지 않아 저감효율이 낮게 산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차년도 연구에서는 정확한 저감 효율 평가를 위해 두둑 터짐 현상 같은 문제점보완이 필수 적이라 생각되며,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Database 구축이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남녀 청소년의 부모관여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 자기통제와 또래동조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정하(JungHa Lim),허자연(Zayoun Huh)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교육문제연구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사용에 대한 남녀 청소년의 부모의 관여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자기통제와 반사회적 또래동조의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에 위치한 8개 중학교에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연구대상은 남녀 중학생 총 304명이었다. 부모관여,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자기통제 및 반사회적 또래동조에 대한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시 독립표본 t 검증, 상관분석,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터넷 사용에 대한 부모관여와 자기통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더 높게 지각했고, 반사회적 또래동조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더 높게 보고했다. 둘째, 인터넷 사용에 대한 부모관여는 자기통제와 또래동조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남녀 표본을 구분해 분석한 결과, 부모관여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에서 남학생들의 경우, 자기통제와 반사회적 또래동조 각각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여학생들의 경우, 자기통제나 반사회적 또래동조 모두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청소년의 성별을 고려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과 관련된 경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ual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onitoring of internet use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8 middle schools in Seoul. A sample of 30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ed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of internet use, cyberbullying perpetration, self-control, and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s, Pearson's correlation, and Model 6 in SPSS PROCESS Macro.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parental monitoring of internet use and self-control compared to male students, while 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and engagement in cyberbullying perpetration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esting of the sequential mediating model in the overall sample showed parental monitoring of adolescent children influenced cyberbullying perpetration serially via self-control of adolescents and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However, in the male students' sample, parental monitoring was associated with cyberbullying perpetration via self-control and peer conformity of anti-social behaviors, respectively, while in the female students' sample, parental monitoring was associated with cyberbullying perpetration only via self-control. Gender-specific pathways from parental monitoring to cyberbullying perpetr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감사성향에 미치는 영향

        임정하 ( Jungha Lim ),김주현 ( Joo Hyun Kim ),김현경 ( Hyun Kyung Kim ),( Yan Ni Xiong ) 대한가정학회 2015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and dispositional gratitude of adolescent children in Korea. Participants consisted of 403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Dispositional gratitude of adolescents and parenting behaviors (including respect, lessons, attention, and lack of trust) were reported by adolesc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levels of parental lack of trust and maternal attention were different as a function of gender. Second, girls showed higher levels of dispositional gratitude than boys. Third, greater parental respect, lessons, and attention were linked to higher levels of dispositional gratitude of adolescent children; whereas lack of trust was linked to lower levels of dispositional gratitude. Fourth, paternal lessons was the most meaningful factor in explaining the level of dispositional gratitude in boys while maternal attention was the most meaningful factor in gir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dispositional gratitude in adolescents. Differential parental roles were discussed to promote the level of dispositional gratitude for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희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정하(Lim, Jungha),김경민(Kim, Kyungmin),송지은(Song, Jieun),나윤경(Na, Yunkyeong),Tan Mei X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희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소재 5개 중?고등학교 학생 4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심리욕구 및 희망과 학교적응 수준은 자기보고식 질문지법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희망과 학교적응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 중학생들이 고등학생들보다 기본심리욕구, 희망과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기본심리욕구 및 희망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셋째, 희망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즉,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희망을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 학교교사에 대한 적응,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과의 관계를 희망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하지만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과의 관계에서는 희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opes on the school adjustment levels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made up of 45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and Gyeongi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reported greater basic psychological needs, hopes and school adjustment levels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school adjustment levels of these adolescen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opes. Third, hope was found to play a partial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levels of school adjustment exhibited by the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chool adjustment levels of adolescents could be improved by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opes.

      • KCI등재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인지적 유연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임정하(Lim, Jungha),조은영(Jo, Eunyoung),오연경(Oh, Younkyung),윤원영(Yun, Won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인지적 유연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 지역에 소재한 4개 대학교 재학생 41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과 상관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성향은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인지적 유연성은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변화하는 환경 자극에 따라 인지의 틀을 적응적으로 전환하는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유능성 전체에서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요인 중 갈등관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학생들이 여학생들 보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학년 및 종교를 통제한 후에도 감사성향과 인지적 유연성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긍정적인 경험이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인한 것임을 인식하고 고마운 마음으로 반응할수록, 변화하는 환경 자극에 따라 인지의 틀을 보다 적응적으로 전환할수록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인지적 유연성은 감사성향보다 대인관계 유능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spositional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ncluding initiation, assertion, conflict management, caring for others, and appropriate disclosure). The participants comprised 414 students recruited from 4 universitie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conflict management than female students.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gender, grade and religion, both dispositional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significantly explained the variance in interpersonal competence. Moreover, cognitive flexibility was a more meaningful factor than dispositional gratitude in explaining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positional gratitude and cognitive flexibil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for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