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누가 공부를 잘하고 누가 공부를 잘 못하는가? -학업성취와 관련된 지능, 기질 및 성격 특성에 관하여

        오현숙 ( Hyunsook Oh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성격(personality) 개념을 기질(temperament)과 성격(character)으로 나누어 지능, 기질, 성격, 성적의 관계를 조사 하였으며 학업성취 및 학업부진 집단과 관련된 지능과성격의 구조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남녀 학생 280명(남=117, 여=163)이 기질 및 성격검사 TCI의 청소년용과 진단성 지능검사 및 자기보고식 성적등급에 의해 조사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로서 지능은 성격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지능지수인 IQ는 위험회피와 부적으로, 인내력 기질 및 자율성 성격과는 정적으로 매우 유의한상관을 나타냈다. 군집분석을 통해서 연구대상들의 성적, 지능, 기질 및 성격적 특성의 유사성에따라 총 5개의 집단이 구분되었는데 이 5개 집단은 도합 4개의 기질 특성과 3개의 성격특성 및9개의 지능특성에서 모두 유의하게 평균차이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고지능-고성취 집단은 중간지능-저성취의 집단에 비해 사회적 민감성 그리고 인내력 기질 성향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위험회피 성향이 유의하게 낮았고 자기초월 성격 성향 또한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지능, 기질 및 성격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서만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관련되며 특히 위험회피 기질이 지능과 상호작용하면서 공부를 잘하거나 못하는 것과 관련된다는 것이다. 연구결과는선행연구들과 함께 논의되었으며 연구 제한점이 제시 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chool achievement, intelligence,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determine whether school achievement and school slump are distinguishable through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factors. A total of 280 middle school students (male = 117, female = 163)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y completed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JTCI) and an intelligence test battery and questionnaires about their school record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factors: IQ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negatively with harm avoidance and positively with persistence and self-directedness. A cluster analysis produced five types of school achievement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 of high or low IQ and school records They were differentiated significantly from each other through every four temperament and three character factor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groups, high I(Intelligence)-high A(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 novelty seeking, high reward dependence, high persistence, low harm avoidance, high self-directedness, and high self-transcendence as compared to middle I-low A. The group low I-low A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other groups in showing the highest harm avoidance. Furthermore, the best I-worst A group-i.e., the typical school slump group-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 groups, as this group obtained the lowest novelty seeking and harm avoidance scores. The paper discusses the outcomes in light of the educational counseling and training for school achievement and school slump, and the research limitations.

      • KCI등재
      • KCI등재

        방정환의 『사랑의 선물』에 나타난 멜로드라마적 특성과 동화의 숭고미

        오현숙(Oh Hyunsook)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5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canon and the sublime beauty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focusing on 『A gift of love』that is Pang Chong-hwan’s children’s literature as a translation. Pang Chong-hwan accepted the western canon, reproduced the reality of children all over the world tragically in 『A gift of love』, and selected and set works to save it in the grammar of these works in common. He shaped the unique sublime beauty by combining a melodramatic form with the transcendence of the material world as a theme. He compared children with adults in the world of moral extremity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described emotions exaggeratedly to highlight horrors at the cost of lives and the process of salvation. He passes the senses where the language is inadequate by using symbols such as an interjection, a dash and an ellipsis, etc. and maximized the emotional effect to be conveyed to readers. His uniqueness different in its original or double translation appeared clearly in this description. However, this researcher understood aesthetic ‘surplus’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of melodramatic form as the writer ’s deliberate strategies for the reproduction of sacred worth. unlike the existing discussion of degrading Pang Chong-hwn’s value with the terms of ’tearism’, ‘angelism’ ‘heroism’. In addition, when romanticism via the West or Japan was mixed with the discourse of Cheondogyo and Pang Chong-hwan’s work, the unique sublime beauty of exploring life and human truth, goodness and beauty could be formed. It could be different from romanticism of the West or the characteristics of 『Red bird(赤い鳥)』which represents Taishogi’s sentimentalism in combining infinite philosophy with the value of humans and the theory of ethic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s, the researcher tried to show the results of emphasizing the writer’s creativity and unique aesthetics shown in Pang Chong-hwan’s children’s literature as a translation, 『A gift of love』beyond the perspective of diffusionism of prior research.

      • KCI등재

        『동아일보』 통계로 본 1930년대 아동과 청년 독자의 책 읽기

        오현숙(Oh, Hyunsook)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논문은 단일한 집단으로 상상되어 온 아동과 청년 독자의 다양한 층위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특히 문자를 습득하고 지식을 배우는 과정 중에 있는 독자의 경우 문해력에 따라 상당히 폭넓은 스펙트럼을 지닌 독서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상당 부분 아동이나 청년 독자들 간의 ‘차이’를 충분히 드러내지 못했다. 이들은 아동 혹은 청년이라는 큰 범주에 따라 동일한 성격을 지닌 독자로 쉽게 간주되거나 상상되었다. 하지만 필자는 단일한 독자 공동체로 상상되었던 실제 아동과 청년 독자층이 사실은 상당히 다층적인 양상으로 존재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동아일보』에 실린 통계 자료를 토대로 1930년대 실제 독자들의 다층적인 존재 양상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20대 미만의 미성년 아동 독자를 중심으로 연령별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어떤 동화 읽기를 선호했는지 살펴보았다. 아동 독자의 진취적인 장래희망과 달리 가장 선호하는 동화는 비극적 이야기였다. 식민지와 제국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진 ‘학교 밖’ 저학력의 미성년 노동자의 지속적인 생산과 착취구조에 대한 슬픔의 정서는 반영되었으나 아동 독자가 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현실에 대응할 수 책 읽기에 도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3장에서는 계층에 따라 실제 아동 독자의 책 읽기 양상이 구체적으로 달라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각각 여자 중등생, 남자 고보생, 인쇄공을 대상으로 실제 읽은 책 목록을 분석했다. 여자 중등생, 남자 고보생은 한글과 국한문은 물론 일본어나 다른 외국어까지 자유롭게 구사하는 ‘엘리트 독자층’에 속했다. 한편 인쇄 직공은 문자를 알아야만 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식자층’이지만 문해력은 다소 낮은 ‘노동자’라는 독특한 위치에 있었다는 점에서 학생들과 계층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여자 중등생은 연애와 결혼 제도를 다루는 교양소설이나 사회주의 페미니즘 계열 소설의 적극적인 수용자였다. 반면에 남자 고보학생은 계급투쟁과 자본론을 다루는 사회주의 사상서 중심의 책 읽기 양상을 보여주었다. 인쇄공들의 경우 넓은 스펙트럼을 지닌 독서를 했다. 오랜 기간 한자를 배우고 중간 관리자에 위치한 숙련공은 고대소설, 중국소설, 역사전기 등의 책을 향유하는 전통적 독자였다. 반면에 열악한 노동환경에 처해있었던 저학력의 견습공의 경우 직공조합의 독서강화, 토론회와 같은 구술 중심의 문화적 기획을 통해 주체적으로 사회주의 지식을 넓혀나갔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1930년에 사회주의 책 읽기 과정은 상급학교 학생과 노동자들이 주체적으로 식민지 조선의 제도, 담론, 사회적 구조들을 성찰하고 이에 의문을 던지는 유효한 틀이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본 논문은 1930년대 다양한 연령, 성향, 배경을 지닌 서로 다른 아동 독자층이 동시에 공존하는 양상을 복원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restore the various layers of children and young readers who have been imagined as a single grou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aders who are in the process of acquiring characters and learning knowledge, they show a reading pattern with a fairly broad spectrum according to their literacy skills. However,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did not sufficiently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young readers. They were easily regarded or imagined as readers of the same character according to the larger category of children or young people. However, I tried to suggest that the real children and young readers who were imagined as a single readership actually existed in quite a multi-layered existence. Specifically,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published in the Dong-A Ilbo, the multi-layered existence of real readers in the 1930s was examined. In Chapter 2, we looked at which children’s fiction that appear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were preferred by minor readers under the age of 20. Unlike the progressive hopes of children’s readers, the most preferred fairy tale was a tragic story. Although the emotion of sadness over the continuous production and exploitation structure of under-educated underage workers ‘out of school’ cre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was reflected, it was realistically difficult for children to understand this comprehensively and to read a book that could respond to reality. In Chapter 3, we looked at how the actual reading patterns of children and young read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class. The list of books actually read was analyzed for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printers, respectivel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belonged to the ‘elite readers’ who freely spoke Korean and Korean, as well as Japanese and other foreign langua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hierarchical difference from the students in that the printmaker was in a unique position as a ‘labor’ with a lower literacy level, although he was a ‘literate’ in that he could work only if he knew how to write. Middle school girls were active recipients of socialist and feminist novels and cultural novels dealing with dating and marriage. On the other hand, male Gobo(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reading pattern centered on socialist ideological books dealing with class struggle and capitalism. The printers had a broad spectrum of reading. A skilled worker who has learned Chinese characters for a long time and is a middle manager was a traditional reader who enjoyed books such as ancient novels, Chinese novels, and historical biographi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ow-educated apprentices, who were in poor working conditions, they actively expanded their socialist knowledge through oral-centered cultural planning such as the craftsmen’s union’s strengthening of reading and discussion forums. However, in common, the socialist book reading course in 1930 was a valid framework in which upper-class students and workers independently reflected on and questioned the institutions, discourses, and social structures of colonial Jose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thesis was able to restore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children and young readers of various ages, inclinations, and backgrounds in the 1930s.

      • KCI등재

        고전의 계승과 동화의 형성 - <토끼전>을 중심으로 -

        오현숙 ( Oh Hyunsook )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1 No.-

        이 논문은 <토끼전>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의 고전문학이 근대적인 아동문학으로 계승되며 변환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근대 이후 <토끼전>을 비롯한 고전문학은 급속히 소멸된 것으로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실증적인 방식으로 검토한 결과, <토끼전>은 190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근대 아동문학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양식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전환은 크게 세 가지의 미학적 특성을 통해 수행되었다. 첫째, 근대 다중 미디어의 대두에 따라 <토끼전>은 비단 소설 뿐 아니라, 연극이나 동화, 아동극 등의 다양한 양식으로 분화된다. 둘째, <토끼전>의 구술성과 음악성은 이 시기 가창과 율독의 활자화를 통해 아동문학에서 풍부히 계승된다. 셋째, <토끼전>의 변환 과정에서 근대 아동문학이 지니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복합감각이 구현되어 문자는 물론, 삽화 등의 시각적 이미지나 수용자의 능동적인 연희활동 등을 매개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사실은 기존의 고전문학과 현대문학간의 단절론적 관점은 물론, 한국 근대 아동문학의 기원을 제국문화의 일방적인 ‘이식’의 과정으로 해명하려는 전파론적 관점의 한계를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eing inherited and transformed into modern children’s literature, targeting < Tokijeon(토끼전) >. In general, it is true that classical literature, including < Tokijeon(토끼전) >, has been recognized as rapidly disappearing since modern times. However, as a result of reviewing in an positivist method, < Tokijeon(토끼전) >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from the 1900s to the 1920s, and tends to shift to a new style. This conversion was largely accompanied by three aesthetic characteristics. First, according to the rise of modern multi media, < Tokijeon(토끼전) > is differentiated into various styles such as plays, modern fairy tales, and childre’’s plays as well as novels. Second, the oral and musicality of < Tokijeon(토끼전) > is abundantly inherited in children’s literature through the printing of singing during this period. Thir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 Tokijeon(토끼전) >, a complex sense,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modern children’s literature, tends to mediate visual images such as letters as well as illustrations and active performance activities of audiences. This fact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importance in that it not only shows the disconnected view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but also shows the limitations of the propagatory view to explain the origin of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s a one-sided “transplant” process of imperial culture.

      • KCI등재

        대학 PBL 수업 활성화 전략 탐색: A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상훈 ( Sanghoon Im ),유영만 ( Yeong-mahn You ),오현숙 ( Hyunsook Oh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1

        대학교육은 급격한 사회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사회를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내지 못한다는 비판에 직면해있다. 이에 교수자 중심, 강의식 수업을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적 학습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PBL은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는 대표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여러 대학에서 전략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정작 PBL로 수업을 해야 하는 교수들은 PBL에 대해 잘 알지 못하거나, PBL이란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어떻게 수업을 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PBL 수업이 잘 정착되었다고 인정받는 A대학교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대학교육에서 PBL수업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교에서 진행 중인 8개 PBL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 교수 8명 및 학생 14명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등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질적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업의 초반-중반-후반에 걸쳐 3개의 상위 범주 및 7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PBL 수업에서 적용해야 할 활성화 전략은 첫째 수업 방향의 분명한 제시, 둘째 학생 잠재력에 대한 신뢰, 셋째 도전적 과제를 통한 열정 자극, 넷째 학습자 참여 방안 구축, 다섯째 학생 고유의 관점 제시와 독려, 여섯째 결과물에 대한 발표 기회 부여, 일곱째 학습을 통한 성취감 획득 등이 필요했다. 본 연구를 통해 PBL 수업과 관련된 대학교육혁신 관계자와 교수자 등이 PBL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를 걷어내고 실제로 질높은 수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University education is facing criticism that it cannot keep up with rapid social changes and train outstanding individuals that are needed for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from instructor-centered and lecture-based classes to learner-centered constructive learning. PBL is a typic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meets these changes and is spreading strategically in various universities. However, professors who have to teach with PBL often do not know about PBL or how to teach through PBL. This study aims to derive activation strategies for PBL classes in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on A University, which is recognized as well settled for PBL classe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observed in 8 PBL classes in A Universit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8 professors and 14 studen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three upper categories and seven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of the class. The activation strategies to be applied in PBL class were (1) clear presentation of direction, (2) confidence in student potential, (3) stimulation of passion through challenging tasks, (4) establishment of learner participation plan, (5) presentation and encouragement of student's unique viewpoint, (6) presentation opportunity, and (7) acquisition of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officials and professors related to PBL class will fin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inding out ways to realize high quality class by eliminating unnecessary misconceptions about PBL.

      • 통섭(統攝)의 관점에 따른 교육공학 접근 방법의 재조명

        권성호(Sungho Kwon),신종호(Jongho Shin),정태희(Taehee Chung),오현숙(Hyunsook Oh),문수진(Soojin Moo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07 학습과학연구 Vol.1 No.-

        통섭(統攝)은 진리를 향한 하나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각되면서 제학문의 연구에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통섭이라는 개념과 이에 근거한 방법론이 교육공학이라는 학문 연구에 의미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통섭의 관점은 다양성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교육공학의 개념 및 연구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근거하여 교육공학은 단순한 학제간 (Inter-disciplinary) 연구를 뛰어 넘어 각 학문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학문의 개념과 방법론들이 녹아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범학문적 연구(trans-disciplinary study)를 지향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공학의 개념 및 연구영역을 통섭적 개념에 근거하여 재탐색하였다. 교육공학이 타학문들과 적당한 수준에서 혼합 활용될 경우, 특히 문제해결 도구 및 기술로 인식될 때 교육공학은 학문으로서의 정체를 밝힐 수 없으며,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통섭적 관점에 근거하여 교육공학의 내부적 통섭과 외부적 통섭을 추구할 때 극복될 수 있다. 교육공학이라는 이론적?실천적 목적 해결을 위해서는 외부적으로는 다양한 학문 영역의 본질적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주어진 연구문제를 파악해나가고, 내부적으로는 동일한 분야에서의 영역 간의 상호보완과 통합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 즉, 외부적 그리고 내부적 통섭의 관점이 필요한 시기이다. As consilience emerges as a new method to seek after the truth, it draws considerable attentions for studying all related subjects. Then, what does the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 method based on this concept imply in terms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concepts and there research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that consilience perspective acknowledges the diversity. Thus, Educational Technology should be heading to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 and concept of each discipline beyond simpl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rough which it should be intended to pursue trans-disciplinary study developing new ideas by blending them. Accordingly,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concepts and research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from consilience perspective. Educational Technology cannot only establish its identity as the discipline, but also limit its development in case that Educational Technology is blended with other disciplines and applied just at the proper level and especially that it is considered as one of problem-solving tools and techniques. These problems will be resolved when Educational Technology expands a view from internal and external consilience perspective. To achieve theoretical and practical purposes of Educational Technology, it is the time that externally need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principals of various disciplines and grasp the research subjects and that internally needs experiments to support and comprehend boundaries in the same field. That is the perspectiv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