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별 원격대학원 운영에 대한 인식 연구

        홍연선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95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달이 사회의 각 분야에서 기존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면서 원격교육으로 고등교육법에 의거한 정식 석사학위를 수여하는 원격대학원이 문을 열고 있다. 그러나 평생교육법령 하의 원격대학에 대한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으나 원격대학원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찾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원격대학원의 운영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들의 원격대학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원격대학원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대한 실용적인 대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학습자와 교수자의 원격대학원에서의 교수-학습방법, 상호작용, 지원체제에 대한 인식과 운영자의 원격대학원에서의 상호작용 지원체제 및 대학원의 질관리 체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학기 이상 과정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대학원 가운데 대표적인 5개 대학원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전체적인 경향을 분석하기 위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학습자 집단 내의 변인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시행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는, 원격대학원의 교수-학습 측면에 있어서 내용의 이해도나 실무적용 가능성, 학습평가방법의 적절성 및 타당성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학습량은 약간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습방법 및 전략에 대하여는 수강 과목의 안내, 학습진도의 조절 가능성에 대하여 과반수의 학습자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선수학습 진단이나 개별학습의 가능성, 강의형태의 선택가능성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상호작용에 대하여는 학습자와 교수자/운영자/학습내용간의 상호작용은 매우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은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원체제에 관하여 학습자들은 디지털 도서관, 상담서비스, 커뮤니티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는 반면 실제는 이러한 지원체제가 미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자의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는, 원격대학원의 교수-학습 측면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강의량은 대다수가 많다고 인식하였다. 상호작용에 대하여는 교수자와 학습자/운영자/학습내용간의 상호작용은 상당히 활발하나 강의평가에 대한 운영자와의 상호작용 및 교수자간의 상호작용은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지원체제에 관하여는 사전교육을 제외한 직,간접의 지원체제가 모두 미흡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운영자의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는, 상호작용 측면에 관하여 운영자와 학습자/교수자/운영자간의 상호작용은 매우 원활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습내용과의 상호작용은 상대적으로 다소 활발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지원체제 측면은 인원의 적절성, 업무분담, 교육연수의 기회 등 모든 문항에 대하여 지원이 잘 이루어지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질 관리 체제에 관한 인식의 분석 결과, 외부전문가의 평가가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운영 중인 원격대학원 및 향후에 설립될 원격대학원이 교수-학습방법과 상호작용, 지원체제 및 질관리 차원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해 나가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While rapid progres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hanges every paradigm of the society, the Distance Graduate Schools that confer an official masters degree under the laws of Higher Education are opening doors. There were few studies focusing on Distance Graduate Schools, while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online universities under the laws of Lifelo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domestic Distance Graduate School management as it was and draw practical alternatives, suggestions and developmental plans to solve problems of Distance Graduate Schools from the investigation of perception of Distance Graduate Schools by learners, Instructors, and facilitator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Instructors, and the perception of support system, managers interactive support system, and the quality control system based on these purposes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five Distance Graduate Schools with at least one semester course management experience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incid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verall tendency, and t-test and ANOVA were also carried out to test perceptual difference among the variants within a group of studen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drawn from the above research method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looking at the students perception analysis, the students positively recognized the substances, applicability, and adequacy and validity of evaluation in general from the aspect of teaching-learning, although they felt the amount of studying was a little too much. They had a low-level recognition of prestudy diagnosis, and availability of individual learning and lecture selection, while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had a high-level evaluation of information on course and possibility of learning pace control from the aspect of 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The interaction among Instructors/managers/students was very active, while the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wasnt active as such. In the case of support system, the students recognized the needs for digital library, counseling service, and community, but there was insufficient support system in reality.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Instructors perception analysis, most instructors positively recognized teaching-learning aspect, but they also felt a little too much amount of teaching. In the case of interaction, they felt that the interaction among learner-manager-learning substance was very active, while the interaction among the instructors wasnt. For support system, it was recognized that almost all support system was insufficient except pre-training. Third, in the case of managers perception analysis, the managers thought that the interaction among learner-lecturer-manager was very active, b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bstances of study was a little less active. Looking at the support system, they responded that they recognized the inadequate number of personnel, ineffective assignment of work, and lack of training opportunity. For the quality control system, it was pointed out as the problem that the evaluation from the outside was hardly carried ou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recognition of and improvement in the earlier mentioned problem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interaction, and support system and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future Distance Graduate Schools as well as the current one.

      • 가톨릭 교리교육 현황 및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요구분석

        김미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교육공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to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find out the way to improve Distance Catechesis. The subjects of stud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Subject 1. What is the present status about Catechesis? Subject 2. What is needed to improve Distance Catechesi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subjects there was a questionnaire survey to instructors (Priests, Nuns, Catechists) and learners (Adult Catechumenate) of Korean Catholic Churches. 417 questionnaires out of 474 were retrieved, which means 88% of questionnaire retrieval rate. Demographical variants were used as data analysis method, and to find out frequency of response at each question frequency analysis was us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sociology of population, using χ2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and posterior comparative analysis for each question. The result after analysis on the difference about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through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bout method and term for the current Catechesis Classroom Education was performed for about 6 months for the almost all responses (92.6%). Second, discontent with method and disturbing factor of Catechesis was the regular attendance every week for Catechesis and boredom, and plain education method using simple media and formal content. Needs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Distance Catechesis had the next results. First, Catechesis with Classroom Education and Internet Based Distance Education for its flourish was preferred, and a proper time for Catechesis was one hour (68.9%) and the period was less than for 6 months (45.7%). Second, when Internet Based Distance Education is performed for Catechesis, instructors wanted supports for general structural factors, like human factor, economical and administrative run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ata design and development, and learners wanted preliminary education, active relationship and relief from individualized learning. Third, the highest desire for On-going Education through Distance Education was the bible study (30.6%). Fourth, on the request for improvement of Catechesis, instructors had an interest in the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lationship and of better humanity and communication each other, meanwhile, learners wanted substantial education methods with interesting stories and real experience and have a everyday short dogma through e-mail service. Based on the result, new Catechesis methods and program development are needed to be suitable for each Catechesis case in various environments like age, job and location. 본 연구는 교리교육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교리교육에 대한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한국 가톨릭 교회의 교수자(신부님, 수녀님, 교리교사)와 학습자(성인 예비신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474부 가운데 417부가 회수되었고, 설문지 회수율은 88%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인구 통계 변수를 처리하고,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의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문항에 따라 χ2(chi-square), t-test, one-way ANOVA, 사후비교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를 통해 교리교육 현황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리교육에 대한 방법과 기간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강의식 교육을 6개월 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2.6%). 둘째, 교리교육 방해 요인과 방법에 대한 불만은 매주 일정한 시간에 참석해야 하는 교리 시간과 재미없는 교리 시간, 간단한 강의 매체 사용, 단순한 교육 방법과 형식적인 내용 등으로 분석되었다.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 첫째, 교리교육 활성화를 위해 강의식 교육과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겸한 교리교육 방법을 선호하고, 적합한 교육 기간과 시간에 대해서는 6개월 동안(45.7%), 1시간 미만(68.9%)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리교육을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실시하게 되면, 교수자들은 원격교육에 필요한 구성 요소 전반에 대한 지원, 즉 인적 구성 요소를 비롯해 경제적, 행정적, 운영 방법, 교수 자료 설계 ․ 개발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학습자들은 사전 교육 실시, 활발한 상호작용, 그리고 자율학습에 대한 부담감 감소 등 학습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원격교육을 통해 평생교육을 희망하는 분야는 응답자 모두가 성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30.6%). 넷째, 교리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에서 교수자는 무엇보다도 인간관계 성숙을 위한 인성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진솔하게 통교할 수 있는 인간과 인간과의 만남에 대해 많은 관심을 드러낸 반면, 학습자는 매일 이메일 서비스를 통한 짧은 교리, 재미있는 내용,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령별. 직업별. 지역별 등 다양한 환경 안에 있는 교리교육 대상자들의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교리교육 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원격고등교육기관 재학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이 학습지속의향도에 미치는 영향

        노양진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고등교육기관에 등록 중인 성인학습자의 학습지속의향도에 영향을 주는 동기적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1)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몰입, 학습지속의향도간의 상관관계, 2)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습지속의향도에 미치는 영향 3)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지속의향도와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이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원격고등교육기관의 하나인 A대학원의 성인학습자 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원격고등교육기관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의 네 개의 하위요소 중 숙달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를 가질수록 학습몰입( 학습과정에 대한 몰두, 학습과정에의 통합, 학습행동-사고의 통합)과 학습지속의향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격고등교육기관에 등록 중인 성인학습자가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소 중 숙달접근목표를 가질수록 학습지속의향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격고등교육기관 학습자의 학습몰입은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지속의향도와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격고등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접근성향의 성취목표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tivation factors that affect to learning persistence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distanc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analyze correlation among the achievement orientati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sistence, 2) to identify the sub-variable in the goal orientation that affects to learning persistence, 3)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flow to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 item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59 adult learners who are taking distance education of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Seoul.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below. Fri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master approach 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that are sub-variables of the goal orientation becomes more high, the sub-variables in learning flow except loss of self-consciousness and learning persistence are to be more high. However,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sistence. Second, master approach goal in the goal orientation were identified to affect to learning persistence. Third, learning flow did not mediate between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of the adult learners. These results suggest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to improv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sistence of adult learners in the distanc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최성은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e-learning 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거나 관심을 가지고 실시하려는 대학도서관을 위하여 현재 실시되고 있는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평가ㆍ분석하고, 지표로 사용된 평가기준에 대한 이용자의 필요도를 조사하여, 이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이용자 중심의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준을 제시하는데 있다.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 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인하대학교 정석학술관 등 국내 대학도서관 4곳과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산하 LIRT(Library Instruction Round Table)의 Research Committee에서 선정한 도서관 이용교육 튜토리얼들(Library Instruction Tutorials) 중에서 「General Guide to Research」에서 제시한 14개 사이트 중 12개 사이트의 대학도서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문헌 조사 및 해당 사이트 직접 방문을 통하여 분석ㆍ평가하였다. 웹 평가기준, e-learning 프로그램 평가기준,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평가기준들로부터 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과 프로그램의 형식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내용적 측면에는 교육내용의 적절성과 교육방법의 적절성 항목들을 추출하여 분석을 위한 평가기준으로 삼고, 형식적 측면에서는 디자인의 적절성과 인터페이스의 적절성 항목을 평가요소로 삼아 프로그램을 분석ㆍ평가하고 각 평가요소에 대한 이용자의 필요도를 조사하여 이용자 중심의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용자 중심의 프로그램 설계를 위해 추출한 18가지의 요소들과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만이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그러나 프로그램 구축 후에도 설계기준에 의한 요구사항들이 충실히 반영 되고 있는지, 이용자의 요구사항과는 잘 부합하는지, 개선해야 할 사항은 어떤 것이 있는지 등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평가를 수행하여 성실하게 그 의견을 반영한다면 한층 업그레이드 된 e-learning 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ing standards of library instruction program. For designing standard, library iInstruction program which is operated now is evalua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objects are library instruction programs of 12 sights presented by general guide to research of library tutorials chosen by four universities - Kyung Hee University(Suwon Campu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Inha University - and Research Committee of LIRT(Library Instruction Round Table) . The evaluation standard for this analysis is abstracted commonly for the major elements from the evaluation standards of web, e-learning program, and e-learning university library instruction programs. The evaluation standard is classified into the side of the contents and the side of the form for the program. For the side of the contents, each evaluation element is abstracted for the relevance of the contents and the method of education. For the side of the form, it is abstracted for the relevance of the design and the interface. When this program designed, the requirements of the users will be reflected by researching the necessity of users about these abstracted evaluation elements. The presented designing standards are not absolute. After construction, the opinions-if the requirements by the designing standards are reflected conscientiously, if it is corresponded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users, what the improvement factors are needed, etc.-should be reflected continuously by the constant study and evaluation about the program. Therefore this e-learning library instruction program could be much more upgraded.

      • 교회학교 교사교육 이러닝(e-learning) 도입에 관한 교사의 요구조사

        정영선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incorporation of the IT technologies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has allowed learning and information sharing in the open space at anywhere and anytime through the Internet. Consequently, e-learning has brought conversion to a new paradigm in education, and as it is applied actively to various fields,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learning. Realizing the necessity to introduce e-learning to the education programs carried out within the churche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opinions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educating the next generation of every level, from the infant class to young adults class at Sunday School, in regards to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teacher education and e-learning, and their demands for Sunday School teacher education through e-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on Sunday School teachers regarding such question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bout half of the total respondents had Sunday School teacher experience, and among these respondents, 49.7% were for preparatory education and 54.3% were for continuing education. In regards to the discouraging factors in teacher education, 'difficulties in attendance' was the biggest reason, followed by the reasons of 'carrying out work and education side by side' and 'insufficient support from church'.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the Sunday School teachers' prior experience in e-learning education showed that only 33.7% of the total respondents had prior experience of e-learning education. Among the reasons for not having any e-learning experience, 'had no interest' was the biggest reason. Also, in regards to the concept of e-learning, many teachers understood it as, in the order of, 'learning beyond time and space', 'utilization of various multimedia' and 'opportunity of life long education'. Third, the survey on the understanding of e-learning education for Sunday School teachers showed a high respondent rate with 70.9% of the respondents demonstrating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eacher education through e-learning. As for the reasons for participation, 'flexible time and no restriction on location for receiving education fit my personal situation' was the biggest reason, followed by the reasons of 'availability of continuous education necessary for a teacher through the Internet', and 'wide selection of web-based programs for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operation, many respondents answered one session should not last longer than one hour and requested the issuance of certification of completion that shows the validity of the person who had completed the course as the teacher with fundamental qualifications.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at includes exams, assignments, lecture progress rate and participation had the highest respondent rate in terms of evaluation method and as for the operating institute to take charge of e-learning, many answered church education and education specializing institute to be appropriate. Also, as for the education topics that the Sunday School teachers want to learn,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regardless of the division or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demanded 'courses on understanding students', 'areas in relation to the Bible' and 'teaching method and media uti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ccessive studies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more specialized and diverse contents by investigating and reflecting on the demands of education experts, instructors and learner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지식기반사회에서 IT기술의 결합은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열린 공간에서 학습과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이러닝은 교육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가져왔고,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어 오면서 이러닝에 대한 연구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은 현장 집합교육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교회교육에 있어서 이러닝에 대한 연구 또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이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에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회학교 영아부에서 청년부에 이르는 모든 부서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교육에서의 이러닝 도입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 첫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회학교 교사교육 참여현황과 교육 후 실제 적용 효과 면에서 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교회학교 교사의 이러닝 참여 실태와 이러닝 개념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셋째, 교회학교 교사교육을 이러닝으로 실시할 경우 학습자로서 교사의 요구는 무엇인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해 교회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교회학교 교사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 수준으로 예비교육은 전체 응답자의 49.7%, 계속교육은 전체 응답자의 53.3%만이 참여 경험이 있었다. 교사교육의 장애요소에 대해서는 ‘출석의 어려움’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고, 그 다음으로 ‘일과 학업의 병행’, ‘교회의 교육지원 부족’을 장애요소로 지적하였다. 교사교육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교육을 받은 후 효과를 만족도, 지식습득정도, 자신감 영역에서 설문조사한 결과, 교사 스스로 모든 영역에서 보통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회학교 교사의 이러닝 수강경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33.7%만이 이러닝 수강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닝 수강경험이 없는 이유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다’, ‘관심은 있으나 접근방법을 모른다’,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순으로 응답하였다. 또 이러닝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 교사들은 이러닝을 ‘시간과 장소를 초월한 학습’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활용’, ‘평생교육의 기회’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이러닝의 장애요소에 대해서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컴퓨터 활용능력의 요구’, ‘일과 학습의 병행’ 순으로 지적하였다. 셋째, 이러닝 교회학교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결과, 이러닝을 통한 교사교육에 참여를 희망하는 응답자가 70.9%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참여 이유로는 ‘언제 어디서나 필요할 때 교육을 받을 수 있어서 나의 상황에 적합하므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사로서 필요한 훈련을 인터넷을 통해 지속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웹기반에서 폭넓게 선택, 수강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를 들었다. 운영 면에서는 1회 수강시간 1시간 이내, 수료 후 교사로서 기본 자격요건을 갖춘 자로서의 수료증 발급, 평가 방법으로는 시험, 과제물, 강의진도율, 학습참여 등을 종합한 평가를, 이러닝을 전담할 운영기관으로는 교회교육, 기독교 교육관련 전문기관이 적합하다고 응답한 교사비율이 높았다. 또 교회학교 교사가 교육받기 원하는 학습내용으로는 교사 경력별이나 담당 부서별 모두 공통적으로 ‘학생이해 관련’, ‘성서관련 분야’, 그리고 ‘교수법 및 매체활용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앞으로 교육전문가, 교수자, 학습자 모두를 참여시켜 각각의 요구를 좀 더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반영하여 더욱 전문화되고 다양화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 시범학습시스템을 구축하여 교회학교 교사에게 직접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교회 안에서 이러닝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바람직한 인식의 확산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초등 방과후 학교 논술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토론식 교수방법의 효과

        김수경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31

        논술은 주어진 문제를 혼자서, 또는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과정 속에서 논리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고 이를 글로 표현하는 것이다. 문제에 직면했을 때,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논리적으로 풀어내는 사고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초등 학습자의 인지수준은 고차적인 문제 해결력이 필요한 논술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술을 학습하는 주체인 초등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고려한 효과적인 논술 교수방법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초등 방과후 학교의 논술 교수방법에서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 방과후 학교 논술 교수방법 중 학습자 중심 토론식 교수방법의 학습효과를 분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초등 방과후 학교 논술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토론식 교수방법 이 학습자의 창의 표현력의 토론과 발표 부분에 영향을 미 치는가? 나. 초등 방과후 학교 논술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토론식 교수방법이 학습자의 지식 표현력인 논술 쓰기 능력의 내용, 글의 조직, 글의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C초등학교 5학년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본 실험은 논술의 학습효과인 창의 표현력과 지식 표현력을 선정한 후, 교수자 중심의 강의식 교수방법과 학습자 중심의 토론식 교수방법을 적용하여 각각 6주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술 교육 효과인 창의 표현력에서 학습자 중심 토론식 수업집단이 토론과 발표를 통해 구체적인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논술 교육 효과인 창의 표현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방과후 학교 논술 교육효과인 논술 지식 표현력에서 학습자 중심 토론식 교수방법을 적용한 수업집단이 논술 교육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표현력 중 세부 능력인 글의 내용, 글의 조직, 글의 표현이 향상되었다. 초등 방과후 학교의 논술 교육에서 논술 교육효과는 학습자 중심 토론식 교수방법을 통해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언어 표현과정인 토론, 발표의 창의 표현력을 바탕으로 논술의 지식 표현력인 글의 내용, 조직, 표현의 역량이 향상되었다는데 있다. 이것은 초등 방과후 논술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토론식 교수방법이 논술 교육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Essay is a technique of text writing and solving a given problem in a logical way within communication by themselves or between others. When faced with a problem, you need a thinking power to solve it in a creative and logical way. But with elementary students' knowledge level, there are a lack of understanding the essay that demands a higher level of problem-solving. Thus in this paper we will realize the necessity of essay teaching method by considering the knowledge level of the elementary students who are studying essay and search for the specific solu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after school class' essay teaching method. For these, there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analyzing the study effect of 'student-centered-debating teach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s after school essay class. Like the purpose of this paper written in the upper part, the specific study points are like the followings. A. In the elementary school's after school class, does a 'student-centered-debating teaching method' effect in the debating part, presentation part, of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section? B. In the elementary school's after school class, does a 'student-centered debating teaching method' effect the contents part, the writing structure, the expression of writing in the essay writing part of the student's knowledge expression sec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like the following statements. First, in the creative expression section, which is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after school class's study effect, it showed that the ability to express their creative proposal in essay by debating was higher in the study group of 'student-centered-debating teaching method' than those of 'teacher-centered-lecturing teaching method'. In the creative expression section, the group of 'student-centered-debating teaching method' show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group, by expressing their thoughts in a specific langage through debating and presentation. Second, in the knowledge section of essay, which is one of the elementary school's after school class's study effect, the group of 'student-centered-debating teaching method' came out to be more effective. There was also differences in the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of writing which are the fine parts of knowledge expression section of essay's study effect.

      •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학습 몰입과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성현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학습 몰입과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4개 기업(W은행, S전자, W기업, F기관)의 직원을 대상으로 최근 1년 이내에 이러닝 강좌를 수강한 경험이 있는 직원들에게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회수된 설문 중 본 연구에 적합한 148부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학습자의 이러닝 학습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용이성은 학습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유용성은 이러닝 학습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닝 학습이 유용하다고 느끼는 학습자일수록 학습에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용성은 학습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용이성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학습 만족도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몇 개 영역에서 용이성이 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내용 및 설계, 교수지원, 학습운영 및 지원 영역에서의 만족도는 유용성 과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한편, 학습참여와 운영 시스템 만족도에서는 용이성이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 몰입이 이러닝 학습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러닝 학습자가 학습과정에 몰입하면 할수록 높은 학습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닝 학습내용이 학습자의 직무나 업무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유용성이 학습자의 학습 몰입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이러닝을 처음 학습하는 사람들도 쉽게 이러닝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고 느끼는 용이성이 자발적인 학습 참여와 시스템 만족도를 높이는데 상관이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하겠다. 이러닝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학습이 이루어지는 환경이다. 앞으로도 m-learning, u-learning 등 새로운 첨단 테크놀로지가 학습에 활용되는 범위는 점차 확대되어질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새로운 정보기술이용에 대해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유용성과 용이성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다양한 연령과 직무를 가지고 있는 직장인들의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보다 구체화된 연구를 통해 테크놀로지를 적시에 활용하여 효과적인 이러닝 학습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how the usability and easiness perceived by e-learner affect on the flow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For this study a surve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employees of 4 companies located in Seoul. They have experiences on e-learning studies in less than a year. The structure equation is used to analyze the 148 copies of the survey which are appropriate to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effect of usability and easiness perceived by e-learners on their learning flow. The easiness does not affect on the learning flow, but the usability does. In brief the more the e-learners recognizes the usefulness of e-learning, the more the learner gets himself absorbed in the learning. Second, it analyzes the effect of usability and easiness perceived by e-learners on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The usabil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but the easiness doesn't. What is noticeable from the analysis of learning satisfaction in detail is as following; the easiness affects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some fields.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learning contents, learning design, supporting for teaching and managing and supporting learning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usability and easiness. The satisfaction in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managing system is affected by the usability. Third, the learning flow of e-learners has critical influence on their e-learning satisfaction. The more e-learners are immersed in the process of e-learning, the more they get higher satisfaction. To sum up, it is found that the usability that e-learners perceive e-learning contents practically helpful for their tasks or duties affects their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easiness that even the first time e-learning experiencers recognize participating in e-learning is correlated with increasing voluntary learning participation and system satisfaction. e-learning is mainly supported by IT technology. The applications of such new technologies as m-learning and u-learning will be gradually enlarged. Therefore it requires further studies on the usability and easiness perceived by learners who use new technology in learning.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of different age who working in various fields. This future study will cover how effectively build e-learning environment using new technologies.

      • 여자 중·고등학생 메이크업 실태 및 메이크업행동 요인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최승경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외모지상주의가 만연해지고 있는 오늘날 사람들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외모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메이크업을 시작하는 시기 또한 빨라지고 있다. 자신의 외모에 대해 부족한 부분을 메이크업으로 보완해 줌으로써 자기만족과 자신감을 갖게 되어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학습 효율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청소년기의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은 자신감과 삶의 만족도를 높여 주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메이크업은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통해 올바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삶의 만족도와 질을 높여 인생의 행복감을 느끼게 해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여자 중․고등학생들의 메이크업 실태와 메이크업행동 요인을 분석하여 여자 중․고등학생의 메이크업행동 요인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도에 거주하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여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여자 중․고등학생들의 메이크업 실태와 메이크업행동 요인,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와 메이크업 실태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 검증과 빈도 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여자 중․고등학생들의 메이크업행동 요인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여자 중․고등학생들의 메이크업행동 요인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ultiple Regression(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중․고등학생의 메이크업 실태를 분석한 결과 76.6%가 평소에 메이크업을 한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메이크업을 시작한 시기로 ‘14∼15세 사이’가 가장 많았고, 메이크업을 하는 이유는 ‘피부 보호를 위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메이크업에 대한 정보 습득 경로는 ‘인터넷’이 가장 많았다. 또, 실제 메이크업 정도는 ‘기초+BB크림+립제품+아이라인+아이쉐도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중․고등학생의 메이크업 실태 및 메이크업행동 요인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메이크업 실태와 자아존중감은 메이크업을 하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신체적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을 일찍 시작한 학생일수록 신체적 자아존중감, 심리적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자 중․고등학생의 메이크업행동 요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동조성 요인과 유행성 요인, 흥미성 요인, 예의성 요인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고, 여자 중․고등학생은 메이크업행동 요인 중 예의성 요인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여자 중․고등학생의 메이크업행동 요인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여자 중․고등학생의 메이크업 실태 및 메이크업행동 요인과 대인관계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메이크업 실태와 대인관계는 메이크업을 하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만족감과 의사소통,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그리고 대인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을 13세 이전에 시작한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자 중․고등학생의 메이크업행동 요인과 대인관계와의 관계는 동조성 요인과 심미성 요인, 유행성 요인, 흥미성 요인, 예의성 요인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높게 나타났고, 여자 중․고등학생은 메이크업행동 요인 중 유행성 요인과 예의성 요인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여자 중․고등학생의 메이크업행동 요인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다수의 여자 중․고등학생들이 메이크업을 하고 있으며, 메이크업을 할수록, 메이크업을 일찍 시작할수록,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자 중․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메이크업행동 요인을 규명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여자 중․고등학생들의 메이크업행동 요인이 대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메이크업행동이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태란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매개하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실재감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대면 수업 방식을 한 학기 이상 경험한 국내 대학교 2~4학년 재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주요 변수인 교수실재감의 측정도구는 Arbaugh & Hwang(2006), 학습만족도의 측정도구는 주영주 외(2008),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2009), 김은하(2019),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측정도구는 이석재 외(2003)의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신뢰도 분석과 측정 문항의 기술통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수실재감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교수실재감이 높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에 교수실재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명확한 학습목표 전달을 통한 동기부여, 수업 참여 방법 안내,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활동 촉진, 적시의 피드백, 참고 자료 제공, 수업 참여 격려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 계획단계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여 계획을 수립하도록 해야 한다. 실행단계에서는 학습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학습평가 단계에서는 학습 결과를 스스로 평가해보고 성찰하는 과정으로 학습 경험을 토대로 하여 향후 더 나은 학습전략을 스스로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The research questions for verifying this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teaching presence have direct effects on teach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Second, do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98 domestic university students(the 2nd ~ 4th year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non-face-to-face class method for a semester or more. This study modified, complemented, and recomposed the measurement tools for main variables such as Arbaugh & Hwang(2006) for teaching presence, Joo et al.(2008), KERIS(2009), and Kim(2019) for learning satisfaction, and Lee et al.(2003)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e reliability analysis on main variabl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 the items for measurement,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in variables. Using the AMOS 26.0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goodness-of-fit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also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by using the Bootstrapping procedur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teaching presence had direct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Seco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the partial-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eaching presence coul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eaching presence and learners with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uld play positive roles i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such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verified the importance of professors’role for improv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learners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Also, verify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mplies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ing presence, it would be necessary to motivate the learners by delivering the clear goals of learning, guiding how to participate in class, promoting the learning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 providing references and feedbacks in time, and encouraging them to participate in class. Also, for the cultiv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planning stage, the learners should be able to establish the plan by setting up their own learning goals for themselves. In the execution stage, the learners should be able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for learning, and also efficiently use time. In the learning evaluation stage as a process of evaluating and introspecting the results of learning for themselves, they should be able to establish better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continuous in-depth researches on various variables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진서연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와 교육 요구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현재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필요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자기주도학습의 교육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을 위해 강원도 소재 H대학교 재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조 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이석재 외(2003)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대학 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현재 수준과 필요수준을 파악하였으며, t검정과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전체적인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현재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며, 학습과정별로는 대학생들은 학습 계획과 학습 평가 과정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별로는 학습 실행과정 중 학습 실행의 지속능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행동지표별로는 학습 실행 과정의 학습실행지속 요소 중 끈기있게 학습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필요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로 나타났다. 학습과정별로 대학생들은 학습 실행 과정의 능력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별로는 학습 평가 과정의 결과에 대한 노력 귀인능력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 지표별로는 학습 실행 과정의 학습전략선택 요소 중 수업 시간에 적절한 학습 전략을 선택하는 행동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이 자기주도학습능력 개발을 위해 최우선적인 교육을 요구하는 부분은 목표의 내용과 시간 범위를 세우고, 주도적인 계획을 세워 인적, 물적 자원을 이용하는 능력, 학습 자원을 준비, 일정을 관리, 수업 시간에 적절한 학습 전략을 선택, 연속적인 학습을 실행하는 능력, 학습결과를 자신의 노력과 연관시키는 능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현재와 필요 수준의 격차를 분석함으로써 가장 필요한 교육요구를 도출하였으며,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for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following are the study questions. First, what is the PL (Present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L (Requir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what is the educational needs of self-directed learning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validate the study questions, after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s of PL and RL targeting 357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study. First, when it comes to the PL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ll learning plan, learning practice, and learning assessment are at normal level. Second, when it comes to the RL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ll learning plan, learning practice, and learning assessment are at normal level. Third, the educational needs toward the ability of choosing adequate learning strategies in class in learning practice fo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the highest and it was followed by learning material preparation and schedule management. In the learning plan process, the needs toward the ability of using materials, making self-directed plans, and organizing goals and deadlines was the highest. In the learning assessment process, the educational needs toward the ability of connecting learning outcome to own efforts was the highe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provided practical basic data which can enhance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analyzing PL and RL of the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