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 교리교육 현황 및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요구분석

        김미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교육공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to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find out the way to improve Distance Catechesis. The subjects of stud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Subject 1. What is the present status about Catechesis? Subject 2. What is needed to improve Distance Catechesis?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subjects there was a questionnaire survey to instructors (Priests, Nuns, Catechists) and learners (Adult Catechumenate) of Korean Catholic Churches. 417 questionnaires out of 474 were retrieved, which means 88% of questionnaire retrieval rate. Demographical variants were used as data analysis method, and to find out frequency of response at each question frequency analysis was us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sociology of population, using χ2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and posterior comparative analysis for each question. The result after analysis on the difference about the present status of Catechesis through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bout method and term for the current Catechesis Classroom Education was performed for about 6 months for the almost all responses (92.6%). Second, discontent with method and disturbing factor of Catechesis was the regular attendance every week for Catechesis and boredom, and plain education method using simple media and formal content. Needs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Distance Catechesis had the next results. First, Catechesis with Classroom Education and Internet Based Distance Education for its flourish was preferred, and a proper time for Catechesis was one hour (68.9%) and the period was less than for 6 months (45.7%). Second, when Internet Based Distance Education is performed for Catechesis, instructors wanted supports for general structural factors, like human factor, economical and administrative run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data design and development, and learners wanted preliminary education, active relationship and relief from individualized learning. Third, the highest desire for On-going Education through Distance Education was the bible study (30.6%). Fourth, on the request for improvement of Catechesis, instructors had an interest in the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lationship and of better humanity and communication each other, meanwhile, learners wanted substantial education methods with interesting stories and real experience and have a everyday short dogma through e-mail service. Based on the result, new Catechesis methods and program development are needed to be suitable for each Catechesis case in various environments like age, job and location. 본 연구는 교리교육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리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교리교육에 대한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한국 가톨릭 교회의 교수자(신부님, 수녀님, 교리교사)와 학습자(성인 예비신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474부 가운데 417부가 회수되었고, 설문지 회수율은 88%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인구 통계 변수를 처리하고,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의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문항에 따라 χ2(chi-square), t-test, one-way ANOVA, 사후비교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를 통해 교리교육 현황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리교육에 대한 방법과 기간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강의식 교육을 6개월 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2.6%). 둘째, 교리교육 방해 요인과 방법에 대한 불만은 매주 일정한 시간에 참석해야 하는 교리 시간과 재미없는 교리 시간, 간단한 강의 매체 사용, 단순한 교육 방법과 형식적인 내용 등으로 분석되었다. 원격 교리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 첫째, 교리교육 활성화를 위해 강의식 교육과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겸한 교리교육 방법을 선호하고, 적합한 교육 기간과 시간에 대해서는 6개월 동안(45.7%), 1시간 미만(68.9%)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리교육을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을 실시하게 되면, 교수자들은 원격교육에 필요한 구성 요소 전반에 대한 지원, 즉 인적 구성 요소를 비롯해 경제적, 행정적, 운영 방법, 교수 자료 설계 ․ 개발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학습자들은 사전 교육 실시, 활발한 상호작용, 그리고 자율학습에 대한 부담감 감소 등 학습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원격교육을 통해 평생교육을 희망하는 분야는 응답자 모두가 성서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30.6%). 넷째, 교리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요구에서 교수자는 무엇보다도 인간관계 성숙을 위한 인성적인 부분을 보완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인격적인 만남을 통해 진솔하게 통교할 수 있는 인간과 인간과의 만남에 대해 많은 관심을 드러낸 반면, 학습자는 매일 이메일 서비스를 통한 짧은 교리, 재미있는 내용,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령별. 직업별. 지역별 등 다양한 환경 안에 있는 교리교육 대상자들의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교리교육 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교수설계 수행활동 사례 및 실태 연구

        김영신 숙명여자대학교 원격교육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1679

        A new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 called e-Learning is activated thanks to the rapid progres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garding the quality of e-Learning, the role and capability of instructional designers are perceived more importantly. However, in the reality where the aspect of cost efficiency is emphasized, it is hard to find a study focusing on whether performance activity by a professional instructional designer is carried out properly. Therefore,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cases of performance activity and actual conditions of instructional designers who design and develop contents in person in the field of e-Learning development. According to this purpose, it was intended to find types and problems of performance activity through observing cases of performance activity in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A corporation's instructional design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49 regular employees and freelancer instructional designers in order to identify performance activity frequency by duty item and difference in performance frequency between the two groups. In this study, the model to analyze duties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presented by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2004) was set as the standards of performance activit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t-test were implement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from the above study are summed up in accordance with study questions as follows: First, regarding performance activity by instructional designers carried out through case observation, the activity was conducted equally for each item overall in comparison with standard items of performance. Even detailed factors of performance activity were all carried out particularly in establishing teaching-learning strategies, designing prototype, etc. However, analyzing demands was limitedly conducted only by the instructional designer who was in charge of project management. Performance activity was found relatively weaker regarding customer management, consulting and marketing support in the stage of operational management strategy or post management. In addition, problems in instructional design performance activity by instructional designers were found communication, managing the writing of SME(Subject Matter Expert) script, sharing the results of analyzing demands, lack of understanding programing and network-related technologies, dependency on previous outputs, capability of presentation, ability to cope with changed demands, etc. Second,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regular employees and freelancer instructional designers, the item with the highest average performance frequency of the whole instructional designers was designing and producing storyboard based on the prototype, followed by analyzing process characteristics, analyzing and systematizing the whole content, and analyzing learning contents. The result of comparing performance activity between regularly employed instructional designers and freelancer instructional design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 except for the item of designing board. Regularly employed instructional designers presented a higher performance frequency in all items than freelancer instructional designers. In particular, there was the largest difference between regular employees and freelancer instructional designers in the average performance frequency of contents porting and pilot test, establishing project management strategies, managing contents development, etc. Only for designing storyboard, both regular employees and freelancer instructional designers showed almost the same level of performance frequency. This indicated that freelancer instructional designers were intensively input in the stage of making storybo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education staff or experts in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in corporations or educational organizations better understand performance activity by instructional designers. These results also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grams to promote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in the future.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을 통해 e-Learning이라는 새로운 대안적 교육방식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e-Learning의 품질과 관련하여 교수설계자의 역할이나 역량이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비용효과성 측면이 강조되는 현실 속에서 전문적인 교수설계자의 수행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이 맞춰진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개발 현장에서 콘텐츠를 직접 설계하고 개발하는 교수설계자의 수행활동 사례 및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A기업의 교수설계자들을 대상으로 교수설계 수행활동 사례의 관찰을 통해 수행활동의 수준과 문제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49명의 정직원과 프리랜서 교수설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직무 항목별 수행활동 빈도수와 두 집단간의 수행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4)에서 제시한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직무 분석 모형을 수행활동의 기준으로 삼았으며, 설문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과 기술적 통계분석, 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라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진 교수설계자의 수행활동은 기준 수행항목과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전 항목별로 수행활동이 골고루 이루어지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특히 교수ㆍ학습전략하기, 프로토타입 설계하기 등은 세부적인 수행활동 요소까지 모두 수행하는 것이 관찰되었지만, 요구 분석 실시하기는 프로젝트 관리를 담당하는 교수설계자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었고, 운영관리 전략이나 사후관리 영역에서의 고객 관리, 컨설팅, 마케팅 지원과 같은 수행활동은 상대적으로 취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교수설계자의 교수설계 수행활동상에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커뮤니케이션, SME(Subject Matter Expert) 원고집필 관리, 요구분석 결과 공유, 프로그래밍과 네트워크 관련 기술에 대한 이해, 과거 산출물에 대한 독립성, 프리젠테이션 능력, 요구변경에 대한 대처 능력 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직원 및 프리랜서 교수설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교수설계자의 평균 수행 빈도수가 높은 항목은 프로토타입에 근거한 스토리보드 설계 및 제작, 과정의 특성 분석, 전체 내용을 분석하고 조직화하기, 학습 내용의 분석 순으로 나타났다. 정직원 교수설계자와 프리랜서 교수설계자간의 수행활동을 비교한 결과 스토리보드 설계하기 항목을 제외하고는 두 집단간의 수행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항목에 걸쳐 정직원 교수설계자가 프리랜서 교수설계자에 비해 높은 수행 빈도의 결과를 나타냈고, 특히 콘텐츠 포팅 및 파일럿 테스트하기, 프로젝트 관리 전략 수립하기, 콘텐츠 개발 관리하기 등의 평균 수행 빈도가 정직원과 프리랜서 교수설계자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단, 스토리보드 설계에 한해서는 정직원 교수설계자와 프리랜서 교수설계자가 거의 동일한 수준의 수행빈도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는 프리랜서 교수설계자가 스토리보드 작성하기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투입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나 교육기관의 교육담당자 또는 인적자원 개발 전문가에게 교수설계자 수행활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향후 교수설계자 양성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커뮤니티 기반 토론학습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및 블렌디드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오경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교육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learning effects depending o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Community based discussion models were employed in a genuine high school. For this, concrete discussion strategies were planned to be suitable for an online, offline, and blended discussion environment. Also, the learner's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each environment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is study;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scores of learners in each of three subject groups: The online discussion, the offline discussion, and the blended discussion learning strategies.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participation in each of three subject groups: The online discussion, the offline discussion, and the blended discussion learning strategies. 3.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r's satisfaction in each of three subject groups: The online discussion, the offline discussion, and the blended discussion learning strategies.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in a standardized environment.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n ine, offline, blended environment. They were provided with a discussion facilitating strategy suitable for each environment. For the online discussion group verbal feedback and evaluation was provided through the discussion board and online discussion activity progressed as a form of an individual learning. The offline discussion group was provided with a teacher's verbal feedback and face-to-face discussion. The blended discussion group had a preliminary discussion with an offline class and followed by an online discussion through the discussion board. Feedback in both online and offline environment was provided as well. In this discussion achievement process achievement scores and learner's participation were measured and quantified. Learner's satisfaction was also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after the discussion. After the experiment, the above results of the three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scores, learner's participation, learner's satisfaction of learners in each of three subject groups. Specifically, the blended discuss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grade compared to online discussion group. Notably the participation rate of blended discussion group was the highest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offline discussion group was low. The blended discussion learning group showed the highest discussion satisfaction rate in comparison to the other two groups. In view of the achieved results of this research, we come to the conclusions that discussion facilitating strategy in a blended discussion environment in community based discussion learning has a great effect on learning compared to the other two discussion facilitating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off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lication time of blend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roperty and discussion learning environment, the need for study on blended learning method that is applicable to the actual teaching spot in a school. 21세기는 정보화 사회, 지식기반 사회로 새로운 교육모습을 구현하고 혁신을 도모하는 학습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인 커뮤니티 기반 토론학습을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다양한 토론 환경에 따른 학습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 처방적이면서도 구체적인 토론촉진전략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및 블렌디드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안하고 각 환경에서의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를 비교 · 분석하였다. 이에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커뮤니티 기반 토론학습에서 첫째, 학습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의 적용 집단 간에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학습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의 적용 집단 간에는 학습참여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셋째, 학습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의 적용 집단 간에는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실험은 평준화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블렌디드 환경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온라인 토론 집단은 토론 게시판을 통해 교사의 피드백를 제공받고 개별학습의 형태로 온라인 토론 활동이 진행되었다. 오프라인 토론 집단은 교사주도의 토론촉진 전략을 제공하였으며 팀 조직을 통한 면대면 토론이 이루어 졌다. 블렌디드 토론 집단은 오프라인의 팀에서 예비 토론을 하고, 토론 게시판에서 온라인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교사의 피드백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되었다. 이러한 토론의 수행 과정에서 학업성취도와 학습참여도가 측정되어 수량화되었으며, 학습만족도는 토론이 끝난 후 설문조사로 측정되었다. 실험이 끝난 후 환경에 따른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이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 분석하기 위하여 세 집단을 비교하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성취도와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 모두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블렌디드 토론 집단이 다른 두 집단(온라인과 오프라인)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학습참여도, 학습만족도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는 블렌디드 토론 집단이 온라인 토론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습참여도는 블렌디드 토론집단과 온라인 토론 집단이 오프라인 토론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학습만족도 중 수업만족도는 블렌디드 토론집단이 다른 두 집단(온라인과 오프라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블렌디드 토론집단과 온라인 토론집단, 블렌디드 토론집단과 오프라인 토론집단 간에 수업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커뮤니티 기반 토론학습에서는 블렌디드 토론 환경에서의 토론촉진전략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토론촉진전략보다 상대적으로 학습 효과 향상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전략의 적용 시기와 학습 성과와의 관계, 학습자의 특성과 토론학습 환경과의 관계, 학교현장에서의 수업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방법에 대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 e-Learning에서 학습자 관점에서의 교수자 역할 및 수행행동 연구

        신혜정 숙명여자대학교 원격교육공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1679

        e-Learning, emerged afte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provides learner-focused environment which makes the learner participate in study actively. This new environment of education requires new role to the existing instructors, and, accordingly, many kind of research have been made on it. But as previous studies have merely focused on the instructors perspective, the status regarding study on the role and performance behavior required to the instructor, which conducted by the learners perspective, is still unsatisfactory. Hence, in this study I inferred role and performance behavior required to the instructor of e-Learning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Also, I aimed to find out the importance level based on the result. First, I applied Delphi research to infer role and performance behavior which the learner requires to the instructor of e-Learning. The subjects for this Delphi research were set as learners either who have work experience above 2 years in e-Learning business or current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with ICT application. At the same time, they were graduate students at S University who have been studying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more than 3 semesters. Second, to estimate the importance level of role and performance behavior which the learner requires to the instructor of e-Learning, I set the subjects as learners who were studying their degree cours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Throughout this study, I resulted in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re are total 9 roles, such as ‘A guide of learning’, ‘A provider of learning information’, ‘A inductor and maintainer of leaning motive’, ‘A stimulator of interaction’, ‘An assistant of onlinecommunity’ ‘An administrator of learning activity’, ‘an evaluator’, ‘A subject matter expert’, and ‘An advisor of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as well as according 57 performance behaviors required to the instructor of e-Learning by the learner group. Second, the most essential role required to the instructor of e- Learning by the learner group was ranked as A inductor and maintainer of learning motive and ‘A guide of learning’, ‘A stimulator of interaction’, ‘A subject matter expert’ followed, respectively. For performance behavior, Providing a prompt feedback to the learner’s inquiry was ranked at the top and ‘Researching and acquiring education method adapted to the e-Learning environment’, ‘Providing a feedback to submitted tasks results’ followed,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it clarifies the role and performance behavior required to the instructor of e-Learning with the learners perspective not with the instructors. Also, it could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as it suggests what role and behavior of the instructor is concerned by the learner.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등장한 e-Learning은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 하여 학습해 나가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학 습자 중심의 학습환경은 기존의 교수자들에게 새로운 역할을 요구하고 있 으며 그에 따른 교수자 역할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교수자 관점에 초점을 두고 있어 e-Learning의 능동적인 참여 자이자, 실수요자인 학습자 관점에서 요구되는 교수자의 역할과 수행행동 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e-Learning에서 학습자 관점에서의 교수자 역할 및 수행행동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교수자의 역할 및 수행 행동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e-Learning에서 학습자 관점에서의 교수자 역할 및 수행행동을 도출하기위해 델파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연구를 위한 대상 선정 기준은 e-Learning 환경에서 석사학위 과정을 하고 있는 S대 대학원생들 가운데 e-Learning을 3학기 이상 전공한 학습자로, e-Learning 관련 업 체에 종사한 경력이 2년 이상 있거나 ICT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현직 교 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e-Learning에서 학습자 관점에서의 교수자 역할 및 수행행동에 대한 중요도 평가는 e-Learning 환경에서 학위과정을 하고 있는 학습자 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중요도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에서 학습자 관점에서의 교수자 역할로는 학습 안내자, 학습정보 제공자, 학습 동기 유발 및 유지자, 상호작용 촉진자, 온라인 공 동체 조력자, 학습활동 관리자, 평가자, 내용전문가, 기술 및 행정 지원에 대한 자문가등 모두 9가지 역할이 도출되었고 그에 따른 수행행동으로 57 가지가 도출되었다. 둘째, e-Learning에서 학습자 관점에서의 교수자 역할과 수행행동에 관 한 중요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로는 ‘학습 동기 유발 및 유지자’이고 그 다음으로 ‘학습 안내자’, ‘상호작용 촉진자’, ‘내용전문가’순으로 분석되었다. 수행행동은 ‘학습자 질의에 신속하게 피드백을 제공한다’가 가장 중요한 수행행동으로 분석되었고, ‘e-Learning 환경에 맞는 강의 기법을 연구, 습 득한다’, ‘학습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교수자 관점에서 논의된 교수자 역할 및 수행행 동을 실수요자인 학습자 관점에서 정의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향 후 e-Learning을 수행하는 교수자들에게 학습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교 수자의 역할과 수행행동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e-Learning 교수-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매체의 활용에 관한 인식 비교 : 학습자와 교수자를 중심으로

        김태영 숙명여자대학교 원격교육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1679

        인터넷에 기반한 e-learning은 기존 교육환경에 비해 교수-학습 과정에 많은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특히 e-learning은 교수-학습 활동의 상당부분을 컴퓨터와 네트워크로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에 의존하기 때문에 인터넷은 정보전달을 위한 시각적 매체로서의 기능만이 아니라 교수자-학습자간의 대화통로가 되는 상호작용 매체로서의 기능도 매우 강조된다. 본 연구는 e-learning에서 활용되는 상호작용 매체에 초점을 맞추고 실제 사이버대학에서 교수-학습활동에 사용되는 이메일, 게시판, 메신저, 문자메시지 그리고 전화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활용도과 상호작용성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e-learning으로 학사학위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사이버대학교 중 한 대학을 선택하여, 한 학기 이상 교수-학습 경험이 있는 학습자와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먼저 학습자는 게시판과 이메일을 교수-학습 상호작용 활동에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는 교수자에 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상호작용성이 높은 매체는 메신저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자는 교수-학습 활동에 따라 주로 선호하는 상호작용 매체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질의-응답에는 게시판, 온라인 토론에는 게시판과 메신저, 진로상담에는 이메일과 전화, 친밀감 형성에는 이메일과 메신저를 주로 활용했으며 그 외 다른 매체의 활용성은 낮았다. 최종적으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매체활용은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인식에 따라 달라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특정 매체에 대한 선호 경향이 뚜렷한 교수자는 교수-학습 상호작용 활동을 비교적 인위적이고 형식적인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습자는 비교적 자연스런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교수-학습 상호작용을 인식하고 자신의 선호에 맞는 매체를 선택하는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e-learning 교수-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매체활용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각 매체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좀 더 세부적인 매체별 상호작용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 둘째, 복합적으로 매체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점. 셋째, 교수-학습 상호작용에 목적을 둔 통합형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 마지막으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커뮤니케이션 상대방의 상호작용 방식에 대해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E-learning, based on internet, is being accompanied with many changes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compared with traditional education conditions. Especially, since much par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 e-learning count on the interactions mediated by computer and network, internet is more highlighted not just as visual media function for delivering information but as mutual interaction media function being communication pathway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action media in e-learning, intended to research the educator and learner’s practical use extent of e-mail, BBS(bulletin board system), messenger, SMS(short-message service), and telephone for teaching-learning interactions in the cyber university, as well as the gap of understanding those tools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The study was advanced surveying teachers and students of A Cyber University, one of the cyber universities that have bachelor degree programs by e-lear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some interesting data was achieved. Firstly, the students are regarding messenger as the most interactive media although they are mainly using BBS and e-mail for teaching-learning interaction in fact. Secondly, there is a tendency that teachers insist on using specific interaction media for the matched teaching-learning activity, i.e. they mainly use BBS for Q&A, BBS and messenger for online discussion, e-mail and telephone for counseling, and e-mail and messenger for establishing affinity. The extent of using other interaction media except these is very low and the teachers are regarding telephone as the most interactive media.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ome strategies of using interaction media for higher interactivity in e-learning environment can be suggested. Firstly, considering the usability of each medium, more detailed interaction strategy is required. Secondly, it is more efficient to use multiple media. Thirdly, integrated interaction tools should be developed for teaching-learning interactivity. Finally, both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try more to understand each other's interaction activity.

      • E-learning에서 학습동기유발수단이 학습참여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Mobile SMS(Short Message Service)와 E-mail을 중심으로

        정수미 淑明女子大學校 遠隔敎育工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1663

        Promoting motivation for learning in e-Iearning areas enabl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es with a sense of purpose, not to give up their classes, and to take other courses even after they complete their present classes(Keller, 1983). This research on motivation for learning is often conducted when researchers not only analyze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motivation, but also seek the way to motivate the students. These strategies for motivation, however, do work only when students voluntarily take part in the courses. Therefore, the strategies are not efficient enough to enccJurage the off-line students to work on line.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devise a method that can get students to participate in courses by themselves and that can satisfy them with the final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how effective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s when motivating factors, such as mobile SMS and E-mail, are given to students. The subject of study is the students at a credit-bank institute, based on the e-learning. Group A includes 100 students taking an English conversation class and Group B, another 100 students taking a computer graphics. Again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small groups with 50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y were given messages saying words of encouragement and the records of learning process through mobile SMS and E-mails. To find out the results, there were an analysis of the access record of each student and a questionnaire showing the degree of learners' satisfaction. This paper formed a research question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udents I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hen motivation for learning through mobile SMS and E-mails was given to them. In addition, another research question about four items - the activation of bulletin boards, Q&A boards, the rate of learning progress, the number of students who submitted their assignments - was set up. The degree of students I participation came from the record of their access to the web site and that of their satisfaction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 degree of their participation, there was an analysis about the number of hits, the activation of Q&A boards, the rate of learning progress,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submitted their assignments. To check out the degree of learners' satisfaction, there was an analysis about contents, web site operation, the amount of assignments, and the speed of learning. As a result, it proved that mobile SMS had a greater influence On both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than E-mails. In conclusion, as stude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motivation through the two methods, the methods proved to be a effective way to keep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classes regularly, to encourage their learning and communication, and to promote the degree of thei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e-learning에서 학습동기유발은 학습자가 목적의식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하여 중도 탈락없이 학습참여를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후속수강을 할 수 있도록 하는(Keller, 1983) 중요한 요소이다. 학습동기유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동기유발에 미치는 요인분석과 학습공간에서의 동기유발설계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on-line)상에서의 학습동기유발은 학습자들이 학습장에 스스로의 의지로 참여 하였을 때에만 적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이(off-line)상태의 학생을 온라인 학습장으로 유도하여 학습을 수행하게끔 하기엔 역부족이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에서의 동기유발전략 설계시 오프라인 상태의 학습지를 동기화시켜 학습장에 참여시키고 학습의 최종적 결과인 학습참여도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습도익유발수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Mobile SMS(Short Message Service)와 E-mail을 이용한 학습동기유발수단을 제공하였을 경우 학습참여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e-learning기반의 학점은행제 기관 수강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동기유발수단으로 Mobile SMS와 E-mail을 통한 학습현황 및 격려메시지를 제공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학습활동에서 발생되는 로그데이터를 기준으로 학습참여도를 통계처리하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학습만족도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Mobile SMS와 E-mail 매체를 이용하여 학습동기유발수단을 학습자에게 제공하였을 경우, 과제제출인원을 제외한 게시물 조회수, 질문활성화 수준, 학습진도율에서 Mobile SMS가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학습만족도 부분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운영에 대한 만족도, 과제의 분량 및 과제내용에 대한 만족도, 학습진도의 진행속도에 대한 만족도 부분에서 Mobile SMS가 E-mail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Mobile SMS를 사용하였을 경우 학습참여도와 관련하여서는 E-mail보다 게시물 조회수, 질문활성화 수준, 학습진도율 부분에서 학습참여도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학습만족도 부분에서는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 운영에 대한 만족도, 과제의 분량 및 과제내용에 대한 만족도, 학습진도의 진행속도에 대한 만족도 부분에서 Mobile SMS가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