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자조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수경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63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자조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김수경 지도교수 김 윤 태 본 연구는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자조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자조기술은 착탈의 자조기술, 식사자조기술, 용변처리자조기술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는 자조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요소로,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 균형감각, 눈-손 협응 등의 능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심리운동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 균형감각, 눈-손 협응의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 결과가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지체유아의 자조기술 습득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향후 개별적이고 전문적인 발달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되리라 생각한다. ABSTRACT The Effect of psychomotor program on Self-help Skill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Kim Su Gyeo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General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Youn Tae This study makes an inquiry on effect that psychological motor program reaches the self-scorn technological improvement of the development retardation infant. The self-scorn technology was limited to the self-scorn technology of the removable, meal self-scorn technology, and toilet processing self-scorn technology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promote the ability including the hoop meat exercise, beef muscle exercise, balance sense, eye-hand coordination, and etc., this research comprised the psychological motor program with the necessary factor in improving the self-scorn technology. The effect is in the hoop meat sports of the development delay toddler, beef muscle sports, balance sense, and promotion of the eye-hand coordination, it can confirm through the psychological motor program arbitration. It thinks maybe that the positive effect is shown to the self-scorn acquisition of technology of the development retardation infant through the psychological motor program and the research result is utilized for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support which is afterward individual and is special.

      • 한성백제기 흑색마연토기의 재료학적 특성 및 제작기술 연구

        김수경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한성백제기 흑색마연토기는 흑색발색에 광택이 있어 예술적 및 학술적 가치가 크며, 한성백제기의 왕성관련 유적에서 한정적으로 출토되고 있어 희소성까지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또한 정선한 점토질 태토를 사용하였으며 얇은 기벽을 지니고 선각과 문양이 새겨진 우수한 기술력이 적용된 토기이다. 그러나 출토지가 한정되어 있고 수량이 적어 한성백제기 흑색마연토기의 자연과학적 및 고고과학적 연구는 시료에 대한 접근성 부족으로 인하여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성백제기 흑색마연토기의 체계적인 분류를 통해 재료학적 특성을 밝히고 제작기법을 규명하였다. 분석을 위해 풍납동 토성과 석촌동 고분군 및 몽촌토성에서 수습한 흑색마연토기를 대상으로 표면발색과 광택정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Ⅰ그룹은 흑색발색과 광택이 우수하고, Ⅱ그룹은 흑색발색과 광택이 보통이며, Ⅲ그룹은 흑색발색이 불량하고 광택이 없는 시료들이다. 이들의 비교를 통해 한성백제기 흑색마연토기의 태토선택과 정선, 소성온도, 흑색의 발색메커니즘 등 종합적 제작기술을 검토하였다. 흑색의 색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한성백제기 흑색마연토기는 비교적 채도(a*, b*)가 낮아 전반적으로 적황색을 보인다. 명도(L*)는 28.06∼49.00의 범위로 대부분 비슷한 값을 나타내나, 일반적인 토기에 비해 다소 낮았다. 연구대상 토기들의 부피비중 및 흡수율은 매우 다양하며 동일시기의 다른 토기와 유사하다. 전암대자율 분포(0.02∼2.25×10-3 SI unit)도 거의 비슷하나 적색토기 및 고온소성 회색토기에 비하여 낮게 측정되었다.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특징으로 보아, 흑색의 발색층 단면은 토기그룹에 관계없이 얇은 흑색층 토기, 두껍고 불균일한 점이층 토기 및 전면 흑색층 토기로 세분된다. 이 토기들의 기질과 산출상태 및 미세조직에서는 현정질 입자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 은미정질 특징을 보여 태토의 정선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현실험 과정에서 수차례의 정선이 있었음에도 실제 흑색마연토기의 태토가 더욱 높은 정선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아주 높은 수준의 정선을 통해 태토를 구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한 마연정도를 보이며 광택이 높은 토기에서 흑색물질의 표면피복 밀도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두껍고 불균일한 점이층 토기와 전면 흑색층 토기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재현실험 결과, 마연은 토기를 제작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반건조 상태가 마연하기에 가장 적합하며 마연한 토기는 소성 후에 광택도도 높은 값을 보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라만분광 및 자동유기원소 분석 등의 결과를 종합할 때, 흑색마연토기의 흑색물질은 비정질 탄소인 연매로 확인되며, 투과전자현미분석 결과로 볼 때 콜로이드상 입자로 발색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주성분 원소로 CaO 0.33∼1.13(평균 0.74) wt.%, P2O5 0.15∼4.23(평균 1.58) wt.%, LOI 1.3∼8.96(평균 5.99) wt.%의 함량을 보인다. 이는 흑색마연토기의 소성에 따른 연의 침착과정에서 식물재 또는 회분 등이 함께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재현실험 결과, 연의 침착은 소성과정의 냉각단계에서 연료를 충분히 주입하고 승온시간을 포함하여 24시간의 환원환경을 조성하였을 때 탄소의 침투율을 증가함을 보였다. 한편 한성백제기 흑색마연토기에서는 흑색층을 보존하기 위해 표면에 칠한 것으로 판단되는 옻칠의 흔적이 나타나며, 이 옻칠은 단면의 최외각에서 투명한 갈색 또는 흑색으로 10∼250㎛의 층으로 관찰된다. 연구대상 흑색마연토기는 대부분 표면의 박리와 박락이 심하고 쉽게 분리되며 옻이 열에 약한 특징을 고려할 때 칠은 소성 이후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표면에서 얇은 흑색층을 갖는 토기에서는 흑칠이 관찰되며 두껍고 불균일한 토기 또는 전면 흑색층 토기에서는 광택을 유도하기 위해 투명칠과 흑칠을 적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얇은 흑색층 토기 중에는 흑색층과 소지층 사이에 옻이 스며들어 칠의 흔적이 남아있기도 하다. 칠에 의한 광택도는 마연으로 표현할 수 없는 고광택(5.3 GU)을 띠며, 특히 석촌동 고분군 출토 토기에서 월등히 높은 광택을 보이는 것은 칠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태토의 광물조성 및 미세조직적 특징으로 보아, 흑색마연토기의 소성온도는 대부분 750∼850℃의 저온소성 토기이다. 일부 몽촌토성 및 석촌동 고분군 회색토기는 900℃ 이상의 고온소성 토기도 함께 확인되며 백제시대에 이미 고화도 소성기술을 보유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이 흑색마연토기는 특별히 저온으로 소성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고온으로 소성한 토기에서는 흑색의 침투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며 조직이 치밀해지면 탄소의 침투율도 떨어지고 탄소의 흑연화가 진행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성백제기 흑색마연토기는 유적지 및 형태적 분류와 관계없이 주성분, 미량 및 희토류 원소의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유사한 것으로 보아 생성과정이 거의 동일한 태토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태토의 정선과 마연과정, 침연 및 소성과정, 제작 후 옻을 칠하는 제작공정에서 다소의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연구대상 흑색마연토기는 석촌동 Ⅲ그룹 토기의 흑색발색이 다른 그룹에 비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택도는 풍납동 토성의 Ⅰ그룹과 Ⅱ그룹 및 석촌동 고분군의 Ⅰ그룹 토기에서 높았으며, 표면의 칠이 크게 기여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그룹과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의 흑색층이 관찰되며 전반적으로 태토의 정선도는 흑색마연토기가 현저하게 높으며, 특히 석촌동 Ⅰ그룹 토기의 정선정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흑색마연토기의 대부분은 750∼850℃의 소성온도를 보이나, 석촌동 Ⅲ그룹과 몽촌토성 Ⅱ그룹 토기에서는 부분적으로 900∼950℃의 비교적 고온의 소성온도를 경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종합할 때, 한성백제기 흑색마연토기는 반복적 정선과정을 거친 점토질 태토를 사용하여 기물을 제작하고 반건조 상태에서 마연을 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흑색층은 비정질 탄소의 콜로이드상으로 발색하며 소성과정에서 침연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 토기의 소성온도는 750∼850℃로 판단되며 최고온도에서 냉각하는 동안 연료량을 충분히 주입하고 24시간 이상의 침연환경을 유지하여 흑색발색을 유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침연소성 이후에 표면의 흑색층을 보존하기 위해 옻을 칠하여 광택도를 높이고 예술성을 극대화한 토기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black-burnished pottery from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BC 18 to AD 475) in ancient Korea has great artistic and academic values due to its black coloration and lusters, and has been excavated from king's palace-related archaeological sites on a limited basis, adding to its scarcity value. It also uses well elutriation of mud clay for raw materials, which is applied with excellent technical skill to form a thin wall and incised line patterns. The scientific research on this pottery in Hanseong Period of Baekje’s is not actively undertaken due to a lack of access to samples. This study sought to highlight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 the making techniques of the black-burnished pottery in Hanseong Period Baekje through systematic classification. For analysis, a total of 27 specimens of the pottery, recovered from the sites of Pungnap-dong Fortress, Seokchon-dong Tombs and Mongchon Fortres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urface color, luster and occurrences. Group I is those with excellent black saturation and luster, Group II is those with moderate black saturation and luster, and Group III is those with poor black saturation and no luster. Through a cross-group comparative study, the Hanseong Baekje black-burnished pottery was organized by careful selection for body clay, comprehension of making techniques, firing condition and black color mechanism. As a result of associating the black saturation level with quantitative values, Hansung Baekje black-burnished pottery is found to have many samples with low chroma (a*, b*) saturation. The brightness (L*) is of a similar value between groups, and represents a rather low value of 28.06 to 49.00 compared to ordinary pottery. The saturation is generally illustrated in groups with a low reddish-yellow color. Black-burnished pottery’s apparent density and absorption rates vary widely and show a similar range compared to ordinary pottery. The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 (0.02 to 2.25×10-3 SI unit) of the Hanseong Baekje black-burnished pottery is similar among groups and has a lower value compared to red or high temperature fired gray pottery. The pottery’s black coloration is divided by various microscopic observation into those with thin black layers, thick uneven black layers, and all-black surface layers, regardless of group. Observing the temperate and micro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hin section of black-burnished pottery, It shows that the basal particles are rarely observed and show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rypto crystalline, so it was clear that the clay was well elutriation. Although there were several clay purification processes in the reproduction experiment, the actual black-burnished pottery was observed to be of higher quality, as it was found to have undergone a higher level of refining than the reproduced pottery. In the optical and electron microscopy, strongly burnished pottery is observed as having a dense volume of black matter on the surface. High density pottery under a microscope is observed to have thick, uneven layers and all-black surface layers. As a result of the pottery remaking experiment, the semi-dry condition of the pottery after its creation was suitable for abrasion and the burnished pottery was highly polished after burn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electron microscopy, the Raman spectroscopy analysis and organic element analysis, the black substance on the black-burnished pottery can be identified as non-crystalline atypical combustion carbon, and the results of the permeable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show that it is colloidal particles. In addition, the main compositions of CaO 0.33 to 1.13 (mean 0.74) wt.%, P2O5 0.15 to 4.23 (mena 1.58) wt.% and LOI 1.3 to 8.96 (mean 5.99) wt.% are high in frequency,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increase in plant material and ash in the deposition process during the formation of black-burnished pottery. As a result of the remaking experiment, the adhesion process was able to increase the penetration rate of carbon by injecting fuel during the cooling stage of the firing process by forming a 24-hour reduction environment, including the heating time. As a result of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black-burnished pottery, the outermost surface is observed to be coated with transparent brown or black lacquer, with layers of 10 to 250μm. The black-burnished pottery is considered to have been painted after burnishing because it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of severe peeling, exfoliation and is vulnerable to heat. Microscopic observations show thin black layers of paint on the pottery. In thick and uneven pottery, or pottery with all-black surface layers, it is found that clear and black paint was used to induce luster. The luster of the paint is interpreted as an effect of surface coating from the Seokchon-dong Tombs, which has a higher luster value of 5.3 GU,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pottery. In some black-burnished pottery, it is found that a lime layer was formed to improve saturation of the black layer and the surface layer, and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two layers. The firing temperature of the black-burnished pottery is largely low temperature at 750 to 850℃, given the absence of kaolinite and mica detection. Some portions of Mongchon Fortress pottery and gray pottery from Seokchon-dong Tombs are also found to have been fired at a high temperature of 900℃ or higher. Considering that the Baekje Kingdom already had high temperature firing technology, it is believed that the black-burnished pottery was specifically created at lower temperatures. Permeability was observed in high-temperature black-burnished pottery,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decrease in carbon permeability and the graphitization of carbon as the surface becomes dense. Regardless of the site found and group classification, the Hanseong Baekje black-burnished pottery i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using mature homogeneous soil due to its similar behavior in the analysis of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some differences in composition may occur during the clay firing conditions and the process of painting lacquer afterward. When synthesized with the making techniques of black-burnished pottery, the black color of Seokchon-dong’s Group Ⅲ is not outstanding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luster is high in Pungnap-dong Fortress Groups I and II, and Seokchon-dong Tombs Group I, where paint has been identified on the surface and judged to have been high-luster. In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micro textures, various types of black layers are observed regardless of group. Overall, black-burnished pottery is well selected, but in microscopic observation, well elutriation of pottery is predominant in Group I of Seokchon-dong. It is believed that most of the other groups of black-burnished pottery had burning points of 750 to 850℃, while those in Group III of Seokchon-dong and Group II of Mongchon Fortress experienced high burning points of 900 to 950℃. Combining the typical making techniques shown in Group I and Group II of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it is interpretation to be the most effective when using coarse mud clay that has undergone a repetitive elutriation process, and when produced and burnished in semi-dry conditions. It is created by means of cross-sectional adhesion and forms an interface of all-black surface layers in the thin section. The temperature is estimated to be 750 to 850℃ at the time of burnishing. Fuel is sufficiently injected while cooling at its highest temperature, and the pottery is considered to induce its black color by maintaining a smoky environment of more than 24 hours. Its surface is thought to have been painted after burnishing to enhance its luster and maximize its artistic value.

      • 「お詫び文」における「敬語表現」に関する一考察

        김수경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고는 사과문을 대우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사과문에 있어서의 경어의 사용양상을 그 경어적 성질에 따라 분석・고찰했다. 또한 그것을 작문교육에 활용할 방법에 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사과문은 격식을 차린 장면에서의 이해요청문이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레벨이 높은 경어를 사용하고 있다. 어느 정도 정해진 구성을 취하고 있고, 각 장면에 있어서 정형적인 표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과문을 『경어의 지침』의 5분류에 따라 사용양상을 분석한 결과, 정중함의 레벨이 높은 존경어와 겸양어Ⅰ이 가장 많았고、그 다음으로 겸양어Ⅱ, 정녕어, 미화어 순으로 경어의 표현형식을 볼 수 있었다. 존경어와 겸양어Ⅰ이 가장 많이 사용된 이유는, 상대나 상대에 관계하는 사물과 사항에 대해 높임과 은혜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 5분류에 의한 경어의 표현형식 중 경어접두어 「お・ご」를 사용한 것들을 그 성질에 따라 직접존중어와 간접존중어로 나누어 분석・고찰했다. 그 결과 직접존중어가 정중함의 레벨이 높은 표현형식을 사용해, 상대나 상대에 관계하는 사물과 사항에 대해 직접적인 존중의 의식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간접존중어도 정중함의 레벨이 높은 표현형식을 사용해, 상대나 상대에 관계하는 사물과 사항에 대해 간접적인 존중의 의식을 표현하고 있음 또한 알게 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과문의 정형적인 표현을 작문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방법 또한 연구했다. 향후 그것이 실제의 작문교육에 있어서 성립할지에 관한 연구도 거듭해 나가고자 한다.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김수경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라남도 M시에 소재하고 있는 M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에서 사회성이 부족하고 대인관계상 부적응하는 아동을 지역아동센터장이 미술치료를 의뢰한 초등학교 3∼4학년인 7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활동을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매주 1회 혹은 2회, 회기 당 90분씩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23회기를 실시하였고 장소는 지역아동센터 내 교육실에서 실시하였으며 센터 내에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 1인이 보조자로 참석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들의 사회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검사도구로 김소영(2009)이 개발한 KSD 측정영역과 채점기준을 사용하여 측정한 사전점수와 사후점수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양적으로 분석하였고 KSD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구성원 간 사회성에대한 정서적, 심리적변화과정과 세부적인 행동변화를 알기위해 회기별 관찰기록과 녹취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례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첫째, 김소영(2009)이 개발한 학교생활화 측정영역과 채점기준을 사용하여 측정한 사전·사후점수에 대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협력수준의 자기상과 친구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대상아동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전·사후에 걸쳐 실시한 KSD검사 결과를 보면 사전검사에서는 전체적으로 긴장과 불안으로 소극적이고 위축되며 부정적 자아상과 고립감을 표현하며 낮은 자존감을 보이고 또래와 교사와의 관계에서 폐쇄적, 거부적인 모습과 상호작용과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보이면서 낮은 사회성을 보였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긴장과 불안이 감소되며 이완된 모습으로 안정을 찾았고 자신을 크게 중앙에 그리고 친구의 수가 많아지며 활동적이고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자신감과 자존감이 향상되고 대인관계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며 사회성이 향상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아동의 세부적인 행동변화는 초기단계에는 아동들이 활동에 집중하지 못하고 소극적이며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행동하고 고립되고 배타적인 태도와 자기에게만 관심을 원하는 퇴행적이고 의존적이며 모방적인 모습을 보였고 공공물을 마음대로 사용하며 규칙을 지키지 않고 정리하지 않으며 마무리를 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중기와 후기로 갈수록 자기감정을 인식하고 조절하면서 갈등해결방법을 찾게 되어 현저하게 다툼이 줄었고 활동에 집중하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끝맺음까지 최선을 다하며 자발적으로 활동방법을 제시하고 자기감정과 생각을 발표하면서 자주성이 향상되었고 타인 이해를 통한 상대에 대한 관심과 배려로 서로 돕고 의논하며 협력적이고 존중하는 모습을 보이며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사교성과 협동성이 향상되고 규칙을 지키며 공공물을 아껴 사용하며 허락을 구하는 준법성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활동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다른 집단원의 생각이나 활동과정을 보면서 자기를 이해하고 타인이해와 공감을 하게 되어 적절한 상호작용과 자기조절을 하면서 대인관계 기술을 향상시켜 사회관계의 유지와 적응에 필요한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nhancing children's sociability. The hypothese of this study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do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ociability? In order to observe above hypothese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ducted for 7 children who are in grade 3 and 4 from M community child center, M city. Those children, who showed maladjustment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ciability, was consulted by the director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twenty-three sessions for one or two per week, and each session was 90 minute long. The program practised in a classroom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with a social worker who took place the role of the helpe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KSD that Kim(2009) developed to analyse changes of children's sociability was performed and paired t-test conducted for pre- and post- test comparison. All the reports and tape recordings of the whole sessions were analysed and summarized to observe children's detailed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The principal finding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to improve children's sociability. The results of the KSD analysis and paired t-test showed meaningful changes on a level of cooperation of the children. From the pre-test of KSD, children showed passive and daunted attitude with negative self-image and sense of isolation. They also felt difficulties to form active relation with peers and teachers. From the post-test of KSD, I could observe children's positive change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ciability. They became make friends actively and communicate with them. The tension and anxiety of the children also reduced. In the early stage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children felt difficulties to keep their concentration and cooperation. They violated the group rules easily and made mass in the class. In the middle and late stage of the program, children became recognize their own emotion and could control it. The frequence of the conflict with other children reduced and they tried to manage the trouble with positive communication. The children also tried to keep the group rules and to be considerate of other's feeling. As a result of these finding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effect to improve children's sociability through enhancing self-awareness and sympathy. These effects may lead children to the hope that they can mak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other peers and teachers and manage social adjustment as well.

      • 중산층 맞벌이 가족의 주거요구

        김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맞벌이 가족의 주거요구를 분석하여 맞벌이 가족의 생활을 지원해줄 수 있는 주거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산층 맞벌이 가족의 생활을 파악하고 둘째, 맞벌이 가족의 주거요구를 분석하며 셋째, 맞벌이 가족의 가족특성에 따른 주거요구의 차이를 분석하여 넷째, 맞벌이 가족의 주거대안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중산층 맞벌이 가족의 전일근무 직업을 가진 주부로서, 막내자녀의 연령이 초등학생 시기 이하인 경우로 제한하였다. 설문조사는 1999년 6월 15일에서 7월 3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43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내용은 맞벌이 가족의 특성과 생활, 주거지 환경과 단위주거, 실내설비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χ^(2)-test, ANOVA,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조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맞벌이 가족은 부부+자녀의 핵가족형이 대표적이지만 남편 외벌이 가족에 비해 3세대형 가족구성이 많으며, 부모세대에 자녀를 맡기고 따로 거주하고 있는 부부가구, 비혈연자 동거가구 등 다양한 가구구성을 보인다. 또한 맞벌이 가족의 가사일은 주로 주부가 담당하며, 시부모와 친정부모, 남편의 도움을 받고 있다. 주부의 근무시간 중 자녀 양육 및 교육은 시부모와 친정부모, 탁아시설, 방과후교실, 학원 등이 담당하며, 특히 취학전 자녀의 경우는 시부모와 친정부모가 돌보고 있으며 앞으로도 혈연자에게 맡기기를 희망하였다. 2) 맞벌이 가족의 주거요구는 주거지 위치, 단위주거, 실내설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맞벌이 가족의 주거지를 결정하는 조건이 되는 것은 교육적 환경조건, 통근거리 및 통근수단, 편리한 생활시설, 쾌적한 자연환경이며, 주거지로서 도시내의 주택단지를 가장 원하였다. 주거환경요소에 대해서는 안전성과 자녀놀이 및 교육시설, 그리고 깨끗한 환경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자녀를 위한 놀이및 교육시설 측면에서는 유치원, 학교 등 교육시설, 어린이 놀이방, 놀이터, 공원, 스포츠 문화시설, 학원 등 자녀의 보육과 교육, 스포츠활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주거에 대해서 맞벌이 가족은 3세대형 주거와 가사일 지원을 위해 실비로 청소나 세탁 취사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가사지원형 주거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거실은 가족이 상호작용하는 가족중심의 공간으로 실내공간 중 가장 크기를 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사공간은 가전제품의 설비된 가족이 참여하는 개방된 부엌을 원하며 식당과 연결된 형태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탁행위와 관련하여 다용도실에 세탁기를 두어 가사일 영역을 형성하는 주공간 요구가 파악되었다. 수납은 각 공간마다 효율적으로 많은 양의 수납이 가능한 붙박이 수납장을 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3) 가구구성과 막내자녀 연령의 가족특성변인에 따라 주거요구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가족의 경우 따로 거주하는 부부가구에 비해 교육시설과 옥외 어린이 공간에 대한 요구가 더 높았고, 3세대형 가족은 2세대 가족에 비해 자녀를 돌봐줄 친척과의 거리를 중요시하였으며, 3세대형 주거를 더 원하였고 실내공간의 개방성요구가 적었다. 막내자녀 연령이 3세 이상인 경우 교육시설에 대한 요구가 더 높으며, 막내자녀 연령이 6세 이하인 경우 자녀를 돌봐줄 친척과의 거리를 중요시하였고 놀이방과 같이 자녀를 맡기는 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또 막내자녀 연령이 높을수록 도보권내에 스포츠 문화시설을 원하였다. 4) 가족특성에 따른 주거요구의 공분산분석 결과 가구구성과 막내자녀 연령의 두가지변인으로 설명이 가능한 종속변인은 자녀를 돌봐 줄 친척과의 거리 및 자녀 옥외 놀이공간에 대한 중요도, 주택규모와 방의 수에 대한 요구로 나타났다. 자녀를 돌봐 줄 친척과의 거리에 대한 중요도는 부부가구와 3세대 가구구성인 경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성향을 보였으며 막내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중요도는 감소하는 성향을 보였다. 자녀 옥외놀이 공간에 대한 중요도는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가족의 경우, 그리고 자녀연령이 어릴수록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주택규모에 대한 요구는 3세대 가구구성과 비혈연자 동거 가구에서, 자녀연령이 높을수록 주택규모의 요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방의 수에 대한 요구는 3세대 가구구성에서, 그리고 막내자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방의 수 요구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조사분석 결과 맞벌이 가족을 위한 단지계획, 단위주거계획, 그리고 정책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맞벌이 가족의 가사일과 자녀양육을 지원해주기 위한 단지계획이 필요하다. 자녀연령단계의 요구에 맞는 환경조건이 제공되어야 한다. 학령 전 자녀를 둔 가족을 위해서는 단지 내 탁아시설과 탁아 프로그램의 다양화, 인적자원의 확보, 24시간 운영 등 다각적인 측면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 학령기 자녀를 위해서는 자녀가 스스로 시간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학원, 스포츠 문화시설,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 등 다양한 단지시설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맞벌이 가족이 활용할 수 있는 가사서비스 지원방법에 대한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단위주거 계획에 있어서는 가사일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설비화된 가사공간이 계획되어야하며 맞벌이 가족의 다양한 가족구조와 자녀연령층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평면의 변화가 가능한 공간가변형 구조의 개발과 적용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맞벌이 가족의 가사일과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직장 탁아시설 이외에도 거주지역 중심의 다양한 형태의 탁아시설 보급과 인적자원 확보,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사회적 해결이 미흡한 부분인 맞벌이 가족의 가사일 지원에도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ousing needs of middle class dual-earner families and to suggest design guidelines for dual-earner families. A total of 436 questionnaires was surveyed for analyzing the housing needs of middle class dual-earner families. Subjects consisted of wives with full-time jobs with 0-12year old children.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X^(2)-test, ANOVA, and ANOCOVA using the SPSS packag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dual-earner families, there was a higher rate of living with grandparents who helped with child-care and housework. Housework was done by mainly wives, and when the children are 0-5 years old, relatives were in charge of child-care when the wives were out. The survey shows that if the youngest child is older than 5 years old, about half of them were under the care of relatives while the rest spent their time without a nurse. 2) Housing needs of dual-earner families can b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condition of housing environment, housing unit, and interior appliances. They considered educational circumstances, distance and transportation to office, convenience, and amenity. Their needs were 3-generations housing and economical community service housing. In the housing plan the living room, as a sharing space, was expected to be the largest space in a house. As working space, they wanted dining kitchen filled with many kinds of electric appliances and space where all family members could help. 3) The housing nee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family members and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Households consisting of parents and children needed more educational facilities and space for playing with children than households with only a husband and wife. Three-generation families wanted 3-generation housing and chose less-opened interior spaces in their house than nuclear families.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was an important factor: the families with youngest child older than 3 years needed more education facilities and less than 6 years old considered the distance to relatives or child-care facilities importantly. The older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the greater the need to have sports centers nearby. In this study, the housing need was mainly related to the care and education of children, and diminishing of amount of house works. With a community plan, education institute and child caring system adjusted to the age of children and the utility used by dual-earner families must be considered. In an individual house, various kinds of equipment to assist with houseworks, and changable wall structure to fit the needs of family members and the aging of children were needed.

      • Alberto Ginastera의 Piano Sonata에 관한 연구

        김수경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 아르헨티나 작곡가인 알베르토 히나스테라(Alberto Ginastera 1916-1983)는 남미의 대표적인 작곡가로서 민족주의적 성향이 그의 작품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의 작품은 시기별로 세가지 음악 성향, 즉 객관적 민족주의, 주관적 민족주의, 신표현주의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세개의 피아노 소나타는 1947년 이후에 쓰여진 것들로 객관적 민족주의와 신표현주의 성향이 두드러진다. 그의 작품에는 잉카 음악, 스페인 음악, 아프리카 음악의 세 가지 민속적인 요소들이 사용되었고 그 안에서 현대적인 요소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후기로 갈수록 현대적인 기법들이 더욱더 많이 사용되었고, 민속적인 요소들로 그 자체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현대적인 기법과 조화를 이루어 사용되었다. 소나타 3곡에 사용한 민속적 요소와 현대적 기법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소나타 1번』은 비교적 전통적 형식을 취하였으며 현대적 기법(12음렬, 복화음 등)들보다 민속적 요소(크레욜 민요, 말람보 리듬, 오스티나토 등)의 사용이 훨씬 더 두드러졌다. 『소나타 2번』은 3악장 형식의 소나타로 전통적인 기법을 탈피했다. 세 부분 형식의 1악장과 마디의 구분이 없는 2악장, 피아노의 타악기적 요소를 부각시킨 3악장은 민속적 요소(크레욜 민요, 3도 병진행, 카르나발리토 리듬 등)를 바탕으로 현대적인 기법들(복조, 온음관계 클러스터 코드, 변박자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소나타 3번』은 단악장 형식으로 전통적인 소나타의 의미가 아닌 소나타의 원래 뜻-'기악곡'의 의미로 '노래하다'인 '칸타타(cantata)'에 반대되는 말-의 의미로 쓰였다고 볼 수 있다. 코다를 지닌 2부분 형식으로 두 개의 모티브를 곡 전체에 사용하였고 선율적 요소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최대의 음향을 사용하였으며 5음 음계를 클러스터 코드로 사용하는 등 민속적 요소들을 현대적인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3개의 소나타에는 오스티나토, 동음연타, 크레욜 민요, 헤미올라 리듬을 가지고 있는 말람보 리듬 등의 민속적인 요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현대적 기법과 균형있게 결합되어 독특한 국민주의적 음악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Alberto Ginastera (1916-1983)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rgentine composer of the twentieth century, who has explicitly revealed nationalistic tendency in his realm of composition. He devoted himself to the musical works following in three distinctive periodical phases ; (1) objective nationalism, (2) subjective nationalism, and (3) neo-expressionism. Ginastera's three piano sonatas were composed after 1947, which had strong inclination of objective nationalism and neo-expressionism. His works were comprised of Incan, Spanish, and African musical folk traditions, coordinated with contemporary methods. In fact, the number of incidence importing modern techniques gradually increased in his later works. Meanwhile, folk resources well-harmonized with other contemporary elements, since they were rarely applied to his piece without necessary transformation. In Ginastera's three sonatas, his musical grammar - derived from both folk and modern source,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1. Sonata No. 1 is constructed with traditional structure, more inclined to folk elements by using Creole folk song, Malambo rhythm, and ostinato, rather than contemporary methods such as twelve-tone row or compound harmony. 2. Sonata No. 2 is a three-movement-sonata, which evaded from the traditional methods. First movement is in a tertiary form; second movement has no measure divisions; and third movement has featured piano's percussional trait. Each movement relies upon modern methods(using compound tonality, cluster chords in the whole-tone relation, and irregular time) in the basis of folk elements like Creole folk song, third-degree parallel progression, Carnavalito, and folk rhythm. 3. Sonata No. 3 is composed of single movement, not in the sense of sonata's conventional meaning. Instead, it represents its original meaning of instrumental work, contrary to the word 'cantata' which means singing. This piece, binary form with coda, uses two motives throughout the work, and any melodic factor can hardly be detected. Maximum acoustical effect has been performed from the beginning till the end. Also, it implies modern usage of folk elements, such as pentatonic scale being applied to cluster chords. Traditional folk characteristics commonly appear in all of three sonatas, continuously repeating the same note, and containing ostinato, Creole folk song, and Malambo rhythm which involves hemiola. These ethnic folk resources are harmonized with contemporary methods, engendering a unique nationalistic music style.

      • 발효 마유의 효능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탄력 및 수분 개선 연구

        김수경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부질환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피부 질환에 대한 염려 및 친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로 피부에 무해한 자연 성분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과도한 마케팅 등으로 인한 소비자의 불신이 증가하면서 기술적 특성에 대한 명확한 근거 제시를 기대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 소재 중 하나인 발효마유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의 전피 탄력, 수분 함량, 피부 치밀도의 개선 효과를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천연소재인 마유는 한국, 몽골, 중국, 일본 등에서 민간요법으로 오랫동안 이용되어 오던 소재로 뛰어난 피부 침투력과 보습작용, 건강한 피부 유지, 자극으로부터 피부 보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아시아권에서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특유의 취와 사용감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높은 상황이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발효기법을 적용한 발효마유를 선정하였으며, 컨셉 소재가 아닌 객관적인 효능을 입증하고 이를 화장품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일대사산물을 이용해 발효가 가능한 Candida Bombicola로 발효한 마유는 in-vitro 실험을 통해 항산화, 항주름,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였다.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여 5.0%의 농도에서 56.99%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발효마유는 항산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Elast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IC50값이 0.006%로 발효마유는 0.1% 이하의 농도에서도 우수한 Elastase 저해 활성을 가져 우수한 항주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LPS로 자극을 유도한 RAW264.7 세포의 Nitric Oxide 생성을 저해하여 항염증 소재로의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둘째, 발효마유를 3% 함유하는 O/W 크림은 물리적인 안정성과 미생물 안정성과 피부 안전성을 확보하였으며,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4주 동안 사용 시 탄력, 보습, 진피치밀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3.06%의 전피 탄력 개선, 30.85%의 수분 함량 개선, 30.3%의 피부 치밀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Candida Bobicola로 발효한 마유는 항산화, 항주름, 항염증 효능이 있으며, 이를 함유하는 안정성과 안전성이 확보된 화장품은 전피탄력, 수분함량, 진피치밀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효마유의 객관적인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컨셉이 아닌 실질적 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임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화장품의 유효성을 확보하여 신뢰성을 높인데 의미가 있다. In modern society, skin diseases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are rapidly increasing, and concerns about skin diseases and growing interest in eco-friendly products are increasing the demand for natural cosmetics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s that are not harmful to the skin. However, consumers are increasingly requiring clear evidence of technical features due to the growing distrust of consumers with excessive marketing. In this study, I objectively demonstrated the efficacy of fermented horse oil which is one of the natural ingredients, and then cream containing it has proved to improve the skin elasticity, moisturizing effect, skin density through clinical evaluation. Horse oil, one of the natural ingredient, has been used as a folk remedy in Korea, Mongolia, China and Japan for a long time, and is known for its excellent skin penetration and moisturization, healthy skin maintenance, and skin protection from irritation. Recently, it has been widely used in cosmetics in Asia, but there are high demands for improvement in the unique odor and texture. In response, fermented horse oil applied with fermentation techniques was selected, and proved objective effects rather than concept materials, and then made cosmetic contained i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acy of fermented horse oil by using Candida Bombicola which can be fermented using oil metabolite was proved effect of antioxidant and anti-wrinkle and anti-inflammatory through in-vitro experiment. As a result, DPPH radical scavenging is increased the concentration dependent, it has measured DPPH radical scavenging of 56.99% at a concentration of 5%. Therefore, It proved that fermented horse oil has antioxidant effect. In the Elastase inhibition active experiment, the IC50 value was 0.006% and fermented horse oil had excellent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at concentrations below 0.1%. Therefore, It proved that fermented horse oil has excellent anti-wrinkle effect. It also proved the potential as an anti-inflammatory material by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RAW264.7 cells induced irritation by the LPS. Second, O/W Cream containing fermented horse oil of 3% has verified physical stability and microbial stability and skin safety, and it proved to improve the skin elasticity, moisturization, skin density through clinical evaluation. As a result, it has proved to improve the skin elasticity of 33.06% and moisturization of 30.85% and skin density of 30.3% Consequently, fermented horse oil by using Candida Bombicola has effect of antioxidant and anti-wrinkle and anti-inflammatory, and cosmetics contained it that has physical stability and microbial stability proved to improve the skin elasticity and moisturization and skin density. In this study, fermented horse oil was proved not as a concept material but as an objectively effective cosmetics material, and meaningful to increase reliability by proved validity of cosmetics contained fermented horse oil.

      • 유클리드 기하학과 고등학교 기하영역의 비교분석 연구

        김수경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geometric education puts special stress on deductive and formative evidence to deliver its knowledge. However, to improve these problems, we have to focus on the activities which can facilitate learners’ interests and find out general rules through observations and explorations. In this pap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s of the Euclidean geometry and of the high school subjects <Mathematics>and <Geometric and Vector>, which are based on the 7th Revised Curriculum, are discussed. If we apply these results, we can introduce more interesting and easier geometry to students. 오늘날의 기하교육은 지식을 전달하기 위한 연역적이고 형식적인 증명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러나 점차 이와 같은 기하교육을 개선하기 위하여 관찰과 탐구로 일반적인 규칙을 찾고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키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클리드의 <기하학원론>의 기하내용과 제7차 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고등학교의 교과서 <수학>과 <기하와 벡터>의 기하내용을 비교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이와 같은 결과를 수업에 활용하면 학생들에게 좀 더 쉽고 흥미로운 기하를 소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