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포 배양시스템에서 녹차 카테킨의 화학적 행태에 따른 생리활성 변화 및 항산화제와 일반의약품과의 상호작용

        김미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Various physiological effects of tea catechins,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clud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Many of these activities and related mechanisms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a cell culture system. Tea catechins are, however, unstable in cell culture conditions and are rapidly converted to oxidative products through the autoxidation process. In the present study, changes in bioactivities of a major tea catechin,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by chemical behaviors under cell culture systems and its interaction with different antioxidants or over-the-counter (OTC) drugs were explored. First, fluorescent properties of EGCG during its autooxid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EGCG was significantly enhanced after 4 h-incubation in phosphate-buffered saline or culture media showing a peak emission at 470 nm with an excitation at 380 nm. Enhancement of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proportional to formation of EGCG oxidative products and was not observed in the presence of EGCG stabilizing agents including ascorbic acid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The fluorescence signal from EGCG oxidative products can be a convenient marker for expecting EGCG stability and its oxidation process. Uptake, efflux as well as cytotoxic properties of EGCG and its oxidative 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HepG2 cells. Cytotoxic effect of EGCG was mainly due t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from EGCG in media; intracellular ROS level decreased by EGCG. EGCG oxidative products rather stimulated cell proliferation slightly. Uptake form into cells was mainly free EGCG; its oxidation products was not detected in cells. Efflux transporter modulators including Ko143 and indomethacin increased the cellular levels of EGCG and (-)-epicatechin gallate (ECG) in HepG2 cells, suggesting that EGCG and ECG are substrates for MRP and/or BCRP. EGCG also increased the BCRP protein level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 without affecting its mRNA level. MRP-1 mRNA level decreased in cells treated with EGCG; EGCG, however, increased MRP-2 mRNA level. The effect of EGCG on mRNA level of MRP-2 was significantly less pronounced in the presence of SOD. The results suggest that EGCG could modulate activities and levels of these transporters and affect efflux of certain drugs that interact with these proteins. Among CYPs including 1A2, 3A4, and 2E1, levels of mRNA of CYP2E1 and CYP1A2 was decreased in HT-29 cells by EGCG; EGCG did not affect protein level of CYP2E1. Changes of chemical stability and cytotoxic properties of EGCG in the presence of various antioxidants wer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s used in the present study modulated chemical stability of EGCG. SOD, ascorbic acid, N-acetylcysteine (NAC), and glutathione (GSH) significantly increased EGCG stability. The H2O2 level generated from EGCG was decreased by NAC but not by GSH. The cytotoxic effects of EGCG also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NAC, catalase, and SOD. GSH, however, showed a complicated modulatory pattern according to EGCG and GSH concentrations; ascorbic acid rather enhanced EGCG cytotoxicity. The results suggest that many antioxidants could modulate the cytotoxic properties of EGCG in a cell culture system not only by removing ROS but by modulating chemical stability and other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when studying ROS-dependent mechanisms of EGCG. Tea catechins and commonly-consumed OTC drugs could be encountered and their interactions in body are expected. Acetylsalicylic acid (Asp) increased the chemical stability of EGCG. Non-toxic concentrations of acetaminophen (AAP) significantly enhanced the EGCG cytotoxicity. Non-toxic dose of EGCG (up to 20 µM) also enhanced ibuprofen cytotoxicity significantly. The isobologram analysis revealed the cytotoxic synergism by combination of ibuprofen with EGCG. There was, however, no dramatic change observed in cytotoxicity of Asp combined with EGCG. EGCG significantly decreased AAP toxicity in HepG2 cells, showing increased GSH levels. When consequently treated with AAP after EGCG incubation,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to cells treated with EGCG alone. Intracellular level of AAP were increased by Ko143; it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presence of EGCG. The present results indicates that bioactivities of tea catechins, mainly EGCG, can be modulated dramatically by changes of their chemical behaviors (e.g. chemical stability, auto-oxidation, and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etc.) under cell culture condition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interaction of EGCG with antioxidants, efflux modulators as well as OTC drugs could modify physiological actions of EGCG or its interacting compounds through modulating their chemical behaviors.

      • Michel Fokine의 안무 특성 연구

        김미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은 당시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철학적 근거를 토대로 발전한다. 20세기 초 예술의 부흥기를 맞이한 러시아는 기존의 전통과 체제로부터 과감하게 탈피하며 독창적인 예술적 경향을 제시한다. 변화의 움직임 중심에는 안무가 미첼 포킨이 이끈 발레단 발레뤼스가 있다. 포킨은 ‘20세기의 노베르’라고 불리며 발레는 단순한 여흥이 아닌 극적 행동과 극적 성격 및 감정을 표현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졌던 노베르의 ‘발레 닥시옹(Ballet d'action)'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프티파의 고전발레에 대칭적인 구조와 정형화된 움직임을 배제하고 엄격한 형식을 이루는 요소들을 융통성 있게 단순화시켜 새로운 움직임을 만들어냈다. 그의 발레개혁은 전통적인 발레의 틀 안에서 창조적인 개혁과 극적 표현성을 강조하였고 타 예술과의 동등한 작업으로 종합예술로서의 새로운 발레 가능성을 시도하였다. 그는 전통 속에서의 개혁을 외치며 1914년 7월, 런던의「타임즈(The Times)」에 자신의 견해를 쓴 편지를 보내 개재하였고 1916년 8월, 자신의 발레개혁 의지를 러시아에서 발행되는 정기 간행물인「아르구스(Argus)」제 1호에 ‘새로운 발레(The New Ballet)'라는 제목의 소논문으로 발표하였다. 그리고 포킨은 자신의 새로운 발레에 5가지 원칙을 강조하였다. 먼저 묘사하고자 하는 나라의 고유한 민속 무용을 연구하고 특정한 시대적 배경과 무용수의 역할에 따른 적합한 의상과 독창적인 움직임을 창조해야 한다는 시대성을 강조하였고 고전 발레의 정형화된 움직임의 구성들로 정해져있는 엄격한 형식과 관습적으로 약속된 손동작으로만 이야기를 전개하는 추상적인 전달 방식을 비판하여 주제에 본질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형식과 단순한 여흥을 위한 무의미한 춤은 배제하고 작품 속 극적 장면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움직임을 구성해야한다는 새로운 결합의 종합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그는 새로운 발레에서 무용수의 육체는 인물의 성격과 감정을 직관적인 형태로 표출할 수 있으며 관습적으로 약속하여 한정된 동작에서 신체의 전신을 사용한 움직임으로 창조되어야 한다는 신체의 표현성을 강조하였고 기존의 단순히 장식만을 위한 군무는 감정적 표현과는 관계를 맺고 있지 않았지만 새로운 발레에서는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는 움직임이 집단의 움직임으로 확대되어 극의 전체적인 흐름과 지속적으로 연관되는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발레는 음악이나 미술에 의존하지 않으며 무용작품에 참여하는 음악가와 미술가에게 동등한 조건을 부여하고 그들의 창의성에 완전한 독립성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새로운 발레 원칙에 근거한 포킨의 5가지 안무적 특성은 시대성, 종합성, 표현성, 연계성, 독립성이 있다. 포킨이 주장한 발레개혁은 프티파의 전통적인 발레의 고전적 기법을 바탕으로 창조성을 강조한 발레로 완전한 변혁이 아닌 기존의 무의미한 움직임을 배제하고 주제에 적합하게 창조된 움직임과 발레와 타 예술과의 동등하고 독창적인 결합으로 발레를 종합예술로서의 결과물로 추구하였다. 이는 발레를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였고 발레의 혁신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프티파의 기교 중심적인 고전발레에 초점을 두어 정체되어 있는 오늘날 한국 발레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포킨의 새로운 발레에서의 창조적인 개혁과 종합예술성이 강조된 5가지 원칙에 근거한 안무적 특성을 바탕으로 안무한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포킨이 제시한 새로운 발레의 가치가 더 높이 평가되어 한국의 발레를 새로운 관점으로 해석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또한 안무자의 다양한 해석과 창작활동으로 앞으로의 한국창작발레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이 후속연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Art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stream of contemporary trend and evolving on the foundation based on philosophy. Confronting the era of renaissance art early in the 20th century, Russia produced a unique artistic trend drastically away from the conventional tradition and system. In the center of such movement of change, there was 'Ballets Russes' led by a choreographer, Michel Fokine. Influenced by 'Ballet d'action' of Noverre who had a belief that ballet should express dramatic actions, dramatic characters and emotions rather than just entertainment, Fokine, who was called 'Noverre in the 20th century', created a new movement on top of the conventional ballet of Petipa by excluding the symmetrical structure and formulaic movement and flexibly simplifying the elements that constituted a rigid formality. His reform of ballet emphasized a creative reform and dramatic expressivity within the frame of conventional ballet and he tried to open a new possibility of ballet as a synthetic art at the same level of other arts. Making a voice for a reform of the convention, he sent a letter and posted an article on 「The Times」in London in July, 1914 describing his view. And, for his will for the reform, he released an essay under the title 'The New Ballet' on the first edition of 「Argus」, a periodical publication in Russia, in August 1916. And Fokine emphasized 5 principles in his new ballet. He stresse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that the inherent folk dance of a country to be described should be studied first and appropriate costumes and creative movements depending on specific historical background and dancer's roles should be created. Criticizing the abstract delivery method to express stories only with rigid formality fixed with components of formalized movements and hand movements conventionally promised, he also emphasized comprehensiveness of new combination that movements should be composed of under the judgement that they are necessary to express the dramatic scenes in the work, excluding the format essentially unsuitable for the theme and meaningless dances for simple entertainment. In his new ballet, he emphasized the expressiveness of body that dancer's body can express the personality and emotion of a character in intuitive forms and the limited movements conventionally promised should be created into movements that use the whole part of the body. He also stressed the connectivity that the traditional group dances only for simple decoration had no 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but in the new ballet, the movements expressing individual emotion are expanding and continuously being associated with overall stream of play. Lastl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equal conditions to the musicians and artists who participate in dance works, not relying on music or fine arts, and stressed the complete independence of their creativity. As shown above, Fokine's 5 choreograph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new ballet principles are historical characteristic, comprehensiveness, expressiveness, connectivity and independence. The ballet reform asserted by Fokine is the one emphasizing the creativity on the basis of the classical techniques of Petipa's conventional ballet. He did not pursue a complete reform but pursued ballet as a result of synthetic through exclusion of conventional meaningless movements but with the movements suitably created to theme and through equal and inventive combination with other arts. This made ballet viewed from a new perspective and brought an innovative progress of ballet. This study pointed out the current problems of Korean ballet which is stagnant as a result of focusing on technique-oriented classical ballet of Petipa and analyzed the dance works created with choreograph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5 principles that emphasize creative reform and comprehensive art shown in the new ballet of Fokine. Through this study, I propose the necessity to value more highly the new ballet suggested by Fokine and interpret Korean ballet from a new perspective. In addition, I expect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creative ballet would be studied in depth by further studies together with diversified interpretations and creative activities of choreographers.

      • 영어낙서장을 활용한 초등영어 학습 효과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김미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수준차, 학습시간부족, 흥미 및 자신감 저하, 쓰기교육의 부족이라는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학생들 스스로 각자의 수준과 흥미에 맞게 자기주도적 영어학습을 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례를 탐구하며 효과성을 입증하는 질적 연구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6학년 학생 약 100명을 대상으로 수업내용을 기초로 수준에 맞게 자유로이 복습하는 ‘영어낙서장’을 일주일에 3회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교사가 이에 피드백을 주면서 10개월에 걸쳐 학생의 학습유형을 탐구하였다.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더불어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학습자들의 변화를 관찰하여 주기적으로 교사 관찰 일지(teacher observation log)에 기록하였다[부록4참조]. 이렇게 수집된 질적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해 범주화, 개념화하였다. 본 실험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교사가 제시하는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수준별 학습이 아닌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정의적 특성, 학습방식과 학습전략의 차이들이 종합된 각각의 다른 수준에 따라 개인별로 학습이 진행될 수 있었다. 이에 학습자들은 각자의 수준에 맞는 맞춤학습(Integrating Differentiated Learning)이 가능하였으며, 교사는 각각의 학생의 수준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출발점 행동이 서로 다른 수준을 가지고 있어도 같은 목표인 교육과정 성취기준 달성에 다가갈 수 있도록 개별화 지도(Individualization)가 가능하였다. 쓰기 수행평가의 일환으로 실시한 받아쓰기 평가에서는 4개반 모두 각 반 평균이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학기말 평가 즈음에는 각 반 평균이 상향되면서 비슷해지는 함께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수준별 학습자 모두가 함께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여진다. 둘째, 최소한의 조건과 과제량으로 학생들은 영어에 부담을 느끼지 않으면서 자신들에게 맞는 시간을 확보하여 영어를 학습하는 습관을 형성하게 되었다. 기본적인 복습시간확보에 이어 학생들은 자신들이 정리해야 하는 수업내용에 집중시간이 증가하였으며, 낙서장에 시간과 노력을 들여 열심히 하는 학생들이 생겨나며 자기주도적 학습의 시간이 늘어났고, 교실 안에서 영어시간 이외에도 서로의 낙서장내용으로 대화하고 즐겁게 놀이를 하는 문화까지 생겨나게 되었다.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유발에 대한 자극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영어를 접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 것이다. 셋째, 영어낙서장에서는 선생님과 1:1로 학습하는 곳이므로 수업 시간에 보인 학습 태도와는 달리 학생들이 틀릴 것 같다는 불안, 나는 잘 못한다는 낮은 자신감을 내려놓고 자유롭게 학습을 하였다. 이는 정의적 장벽의 수준을 낮추고 학습자가 언어를 잘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허용적인 학습으로 학생들이 자신들의 관심사나 좋아하는 것을 활용해 낙서장을 작성할 때 아주 정성스럽게 시간을 투자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들은 좋아하는 것과 영어를 함께 접목시켰기 때문에 영어를 더욱 즐겁게 학습하였고 실력이 향상됨을 느낌으로써 자신감이 향상되었다. 넷째, 영어낙서장은 기존 영어교육에서 듣기 말하기 중심 교육과정운영과 영어전담체제로 인한 쓰기를 보충할 기회가 부족했던 것에 반해 과제를 통한 쓰기학습을 위한 시간확보로 쓰기교육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었다. 복불복 단어 복권을 활용한 공부법으로 기초를 다질 수 있게 하면서 받아쓰기 수행평가실력이 꾸준히 증가하였고, 수준별 맞춤학습으로 각각의 부족한 영역을 학습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는 자신의 관심사인 주변의 소재부터 사회적 문제까지 다양한 주제로 영어낙서장을 작성하여 제한된 쓰기교육활동에 다양성을 부여하였으며,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던 쓰기 영역에 ‘쉽다’, ‘재미있다’는 반응을 이끌어 흥미와 자신감을 심어주었다. 다섯째, 영어낙서장은 학습자 주도의 학습유형으로 연구자가 의도했던 결과 외에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학생들의 다양한 창의성이 엿보이는 학습내용, 상담을 통한 인성교육이 가능하였고, 학생들의 수업 내용에 대한 피드백으로 교수학습활동 개선 및 교사의 전문성 향상의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지속적인 소통으로 인해 학습자와의 친밀감이 향상되고 학생에 대한 시각확장을 할 수 있었다.

      • 스노보드 참여자의 레저형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에 관한 연구

        김미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노보드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레저형 SNS 사용동기의 차이와 레저형 SNS 사용만족의 차이를 밝히고 스노보드 참여자의 레저형 SNS 사용과 레저형 SNS 사용만족 간의 영향을 분석하여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레저형 SNS 사용이 레저형 SNS 사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2년 6월 스노보드 관련 SNS를 사용 하고 있는 스노보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부적합한 데이터를 제외한 후 최종 167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차이검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노보드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레저형 SNS 사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 직업, 스노보드 수준, 스노보드 경력에 따른 레저형 SNS 사용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스키장 이용 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 스트레스 해소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노보드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레저형 SNS 사용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스노보드 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연령에 따라 교육․심리적 만족이, 직업에 따라 휴식적 만족이, 스노보드 수준에 따라 신체적 만족이, 스키장 이용 횟수에 따라 휴식적 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레저형 SNS 사용동기가 레저형 SNS 사용만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정보수집과 친구관계형성의 레저형 SNS 사용동기가 교육․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수집 동기가 신체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스노보드 참여자들의 레저형 SNS 사용 하위요인인 정보수집과 친구관계형성이 레저형 SNS 사용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tivation of leisure style SNS use and the use satisfaction of leisure style SN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sociological characteristics in snowboard participants, analyze the impact relation between the leisure style SNS use and the use satisfaction of leisure style SNS in snowboard participants, and identify whether the use of leisure style SNS has an impact on the use satisfaction of leisure style SNS for snowboard participants.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nowboard participants who were using leisure style SNS as of June, 2012, and of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inadequate data was excluded and then a total of 167 was used for data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both differenc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SPSS 12.0 depending on research problems. As a result,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ur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leisure style SNS use depending on the demographic-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owboard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isure style SNS use depending on gender, age, job, level of snowboarding, and snowboarding experience, but the factor that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ski resort was found to be the stress reduction factor. Second, our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use satisfaction of leisure style SN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nowboard participants sugges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and snowboarding experience,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rest satisfaction depending on job, physical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snowboarding, and rest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times of using ski resort. Finally, the snowboard participant’s motivation of leisure style SNS us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impact on the use satisfaction of leisure style SNS. Snowboard participant’s motivation of leisure style SNS use for gathering information and forming a friend relation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ducation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satisfaction and the motivation of data colle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satisfaction. From the results above,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gathering and forming a friend relationship – sub-factors of leisure style SNS use in snowboard participants –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use satisfaction of leisure style SNS.

      • 사례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자립유형에 대한 연구

        김미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6년 9월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통일부 정착지원법 제2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의에서 정부는 탈북자가 갖는 부정적 의미를 해소하기 위해 1997년 '북한이탈주민’으로 개칭하였으나 '북한이탈주민’에 대해서도 비판적 의견이 개진되었다. 이에 주무부서인 통일부에서 공모를 통해 ‘새롭게 터를 잡은 사람들’이라는 뜻의 ‘새터민’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사회복지기관에서도 통용하였다. ‘새터민’의 뜻이 이주민으로 혼용될 수 있어 정체성 혼란의 문제가 야기됨에 따라 법률적인 공식 표현인 ‘북한이탈주민’으로 다시 불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으로 통칭한다. 이 2만 9천 명을 넘어 섰으며 북한이탈주민들의 유입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서 정부 및 민간단체 등에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서 성공적인 정착을 하는 일은 쉽지 않다. 단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이 남한 주민에 비해 저조하며 실업률은 남한 주민에 비해 4배나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남한사회에서 취업을 하지 못하면서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하고 정부의 지원에 의존되는 경향이 지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북한의 경제적 특성 및 경제활동의 모습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이 단순히 농업이나 공장 노동자뿐만 아니라 무역, 매대 장사 등 다양한 경제활동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국내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취업교육 및 지원제도는 일차적이고 획일화 되어 있어 북한이탈주민들의 특성을 살리는데 한계점이 존재한다. 시장 시스템 안에서 공공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창업 지원 방식인 사회적기업이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 제공과 다양한 경제 활동의 경험을 살릴 수 있는 하나의 경제적 자립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으로 운영을 하는 북한이탈주민 사회적기업인 송도에스이, 메자닌아이팩, 메자닌에코원, 커피창고의 사례 분석을 통해 기업의 구조적 특성과 장단점들을 살펴보았고 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기업 모두 일자리 제공형의 사회적기업의 형태라는 점이다. 이는 많은 점을 시사하는데 북한이탈주민에게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 체결과 주 20시간 근로시간 배당 등 북한이탈주민에게 고용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57.8%가 개인소득 100만 원 이하라는 설문결과를 고려하면 임금수준이 최저임금을 초과 지급해야 하는 북한이탈주민 사회적기업이 타 기업보다 북한이탈주민에게 더 높은 급여를 지급한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다. 일자리 제공형 사회적기업들의 많이 겪는 어려움인 지원 기간이 끝난 뒤에 겪는 경제적 어려움인데 송도에스이, 메자닌아이팩, 메자닌에코원은 설립 시 기업 및 복지재단 지원 출자로 비교적 안정적인 출발이 회사의 손익분기점을 낮추어 기업의 이익을 내는 데 큰 도움이 되어 문제를 헤쳐 나갈 수 있었다. 커피창고의 경우 대기업을 상대로 한 커피머신 렌탈 사업으로 매출이 크게 증대하였지만, 대금 결제가 길게는 2달 이후에 이루어져 자금회전에 문제를 겪었고 한국사회투자의 서울시 사회투자기금으로부터 1억 5천만 원의 저 이자로 융자를 받아 기업의 안정화 기틀을 마련했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목적의 재투자를 통해 지역사회통합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송도에스이의 경우 같은 인천 지역 사회적기업의 물품을 구매하여 상생발전에 기여하고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장학금을 기부하고 있다. 또한, 이문화 체험을 통해 남북의 직원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을 정기적으로 마련하여 프로그램화하고 있다. 메자닌에코원은 지역 내 장애인직업 재활시설 및 쪽방 도배 자원봉사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를 하고 있으며 북에서의 생활로 봉사활동의 개념이나 활동을 한 적 없던 북한이탈주민에게 나눔의 가치를 몸소 체험할 기회도 제공한다. 커피창고는 취약계층 및 장애인들의 직업 재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바리스타 교육을 하고 있으며 교육에 필요한 원두를 전체 무상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교육생 중 전국장애인 바리스타 대회에서 우승하는 결과를 얻기도 하였다. 메자닌아이팩은 2011년 제2공장 설립에 이익을 재투자하면서 추가적인 취약계층의 고용을 창출하였다. 셋째, 지역 및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관과의 거버넌스 형 모델의 형태를 가진 사회적기업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송도에스이, 메자닌아이팩, 메자닌에코원 모두 기업과 복지재단, 정부, 대표가 함께 출자한 사회적기업이며 커피창고 역시 복지재단 및 공영기업의 지원을 받고 있다. 북한이탈주민과 관련 기관들과 긴밀하게 연계하여 기업의 특성과 실무를 기반으로 하는 취업교육을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본 기업 및 유관기업에 고용될 수 있도록 협력하여 북한이탈주민 일자리 창출에 도움을 주는 거버넌스 형 모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안정적 운영을 하는 북한이탈주민 사회적기업의 실사례를 분석하여 새롭게 사회적기업 창업을 준비하는 북한이탈주민과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종사자들에게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운영프레임을 구성하는 데 지침이 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의미 있는 연구결과라고 할 수 있다.

      • TQM 모델을 적용한 공공문화예술조직의 운영성과 평가 연구

        김미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QM evaluation factor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and management methods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To do so,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proposed “the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customer orientation,”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the personnel system,” and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as the TQM factors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perceived financial and nonfinancial operational performance by members of such organizations. The study targeted members of government-managed and privately commissioned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used, for its analysis, data from 311 administrative and project management staff members working at six arts and culture facilities and seven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verified Hypothesis 1, and showed that TQM evaluation factors on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influence 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sonnel system (β=.184, p<.01)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ollowed by the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β=.182, p<.05), customer orientation (β=.166, p<.05)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β=.120, p<.05). Second, the study verified Hypothesis 2, that TQM evaluation factors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positively influence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β=.377, p<.001)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followed by customer orientation (β=.290, p<.01), the personnel system (β=.181, p<.05), and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β=.177, p<.05). Third, the study verified Hypothesis 3, that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influenced financial performance, and showed that complexity (β=-.366, p<.001) had the most nega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ollowed by centralization (β=-.192, p<.01). Fourth, the study verified Hypothesis 4, that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influence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centralization (β=-.224, p<.01) had the most negative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Fifth, the study verified Hypothesis 5, that the controlled effect of the operational method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QM evaluation factor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customer orienta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formalization, centralization, and complexity were either strengthened or weakened by the controlled effect of the operational method such that the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 to financial performance. Sixth, the study verified Hypothesis 6, that the controlled effect of the operational method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QM evaluation factor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customer orientation, the personnel system,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formalization, centralization, and complexity were either strengthened or weakened by the controlled effect of the operational method such that the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to nonfinancial performance. As evidenced by the above results, applying the TQM model to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oper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was found to be a very useful tool in identifying managerial implications. Overall, it was shown that, among the TQM evaluation factors, the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customer orienta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the personnel system, and quality information 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operational performance, and that an open, horizontal, and simpl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rivately commissioned operational method were effective. As a result,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the TQM model and structure as the operational performance factors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these organizations.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current operational environment of public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where public concern and efficiency coexist, it verified that the clear establishment of the long-term vision of such organizations and the organization-wide execution of their services toward the reform of these organizations, based on new public administration theories, would promote the realization of the objectives of policies pertaining to arts and culture and would lead 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chievements. 본 연구는 공공문화예술조직 TQM 평가요인과 조직구조, 운영성과 및 운영방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공공문화예술조직의 TQM 요인을 ‘단체장의 리더십’, ‘고객지향성’, ‘정부와의 관계’, ‘인사제도’, ‘품질정보관리’로 구성하고, 이들 요인이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재무적․비재무적 운영성과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신공공관리론에 따라, 공공문화예술조직에 대한 문화예술정책 공공성 확보와 정부의 관리적 책임성 및 관료적 지배구조의 문제점 등을 반영하여, 공공문화예술조직의 ‘조직구조’ 특성이 운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공공문화예술조직의 직영 및 위탁 운영방식이 TQM 요인과 운영성과의 관계에서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지역 내에 위치한 정부직영 및 민간위탁 공공문화예술조직 구성원들로서, 문화예술시설 6개 기관, 공연예술단체 7개 기관에 종사하는 행정직 및 사업관리직 311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의 공공문화예술조직의 TQM 평가요인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사제도(β=.184, p<.01), 단체장의 리더십(β=.182, p<.05), 고객지향성(β=.166, p<.05), 정부와의 관계(β=.120, p<.05) 순으로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2의 공공문화예술조직의 TQM 평가요인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단체장의 리더십(β=.377, p<.001), 고객지향성(β=.290, p<.01), 인사제도(β=.181, p<.05), 품질정보관리(β=.177, p<.05) 순으로 비재무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 3의 공공문화예술조직의 조직구조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복잡성(β=-.366, p<.001), 집권화(β=-.192, p<.01) 순으로 재무적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가설 4의 공공문화예술조직의 조직구조가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집권화(β=-.224, p<.01)가 비재무적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가설 5의 공공문화예술조직의 TQM 평가요인 및 조직구조와 재무적 성과의 관계에서 운영방식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단체장의 리더십, 고객지향성, 정부와의 관계, 공식화, 집권화, 복잡성은 운영방식의 조절효과를 통해 강화되거나 완화되어 재무적 성과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여섯째, 가설 6의 공공문화예술조직의 TQM 평가요인 및 조직구조와 비재무적 성과의 관계에서 운영방식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단체장의 리더십, 고객지향성, 인사제도, 품질정보관리, 공식화, 집권화, 복잡성은 운영방식의 조절효과를 통해 강화되거나 완화되어 비재무적 성과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에서, 공공문화예술조직에 TQM 모델을 적용한 재무적․비재무적 운영성과의 평가는 관리적 시사점을 얻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라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TQM 평가요인의 단체장의 리더십, 고객지향성, 정부와의 관계, 인사제도, 품질정보관리가 운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개방적, 수평적, 단순한 조직구조와 민간위탁 운영방식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결국 본 연구는 공공문화예술조직의 운영성과요인으로서 TQM 모델 및 조직구조를 적용하여 공공문화예술조직의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공공성과 효율성이 공존하는 현재의 공공문화예술조직 운영환경에서, 신공공관리론적 개혁을 위해 공공문화예술조직의 장기적 비전을 명확히 설정하고 서비스와 조직 차원에서 실행해 나간다면, 문화예술정책의 목표의 실현과 양적․질적 성과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입증하였다는데 실무적 의의가 있다.

      •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문장제 문제의 지도 : 7-가 일차방정식 단원을 중심으로

        김미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which students feel in questions as sentences and to find out what kind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questions as sentences is influenced by doing the class through the collaborative learning of a small group without the past explanatory class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to solve a problem in mathematics. Two researches were established for this study below. (1) What kind of difficulties do students feel in questions as sentences? What is the distinctive features when they solve questions as sentence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with a collaborative learning of a smal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with a conventional explanatory lecture while solving the problems with sentences? The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es are indicated as below. First of all, when students encounter questions as sentences, they think it is hard to solve because of high difficulty and feel the most difficulty in problems about density or speed which are possible to be solved only through an equation. But students make their effort to put into formula through thinking together and exchanging opinions each other. And they ask for help to teacher to solve questions. Second,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two groups after the experiment that demonstrates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ing with the pas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dicates that the collaborative learning with a small group has positive effects in improvement of abilities to solve a problem with sentences. It is expected to make lots of effects in school when teaching are performed as a kind of the collaborative learning with a small group. In class, teacher should set up a voluntary and active learning atmosphere to develop mathematical insight needed to solve problems through proper arrangement of a small group, making interactive environment and exchanging opinions in a small group than teacher's one-sided explanation. 본 연구는 학생들이 문장제 문제에서 느끼는 어려움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고, 수학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설명 위주의 수업을 탈피하여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에 대한 성취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생들이 문장제 문제에서 느끼는 어려움이 무엇이고, 문장제 문제를 해결하는데 보이는 특징은 무엇인가? (2) 문장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소집단 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을 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한 비교집단 간에는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문장제 문제를 접했을 때 어려워서 풀기 힘든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방정식을 세워야 만이 해결 가능한 농도와 속력에 관한 문제를 가장 어려워했으나, 친구들과 각자 의견을 상호 교환하고 같이 고민하면서 식을 세우려고 노력했으며, 선생님에게 질문하여 해결해 나갔다. 둘째, 실험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가 실험 전의 학업성취도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소집단 협동학습이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 해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학교 현장에서 소집단 협동학습 형태로 지도하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수업 시간에 학급을 소집단으로 적절하게 배치하여 학생들이 상호작용을 많이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 교사가 일방적으로 문제를 풀어주기 보다는 소집단에 속해 있는 학습자끼리 의견을 교환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수학적 안목을 키울 수 있도록 자발적이고 활동적인 학습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에 대한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의 영향

        김미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이 다문화교육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이며 지난해 만 4세반이나 만 5세반 담임을 한 교사 3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를 측정하기 위해 공민정과 김승희(2015)가 선행연구들(조숙영, 2013; 하현정, 2014)의 분석 틀에 근거하여 누리과정 내 다문화관련 내용을 추출하고 정리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의 다문화수용성은 민무숙, 안상수, 김이선, 김금미, 류정아, 조영기(2010)가 개발하고, 그 이후 안상수, 김이선, 마경희, 문희영, 이명진(2015)이 수정·보완한 ‘일반국민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KMCI: Korean Multiculturalism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유미(2014)가 다문화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진행한 요구조사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고안되어진 다문화역량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수역량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어린이집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교육 실제,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수역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관련 과목 수강경험, 다문화가정 연수경험에 대해서는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연령, 최종학력, 어린이집 설립유형, 교직경력, 다문화가정 유아 지도경험, 학급 내 다문화가정 유아 수는 일원분산분석으로 검증하고 유의한 경우에는 Duncan 분석으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제에 대한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수역량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및 단계선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다문화교육 실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만 4세반 교사가 근무하는 어린이집 설립유형과 교직경력에 따라 다문화교육 실제는 차이가 있었다.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국공립어린이집이나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의 다문화교육 실시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년 이상에서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보다 16년 이상에서 20년 이하의 경력교사가 더 다문화교육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차이결과는 만 5세반 교사의 다문화관련 과목 수강경험과 다문화가정 유아 지도경험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교수역량의 차이결과는 만 4세반 교사의 다문화가정 유아 지도경험, 다문화관련 연수경험과 만 5세반 교사의 최종학력, 다문화관련 연수경험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교수역량, 다문화교육 실제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문화교육 실제는 만 4세반 교사의 다양성, 관계성, 다문화수용성 전체 그리고 만 5세반 교사의 관계성, 보편성, 다문화수용성 전체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 4세반 교사의 기술적 역량, 지식적 역량, 다문화교수역량 전체 그리고 만 5세반 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의 모든 하위요인과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하위요인별로 조금씩 상이하지만, 전반적으로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육의 실시빈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이 다문화교육 실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모든 요인이 다문화교육을 실시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다문화교수역량, 다문화수용성 순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어린이집 교사의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교수역량이 다문화교육 실제에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유아교육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의 실시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전환과 다문화적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더불어 다문화적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별 대응방법이나 교수법, 다문화가정 부모 국가의 양육이나 교육 방식의 차이에 대한 교육 등 실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과 지식에 대한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포함되어야 할 내용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교사의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개발되고 변화될 수 있는 내적요인에 초점을 맞춰 다문화교육 실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누리과정에서 연령별로 다르게 요구된 다문화적 요소를 가지고 다문화교육 실제를 탐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if there was any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on multicultural education reality. 353 child-care teachers who worked at 4-year-old or 5-year-old classes of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had been asked for the research. In order to measure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reality, Gong MinJeong and Kim SeungHee(2015) extracted multiculture-related parts from Nuri Curriculum and developed a questionnaire based on precedent studies(Cho SookYoung, 2013; Ha Hyunjeong, 2014). The researcher revised the questionnaire and used it in this study. Korean Multiculturalism Inventory(KMCI) was used to measure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measurement was developed by Min Moosook, An Sangsoo, Kim Yisun, Kim Geummi, Ryu Junga, Cho Youngki(2010) and revised by An Sangsoo, Kim Yisun, Ma Kyunghee, Moon Heeyoung, Lee Myungjin(2015). As for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questionnaire designed by O Yoomi(2014) with the material in developing multicultural competence training programs was revised and used in this study. To know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realit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with the final collected data. The differ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alit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due to child-care teachers' socio-demographic were verified among groups. For the difference of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families training experienc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run, and for teachers' age, educational level, types of childcare center, experience of teaching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class, the researcher chose one-way ANOVA to verify the difference.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Duncan post test would test the detailed differences.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among major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he hierarchical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plor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on multicultural education realit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differ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alit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due to child-care teachers' socio-demographic were that 4-year-old class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reality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Nongovernmental child-care center teachers' did less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national or workplace nursery school's teachers. And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for 2-5 years did less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those who have been working for 16-20 year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eachers of 5-year-old class have different degre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their multicultural teach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teaching multicultural children. Besides, the difference of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was verified due to experience of teaching multicultural children and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 in 4-year-old classes, and in 5-year-old class, teachers' education level and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 made their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different. Second, the relationship among major variables wa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s' diversity, relationship, and the total scor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4-year-old classes. It also related positively to 5-year-old class teachers' relationship, universality, and the total scor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reality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s' descriptive competence, knowledgeable competence, and the total score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in 4-year-old classes. As for 5-year-old class teachers, all of sub 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multicultural education. In other words, despite of a little difference on sub factors, generally the higher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eaching competence was, the more they did multicultual education. Third,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on multicultural education reality had been verified in this study. All of the factors had effects on the degree and frequ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relative effects ordered by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acceptability. This study proved that child-care center teach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truly influenced multicultural education's reality. In order to improve and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teachers need to try their best to change the awareness of multiculture and to strengthen their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under the multicultural circumstances, teaching methods, coping skill, and the skills or knowledge need to be arranged to deal with different situations such as the different education methods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and national education system.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d primary information of exploring the necessity and later direction of teachers' multicultural training. And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did not only focused on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also focused on inner factors which can be developed and changed. It checked the effec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cluded different ages' multicultural needs in Nuri Curriculum. To some degree, this study did hav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explore multicultural education's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