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태란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매개하는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실재감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대면 수업 방식을 한 학기 이상 경험한 국내 대학교 2~4학년 재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주요 변수인 교수실재감의 측정도구는 Arbaugh & Hwang(2006), 학습만족도의 측정도구는 주영주 외(2008),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2009), 김은하(2019),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측정도구는 이석재 외(2003)의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신뢰도 분석과 측정 문항의 기술통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수실재감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교수실재감이 높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에 교수실재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명확한 학습목표 전달을 통한 동기부여, 수업 참여 방법 안내,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활동 촉진, 적시의 피드백, 참고 자료 제공, 수업 참여 격려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 계획단계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여 계획을 수립하도록 해야 한다. 실행단계에서는 학습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학습평가 단계에서는 학습 결과를 스스로 평가해보고 성찰하는 과정으로 학습 경험을 토대로 하여 향후 더 나은 학습전략을 스스로 세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The research questions for verifying this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teaching presence have direct effects on teach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Second, do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98 domestic university students(the 2nd ~ 4th year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non-face-to-face class method for a semester or more. This study modified, complemented, and recomposed the measurement tools for main variables such as Arbaugh & Hwang(2006) for teaching presence, Joo et al.(2008), KERIS(2009), and Kim(2019) for learning satisfaction, and Lee et al.(2003)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e reliability analysis on main variabl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 the items for measurement,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ve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in variables. Using the AMOS 26.0 Program, this study conduc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goodness-of-fit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also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by using the Bootstrapping procedur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teaching presence had direct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Seco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the partial-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eaching presence coul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eaching presence and learners with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uld play positive roles i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Based on such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verified the importance of professors’role for improv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learners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Also, verify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mplies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ing presence, it would be necessary to motivate the learners by delivering the clear goals of learning, guiding how to participate in class, promoting the learning activities through interaction, providing references and feedbacks in time, and encouraging them to participate in class. Also, for the cultiv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planning stage, the learners should be able to establish the plan by setting up their own learning goals for themselves. In the execution stage, the learners should be able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for learning, and also efficiently use time. In the learning evaluation stage as a process of evaluating and introspecting the results of learning for themselves, they should be able to establish better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situation of university.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continuous in-depth researches on various variables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non-face-to-face class.

      • 오정희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내면의식 연구

        송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ABSTRACT Study on narrative style and inner consciousness of Oh Jung Hee's early novels. Song, Tae Sil Dep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Modern novel is gradually focusing on human and highly interested in projecting the subjective inner world of human. The reason is that the desire of expressing inner and mental conflicts of human is increasing in a tense world. To employ the sincere existence and the faithful reality of human in a novel, it is necessary to have a method that narrates the inner consciousness of human. This method is called the stream of consciousness. This case covers short stories written by Oh Jung Hee such as “The Fire on the River”. “A Faint Light”, "An Embankment of Fog", “Silence and Solitude”, “A Spring Day”, "A woman weaver", "A runner", “A Toyshop woman”, “The garden of children”, “The Chinese road”, "A Game of evening", “A dark house” and so on. These stories describe the inner consciousness of character by an interior monologue. The case studies how the inner world of character has been embodied by which form of description. The summary is the following. First, in chapter 2, it shows the relation between the technique of inner monologue and the projection of inner consciousness in novels of Oh Jung Hee. The writer writes lengthy sentences and inserts form of lyricism and uses noun-ending sentences as techniques of inner monologue. Tendency of using lengthy sentence has a meaning not only observing the length of sentence. In novels of Oh Jung Hee, it primarily focuses on effects of using short and long sentence in the stream. By using long sentences, it shows that characters in novel of Oh Jung Hee are constantly revealing their complex inner feeling. One of methods to present inner monologue is inserting form of lyricism. By inserting implicative lyricism, it indirectly expresses inner side of character. Form of lyricism in Oh Jung Hee’s novels is often used to show the inner consciousness of character which is disconnected. It has a role to break the unity of language by offering different description within the novel. It efficiently expresses disconnected-inner such as severance of world, the sense of alienation and so on. Noun-ended sentences restraint characters expressing their desire of revealing feeling. It also cuts the flow of inner consciousness by finishing the sentence in noun without predicate. Characters holds their wants to exploit desires in deep inside through noun-ended sentences. This is efficient to isolate characters’ stream of consciousness intentionally and show the repression inside. In chapter 3, this case looks at the usage of sensational language for narrating inner side of character.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delineation of sensational language in novels of Oh Jung Hee. And it concentrates on analyzing sight, smell and portrait of smell from five senses which are being used noticeably in novels of Oh Jung Hee. Description in optical language can be interpreted as description in colorful language. The usage of red, blue, black and yellow is remarkable in novels of Oh Jung Hee. In her novel, the image of red means destructive instinct and death in inner side of character. Red is a color as an appetite to escape from passionless life. Blue, in her novel, contrasts with red. Blue symbolizes the nature which is related to water such as river and cannel. In the novel, blue stands for richness of production while conflicting with destructive red. Also black appears frequently. In the story, black contains the image of nigh and darkness. The last color is yellow. Yellow functions as a reminder of the negative, miserable and fragile past memories in her novel. In the study of figuring character’s inner consciousness, it shows negative self-understanding and eruptions of desire by using sense of smell in language such as decayed smell, decomposed smell and nauseating smell. This study takes a side view of theme study and shows the literal style as a method in novels of Oh Jung Hee. It has an importance that it has observed her novel in an integrated point of view. However, focusing just only on the view of interior monologue and sensational languages in a limitation since there are other approaches i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method in novel. The lifestyle changes the method of creating the story, inner side of characters and the novel. It is obvious that novels of Oh Jung Hee also have changed along history and society. This case argues the depiction method and studies description of inner monologue in her short stories. Also and in-depth discussion with a wider view which considers style of writing and theme should be followed. 國 文 抄 錄 오정희 초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술방식과 내면의식 연구 송 태 실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현대 소설은 점차 인간에 초점을 두고 인간의 주관적인 내면세계를 형상화 하는 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 이유는 점점 복잡해지는 세계 속에서 인간의 내면과 정신적 갈등을 표출하려는 욕구 또한 커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소설에서 인간 내면의 참된 존재의식을 드러내고, 진실한 리얼리티를 표출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내면의식을 탐색하는 서술 기법이 필요하다. 그 방법이 바로 의식의 흐름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오정희의 작품 중에 작중인물의 내면의식을 내적 독백으로 서술한 단편소설인 「불의 강(江)」, 「미명(未明)」, 「안개의 둑」, 「적요」, 「목련초(木蓮抄)」, 「봄날」, 「직녀」, 「산조(散調)」, 「주자(走者)」, 「완구점 여인」, 「유년의 뜰」, 「중국인 거리」, 「저녁의 게임」, 「어둠의 집」등을 대상으로 하였다.이러한 작품들에 드러난 작중 인물의 내면의식의 구체화가 어떤 서술 방식을 통해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Ⅱ장에서는 오정희 소설에 드러난 내적 독백의 기법과 내면의식의 투사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가는 소설에서 내적 독백의 기법으로 장문화(長文化) 경향과 서정 양식의 삽입, 그리고 명사형 종결 문장을 사용하였다. 장문화(長文化) 경향은 단지 문장의 호흡이 길다는 사실에 착안한 의미가 아니다. 오정희는 소설 안에서 단문과 장문의 흐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오정희 소설 속의 인물들은 내면의식의 표출을 호흡이 긴 장문(長文)을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복잡한 내면을 쉼 없이 토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설 안에 서정 양식의 삽입은 내적 독백을 나타내는 하나의 기법이다. 서정 양식을 삽입함으로써 서정 양식이 가진 함축성을 통해 인물이 가진 내면의식을 우회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서정 양식은 작중인물의 단절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도구로 많이 사용된다. 서정 양식이 소설 안에서 이질적인 서술 방식을 동원하게 하여 의도적으로 언어의 통일성을 깨뜨리는 역할을 하며, 또 이것은 인물들의 내면의식에 담긴 세계와의 단절, 자아의 소외의식 등과 같은 단절의식을 드러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명사형 종결 문장은 인물들의 욕구 발현이나 분출을 억압한다. 서술어를 생략한 명사로 문장을 종결함으로써 내면의식의 흐름 또한 끊어버린다. 인물들은 명사형 종결 문장을 통해 자신의 내면 깊은 곳에 있는 욕망을 분출시키지 않고 억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명사형 문장 종결은 소설 인물들의 의식의 흐름을 의도적으로 차단하고, 인물의 억압된 욕망의 내면을 드러냄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인물의 내면의식을 이야기하기 위한 서술 기법으로 감각어 사용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감각적 언어를 통한 묘사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인간의 오감(五感)인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중에 오정희 소설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각과 후각 그리고 청각적 묘사를 중심으로 소설을 분석하였다. 시각적 언어를 통한 묘사는 색채어를 통한 묘사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오정희 소설에서는 색채어 중에서도 ‘빨강’, ‘파랑’, ‘검정’ 그리고 ‘노랑’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의 소설에서 드러난 ‘빨강’의 이미지는 인물 내면의 파괴본능과 죽음 등을 상징한다. 오정희 소설에서 ‘빨강’은 권태로운 일상에 대한 탈출 욕구를 보여주는 색채이다. 그의 소설에서 빨강과 대조되어 나타나는 색채는 ‘푸른색’이다. 푸른색은 소설 안에서 물과 관련된 강, 개천 등과 같은 자연물들로 나타난다. 인간의 내면에서 푸른색은 파괴본능을 상징하는 붉은색과 대조되며 ‘생산의 풍요’를 상징한다. 검은색 또한 빈번하게 등장한다. 소설 안에서 검은색은 밤, 어둠과 같은 이미지들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언급한 색채는 노란색이었다. 그의 소설에서 노란색은 불행하고 연약한 부정적인 과거 회상의 매개체로 사용된다. 후각적 언어를 통한 인물의 내면의식 형상화 연구에서 주로 ‘부패한 냄새’나 썩은 냄새‘ 혹은 ’구역질 냄새‘와 같은 후각묘사를 통해 부정적 자기 인식이나 욕망의 분출을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오정희 소설에 나타나는 청각적 묘사는 인물의 정서와 자기 존재론적 자각에 따른 심리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본고를 통해 필자는 오정희 소설의 주제론적 측면과 기법으로서의 문체적 측면을 고루 살펴보았다. 이전의 단편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좀 더 통합적인 측면에서 오정희의 작품을 바라보았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의식의 흐름 소설 기법에 있어 내적독백과 함께 다른 방식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협소하게 내적독백과 감각언어 정도의 시각에서만 작품을 바라보았다는데 그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이란 인간의 무궁무진하고 다양한 면모를 그려내는 문학 장르로, 인간이 사는 방식에 따라 소설의 내용과 인물의 내면의식 그리고 소설을 창조하는 기법이 변한다. 오정희 소설도 이런 역사와 사회에 따라 변모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본고에서는 오정희의 단편소설의 서술방식과 내면의식 연구를 내적독백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지만, 좀 더 넓은 시각을 가지고 문체와 주제를 종합적으로 바라보는 심도 있는 논의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순천만 자생식물(매실, 노근, 함초)의 피부에 대한 유효활성 분석

        송태 전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23

        본 연구는 국내 청정 순천지역의 특산식물인 매실, 노근 그리고 함초의 피부에 대한 천연화장품 소재로서 이용성 증대를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추출액의 열수 추출물의 제조 시 고유향의 휘발되어 소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온 고압 및 쿨링 시스템(hydro-distillation)을 이용한 매실 고유의 향을 함유한 최적의 증류액과 착즙액의 제조 조건을 확인한 후 유효성분 및 유효성을 분석함으로서 천연화장수와 에멀젼 소재로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 확인하고자 하였다. 노근, 함초 그리고 매실의 에탄올 추출액은 각각 38.4%, 3.41% 그리고 10.0%의 수율로 추출물을 획득하였으며, 추출 방법별로 제조한 매실 추출액의 수율을 확인한 결과, 착즙의 경우 2.49%, prethanol A의 경우 10.07%, prethanol A 침지 및 소니케이션을 병행할 경우엔 5.11%의 수율을 나타냄으로서 prethanol A 침지법이 가장 효율적인 추출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노근, 함초, 매실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3종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고 매실 추출물의 경우는 모든 농도(31.3~1,000 μg/mL)에서 가장 유의할만한 활성을 보였으며 최대농도에서는 노근과 매실의 활성이 40.4%와 41.4%로 유사한 값을 나타냈다. 3종 식물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4가지 용매로 분획물을 제조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노근의 경우엔 n-hexane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유의할만한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250~500 μg/mL의 농도에서는 7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함초의 경우에는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0 μg/mL의 농도에서 40.7%와 49.6%로 다른 용매 추출물보다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나 노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소거능을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매실의 경우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5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노근과 매실의 경우 전자공여능이 우수하여 항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125~1,000 μg/mL)로 SOD 유사활성을 분석한 결과, 500 μg/mL에서는 매실 추출물의 활성이 2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농도인 1000 μg/mL에서는 오히려 노근 추출물에서 35.6%로 함초나 매실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3종 모두에서 크게 유의할만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용매 분획물에서는 노근의 경우 분획물의 농도가 31.3 μg/mL일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이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농도군(62.5~1000 μg/mL)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특히 1000 μg/mL 농도에서 59.8%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함초와 매실의 경우에도 모두 전체적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분획물의 농도가 125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헥산과 물 분획물에 비하여 부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함초의 경우 각각 46.6%와 44.7%, 매실의 경우 각각 43.9%와 45.8%로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매실의 경우 우수한 활성을 보여 산화방지와 노화억제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매실의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에 따르면, 착즙법보다는 prethanol A 추출법에서, 냉동매실보다는 청매실에서, 청매실보다는 황매실에서 훨씬 더 많은 양의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이 용출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분석에서는 prethanol A 추출법이 단순 착즙법보다 훨씬 많은 양의 항산화물질을 용출하였고, 냉동매실보다는 청매실에서 그 효과가 우수하였다. HPLC 분석 결과,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chlorogenic acid, vanilic acid, rutin, quercetin 은 각각 724.63, 75.41, 20.91, 2.46 Unit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되었다. 또한, 5종의 피부관련 미생물(S. aureus, S. epidermidis, P. acnes, C. albicans, M. furfur)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분석한 결과 노근과 함초의 경우는 5종 모두에서 항미생물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매실의 경우 S. epidermidis, P. acnes, C. albicans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S. epidermidis, P. acnes의 경우는 50 mg/mL의 추출물 농도에서부터 150 mg/mL 농도까지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다가 200 mg/mL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C. albicans는 prethanol A 및 착즙 추출액에 의해 모든 농도범위(1~100m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그 효과는 착즙 추출액보다는 prethanol A 추출물에서 더 우수하였다. 또한 100mg/mL의 농도에서는 균의 억제 투명대가 황매실에서 5.0mm로 가장 높았다. 매실추출물의 추출방법에 따른 정상세포의 세포 안정성은 착즙법과 prethanol A법 모두 모든 농도에서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매실종류와 추출방법에 따른 각각의 추출액에 대한 정상세포의 세포안정성은 청매실는 청매실에서, 청매실보다는 황매실에서 훨씬 더 높았다. 인체피부세포 영향을 살펴본 결과 노근과 함초의 경우 모든 농도범위에서 특이할만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고 5~100ug/mL의 농도범위에서 10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신네이즈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해활성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추출물들은 최고농도에서 L-ascobic acid가 62.9%의 타이로신네이즈 저해활성을 보인 반면 매실, 함초, 노근의 경우는 28.8%, 23.3%, 31.8%로 절반 이하의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노근, 함초, 매실 추출물이 B16/F10 melanoma 세포내의 tyrosinase 활성도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3종의 추출물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사한 정도의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100 μg/mL농도에서 매실이 20.40%의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함초와 노근이 30%의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매실, 함초, 노근 3종 추출물 모두가 직접적으로는 타이로시네이즈 효소활성을 억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멜라닌의 함량은 arbutin이 59.89%로 나타났으며 3종 추출물의 경우 매실이 79.89%, 함초가 72.90%, 노근이 67.70%로 나타나 3종 추출물 모두 양성대조군인 arbutin보다는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가 낮게 나타났으나 노근 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으로 세포내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매실향이 함유된 증류액 수득에 필요한 최적 온도 분석결과 최적온도는 100~110℃, 최적의 추출시간은 4시간으로 확인되었다. 매실 향에 대한 관능검사 실시결과, 4시간 비파쇄군, 매실 증류액(60%)과 증류수(40%)를 혼합하였을 때 최적인 상태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GC/MS에 의하여 매실 향기성분 분석결과, 매실 향기 성분으로는 benzaldehyde, acetaldehyde, ethanol, n-hexane, hexanal, γ-dodecalactone 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매실향이 첨가된 화장수와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매실, 노근, 함초 추출물은 피부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미백 기능성을 가진 천연 소재로의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기획 성과 요인 분석 : 전라북도 연구개발사업기획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송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jects by studying corporate innovation capabilities, support power, and the impact of planning entities on task planning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jects, focusing on the R&D planning support project in Jeollabuk-do.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explanatory sequential design that added qualitative research after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mixed research,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2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Jeollabuk-do R&D planning support projec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analysis of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business, size, and number of researchers among a company's innovation capabiliti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nd that the amount of support, the period of support, the number of participating institutions, and the corporate supervision will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s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when a company supervises a task and when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participating institutions were large.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using in-depth interviews also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task planning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jects when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participating institutions was large. This study was the first to analyze the R&D planning and support project in Jeollabuk-do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R&D planning and support project and deriv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제도 개선방안 연구

        송태 高麗大學校 行政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1823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제도는 사회적 약자 보호 및 군의 전투력 향상 등을 위해 필요한 제도라고 볼 수 있으나 제도운영에 문제가 있거나 병역면탈 범죄 개연성 등이 있다면 국민개병주의에 입각한 병역의무 부과의 형평성에 크게 위배되므로 마땅히 개선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현행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제도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설문조사 분석 등을 통하여 제도개선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특징으로는 지금까지 연구된바가 없는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제도를 이용한 병역면탈 사례와 감사원 및 병무청 자체감사 결과 분석 등을 통해 현행 제도의 병역면탈 범죄 개연성을 검토하였으며,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제도에 대한 선행연구 사례, 운영실태, 병역면탈 범죄 사례 등을 통해 현행 제도의 이론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을 도출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을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점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제도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 운영 실태, 병역면탈 범죄 및 감사결과 등을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먼저 병역법 제62조에 따라 감면대상을 ‘본인이 아니면 가족의 생계를 유지할 수 없는 사람’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본인이 가족의 생계 책임 유무와 관계없이 형식적 요건에 해당되면 감면처리를 해줌으로써 본래의 법 취지와 상충된다는 점과 병역감면기준 중 특히 남/여의 연령에 따른 부양비율 산정기준은 평균수명의 연장, 경제활동인구의 고령화 및 여성 경제활동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연령기준이 현시대적 상황과 부합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가족관계, 재산액, 수입액에 대한 은닉, 신고누락, 허위진술 등을 통하여 부당하게 병역감면을 받을 소지가 있으며, 서류 출원 시점에서 감면기준에 해당되면 즉시 면제시켜주는 현행 제도의 허점을 이용해서 병역감면기준에 맞도록 조절하는 등 병역면탈 범죄 개연성이 크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 분석결과 현행 제도운영의 불합리성 및 병역면탈 개연성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이할만한 점은 병무청 직원 중 생계곤란 업무에 경험이 있는 직원의 경우는 다른 설문조사 집단보다 현저하게 현행 제도가 불필요하며 제도운영이 부적정하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병역이행에 따른 가족의 생계를 해소할 수 있다고 답변하고 있으며, 생계업무 경험이 없는 직원의 경우는 병역면탈 개연성 부분에 대하여 다른 설문조사 집단보다 병역면탈 개연성이 높다고 답변하고 있다. 이는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제도를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직원들의 의견으로써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답변으로 현행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세 번째는 생계유지곤란사유 병역감면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으로 단기적 방안과 중․장기적 방안으로 살펴보았다. 단기적 개선방안은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병역감면기준 등을 합리적 개선하거나 본래 제도의 취지에 맞도록 제도를 운영하는 방안이며, 중․장기적 개선방안은 병역감면 처분을 일정기간 보류하거나 현행 제도를 폐지․대체하는 방안으로 중․장기적으로 검토해야할 방안이다. 특히 외국의 병역감면 사례를 연구하면서 분단국가로서 우리나라와 국방환경이 매우 비슷했던 독일의 감면제도인 ‘가정형편이 어려운 사람에 대하여 본인이 원할 경우 28세까지 병역복무를 유보할 수 있는 제도’를 중․장기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단어 임베딩 및 데이터 인코딩을 이용한 다음 시점 사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예측 방법

        송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23

        다음 시점에 사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예측 문제 Next Application Most Likely Used(이하 NAMLU)는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다음 시점에 사용할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예측하는 문제이다. 기존의 문제를 통해 살펴본 문제 해결에 필요한 요소는 세 가지이다. 1)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내역 내의 어플리케이션들 간의 사용된 순서 정보와 단말의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것과 2)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시간과 해당 시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는 것, 3)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빠른 추론 속도를 보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NAMLU 문제를 해결하고 세 가지 문제를 풀기 위해 TED(Time Series Deep learning) 모델을 제안한다. TED 모델은 단어 임베딩과 시계열 데이터 인코딩 기법을 사용하는 CNN 기반 딥러닝 모델이다. TED의 구성 요소 및 예측 흐름은 다음과 같다. 단어 임베딩을 이용하여 앱 사용 순서 정보와 상호관계를 학습하였다. 이어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시간과 해당 시간에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하였다. 이를 위해 임베딩 된 결과를 시계열 데이터 인코딩 알고리즘으로 2차원 메트릭스로 변환한 후 딥러닝 모델에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학습 및 예측을 위한 딥러닝 모델은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빠른 추론 속도를 보장하고자 병렬학습이 가능한 CNN 기반 모델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능 실험과 사용자 검증 실험을 진행하였다. 성능 실험에서 TED 모델은 Livelab 데이터세트에서 Recall@5 기준 84.5%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동일 데이터세트를 사용한 기존 선행 연구 대비 약 5% 포인트 높은 성능이다. 또한 선행 연구 대비 20% 정도의 파라미터만 사용하였으며, 1초 이상의 빠른 속도를 보일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능 실험에 이어서 NAMLU 문제 해결에 적합한 모델 훈련 방법을 사용자 검증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사용자 검증 실험은 학습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나누는 방식에 따라 크게 4가지 모델 훈련 방법을 나누고 각각을 비교해 보았다. 실험을 통해 확인된 NAMLU 문제에 적합한 모델 훈련 방법은 Transfer learning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내역과 시간 정보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였다. 그리고 TED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NAMLU 문제에서 Convolution 계열의 모델이 사용 가능하며 모델의 성능과 사이즈 그리고 추론 속도를 고려해 보았을 때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음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검증 실험을 통해 NAMLU 문제에 적합한 훈련 방법을 찾은 것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Predicting Next Application Most Likely Used (NAMLU) is a task that automatically predicts a mobile application that most likely is used next using a machine. There are three factors needed to solve the task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1) Identifying usage order information and device state information between applications in the user's application usage history. 2)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the user used the ap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used. 3) Ensuring fast inference speed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to the user. In this paper, a Time Series Deep Learning (TED) model is proposed to solve the NAMLU problem and satisfy those three factors. The TED model is a CNN-based deep learning model that uses word embedding and time-series data encoding techniques. The components and prediction flow of TED are as follows. Word embedding will be used to lear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pps in the app usage order information. After that, to understand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apps, the embedded results will be converted into two-dimensional metrics with time-series data encoding algorithms and then learned into a deep learning model. The deep learning model for TED will use a CNN-based model capable of parallel learning. In this study, performance experiments and user valid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TED model recorded 84.5% based on Recall@5 in the Liveab dataset in the performance experiment, about 5% point higher than the previous paper using the same dataset. In addition, only about 20% of parameters were use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ed was 1 sec faster. It was also confirmed through the user validation experiment that the model training method suitable for solving the NAMLU problem is a transfer learning method. This study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the user's application usage history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e TED model confirmed that the convolution could be used in the NAMLU problem. Considering the model's performance, size, and inference speed, it could be a reasonable choice.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ould be found in finding a training method suitable for the NAMLU problem through user validation experiments.

      • 病院會計制度에 관한 硏究

        宋泰五 순천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1823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heory or principles of not-for-profit organizations and the profit enterprises accounting. In fact, on the assumption of that basic thought, statement of the Financial Accounting Concepts No. 4 by FASB(1980) is dealing with the basic concepts of the not-for-profit organizations. But it is true that there are quite differences by industry in the accounting principles and customs, even in the same profit enterprises accounting. The rule of Accounting Standards No. 94 suppose to this fact. Hospital management as not-for-profit organizations has several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at of general profit one. Therefore hospital accounting systems are different from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differ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 accounting system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of study of current hospital accounting and will estimate the reality of our country's hospital accounting system. As the result, the following improvements of S hospital accounting system are suggested. First, recognition time of revenue and cost should be adopted accrual basis form hospital accounting. Second, hospital organization should be prepared and operated for cost accounting possible. Third, the current medical insurance screening system should be revised to objectively recognize medical fee incur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