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대학교 신입생의 출신 고등학교 유형, 학습양식 및 학교적응의 관계

        김은정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6 敎育論叢 Vol.53 No.2

        본 연구에서는 일반고, 자율고, 특목고를 졸업한 교육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출신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인지적ㆍ정의적 학습양식과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들의 학습 양식에 따라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개 교육대학교 611명의 대학 생에게 인지적ㆍ정의적 학습양식 검사(CALSIU, 김은정, 2014)를 실시하고, 일원분산분석 및 t검증 을 통해 연구문제를 탐색하였다. 주요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학입학 성적 수준이 서로 비슷한 교육대학교 학생 간에는 출신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학습양식이나 학교적응에 유의한 차 이가 없다. 그러나 학습양식에 따라서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대학교에서 학생을 선발하 고 그들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출신 고등학교를 고려하기보다 학생 개개인의 학습양식을 탐색하고, 학습양식에 맞는 학습방법과 학교적응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Network Analysis of Hepatic Genes Responded to High-Fat Diet in C57BL/6J Mice: Nutrigenomics Data Mining from Recent Research Findings

        김은정,김은정,권은영,Hyun-Seo Jang,허철구,최명숙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3 No.4

        Obesity and its associated complications, including diabetes, dyslipidemia, atherosclerosis, and some cancers, have been a global health problem with a rapid increase of the obese population. In this study, we selected 31 obesity candidate genes in the liver of high-fat-induced obese C57BL/6J mice through investigation of literature search and analyzed functional protein–protein interaction of the genes using the STRING database. Most of the obesity candidate genes were closely connected through lipid metabolism, and in particular acyl-coenzyme A oxidase 1 appeared to be a core obesity gene. Overall, genes involved in fatty acid β-oxidation, fatty acid synthesis, and gluconeogenesis were up-regulated, and genes involved in sterol biosynthesis, insulin signaling, and oxidative stress defense system were down-regulated with a high-fat diet. Future identification of core obesity genes and their functional targets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way to prevent obesity by phytochemicals or functional foods on the basis of food and nutritional genomics.

      • 교육대학교 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학습전략의 특성

        김은정 학습전략중재학회 2012 학습전략중재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지적·정의적 학습유형의 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습전략의 특성이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용 학습전략 검사지를 개발하여, 대학생용 인지적·정의적 학습양식 검사지(김은정, 2008)와 함께 교육대학교 학생 500명에게 실시하였다. 데이터는 SPSS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회귀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트필기에서 '논리형', '통합형', '참여형'의 학생이 내용을 잘 정리하여 이해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둘째, 시험암기전략과 시험시간에서 '표면형', '시도형' 및 '참여형'의 학습자가 암기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며 더 오랜 시간 공부한다. 주의할 것은 '표면형'으 학습자는 이렇게 더 많이 공부함에도 불구하고 학습에서의 깊이가 얕다는 점이다. 즉 '표면형'의 특성이 강할수록 학습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계획관리와 도전의욕에서 '개방형'과 '폐쇄형'의 학습자는 상반된 특성을 갖는다. 즉 '계획형'의 특성이 강할수록 계획관리는 잘 하지만 도전의욕이 상대적으로 낮고, '개방형'의 특성이 강할수록 도전의욕이 높으나 계획관리에서 효율성이 낮다. 넷째, 모든 학습전략을 잘 활용하고 있는 것은 '참여형'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참여형'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교수학습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 KCI등재

        과학 탐구 후 토의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토론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김은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discussion activity after science inquiry on discussion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students in the after-school science inquiry class of W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 city and 16 students in the after-school science inquiry class of J elementary school. The test tools used were the discussion ability test and the science attitude tes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12 times in total after-school hou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did discussion activities after scientific inquiry had a positive effect on discussion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only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scussion and drawing activities after scientific inquiry have a positive effect on discussion ability and scienc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lower grade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 후 토의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토론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J시에 위치한 W초등학교 방과후 과학 탐구반 16명과 J초등학교 방과 후 과학 탐구반 16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사용된 검사도구는 토론 능력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이고, 실험처지는 주 2회 60분씩 총 12회에 걸쳐 방과 후 시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과학 탐구 후 토의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과학 탐구만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토론 능력과 과학 태도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학 탐구 후 토의 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토론 능력과 과학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초등학생 학습양식 및 성별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학교 적응력 분석

        김은정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6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습양식 및 성차에 따라 교사가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을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 부산, 대구, 대전 지역의 6개 학교 2~6학년 852명의 남ㆍ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용 인지적ㆍ정의적 학습양식 검사(김은정, 2008)를 실시하고, 담임교사에게는 초등학생 학교적응 체크리스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응답결과는 SPSS window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첫째, 학습양식 구성요소 중 정의적 구성요소인 ‘참여정도’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적응 전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이 ‘참여’형의 특징을 강하게 나타낼수록 교사의 평가는 수업적응, 교사적응, 규칙적응, 환경적응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수업을 비롯한 학교생활에 있어 ‘참여’하는 태도가 중요함을 확인해 준다. 둘째, 교사들은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학습양식 구성요소 중 인지적 구성요소보다 정의적 구성요소가 더 중요한 것으로 지각한다. 인지적 구성요소인 ‘정보인식’과 ‘정보처리’는 교사가 지각한 ‘수업적응’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정의적 구성요소인 ‘참여정도’는 수업적응, 교사적응, 규칙적응, 환경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참여형태’는 ‘수업적응’ 및 ‘교사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성차에 따라 학교적응에는 차이가 있다. 교사가 지각한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우적응을 제외한 수업적응, 교사적응, 규칙적응, 환경적응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남학생이 학교적응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ze the school adjustment to elementary school of students by learning styles and gender differences. Cognitive & Affective Learning Style Inventory for Elemetary School Students(CALSIE) developed by E. J. Kim(2008) were performed with 852 students of 6 elementary schools except first grade students in 4 big cities. And the checklist on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erformed with class teacher. Test results were explored by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The drawn conclusions were the following as : First, Teachers realize 'a degree of participation' in the affective element is most important. Teachers recognize 'a degree of participation'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adjustment to teaching & learning, teacher, rules, and environments. Secondly, teachers perceive the affective elements are more important to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cognitive elements. 'Processing type' and 'perception type' in cognitive elements have an important effect on students' adjustment to only teaching & learning. Finally, teachers perceive that female students usually adjust well to elementary school than male students. Teacher should take care of male students to adjust to teaching & learning and school life.

      • KCI등재

        디지털 학습환경에서의 기독교 교수-학습과정 : 하이퍼텍스트 체제를 중심으로 Focused on Hypertext System

        김은정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3 기독교교육정보 Vol.6 No.-

        This paper explores the Christian teaching-learning process in th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hypertext system), which is attempted to promote the faith of the learner in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This holistic faith has not been encouraged enough in the traditional Christian teaching-learning process. In this sens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gives us different insightful ways to reflect the prevalent traditional Christian teaching-learning process. It is meaningful for these information technologies to be accepted in Christian education as the useful method of Christian teaching-learning process. To do so, I suggest that the concept of hypertext as an essential new-media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traditional text. The hypertext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text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of 'nonlinearity' and 'interactivity.' This hypertext is helpful for learners to interact more efficiently with educational variations in constructive teaching-learning process. Here I present a concrete model of hypertext system of Christian teaching-learning process, at which is aimed in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content and method. This model suggests that the learners in digital environment, In which hypertext system is constructed, can be trans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 with educational variation, and, as a result, accomplish their growth of faith in the dimensions of cognition, affection, and behavior. I expect that the hypertext system is able to raise the efficiency of Christian teaching-learning process by maximizing it.

      • 교사의 자율동기 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수업전략의 차이: 읽기영역을 중심으로

        김은정,임효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교육논총 Vol.35 No.1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latent sub-groups based on teachers' reading self-determination,an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group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inreading motivation,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in reading class, depending on thetypes of autonomy motivation. A total 206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Latent ClassAnalysis(LCA)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19.0 and Mplus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ree subgroups within the sample were found to be qualitatively different as they presented“high intrinsic-high extrinsic regulation” group, “high-intrinsic regulation” group, and “low-intrinsicregulation” group. Second, except avoidance, reading motivation (measured by MRQ; Baker &Wigfield, 1999) and reading activities (e.g. amount of time spend in reading, ) were found to behigher in higher intrinsic groups than in low intrinsic group. Third, teachers who have moreautonomous motivation(i.e. higher intrinsic regulation groups) showed higher teacher efficacy andmore frequent use of instructional and assignment strategies in reading class. 본 연구는 읽기영역에서 학생들의 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된 요인 중 하나인 교사의 읽기동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자기결정성 이론의 동기 조절 유형(Deci & Ryan, 1985,2000)에 따라 교사의 자율동기 유형을 탐색하고, 유형별로 나타난 교사의 동기양식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교육대학교 및 사범대학교 국어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 조사자료 266부를 분석하여 영역별 최종 문항을 확정한 뒤, 실제로 읽기 수업을 진행하는 초등학교 교사와 중·고등학교 국어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읽기 자율동기와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높은외적-높은내적조절’, ‘낮은내적조절’, ‘높은내적조절’의 세 가지 유형의 집단들로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보아 내적 조절동기가 높은 집단들은 긍정적 읽기동기를 가지고 있었고,효과적인 수업전략 및 과제전략의 사용빈도가 높았으며, 교사효능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건강도시 지표 및 지수 개발과 수도권 지역의 적용에 관한 연구

        김은정 국토연구원 2012 국토연구 Vol.7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dicators and index of healthy cities, to apply them in Seoul Metropolitan Area(SMA), and to utilize them as monitering systems of healthy city policies. The analyses are dune at the cities, counties, and communities levels on 2009, and covered SMA. It collected appropriate healthy cities indicators after reviewing literatures and interviewing experts in public health and planning fields.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used to find the parameters among the indicators and produced index of healthy cities. For the result of expert survey, citizen's health condition(32.8%) was the first priority, and environment(28.4%) was second important one from the components of healthy cities. The following were healthcare service(2.5%) and socioeconomic factor(16.3%). As an index of healthy cities in SMA, Gangnam-gu(1.227), Seocho-gu(1.080), and Gwacheon-si(0.826) were top three regions. the regions of top 20% of healthy cities indices were clustered in southeast and downtown of Seoul, and southern part of Gyeonggi while the areas with bottom 20% located in islands in Inchoen and northeast Gyeonggi.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e indicators and index of healthy cities in Korea. It further provides useful insights into planners in monitering current systems and building appropriate policies.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적인 건강도시 지표와 지수를 발굴하여 수도권의 지역별 건강도시 수준 측정에 적용하는 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수도권으로 하되, 분석단위는 66개 시·군·구로 한다. 우리나라에 적용할 바람직한 건강도시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서 외국과 국내 유사사례를 검토하였고,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지표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고, 보건과 환경, 사회·경제 수준을 통합적으로 반영하는 지표를 설정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 및 AHP 분석을 통해 건강도시 지표 간 가중치 산정으로 지수의 파라미터 값을 확정하여 건강도시지수를 도출하였다. 수도권 66개 시·군·구별 건강도시지수 산정 결과, 강남구(1.227), 서초구(1.080), 과천시(0.826)가 최상위 수준을 보였다. 건강도시지수의 시·도별 비교 결과, 서울이 0.262로 경기(-0.152)와 인천(-0.176)에 비해 월등히 높고, 도시규모별 비교에서는 대도시(0.186), 중소도시(-0.225), 농촌(-0.620) 순으로 나타나 권역별로 격차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다룬 건강도시 지표와 지수를 활용하여 지역별 수준을 진단하고, 부족한 지표를 보완하는 사업에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지역특성에 맞는 바람직한 건강도시 정책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일본 카구라(神樂)복식에 관한 연구 - ‘나생문(羅生門)’을 중심으로-

        김은정,윤은영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2

        Rooted in mythology and rituals, kagura is a sacred artistic dance where mythological gods dance in order, to wish good fortune on villagers. As various cultural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times, kagura has started to draw attention in terms of product value in various fields of art. Studies on kagura costumes can be a way to examine traditional Japanese clothing in its entire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articles and books about kagura, as well as field work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Kagura costumes in Nasaengmun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s wore the same traditional Japanese clothing as worn by warriors of the Heian era. Traditional terminology and forms were used for eboshi, a type of hat, hakui, basic white clothing, and ooguchi, loose trousers. Second, the influence of Noh and Kabuki was traceable. For instance, a correlation can be estimated between kagura and Kabuki due to the fact that the kagura costume worn by Oni utilizes Yoten, a term also used in Kabuki costumes. Third, it was revealed that a variety of forms, materials, and patterns were used to maximize visual effects. The forms of the costumes were slightly modified from those of traditional costumes while their materials and pattern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onveying symbolic meanings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일본의 카구라는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이 차례로 나타나 마을 사람들을 위한 축원의 춤을 추는 의식으로 제의성과 예술성을 지닌다. 한국의 굿과 비교할 때 성격이나 형식이 비슷하다. 굿을 할 때 착용하는 복식인 무복은 한국의 전통복식에 바탕을 두고 변화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굿과 비슷한 형식과 성격을 가진 일본의 카구라복식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카구라 관련 연구논문과 연구서적에 대한 문헌조사와 현지 참여를 통한 필드워크로 이루어졌다. 나생문에 나타난 카구라복식의 양상을 파악하고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등장인물들은 헤이안 시대 무사들이 착용한 일본 전통복식을 착용하였다. 머리에 쓰는 에보시, 기본복식인 백색상의 하쿠이, 바지 통이 넓은 오오쿠치는 명칭과 형태가 전통을 유지하고 있었다. 둘째, 노와 가부키의 영향을 추측 가능하게 하였다. 오니가 착용한 카구라복식은 가부키복식에서 사용하는 요텐이라는 복식용어를 사용하고 있어 가부키와의 상호 연관성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셋째, 시각적 효과를 위한 형태, 소재, 문양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식의 형태는 전통복식의 형태에서 조금의 변화를 주었으며 소재와 문양은 연행자와 관람객사이에 의미를 전달하는 중요한 상징적인 의미로 다가서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