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지원정책 영향 : - BK21사업을 중심으로 -

        김명진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03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지원정책 영향 - BK21사업을 중심으로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세계 인재랭킹에서 우리나라는 30위권에 정체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인재개발을 위한 투자와 발전이 우수한 편인 반면 인재를 유치하는 매력도가 저조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청년과학자의 불안정한 신분, 단기성과 위주의 평가, 과도한 경쟁 유도, 프로젝트 기반 인건비 지원제도 등 불안정한 연구환경을 조성하는 정부정책 영향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이공계지원특별법을 제정하고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 추진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등 과학기술 연구 인력양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로인해 대학원 입학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특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세부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연구는 조직 차원의 접근을 통해 인력양성 지원 정책영향을 분석하는 양적연구이다. 정부의 대표적 연구인력양성 정책인 BK21사업 수행 대학을 대상으로 대학의 재정수혜가 대학원생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주요 대학의 대학원생 진로 지원제도 현황들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는 개인 차원의 접근을 통해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영향을 분석하는 질적연구이다. Bloom의 전문성 발달이론과 Csikszentmihalyi의 체제모형을 응용하여 BK21사업 수혜자인 과학자 7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실시하였다. 과학자의 성장단계별 주요 질의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 주요 특성과 정책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에서 전체 대학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 연구비는 대학원생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학원생 장학금은 진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생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 연구비를 확보에 집중해야 하고, 진학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학금 확보에 집중하는 운영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세부적인 대학 유형별로 샘플을 분리하여 재정수혜가 대학원생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공립 대학에서는 재정수혜의 영향이 확인되지 않고, 사립대학에서는 연구비와 장학금의 영향이 확인되는데 그 결과가 소재지에 따라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방 사립대학에서는 장학금 지급 여력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진학률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추가 점검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이후 계량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대학의 대학원생 진로지원 제도들을 분석하였는데, 대학원생 진로에 대한 전주기적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많은 제도들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많은 대학이 공통적으로 취업지원 교육과정 개설, 취업박람회 및 상담지원과 같은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고, 특히 지방대학은 자교 학생이 수도권 대학으로 진출하지 않고 자교로의 진학을 유도하기 위해 자교 출신학생 장학금 제도 등을 시행하면서 학생 수급에 많은 재원을 투입하고 있었다. 이것은 재정수혜가 대학원생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연구와도 일관성 있는 타당한 결과로 볼 수 있겠다. 두 번째 연구를 통해 과학자들의 발달과정은 각기 다양하였지만 공통적인 특성들도 상당수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Bloom의 이론과 일치하게 입문기인 학부생 시절에는 자신의 전공영역에서 수업을 통해 흥미있는 분야를 발견하는 시기였고, 과도기인 대학원생과 박사후연구원 시기에는 자신의 세부 전공분야에서 자기주도적 스스로 학습, 의사소통능력, 시간활용능력 등을 습득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완성기에는 자신의 분야에서 과학자로 뛰어난 업적을 남기고 싶어 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인터뷰 결과로 확인된 과학자들의 전문성 발달단계별 특성은 Bloom의 전문성 발달이론이 정부정책 수혜자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입문기, 과도기, 완성기로 단계별로 진화하면서 전문성이 발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각 발달과정에서 Csikszentmihalyi의 모형에 따라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상호작용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K21사업 중심으로 각 발달과정에서의 지원정책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대학원생 시기에는 등록금 등 학비 지원과 해외연수 지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고, 박사후연구원 시기에는 해외로의 박사후연구원 진출을 기본경력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해외 박사후연구원으로 진출 하기 전 공백기간 동안 연구활동이 단절되지 않도록 BK21사업 신진연구인력 지원제도가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로 임용된 후에는 연구활동과 학과 운영에 정부정책 및 평가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고, BK21사업의 과도하게 많은 평가지표로 인해 실효성 없는 단기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는 부작용도 일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와 연구배경, 선행연구 분석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 및 BK21사업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제언들은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과학기술 인력양성을 고민하는 정부의 정책 기획자, 정부 예산을 어떻게 집행해야 인력양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준정부기관의 관리자에게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과학기술 인력양성, 전문성 발달, 대학원생, BK21사업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xpertise of scientists and the influence of support policies - Focused on the BK21 program - Myeongjin Kim Department of Public Policy,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wanpyo Bae) In the world talent ranking announced yearly by the Swiss Inter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MD), our country is stagnant in 30th place. While our country has excellent investment and development for talent development, the attractiveness of attracting talent is low. This is related to the impact of the government policy that creates unstable research environments such as the volatile status of youth scientists, short-term evaluation, excessive competition inducement, and project-based systems. In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is making a lot of efforts to foster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by enacting a special law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upport and expanding the budget for promoting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Due to this, the number of graduate school students has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 graduates is steadily ris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licy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s policy in science and technology, draw problems and propose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is. This study consists of two detailed studies. The first study is a quant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policy impact of support for manpower through an organizational approach.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on the careers of graduate students was analyzed for the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BK21 program, the government's representative research human resources, and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support systems for graduate students at major universities was examined. The second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impact of fostering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hrough personal acces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cientists who are the recipients of the BK21 program by applying the system model of Bloom's expertise development theory and Csikszentmihalyi.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ajor questions and answers by the scientists' growth stage, we analyzed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act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cientist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tire university as a research subject,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ors' research funding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graduate students' employment, and scholar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advancement. This means that if we want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we should focus on securing research funds for professors, and if we want to increase the entrance rate, we should set up an operational strategy that focuses on securing scholarships. Next, the sample was separated by detailed college type and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on graduate student pathways was analyzed. The National University h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is not confirmed. The impact of research funds and scholarships at private universities is confirmed and the results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 particular, the local private universities have been asked to further check whether the students' entrance rate is low due to a lack of scholarship allowance.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e have analyzed the pathway support systems of major universities in Korea. It has been confirmed that many institutions are operating the system to build customized support systems for graduate students. Many universities have commonly operated institutions such as the opening of the job support curriculum, job fairs, and counseling support, and the local universities have invested much of their student scholarships to encourage students to enter the self-governing school. This can be seen 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on graduate students' careers. The second study showed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scientists varied, but there wer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Bloom theory, scientists in their undergraduate years found their field of interest through classes in their major and learned about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ability to utilize their specialized field during their graduate school days. The final stage showed the characteristics that wanted to leave outstanding achievements with scientists in their fiel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tise development stages of scientists confirmed as the result of the interview show that Bloom's expertise development theory can be applied to government policy recipients. It was confirmed that expertise develops as it evolves through the stages of entry, transition, and completion, an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ppear to have mutual influences in each development process. Next, the impact of support policies at each stage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BK21 program. Tuition support and overseas training during graduate school had an impact, and postdoctoral research students valued their research experience abroad. It was shown that the BK21 program manpower system is playing a stepping stone to preventing research activities during the vacuum period before going to the overseas postdoctoral researcher. After being appointed professor,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policy and evaluation influenced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he operation of the department, and the excessive evaluation of the BK21 program was found to have some side effects operating inefficient short-term programs.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results, research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raining policy and the BK21 program policy were presented, and policy improvement plans were presented. The policy proposals of this study will be a good reference for government policymakers who are thinking about fostering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in preparation for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 managers who are thinking about way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cience and technology. Keywords : the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s training, expertise development, graduate student, the BK21 program

      • 다산 정약용의 정책론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

        정철종 忠南大學校 國家政策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초록> 정 철 종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국가정책학과 글로벌공공정책전공 (지 도 교 수 오 영 달) 다산 정약용의 정책론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 조선후기의 지배층에게 백성은 지배와 수탈의 대상이었다. 통일 신라 이후 1,500년 동안 변하지 않은 지배층의 권력 유지와 확대는 조선 후기에 들어와 그 모순이 극단적으로 나타났다. 국가의 정책과 중심과제가 국가나 백성들에게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지배 권력을 중심으로 접근되었다. 그러므로 백성들의 삶은 피폐하고 국가마저 존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었다. 다산 정약용은 조선후기의 이러한 사정 하에 나름대로의 새로운 국가정책을 제시하여 망해가는 조선왕조를 다시 세우고, 백성들의 생존과 생활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다산 자신이 관료생활을 했고, 오랜 유배기간 동안 백성들의 삶을 직접 목도하면서 내놓은 정책은 현실을 바탕으로 했고, 많은 유학적 전례와 당시 서양과 중국에서 전래된 많은 선진 학문의 영향을 받아서 국가 실정에 맞게 정책을 제시하였다. 조선 왕조가 양난 이후 국가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왕권은 무력했으며 일부 벌열가문을 통해 형성된 지배구조가 지방의 탐관오리와 연계하여 법적·제도적 도구를 이용해서 합법적으로 백성들을 착취해가는 형태의 국가 운영 체제였다. 다산의 현실개혁 정책론 속에는 현대에도 그 가치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근대성’을 발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선 후기에 일찍이 근대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산은 부패하고 비효율적인 제도와 기구를 해체하고 국가의 실정에 맞는 효율적인 기구의 설치를 통해 근대국가로의 전환을 모색했으며 많은 백성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는 정책을 통해 조선 근대를 열어가는 훈련된 개인으로 만들어가는 정책도 제시했다. 개인 재산의 허용과 노동과 부의 축적을 통해 자본주의적 사적 재산을 형성하도록 했다. 이러한 다산의 정책과 제도 개혁 노력은 조선 후기에 있어서 ‘근대성’을 표출한 중요한 사례로서 오늘날 국가정책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ABSTRACT**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National Public Poli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Public Policy conferred in February 2020 A Study of Modernity in the Policy Discourses of Dasan Jung Yak-yong Cheol-chong Cheong Graduate School of National Public Poli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Dahl Oh)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the ruling class, which remained unchanged for 1,500 years after the Shilla kingdom, exis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ocial contradictions were rampant. The state’s policies and central tasks were approached, centered on ruling power, not the state or people. Therefore, the lives of the people were devastated and the situation was difficult for the whole nation to survive. Under these circumstances, Dasan Jung Yak-yong proposed his own new national policies in order to reestablish the ruined Joseon Dynasty, and tried to improve the standards of life of the people. Dasan himself lived as a bureaucrat, and presented his policy discourses on the basis of the reality of the people witnessing it for himself while in exile. The Dasan’s policy discourses were suggested to meet the national situ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fucian precedents, taking into consideration many advanced studies that were introduced from the West and China at that time. After the Joseon Dynasty, the nation’s discipline were weakened and the power of kingship was incapacitated, and the ruling structure was established, centered on some noble families, connected with the local officials, and exploited people seemingly on the basis of then civil law. Dasan’s ideas of administrative reform are theoretically important in that we can find some Weberian elements of ‘modernity’ which can be valued even in modern times. Dasan sought to transform Joseon itself into a modern state by dismantling corrupt and inefficient institutions, and by establishing efficient institutions in line with the state’s situation, and opening up new modernity through policies that gav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many people. Dasan also proposed a policy of educatiing people. His policy idea promoted the formation of capitalist private property through the fruit of labor and accumulation of wealth. These policy ideas of Dasan should be recognized as significant examples of ‘modern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y st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national policies today.

      • 소재·부품·장비 산업 수출경쟁력 분석 연구 : 일본 수출규제 이후 수출입 변화를 중심으로

        이정인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한국 소재‧부품‧장비 산업이 일본 수출규제 이후 정책 변화에 따른 수출입 현황 및 경쟁력을 연도별, 산업별, 국가별로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수출경쟁력 분석 방법으로 수출시장점유율(EMS), 무역특화지수(TSI)를 활용하였고, 무역시장다변화 분석을 위해 허핀달-허쉬만 지수(HHI)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수출경쟁력을 나타내는 결정 계수를 찾아 지수의 설명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각 산업의 수출입 현황은 소재 산업의 수입의존도 감소와 수출 증가로 무역수지가 개선되고 있었고, 부품 및 장비 산업은 여전히 효과가 미비했다. 국가별로 비교해 보면 중국과의 교역 비중이 감소하고 일본, 미국, EU의 수출입 비중이 증가하며 무역수지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정부의 정책과 국내외 다양한 요인에 의해 무역국가의 다변화가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또한 수출경쟁력 지수 및 무역시장다변화 분석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산업 모두 시장점유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소재 산업에서 수출특화 증가세가 크게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기존 중국, 베트남에 집중되던 수출이 미국, EU 시장으로 다각화되며 수출 국가의 다변화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재·부품·장비 산업 정책 변화에 따른 수출경쟁력 향상 및 다변화 양상을 실증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로 인한 정책 변화의 초기 효과를 파악하고, 향후 중장기 효과를 거두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현황 및 수출경쟁력을 다양한 방면에서 실증 분석하여 정책 개선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는 향후 정책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미성을 분석하는 연구에 선행 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material,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in various aspects by year, industry, and country due to policy changes after Japan's export regulations. As an analysis method, export market share and trade specialization index were used, and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was used to analyze trade market diversification. In addition,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presenting export competitiveness was found to increas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x.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ort and import status of each industry was improving due to a decrease in the dependence on imports of the material industry and an increase in exports, and the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were still ineffective. Comparing by country,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trade with China decreased, the proportion of imports and exports from Japa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increased, and the trade balance improved. This shows that after Japan's export regulations, the diversification of trading countries appeared due to the government's policy or various factors at home and abroa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initial effects of policy changes caused by Japanese export regulation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achieving mid- to long-term effects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and export competitiveness were empirically analyzed in various ways to present specific directions for policy improvement, which can be used as a preceding study to analyz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policy effects in the future.

      • 기술사업화 역량이 중소기업 지원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원정책 선호도의 조절효과 분석

        최정미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As one of the government’s key policies related to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 national innovation cluster centered on an innovative city is established to promote corporate investment by linking the innovative city with neighboring regions with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also an industry-academia-research ecosystem is created to transform the district into a regional area. It is being developed as a base for growth. In order to make use of the purpose of these polic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foster local specialized industries, and to support industrial investment through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to nurture industries in the district. Chungcheongbuk-do is promoting the national innovation cluster nurturing project to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through the growth of regional cluster companies and the advancement of representative industries. It is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capabilities of companies located in the national innovation cluster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industries, and to support appropriate technology users from the viewpoint. In this study, 71 samples were obtain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intelligent high-tech parts industry located within the National Innovation Cluster. Based on this,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f companies located in the Chungcheongbuk-do National Innovation Cluster were diagnosed and the results of support policies for SMEs were studie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manufacturing production capability, and commercialization capa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SME support policy preference, education support preference, information provision support preference, product manufacturing support preference, as moderating variables, supportability, SME support policy outcome, Contribution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investigated.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etwee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and government support policy outcomes.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핵심정책 중 하나로 혁신도시 중심의 국가혁신클러스터를 구축하여 혁신도시와 산업경쟁력을 갖춘 인근 지역을 연계하여 기업투자를 촉진하고 산‧학‧연 생태계를 조성하여 해당 지구를 지역성장거점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지역 특화 산업에 대한 이해와 육성이 필요하며 지구 내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해 기업투자를 지원해야 한다. 충청북도는 지역클러스터 기업의 성장 및 대표산업 고도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산업 발전을 위하여 국가혁신클러스터 내 위치한 기업들의 역량을 진단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기술수요자 관점의 지원이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혁신클러스터 내에 위치한 지능형 첨단 부품 산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71개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이를 토대로 충청북도 국가혁신클러스터 내에 위치한 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을 진단하고 이에 따른 중소기업 지원정책 성과를 연구하였다. 기술사업화역량인 제품개발능력, 제조생산능력, 사업화능력을 독립변수로, 중소기업 지원정책 선호도인 교육지원 선호도, 정보제공지원 선호도, 제품제작지원 선호도를 조절변수로, 중소기업 지원정책 만족도인 지원성, 기여성, 전문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각 변수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사업화역량과 정부 지원정책 만족도와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사업화역량인 제품개발능력, 제조생산능력, 사업화 능력은 지원정책 만족도인 지원성, 기여성, 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소기업 지원정책 중 교육지원 선호도는 사업화 눙력과 기여성과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며, 정보제공지원 선호도는 제품개발능력, 제조생산능력, 사업화능력과 기여성과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또한, 제품제작지원 선호도는 제품개발능력과 기여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부(-)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의 지원정책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이 중요하며, 이러한 역량향상을 위해서 중소기업에게 필요한 정보제공과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품제작지원 선호도는 제품개발능력과 기여성과의 관계에서 부(-)의 영향을 나타냈지만, 제품개발능력이 우수한 기업일수록 시제품제작능력도 높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상기하면 사업화 프로세스 단계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중요하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에게 알맞은 정보제공과 역량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기업의 기술사업화 역량향상을 통해 기업 및 산업의 발전과 지역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미세먼지법 정책결정 과정 분석 : 발전·산업부문 중심으로

        서성화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과거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산업·발전부문에 의한 미세먼지에 대한 정책이 왜 2015년 이후에 주목받고 미세먼지 특별법까지 만들어진 이유가 무엇일까에 대한 연구 배경으로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게 되는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s Framework)은 Kingdon에 의해 쓰레기통 모형을 확장한 모델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비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문제의 흐름, 정책 대안의 흐름, 정치의 흐름, 그리고 정책의 창이라는 개념을 통해 미세먼지 특별법 제정 의제설정 단계를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 문제의 흐름 부문에서는 오래전부터 황사 먼지는 봄(3~5월), 겨울(11~2월)철에 집중 발현하여 국내 미세먼지 배출과 동반하여 점차 위험한 현상을 가져왔다. 한편, 국내에서는 소위 ‘클린디젤’이라 불리는 경유차가 2011년부터 본격 증가하였는데, 2015년 등록대수 기준으로 전체 183만대 자동차 중 경유차가 96만대로 상당수 차지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국가의 전력수급의 주요한 역할을 하는 석탄 화력 발전소는 1990년대 말에 들어서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최근까지도 꾸준히 증설해 왔다. 이에 더불어 발전·산업계에 사용되는 유연탄 수입도 활발한 시기였다. 특히 문제의 흐름단계에서 미세먼지 현상은 과거부터 늘 존재하였던 시기였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2006년~2008년 시기에 해당하는 도시대기측정망에 영향인자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들은 기상인자(평균기온, 강수량, 평균풍속), 공장비율, 석탄화력발전량, 유연탄 및 무연탄 시도별 거래량으로 확인되었다. 더미변수로는 동해안에 위치한 발전소와 거리가 멀어질수록 도심의 미세먼지 농도는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다중선형회귀분석의 설명력은 63.01% 이며, 다중공선성도 모두 10이하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정책의 흐름 부문에서 기상청은 기술발전과 함께 황사관련 정책에 대해서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관리 정책으로 전환하였다. 때마침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의 발표로 미세먼지에 대한 심각성을 경고하여, 환경부에서도 미세먼지를 주요 환경오염인자로 인식하여 관련정책들을 추진하였고, 2013년 8월 수도권 시범 예보 시행에 이어 2014년 2월에 전국적으로 미세먼지 정식 예보를 시행하였다. 세 번째, 정치의 흐름 부문에서 2000년대 이후 한국과 중국 사이의 무역량이 증가되고 경제관계가 긴밀해졌다. 2010년대 중국의 부상과 희토류 사건 등 국제 갑질, 잇다른 조선족 범죄(2012년 오원춘 사건 등), 무분별한 중국관광객 등으로 인해 국내에 반 중국 정서가 깊어지게 되었다. 게다가 중국이 자국 내 대기오염유발 공장을 동쪽해안으로 옮겨짓는 다는 설이 오가게 되고, 2010년대 중반에 국내 미세먼지 현상이 악화되자 국민들의 키워드 동향을 살펴보면 ‘중국 발 미세먼지’가 주된 여론을 형성 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한중관계 악화를 우려했기 때문에 중국 발 미세먼지라고 확정하기 어려웠으며, 국내요인을 규명하는 데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이행계획이 담긴 ‘POST-2020’ 가 등장하면서 국제정서를 따르게 되었다. 이 시점에 2017년 대선을 앞두고 정부 여당은 2015년부터 대선공약에 미세먼지 관련 정책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었다. 네 번째, 정책의 창 부문에서는 2015년 2월 때 아닌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가 찾아왔고 당시 비수도권 지역에도 고농도 현상이 나타났다. 언론 보도건수는 1만2천 건에 이르고 더불어 그린피스에서는 국내 초미세먼지에 대한 중국영향은 30~50%에 그치며 절반이상은 국내 요인으로 자동차, 공장, 석탄 화력 발전소 이며 정부의 예보시스템의 미숙한 정확도를 비판하였다. 그리하여 2016년 5월 10일 박근혜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미세먼지는 국민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중차대한 문제로 국가적 차원에서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라며 대책마련을 지시하면서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었다. 곧바로 5월 25일에 정부는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면서 대책 마련을 위한 관계부처 합동 테스크 포스를 구성 하고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제2차 수도권 대기환경 기본계획의 목표를 조기 달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미세먼지 관리 특별 대책을 같은 해 6월에 발표하게 되었다. 이후 새 정부가 출범하며 2017년 9월 26일 정부 합동으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이 수립되면서 미세먼지 배출원의 국내 요인으로써 발전·산업용 유연탄 사용에 따른 환경규제가 본격적으로 강화되었다. 여기에서 정책선도자는 박근혜 대통령과 국무회의 안건을 제시한 기재부·산통부·국토부·환경부 장관으로써, 이들은 미세먼지 문제에 대해 범정부적 대응을 한 역할이 컸다. 그 이유는 높은 국민적 관심과 문제 해결의 시급성과 함께 저감 수단으로 제시되는 타 분야의 정책·계획과 직접적으로 연계되게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It started with the background of a study on why the Fine Dust Act by the industry and power generation sector, not been noticed in the past, has received attention after 2015. The Kingdon’s MSF model is irrationally unpredictable flow of problems, flow of policy alternatives, flow of politics, and policy window. It explains the steps of setting the agenda for the enactment of the Fine Dust Act in this study. (1) From 2006 to 2008 It was recognized only as a China’s yellow dust problem, and industrial and power generation sources were excluded. Meanwhile, a diesel vehicle system, thermal power plants, and increased import of fuel. (2)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yellow dust fine dust forecast system and diesel tax were introduced. From metropolitan air quality has been changed to fine dust policy especially. (3) sentiments against fine dust are rising, by chance, the fine dust policy were highlighted in the pledges of the 19th presidential candidate on 'law, transportation, power generation, international diplomacy' sectors in 2015. (4) the policy window was opened with the announcement of President Park's cabinet meeting in May 2016. And the task force was formed and an emergency entered into special measures against fine dust. Keyword : Find Dust Act, PM10, Coal-fired plant, MSF model, Pooled OLS

      • 「치매관리법」 입법과정 분석 :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으로

        김지훈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1990년대 고령화로 인하여 치매의 문제는 사회문제를 넘어 정부문제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 문제는 사회문제로 촉발된 ‘치매노인에 대한 가족의 부양부담’이 정부문제로는 ‘치매관리를 위한 사회·경제적 비용부담’의 문제로 이어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기존의 정책에 포함하여 관리를 하려하였으나, 그 시도들이 한계에 부딪혀 「치매관리법」이라는 독립법으로 산출되었다. 하지만 산출된 「치매관리법」은 순조로운 독립을 하지 못하였다. 기존에 있던 정책들을 끌어들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야 하나 기존 정책과 중복되거나 그 보다 못한 관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기존 정책에 의존적인 형태의 계획들을 문제로 보았으며, 선행연구에서도 ‘치매’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에서 접근하여 연구를 하기보다 ‘치매관리’로 인해 발생된 사업과 사업의 효과성, 사업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에 「치매관리법」의 정책산출이 된 과정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으로 분석하여 「치매관리법」이 독립법이 된 과정과 독립법이 되었음에도 중심이 되지 못하고 기존 정책에 의존하는 상황을 복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의 동향과 신문기사, 입법심사내용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치매관리를 위한 사회·경제적 비용부담’을 정책의제로 설정하였으며, 정부의제의 중대한 사안으로 엘리트 중심으로 하위정부모형의 정책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통령 중심으로 보건복지부가 정책의제설정과 정책결정에 꾸준히 참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참여는 세 가지 흐름의 결합을 이끌어 내며 정책의 창을 열고 정책산출까지 이어졌다. 「치매관리법」은 현재의 행정적인 관리 중심의 ‘치매관리’가 아닌 수요자를 위한 ‘치매관리’를 통해 문제의 본질적 접근이 필요하다. 현재의 관리 중심으로는 ‘치매관리’가 어려우며 다양한 기존 정책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을 활용함에 따라 미시적으로는 재정손실을 억제한다고 볼 수 있으나 거시적으로는 치매관리 정책이 표류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수요자 중심으로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공청회와 정부의 정책과 조율과 균형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치매관리법」의 정책의제설정과정과 정책결정과정을 분석하여 기존의 ‘치매’에 관한 연구가 ‘치매관리’의 방법 중심의 연구에서 본질적으로 수요자 중심의 ‘치매관리’를 어떻게 계획하고 시행할 것인지에 대한 새로운 지경을 넓힌 것에 의의를 두며, 자료의 한계로 인해 객관성에서 부족한 한계가 있다. In the 1990s, due to population aging, the problem of dementia became a government problem beyond a social problem. As for this issue, the “burden of family support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riggered by a social problem led to the “social and economic cost burden for managing dementia” as a government issue. The government's efforts to solve this problem tried to manage it by including it in the existing policy, but the attempts ran into limitations and it was produced as an independent law called the 「Dementia Management Act」. However, the resulting 「Dementia Management Act」 did not achieve smooth independence. It should play a leading role by bringing in existing policies, but it is overlapping with existing policies or is being managed worse than that. This researcher saw plans that depend on existing policies as a problem, and in previous studies, rather than approaching and studying the essential problem of 'dementia', the projects generated by 'dementia manage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s,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direction of Therefore, by analyzing the process of policy calculation of the 「Dementia Management Act」 with Kingdon's multi-flow model, the process of 「Dementia Management Act」 becoming an independent law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Dementia Management Act」 became an independent law did not take center stage and depended on the existing policy were examined in a complex way. did In addition, for this study, trends in previous studies, newspaper articles, and data on legislative review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social and economic cost burden for dementia management' was set as a policy agenda, and it was confirmed that policy decisions were made in the sub-governmental model centered on elites as an important issue on the government agenda.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ed on the President, steadily participated in policy agenda setting and policy decision-making, and this participation led to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streams, opening the policy window and leading to policy output. The 「Dementia Management Act」 requires an essential approach to the problem through 'dementia management' for consumers, rather than the current administrative management-oriented 'dementia management'. With the current management center, 'dementia management' is difficult, and by using the system included in various existing policies, it can be seen as microscopically suppressing financial loss, but macroscopically, it can cause dementia management policies to drift. In addition, a policy shift is needed centering on the consumer, and for this, public hearings and government policies and coordination and balance will be needed.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agenda-setting process and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Dementia Management Act」, and how existing research on 'dementia' is essentially consumer-centered 'dementia management' compared to method-oriented research on 'dementia management'. Its significance is that it has expanded a new frontier of whether to plan and implement, and there is a limit to lack of objectivity due to the limitations of data. Keywords : Dementia Management Act, dementia management, sub-governmental model,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 정부 과학기술인력양성사업의 성과 영향요인 간 중요도 분석

        윤이정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As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of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hereinafter referred to as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emerged as a serious national and social problem, in March 2018, the government jointly worked with related ministries to train the unemployed among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as manpower tailored to companies through the 「Youth Jobs Measures」 to reduce youth unemployment. It was announced that it would resolve not only the problem but also the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science and engineering personnel. Accordingly, in July 2018,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nounced the R&R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has added the role of training human resource required by business sites. As part of this, from June 2018 to March 2021, 25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s trained college graduat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rough research & practical talent training programs that reflected corporate demand, and supported them until they were hired by companies. Until now,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had little experience in training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and thus lacked educational systems compared to universities or the private sector. However, through this program, a total of 2,189 people were selected for 3 years and an average employment rate of 67.8% was achieved. This showed excellent results compared to the employment rate of general human resource training programs. In this regard,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s human resource training program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policy implications and consider improvement plans b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have enabled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to develop research & practical talent training programs suitable for research institutions and create a research job creation system to achieve results. In this paper,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of the program are largely divided into 4 types, and detailed performance factors for each area are derived into 14 types, and a Analytic Hierarchy Process model (AHP) is established. The AHP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program management committee members,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in management institution, and the administrator of the program in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finally, the results of 11 responses with a consistency ratio (CR) of less than 0.1 were analyz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①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tiers, the cooperation factor between organization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his means that the efforts of each participating entity, which leads to program are aligned with the program goals and objectives. It is interpreted as judging that it was 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by properly linking it. ② As a result of deriving the composite weight of 14 factors through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1st and 2nd tiers, the apprenticeship experiment/practice/team project-oriented educational operation factor showed the highest priority. This is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 apprenticeship-based trainees were assigned to each laboratory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institute that operated the program, and the part of the education centered on experiments, practices, and team projects contributed the most to strengthening the employability of trainees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In addition,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rst-tier factors, the trainee's personal factor ranked second, and all sub-factors ranked high in the overall results. All of them can be interpreted as judging that the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rst-tier factors, the environmental factor ranked 4th, and among the lower-tier factors, the capability and role of the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econd-tier factors, and ranked 6th in the overall result.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judgment that the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ogram performance by playing a more active role, such as deriving program improvement plans and establishing a business environment basis, beyond the function of support. ③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survey results by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AHP survey, the group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a position to directly operate job training, communicate face-to-face with trainees, and support employment linkage is a factor closely related to the field. Based on this, it can be identified that perception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may differ depending on the role of each group. The flexibility factor showed the lower relative importanc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recognizing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in the direction of budget appropriate for business operation and flexible budget execution. The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mote a job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oundation of the subject of the human resource training program. ② Direct and indirect employment-linked support must be provided under a permanent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companies. ③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election of trainees who are the target of human resource training program when deriving program improvement plans according to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④ It is important for the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 to actively participate from the policy planning stage, prepare a plan for operating the program that can achieve the performance goal, and support the program management. ⑤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grant autonomy so that program budgets can be appropriately promoted for the program operating environment and executed flexibly. ⑥ When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llect the opinions of various actors such as program management institution, implementing institution, and experts in related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funded research institutes further strengthen their ability to train human resource in the field of innovative growth i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is expected to be lacking in research and industrial fields, and even connect them to employment. In the follow-up study, more meaningful results can be derived i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upplemented, and when deriving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not only refer to previous studies, but also combine the opinions of experts and participants in various fields through preliminary surveys. In addition, if a study is conducted that includes not only the subject of the program but also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it will be meaningful as a more analytical study. 이공계 대학졸업자(이하 이공계 대졸자)의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2018년 3월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청년 일자리 대책」을 통해 이공계 대졸자 중 미취업자를 기업 맞춤형 인력으로 양성하여 청년실업 문제뿐만 아니라 이공계 인력의 수급 불균형 문제까지 해소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2018년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에서는 「출연(연) 발전방안」을 통해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과기출연(연))의 역할과 책임(R&R)에 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양성 기능을 추가하였다. 그 일환으로 25개 과기출연(연)에서는 2018년 6월부터 2021년 3월까지 기업 수요가 반영된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 분야의 연구실무 교육을 통해 이공계 대졸자 인력을 양성하여 취업연계까지 지원하는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을 수행하였다. 과기출연(연)은 연구목적 기관으로서 이공계 대졸자 등을 양성한 경험이 적어 대학이나 민간에 비해 교육 인력이 부족하고 시스템도 미흡한 편이다. 하지만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을 통해 3년간 총 2,189명의 훈련생을 선발하였고 67.8%라는 취업률을 달성하였다. 이는 일반적인 인력양성사업 취업률(49.8%)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을 중심으로 정부 과학기술인력양성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에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과기출연(연)이 연구목적 기관에 부합한 연구실무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일자리 창출 시스템을 만들어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던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 개선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업의 성과 영향요인을 크게 4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세부 성과요인들을 14가지로 도출하여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모형(AHP)을 설정한 다음,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의 사업관리위원회 위원단, 사업전담기관 담당자, 과기출연(연)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AHP 설문을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일관성 비율(CR)이 0.1 미만인 11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1계층 요인 간 비교 결과, 조직 간 협력 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업관리 및 평가(부처, 사업관리위원회, 전담기관), 사업운영(출연(연)), 채용수요(유관 기업 및 직무훈련 관련 분야 기업)로 이어지는 참여 주체별 노력이 사업목표와 목적에 맞게 잘 연계되어 성과를 높일 수 있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② 1계층 및 2계층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통해 14개 요인에 대한 복합가중치를 도출한 결과, 도제식 실험·실습/팀프로젝트 중심 교육운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업을 운영한 연구기관의 특성에 맞춰 도제식으로 각 연구실에 훈련생을 배정한 후 실험·실습과 팀프로젝트 중심으로 교육을 구성한 부분이 훈련생(이공계 대졸자)의 취업역량 강화에 기여한 바가 가장 크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1계층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서 훈련생 개인적 요인이 2순위로 나타났고 그 하위 요인들도 종합결과에서 모두 상위 순위를 보였는데, 출연(연) 4차인재 양성사업 관련 전문가들은 훈련생 개인적 요인의 하위 요인 모두를 사업의 성과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1계층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서 환경적 요인은 마지막인 4순위로 나타났으나, 하위계층 요인 중 사업관리 기관의 역량 및 역할 요인은 2계층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고, 종합결과에서도 6순위를 보였다. 이는 사업관리 기관이 지원의 기능을 넘어서 사업 개선안 도출 및 사업 환경적 기반 마련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사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③ AHP 설문에 참여한 그룹별로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훈련을 직접 운영하고, 훈련생과 대면 소통하며 취업연계를 지원하는 위치에 있는 그룹(사업운영기관(출연(연))일수록 현장과 밀접한 요인이 상대적 중요도에서 더 높은 순위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각 그룹의 수행역할에 따라 사업의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이 상이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세 그룹 모두 공통으로 예산 편성의 적절성/집행의 유연성 요인은 상대적 중요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사업운영에 적절하게 예산을 편성하고, 유연하게 집행할 수 있도록 방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분석을 통해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① 인력양성사업 수행 주체의 특성과 환경적 기반을 바탕으로 직무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② 유관 기업과 상시 협력체계 하에 직간접적 취업연계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③ 성과 영향요인에 따른 사업 개선방안 도출 시 인력양성 대상인 훈련생 선발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④ 사업관리 기관이 정책기획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성과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사업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사업을 관리해가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⑤ 사업 예산 편성을 사업 운영환경에 적합하게 추진하고, 유연하게 집행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⑥ 인력양성사업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사업 관리기관, 수행기관, 관련 분야 전문가 등 다양한 주체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과기출연(연)이 연구·산업현장에서 부족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과학기술 혁신성장 분야의 연구실무 인재를 양성하고 취업까지 연계할 수 있는 기능을 더욱 강화해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성과 영향요인을 도출할 때 선행연구를 참고할 뿐만 아니라 사전 설문 등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참여자 의견을 종합한다면 더욱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업수행 주체뿐만 아니라 사업 수혜대상까지 포함하는 연구를 수행한다면 더욱 분석적인 연구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대중의 과학기술 이해' 관점에서 공공 연구기관의 과학기술문화 정책대안 효과성 분석 : 한국원자력연구원 사례를 중심으로

        최명은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1. Introduction Citizens have a great of interest in the negative eff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S&T) and potential hazards such as nuclear issues, environmental pollution, research ethics problems, conflicts among religions. Currently knowledge and activities on S&T are not related only for S&T official and organizations. New scientific culture paradigm under these changed circumstances i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PUS)’. The concept developed from ‘Popularization of Science’ that featured the branch one-way knowledge transfer and enlightenment. The characteristics of PUS are to emphasize public interaction, social impact of understanding on S&T in oder to be recognized to public the need for S&T and credibility.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alternatives in public research institutes that are major performers of scientific culture policy and significantly affected. Through them , I want to discuss scientific culture policy development directions and the role of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US. 2. Concepts and components of PU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is closely related to science communication, which aims to communicate the knowledge of science to society and share knowledge with the public. Both concepts emphasize interaction with the public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ssuming that the overriding goal of scientific culture policies in public research institutes is PUS, the sub-goals and components we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The five component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expanded goals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three components of understanding of S&T’, are as follows. First is the awareness of science, which is the feeling of familiarity towards science; second is the enjoyment or interest in science, which is an individual’s emotional reaction to science; third is the forming, reforming or confirming of science-related opinions, which is the process of thinking about science and forming personal opinions; fourth is the understanding of theory and processes in S&T, which is an understanding of the theories, content, and processes involved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fifth is the understanding of social impact on S&T, which is an understanding of the impact that science and technology has on society and individuals. 3. Analysis of scientific culture in a public research institute based on the PUS perspective In order to analyse the scientific culture-related activitie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based on the five components of PU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cientific culture-related activities of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The pre-surve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taff in charge of scientific culture, and its scope consisted of five activities related to the public and the understanding of science. The standard of analysis applied was effectiveness, meaning the degree of goal achievemen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ctivities were relatively more effective in the components based on individual emotions - awareness of science, and enjoyment or interest in science. However, effectiveness was relatively low in components based on rational thinking - the forming, reforming or confirming of science-related opinions, and understanding of theory and processes in S&T. Moreo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the difference scientific culture-related activities for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PUS. Turning to limitations and problems in scientific culture policies 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from the PUS perspective, first, the policy goals do not reflect the new paradigm of PUS. Although the government’s scientific culture policy goals are making gradual progress, the policy implementor 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have not successfully made the transition to the new paradigm and remain closer to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paradigm, which focuses on the unidirectional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Second, policy alternatives consist of policy goals and combinations of set policy means to achieve these goals. The fact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policy alternatives in effectiveness shows that there is a lack of rationale in the layered structure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level goal, sub-goals, and policy means, making it unsuitable for accomplishing the defined goals. Third, despite th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possess S&T-related information, equipment, and research facilities as research facilities working in highly specialized fields of S&T, there is a lack of specialized scientific culture-related activities for the public. Finally, there is a lack of policy alternatives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public. Currently, scientific culture-related activities at public research institutes are focused on raising the profile of the institute, with the emphasis placed on science and technology rather than the public, There is also a lack of differentiated scientific culture-related activities to address the divers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making up the public. 4. Conclusion Interaction with the public and the restoration of trust in science through such interaction are key factors in achieving PUS. Therefore, the scientific culture-related policy goal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have to be adjusted so as to shift away from the popularization of the science paradigm to the new paradigm of PUS. First, looking at policy implementor, policy means that can utiliz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have to be developed. Public research institutes are expert groups who are better positioned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science to the public, more than any other group. The professional manpower, advanced equipment, research facilities, and research outcomes that they possess should be utilized to give the public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strength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Second, looking at needs, as reflected i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sub-components of PUS, the public views emotional aspects such as awareness, enjoyment and interest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rational aspects such as thinking about sci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theory and processes. Therefore, policy alternatives that can promote awareness and spark interest in science among the public should be developed. Additionally, different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developed for different target groups of scientific culture-related activities, so as to better meet the needs of the public, Finally, to achiev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there has to b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and act as a medium between the public,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the media used in the transmission of S&T information. Ultimately, there has to be participatory governance for a scientific culture in which scientific culture policy makers, experts in science and technology, media professionals, and members of the public can share their opinions and be part of the policy making process.

      • 중소기업의 기술협력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흡수역량의 매개효과와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박은지 忠南大學校 國家政策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기업은 단독개발뿐만 아니라 전략적 제휴나 공동기술개발, 기술이전 등의 협력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기술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중소기업 역시 급속도로 변화하는 시장에 진입하고 수익 창출을 위해 자체기술개발을 위한 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외부 기술도입을 위한 기술협력 추진은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중소기업은 자금, 기술, 인력 등 취약한 내부 자원을 극복하고 기술혁신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흡수역량(absorptive capacity)의 제고 및 정부지원 정책 활용 등 차별화된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기술협력을 수행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103개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이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기술협력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흡수역량의 매개효과와 정부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중소기업 기술협력 활동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협력의 활동인 다양성, 몰입도, 신뢰도는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흡수역량인 잠재흡수역량과 실현흡수역량 모두 기술협력 활동의 몰입도, 신뢰도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술협력 활동의 다양성은 잠재흡수역량과 실현흡수역량 모두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매개하지 않았다. 셋째, 정부지원은 기술협력 활동 중 몰입도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줄 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술협력 활동 중 다양성이나 신뢰도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open innovation, companies are striving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strategic alliance, technological cooper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Because of rapidly changing market and generating profits, technological cooperation as well as self technology development is important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In order to overcome vulnerable internal resources such as funds,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s an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MEs nee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strategy such as developing absorptive capacity and using government support policy. In this study, 103 samples were obtained through online surveys of SMEs that have been performing technical cooperation for the past 3 years. After that, the effect of SMEs' technological cooperation activities on management performance wa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absorption capacity and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were analye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SMEs' technological cooperation activities. The meaningful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diverse exploitations for types, partner commitment and the trust, which are the activities of technological cooperation, have positive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potential absorptive capacity(PACAP) and the realized absorptive capacity(RACAP)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ner commit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trust and management preformance. On the other hand, PACAP and RACAP do not mediate when diverse exploitations for types influence management performance. Lastly, government support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when partner commitment affects management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oderation effect when diverse exploitaions for types and the trust influenced management performance.

      • 사회문제해결형 국가R&D사업의 사회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 감염병 R&D과제의 SROI를 중심으로

        최혜정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사이버 범죄, 기후변화, 감염병 등의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면서 그 해결책으로 과학기술이 우선시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맞춰 사회문제해결형 국가R&D사업을 운영하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R&D 성과물 창출과 더 나아가 사회적 성과 확산으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문제해결형 R&D도 기존의 일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체계를 적용함으로 인해 연구성과의 사회적 가치 측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해결형 R&D에 대한 연구성과의 사회적 가치 추정을 위하여 2020년 기준 보건복지부의 코로나19 감염병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를 대상으로 연구개발을 통해 예상되는 연구성과의 사회적 가치를 ‘국민’, ‘영리·비영리 조직’, ‘정부’의 세 단위의 대상별로 구분하여 코로나19 감염병의 ‘진단’, ‘백신’, ‘치료제’의 연구개발 완료시 산출물인 연구성과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 사회적 투자수익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연구개발 종류별, 수혜대상자별로 구분하여 측정한 사회적 투자수익률 값은 1 이상의 값을 얻었다. 피해비용 자료가 명확하고 확보 가능한 범위내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직접적으로 피해를 받는 최소한의 범위를 설정하여 구했음에도 추후 연구를 통해 피해비용범위가 구체화되어 편익항목에 추가된다면 해당 연구개발완료 및 성공 시 이에 따른 연구개발 성과의 사회적 가치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예측성 SROI 방법을 이용하여 코로나19 감염병 과제의 ‘진단’, ‘백신’, ‘치료제’연구분야별 연구성과의 사회적 가치 측정을 통해 인수공통 감염병 분야 과제에 적용될 수 있는 객관화된 사회적 가치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성 SROI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개발 종료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장기간의 사회적 영향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생략하였다. 따라서 이후 과거 국내에서 발생하였던 신종플루나 메르스의 인수공통 감염병 사례를 통하여 예측성 및 평가성 SROI 연구를 실시하여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하겠다. As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cybercrime, climate change, and infectious diseases surface, science and technology are expected to offer solutions. Therefore, social problem-solving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R&D)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to reach a solution that can solve problems by creating R&D results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further spreading social performance. However, estimating social value of research performance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project is still insufficient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system of general national R&D project. For this reason, research on social value estim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project. Using the predictive SROI method, this study was measured the social value of the research performance for each diagnosis, vaccine, and treatment. and also proposed an objective method for estimating social value that can be applied to tasks in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R&D projects. As a result, the SROI measured by each type of R&D and beneficiaries within the minimum extent of direct damage caused by COVID-19 with clear damage cost data was 1 or more. If the damage cost range is specified through future research and added to the benefit item, the social value of R&D performance is expected to be greater. However, this study was omitted the step of evaluating long-term social impact, which will appear after the completion of R&D. Through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is work by conducting predictive and evaluative SROI studies on zoonotic infectious diseases such as H1N1 influenza and MERS that occurred in Korea in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