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측동화읽기수업과 낱말읽기수업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정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접근법의 하나인 예측동화읽기수업과 부호중심 언어접근법의 하나인 낱말읽기수업이 유아의 어휘력과 이해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하며, 그 효과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W유치원의 유아 46명으로, 예측동화읽기수업 집단과 낱말읽기수업 집단에 각각 23명씩 배치되었다. 측정도구로는 K-WPPIS(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의 언어성 검사 중 어휘력 및 이해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수업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공변량분석과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측동화읽기수업과 낱말읽기수업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 따라서 유아의 어휘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측동화읽기수업과 낱말읽기수업을 공히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예측동화읽기수업과 낱말읽기수업이 유아의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에는 예측동화읽기수업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유아의 이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측동화읽기수업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예측동화읽기수업과 낱말읽기수업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라 달라진다. 즉, 남아의 어휘력 향상을 위해서는 낱말읽기수업이 예측동화읽기수업보다 더 효과적인 반면, 여아의 어휘력 향상을 위하여는 예측동화읽기수업이 낱말읽기수업 보다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유아의 어휘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에서 성별에 따른 이와 같은 경향성을 상이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예측동화읽기수업과 낱말읽기수업이 유아의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즉, 두 수업 중 예측동화읽기수업이 낱말읽기수업 보다 남녀유아 모두의 이해력 향상에 더 효과적이지만, 효과의 크기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어 낱말읽기수업은 여아의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저하시킨다. 따라서 유아들의 언어 이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측동화읽기수업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여아들에게는 이를 반드시 활용해야 한다.

      • 카프카의 「변신」과 이상의 「지주회시」 비교 연구

        최정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카프카의 「변신」과 이상의 「지주회시」 비교연구를 위한 중요한 참조틀로 환상문학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사용했다. 두 작품은 환상문학의 변신모티프에 근접한 양상을 보여 환상소설로서의 성격을 갖춘다. 「변신」에서는 동물모티프가 그레고르에게만 나타나는데 반해 「지주회시」에서는 여러 인물을 통해 다층적으로 그려진다. 카프카와 이상 작품에 나타나는 환상성은 현실을 자신의 환상 안으로 포섭함으로써 현실의 고통을 자아의 승리로 바꿔치기하는 전략인 마조히즘과 연관된다. 두 작품에서 주인공들은 마조히즘적으로 현실을 자신의 환상으로 포섭함으로써 현실에 대해 우월감과 쾌감을 느낀다. 이러한 사도-마조히즘적 태도는 사회적 억압의 형태로 강요되는 소외의 현실에 대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소외되기를 선택함으로써 그에 맞서기 위한 방식의 일종이다. 두 작품의 주인공은 희망이 보이지 않는 물질만능주의사회를 거부하고 이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편으로 죽음을 꿈꾼다. 다만 「지주회시」는 「변신」처럼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결말을 취하지는 않고, 마유미에게 가는 행위를 통해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복수를 암시한다. 이러한 카프카와 이상의 시대인식은 시공간을 초월한 보편적인 현대성을 지닌다.

      • PREP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이 학습장애아의 읽기기능에 미치는 효과

        최정미 대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hat influence a cognitive process training, a reading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a PASS theory, has on reading skill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study questions were determined 'what influence cognitive process training based on PREP has on significant word reading skill, insignificant word reading skill, and sentence understanding skill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analyzing the results, reading skills were classified in detail and syllable items of the test were equally divided by 6 types of syllable structures to identify differences in reading skills by 6 typ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test for 12 weeks ranging from July 16, 2007 to October 4, 2007. Data were collected by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and discussions based on visual analysis and observation through graphs resulted i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raining for consecutive processing and simultaneous processing, cognitive process training based on PREP,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significant word reading skill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training for consecutive processing and simultaneous processing, cognitive process training based on PREP was found to be successful in enhancing insignificant word reading skill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 abilities. Third, training for consecutive processing and simultaneous processing, cognitive process training based on PREP is effective in enhancing sentence understanding skill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follow-up studies on the effect of cognitive process training based on PREP on reading skill in children with learning difficulty. First, further studies for cognitive process training based on PREP are required to find the effect on word reading skill by having both simultaneous and consecutive processing training in one session and having each training in one session in turn. Also, a comparative study on these three types of studies as one of cognitive process training based on PREP is needed to be contributed to reading skill enhancement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related to basic vocabulary difficulty level analysis are needed to make PREP a practical reading treatment program by types of reading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cognitive process training based on PREP is effective for reading skill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But, detailed examination on reading skill by visual type of letter indicates that it is ineffective for type 6. It suggests the need of lots of studies which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skill enhancement programs and reading skill effect by visual type of Korean letter. 본 연구는 PASS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는 읽기향상 프로그램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이 학습장애아의 읽기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서 PREP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이 학습장애아의 의미단어 읽기기능, 무의미단어 읽기기능과 문장 이해기능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고, 결과 해석에 있어서는 읽기기능을 더 세분화하여 음절 구조 6가지 유형별 읽기기능의 변화도 살펴볼 수 있도록 검사의 음절 항목수를 6가지 유형별로 골고루 배분하여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설정 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명의 학습장애아를 대상으로 2007년 7월 16일부터 10월 4일까지 12주에 걸쳐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과 관찰로서 얻은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의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PREP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으로서 연속적 처리과정과 동시적 처리과정 훈련은 학습장애아의 의미단어 읽기기능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PREP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으로서 연속적 처리과정과 동시적 처리과정 훈련은 학습장애아의 무의미단어 읽기기능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셋째, PREP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으로서 연속적 처리과정과 동시적 처리과정 훈련은 학습장애아의 문장 이해기능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결론을 통하여 PREP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이 학습장애아의 읽기기능에 미치는 효과의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REP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의 방법을 동시적 처리과정 훈련과 연속적 처리과정 훈련을 한 회기에 배치하여 실시하는 방법, 동시적 처리과정 훈련과 연속적 처리과정 훈련을 한 회기씩 번갈아 가면서 실시하는 방법들로서 단어 읽기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PREP의 교량적 과제가 장애아동의 유형별 읽기 특성과 장애아동의 수준에 따른 실제적인 읽기 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기초 어휘 난이도 분석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PREP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은 학습장애아의 읽기기능에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읽기기능을 글자의 시각적 유형별로 세분해서 살펴보면 글자의 시각적 유형의 여섯 번째 유형에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기 때문에 읽기기능 향상 프로그램과 우리글의 시각적 글자 유형 별 읽기기능의 효과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많은 연구들이 필요하다.

      •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을 통한 자기 비난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정미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첫째,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의 증가를 경유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을 증가시키는 매개효과가 발생하는지를 검정하는 것이다. 둘째, 자기 비난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양의 간접효과가 감소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2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자기 비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각 연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적 요인분석과 조절된 매개효과로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자기 비난이 조절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자기 비난이 조절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그 결과 첫째,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자기 비난의 조절 매개효과를 거쳐 대인관계 유능성으로 가는 경로를 제시하였다. 둘째,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데, 자기 비난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와 함께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자기 비난이 조절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의 함의는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을 경유하여 강화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낮은 수준의 자기 비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성소수자도 건강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성소수자를 위한 효율적이고 정서적 지원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미용서비스 품질·가치·회복노력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정미 건양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2000년대 이후 미용실은 양적팽창, 질적향상, 매장규모의 대규모화, 미용종사자들의 증가, 학력수준의 향상 등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몇 년간 경기는 침체되고 미용실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미용업의 경영도 매우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용실도 경영혁신이 요구되고 있고 타 미용업체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미용 서비스업은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업 중에서도 비교적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나 국내적으로는 과당경쟁과 고객의 기호 변화, 인력의 확보, 요금인하 등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으며, 국외적으로는 WTO 시대를 맞아 미용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미용시장은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소득수준의 향상, 고객 욕구의 다양화 및 소비패턴의 변화에 대응하여 서비스 기업들은 고객의 새롭고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적극적 노력을 하고 있다. 고객의 욕구가 비교적 동질적이었던 과거에는 단순한 상품의 구색을 통해 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지만 고객들이 소비의 개성화와 다양화를 추구함에 따라 서비스 기업들은 고객들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여야만 생존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본 연구는, 최근 그 시장규모가 크게 증대되고, 극심한 경쟁이 예상되는 미용실을 대상으로 미용서비스 품질, 서비스 가치, 서비스회복 노력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현재 미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미용실을 대상으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들을 규정하고 또한 그에 따른 고객만족과의 관련성, 고객만족과 재이용(재방문)ㆍ구전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기존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 대한 이론의 폭을 넓혀 미용서비스의 경영전략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용실 성공전략을 위한 연구로, 미용서비스 품질ㆍ가치ㆍ회복노력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의 개념을 도입하고, 서비스품질 개념에 대한 측정지표를 개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서비스 품질 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비스 회복 노력을 설명하기 위해서 서비스 실패와 서비스 회복노력, 고객만족 이론을 검토하고 적용하여 서비스 회복 노력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서비스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미용실 운영상의 성공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미용실을 이용하는 표본 308부를 대상으로 신뢰성검증, 타당성 검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적합성 검증,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문헌적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미용서비스 품질, 가치, 회복노력에 대해서 체계화 하였으며 고객만족, 구전, 재이용에 대해서도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실증적 연구방법에서는 통계처리 데이터코딩과정을 거쳐 SPSS win version 11.5와 LISREL version 8.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용서비스 품질, 가치의 구성요인이 무엇이며 서비스 회복노력이 인식을 변화시켜 고객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 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수들이 고객만족과 고객의 재이용(재방문)ㆍ구전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도 연구 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토대로 각 가설들을 검증하였으며 그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기존연구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둘째, 서비스 가치는 고객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고객만족을 위해서는 서비스 가치의 비중을 크게 두어 고객이 느낄 수 있는 서비스 가치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셋째, 서비스 회복노력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미용실에 대한 신뢰와 고객의 계속적인 관계유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객의 불평문제를 신속히 처리하여 미용실에 대한 인식변화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넷째, 미용실에 대한 인식변화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존의 개념적 연구를 확장하여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다섯째, 서비스 가치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항상 고객이 가지는 서비스 가치에 관심을 갖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한다. 여섯째, 고객만족은 재이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고객이 만족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일곱째, 고객만족은 구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미용실에 대한 전반적인만족, 기대, 경험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 등이 좋은 구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재, 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에게 커다란 관심과 고객만족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미용실의 재이용과 구전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켜 고객이 서비스 가치를 느끼게 해야 한다. 즉, 고객이 지불한 비용이나 시간, 타 미용실에 비해 적절한 가격, 종업원에 대한 신뢰, 이용고객에게 가격할인 등이 가치가 있다고 느끼게 하기 위해서 고객에게 개별적인 배려와 관심을 나타내 주어야 하며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여 미용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또한 불평처리에 대한 미용실의 서비스 회복을 위해서 즉시 재시술, 공정한 물질적 보상, 정중한 사과, 진실한 태도, 불만사항에 대한 공감, 서비스 실패에 대한 다양한 회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으로 불평을 신속히 처리하여 미용실에 대한 신뢰를 회복시키며, 계속적인 관계유지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성공적인 미용실 운영상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beauty salon business area has had radical changes such as quantity expansion, quality improvement, beauty salon's space extension and the increase of staffs who have academic background since 2000. But nowadays due to the recession, the operation of beauty salons has a lot of difficulties. The management of beauty salons is getting worse. To get over these managerial difficulties and survive in the business, the beauty salons need to hav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beauty service quality, value and service recovery effort have an effec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model which is related with successful strategy for beauty salon business.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service quality on the basis of pre-existing studies, developed measurements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which form the base of service quality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service quality widely, I investigated service value, service failure, service recovery effort and customers satisfaction theories.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give beauty salon owners some substantial suggestions in successful strategies. I extracted some hypothesi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made an empirical analysis using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method, co-relation analysis, conformity verification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ith 308 samples who use beauty salons. In the empirical research, SPSS win version 11.5 and LISREL version 8.30 statistics package programs were applied for the statistical data process. I verified each hypothesis on the basis of empir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s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quality of beauty salons does not have an positive affec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o the pre-existing studies. Second, the service value has an great influence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Third, the efforts of service recovery have an effect on the change of recognition of beauty salons. Fourth, the change of recognition about beauty salon makes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Fifth, the service value makes a positive impact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which means beauty salon business should be interested in customers value. Sixth, the customers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ing and the word of mouth. So the managers who concerned with beauty salon operation should do their best to satisfy custom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 for the increase of beauty salon's revisiting rate and word of mouth beauty salons' service quality must be improved so as that the customers can feel it.

      • 해남윤씨가(海南尹氏家)의 건축 조영 연구

        최정미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해남을 본관으로 하는 해남윤씨는 고려시대에는 뚜렷한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으나, 어초은공 윤효정(尹孝貞, 1476~1543)때에 세력이 번성하여 이 시기부터 본관을 해남으로 정하고 가문의 기초를 다지게 된다. 이후 해남윤씨는 고산 윤선도(1587-1671)에 이르러 강력한 가문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문중 내 다양한 건축 조영이 이루어진다. 우리에게 어부사시사로 널리 알려진 고산 윤선도는 조선시대 중기 문인이자 시조 작가로 해남의 녹우당(綠雨堂)을 비롯해 보길도 부용동(芙蓉洞), 해남 금쇄동(金鎖洞), 강진 추원당(追遠堂) 등을 조원하고 건축하였다. 문중 내 건축조영은 기본 모델이 되는 건물을 중심으로 계승되는데 의장형식과 규모는 시간의 흐름과 조영의 주체, 경제력에 따라 변화한다. 본 연구는 건축의 공간구성과 구성요소의 변화와 정착의 과정을 주요 건축물들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해남윤씨 가문의 가계과 건축 조영 배경을 고찰한 후 해남윤씨가의 건축물들을 시기별로 분석하였고, 주거와 재실건축을 중심으로 공간 구성과 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건축 조영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조영 양상을 통해 해남윤씨가 건축의 특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해남윤씨 건축의 시기별 분류는 15세기 초반의 어초은 윤효정의 입향기와 16세기 초부터 1687년까지의 고산 윤선도와 정착기, 19세기의 가문의 쇠퇴기를 거쳐 1805년부터 1935년까지의 8대 종부 광주이씨(廣州李氏) 부인과 중흥기로 정리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주요 건축물은 고산윤선도의 생애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19세기 이후 다산 정약용, 윤철하, 윤정현 등에 의해 조영되었다. 해남윤씨가 건축 조영양상은 다음과 같다. 주거 건축은 유사한 배치와 평면구성을 보이는데 공간의 동선은 마당의 사용에 따라 분리하는 질서를 가지고 있다. 주거 건축계획은 선대 건물의 공간 질서를 계승하되 실용적으로 가구를 구성하였다. 재실건축은 문중의 입향조나 중시조를 모시고 이를 중심으로 제향 공간을 구성하는 것으로 향촌을 중심으로 형성된 씨족사회의 구심점이 되는 건축이며, 그 공간 안에서 문중의 결집이 형성되고 발현되는 결과이다. 재실을 일구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동력으로 문중의 조직력과 경제적 능력이 따라야 하며, 조영의 방법도 영향을 받는다. 해남윤씨의 재실은 크게 강진의 재실과 해남의 재실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형성을 보이며 거의 동일하게 조영된 강진의 제실에 비해 해남의 재실은 그 경향이 약화된다. 분석된 조영양상을 중심으로 해남윤씨가 건축의 조영특성을 분석하였다. 입지와 배치의 조영은 풍수에 입각한 입지와 연지조성에서 확인되었다. 해남윤씨가의 건축입지는 다양하게 나타나며 좌향 또한 일관성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향을 고려하기보다 입지 지형에 따라 배산과 임수의 조건을 고려하였고 자연스럽게 건물을 배치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건축의 입지를 살펴보면 자연에 인공을 가해 풍수적으로 완성된 형국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는 해남윤씨 문중의 건축 조영의 중요한 요인이라 볼 수 있다. 또한 배치는 건축적 가치관 계승을 통한 배치 형식의 유지와 채의 분동을 통한 합리적 배치 구성으로 나타났다. 평면의 조영은 대표 사례의 모방과 실용적인 평면 구성으로 나타났다. ㅁ자형을 가진 녹우당을 대표 사례로 주거와 재실건축에서 서로 입지여건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모방 ‧ 계승한 것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실용적인 평면 구성은 강진 재실건축의 퇴칸 구성과 입지여건에 순응하며 필요한 공간을 가감하는 해남 재실 건축에서 확인되었다. 가구 및 의장에서 보이는 조영의 특성은 가구 구성형식의 변화와 재실 공포의 변용, 실용적인 장치의 수용이다. 가구 구성은 후대로 갈수록 구조적으로 안정되며, 내부공간의 활용에 있어 용이하도록 변화하였다. 의장적 요소로 재실 공포의 변용이 확인되었는데 큰 구조적인 변화없이 장식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위치에 따라 과감하게 단순화하기도 하였다. 실용적인 장치의 수용은 차양 시설과 지붕 환기구에서 확인되는데, 실용적인 구성요소가 문중 내에서 용도와 상관없이 서로 영향을 주며 계승되었다. 해남윤씨가는 건축을 조영함에 있어 실용적으로 계승 변화하였다. 그 변화과정에서 풍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씨족의 건축적 가치관을 계승하면서도 여건에 순응하며 변화하려는 양상을 보인다. 사용자의 거주성과 편의를 위해 채를 분화하고 필요한 건축구성 요소를 용도에 구애받지 않고 실용적으로 적용하였다. 실용적 수용은 해남윤씨가의 가법 및 학풍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법과 성리학적 명분과 이론에 머물러 있지 않는 실천적 학문풍토는 진취적이고 넓은 수용이 가능한 개방성과 연관되며, 해남윤씨만의 고유한 학문과 예술적 활동 및 건축 조영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한 문중을 기반으로 하였기에 확보 가능한 연구대상의 양적 한계와 지역적 범위로 인해 통합적인 시각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추후 통합적인 연구를 통해 보완해나가야 할 것이다. 주제어: 해남윤씨가, 고산윤선도, 가계, 가법과 학문, 주거건축, 재실건축, 별서원림, 건축조영 Hae-nam Yoon(海南尹氏), whose main building is Hae-nam, did not stand out clearly during the Goryeo Dynasty(高麗時代). but eocho-eun-gong Yoon Hyo-jeong (尹孝貞,1476-1543), power flourished in the era, and from this time Hae-nam was selected as the main building and a clan began. After that, the Hae-nam Yoon clan reached Gosan Yoon Seon-do(尹善道,1587-1671) and formed a powerful family, and various architectural activities were carried out within the family at this time. Gosan Yoon Seon-do, widely known as a poet, designed and built Nok-u-dang(綠雨堂), Geumswae-dong(金鎖洞) in Hae-nam, Buyong-dong(芙蓉洞) in Bogildo(甫吉島), and Chu-won-dang(追遠堂) in Gangjin as a poet and literary writer in the mid-Joseon period(朝鮮時代). The clan's architectural composition is inherited centering on the building that serves as the basic model. However, the design form and scale will vary depending on the passage of time, owners, and economic power.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spatial composition of architecture, changes in components, and the process of settlement, focusing on major buildings. After examining the pedigree and architectural background of the Hae-nam Yoon, the buildings of the Hae-nam Yoon clan were analyzed by period.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omponents, focusing on the residential and reconstructed architecture. Through the analyze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examining the architectural contrasts of the Hae-nam Yoon. The classification of Yoon Hae-nam’s architecture by era is the period when eocho-eun-gong Yoon Hyo-jeong entered her hometown in the early 15th century, the settlement period of Gosan Yoon Seon-do from the beginning of the 16th century to 1687, and the period of revival of Mrs Gwangju-Lee(廣州李氏). Most of the major building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Go-San Yoon Seon-do. After the 19th century, buildings were built by Da-san Jeong Yak-yong(丁若鏞), Yoon Cheol-ha(尹哲夏), and Yoon Jeong-hyeon. The characteristics of Hae-nam Yoon's architecture are as follows. Most of the residential architectures have similar layouts and floor plans. It can be seen that the circulation lines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yard in the construction.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plan inherited the spatial order seen in the ancestor's buildings and constructed a practical wooden structure. In Jae-sil(齋室) Architecture, the si-jo(始祖) or middle si-jo(中始祖) of the family are enshrined and the space for ancestral rites is constructed around them. This architecture becomes the focal point of the clan society formed around the village, and as a result, the unity of the clan is formed and manifested in the space. In order to build, the organizational and economic power of the family must be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and the way it is built also has an impact. The architecture for the Hae-nam Yoon clan's ancestral rit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Gangjin's architecture and Hae-nam's architecture. This is typical, and compared to the Jae-sil architecture of Gangjin, which was built almost identically, the Jae-sil architecture of Hae-nam has a weaker trend. Focusing on the analyzed architectural features,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Hae-nam Yoon family was examine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the layout planning and pond creation based on pung-su(風水地理). Hae-nam Yoon's architectural locations vary and directions are inconsistent. It seems to be because it was naturally arranged considering conditions such as mountains and water in the land topography rather than the direction. If we look at the location of the architecture, we are creating a finished form in pung-su by adding artificiality to nature. Thi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the Hae-nam Yoon. In addition, it showed a rational layout composition through the inheritance of architectural values ​​and the maintenance of the layout form through the separation of buildings. The construction of the plane aPeared as an imitation of representative cases and a practical composition. Taking the ㅁ-shaped Nok-udang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location conditions of the buildings for residence and ancestral rites are different, but it is evident that they have been copied and inherited. The practical plan configuration was confirm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Toe-kan of the Gangjin Jae-sil Architecture and the Hae-nam Jae-sil Architecture, which adapts to the location conditions and adds or subtracts the necessary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seen in the wooden structure and design are the change of wooden architectural form, the transformation of Gong-po(工包, 栱包), and the acceptance of practical devices. The wooden structure became structurally stable as it went on and changed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internal space. The transformation of Gong-po was changed decoratively without major structural changes, and was boldly simplif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Practical devices are found in sunshade facilities and roof vents. Practical architectural elements within the family influenced and inherited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type of construction. The Hae-nam-Yoon clan's architectural composition was practically inherited and changed. The change shows a change in conformity to the location conditions while inheriting the architectural values ​​of the clan, which value pung-su. For the habitability and convenience of users, the building is divided and constructed, and the necessary architectural components are aPlied practically regardless of the type of construction. Practical acceptance seems to be related to the study of the Hae-nam Yoon family. Hae-nam Yoon inherited a practical academic climate based on his ancestors' Taoist tendencies and a worldview based on Confucian ideals. The practicality of learning forms the basis of the Hae-nam Yoon clan's academic pursuits, and leads to the Practical Thought of Gong-jae Yoon Du-seo(尹斗緖). The study of this family is related to openness that is progressive and widely accepted, and has influenced Hae-nam Yoon's unique academic and artistic activities and architectural composition. Because this study is based on a single family, it lacks an integrated perspective due to the quantitative and regional limitations of research tasks that can be secured. This should be suPlemented through an integrated study in the future. key word: Hae-nam Yoon(海南尹氏) clan, Gosan Yoon Seon-do(尹善道), ancestry(家戒), residential architecture, jae-sil(齋室) Architecture, traditional garde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정책형성과정에서 시민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참여연대를 중심으로

        최정미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role of NGOs which increase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 policy. It is also for the role of NGOs how they act when government frames the society welfare policy This study targe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urarantee of Basic National Living Act' in the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analyzed the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and the organization of the Solidarity Meeting, the association and the strategic participation about the process of framing a policy of 'Gurarantee of Basic National Living Act'.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 the NGOs which are taken the lead by the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did not stay on simple counsels or criticism. They influenced the policy to offer an issue, alternative ways for the official participant and also arbitrated between tile participant to make the policy. There are some reasons the result was possible. First,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has developed the activities regarding the People's basic life since 1994. Then it approach to the public was achieved by consisting of the Solidarity Meeting. After this, it accomplished the popular access as a result of the civil society power with consisting of Solidarity Meeting. This improved the influence which is connected with continuous and special activities of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Second, by forming position with participants of framing a policy, the NGOs overcome the closed policy system and utilized the political issue and election period. Third, the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could criticize and check about our government While it gave consequence to the indirect strategy which leads the formation of policy In indirect strategy running parallel indirect strategy weight leading policy formation process as doom criticism and restraint about government policy at the same time do can. Through this study, I suggest several offers to improve the role of NGOs at the process of framing a policy First, the modern society which is represented as complexity, activity and variety needs the new process of framing a policy that is thought important by the interaction of different classes. The NGOs may have to be available to cooperate and compete in accordance with a policy trait while they mainta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which was taken a serious view of participation and arbitr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Second, the NGOs may have to be formulated networks to overcome the closed policy process. Third, For having the support of the public and justness at the policy process, the NGOs may have to target the activity for the public profits and secure them democratic ways of making a decision.

      •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Think Aloud 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 아동의 문제 해결 능력과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최정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hink Aloud program on the problem solving and self-control ability of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whether it is still effective after the arbitration has end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ree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in inclusive day care centre. Experimental Design employed pre-post test, an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Intervention process was carried out during a morning free play period. Picture books related to the “Nuri” course were used for The Think Aloud program. Frequencies of target behaviors were recorded and represented in chart and graph. Furthermore, the observed values of problem solving and self-control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also represented as chart and graph to see the effect of the Think Aloud program on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solving and self-control abilities of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was enhanced after the Think Aloud program was applied. Second, when we look at the effect of the Think Aloud program on the frequency of problematic behavior, it was relatively high at the baseline, but it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arbitration phase. Third, we looked whether the effect of the Think Aloud program was still valid after the arbitration has ended, and the frequency of problematic behavior maintained stable as the program repeated, keeping its stability even after the arbitration has end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hows that the Think Aloud program using picture books has positive effects on problem solving and self-control ability, and the frequency of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Think Aloud 프로그램이 경도 정신 지체 아동의 문제 해결 능력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와 중재가 끝난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경도 정신지체 아동 3명이며,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와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 단계는 오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실시하였으며, 교실에서 누리과정과 연계된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Think Aloud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적행동 발생률을 기록 하였으며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또한 문제 해결 능력과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변화를 보기 위하여 그림 동화책을 활용한 Think Aloud 프로그램 전후의 측정결과를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Think Aloud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에 경도 정신지체 아동들은 문제 해결 능력과 자기 통제력이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Think Aloud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난 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Think Aloud 프로그램이 문제 행동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기초선 에서는 비교적 많은 발생률을 보였지만, 중재 단계에서부터 발생률이 차츰 낮아지며 점진적으로 향상된 변화를 보였다. 셋째,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Think Aloud 프로그램 효과가 중재 종결 후 까지도 유지되는가를 알아본 결과 문제 행동 발생률이 회기를 거듭할수록 안정적으로 지속이 되어 중재 종결 후 까지도 유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일부 대학생의 자기 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최정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 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자기 효능감이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4월 13일부터 4월 30일까지 17일간에 걸쳐 자기기입식 설문지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두 자료를 전산부호화하여 SPSS Win 11.0을 이용하였고,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x^(2)-test, t-test, ANOVA, Tukey를 이용한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Multipul Regression analysis등의 통계기법에 의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특성에서는 성별의 경우 건강관련 특성 중 건강상태, 입원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건강관련 특성이 없었다. 한달 용돈은 건강관련 특성 중 아버지의 질환유무, 이용하는 의료기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거형태는 건강상태, 어머니의 질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에서는 건강증진 행위 영역 중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 영역과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영역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건강상태가 건강할수록,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와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에 있어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적 생활 영역에서는 본인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위생적 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식과 수면 영역에서는 자택과 친척집에서 거주하는 학생이 하숙, 자취집에 거주하는 학생보다 휴식과 수면에 대한 점수가 높았으며,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들에게서도 높은 점수가 나왔다. 식이조절 및 건강식이 영역에서는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하숙, 자취집에 거주하는 학생보다는 자택, 친척집에 거주하는 학생의 식이조절 및 건강식이 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왔다. 건강에 대한 책임감 영역에서는 입원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일수록 건강관련강의 수강경험이 있는 대상자일수록 건강에 대한 책임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자기 효능감에서는 자기 효능감 영역 중 운동적 효능 영역에서는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운동적 효능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효능 영역에서는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심리적 효능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적 효능 영역에서는 여러 가지 특성 중 건강관련강의 수강경험에서만 유의한 결과나 나타났다. 건강관리 효능 영역에서는 성별은 남자보다는 여자가, 건강에 관련된 강의를 들은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는 있는 학생에게서 건강관리 효능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 효능감과의 관련성은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자기 효능감이 영역별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운동적 효능은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위생적 생활, 휴식과 수면, 식이조절 및 건강식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으며, 심리적 효능은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휴식과 수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적 효능은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위생적 생활, 휴식과 수면, 식이조절 및 건강식이, 건강에 대한 책임감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관리 효능은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 위생적 생활, 건강에 대한 책임감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self-efficac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health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720 colleg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or 17 days from the 13th to the 30th of April 2004. Data were all digitized and analyzed through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x^(2)-test, t-test, ANOVA, Tukey-based posterior verification, Pearson correlation, etc. using SPSS Win 1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ith regard to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s, health condition and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ut no health-related characteristic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Whether the father has a disease and medical institutions frequently us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nthly pocket money. In addition, health condition and whether the mother has a diseas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2.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male students appeared to be more active in self-realization, interpersonal relation, exercise and stress control than female students, healthy students than unhealthy ones, and students who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than those who have not. In the area of hygienic life, those aged over 27 got the lowest score, and those who thought they are healthy appeared to live hygienic life. In the area of rest and sleep, the score was higher in students who resided at their own house or a relative's house than in those who lived in a lodging house or boarded themselves, and in students who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In the area of diet control and healthy diet, the score was higher in students who resided at their own house or a relative's house than in those who lived in a lodging house or boarded themselves. In the area of responsibility for health, the sense of responsibility was stronger in those who replied 'Yes'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y have ever been hospitalize and those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3.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self-efficacy and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exercise efficacy appeared to be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in those who spent 500,000 won or more a month, and in those who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Psychological efficacy appeared to be higher in students who thought they are healthy and those who had attended health-related lectures. Nutritional 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 The score was highest in students who replied 'Very healthy.' Health management efficacy appeared to be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ones, in those who spent 500,000 won or more a month, and those who have never attended a health-related lecture. 4. All the area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ppeared to b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5. As for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area, exercise efficac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realiz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exercise and stress management, hygienic life, rest and sleep and diet control and healthy diet, and psychological efficacy on self-realiz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exercise and stress management and rest and sleep, nutritional efficacy on exercise and stress management, hygienic life, rest and sleep, diet control and healthy diet and responsibility for health, and health management efficacy on self-realiz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ygienic life and responsibility for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