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산 정약용의 정책론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

        정철종 忠南大學校 國家政策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정 철 종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국가정책학과 글로벌공공정책전공 (지 도 교 수 오 영 달) 다산 정약용의 정책론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 조선후기의 지배층에게 백성은 지배와 수탈의 대상이었다. 통일 신라 이후 1,500년 동안 변하지 않은 지배층의 권력 유지와 확대는 조선 후기에 들어와 그 모순이 극단적으로 나타났다. 국가의 정책과 중심과제가 국가나 백성들에게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지배 권력을 중심으로 접근되었다. 그러므로 백성들의 삶은 피폐하고 국가마저 존속하기 어려운 상황이 계속되었다. 다산 정약용은 조선후기의 이러한 사정 하에 나름대로의 새로운 국가정책을 제시하여 망해가는 조선왕조를 다시 세우고, 백성들의 생존과 생활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다산 자신이 관료생활을 했고, 오랜 유배기간 동안 백성들의 삶을 직접 목도하면서 내놓은 정책은 현실을 바탕으로 했고, 많은 유학적 전례와 당시 서양과 중국에서 전래된 많은 선진 학문의 영향을 받아서 국가 실정에 맞게 정책을 제시하였다. 조선 왕조가 양난 이후 국가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왕권은 무력했으며 일부 벌열가문을 통해 형성된 지배구조가 지방의 탐관오리와 연계하여 법적·제도적 도구를 이용해서 합법적으로 백성들을 착취해가는 형태의 국가 운영 체제였다. 다산의 현실개혁 정책론 속에는 현대에도 그 가치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근대성’을 발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선 후기에 일찍이 근대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산은 부패하고 비효율적인 제도와 기구를 해체하고 국가의 실정에 맞는 효율적인 기구의 설치를 통해 근대국가로의 전환을 모색했으며 많은 백성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는 정책을 통해 조선 근대를 열어가는 훈련된 개인으로 만들어가는 정책도 제시했다. 개인 재산의 허용과 노동과 부의 축적을 통해 자본주의적 사적 재산을 형성하도록 했다. 이러한 다산의 정책과 제도 개혁 노력은 조선 후기에 있어서 ‘근대성’을 표출한 중요한 사례로서 오늘날 국가정책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ABSTRACT**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National Public Poli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Public Policy conferred in February 2020 A Study of Modernity in the Policy Discourses of Dasan Jung Yak-yong Cheol-chong Cheong Graduate School of National Public Polic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Dahl Oh) The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the ruling class, which remained unchanged for 1,500 years after the Shilla kingdom, exis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ocial contradictions were rampant. The state’s policies and central tasks were approached, centered on ruling power, not the state or people. Therefore, the lives of the people were devastated and the situation was difficult for the whole nation to survive. Under these circumstances, Dasan Jung Yak-yong proposed his own new national policies in order to reestablish the ruined Joseon Dynasty, and tried to improve the standards of life of the people. Dasan himself lived as a bureaucrat, and presented his policy discourses on the basis of the reality of the people witnessing it for himself while in exile. The Dasan’s policy discourses were suggested to meet the national situ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fucian precedents, taking into consideration many advanced studies that were introduced from the West and China at that time. After the Joseon Dynasty, the nation’s discipline were weakened and the power of kingship was incapacitated, and the ruling structure was established, centered on some noble families, connected with the local officials, and exploited people seemingly on the basis of then civil law. Dasan’s ideas of administrative reform are theoretically important in that we can find some Weberian elements of ‘modernity’ which can be valued even in modern times. Dasan sought to transform Joseon itself into a modern state by dismantling corrupt and inefficient institutions, and by establishing efficient institutions in line with the state’s situation, and opening up new modernity through policies that gave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many people. Dasan also proposed a policy of educatiing people. His policy idea promoted the formation of capitalist private property through the fruit of labor and accumulation of wealth. These policy ideas of Dasan should be recognized as significant examples of ‘modern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y st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national policies today.

      • Efficacy Confirm Test of Adenophora stricta Root Extracts on the Ovalbumin- induced Asthma in Mice

        정철종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박사

        RANK : 247615

        PURPOSE: The objective of present study is to confirm the dose-dependent pulmonary effects of AS - DangJandae (Root of Adenophora stricta Miq.) extracts, which were standardized and supplied by OKCHUNDANG (Daegu, Korea) on OVA-induced asthma pulmonary injuries in mice, a representative animal model resemble to human allergic asthma, as compared to those of dexamethasone (DEXA), one of well-known glucocorticoids and the most widely used anti-inflammatory drug used as a control drug on development of the new protective agents for various respiratory disorders, 0.75 mg/kg, oral administration, as a process for developing the potent alternative respiratory refinement agent or functional food (Table 1) (Fig 1).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asthma in C57BL/6J mice was induced by OVA sensitiza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IP) of OVA solution - 10 mg OVA absorbed to 0.9 mg Al(OH)3 contained 20 ml saline, once a day for 2 days - 7 day-intervals), and boosting (Intranasal treatment of OVA 10 μg/50 μl saline, twice a day for 2 continuous days) (Table 1) (Fig 1). AS 400, 200 and 10 mg/kg, and DEXA 0.75 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16 days, from 1 hr after first OVA sensitization, respectively (Table 1) (Fig 1). The changes on the body weight and gains, lung weights and gross inspections, total and differential cell counts of leukocytes in BALF, Serum OVA-specific Ig (sIg) E levels, interleukin (IL)-4 and IL-5 levels in BALF and lung tissue homogenates, and NF-κB, p38 MAPK, phosphatase and tensin homolog (PTEN), PI3K Akt, IL-4 and IL-5 mRNA levels in lung tissue homogenates were analyzed with lung histopathology - mean alveolar surface area (ASA; %/mm2 of lung tissues), alveolar septal thickness (μm), numbers of inflammatory cell, mast cells and eosinophils infiltrated in bronchiole-alveolar regions (cells/mm2), respectively (Table 1) (Fig 1). The results of test materials - A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EXA, one of well-known glucocorticoids and the most widely used anti-inflammatory drug used as a control drug on development of the new protective agents for various respiratory disorders, 0.75 mg/kg, oral administration, in the present experiment (Table 1) (Fig 1). RESULTS: As results of OVA sensitization and intranasal challenges (boosting), noticeable lung focal congestions with enlargement at gross inspections with related significant (p<0.01) increases of lung weights, BALF total cell, total leukocyte, lymphocyte, neutrophil, eosinophil and monocyte number, serum OVA-sIg E levels, IL-4 and IL-5 levels in BALF and lung tissue homogenate, lung tissue homogenates genes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process –NF-κB, p38 MAPK, PI3K, Akt, IL-4 and IL-5 mRNA expressions, and decreases of PTEN mRNA expressions were observed in OVA control mice as compared to those of intact vehicle control mice, respectively (Table 3 ~ 7) (Fig 2 ~ 4). In addition, OVA control mice showed lung tissue sarcomatous changes -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related thickening of alveolar septum,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cluding eosinophils and mast cells on the bronchiole-alveolar regions, and related significant (p<0.01) decreases of men ASA as compared to those of intact vehicle control mice, in the current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Table 8) (Fig 5), suggesting eosinophil and mast cell infiltration related NF-κB, PI3K/Akt/PTEN and p38 MAPK expression disorder mediated classic allergic asthma (Table 3 ~ 8) (Fig 2 ~ 5). However, these eosinophil and mast cell infiltration related NF-κB, PI3K/Akt/PTEN and p38 MAPK expression disorder mediated classic allergic asthma symptoms were significantly (p<0.01 or p<0.05)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16 days of continue oral administration of all three different dosages of AS 400, 200 and 100 mg/kg, as comparable to those of DEXA 0.75 mg/kg in AS 400 mg/kg, at least in a condition of the present experiment (Table 3 ~ 8) (Fig 2 ~ 5). CONCLUSION: By assessing the key parameters for pulmonary protective effects on the OVA-induced allergic asthma in C57BL/6J mice, the present work demonstrat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AS, which were standardized and supplied by OKCHUNDANG (Daegu, Korea), at dose levels of 400, 200 and 100 mg/kg showed dose-dependent favorable ameliorating effects on eosinophil and mast cell infiltration related allergic asthma, may be through potent NF-κB, PI3K/Akt/PTEN and p38 MAPK mRNA expression modulatory activities, as comparable to those of DEXA 0.75 mg/kg in AS 400 mg/kg, at least in a condition of the present experiment (Table 3 ~ 8) (Fig 2 ~ 5). It, therefore, is considered that appropriate oral administration of AS has enough pulmonary protective effects can be selectable as candidates for developing the potent alternative respiratory refinement agent or functional food ingredients, through more detail mechanism studies and clinical trials, in future (Table 3 ~ 8) (Fig 2 ~ 5). 실험목적: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호흡기 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소재 또는 천연물 신약 개발의 일환으로, ㈜옥천당 (Daegu, Korea)에서 표준화하여 제공한 당잔대 추출물의 투여용량 의존적 폐 손상 개선 효과를 사람의 알레르기성 천식과 유사한 병태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실험동물 모델인 OVA 감작 및 재노출 (boosting) 유발 C57BL/6 마우스 천식 모델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Table 1) (Fig 1). 실험방법: 본 실험에서는 확립된 이전의 방법들에 따라, 실험동물을 0.9 mg aluminum hydroxide (Al(OH)3)를 용해시킨 20 ml 생리식염수 용액에 10 mg OVA 포화시킨 용액을 10 ml/kg의 용량으로 7일 간격으로 2회 복강 주사하여 감작 시킨 다음, 최종 감작 7일 후 50 μl의 생리식염수에 OVA 10 μg 용해시킨 용액을 1일 2회, 2일 연속 (총 4회) 비강내로 재노출 시켜 boosting 하여 천식을 유발하였으며, 실험물질 – 당잔대 추출물을 40, 20 및 10 mg/ml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OVA 초회 감작 1시간후부터 매일 1회씩, 16일간 10 ml/kg 용량 (400, 200 및 100 mg/kg)으로 각각 경구투여하고, 마지막 16회 경구투여 24 시간 후, 체중, 폐 중량 및 육안 부검 소견 (충혈부위가 치지하는 비율, %), BALF내 총 세포수, 총 백혈구 수 및 백혈구 분별계산 수치, 혈청 중 OVA specific Ig E (OVA-sIg E) 함량, 폐 조직 및 BALF 내 IL-4 및 IL-5 함량의 변화를 폐의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산화스트레스 및 염증 관련 NF-κB, p38 MAPK, PTEN, PI3K, Akt, IL-4 및 IL-5에 대한 mRNA 발현의 변화와 함께 각각 관찰하였다 (Table 1) (Fig 1). 조직병리학적으로 평균 폐포 내강 면적 (alveolar surface area; ASA, %/mm2), 폐포 중격 두께 (μm), 폐포 및 세기관지 주위 침윤 염증세포, 산호성 백혈구 및 비만 세포의 수 (cells/mm2) 를 기초로 평가하였고, 실험결과는 새로운 천식 치료제 개발에 가장 흔히 이용되는 대조약물 중 하나인 부신피질호르몬 계열의 항염제인 DEXA 0.75 mg/kg 경구투여군과 비교 검토하였다 (Table 1) (Fig 1). 총 66마리의 SPF/VAF Inbred C57BL/6JBomTac 암컷 마우스 (Daehan Bio Link, Eumseong, Korea) (ANNEX 1) (ANNEX 2)를 7일간 순화 후, OVA 초회 감작 및 실험물질 투여 시작 1일전 측정한 체중 (정상 매체 대조군 평균 17.52±0.75 g, 16.50 ~ 18.80 g 및 OVA 유발 천식 실험군 평균 17.42±0.52 g, 16.30~18.90 g)을 기준으로 군당 10마리씩, 총 6개 군으로 선별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본 동물실험은 대구한의대학교 동물실험윤리 위원회의 사전 승인 하에 실시하였다 (Approval No. DHU2022-029, March 24, 2022 (ANNEX 3). 모든 실험동물은 실험물질 투여 시작 (OVA 초회 감작) 및 최종 부검일 전 18시간 동안 절식하였다 (이때 음수는 제한하지 않았다) (Table 1) (Fig 1). 결과: 본 실험의 결과, OVA 감작 및 재노출 (boosting)에 의해 현저한 국소 충혈을 동반한 종대에 따른 폐 중량의 증가, BALF 내 총 세포 수, 총 백혈구 수, 임파구, 증성호성 백혈구, 산호성 백혈구 및 단핵구의 증가, 혈청 중 OVA-sIg E 함량의 증가, BALF 및 폐 조직 내 IL-4 및 IL-5 함량의 증가, 폐 조직 내 산화스트레스 및 염증 관련 NF-κB, p38 MAPK, PI3K, Akt, IL-4 및 IL-5 mRNA 발현의 증가와 함께 PTEN mRNA 발현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으며 (Table 3 ~ 7) (Fig 2 ~ 4), 조직병리학적으로도 현저한 육질화 병변 – 염증세포 침윤에 의한 폐포 중격 비후, 폐포 및 세기관지 주위 산호성 백혈구 및 비만세포를 포함한 염증세포 침윤 소견이 관찰되어 (Table 8) (Fig 5),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ASA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다 (Table 3 ~ 8) (Fig 2 ~ 5). 즉, 전형적인 산호성 백혈구 및 비만세포 침윤에 의한 NF-κB, PI3K/AKT/PTEN 및 p38 MAPK 발현 장애를 통한 알레르기성 천식이 유발되었다 Table 3 ~ 8) (Fig 2 ~ 5). 한편 이러한 OVA 감작 및 재노출 (boosting)에 의한 산호성 백혈구 및 비만세포 침윤에 따른 NF-κB, PI3K/AKT/PTEN 및 p38 MAPK 발현 장애를 통한 알레르기성 천식 소견이 모든 세 용량의 당잔대 추출물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투여용량 의존적으로 각각 인정되었으며, 특히 적어도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당잔대 추출물 400 mg/kg은 DEXA 0.75 mg/kg과 비교할만한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한 OVA 유발 아급성 폐 손상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Table 3 ~ 8) (Fig 2 ~ 5). 결론: 이상에서 암컷 C57BL/6J 마우스에서 OVA 감작 및 비강내 국소 재노출에 의해 유발된 알레르기성 천식 소견이 ㈜옥천당 (Daegu, Korea)에서 표준화하여 제공한 당잔대 추출물 400, 200 및 100 mg/kg투여에 의해, 400 mg/kg 투여용량에서 DEXA 0.75 mg/kg과 비교할만한 정도의 PI3K/Akt/PTEN, p38 MAPK 및 NF-κB 발현 조절을 매개한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해, 투여용량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Table 3 ~ 8) (Fig 2 ~ 5). 이러한 결과는, 적어도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적어도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당잔대 추출물 400, 200 및 100 mg/kg의 경구투여는, 400 mg/kg 투여용량에서 DEXA 0.75 mg/kg과 비교할만한 정도의 PI3K/Akt/PTEN, p38 MAPK 및 NF-κB 발현 조절을 매개한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해, OVA 유발 알레르기성 천식을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신뢰할만한 증거로 판단된다 (Table 3 ~ 8) (Fig 2 ~ 5). 따라서 적절한 용량의 AS의 경구투여는 금후 보다 효과적인 호흡기 기능 개선 천연물 신약 또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3 ~ 8) (Fig 2 ~ 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