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부신 피질 기능 평가에 있어 기존의 검사 방법과 타액 코르티솔 측정의 진단적 가치에 관한 비교 연구

        최혜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kground: Cortisol is the major glucocorticoid in humans and has a wide range of influence on water balence, glucose metabolism, immunoregulation. The clinical syndrome of endogenous cortisol excess, Cushing’s syndrome remains a challenge to diagnose. Recently, the measurement of cortisol in saliva at night is becoming more widely accepted as a screening test for the diagnosis of hypercortisolism. However, no studies have included a comparison with other screening tests in a setting more closely resembling clinical practice in Korea. In this study, we compared salivary cortisol profiles from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profiles from healthy subjects and its diagnostic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serum cortisol and 24-h urinary free cortisol(UFC). Materials and Methods: Cortisol in saliva and blood was measured in eighty-two subjects (29 diabetic patients, 53 healthy volunteers). Generally, 2 saliva samples and 2 blood samples were taken over the day at 6 : 00 - 8 : 00 a.m., and 10 : 00 – 12 : 00 p.m. Salivary cortisol was quantified by ELISA. Results: Salivary cortisol levels were 14.43 ± 4.34 μg/㎗ (6: 00 – 8: 00 am) and 4.34 ± 2.85 μg/㎗ (10: 00 – 12: 00 pm).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rum and salivary concentrations at 6 : 00 - 8 : 00 a.m., and 10 : 00 – 12 : 00 p.m. (r =0.776 ; P = 0.000). But UFC concentrations were not correlated with cortisol levels in serum and saliva (r = 0.251; P = 0.434 and r = 0.55; P =0.071). Conclusion: The cortisol assessment in saliva in Korean is a sensitive and reliable method to reflect adrenal function including hypercortisolism. From our view, the major advantages of this method are the reliability, non-invasiveness, and use in out- patients.

      • 가임기 여성의 주관적 구강건강 결정요인 분석

        최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여성의 생애주기 중에 특히 구강건강 악화요인이 가장 많이 나타날 수 있는 임신기의 구강건강관리 필요성에 대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가임기 여성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가임기 여성의 구강건강관리는 임신초기에 치주조직 내의 만성적인 감염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임신기 구강건강관리를 임신 전에 습득하여 실천함으로써, 구강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한국건강증진재단, 2012). 또한 자신의 구강관리를 철저히 하고 치료와 예방에 적극적인 어머니일수록 자녀의 구강관리에도 적극적이며, 어머니의 구강내 우식원인인 S.mutans 세균수를 감소시켜 모자감염의 기회를 줄여 줄 수 있기 때문에(Norman, 2004) 구강건강의 유지 및 증진은 가임기로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 구강건강행태, 치과의료 이용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요인접근법을 통하여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가임기 여성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등 구강건강증진 사업 및 정책에 필요한 효율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가임기여성의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조사 연구로서 연구자는 구강건강과 관련된 국내외 기존문헌을 고찰하여 의미있는 요인을 구성하고, 델파이 기법을 통한 구강건강에 관한 요인의 적절성을 논의한 후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치과병의원을 내원한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여,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치과병의원을 임의표본추출방법을 통해 선정(서울소재 7곳과 경기소재 6곳)하고, 병원기관장의 승인을 얻은 후 2013년 10월 1일부터 10월 18일까지 약 3주 동안 치과병의원에 내원하여 검진 및 치과치료를 받고 있는 현재 임신하지 않은 가임기 여성(만 19세에서 39세까지)을 조사하였으며 486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 Version 20.0을 이용하여 특성별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0세 미만보다는 30세 이상이(p<.05),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p<.001), 치과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안 좋은 경우에(p<.05), 스트레스가 높을수록(p<.01)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낮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치아우식증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이, 치주질환의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사람이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낮았으며,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셋째, 과거흡연자일수록(p<.01), 치과방문 횟수가 많을수록(p<.001), 연평균 치과치료비가 높을수록(p<.001)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낮았고, 정기적 구강검진을 받는 경우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넷째, 전체 가임기 여성의 주관적 구강건강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우, 치주질환 진단유무(β=.286, p<.001), 치아우식증 진단유무(β=.179, p<.01), 과거흡연 여부(β=.178, p<.05),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β=-.146, p<.001), 사회적지지(β=-.119, p<.01), 연평균 치과치료비(β=.103, p<.001), 치과방문 횟수(β=.081, p<.05)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얻었다. 다섯째, 출산경험이 있는 가임기 여성의 주관적 구강건강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우, 치주질환 진단유무(β=.307, p<.001),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β=-.165, p<.01), 연평균 치과치료비(β=.144, p<.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얻었다. 여섯째, 출산경험이 없는 가임기 여성의 주관적 구강건강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우 치주질환 진단유무(β=.285, p<.001), 과거흡연 여부(β=.263, p<.05), 치아우식증 진단유무(β=.224, p<.01),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β=-.132, p<.01), 사회적 지지(β=-.123, p<.05), 치과방문 횟수(β=.119, p<.05)와 연평균 치과치료비(β=.084, 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강건강증진사업 계획을 실시함에 있어 가임기 여성의 구강건강수준 증진도모를 위해 본 연구의 결과가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구강건강상태, 치과의료 이용, 과거흡연,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결정요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종합적인 접근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출산경험 유무에 따른 가임기 여성의 차별화된 전략이 요구되며, 자가 구강건강관리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할 수 있도록 적절한 자원배분과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Correlates of Perceived Oral Health Among Women of Childbearing Age For the sake of promoting the importance of dental care during pregnancy in which the greatest occurrence of aggravating factors of oral health lie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oral health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Dental care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can reduce chronic source of infection in periodontal tissue at the early stage of pregnancy. It can also reduce the risk of stomatosis outbreak by teaching women how to do dental care during pregnancy before pregnancy(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2). In addition, if a mother practices dental healthcare properly and is active in prevention and treatment, she is also very likely to be active in her child's dental care in this way, she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mother-and-child infection by depleting the number of S.mutans which is the source of caries in her mouth(Norman, 2004). Therefore,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oral health needs to begin from the start of menac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fficient information for oral health enhancement businesses and policies such as oral health promotion plan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by establishing determinants of perceived oral health through comprehensive factor approach including sociology of population factors, psychosocial factors, health-related factors, dental healthcare behavior, and the use of dental clinic service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This is a retrospective and descriptive study to find determinants of perceived oral health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We considered a lot of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s for oral health and organized meaningful determinant factors. As a result, we developed questionnaire items after discussing appropriacy of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 through delphi technique.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women of childbearing age who had a visit to a dental clinic and analyzed it . As the final outcome, we established determinant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We selected dental clinic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7 clinics in Seoul, 6 clinics in Gyeonggi-do) by convenience random sampling and received approval from the clinic directors.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women of childbearing age between 19 and 39 years old who were going to the dental clinic but not pregnant for 3 weeks from October 1, 2013 to October 18, 2013. 486 of surveyed women of childbearing age were finally chosen as study participa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Version 20.0. We examined differences in perceived oral health by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determinant factors for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was low for women over the age of 30 than for those under the age of 30(p<.05), for those withless social support(p<.001), for those not having a good relationship with a dentist(p<.05), and for those women having more stress(p<.01). Second, the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was low for women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dental caries and for women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periodontal disease. If awoman well recognizes her own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the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was high(p<.001). Third, the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was low for women who have smoked in the past(p<.01), for those who had more visits to a dental clinic(p<.001), and for those paying more for dental care(p<.001). If a woman has regular dental check-ups, the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was high(p<.01). Fourth, for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perceived oral health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factors such as having periodontal disease(ββ=.286, p<.001), having dental caries(ββ=.179, p<.01), having smoked in the past(ββ=.178, p<.05), self-recognition for oral health status(ββ=-.146, p<.001), social support(ββ=-.119, p<.01), annual average dental care cost(ββ=.103, p<.001), the number of visits to a dental clinic(ββ=.081, p<.05)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Fifth, for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perceived oral health in multiparous women of childbearing age, factors such as having periodontal disease(ββ=.307, p<.001), self-recognition for oral health status(ββ=-.165, p<.01), annual average dental care cost(ββ=.144, p<.01)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the decision of perceived oral health. Sixth, for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of perceived oral health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with no prior no childbirth, factors such as having periodontal disease(ββ=.285, p<.001), having smoked in the past(ββ=.263, p<.05), having dental caries(ββ=.224, p<.01), self-recognition for oral health status(ββ=-.132, p<.01), social support(ββ=-.123, p<.05), the number of visits to a dental clinic(ββ=.119, p<.05), annual average dental care cost(ββ=.084, p<.05)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decision of perceived oral health. We expect that, in case of fulfilling health promotion plan, our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enhancing the level of oral health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In particular , since oral health status, the use of a dental clinic, smoking in the past, and social support have import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perceived oral health, continuous study through comprehensive approach needs to be promoted. In addition , we need differentiation strategies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women have childbirth experience. Also, rational allocation of resources and policy support should be backed up to develop programs for beefing up self dental care ability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

        최혜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 과정을 심도 있게 검토하여 용서 유형과 결과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은 어떠한가?”로 용서를 통해 아픔을 풀어내는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기반으로 진정한 회복을 돕기 위한 효율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심한 성폭력을 경험한 20대에서 40대 여성으로 전주를 비롯하여 5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0명의 여성이 참여하게 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5월부터 2013년 11월 초까지 약 7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형태는 개별심층면접과 자료의 다원화를 위해 연구참여자의 일기를 비롯한 출판된 책, 기관 내의 상담일지를 연구참여자 동의하에 참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도출된 이론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과적 조건으로는 ‘삶이 송두리째 파괴됨’으로 분석되었으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세상으로부터 다시 짓밟힘’과 ‘과거의 상처에 갇혀 살아감’으로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으로는 ‘애도 속에서 희망을 키움’이었으며, 중재적 조건으로는 ‘믿고 의지할 곳이 생김’과 ‘사랑 덕에 숨을 쉬게 됨’ 그리고 ‘마음을 읽을 힘이 생김’이었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고군분투하기’, ‘돌이킬 수 없기에 받아들이기’, ‘삶의 의미를 찾아가기’ 였다. 결과로는 ‘진정한 자유를 누림’, ‘나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됨’, ‘경험자로 일상을 살아감’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 핵심범주는 ‘애도 속에서 찾은 희망을 부여잡고 진정한 자유 누리기’로 건강한 애도를 경험하면서 치유로 나아가기 위한 여정으로 희망을 키워가며 용서를 삶에 끌어들임으로써 진정한 자유를 경험하게 된다. 셋째,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은 ‘상처에 갇혀 살아가기’, ‘애도 속에서 희망 키우기’ ‘의미 찾아가기’, ‘자유로워지기’ 단계로 도출되었으며, 고군분투하기, 돌이킬 수 없기에 받아들이기, 삶의 의미를 찾아가기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따라 고군분투형, 상처수용형, 의미재구성형으로 유형이 분석되었다. 넷째,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은 피해자에서 생존자 그리고 경험자의 정체성 변화가 진행되는 회복과정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회복으로 나아가는 또 다른 여정 중에 하나로 용서는 성폭력으로 야기된 상실에 대한 충분한 애도를 기반으로 치유 희망을 키워가면서 선택하게 되는 대처기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에서는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을 선행연구와 비교하면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은 경험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용서는 성폭력의 기억을 재구성해 가면서 더 이상 수치심이나 죄책감을 가지지 않게 되며, 오히려 가해자가 가져야 할 몫임을 재정의하면서 피해자 정체성에서 생존자 정체성으로 한층 성장하게 된다. 더불어 성폭력 경험 여성은 용서의 의미를 자신의 삶의 의미와 일치시켜 가면서 살아남은 생존자가 아닌 살아가는 경험자 정체성으로 일상이 회복되게 된다. 이는 기존의 성폭력 피해 여성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는 중요한 이슈로 성폭력의 상처는 회복 가능한 외상이기에 경험자의 정체성을 촉진하기 위한 대안들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둘째, 성폭력의 경험은 죽을 것 같은 아픔을 안겨줌과 동시에 모든 일상을 흔들어버림으로써 몸과 마음, 영혼이 파괴 된다. 특히 성폭력은 처녀성의 상실보다도 성폭력으로 인하여 누려야 할 일상과 발달과업의 손실이 성폭력의 회복을 더디게 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성폭력 경험 여성의 회복을 돕기 위해서는 처녀성의 상실에 대한 개입뿐만 아니라, 성폭력으로 인해 누리지 못했던 일상과 그 시기의 발달과업 상실에 대한 개입 역시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는 오로지 치유를 위한 능동적인 선택이며, 살기 위한 마지막 보루였다. 뿐만 아니라, 충분한 애도과정에서의 상처직면과 치유 의지가 강해지면서 선택할 수 있는 대처기제였다. 이에 성폭력에 대한 애도과정을 최소화하고 회피하는 것보다는 슬픔을 표현하고 분노를 맘껏 풀어 낼 수 있도록 지원해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자조모임이 적극 요구된다. 넷째,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비난을 멈추고 긍정적인 정서로 전환시킴으로써 자기애가 회복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성폭력의 아픔을 용서로 승화시킨 자신을 대견하게 여기면서 긍정의 힘이 강화됨을 알 수 있다. 이는 회복의 중요한 관문으로 용서의 중요한 역할 중에 하나이다. 다섯째, 용서가 개인의 성찰이나 신념의 변화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환경과 체계의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경험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공적인 기관의 상담 및 지원의 경우, 성폭력 경험 여성이 진정한 용서를 통해 자신의 상처를 직면하면서 치유의 의지가 강화되도록 돕는 중요한 매개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가족의 지지는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에서 사랑의 근원이자 삶의 이유였다. 이에 성폭력 상담기관의 확대 및 인력의 전문성 강화가 요구되며, 가족 지원을 위한 교육 및 개입이 적극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지닌 주요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을 밝혀 용서의 의미와 맥락을 이해하는 근거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 과정을 통합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회복을 돕기 위한 다양한 대처기제와 자원에 대한 논의 확장 및 기초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 연구의 중요한 목적 중에 하나인 용서에 놓여 있는 유용한 자원과 체계 탐색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체계 및 사회적 지지가 매우 중요한 자원임을 밝혔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성폭력 경험 여성의 용서과정에서 정체성의 변화로 경험자의 삶을 살아가게 됨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는 성폭력과 관련된 패러다임의 변화와 관련된 중요한 이슈로 피해자에서 생존자 그리고 경험자 관점으로 논의가 확대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 나바에츠(D. Narvaez)의 도덕적 기술(ethical skills)에 기반 한 윤리상담 기법

        최혜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윤리상담의 기법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윤리상담은 학생 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도덕지도가 가능하고, 보다 심층적인 도덕적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의 내용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도덕과 수업의 시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어 도덕교육의 방법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윤리상담에 관한 이론적 논의는 활발한 데 비해, 그 실천과 응용에 관한 연구는 크게 부족하다. 또한 기존 연구는 윤리상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했다 하더라도, 윤리학이나 도덕교육이론이 아닌 철학상담이나 심리상담의 방법론을 이용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나바에츠의 도덕교육 이론에 근거한 윤리상담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윤리상담은 크게 내담자의 도덕적 건강이나 치유를 지향하는 상담으로 정의되거나,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윤리학적 관점을 이용하는 상담으로 정의되었다. 윤리상담은 내담자의 도덕성을 직접적으로 다루며, 교육적 목표를 지니고, 궁극적으로 도덕적 행동의 실천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철학상담 및 심리상담과 구분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윤리상담을 ‘도덕적 성찰을 바탕으로 내담자의 도덕적 기술 습득 및 실천을 촉진하는 상담’으로 정의하였다. 나바에츠는 레스트의 4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행복하고 탁월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익혀야 할 도덕적 기술 목록을 제시하였다. 나바에츠의 도덕적 기술 이론과 윤리상담은 도덕교육의 구체성과 현실성을 보완하려는 공통된 목적의식을 지닌다. 그러나 나바에츠의 도덕적 기술 목록은 미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작성되었고, 그 내용과 범위가 너무 방대해 한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윤리상담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바에츠의 도덕적 기술 목록을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 ‘실현가능성’, ‘한국의 교육 환경’,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도덕적 기술 목록을 토대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인 ‘초등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윤리상담 기법’을 ‘윤리상담 절차’와 ‘윤리상담 활동’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연구자의 윤리상담 절차는 총 7단계로 이루어지며, ‘기술의 이름 → 기술을 배우면 좋은 점/기술을 배운 내 모습 → 현재 나의 모습 → 모범 사례 → 기술 연습 방법 → 후원자/응원 댓글 → 축하활동’의 순서로 진행된다. 윤리상담 절차를 제안함과 동시에, 본 연구에서는 다섯 번째 단계인 ‘기술 연습 방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윤리상담 활동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연구자가 제시한 윤리상담 기법은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부합하고, 도덕적 행동을 습관화 하는 데 기여하며, 도덕적 담화 공동체를 형성하고, 도덕교육환경을 응원과 지지의 분위기로 변화시킨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진행되지 않았던 윤리상담의 기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윤리상담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윤리상담을 진행하고자 하는 학교 현장을 연결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국립극장과 한국공연예술센터의 무용 제작과정 분석을 통한 무용제작시스템의 효율적 모델 방안 연구

        최혜정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들의 질적 풍요로움을 추구하면서 ‘문화예술’을 보고 즐기며 체험하는 활동들로 여가활동이 확산되고 점차 비중의 확장과 함께 대중예술뿐만 아니라 순수예술에 대한 관심도 확장되었다. 순수예술 분야 중 ‘무용’은 일반인들의 발레예술교육과 함께 보편화되어 예전에 비 관심분야의 장르라는 예술적 포지션에서 벗어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발레를 제외한 한국무용분야나 현대무용의 분야는 아방가르드적인 전문적인 예술적 이상향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레 장르를 제외한 순수공연예술로써의 ‘무용’은 대중의 흥행과는 상반될 수 없어 산업적 영역으로 들어서기에는 아직 어려운 점이 있다. 모든 산업은 기초과학이나 기초예술 위에서 발전의 촉매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으로 순수예술의 예술적 가치를 산업적인 가치로만 성과를 치부해서는 안 된다. 순수예술이 기초예술로서의 가치를 보존․유지 할 필요가 있으며, 그 가치 안에서 공연예술로써의 무용제작 방식에 대한 현대화와 체계적 과정이 확립되어져야 한다. 사실 현 상황에서 순수 무용계의 개인단체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개인단체의 높은 비중은 제작방식에서의 현대화나 기술화를 이루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순수예술 분야 중 대중성이 낮은 ‘무용’을 대상으로 무용장르의 발전적 방안 모색의 한 방편으로서 무용제작 방식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개인단체들을 배제하고 체계화와 현대적 제작시스템이 존재하는 국공립 극장 중 국립극장과 한국공연예술센터를 중점으로 제작과정을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제작과정 속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각각의 기관의 장점을 서로 대입하여 무용제작 공연의 체계적인 과정확립과 무용제작과정을 통한 질 높은 무용공연작품 생산을 위한 이상적 모델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각각의 기관에서 무용작품 제작과정의 문제점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국립극장의 경우는 산하 단체인 무용단을 위한 관리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 작품의 새로운 캐스팅이 필요하다는 점, 레퍼토리 작품과 기획 작품의 효율적 배분이 필요하다는 점이 나타났다. 한국공연예술센터의 경우는 무용작품 제작을 위한 계약직고용으로 인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문 인력의 부족과 획일화된 홍보방식에 따른 관객층의 한계성, 적은 예산에 따른 창작비용의 부족에 있었다. 두 기관의 문제점을 살펴본 결과, 공통적인 점은 전문적 구성인력이 부족과 제한적인 마케팅 전략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무용제작 분야의 전문적 인력 발굴과 양성 및 환경 구축 두 번째, 다양한 홍보방식의 방안마련과 성공적 전략의 DB 구축 두 기관의 문제점 및 보완점 도출과정에서 각각의 기관의 다른 장점이 서로 교차하여 시스템에 대입하였을 때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그에 따른 각 기관의 효율적인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국립극장의 효율적 모델에 대한 제안 첫 번째, 한국공연예술센터의 공연프로젝트의 안무가 선정방법을 대입, 국립극장 작품의 외부안무가를 섭외, 무용공연의 발전과 작품의 다양성을 추구 두 번째, 한국공연예술센터의 다양한 무용수 선정을 대입, 주역무용수의 오디션방식을 도입하여 고정적 레퍼토리의 예술적 성장과 고정적 관객을 유치 (2) 한국공연예술센터의 효율적 모델에 대한 제안 첫 번째, 국립극장의 고정적 인력배치방식을 대입, 무용제작 분야의 전문적 인력 구축으로 제작과정의 효율성을 높임 두 번째, 국립극장의 제작공연에 대한 전체구성의 비중도를 높였던 점을 바탕으로 한국공연예술센터에서의 무용제작 프로젝트의 정기적 진행과 발전가능성을 열어둠 세 번째, 제작비중도에 따라 무용제작비용에 대한 투자를 확대, 창작과정의 비용부담을 덜어 작품의 다양한 콘텐츠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함 As contemporary men have pursued qualitative richness, leisure has expanded to activities watching, enjoying, and experiencing ‘Cultural Art’ and interest about not only popular art but also pure art has expanded with graduated extension of portion. ‘Dance’ among pure arts is generalized with ballet education for ordinary people, so has diverged from artistic position like the nonmainstream. However, Korean dance or modern dance except for ballet have pursued avant-garde, professional, and artistic utopia. ‘Dance’ as pure performing art except for ballet cannot be separated from popular run in such situation, so it is difficult for this dance to enter industrial field. All industries can hold role of catalyst for development on basic science or basic art, so value of pure art should not be evaluated with industrial value. It is necessary to preserve and keep value of pure art as basic art, and modernization and systemat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bout method of making dance as performing art in this value. In fact, individual organizations in the world of pure dance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in this situation, and such high sharing of individual organizations makes moder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making method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desires to discuss about method of making dance as one expedient of groping expansive method of dance targeting ‘dance’ whose popular appeal is low among pure arts. Especially, the researcher excluded individual organizations, and examined pros and cons of making process, focusing on the National Theater and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among national theaters having systematic and modern making system. Through this, this study substituted strength of each institution by grasping problem in making process, so desires to establish systematic process of dance production performance and to build ideal model for production of dance performing works of a high quality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dance. As a result of analysis, problems of making process of dance works can be drown from each institution. In case of the National Theater, administration manpower is insufficient for Dance Company under the National Theater, new casting of works is necessary, and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repertoire works and the planning works economically. Problems of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are insufficient continuous and stable specialty manpower by hiring contract employees for production of dance works, limitation of audience type according to standardized public relations, and insufficient making cost by a low budget. As a result of examining problems of two institutions, common problem is th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problem of restrictive marketing strategy, so the study suggested methods according to this. First, hunting and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for field of making dance and building environment. Second, preparation of various public relations and building DB with successful strategy. Different strength of each institute has mixed each other in generating process of problems and supplement points of two institutions, so when this substituted to system, it is possible to build effective system. And according to this, effective methods of each institution were suggested as follows. (1) The suggestions about effective model of the National Theater First, substituting methods of choreographer choice of performing project in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casting outside choreographer of works of the National Theater, seeking development of dance performance and diversity of works. Second, substituting selection of various dancers of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artistic growth of static repertoire and inducement of static audience by audition to delegate the principal dancers. (2) The suggestions about effective model of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First, substitution of static method about manpower arrangement of the National Theater, enhancing efficiency of making process by building professional manpower of field of making dance. Second, opening regular progress and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project for making dance in Korea Performing Arts Center based on enhancing portion of the whole composition about making performance of the National Theater. Third, extension of investment about cost of making dance according to portion of production, realizing various contents of works by lightening the burden about cost of making process.

      •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비교

        최혜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손자녀를 전담하여 양육하는 조모와 손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N시의 10개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조모들 중에서 손자녀를 전담하여 양육하고 있는 조모 30명과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지 않은 조모 30명으로 서울특별시서울의료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2011년 2월 7일부터 4월 8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본 연구자와 훈련받은 연구보조원이 직접 대상자들을 찾아다니며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참여 동의를 구한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자가 보고에 의해 또는 작성시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설문을 읽어 주고, 응답의 내용을 대신 작성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신미경과 신수진(2008)이 사용한 Speake, cowart와 Pellet의 Perceived Health Status 도구를,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서 전시자(1989)가 사용한 Zung의 우울척도를,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전영숙(2007)이 사용한 Mekenna의 노인용 삶의 질 척도를, 자녀와의 갈등을 측정하기 위해서 최정혜(1991)가 개발한 갈등 측정 척도 중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갈등을 측정하는데 적정하다고 평가되는 15문항만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삶의 질 및 자녀와의 갈등 정도를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제 1가설은 기각되었다(t=-1.186, p=.122). 2) 제 2가설 :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우울 정도는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t=2.763, p=.000). 3) 제 3가설 :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삶의 질 정도는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t=-1.934, p=.335). 4) 제 4가설 :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조모의 자녀와의 갈등 정도는 다를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t=3.625, p=.000). 본 연구의 결과, 손자녀 양육여부에 따라 조모의 우울과 자녀와의 갈등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가 손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조모보다 우울이 더 높았으며 자녀와의 갈등이 더 많아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에게 가족이나 지역사회가 더 관심을 가져야 함을 보여 주었다. This research compared the degrees of grandmothers’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between the grandmothers who take full charge of raising their grandchildren and the grandmothers who don’t.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30 grandmothers who take full charge of raising the grandchildren and 30 grandmothers who don’t of grandmothers who live in 10 apartment complexes in N city, Gyeonggi-do and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07, 2011 to April 08, 2011, after approving from Institutional Review Board in Seoul Medical Center. Data collecting methods were that the researcher and trained research assistant visited the subjects in person, explained the purpose of research,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after getting consents of participations and received reports which were done by themselves or if they need help in reading, then read the questions and wrote their responses for them. In order to measur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grandmothers, Speake and cowart which Sin Sugeong and Sin Sujin used and tools of Percieved Health Status of Pellet, depression index of Zung that Cheon Suja used for determining the degrees of depression, the measurement of life quality of Mekenna for aged that Cheon Yungsuk(2007) used for measure the quality of life and for measuring the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15 reconstructed questions that are appropriate for measure the conflict of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of the measurement of conflict index developed by Choi Junghye(1991) were applied as the research methods. In data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the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or not, the subjective state of health,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the degree of conflict with children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According to whether a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or no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will be different.” From the validating the hypothesis, sinc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appeared, the first hypothesis was rejected(t=-1.186, p=.122). 2) The second hypothesis: “According to whether a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or not, the degrees of depression will be different.” From Validating the hypothesis, as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second hypothesis was supported(t=2.763, p=.000). 3) The third hypothesis: “According to whether a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or not, their quality of life are different.” From Validating the hypothesis, sinc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appeared, third hypothesis was rejected(t=-1.934, p=.335). 4) The fourth hypothesis: “According to whether a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or not, the degrees of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will vary.” After validating the hypothesis, a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ourth hypothesis was supported(t=3.625, p=.000).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depending on whether the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or no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the degrees of depression and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However the test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words, the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they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than other grandmothers, therefore family and local community pay more attention to the grandmother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 유아영어교사 양성과정과 연수 교과목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최혜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ecessities of learning English are in creas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degrees in the world these days. A lot of early childhood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and day care are learning how to speak and listen English in Korea specially, even though they are too young to understand it. According to these trends, many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Korea are interested in the method to learn English excellently. Actually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conditions to teach children English effectively. One of them is the training courses for the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to accumulate their skills to teach children English effectively. This study examined what curriculums the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want to learn and what kind of scholastic abilities, personal histories and educational qualitieshave. For the objectives, the research problem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are the curriculums constituted in the training courses for the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the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 and in the Department of Children' English in the College? 2. What are the careers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teaching English the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3. How are the contents and evaluations organized for retraining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The results of those research can be summarized some parts below.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 the representative University Continuing Center and Department of Children's English in College in Korea for teaching children English are made for about four spheres; 1. The first i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including Basic Practical Conversations, Phonics, Pronunciations and classroom English. 2. The second is learning the various teaching skills for inducing the interesting and effective English class. There are about ten more skills utilizing in the classroom including Song& Chant, TPR, Storytelling, Game&Play, Drawing, Theory of Teaching Method, Planning the class, Role play, Management of class, Development of textbook, Practical Exercising, Making the materials, Applying the multi-media and Model class. 3. The third is helping the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underst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lating the Early Childhood English. As they understand the abstruse curriculums connecting between the two field, the Early Childhood English programs will be developed appropriately. 4. The fourth is the acquiring the diverse general knowledge about the English Educations. The qualities of the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 through the questionnaires are provided as follows; Most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re women and their ages are almost from thirty to forty. They graduated university generally and their majors are almost Department of English literatures and English Educat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sand Children' Educations.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raining courses is to learn new teaching method. They have ever experienced to study with English native speaker to continue developing their English skills. They hardly take part in the institute activities to advance their ability of English. They usually have the positive confidence to communicate with English native speaker. The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 main subjects of Song& Chant, Game& Play and Model Class, Making the materials & textbook. They don't think they need to take courses relating with English Educations, Evaluation the class, Understanding the culture about the England & America and Teaching the reading & writing English. Considering those results, excellent and effective training course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are essential to obtain the achievements to make the children speak and listen English very well. First of all, we need to make the curriculums in the point of national system and should educate the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exactly, according to those curriculu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