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인체 간 Microsome에서의 제2세대 Sulfonylurea계 약물들의 Cytochrome P450 약물 대사효소에 대한 억제작용

        최지이,김수영,김경아,박지영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4

        연구배경: Sulfonylurea계 약물들은 제2형 당뇨병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다. 장기간 투여로 인한 병용투여 약물과의 약물상호작용 가능성이 높고 또한 이들 약물들과 병용투여 약물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독작용이 보고된 예가 있으나 작용기전을 밝힌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대사 효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cytochrome P450(CYP)에 대해서 제2세대 sulfonylurea계 약물들에 의하여 억제 작용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약물상호작용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인체간 microxomes를 이용한 glibenclamide, glipizide, 및 gliclazide 등이 CYP1A2, CYP2C9, CYP2C19, CYP2D6 및 CYP3A4 동효소에 대한 억제정도를 각각의 CYP 동효소에 대한 지표약물을 이용하여 농도에 따른 상대적 억제정도로 평가하였다. 결과: Glibenclamide의 경우 CYP2C9에 대한 강한 억제 작용을 보였으며(IC_50, 11.3μM), CYP3A4에 대해서도 중등도의 억제작용이 관찰되었다(IC_50, 5900μM). 또한, CYP1A2, CYP2C19, CYP2D6에 대해서도 억제 작용이 관찰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IC_50s>112μM). Glipizide는 CYP3A4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강한 억제작용을 보였으며(IC_50, 11.2μM) 타 CYP 동 효소에 대해서는 거의 억제 작용을 나타내지 못하였다(IC_50s>500μM). Gliclazide의 경우 CYP2C9에 대해서는 약한 억제작용이 관찰되었으며(IC_50, 276.1μM) 타 CYP 동효소에 대한 억제 작용은 관찰되지 아니하였다(IC_50, >500μM). 결론: CYP 동효소에 대해서 제2세대 sulfonylurea계 약물들이 억제 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임상적으로 sulfonylurea와 병용 투여 약물간의 약물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Sulfonylurea계 약물과 타 약물의 병용 투여시 치료 영역이 좁은 약물이나 농도에 따른 독성이 큰 약물의 경우 적극적인 혈당 조절과 더불어 병용 투여 약물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monitoring)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Sulfonylurea drugs have been used for many decades as one of the main families of drug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Even though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to medicate sulfonylurea drugs concomitantly with many other drugs, and furthermore there have been several case reports on drug interaction with sulfonylurea drugs, there has been no clear demonstration revealing the mechanisms that cause these interactions. We therefore evaluated inhibitory potential of sulfonylurea drugs, including glibenclamide, glipizide and gliclazide, on the cytochrome P450(CYP)-catalyzing enzymes using human liver microsomes. Methods: The inhibitory effects of glibenclamide, glipizide and gliclazide, on the CYP-catalyzing reaction, were evaluated for CYP1A2, CYP2C19, CYP2D6 and CYP3A4 using human liver microsomes, and probe drugs for each. Results: Glibenclamide showed relative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CYP2C9- and CYP3A4- catallyzed reaction (IC_50; 11.3(μM and 59.0 (μM). The other CYP isoforms tested showed only weak inhibitory effects by due to glibenclamide (IC_50>112(μM). Glipizide showed potent inhibitory effect on CYP3A4-catalyzed reaction only (IC_50; 11.2 (μM), and weak, or no, inhibitory effects on each on the other CYP isoforms tested (IC_50>276 (μM). Conclusion: The sulfonylurea drugs showed inhibitory potential on the CYP-catalyzing reaction in human liver microsome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provid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of the drug interaction to ward drugs co-administered with sulfonylureas.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ntrol of blood glucose, as well as therapeutic drug monitoring, to reduced toxicities when sulfonylurea drugs are co-administered with drugs of a narrow therapeutic range, or with severe dose-dependent toxicities (J Kor Soc Endocrinol 17:544∼553, 2002).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백서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의 Chicken Lysozyme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미치는 T₃효과 분석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유전자 전사과정은 증강부위 (enhancer) 또는 억제부위(silencer)의 복합작용을 통하여 조절되며 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는 두 개의독립적인 전사인자 결합부위 (Fl과 F2)를 가지는데 Fl부위는 75~93 kD 크기의 NePl 단백질이 결합하는 위치인 반면 역위회문구조(inverted palindrome, InvPal)의 F2 부위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실험적으로 Fl부위 또는 F2 부위 (이하 F2-TRE 부위)를 각각 다량체화(multimerization) 하였을 때 전사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구조임을 시사하고 있으며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가 완전한 전사억제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다. 현재 갑상선호르몬에 의한 chicken Iysozyme 유전자 조절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73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거의 보고된 바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저자들은 치근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전 ·후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IRE2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염색체 면역침전법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확인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F2-lRE 부위를 포함하는 백서 뇌하수체 종양세포주인 GC8 세포를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시간적 순서에 따라 F2-TRE 부위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thymidine kinase(TK) promoter의 5' 부위에 chicken Iysozyme silencer의 고친화력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F2-TRE 부위)가 삽입된 플라스미드,mouse TRα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 neomycinresistance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를 백서 뇌하수체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인 GC 세포에 각각 주입하여 제작한 GC8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100 α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각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을 1.5μL에서 4.5μL로 바꾸어 첨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한 후 2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F2-TRE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과 TRβ2의 결합은 증가한 반면 TRβl의 결합은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TRα1은 T₃ 투여 전 1.01에서 T₃ 투여 후 2.73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Bβl은 T₃ 투여 전 4.59에서 T₃투여 후 2.06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Rβ2는 T₃ 투여 전 2.53에서 T₃ 투여 후 2.98로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TRα1, Δ=+170.3%, p<0.05; TRαl, Δ=-55.1%, p<0.05; TRβ2, Δ=+17.8%).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8.13에서 T₃ 투여 후 7.77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Δ=-4.4%).100nM T₃ 투여 전 ·후 시간별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Rα1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과 6시간 뒤 각각 증가하였으며 TRβ2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 뒤 최고치까지 증가하였다가 2시간 뒤부터 감소하였다. 그러나 TRαl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1시간 뒤 최저치까지 감소되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100 nM T₃ 투여 전과 투여 후 2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비교하였을 때 TRα1은 219.8% (1.01→3.23), TRβ2는 9.9% (2.53→2.78) 증가하였으나 TRβ1은 52.9% (4.59-)2.16) 감소하였으며 결합량 변화의 방향은 100 naM T₃ 투여 후 4시간 뒤와 6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 변화의 방향과 일치하였다(TRα1, 2.89→4.09, Δ =+41.5%; TRβl, 2.33→2.04, Δ=-12.4%; TRβ2, 2.57→2.59, Δ=10.8%).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 μL 또는 4.5 μL 투여한 후 F2-TRE부위에 대한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행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결합량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관찰된 T₃ 자극 전 · 후 chickenIysozyme 유전자의 F2-TBtE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이성체의 교대현상 및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가 나타내는 의미에 대하여 추시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다른 유전자 또는 다른 종류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와유전자 발현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 결과만으로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대한 많은 의문점을 풀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거의 없는 현실을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ㆍ후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F2-TRE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교대현상을 재확인하였다는 점과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regulation of gene transcription can be controlled by both positive (enhancer) and negative (silencer) regulatory sequences. Several enhancer and silencer ele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5' region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The silencer located at -2.4 kb upstream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is composed of two separate modules (Fl and F2) that can function as silencers by themselves, but also show synergistic repression after multimerization. The F1 module is bound by a protein termed NePl and F2 module, a F2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 (F2-TRE), and can be bound by the thyroid hormone receptor (TR). F2-TRE has an inverted palindromic structure, with high affinity to TR. Although many current reported results have tried to explai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chicken lysozyme gene expression due to the thyroid hormon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clarify the TR dynamic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either with or without exposure of the thyroid hormone. Here, the changes in the TR binding pattern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are described,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Methods: Using the stably transfected rat pituitary somatotroph tumor cell line, GC8 cells, with the F2-TRE inserted 5' to the thymidine kinase (TIC) promoter, together with a mouse TRα - expressing plasmid, a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was employed to reveal the TR-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Following the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the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respectively.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1 and TRβ2 to the F2-TRE, before and after 1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analyzed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The ChIP technique was used to give a basal value for 20 minutes and 1, 2, 4, 6, 8 and 12 hours after the 100nM T₃ stimulation, and RQ-PCR was then performed. Western blot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of the GC8 cells, the TRα1 and TRβ2 binding to the F2-TRE increased, but the TRβ1 binding to the F2-TRE decreased, by conventional PCR. Although all the TR isoforms were bound to the F2-TRE by RQ-PCR, the TRαl binding to the F2-TRE, after 12 hours of l00nM T₃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01→2.73, Δ =+170.3%, p<0.05), bu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TW2 binding was not significant (2.53→2.98, Δ=+17.8%). The TRβ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basal level (4.59→2.06, Δ=-55.1%, p<0.05). The total TR bindings to the F2-TRE had a tendency to decrease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8.13→7.77, Δ=-4.4%).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βl and Tβ2, both before and after the 100 nM T₃ stimulation, were also identified over time. While the TRβl bindings to the F2-TRE after 1 hour of l00nM T₃ stimulation were acutely reduced, those of the TRαl at 20 minutes and 6 hours were increased. The TRβ2 bindings showed a maximal increase at 20 minutes. The directions of the TR binding patterns,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identical to those for between 4 and 6 hours of T₃ stim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 bindings to the F2-TRE in relation to the amounts (1.5 vs. 4.5μ I)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the ChIP assays. The Western blo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s of each TR isoform proteins, either before or after 12 hours of exposure to 100nM T₃.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dynamic binding patterns of the TR isoforms to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will be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our observations. The ChIP technique may then be used to reveal the dynamic models of the cofactors, as well as TR isoforms, in the TR-regulated transcription machinery (J Kor SOC Endocrinol 18:379-391, 2003).

      • KCI등재후보

        사람 췌도 세포 분리의 표준화 및 분리 성적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김송철,한덕종,김익희,위유미,김양희,김진희,백지혜,임동균 대한내분비학회 2006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1 No.1

        연구 배경: 사람에서 당뇨병의 근본적 치료를 위해 성공적인 췌도 이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분리 방법 및 분리된 췌도 세포의 품질 관리가 필수적이다. 또한 뇌사 기증자 및 분리 과정에 관여되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분리 성적이 좌우 되기 때문에 이들의 요인 분석 역시 성공적인 췌도 세포 분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방법: 69예의 뇌사 기증자로부터의 췌도 세포 분리가 표준적인 분리 방법의 확립과 함께 이루어졌다. 성공적인 분리를 100,000 (IEQ) 이상으로 정의하여 기증자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사망 원인, 냉허혈 시간, 췌장 상태, collagenase 주입 시 췌장의 팽창 정도, 주입 시간, 소화 작용시간 등이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분리 후의 평균 췌도 세포의 수는 순수 분리 전 216.0 × 103 ± 173.7 × 103 (IEQ), 순수 분리 후 130.6 × 103 ± 140.2 × 103 (IEQ)이었다. 평균 순도는 54 ± 31%였다. 분리된 췌도 세포에 대한 viability 는 95 ± 4%였으며 포도당 자극에 의한 자극지수는 4.67로 좋은 기능을 보였다. 공여자의 평균 연령은 31.2 ± 13.2 세였으며 평균 냉허혈 시간은 6.9 ± 6.2시간이었다. 균 동정 검사에서 유의한 균 검출은 나오지 않았다. 성공적인 췌도 세포 분리에 관여되는 인자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 췌장의 상태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그 외 성별, collagenase 주입 시간과 소화 작용시간이 중요 인자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기증자의 성별, 췌장의 상태, 소화 작용 시간이 유의한 인자였다. Background: Identifying the donor and isolation-related factors during the islet isolation would be greatly helpful to improve the result of human islet isolation for successful clinical islet transplantation.Methods: Sixty-nine pancreata from cadaveric donors were isolated with standard protocol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donor factors and isolation variables for successful isolation. Islet isolations recovered ≥ 100,000 Islet Equivalent (IEQ, n=53) were compared to islet mass less than 100,000 IEQ (n=16).Results: The mean islet recovery was 216.0 × 103 ± 173.7 × 103 (IEQ) before purification and 130.6 × 103 ± 140.2 × 103 (IEQ) after purification. Mean purity was 54 ± 31%. Mean age of donor was 31.2 ± 13.2 year and mean cold ischemic time was 6.9 ± 6.2 hour. Quality of isolated islets was acceptable in terms of bacterial culture, viability and secretory function in vitro and in vivo. In univariate analysis on successful isolation, status of pancreas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and sex, duration of collagenase expansion and digestion time were marginal factors. Stepwis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donor sex, status of pancreas and digestion time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the successful islet isol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some donor factors and variables in isolation process can influence the ability to obtain the successful isolation of human islet. Enough experiences and pertinent review of donor and isolation factors can make islet isolation successful, supporting the clinical islet transplantation without spending of cost (J Kor Soc Endocrinol 21:22~31, 2006).

      • 한국인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비타민 D 수용체 3′ 말단부위 유전자 다형성

        황재경,김경원,김태용,이회수,박영주,신찬수,박도준,박경수,이병두,김성연,이홍규,조보연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1

        연구배경: 한국인 그레이브스병 환자를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하여 연관성을 살펴보고, 유전자형과 임상상 및 갑상선수용체자가항체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새로 진단된 그레이브스병 환자 117명과 건강한 성인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타민 D 수용체 3' 말단부위 유전자 다형성은 각각 ApaI, BsmI, TaqI 제한효소로 잘라 제한분절길이다형성 방법으로 유전자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절단부위가 존재하는 경우를 각각 a, b, t라 하였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A, B, T라 명명하였다. 결과: 제한효소 ApaI에 대한 유전자형의 분포는 각각 AA형 17.1%, Aa형 50.4%, aa형 32.5%이었고, BsmI의 경우는 BB형이 7.1%, Bb형이 35.4%, bb형이 57.5%이었고, TaqI 유전자형은 TT형이 92.6%, Tt형이 6.2%, tt형이 1.2%이었다. 이러한 분포는 정상인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전자형에 따른 그레이브스병 환자군의 임상상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에, 모든 유전자형에서 연령, 성별, 갑상선종의 크기, 안구병증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a유전자형에서 TBII(aa 55.9±18.3 vs. Aa 43.2±23.4, p<0.05; aa 55.9±18.3 vs. AA and Aa 42.9±23.5, p<0.05)와 WT-CHO TSAb (aa 620±829 vs. AA and Aa 353±306, p<0.05)가 높고, bb유전자형에서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높으며 (BB and Bb 31.9±38.9 vs. 51±42.8, p<0.05), b 유전자를 포함하는 군에서 혈청 alkaline phosphatase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Bb and bb 139±68 vs. BB 82.2±15.5, p<0.05). 결론: 한국인에서 비타민 D 수용체 3' 말단부위의 유전자 다형성은 그레이브스병과 연관성이 없었다. 향후,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와의 연관성을 확실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3' 말단부위이외의 다른 부분의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vitamin D receptor (VDR) gene polymorphisms with Graves' disease in Koreans. We also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VDR gene polymorphisms with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iters of TSH receptor antibodies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Subjects and Methods: The VDR gene polymorphisms were evaluated in 117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156 normal controls. The polymorphisms were represented according to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a(ApaI), Bb(BsmI), and Tt(TaqI), with the capital letters signifying the absence, and small letters the presence of restriction sites. Results: The distribution of the ApaI polymorphism genotype was: AA(17.1%), Aa(50.4%)and aa(32.5%). The BsmI polymorphism genotype distribution was: BB(7.1%), Bb(35.4%) and bb(57.5%); and the TaqI polymorphism genotype distribution was: TT(92.6%), Tt(6.2) and tt(1.2%).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ither genotypic or allelic distribu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the normal controls, associated with the VDR gene polymorphism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age, sex, size of goiter or the presence of ophthalmopathy,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ssociated with the VDR gene polymorphisms. However, the titers of the TBI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a than the Aa genotype, and were also higher in the group without the A allele than in groups with(aa 55.9±18.3 vs. Aa 43.2±23.4, p<0.05; aa 55.9±18.3 vs. AA and Aa 42.9±23.5, p<0.05). Thyroid stimulating antibodies measured with a CHO cell transfected with a wild type of human TSH receptor, were also higher in patients without the A allele than in those with(aa 620±829 vs. AA and Aa 353±306, p<0.05). The titers of the anti-thyroglobulin antibod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not containing the B allele than in the group that did(bb 50.9±42.8 vs. BB and Bb 319.±38.9, p<0.05).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higher in the group having the b allele than in the group that did not(Bb and bb 139±68 vs. BB 82.2±15.5, p<0.05). Conclusions: The VDR gene 3' end polymorphism was not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Graves' disease in Koreans. The studies of other polymorphism sites of the VDR gene might be required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of VDR gene polymorphism with Graves' disease in Koreans (J Kor Soc Endocrinol 18:12∼23, 2003).

      • KCI등재
      • KCI등재

        간 전이를 포함한 다발성 전이로 발견된 갑상선 미세암

        이상진,김원구,김형용,이현기,김태용,고윤석 대한내분비학회 2007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2 No.1

        A 65-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dry cough and multiple various sized nodules in both lungs on chest X-ray. A CT scan showed a 9.5 cm sized hypervascular mass in the liver and a 5.5 cm sized intraabdominal mass. A percutaneous needle biopsy of one of the lung nodules revealed a metastatic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Therefore, thyroid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which revealed a 1 cm sized nodule in the right thyroid lobe. Cytology, obtained by ultrasonography 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revealed a follicular neoplasm. The tumor cells were weakly positive on galectin-3 immunostaining, which favored a follicular carcinoma. An ultrasonography guided biopsy of the liver and EUS (endoscopic ultrasonography)-guided biopsy of the intraabdominal mass revealed a metastatic follicular thyroid carcinoma in the liver and peritoneum.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a follicular thyroid microcarcinoma, with multiple metastases to the lung, liver and peritoneum. (J Kor Endocrinol Soc 22:50~54, 2007) 65세의 여자 환자가 마른 기침을 주소로 내원했으며, 흉부 단순 촬영에서 다발성의 폐결절이 발견 되었다. 복부 단층 촬영에서 9.5 cm 크기의 간종괴와 5.5 cm 크기의 복강내 종괴가 발견되었다. 폐 결절에 대해서 경피적 침 생검을시행했으며, 갑상선 여포암의 폐전이로 밝혀 졌다. 갑상선에 대한 고해상도 초음파 검사를 시행했으며, 우측 갑상선에 직경 1.0 cm 크기의 결절이 관찰되었다. 초음파를 이용한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했으며, 갑상선 여포성 종양(follicular neoplasm)으로 진단되었다. galectin-3 염색을 추가로 시행하였으며 약양성으로 나와 갑상선 여포암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9.5 cm 크기의 간종괴에 대해서 경피적 조직검사와 5.5 cm 크기의 복강 내 종괴에 대한 초음파 내시경 조직검사를 시행했으며, 폐 결절과 동일한 양상의 갑상선 여포암의 전이로 진단되었다. 본 증례에서와 같이 1 cm 크기의 여포성 갑상선 미세암이 큰 복강 내 종괴 및 간종괴로 전이되는 경우는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어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