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 아동문화의 태동기 일본인 활동에 관한 연구 - 쇼쿄쿠사이 덴카쓰 이치자의 조선 아동연극공연을 중심으로 -

        김성연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1

        한국에서 최초로 한글로 활자화 된 아동극의 대본은 『어린이』 창간호(1923년 3월20일)에 소개된 「동화국 노래주머니」이다. 한국의 아동문학, 아동문화의 본격적인 출발은 천도교 소년회를 주도하던 방정환이 중심이 되어 1923년에 설립된 색동회의 활동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어린이』가 창간되기 무려 10여 년 전부터 경성일보사가 주최한 구연동화회가 빈번하게 열리고 있었으며, 일본에서 이와야 사자나미(巖谷小波)나 구루시마 다케히코(久留島武?)와 같은 아동문학가들이 초빙되어 조선 각지를 순회하며 구연동화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또한 1916년부터 경성일보에는 어린이를 위한 칼럼이 만들어져서 동화가 연재되었다. 한국 아동문학, 아동문화의 성립 배경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일본인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 행해진 일본인들에 의한 아동문학이나 아동문화에 관한 선행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오타케 기요미(大竹聖美, 2002)에 의해 몇몇 아동문학가들의 조선 방문이 소개된 후, 김성연(金成?, 2008)에 의해 일본인들의 조선 구연동화 활동 연표가 작성되는 등 구연동화 활동의 전체적인 흐름은 밝혀 졌지만, 구연동화 이외의 아동문화 활동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찾아 불 수 없기 때문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구연동화에 초점을 맞춰서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행해진 일본인 문학가들의 활동에 대해 연구해 왔지만, 최근 경성일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일본 최초의 여자맘술사인 쇼쿄쿠사이 덴카쓰(松旭?天勝)가 경성에서 아동연극공연을 한 자료를 발견하였다. 1901년부터 5년간 미국 순회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일본에 돌아와 최초로 미국식마술 쇼를 상연하여 큰 인기를 끈 덴카쓰는 메이지 시대의 국민적인 마돈나였다. 1915년 9월부터 51일간 경복궁에서는 일본의 조선 통치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조선 물산 공진회가 개최되었는데 같은 기간 경성일보사는 가정박람회를 열어 관객몰이에 주력했다. 덴카쓰의 공연도, 가정박람회에 보다 많은 관람객을 유치하기 위해 경성일보사가 기획한 것이었다. 연일 무대 공연뿐만 아니라 유니크한 이벤트에 덴카쓰를 등장시켜 끊임없이 화제몰이를 하였다. 10월 10일부터 19일까지 예정됐던 덴카쓰의 공연은 매일 관객들로 가득 찼고 인기에 힘업어 매번 연장되더니 결국 11월 6일까지 공연을 했다. 순종의 만찬회에도 불려가 공연을 하고 많은 하사품을 받기까지 했다. 명실상부 당대 최고의 마술사 덴카쓰가 경성에서의 마지막 공연에 올린 작품이 이와야 사자나미 원작의 아동연극이었다. 본고에서는 구연동화와 아동연극으로 대표되는 근대 일본 아동문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만나지는 덴카쓰의 조선 공연의 전체 내용을 소개하는 동시에 이 자료를 앞으로의 연구의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한국과 미국의 산업수학 연구동향 비교분석

        김성연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8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research topics related to industrial mathematics between Korea and the US, in the three periods namely the jumping, the growth, and the maturity stages.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titles and abstracts of 3,310 papers published by the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SIAM) and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KSIAM) from 2010 to 2019.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opics in industrial mathematics were related to all the fields of mathematics presented in the middle classification of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NSTC) and about 71% of job types presented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required in industrial sites. Second, 'bio mathematics' and 'combinatorial mathematics/graph theory' were fields that have reached a stable stage in the US, 'numerical analysis', 'financial/actuarial statistics', and 'mathematical programming/optimization theory' were fields with the potential for future growth, and 'functional analysis' appeared to be a field that can be expected to play a leading role in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cademic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the benefit of Korean researcher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the Korean government. This could have a bearing on the outcome of the industrial mathematics fostering plan. 본 연구에서는 산업수학에 나타나는 연구주제의 현황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와 시기에 따라 연구주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산업응용수학회와 한국산업응용수학회에서 출판한 총 3,310편의 논문 제목과 초록을 대상으로 구조적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수학의 연구주제들은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의 중분류에 제시되어있는 전 수학 분야와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제시되어있는 직무 유형의 약 71%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바이오수학'과 '조합수학/그래프이론'은 미국에서 안정기에 접어든 분야로, ‘수치해석’, ‘금융/보험통계’, ‘수리계획법/최적화이론’은 향후 성장 가능성이 있는 분야로, 그리고 '함수해석'은 한국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분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연구자들에게는 학술적, 그리고 정부에는 그동안의 산업수학 육성방안 성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대학 교양/기초 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방향 탐색

        김성연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6 한어문교육 Vol.38 No.-

        In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that only emphasizes practicality and job conformance, cultivating interdisciplinary knowledge through reading education can be a god way to satisfy the original goal of university education. Universities are already inducing students to read books through various reading encouragement programs and managing or developing subjects related to reading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level. This study aimed to review how they are managed, what kind of problems they have, and search for ways of reading education in university.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reading programs of universities and their problems. After review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ommon reading programs of universities such as ‘presenting recommended books’, ‘reading certificate system’, and ‘provision of mileage’,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staged reading programs with the level of composition nearing that of subjects such as freshmen reading programs of American universities. Then, it presented the necessity of reading education linked with subject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ways to develop that. It analyzed the status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the subject of reading education at the general education level in universities in 2000, and explored ways of effective reading education by connecting systematic reading and discussion-linked reading.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realize reading education that aims to cultivate interdisciplinary knowledge than on functional and practical reading. In the reality of Korea where ‘Liberal Arts’ and ‘Discipline’ are divided, reading education is expected to serve the important role of closing the gap between the two.

      • KCI등재

        정책 선호, 정책 인식, 그리고 정책 투표의 영향: 18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김성연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5 의정연구 Vol.21 No.3

        Whether voters’ policy preference influences their vote choice is an important question directly related to the working of representative democracy. However, while much empirical research has shown that partisanship, ideology, and the state of national economy matters in Korean elections,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oters’ policy preferences on vote choice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various aspects of policy voting in the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using 『EAI Election Panel Study, 2012』. The results show that voters’ policy preference had a strong impact on vote choice independent of partisanship, ideology, regionalism, age, and the state of national economy. However, these effects of policy preference became clear when both voters’ policy preference and their perception of candidates’ issue stands were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age effects disappeared when the effects of policy preference and ideological orientation were controlled for. It implies that generation cleavage in Korea may not be as important as we previously thought once we take into account policy preference and ideology. Finally, Park successfully portrayed herself as supporting the reform of Jaebul, which helped her to win the election.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가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는 민주주의의 작동 일반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 선거에서 정당 투표, 경제 투표, 이념 투표 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정책 투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최근 공개된 『EAI 총선대선패널조사, 2012』를 이용하여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가 후보 선택에 미친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한다. 분석 결과, 우선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는 정당 지지, 이념, 경제 평가, 출신 지역, 나이 등과 더불어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선택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영향은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와 후보들의 정책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보다 분명하게 나타났다. 또한 정책 선호와 이념의 영향을 통제하면 나이의 영향은 후보 선택에 더 이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세대 균열이 이념 및 정책 균열과 중첩되어 있으며 그 자체의 영향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함의한다. 마지막으로,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후보는 경제민주화 공약 등을 통해 자신을 재벌 개혁을 지지하는 후보로 인식시켰고 이것이 박근혜 후보의 지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The Discourse of Reform and the Perception of Tradition in Modern Korean Buddhism

        김성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25 No.1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major pursuits of the discourse of reform in modern Korean Buddhism and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ir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Korean Buddhism. Based on Gwon Sang-ro’s “Treatise on the Reformation of Korean Buddhism” which was featured as a series in the Buddhist magazine Korean Buddhism Monthly from 1912 to 1913, Han Yong-un’s Treatise on the Restoration of Korean Buddhism, which was published by the Buddhist Bookstore in 1913, and Yi Yeongjae’s “Treatise on the Renovation of Korean Buddhism” which was published as a series in the Chosun Ilbo in 1922, the article summarizes the objectives of the argument for reform, which include the following: breaking free from tradition, religious and philosophical features, the emphasis on education and propagation fo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and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ed body of the Buddhist order. In the 1910s, Han Yong-un and Gwon Sang-ro were conscious of the competition with other religions as it pleaded for the reform of Buddhism. From the standpoint of social Darwinism a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they regarded self-strengthening as the only way to survive in the religious competition and proclaimed to escape tradition and eliminate all superstitions elements. Influenced by the March First Movement, however, from the 1920s, the task to review the status of Buddh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nation, culture, and thought was undertaken. The reverence and worship of the Tripitaka Koreana at Haeinsa and Wonhyo are typical examples. If breaking away from tradition was considered a means to be reborn as a civilized religion in the 1910s, the path that was chosen in the 1920s was to excavate and inherit cultural tradition and become the agent of the nation and culture. Meanwhile, the key point of Yi Yeongjae’s argument for reform was to criticize colonial Buddhism policies and argue for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Buddhist order. The establishment of a controlling agency or an organized body of the Buddhist order had been discussed in earnest starting from the mid- to late 1930s, and finally, in 1941, the Jogye Order of the Buddhism of Joseon was born. The choice to name the order Jogye Order was the outcome of efforts to declare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e discourse of reform of modern Korean Buddhism carrie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at it did not merely pursue modernization but attempted to excavate and recreate tradition, which led to the efforts to establish an identity as a modern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