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 5-6학년 6종 음악교과서 감상영역 중심으로

        이은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51711

        음악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음악의 체험을 통하여 개인의 미적 가능성을 최대한 확장하는 일이다. 이러한 목적은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타고난 음악적 감수성, 문화적 소양을 지닌 전인적인간이 되도록 육성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지 음악적 지식을 배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있어서 음악은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음악을 느끼게 하고, 음악의 기본 감각과 기초 기능을 기르며, 음악적 경험 안에 창의력을 발휘하면서 능동적으로 표현하고 수용하도록 지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6종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 중 국악감상곡과 서양감상곡을 살펴보았을 때 국악분야는 삼국시대부터 근·현대 시대까지로 구분하여 나타나 있었으며 서양분야는 중세시대로 시작하여 근·현대 시대까지로 분류하여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2017년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사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6종 음악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감상영역 제재곡들을 국악음악, 서양음악으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제재곡들의 교과서별 특징과 곡들의 다양성, 학습구성과 함께 제재곡들이 들어있는 페이지의 악보 및 그림 형태들을 자세히 다루어 볼 수 있었다. 교과서별 감상 제재곡을 살펴보면서 다양한 장르와 시대별 곡들을 더 쉽게 감상하고 학습할 수 있는 제재곡들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본 논문이 향 후 편찬될 음악 교과서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감상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풍부한 정서적 함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ultimate objective of music education is fully expanding individual aesthetic ability through musical experiences. Such objective has a goal to foster a student to be a whole-person with natural sensibility of music and cultural accomplishment through various musical activities. It should contain various kinds of musical experiences, not just ends with obtaining musical knowledge. To students, music could be a proper tool to express themselves. Therefore, music education focuses on guiding students to feel the music, to grow basic sense and essential function of it, and actively to express and accept about it showing their creativity in the musical experiences. When the musical pie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gukak) and the Western music were examined (under the music appreciation in six types of th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under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era of gukak was distributed from the era of the Three States to modern period and the era of Western music was distributed from the Middle Age to modern period. Upon this study, the musical pieces in the music appreciation area in 6 types of th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under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used in 2017 now, were examined divided by gukak and Western music.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the variety of the duplicated musical pieces and the shapes of drawings on the pages where the musical pieces were, enabled to be revealed in detail. This study enlightened the necessity for the musical pieces that should be appreciated and learned more easily and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ic date in the construction of music textbooks that would be published in the future to help students rich emotional cultivation through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바이올린 지도방안 연구 : 아동기를 중심으로

        김세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음악은 모든 이의 것이다.”라고 말했던 코다이(Zoltán Kodály, 1882∼1967)는 모든 사람이 음악교육을 통해 음악적 소양을 기르면 창조적이고 인간적이며 보다 풍부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믿었다. 본 논문은 코다이 교수법의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고, 아동기의 음악 발달 능력에 따른 바이올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지도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바이올린 지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코다이의 생애, 음악교육 사상, 교수법의 특징을 고찰한다. 둘째, 기악교육의 중요성을 살피고 아동기의 발달특징과 음악적 능력의 발달에 대해서 정리한다. 셋째, 위 내용을 근거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총 9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구성하였으며 초급 수준의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제재곡은 일반적으로 바이올린 교육에 사용 되는 교재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대상이 바이올린을 처음 접하는 학생이므로 음악 기초이론과 바이올린의 기본적인 연주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연주 기술 위주의 일방적인 지도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신체활동과 가창 등으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끌어냄으로써 자발적인 흥미 유발과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신장을 목표로 한다.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바이올린 지도방안은 바이올린을 처음 접하는학생들에게 리듬을 말로 표현하며 익히고, 손기호를 통해서 독보력을 신장시키며 정확한 리듬감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획일화된 기악교육에서 벗어나 코다이의 교수법을 통하여 언어를 익히듯이 자연스럽게 음악을 익히고 악기를 연주하고 습득하는 과정이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동시에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 할 수 있는 소중한 음악적 경험이 되길 기대해 본다. Kodály (1882∼1967), the established music educator who quoted ‘Let music belong to everyone.’ firmly believed that all human would be able to lead a more creative, humane and richer life through the embracement of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dály music education concept and present violin educa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varying musical aptness in childhood. The Violin education methods on Kodály concept were formula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Kodály’s personal life, philosophies on music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method were observed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 Second, justification on the importance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the observation on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and musical ability developments were analyzed. Third,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present teaching and education methods were structured. A total of 9 structures were developed subject to children from first grade to second grade of primary school children. The musical pieces were selected from general music education books and Musical compositions were selected in reference to the basic level of musical ability among children and general levels of textbooks used to educate children. The research is composed of content relevant to the elementary music theories and education level for students unfamiliar with music education. Eliminating one-way educational method, the method strategically acknowledged children’s development phase and utilized physical movements and vocal exercise. By encouraging voluntary involvement out of the students, the method aims to explore interest stimulation and enhancement of musical understanding. Violin education strategy that fundaments on the Kodály concept was structured for students to express and understand rhythms vocally, develop music expression cap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finger movements for rhythmic accuracy. Hopefully, not on the basis of standardized instrumental education, but on the Kodály method, students can learn music as much like learning language and also expect that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way of managing musical instruments can make students feel the beauty of music and wish it to be a valuable musical experience for them to grow well-rounded persons.

      •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음악과 협동학습 지도방안 연구 :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을 중심으로

        이예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 중 하나는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인식을 통해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소통능력을 지닌 인재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의 학교 교육에서 대부분의 교육방법은 지식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교육이 행해졌다. 사회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흐름에서 교육의 방법도 변화되어야 한다. 음악교과에서는 다른 교과보다 다른 문화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협동학습이 이루어지는 교과 중 하나이다. 하지만 합주, 합창 등의 단순한 협동학습보다는 다원적인 협동학습이 되어야 한다. 계속해서 협동학습의 범주가 합주, 합창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학생들은 더 이상 음악교과에 대한 흥미를 갖지 못 할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바탕으로 하여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음악과 협동학습 지도안을 개발 하였다. 지도안은 제재곡 중심의 지도안으로 총 4가지 지도안이다. 첫째, STAD수업모형을 적용한 문화적 배경이해하기 지도안, 둘째, Jigsaw 모형을 이용한 제재곡 이해하기 지도안, 셋째, GI 모형을 이용한 음악신문 만들기 지도안, 넷째, TAI모형을 이용한 종합평가 지도안의 총 4가지의 지도안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은 비고츠키의 사회 문화적 구성주의 학습을 통해 다문화적인 면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문화와는 다른 문화를 이해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배경으로 음악을 더욱 깊게 이해 할 수 있다. 또한 협동학습을 통해서 서로 소통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사고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본 지도안은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문화의 다원적 가치 인식을 통해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소통능력을 지닌 인재육성을 목적으로 지도안을 작성 하였다. 지금까지의 교육이 교사 중심의 교육 이였다면 현대사회의 교육의 주체, 중심은 학생이여야 한다.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던 교사중심의 수업을 한순간에 학생중심의 수업으로 바꿀 수는 없다. 교육이 현대사회에 맞게 변화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부모, 학생들의 인식이 변화해야 하며, 교사들은 다채로운 수업을 위해 많은 연구를 행하여야 할 것이다. One of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is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ho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respect others through recognition of the pluralistic value of culture. However, until now most of the education methods carried out in school education were injecting and enforcing knowledg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methods of education must undergo changes. In the music curriculum, there are many kinds of lessons in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the value of different cultures and requires cooperative learning more than other subjects. However, it should be more of cooperative learning with multiple aspects rather than simple cooperative learning such as concert and chorus. If the categories of cooperative learning continue to be focused on chorus and concerted music, students will no longer be interested in music subjects. Therefore, I developed a music and cooperative learning lesson plan based on Vygotsky 's social constructivist theory taking into account the goals of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of 2015. The lesson plan consist of 4 lessons centering around the song of the chapter. There are 4 different lesson plans: first, the lesson plan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background using the STAD instructional model; second, the lesson plan for understanding song of the chapter using Jigsaw model; third, the lesson plan for making music newspaper using GI model; fourth, the lesson plan for total evaluation using TAI model. In this study, students can comprehend a culture different from our culture by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aspects through learning Vygotsky's social constructivism in which the cultural background will enable them to understand music more extensively. Moreover,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one can learn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respect other’s opinion. Hence, this lesson plan aims to cultivate talented students with communication ability for respecting and caring for others through recognition of the pluralistic value of culture pursued in the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of 2015. Until now education was centered around the teacher whereas the center of education in the modern society should be the student. It would be difficult to change the teacher-centered class into a student-centered class overnight. In order to alter education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must change their perspectives whereas the teachers should consistently study to develop variety of lesson plans.

      • 영상매체를 활용한 서양음악 감상지도 방안 연구 : 고전주의 작곡가 중심으로

        권은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현대 사회의 발전으로 다양한 매체들이 생겨났다. 과거에는 신문과 라디오를 통하여 직접적인 광고를 하였다. 현대에는 TV,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가상현실을 만들어내는 VR(Virtual Reality)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매체가 생겨난 것은 현대의 기술이 많이 발전 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무의식중에 영상에 노출이 되어있다. 그 속에는 사람들의 시·청각을 자극하는 많은 요소들이 있다. 김치냉장고를 선전하는 TV광고에서는 잘 익은 김치와 더불어 아삭한 식감의 소리를 함께 담아 소비자들에게 인상 깊은 장면을 심어주고 구매 욕구도 높이게 된다. 이처럼 시·청각을 함께 사용하는 효과를 교육에 접목 시킨다면, 보다 높은 교육적 성장을 이루어 낼 것이라고 본 연구자는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에 배당된 음악시간과 문화체육관광부의 조사를 통하여 국민 여가 활동을 살펴본 후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영상매체를 활용한 서양음악 감상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수업지도안은 변화하는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교과의 내용과 연관이 없다.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서양음악의 고전시대 작곡가를 이론적 배경에서 정리한 영상매체를 기준으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연구자는 수업지도안을 통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서양음악 감상에 쉽게 접근하고, 일생 생활에서 클래식의 활용에 관하여 알아보면서 음악 감상에 흥미를 느끼고 나아가 취미생활로 발전하기를 바라는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이 되었다. 첫째,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해당논문과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한다. 둘째, 영상매체의 이해와 영상매체에 활용된 음악에 관하여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고 음악 감상 교육의 중요성과 영상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가치를 생각해 본다. 고전주의 배경과 정의 연구자가 선정한 작곡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한다. 셋째, 위 내용을 근거로 하여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고전시대 음악으로 3명의 작곡가를 선정하고 수업지도안은 10차시로 구성한다. 중학교 1학년의 학생의 50분 수업에 집중을 할 수 있도록 교사는 PPT와 활동지를 활용한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과 함께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를 수업하였다는 조건 하에 작성이 되었으며, 수업에 필요한 감상노트는 개인이 준비하는 것으로 한다. 활동지는 교사의 재량에 따라 내용이 추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수업지도안은 어떠한 형식에 따라 작성된 것은 아니며, 교사의 음악 활동에 맞게 수업 모형과 구성은 재구성 될 수 있다. 교사들은 연구자의 수업지도안을 참고하여 새로운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더욱 실용적으로 창안된 수업지도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has resulted in various media. In the past, advertisements were made directly through newspapers and radio, but now, TV, smart phone application, computer, and VR (Virtual Reality) which creates virtual reality have appeared. The emergence of various forms of media in this way shows that modern technology has developed a lot. We are exposed to the image unconsciously. There are many elements that stimulate people's watching and hearing. In TV commercials promoting Kimchi refrigerator, Kimchi is accompanied by sound and images of crispy texture, which give consumers an impressive scene and increases their desire to watching and hearing sources together to education, we will achieve higher educational grow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people through the music time allocated to the curriculum and the surve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develops a teaching method for listening to Western music using the visual media for the frist grade of middle school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e teaching plan, the researcher aims to have first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easily access to appreciation of Western music, to learn about the use of classical music in lifelong life, to become interested in music appreciation and further to develop into a hobby. For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is compos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dvance research. Second, the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visual media and music used in visual media, and considers the importance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value of education using visual media. The classical backgroun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mposer selected by the researcher are arranged. Third, based on the contents above, a teaching plan is prepared. Three classical composers are selected for classical music, and the lesson plans are composed of ten classes. Teachers use PPTs and activity paper to focus on 50-minute lessons for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Based on Western music history, the researcher creates a teaching plan in classical times. This study is prepared under the condition that middle ages, the renaissance, and the baroque period are taught with the first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activity paper can be added according to the discretion of teachers. The teaching plan of this study is not written in any form, but the teaching model and composition can be reconstructed to suit the teachers’ musical activities. Teachers think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new visual media to refer to the lesson plans of the researcher and to make more practical and invented teaching plans.

      • 랩(Rap) 음악의 특징을 활용한 중학교 음악창작 지도방안 연구 : 스캠퍼(SCAMPER) 기법을 중심으로

        장유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come along in the near future.’ The day is no longer far from us. Our society is changing drastically day after day.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keyword of competency is creativity. The society is demanding persons of ability that can lead innovation with new ideas. In this situation, it is no longer appropriate to provide education focusing on delivering information or memorizing pieces of knowledge. Teachers should lead students to exhibit their creativity and potential to the fullest themselves. In fac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music subject is intended to improve students’ creativity as well as musicality. The type of music class directly associated with creativity is one for creating music. Here, the roles of teachers instructing music creation are crucial. Teaching contents to heighten students’ interest can not only improve their concentration and also encourage their class participation. This is particularly more needed in class aiming to enhance students’ creativity. 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this author has applied ‘SCAMPER’, a method for creative thinking, in combination with ‘rap’, a genre of pop songs loved by teenagers, and suggested a teaching plan for music creation here. Regar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this researcher has examined creative activitie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music subject and also rap and SCAMPER, the materials of class for music creation, closely. To understand rap music, this author has looked into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hip hop which rap music belongs to and organi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rap, too. Also, to understand SCAMPER, this researcher has arranged the concept and thinking principles of SCAMPER and the actual cases of creative activities included in the music subject based on the types of questions in SCAMPER. After that, before coming up with a teaching plan for creative activities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rap music, this author analyzed textbooks containing rap music among the currently used middle school textbooks. Moreover, this researcher has examined the open learning model applied to this study briefly and summed up five values that learners can obtain when this model is used for education. Next, this author describes how the teaching plan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rap music, the key part of this thesis, has been designed and how the teaching plan applying SCAMPER has been designed. Also, this researcher explains how to apply rap music to the creative activities of music briefly and presents teaching contents in each session and tables about teaching materials needed for the activities based on that. In addition, this author describes how to apply SCAMPER to the creative activities of music briefly and suggests the teaching plan to create rap applying SCAMPER with tables regarding teaching contents included in each session and class materials needed for the activities. Lastly, this study presents a teaching plan for creative music activities combining rap music with SCAMPER. The open teaching model is applied, and total four sessions are planned. Tables present learning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ies in each session. This author suggests activity sheets used in each session, too, so that you can use them in actual learning processes. Among many types of music class, class for music creation is regarded difficult by a lot of students. They feel burdened about the fact that they have to arrange new sounds and rhythms themselv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materials students feel familiar with and comfortable about when planning the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rap music students have keen interest in these days with the influence of TV programs or SNSs as the material of class for music creation and motivate student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In addition to that, this author applies SCAMPER inducing creative thinking by substituting old things with new things regarding rap music and suggests a teaching plan corresponding to the goal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This author expects that the teaching plan will be applied in the actual field of learning frequently. If so, students will no longer regard class for music creation difficult and burdensome but exciting and interesting instead. ‘곧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는 말은 더 이상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다. 그만큼 사회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의 인재 키워드는 창의성이다. 사회는 새로운 아이디어로 혁신을 이끄는 인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존의 정보전달과 암기위주의 지식습득은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스스로 창의성과 잠재력을 발현할 수 있게 이끌어주어야 한다. 실제로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살펴보면, 학생들의 음악성과 창의성 증진을 강조하고 있다. 창의성과 직결되는 음악수업의 형태는 음악창작 수업이라고 볼 수 있다. 음악창작 지도를 하는 교사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는 수업내용은 집중력을 높여줌과 동시에 수업참여도를 높여준다. 이는 특히 학생들의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업에서는 더욱 필요한 부분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대중음악 ‘랩’과 창의적 사고 기법인 ‘스캠퍼 기법’을 접목시켜 음악 창작활동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창작활동에 대해 살펴보고, 음악창작 수업 소재인 랩과 스캠퍼 기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 랩 음악의 이해를 위해 랩 음악을 포괄하는 힙합의 개념 및 특징을 살펴보고, 랩의 음악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스캠퍼 기법의 이해를 위해 스캠퍼 기법의 개념 및 사고원리를 정리하고, 스캠퍼 기법의 발문 형태를 토대로 한 음악교과 창작활동의 실례를 정리해 보았다. 그 후 랩 음악의 특징을 이용한 창작활동 지도안을 정리하기에 앞서 현행 중학교 교과서 중 랩 음악이 수록된 교과서를 찾아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적용되는 지도모형인 열린 학습 모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이러한 열린 학습 모형으로 교육이 이루어졌을 때 학습자가 얻을 수 있는 다섯 가지의 가치에 대해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본 논문의 핵심인 랩 음악의 특징을 활용한 지도안 설계,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지도안 설계에 대해 서술하였다. 음악 창작활동에서의 랩 음악의 적용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고, 그를 바탕으로 차시별 지도 내용 및 수업활동과 필요한 수업자료들을 표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음악 창작활동에서의 스캠퍼 기법 적용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하고, 스캠퍼 기법을 이용한 랩 만들기 지도안에 대한 내용을 차시별 지도 내용 및 수업활동과 필요한 수업자료들을 표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랩 음악과 스캠퍼 기법을 접목시킨 음악 창작활동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열린 교육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총 4차시로 구성하였고, 차시별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 등의 내용을 표로 제시하였다. 실제 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각 차시마다 학습 활동지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음악 창작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게 되며,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인 음악 표현 방법을 배울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학생들 간의 상호 학습을 이루게 하고, 의미 있는 사고의 과정을 형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여러 음악수업 형태 중 음악창작 수업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려움을 호소한다. 새로운 음과 리듬을 배치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부담감을 느끼는 것이 그 이유이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쉬운 수업 소재를 찾아 수업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TV 프로그램과 SNS의 영향으로 학생들의 관심도가 높아진 랩 음악을 음악 창작활동 수업의 소재로 선정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자 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랩이라는 음악에 기존의 것을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며 창의적 사고를 더해가는 스캠퍼 기법을 접목시켜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하는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지도안이 실제 많은 학습 현장에서 실현되기를 희망한다. 그렇게 된다면 학생들에게 있어서 음악 창작수업은, 더 이상 어렵고 부담스러운 수업 시간이 아닌 즐겁고 흥미로운 음악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하브루타 학습방법을 적용한 서양 음악감상 수업지도안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김아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PISA) has been conducted on OECD nations every 3 years since 2000 and it is composed of total three subjects as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result based on 2012, Korea ranked among the highest among 34 nations being the first place in reading, second place in mathematics, and fourth place in science. The result is enough for Korean education to receive worldwide attention. Also, Jews, the people of Israel, became distinguished in many ways by accounting for 30% of the Nobel Prize and 30% of Ivy League admission even though they showed low performance of ranking in 30th place. This is receiving interest and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by scholars. The educational level and level of teachers may be the best in the world, but intrinsic motivation and a sense of self-efficacy are lower than the average. This can be considered as the result that appears in memorization-oriented passive education that focuses only on college entrance exams. However, Jews use a learning method called ‘Havruta’ of studying through debates since childhood. This is an unfamiliar studying method to Koreans who are familiar with studying alone. On the other hand, Koreans focus on reading books, memorizing the contents, and getting the right answer than asking questions with curiosity and finding answers on their own when they study. Bringing out the strengths of our education and combining advantages of Havruta learning method of active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will be a good way to supplement what the current teaching method lacks in while developing curiosity and creativity. The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through research results that signified that music education relives stress and gives psychological stability to adolescents. Most of the most common music appreciation classes among various forms of music class are organized in audio-visual instruction of seeing and listening for listening to music and writing reports. Combining Havruta and music appreciation class will help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with interest. To combine Havruta and music appreciation class, this study investigated Havruta, researched its historical background, process, and principle of Havruta, and organized its learning method. Th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nts and standard of the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of music and music appreciation, and analyzed textbooks around first-year middle school textbooks. At this point, this study analyzed 17 pieces of middle school music by element, concept, period, form of musical performance, composer, and frequency of appreciation music, and organized a teaching plan by selecting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rchestra” written by Britten of high frequency. This study prepared 3 teaching plans for Britten’s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rchestra” based on the 5 class models as question-centered, discussion-centered, comparison-centered, teaching friends, and making questions class models of Havruta. This study applied the first part of “The Young Person’s Guide to the Orchestra” through question-centered Havruta on first session, and applied the second part of discussion-centered and comparison-centered Havruta on second session. On the last 3rd session, this study grafted and applied the third part of teaching friends and making questions Havruta on third session. This study intends to leave music in students’ memory for long time and guide students to find and appreciate classic Western music on their own. Interest in music educ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hrough Havruta, and creativ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are expected to take place while actively participating in class. Whereas studies on Havruta are constantly being conducted in other subjects as economy, mathematics, and science,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that grafted onto music. It being a very effective teaching method has been verified through strengths of Havruta and many studies. Now, it is expected for the class to be a high-quality class where students participate actively and make good questions as studies on Havruta teaching method are conducted actively in music subject. 국제성취도평가(PISA)는 2000년부터 3년 간격으로 OECD국가들을 대상으로 치러지는 시험으로 읽기, 수학, 과학 총 세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 기준으로 조사결과 한국은 34개국 중 읽기 1위, 수학 2위, 과학 4위로 최상위권을 자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교육이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기에 충분하다. 또한 이스라엘 사람 유대인들은 30위의 낮은 성적이만 노벨상의 30%를 차지하고 아이비리그 입학을 30% 차지하며 여러 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이 또한 학자들에게 관심을 받고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인의 교육 수준과 교사의 수준은 세계에서 최고라고 할 수 있지만, 그에 반면 내적 동기, 자아 효능감 등은 평균보다 낮다. 그것은 입시 위주의 암기 중심의 수동적 교육에서 나타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어릴 적부터 논쟁과 함께 공부하는 ‘하브루타’라는 학습방법을 이용한다. 이것은 혼자서 공부하는 것이 익숙한 한국인에겐 친숙하지 않는 공부법이다. 반면에 한국 사람들은 학습을 할 때에 호기심을 가지고 질문을 하면서 스스로 알아내고자 하기보다는, 책을 읽고 외우며 정답을 맞추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 우리 교육의 장점을 살리면서 적극적인 토론과 소통의 형태인 하브루타 학습방법의 잇점을 접목시킨다면 호기심과 창의력을 더욱 키우면서 현 수업형태의 부족함을 보완하기에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음악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는 많은 연구 결과로, 그 필요성도 강조 되고 있다. 음악수업의 여러 형태 중 가장 보편적인 대부분의 음악감상 수업은 보고 듣기로만 이루어진 시청각 수업의 형태로 감상을 하고 감상문을 쓰는 정도의 음악수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음악감상 수업에 하브루타를 접목시킨다면 학생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하브루타와 음악감상 수업을 접목시킬 목적으로 먼저 하브루타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그 역사적 배경과 과정을 연구하면서 하브루타의 원리를 알고, 학습방법을 정리 해 보았다. 그 후 한국의 교육과정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감상영역의 내용과 기준을 알아보고,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 때 중학교 음악 17종을 기준으로 요소 및 개념별, 시대별, 연주형태별, 작곡가별, 감상곡의 빈도수별로 분석하고, 상위 결과 중 빈도수 높은 브리튼의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곡을 선정하여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하브루타의 질문 중심, 논쟁 중심, 비교 중심, 친구 가르치기, 문제 만들기의 5가지 수업 모형을 기준으로, 브리튼의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곡에 대한 수업지도안을 3차시로 나누어 작성하였다. 1차시에는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제 1부를 질문 중심의 하브루타로 적용하였고, 2차시에는 제 2부를 논쟁 중심, 비교 중심 하브루타로 적용하였다. 마지막 3차시에는 제 3부를 친구 가르치기, 문제 만들기 하브루타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게 접목 시켜 작성하였다. 이 수업을 통하여 기억에 오래 남고 흥미를 가지며 스스로 클래식 서양 음악을 찾아 감상할 수 있도록 이끌고자 한다. 하브루타를 통하여 음악 교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 하면서 창의력과 주도 학습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하브루타는 경제, 수학, 과학, 등 다른 과목에서는 꾸준히 연구가 되어 지고 있는 반면 음악에 접목 시킨 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하다. 분명 효과가 좋은 수업 방법임은 하브루타의 장점 및 많은 연구들을 통해 증명되어 왔다. 이제는 음악 교과에서도 하부르타 교수법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좋은 질문을 하는 질 높은 수업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혼합 박자 학습을 위한 사물놀이 지도 방안 : 웃다리 사물놀이 중 칠채를 중심으로

        권기홍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중등 음악교육에 있어서 음악적인 성장은 매우 중요하다. 음악 교육과정에서 가창, 기악, 음악의 생활화 등의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음악적 감성, 음감의 발달로 예술성 및 창의성이 고루 발달한 상태를 음악 통합적 성장이라 할 수 있다. 2015교육개정의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핵심 역량을 키우며 배움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학생중심 교육과정을 추구하고 있다. 음악이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 특징 및 가치를 개방적으로 태도로 수용하고, 음악 분야의 전문지식과 소양을 토대로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며, 음악을 통해 우리 전통 문화와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교육과정에 따라 우리 문화의 전통과 보전을 위해 힘써야 하지만 학교현장에서 많은 교사들이 전통음악을 지도하기 어려워하며, 학습자 또한 흥미를 쉽게 잃어버리는 현실에 처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문화 전통인 풍물놀이를 무대에 공연화한 현대적인 사물놀이를 제시하고 서울 충청지역의 풍물을 모아 만들어진 웃다리 사물놀이 중 ‘칠채’ 장단을 분석하여 사물놀이 지도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사물놀이 지도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기초적인 사물악기의 이해 및 연주법을 살펴보았다. 국악교육에 다양한 악보를 활용하고자 리듬 분석 및 사물놀이 연주에 사용한 악보와 (국립국악원에서 발행한 한국음악 제 27집 사물놀이) 서양식 악보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기호보와 구음보를 분석 및 정리하였다. 사물놀이 교수지도안은 웃다리 사물놀이 중 ‘칠채’ 장단에 사용한 3분박과 2분박을 분석하여 혼합박자 학습 능력을 높이고 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얻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박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물놀이 장단을 연주할 수 있다. 혼합박자로 구성된 칠채를 분석하여 사용된 가락의 리듬꼴을 이해하고 새로운 가락을 구성할 수 있다. 둘째, 사물놀이 연주를 통해 모둠수업, 협동수업을 통하여 학습자간의 협동심을 기를 수 있다. 셋째, 다양한 악보를 경험하여 악보 읽는 능력이 향상되며, 음악의 창의성과 즉흥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2015 교육개정에서는 국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악을 학습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장단이다. 국악에서 사용되는 3박과 2박의 개념을 이해하고 국악교육에 창의성과 질적 성장을 위하여 다양하고 흥미로운 수업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Musical growth is important in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In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ed musical growth means an evenly-developed state of artistry and creativity by developing both musical sensibility and musical sense through a variety of experiences, e.g. habituation of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The 2015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seeks to create a student-centered curriculum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develop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help students experience the pleasure of learning. Students can accept the beauty, nature, and value of music in an open manner, create their original ideas based on specialized knowledge in the field of music, and experience Korea’s traditional culture and diverse cultures across the world through music. We must try to preserve our culture and tradition during the course of study, but many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traditional music in school settings and learners also lose interest in music easily, as a matter of fact.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ethod of guidance on Samulnori by understanding modern Samulnori that was made by having our traditional culture Pungmulnori performed on the stage and analyzing ‘Chilchae’ beat that was made by gathering the institutions and customs of Seoul and Chungcheong provi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Samulnori guidance first and then understood the basic instruments for Samulnori and learned how to play the instruments. For implementing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using a variety of music, the musical notes used for playing Samulnori (Samulnori in Vol. 27 of ‘Korean Music’ publish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 western musical notes as well as rhythms were analyzed and then our traditional Gihobo (containing signs) and Gueumbo (containing oral sound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Samulnori guidance plan was made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learn vermischte taktart and improve their creativity by analyzing duple rhythm and triple rhythm used for ‘Chilchae’ beat in Utdari Samulnori.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oncept of rhythm and play Samulnori beat. They can understand the rhythm of melodic lines used and form a new melody by analyzing Chilchae consisting of vermischte taktart. Second, students can learn cooperation while playing Samulnori through group work and cooperative learning. Third, students can improve their ability to read musical notes by experiencing a variety of music and this will help them to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spontaneity in music.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2015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Beat is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in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t is hoped that a variety of interesting classes can be provided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duple beat and triple beat and the duple beat us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realize the qualitative growt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 음악교과서의 다문화음악 반영 분석과 그를 통한 효과적인 수업지도 방안 : 중학교 1학년 중심으로

        강다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다문화음악의 교육지도는 다른 음악수업과는 다르게 음악이 발생한 민족과 문화에 대한 이해가 우선시 되어야 하고 다양한 매체를 음악수업과 관련하여 도입부에서 학생들의 동기유발을 상기시켜 사회적·문화적 배경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세계민요 수업지도를 위한 제재곡은 18종의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다문화음악의 반영 분석을 통해 전 교과서에 많이 수록되어 있는 제재곡 2곡을 선정한다. 음악교육 방법은 효과적인 수업지도 방안을 위해서 코다이의 교수법을 활용한다. 모든 사람이 쉽고 즐겁게 음악을 배울 수 있다고 설명한 코다이의 글은 익숙하지 않은 다문화음악인 세계민요의 리듬과 음정을 익히는데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악보 선율 없이 박수와 리듬음절 등으로 리듬읽기와 음 높이를 지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손기호를 매 차시에 적용한다. 이에 음악교과서 다문화음악 반영분석과 그를 통한 효과적인 수업지도 방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지도방안은 1차시에 사회적·문화적 배경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세계민요의 특징을 조사해 오기’의 과제를 제시하여 2차시 수업 때 교사의 설명과 과제를 비교해 가며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수업 방식을 사용한다. 둘째, 이론적 배경인 2015년 개정 음악교육과정에서 과정중심평가를 중시하기 때문에 매 차시 정리부분에 형성평가를 시행하여 학습내용을 확인·복습이 가능하다. 본 지도방안을 다른 제재곡에 적용할 수 있다. 셋째, 각 나라의 민족 음악 학습은 가창, 기억, 감상 등의 학습활동과 모둠활동을 통한 협동 학습 등 코다이 교수법의 활용으로 자신감을 가지고 다문화 악곡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넷째, 코다이 리듬 음절읽기를 적용한다. 1차시에는 리듬음절을 제재곡 리듬에 적용하여 색다르고 이국적인 리듬을 효과적인 방법으로 익힐 수 있다. 다섯째, 2차시에는 코다이 손기호를 적용하고 노래 부르고 악기 연주를 활용하여 리듬과 가사를 생각하며 화음의 조화와 아름다움을 이해할 수 있다. 여섯째, 본 연구의 수업지도방안의 적용을 높이기 위해서 18종의 음악교과서의 다문화음악 반영 분석을 하고 가장 많이 수록되어있는 세계민요 2곡을 선정한다. 본 연구의 수업지도 방안은 실제로 수업에 적용해 보지는 않았지만, 수업 모형에 제재곡을 세계민요로 선정하여 다른 수업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교사는 실제 수업에 다문화주의 음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자료와 적절한 학습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 음악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다문화음악을 이해하고 배우는 것 뿐 아니라 그것을 토대로 나와 다른 사람을 배척하는 것이 아닌 수용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길 기대한다. Educational teaching of multicultural music, unlike other music class, should prioritize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understand people and culture of the music at its origin, and encourage them to take an interest i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by motivating students through various mediums related to music class in the introduction part. Two musical pieces for the teaching of folk songs of the world are selected through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music that are most commonly introduced among the eighteen music middle school textbooks. The teaching method of Music Education proceeds through utilizing Kodaly’s Method to better enhance the effectiveness. Kodaly’s Method, which explains that everyone can learn music easily and pleasantly, provides a good advantage for students in learning musical intervals and rhythms of the unfamiliar folk songs of multicultural music. Hand signals apply in every hour, which can help learners to perceive pitch and to guess rhythms through a clap and a syllable of rhythms without the sheet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ing method via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music in music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eaching method, a teacher offers an opportunity to encounter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presents an assignment ‘Examine the features of folk songs of the world’ in the first stage, and then makes students compare to an explanation of teacher and the assignment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countries in depth in the second stage. Second, becaus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s theoretical background emphasizes the on curriculum-based assessment, the teacher makes students do formative evaluation in the consolidation part to confirm and revise the learning content, and apply the theory to different musical pieces. Third, the ethnic music learning of each country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inducing students’ attention and interest with confidence through utilizing Kodaly’ Method: cooperative learning via learning activity and small groupworks of singing, retention, and appreciation. Fourth, the teacher applies rhythm syllable of Kodaly’s Method to learn exotic rhythms effectively by applying the rhythm syllable to the rhythm of musical pieces in the first stage. Fifth, the teacher applies hand signals of Kodaly’s Method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harmony and beauty of chords by thinking rhythms and lyrics through utilizing to sing and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in the second stage. Sixth, two folk songs of the world were selected to boost the application of the teaching method through analyzing the multicultural music in eighteen music textbooks. Even though the teaching method has not been applied to actual lessons yet, the method is composed to be applicable when the musical piece is replaced alternatively with the different folk songs of the world. A teacher could expect students to not only understand and learn the multicultural music, but also to have a receptive attitude which is to not exclude others by using practical materials and proper learning techniques, based on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al music.

      • CMLS이론에 따른 리듬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음악교과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김세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711

        산업혁명의 산유물인 기계는 현대 사회에 와서 인간이 따라갈 수 없는 방대한 정보력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인공지능까지 개발하게 되었다. 급격하게 발전하는 기계도 모방할 수 없는 인간만이 지니고 있는 몇가지 특성이 있는데, 그중에 하나인 인간의 창의력은 기계와 견줄 수 없는 특별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선천적으로 타고나기도 하지만 교육을 통해 키울 수도 있는데 특히 음악교육이 창의성 개발에 효과적이다. 음악은 학습자의 주관적인 견해가 자유롭게 반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교과에 비해 적은 수업 시수로 인해 여러가지 영역의 음악활동을 교육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짧은 수업시간 내에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통합적인 지도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육에서의 현 실정에 대응하기 위해 프로세스의 통합적 음악학습단계이론(CMLS)을 적용하여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리듬교육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음악의 기본 3요소 중 하나인 리듬의 정의와 필요성, 리듬학습의 방법론을 살펴본 후 피아제와 가드너의 발달단계 이론에 따라 중학생을 대상으로하여 수업지도안을 계획하였다. CMLS이론을 적용한 지도안은 각 단계마다 여러가지 활동이 내재되어 있으며, 가락학습과 리듬학습 및 학습내용이 종합으로 이루어진 11단계 중 리듬학습에 해당하는 5단계를 모듈화하여 통합적으로 수업을 계획하였다. 통합적 음악학습단계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적극적 감지, 내면화, 외면화, 기호화, 종합의 단계로 리듬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지도안을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음악학습단계이론을 적용하여 여러 가지 활동영역을 계획하여 지도하기에 용이하다. 신체표현, 창작, 가창 및 악기활동의 학습방법을 CMLS이론에 내재되어있어 체계적인 수업을 할 수 있겠다. 둘째, 음악교육에서 리듬이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듬을 주제로 하였다. 리듬교육을 좀 더 흥미롭게 교육하기 위해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리듬교육 방법론을 적절히 활용하였다. 또, 다양한 리듬교육의 예를 보여주기 위해 2박 계열과 3박 계열의 제재곡을 선정하여 리듬패턴을 추출하여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청각중심의 교육으로 음악의 본질적으로 다가가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을 창의적이고 주도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CMLS이론을 적용한 리듬지도방안을 통해 여러가지 활동영역을 통합적으로 사용하고 학습자에게 주어진 과제를 창의적이며 주도적으로 문제 해결할 수 있도록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 가지 활동에만 치중하는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여러가지 활동을 통합적인 수업을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을 체험하여 음악성과 예술적 견해를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machine, which is a produc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developed a vast amount of intelligence that human beings can not keep up with in modern society, and has developed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only humans can not imitate rapidly developing machines. One of them, human creativity, has a unique competitive power that can not be matched by machines. It can be born by birth, but it can be raised through education. Especially music education is effective for creativity development. Music can be freely reflected in the learner's subjective opinion. However, compared to other subjects, music is not able to educate music activities in various areas due to a small number of classe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 that can efficiently learn within a short class time. In this study, we suggest a rhythm education guidance method that can be quickly learned by applying the process of Comprehensive Music Learning Sequence(CML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urrent situation in music education.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rhythm, which is one of the basic three elements of music, and methodology of rhythm learning were studied. The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theory of Piaget and Gardner, teaching method in CMLS theory has applied various activities in each stage, and modularized the 5steps corresponding to rhythm learning among the 11stages in which melody learning and rhythm learning are integrated. By applying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integrated music learning stage, rhythm learning teaching method was developed as active sensing,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symbolization, synthesis. First, it is easy to plan and teach various activity areas by applying Comprehensive Music Learning Sequence. The CMLS theory is embedded in the learning method of body expression, creation, singing, and musical instrument activity, so that we can have classes systematically. Second, rhythm is selected as the subject because it is relatively easy to approach in music education than other areas. In order to educate the rhythm education more interestingly, the rhythm education methodology of Emile Jaques-Dalcroze, Zoltan Kodaly and Carl Orff are applied. Also, to show examples of various rhythm education, rhythm patterns are extracted by selecting rhythm patterns of 2-beat and 3-beat, then teaching method is done. Finally, it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ly and initiatively in the course of intrinsically approaching music through hearing-oriented education. Through the rhythmic teaching method applying CMLS theory, various activities can be used integrally and the learner can expect to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which are given to the learner creatively and initiativel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experience musical and artistic views by experiencing systematic and efficient learning through various lessons integrated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