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 비교 분석 : 중학교 음악교과를 중심으로

        김아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제7차 교육과정과 2007개정 교육과정 비교 분석 -중학교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김아름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과 전면적인 시행을 앞 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그 차이를 살핌으로써 새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이해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만들어졌다. 새로 개정된 교육과정이 얼마나 바람직하고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느냐에 관한 문제는 현장에서 교육 내용을 직접 선정하고 조직하는 교사가 그 성패를 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서는 먼저 '교육과정'이 의미하는 바와 각 시기의 배경이 되었던 과정상의 몇 가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음악과 교육과정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가를 고찰해 보았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지적된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개정 교육과정에 어떠한 방향으로 나타나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고찰된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내용이 비교적 적정화되었다. 둘째, 음악 교육의 실용성이 강조되었다. 셋째, 다양한 음악 문화가 폭넓게 수용되었다. 넷째, 국악 교육이 질적으로 향상되고 구체화 되었다. 다섯째, 음악 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강조되었다. 여섯째, 보다 실천적 음악교육이 강조되었다. 교육과정은 교육의 목적과 내용 등 총체적인 교육의 방향을 지정해 주는 것이므로, 교육자에게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선결요건에 속한다. 그러므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새 교육과정이 의도한 목적 및 구성 그리고 내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new curriculum,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with a general enforcement ahead, and examining the difference. This is by reason that the extent to which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can be operated desirably and effectively, depends on an educator who directly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the field. To accomplish the aim of the research, I examined the meaning of a 'curriculum' and several types of the process which has corresponded to a background of each period in Korean history, and then considered how the subject of music and its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boarder have changed according to a period. Also, I analyzed the point at issue indicated as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went into effect, and the way that the effort to improve it, presents itself in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revision of the curricular considered through this entir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education is comparatively rationalized. Second, a practicality of music education is emphasized. Third, various musical cultures are widely accepted. Fourth,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improved and embodied qualitatively. Fifth, functions and roles of music education are widely emphasized. And finally, more practical music education is greatly stressed. By reason that a curriculum appoints the whole course of the education including the aim and contents of educatio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it belongs to a previous requisite for an educator. Accordingly, for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to be operated effectively in the education field, educators need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ertain goals, compositions, and contents intended by the new curriculum.

      •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전쟁 갈등양상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단체 비교를 중심으로

        김아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는 1995년 6.27 지방선거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지역주민이 직접 선출하면서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의 개막을 맞았다. 최근 제5회 6.4 지방선거의 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지방의회의 다수당이 상이한 이른바 분점정부가 다수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분점정부에서 지방의회와 집행기관 간의 갈등이 표면화되었는데 특히 예산심의· 확정과정에서 주요 행위자들의 전략적 선택과 맞물려 극단적인 갈등현상인 예산전쟁이 발생하였다. 그 중에서 서울특별시, 경기도, 경기도 성남시, 서울특별시 동작구, 서울특별시 관악구 등 5개 기관은 행위자 간의 갈등으로 예산전쟁이 파국을 맞거나 극적으로 갈등이 해소된 곳이다. 이들 기관의 예산전쟁 주요 사례를 갈등요인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갈등양상을 완화하는 근본적인 제도적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지방자치단체 예산전쟁의 갈등요인을 제도적 요인, 행태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하여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우선 제도적 요인에서 전략형 게임의 결과로 예산전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예산과정은 의사결정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전략형 게임이다. 이러한 게임 구조 하에서는 예산전쟁의 정치적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지므로 회계연도 개시 직전에 예산안을 의결하거나 다수당인 야당이 집행부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수정예산안을 상정하여 통과시키거나, 정치적 타협을 통하여 예산안을 수정하여 표결처리하거나 회계연도 개시일까지 예산안 불성립으로 준예산이 편성된다. 두 번째로 예산전쟁의 행태적 요인으로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집행기관과 의결기관의 태생적인 목표와 이해관계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로 인한 갈등이 예산전쟁의 요인으로 작용하며, 지방의회 구조에서 정당의 권한과 응집력이 강하고 예산전쟁에 참여하는 행위자가 소수이므로 이들이 대결전략을 채택할 경우에 예산 전쟁이 극단적으로 발생하였다. 세 번째로 예산전쟁과 관련된 환경적 요인으로 우리나라에서 예산정책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이 저조하므로 유권자들이 예산전쟁의 책임을 행위자에게 묻지 않는다. 또한 분점정부로 구성된 지방자치단체에서 집행부와 의회간의 극단적인 예산전쟁이 촉발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전쟁의 갈등양상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안은 지방자치단체장의 예산안에 대한 거부권에 대한 실질적 효력 부여, 예산정책에 대한 유권자의 투입 및 환류의 강화, 지방정치제도 개선 등이다. In Korea, the age of local self‐government was opened fully with the 6/27 Local Election in 1995 through which local residents elected the heads of the local governments direc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atest 5th Local Election on the 4th of June, a number of so‐called divided governments emerged, at which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is not from the majority party of the local council. In such a divided government, conflicts between the local council and the executive came to the surface, and budget battles, an extreme form of conflicts, took place as a result of major actors’ strategic choice particularly in the processes of budget deliberation and resolution. Five local self‐government bodies including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Seongnam City in Gyeonggi Province, Dongjak 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wanak 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City experienced a catastrophic end or dramatic resolution of budget battle arising from conflicts among the acto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cases of budget battle in these self‐governing bodies and to derive fundamental institutional solutions for easing such conflict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stablished its analysis frame using institutional, behavio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the conflict factors of budget battles at local self‐governing bod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with regard to institutional factors, a budget battle seems to take place as a result of strategic game. In case of Korean local self‐governing bodies, the budgeting process is a strategic game in which decisions are made almost simultaneously. Under such a game structure, it is not clear where the political responsibility for a budget battle lies and therefore the budget bill is resolved just before the opening of the fiscal year, or the majority opposition party presents and passes a revised budget bill one‐sidedly without the executive’s consent, or the budget bill is revised through political compromise and processed through voting, or a provisional budget is made due to failure to pass the budget bill until the opening of the fiscal year. Second, with regard to the behavioral factors of budget battles, Korean local self‐governing bodies have inherent differences in goals and interests between the executive and the legislative, and the resultant conflicts work as the factors of budget battles. In the structure of local council, furthermore, the parties have strong authority and cohesiveness and only a few actors are involved in the budget battle, and therefore when they choose a confrontation strategy a budget battle takes place in an extreme form. Third,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budget battles, Korean constituents are generally indifferent to budget policies, so they do not call the actors to account for the budget battle. In addition, extreme budget battles are triggered between the executive and the council in local self‐governing bodies with a divided gover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d institutional solutions for easing budget battles and conflicts in Korean local self‐governing bodies are giving a substantial effect to the veto against a budget bill by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involving constituents in budget policies and providing feedback to them, improving local political systems, etc.

      • 기숙사 거주 대학 신입생의 수막알균 보균율과 혈청군

        김아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kground: Neisseria meningitidis is a leading cause of bacterial meningitis in young adults. University students, especially those living in dormitories, are at increased risk for meningococcal disease, and routine vaccination for freshmen is recommended in the U.S. We performed a longitudinal study in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who reside in a dormitory to determine the carriage rate of N. meningitidis, its change and serogroups. Material and Methods: We recruited freshmen those admitted to Inha University dormitory in the first week of March 2009. After each student ha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rained operators took a posterior pharyngeal swab, which was plated immediately on selective medium. The questionnaire and swabbing was repeated four weeks later. Serogroups were determin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Results: 136 first-year students were enrolled at the first culture. After four weeks, 128 students were enrolled at the second culture including 106 re-participants. Overall carriage rates changed from 11.8% to 14.1% and carriage rates in re-participants did not change (15.1%). In an analysis of the 106 students who were followed up, visit to pubs in two weeks before the examinations was associated with carriage of N. meningitis at both of the first (p value = 0.047) and second culture (p value = 0.026). Of total 16 meningococcal isolates at the first exam, serogroup C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5 isolates) and 3 isolates were from serogroup B. We could not determine a serogroup by PCR in 8 isolates (non-groupable, 50%). Conclusions: In our result, the meningococcal carriage rate in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who reside in a dormitory h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n interval of four weeks compared to other studies. It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of the dormitory or the difference in the behavior pattern of students. As for the correlation analysis, closeness of social contact, such as visit to pubs, is appeared to be related with meningococcal carriage in our longitudinal study.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rates of carriage and acquisition of N. meningitidis among freshmen in an university dormitory in Korea and further nationwide study should be performed.

      • 죽음과 종교에 대한 생각이 처벌판단에 미치는 영향

        김아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 of mortality salience and religion on punishment. 159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mortality salience condition, religion condition and the control condition and presented with a scenario containing a criminal act(i.e. rape). After having them read the scenario, they were asked to decide an appropriate sentence for the criminal in the case. Result showed that women did not differ regardless of the assigned conditions due to the nature of rape case. However, in the case of men, the punishment decision was stronger when they were reminded of the mortality salience. Also, in the case of religionless men, result showed a stronger punishment after thinking about the religion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Finally, the analysis on the reasons for given sentence, the mortality salience condition and religion conditions considered more of the severity of the crime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죽음과 종교에 대한 생각이 처벌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죽음조건, 종교조건, 통제조건으로 무작위로 할당한 뒤, 범죄행위(강간 사건)를 보여주고 형량을 판단하게 하였다. 그 결과, 강간 시나리오의 특성상 여성에게서는 조건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남성의 경우 죽음을 생각한 뒤에 처벌정도가 더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교가 없는 남성의 경우, 통제조건에 비해 종교에 대하여 생각한 뒤에 더 강한 처벌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형량을 준 이유에 대해 분석한 결과, 죽음 생각 조건과 종교 생각 조건은 통제 조건에 비해 범죄 심각성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패션 SPA의 SNS 특성이 브랜드 애착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아름 동덕여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domestic fashion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and developing, with the over supply phenomenon, caused by diverse needs of consumers,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brands and the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Jin, 2013). Purchase patterns of modern consumers are diversifying depending on individual personalities and lifestyles and the polarization between consumers, who prefer high-priced products and super low-priced products, is becoming serious(Jo, 2013). As one of polarized consumption patterns, consumers, who prefer cheap and practical products, are increasing.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influenced by the narrow gap of quality and design due to the competition among diverse brands and cash-strapped consumers due to the economic slump(Kim, December 14th 2015. www.viva100.com). Since consumption patterns are rapidly changing, compared to the past, recent SPA brands are increasing their market share in the domestic market. Currently, global SPA brands are focusing on the mobile market. For stable management of omni-channels in mobile devices, 'ZARA' and 'UNIQLO' make business strategies, which consider the swift inventory turnover and customer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ZARA' is appealing to customers most quickly using its online and offline integration system(Na, August 4th 2015. www.ktnews.com).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of SPA brands on brand attachment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result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consumers of fashion SPA more efficiently and serve as basic data to use SNS marketing of fashion brands strategically. For gathering data,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were carried out. Preliminary survey targeted 50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in July 26th 2015. Based on the survey result, the questionnaire was reviewed and revised. Main survey targeted 322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from September 27th to October 7th 2015 and a total of 3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Tukey’s test(post-hoc 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program.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102 subjects(31.6%) were in their early twenties, 67 ones(20.8%) were in their mid twenties, 103 ones(31.9%) were in their early thirties and 50 ones(15.5%) were in their mid thirties. 101 subjects(31.4%) were married and 221 ones(68.6%) were unmarried. 127 subjects(39.4%) were clerical workers, 71 ones(22%) were students, 42 ones(13.0%) were freelancers or professionals, 18 ones(5.6%) were engaged in the sales and business service industry, 18 ones(5.6%) had other jobs, 32 ones(9.9%) were housewives and 14 ones(4.3%) were unemployed.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 interactivity, trust and playfulness significantly affected brand attachment and informativenes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Brand attachment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 interactivity, informativeness, trust and playfulness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N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the monthly average clothing expense. In the group with a high monthly average clothing expense, interactivity and brand attachment were high, but informativeness, trust, play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were low.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NS characteristics of fashion SPA significantly influenced brand attachment and brand attach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fashion companies should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satisfying consumers through SNS channels of brands and develop differentiated plans for attracting consumers. This study is limited to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nd only focused on the four factors of SNS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and future research need to target a lot of domestic and foreign regions and different age groups. 최근 국내 패션 환경은 소비자들의 다양해진 욕구 및 브랜드간의 경쟁심 강화, 유통 다각화로 인한 공급과잉 현상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빠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다(진보미, 2013). 현대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은 각각의 개성과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다양화되고 있으며, 또한 고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측면과 초저가의 제품을 선호하는 측면으로 양극화 되고 있다(조준희, 2013). 양극화 소비패턴의 하나로 소비자들은 저렴하고 실용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가 확산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들이 경쟁하면서 품질, 디자인 격차가 많이 줄었고 경기불황으로 지갑이 얇아진 측면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 된다(김보라, 2015, 12, 14). 그러므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빨라진 소비패턴의 변화로 최근 SPA브랜드들이 국내에서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가고 있다. 현재, 글로벌 SPA 브랜드들은 모바일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소비자들을 위한 모바일 속 옴니채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자라’와 ‘유니클로’는 빠른 재고회전과 고객의 특성에 따른 제품 배분을 위해 비즈니스 전략을 세우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SPA 브랜드 중 자라의 경우 온오프라인 통합 시스템으로 가장 빠르게 고객들에게 어필하고 있다(나지현, 2015, 08, 04).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SPA의 SNS특성이 브랜드 애착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패션 SPA의 더 효율적으로 소비자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패션 브랜드의 SNS 마케팅을 전략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눠 진행되었다. 예비조사는 2015년 7월 26일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재검토하여 보완 및 수정하였다. 본 조사는 2015년 9월 27일부터 2015년 10월 7일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 3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22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분산분석(ANOVA)과 사후검정으로 Tukey’s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성별과 연령은 20대 초반 102명(31.6%), 20대 중반 67명(20.8%), 30대 초반 103명(31.9%), 30대 중반 50명(15.5%)으로 확인되었다. 결혼 여부는 기혼 101명(31.4%), 미혼 221명(68.6%)으로 분포하였다. 직업은 사무직 127명(39.4%)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학생 71명(22%), 자유·전문직 42명(13.0%), 판매·영업 서비스직 18명(5.6%), 기타 18명(5.6%), 전업주부 32명(9.9%), 무직 14명(4.3%)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션 SPA의 SNS 특성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4개의 하위 요인중 상호작용성, 신뢰성, 유희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제공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애착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션 SPA의 SNS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하위 요인 중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신뢰성, 유희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SNS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월평균 의복지출비에 따른 집단 간에선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월 평균 의복 지출비가 높은 집단에서 상호작용성, 브랜드 애착이 높게 나왔고, 정보제공성, 신뢰성, 유희성, 구매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패션 SPA의 SNS 특성이 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애착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패션 기업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브랜드 SNS 채널을 그들이 만족할만한 다양한 정보제공 및 해당 브랜드의 트렌디한 이벤트를 통해 소비자들을 유입시킬 수 있는 차별화적 방안을 개발하여야한다. 본 논문은 연구 대상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SNS 특성에 관한 유형을 다루지 못하고 4가지 요인으로만 연구했기 때문에 내용이 다소 치우친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므로 앞으로 국내외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를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高麗末~朝鮮初 觀音ㆍ地藏竝立圖의 硏究

        김아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Painting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觀音ㆍ地藏竝立圖) are a type of Buddhist painting in which Avalokite?vara(觀音菩薩) and K?itigarbha(地藏菩薩) are drawn in parallel on the same picture plane. Cases of sculptures and paintings of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in parallel have appeared since the Tang Dynasty in China, but works produc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are left in Korea. Currently, there are total of 4 pieces of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three of which are possessed by Saifukuji(西福寺), Minami-Hokkeji(南法華寺), and Amyoin(阿名院) in Japan with one piece possessed by a Korean person. The existing studies on painting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just focused on painting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in China and their production backgrounds, but not on those painting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Thus, this paper takes a look at the origin of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paintings by examining sculpture record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pure land belief and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 and investigates the unfolding process of paintings and sculpture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produced in the Tang and Song periods in China. Also, it analyzes the iconicography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painting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and examines their production backgrounds with reference to the influence of China’s painting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the Buddhist background, and the relation with the rite for salvation of the dead. We can find the origin of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paintings from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sculptures that began to be created from the late seven century in China. In China, the works were produced over the periods of Tang and Song and most of them are left in stone caves. Their range of distribution was very wide from Dunhuang Grottos(敦煌石窟) in the Northern area through Longmen Grottos(龍門石窟) in the central region, to Sichuan Grottos(四川石窟) in the Southern part. And, an analysis of their sculpture records and their iconography tells us that prayer for relief in future life(來世) and reach for the Pure Land prevailed. Also, such a form of faith was combined with the Pure Land belief(淨土信仰) to give birth to the iconographies of Amit?bha Triad(阿彌陀三尊), Maitreya Triad(彌勒三尊), and Bhaisajyaguru Triad(藥師三尊). On the other hand, with the Writings on the Miracles of the K?itigarbha Image(地藏菩薩像靈驗記), this paper examines a religious belief that called painting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Bodhisattva with a ray of light(放光菩薩), and prayed for benefits in this world(現世). It can be understood as another religious belief existing in relation with painting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We can find cases in which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appear together in painting work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from various Buddhas in paintings of Amit?bha Triad(阿彌陀三尊圖) and of Amit?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vas(阿彌陀八代菩薩圖), and Descent of Amit?bha(阿彌陀來迎圖).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cases in which only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are expressed independently on a picture plane. Painting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in which the two sacred figures are drawn on the same picture plane, and the other in which the two are expressed on different picture planes. The paintings possessed by Saijukuji and Amyoin in Japan and by a Korean person fall within the former type, and the painting possessed by Minami-Hokkeji in Japan the latter. Those 4 pieces of work fully inherit the styles of Goryeo’s Buddhist paintings. In particular, the work in Amyoin, which is assumed to be produced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s, had not only patterns and compositions similar to Goryeo’s Buddhist paintings but also expressions that are difficult to find in the Goryeo period. As it fully inherits the iconographies of Goryeo’s Buddhist paintings and at the same time makes a novel attempt, this work well represents aspects of those Buddhist paintings in transitional period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Also, we can tell that there is a relation of influence between the four pieces of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painting and the painting of Amit?bha Triad possessed by a Japanese person as the iconography of the former is very similar to the appearance of K?itigarbha in the latter. In particular, the painting possessed by Saijukuji and the painting of Amit?bha Triad even seem to be drawn on the basis of the same example except detailed patterns expressed on Kasaya and Shawl and the distance between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In this way, the fact that the painting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follow the iconography of the painting of Amit?bha Triad tells us that their background of creation is related with the belief of the Amit?bha Pure Land.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were periods in which the state was in chaos due to interference by Yuan, Red-Hood bandits’ and Wakou’s invasions, and difficult life due to drought. Thus, in those periods, future life beliefs were developed that prayed for the repose of the dead and their rebirth in the Pure Land(極樂往生). That is to say, based on the fact that China’s painting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were produced mainly for memorial services for the dead,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were established as important sacred figures in future life and Pure Land belief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rituals were held since the middle Goryeo period that made prominent the posthumous providential characteristics of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appeared together in manuals for funeral rituals, and the iconographies of the four paintings are almost identical to that of the painting of Amit?bha Triad possessed by a Japanese person, we can tell that the creation of paintings of the Avalokite?vara and K?itigarbha pair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is for memorial services(追善) and funeral rituals for the dead. 관음ㆍ지장병립도는 한 폭의 화면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을 나란히 그린 불화이다.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함께 조각되거나 그려진 예는 중국 당대부터 나타났지만 우리나라는 고려말~조선초에 제작된 작품들이 남아있다. 현존하는 고려말~조선초의 관음ㆍ지장병립도는 모두 4점으로 일본 西福寺소장, 일본 南法華寺소장, 한국 개인소장, 일본 阿名院소장의 관음ㆍ지장병립도가 각 1점씩 전해지고 있다. 관음ㆍ지장병립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중국의 관음ㆍ지장병립도상 및 조성배경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을 뿐 고려말~조선초 관음ㆍ지장병립도에 대한 연구와 해석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상기 분석, 정토신앙 및 방광보살신앙과의 관계 등을 검토하여 관음ㆍ지장병립도상의 연원을 살펴보고, 중국 당~송대에 제작되었던 관음ㆍ지장병립도 및 관음ㆍ지장병립상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려말~조선초 관음ㆍ지장병립도의 도상과 양식적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중국 관음ㆍ지장병립도상의 영향, 불교신앙적 배경, 천도의식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제작배경을 살펴보았다. 관음ㆍ지장병립도의 연원은 중국의 7세기 후반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관음ㆍ지장병립상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에서는 주로 당대~송대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작품의 대부분이 석굴에 남아있다. 그 분포범위는 북방의 돈황석굴에서부터 중원의 용문석굴, 남방의 사천석굴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다. 그리고 조상기와 도상을 분석하면 내세구제와 정토왕생을 위한 발원이 주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앙형태는 정토신앙과도 결합하여 아미타삼존ㆍ미륵삼존ㆍ약사삼존의 도상이 탄생하기도 하였다. 한편 ??地藏菩薩像靈驗記??를 통하여 관음ㆍ지장병립도를 방광보살이라 하며 현세에서의 이익을 기원했던 신앙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이는 관음ㆍ지장병립도상과 관계하여 존재했던 또 하나의 신앙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고려말~조선초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회화작품에 함께 나타나는 예는 아미타삼존도나 아미타팔대보살도, 아미타내영도의 여러 존속 중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관음보살과 지장보살만을 독립적으로 화면에 나란히 표현한 사례는 많지 않다. 관음ㆍ지장병립도는 한 폭에 두 존상을 함께 그린 형식과 각각의 폭에 두 존상을 나누어 그린 형식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西福寺소장 본, 한국 개인소장본, 일본 阿名院소장본이 전자의 형식에 해당하며, 일본 南法華寺소장본은 후자의 형식에 해당한다. 이 4점의 관음ㆍ지장병립도는 고려불화의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 특히 고려말~조선초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阿名院소장본은 작품에 표현된 문양 및 구도 등이 고려불화와 매우 유사한 반면 고려시대에는 보기 힘든 새로운 표현도 나타났다. 이는 고려불화의 도상을 충실히 계승함과 동시에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어 고려말에서 조선초로 넘어가는 과도기 불화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또한 네 점의 관음ㆍ지장병립도의 도상은 일본 개인소장 아미타삼존도에 표현된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의 모습과 매우 유사하여 두 도상간에 영향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西福寺소장본과 일본 개인소장 아미타삼존도는 가사와 천의에 표현된 세부 문양,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의 간격 등을 제외하면 거의 같은 표본을 놓고 그린 듯한 모습이다. 이처럼 관음ㆍ지장병립도가 아미타삼존도의 도상을 따르고 있는 점은 그 조성배경이 아미타정토신앙과 연관이 있음을 알려준다. 고려말~조선초는 원나라로부터의 간섭, 홍건적과 왜구의 침략, 가뭄으로 인한 생활고 등으로 인해 국가가 혼란했던 시기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망자의 명복을 빌고 그들이 정토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등의 내세신앙이 발달하였다. 즉, 중국의 관음ㆍ지장병립도상이 주로 망자추선을 위해 제작되었던 점, 고려말~조선초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내세신앙과 정토신앙의 중요한 존격으로 자리잡았던 점, 고려중기 이후에 관음ㆍ지장보살에 사후 천도 성격이 부각되는 의식이 행해졌던 점, 천도의식과 관련한 의식집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함께 등장했던 점, 일본 개인소장 아미타삼존도에 표현된 관음ㆍ지장보살의 도상과 거의 동일한 점 등을 통하여 고려말~조선초 관음ㆍ지장병립도의 조성배경이 망자의 추선과 천도를 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MRI용 RF 코일을 이용한 암 진단법 사전 연구

        김아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화와 의학기술의 발달로 수명은 연장되고 있다. 그러나 지나친 흡연, 음주 뿐 아니라 불규칙한 생활 습관 및 식 습관으로 인해 암 발생률 역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X선, 컴퓨터 단층 촬영, 초음파 등 의료 영상 기기가 도입으로 초기 암 검진이 가능해 지면서 암 생존률 역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암을 조기 진단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암을 진단 할 수 있는 수 많은 의료 영상 기기 중 X선이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는 방사선의 위험이 있으며, 초음파는 고화질의 영상을 획득하기 어렵기에 매우 작은 암을 진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강한 자장을 이용하는 자기 공명 영상장치(MRI system)는 방사선의 위험이 없이도 고 해상도의 의료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암 진단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자기 공명 영상장치를 이용해 의료 영상을 획득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며, 촬영 비용도 비싸다. 또한 아티팩트 없는 질 좋은 의료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자기 공명 영상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환자가 조금이라도 몸을 움직이면 안 된다. 따라서 긴 시간 동안 가만히 있을 만큼의 인내력을 가지지 못한 사람 또는 어린아이들에게 촬영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자기 공명 영상 장치는 되게 폐쇄된 공간에서 작동하며, 소음이 매우 큰 편이여서 폐쇄 공포증이 있는 사람들 역시 이용하기 어렵다. 게다가 금속형 의료기기인 심박조율기(pacemaker)와 이식형 제세동기(ICD)를 사용 중인 환자들은 자기 공명 영상장치의 강한 자장으로 인한 열 발생으로 화상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이 역시 자기 공명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피해 암을 진단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 공명 영상장치에서 구성 요소 중 하나인 RF 코일이 전기적 특성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인체의 정상 세포와 비 정상(암) 세포의 전기적 특성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자기 공명 영상장치 용 RF 코일만으로 암 진단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를 활용한 중학교 미술수업에 관한 연구

        김아름 원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Born in the 18th century, Korean genre painting was a representative art style in the latter part of Chosun Kingdom. Called also the vulgar painting, it looked into the life of grassroots enveloped in the whirlpool of social changes from an objective viewpoint. The genre painting was truly a source of the grand social revolution in the latter era of Chosun age because it used the life of grassroots as the main theme of paintings, which prompted a revolution in the latter society of Chosun Kingdom and mobilized the national sense of egotism. Hongdo Kim was the most important painter of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s he sublimated his own sentiment as well as Korean intellect in general to the level of art by means of the genre painting in which he described the daily lives of the ordinary folks of the age in an excellent and fully-developed manner.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a study on the fine arts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by utilizing the genre painting. In this context, it is aimed at providing the fine arts education of middle schools with the means to conduct the class in a creative way by using the works of the genre painting. This paper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genre painting and analyze the characters of the Korean genre painting; second, to propose the method for students to apprehend the works of Hongdo Kim by reference to illustrations as well as by means of an analysis; thir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enre painting on the students in the fine arts class equipped with the knowledge of the genre painting; fourth, to formulate a class model to be applied to actual class for practice and suggest effective teaching and instruction plans by way of versatile and creative studies on the directions and methods of teaching the genre painting; and fifth, to analyze the outcomes and effects of the class for the genre painting through the works completed by students. Since the instructional impacts of the genre painting are quite noticeable, it seems necessary to work out a new and creative educational paradigm in an attempt to persuade students into comprehension of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genre painting of Hongdo Kim by expressing it in a modern version and appreciating the parodies used in Hongdo Kim's works. The youth of the contemporary age, also the talents of the future, should be taught to open up their future with their own initiative and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o the past and present. To this end, they need to develop the abilities and sense of consensus to innovate and motivate themselves in order to become able to solve problems creatively and with challenging spirit. In this connection, education of the genre painting in the middle school can help students gain knowledge of lives and way of living of our ancestors and, by thus, to make the present-age students equipped with more power to inherit the traditional culture. It should be pointed out, however, that the present education of the genre painting in the society and school as well is conducted in an unsystematic and flatly shallow way. In this sense,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act as a guide to incite students to depict the features of their daily lives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plans and to let them, by thus, look around themselves, show affection to their lives, appreciate the aesthetic value of the genre painting, establish proper values through fine arts education that is conducted in a creative and self-initiative way in this globalized information age and decide the direction to take in the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rests upon the positive conclusion that effective fine arts education might have great educational values. 18세기에 탄생한 조선 후기화풍을 대표하는 풍속화는 사회변동 속에서 서민들의 삶을 객관적인 모습으로 바라본 것으로 그들의 모습을 담아낸 속화라 불렀으며, 본격적으로 그들의 삶을 그림의 주제로 삼은 조선 후기사회의 큰 혁명이며 민족적 자아의식에서 활성되었다. 조선후기 풍속화를 대표하는 화가는 단원 김홍도로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풍속화를 통해 한국적 특성이 두드러지며 원숙한 화풍을 전개하였고 한국적 지성과 자신의 내면을 필치로 그려내 자신의 정서를 예술의 경지로 승화시켰다. 본 논문은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를 활용한 중학교 미술수업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활동에서 김홍도의 풍속화 작품을 통해 중학교 학생들이 풍속화 미술교육에 대하여 창의적인 미술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내용분석과 방법으로는 첫째, 풍속화의 개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풍속화의 특징을 분석해본다. 둘째, 풍속화 영역에서 김홍도 작품 도판을 참고로 풍속화 작품세계 분석을 통해 김홍도의 풍속화를 이해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셋째, 풍속화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중학교 미술교육 중 풍속화가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넷째, 다양한 수업 방향과 풍속화의 소재를 활용한 미술수업 방법과 연구를 통하여 실기지도 수업모형을 만들고 효과적인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시킨다. 다섯째, 풍속화 수업 실시 후 표현활동에 대한 지도 결과와 효과를 학생이 표현한 작품을 통해 분석해본다. 풍속화가 지니는 교육적 효과는 크므로 학생들이 김홍도의 풍속화를 현대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김홍도의 패러디 작품 감상을 통해 수업을 이해하며 자발적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창의적인 지도 방안과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현 시대의 청소년들 즉, 미래 인재는 과거와 현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미래를 주도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능력과 공감을 기반으로 새로움에 도전하는 자기혁신 능력, 긍정적 사고를 기본으로 동기부여 능력을 아우를 수 있어야 하는데, 중학교에서 풍속화 교육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우리 민족의 삶과 생활방식을 알 수 있고 문화 계승을 위한 능력을 높여준다. 현재 우리 사회나 학교에서의 풍속화 교육은 체계화되지 않은 채 겉핥기식으로 학교 수업 환경에서 미술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의 교수-학습지도안을 토대로 삶의 모습을 그리는 일상생활 표현작품의 제작을 통해 스쳐 지나가는 주변의 삶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기회를 갖고, 자신의 삶이나 일상적인 생활모습에 대해 애정을 갖게 하며 세계화, 정보화된 시대 속에서 창의적이고도 주체적인 풍속화 미술교육을 바탕으로, 풍속화 속에 나타난 정신과 미의식을 통해 미적 감상과 가치관을 확립하고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자신들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정하는데 길잡이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풍속화 미술수업은 교육적 가치가 크다는 것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표기된 한자 연구

        김아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표기된 한자의 적절성 문제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표기되어 학습자에게 노출된 한자는 학생들의 수준과 단어의 의미를 고려하였다기보다, 한자가 많이 쓰인 제재가 교과서에 많이 실려 있을수록 표기된 한자 수도 많아진다고 볼 수 있다. 교과서의 한자 병기가 제재에 따라 그대로 표기될 것이 아니라 국어 교과를 학습하는 데 유용한 한자를 제재의 특성과 함께 고려하여 표기해야 한다. 국어 교과서에 표기된 한자의 적절성에 대해 논하기 위해 학생들이 인지해야 할 중요한 한자의 기준을 교육용 기초 한자로 하여 교과서에 표기된 한자와 비교하였다. 교육용 기초 한자와 일치하는 한자 중에서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 한자가 더 많이 반영되어 표기되어야 한다. 국어 교과서에 표기된 한자가 교육용 기초 한자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표기된 한자가 학습자들이 학습하고 인지하기에 적절한 한자인지 고려해 볼 필요성이 있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교육용 기초 한자 병기 없이 나타낸 한자어를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중의성 문제가 있는데도 한자 병기 없이 나타낸 것은 아닌지 검토해 보아야 한다. 표기된 한자의 적절성 문제와 더불어 표기된 한자를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거나, 병기된 한자가 국어 사용 능력의 신장과 관련이 있음을 학습자나 교사가 인식할 수 있는 교과서 구성이 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High School. Th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High School is not included on the basis of student academic levels or the inner meanings of the characters itself. According to our studies,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 included in the textbooks increases in parallel to the number of subjects with Chinese character origins. The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 inclusion must not be based on the subject, but rather the importance of those characters concerning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In order to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these Chinese characters in our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characters of our High School textbooks is compared with characters formally being studied by our students through our Chinese character classes. We believe that a majority of textbook characters must intersect with characters included in the Korean High School character educational program. Characters that fails to meet this requirement must be scrutinized for its appropriateness. The characters included in our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is studied but not taught in our Chinese character program. These characters must be revaluated because it can be a cause of hindrance concerning the education process of our students. Along with the reevaluation of these characters, it should be a system that students can continue their learning process through thes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lso the textbooks architecture should be reconstructed so that our students and teachers can mutually understand that the inclusion of these characters have a relation to the promotion of high school learning.

      • Anti-inflammatory effect of phlorofucofuroeckol A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macrophages

        김아름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hlorofucofuroeckol A (PFF-A) is a phloroglucinol derivative isolated from the edible brown algae Ecklonia stolonifera and has been shown to posses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FF-A on the regulation of iNOS and COX-2 which are key inflammatory proteins responsible for excessive production of NO and PGE2, respectively, was investigated using the LPS-treated RAW 264.7 cells. Treatment with 20 uM of PFF-A led to strong inhibition of iNOS and COX-2 protein and mRNA expressions in the LPS-treated RAW 264.7 cells. Data of luciferase assays demonstrated that PFF-A treatment largely suppressed the iNOS or COX-2 promoter-driven luciferase expression in the LPS-treated RAW 264.7 cells. PFF-A also ha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NF-kappaB-promoter driven expression. Moreover, PFF-A had an ability to inhibit activation of Akt, p38 MAPK, ERK-1/2 and JNK-1/2, and to reduce cellular ROS in the LPS-treated RAW 264.7 cells. Taken together PFF-A inhibits iNOS and COX-2 expression in the LPS-treated RAW 264.7 cells through the NF-kappaB-dependent transcriptional down-regulation in association with inhibition of ERK-1/2, JNK-1/2, p38 MAPK, and Akt, and with reduction of cellular ROS. These results suggest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using PFF-A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anti-inflammatory ag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