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직교사의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 수학 경험 연구

        석재현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a representative program of the teacher re-education process, but the number of major installations and freshmen is decreasing. The study sought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incumbent teachers in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s. To that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cumbent teachers who studied at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operated on a seasonal ba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Motives for applying for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Extremely for students," "to see the forest of education," and "a spoonful of promotion." The course experience was shown as "school field rather than theory,"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time of healing camp," "like Argos' eyes," "papers is that student do for oneself" and "fellowship like soldiers". The use of experience has been shown as 'use the knowledge of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in the school field',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 polic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flection on teaching life'. Through this experience, the meaning of the major in education administration turned out to be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at we are doing now," while the overall experience in the re-education proces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the sweet and salty experienc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은 교사 재교육과정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나, 최근 전공 설치와 신입생 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직교사가 교육행정 전공에서 과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절제로 운영되는 국립의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한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직교사의 지원 동기는 ‘궁극적으로는 학생을 위하여’, ‘교육이라는 숲을 보기 위해서’, ‘승진 한 숟가락’으로 나타났다. 과정 경험은 ‘이론보다는 교육현장’, ‘교육시스템에 대한 공부’, ‘힐링캠프의 시간’, ‘아르고스의 눈과 같이’, ‘논문은 스스로’, ‘전우애’로 나타났다. 경험 활용은 ‘교육행정 전공의 지식을 현장으로’, ‘교육정책의 이해와 수용’, ‘교육 환경에 대한 이해도 제고’, ‘교직 생활에 대한 성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는 ‘우리가 지금 하는 것이 곧 교육행정’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단짠단짠 교육대학원 경험’으로 나타났다.

      • 초등교사의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 연구

        신혜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2021년, 교육부는 ‘초ㆍ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을 발표했으며 주요 내용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교원양성 기능을 대폭 축소하겠다는 것이다. 국가의 정책 전략과 더불어 현직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의 강화를 위한 방향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과 관련하여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졸업한 초등교사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는 왜 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가, 둘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에서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셋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교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연구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2011년~2021년 사이에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초등 교사 1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해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녹음한 면담 내용을 전사해 4차례의 분석 과정을 거쳤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이유는 인정받는 교사가 되기 위해, 진로를 위한 보험 차원에서, 소진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또 특정 교육대학원을 선택한 이유를 통해 교육대학원을 지원하는 동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속에서 학교 현장에 활용되는지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고,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듣고 적응을 하면서 수업을 대하는 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또 대학원 생활에서 논문을 쓰느냐, 쓰지 않느냐에 큰 의미를 두었고, 교과 전공인지 비교과 전공인지에 따라 수업에 대한 인식에 서로 차이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직장) 생활과 병행하며 공부하는 교사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고, 교육대학원을 다니는 동안 교육과정 안에서만 교류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에게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경험은 계속 배움의 길로 이어지도록 하였으며, 교육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켰고, 학교 현장에 활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모습은 연구참여자 중 소수에 해당되었고, 변화의 활용의 모습은 일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기능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retraining in-service teachers and fostering teacher education as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However, the ambiguous par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led to problems with diversity in educational curricula, lack of quality management, and ineffective operation due to the mixture of its roles and demands for improvement continued. In 2021,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a plan for improvement measures in educat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strengthening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with reduced function for teacher training. Establishing direction and strategy to support the graduate school's re-educating operations to enhance in-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national policies is critical.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studied and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lated to the re-education of teacher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i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ed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y do teachers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hat and how do the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rd, what do the teachers learn from re-education experienc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tween 2011 and 2021 were chosen as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our analysis processes by transcribing the interviews recor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as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various with motivation to be a recognized teacher, to secure a career, to avoid exhaustion, and to choose a specific graduate school. Second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great interest in whether they were used in the school field in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classes while taking classes and adapting to course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y put a significant meaning on whether to write a thesis or not in graduate school,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lass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subject courses or extracurricular.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studying and working simultaneously and only had exchanges within the curriculum while attending graduate school. Thirdly, the experience of re-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k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tinue learning, expanding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us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school field.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such features and utilized such chang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re-education func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 중등 교원의 직무영역별 연수 실태 및 요구 분석

        홍정화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에서는 유능한 교사는 자신의 직무영역을 잘 이행해내는 교사라는 전제하에 전문가인 교사가 하는 직무를 7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 연수 프로그램이 얼마나 제공되고 있는지 자료를 분석하고, 중학교 교사의 직무영역별 연수실태와 연수 요구는 어떠한지를 중학교 교원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살펴보고 교원연수 정책 수립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교사를 위해서 직무영역별 연수 프로그램이 얼마나 제공되고 있는지 자료(공문)를 분석한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직무영역별 연수 참여 실태는 어떠한지 분석한다. 셋째, 중학교 교사의 전문성향상을 위한 직무영역별 연수요구(연수의 필요성, 바람직한 연수 시간, 연수주기, 연수 방법, 연수 지도자, 전문성 신장의 최적의 방법, 원하는 연수 주제)는 어떠한지 분석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계문헌을 수집하고, 2008년 연수관련 자료(공문)을 분석하였으며, 질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공문) 분석은 200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대전광역시 중학교에 송부되어온 연수 프로그램 안내 관련 공문을 분석하여 7개의 직무 영역별 연수 프로그램으로 분류․정리하였으며, 질문지는 김이경외(2005)의 직무수행 기준을 이용하여 7개의 직무영역을 설정하고 진재훈((2004)과 김의규(2003), 김혜숙외(2002)의 설문 조사 문항 중 일부를 인용 혹은 추가․편집하여 작성하였으며 이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연수 실태와 연수 요구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단순 무선 표집으로 선정된 대전광역시 교육청에 소속한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4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하여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Cronbach α, t검증, F검증, Scheffe' 방법을 이용한 사후분석, 다중응답분석 등의 통계적 방법으로 하였다. 통계처리에 의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직무 영역별 프로그램 수가 수업 지도, 학생 지도, 학교 경영 지원, 기타(자기개발) 영역 연수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학급 경영 영역,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은 연수 프로그램이 많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둘째,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 동안 이루어진 직무영역별 연수 실태에서 교사들은 수업 지도, 기타(자기개발), 학생 지도 영역 순으로 연수를 많이 받았고, 다음으로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학급 경영, 학교 경영 지원 영역,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지도 영역은 경력이 적은교사, 담임교사, 공립학교 교사가 연수를 많이 받고 있었으며 특히 영어교사의 연수 실태는 97.7%에 이르고 있어 영어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의 압박감이 큰 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 지도 영역은 부장 교사와 공립학교 교사가, 학급경영 영역은 경력이 적고 담임인 교사가, 기타(자기개발) 영역은 비담임 교사, 공립학교 교사, 예체능과 기타과목 교사의 연수 비율이 높았다. 학교교육과정 편성 운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운영 영역, 학교경영지원 영역의 연수 이수 실적은 매우 낮은 편이나 연수 요구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직무영역별 연수 요구에 대해서 연수의 필요성, 바람직한 연수 시간, 주기, 직무영역별 전문성 신장의 최적 방법, 바람직한 연수 방법, 연수 지도자, 직무영역별 필요 연수 주제 순으로 서술한다. 연수의 필요성에 대하여 수업 지도, 학생 지도, 학급 경영, 기타(자기개발) 영역에서는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4점(필요하다)을 상회(4.41 ~ 4.07)하여 연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하고,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학교 경영 지원에서는 3.65 ~ 3.40으로 필요한 쪽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급 경영 영역은 연수 필요 요구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제공된 연수 프로그램이 충분치 않아 연수 실태도 낮아 보인다. 직무영역별 1회당 가장 바람직한 연수 시간으로 수업지도, 학생지도, 학급경영, 기타(자기개발)영역은 16-40시간, 학교교육과정편성운영, 학부모 및 대외관계, 학교경영지원 영역은 15시간 이하를 선택하였다. 45-60시간에 비해 낮은 것은 60시간 연수의 평가 중압감과 전문성 신장을 필요로 하면서도 학습의 중압감이 겹쳐 적은 연수 시간을 택하였으며 15시간 이내 연수는 전문성 신장 기능으로서의 연수 시간으로는 적은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직무영역별 연수 주기에 대하여 수업 지도 영역은 1년에 한 번, 학생 지도, 학급 경영, 기타(자기개발) 영역은 2년에 한번,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학교 경영 지원 영역은 3년에 한번을 선택하였다. 이 자료는 가장 중요한 연수의 직무영역 순서를 표현한 것으로 보여진다. 직무영역별 바람직한 전문성 신장 방안으로 수업 지도 영역에서는 동료 자문 및 연구회 활동을 선택하였으며, 학생 지도, 학급 경영,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학교 경영 지원 영역에서는 연수기관연수(연수원 등)을 선택했고, 학부모 및 대외관계 영역에서는 학교 내 자율연수를, 기타(자기개발) 영역에서는 민간기관 연수를 선택하였으나 연수기관연수(연수원 등)도 선택율이 높다. 직무영역별 바람직한 연수 방법으로 수업 지도, 학생 지도, 학급 경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에서는 사례 및 분임토의 방법을,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에서는 강의식 수업을, 기타(자기개발) 영역에서는 실기실습을 가장 많이 선택하고 있다. 사례 및 분임 토의 방법을 선호하는 이유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연수를 받으려는 교사들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직무영역별 바람직한 연수 지도자로는 수업 지도, 학생 지도, 학급 경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에서는 부장교사 혹은 수석교사를 선호하고 있으며,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은 장학사(연구사)를, 기타(자기개발) 영역은 민간기관 전문인(학원강사)를 선호하고 있다. 이것 역시 현장 응용력을 중요시하는 의사가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직무영역별 필요한 연수 내용으로는 수업 지도 영역에서는 교과․학습 자료 제작, 학생 지도 영역에서는 생활지도Ⅰ(기본 생활 습관 지도 및 예절지도), 학급경영 영역에서는 학급 경영 방법(일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계획 수립,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에서는 문제 사례별 학부모 상담 및 갈등 해결, 학교 경영 지원 영역에서는 각종 위원회 업무(학운위, 인사위, 교육과정위 등) 내용 및 수행 방법, 기타(자기개발) 영역 연수로 어학이 가장 필요하다고 의견을 내고 있다. Teachers perform various thing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seven job areas in order to teach students professionally. Those things are teaching guidance, student guidance, class management, curriculum organization · management, relationships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outside of the school,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job training, which is replaced by self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se seven job areas are related to each other organically and help the education at school work out smoothly.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specialties constantly. This study shows that job training is the best method to improve teachers’ specia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o analyze how many job training programs are offered to improve secondary school teachers’ specialties in seven job areas in 2008. Second, to inform implications of policy making and improvement through the research of the statu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training and their needs for job training in seven areas. This study is measured by analysis of data and questionnai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hows high needs for job training in teaching guidance, student guidance and self development areas. Various programs are offered to them for job training and the results are good enough. Second, although the teachers feel high needs for training in class management, they are not provided with enough training programs for that area and the results of the training are not as good as above three areas. There is a need for supply of various and adequate training programs for class management area. Third, the teachers perceive that the job training is more needed in areas of curriculum organization·management,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outside the school. Except for the area of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however, the number of job training programs offered is small and the results of training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above three areas. We need to offer autonomous training programs for each school unit and establish policies and programs to make the teachers participate constantly. In addition, the teachers tend to take more training for self development area than other areas after teaching guidanc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policies for job training for the areas that are related to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first since they can affect students directly. And the teachers choose the director teacher of the department, the chief teacher, the current principal and the vice principal as the best instructor in the job training courses. The percentage of teachers who prefer to take the real life examples and role playing discussions for teaching method is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eachers hope to get mor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nd instructors which can apply to their work directly. To improve the teachers’ specialties for each job area, we will create a greater variety of mor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nd provide the teachers with them based on teachers’ opinions reflected in this study.

      • 음악과.사회과의 통합교육 방안 연구

        이온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인류의 발전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학교에서의 교육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각 교과 중심으로 분과적으로 이루어지던 전통적인 교육방법은 학교에서의 지식과 실제생활에서의 지식을 분리시키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통합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81년에 제정된 제4차 교육과정부터 통합교과라는 교과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통합교과의 의미규정이나 추구하는 내용이 정확히 체계가 잡히지 않았지만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고 통합교육을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나타났다. 통합교육과정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간학문적(間學問的)인 통합 방법이다. 두 개 이상의 교과를 통합하는 이 방법은 교과 사이의 효율적인 학습을 돕고 습득된 지식이 장기기억으로 전환 되는데 도움을 준다. 장기기억으로 전환된 기억은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학업성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져 온 것이 지능이다. 그러나 학업성취를 이루기 위해서는 지능뿐만 아니라 비인지적 측면인 창의력이나 학습동기, 흥미 등도 중요하다. 때문에 높은 학업성취도를 위해서는 인지적인 부분과 비 인지적인 부분의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 져야 한다. 음악교과는 학습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흥미나 관심 등의 비인지적인 부분을 자극하는데 있어 다른 어떠한 교과 보다 장점을 가진다. 음악을 통한 비인지적인 부분의 자극을 통해 학습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게 하고 자기학습을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 또한 음악은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다양한 아이디어로 타 교과로의 전이를 도와 학습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점차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통합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음악교과와 사회교과의 통합교육을 시도하여 효율적이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서 지식의 효율성 높이고 두 교과의 학습에 있어 서로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음악과와 사회과의 통합교육을 시도한 본 논문에서 택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한 통합교육과정의 개념을 일반적으로 정의하고 정의된 통합교육과정의 기능을 인식론적, 심리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살펴본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점점 중요성이 더해져 가는 통합교육과정의 당위성을 높인다. 둘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 다양한 이론을 살펴보고 음악과와의 통합교육이 타 교과학습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음악교과서를 시대별, 학년별로 분석하여 음악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시대와 작곡가, 악곡을 알아보고 당시의 제재곡을 선정한다. 셋째, 음악과 사회과의 통합교육을 위하여 동시대의 주요사건을 연도별로 정리한다. 이를 통해 각 시대별 주요 사건과 동시대에 풍미했던 사조와 그 사조에 영향을 받은 음악가들과 작품들을 파악하여 통합교육에 자료를 제공한다. 넷째, 음악교과와 사회교과의 공통적인 역사적 사건을 연관시켜 두 교과의 통합교육을 시도하여 다양한 교수-학습을 제시한 수업지도안을 제시한다.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knowledge has been speeded up uncontrollably, these days. As a result, it became a difficult problem to choose what kind of knowledge should be added to a curriculum or not. Furthermore, the fact that current societies require efficient and creative knowledge makes it even harder to organize a curriculum which satisfies such demands. The integrated curriculum (IC) is known to be one of appropriate answers to the problem. This thesis focused on the integration of music and social studies and drew several conclusions: First, the IC is very effective in a sense that it relates various subjects which, in turn,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learn broad fields of studies in limited time. It helps students to acquire knowledge effectively and to solve problems actively by designing curriculums according to abilities of students and presenting diverse situations. Second, two categories of intelligence (general intelligence and special intelligence) are correlated. In most cases, a person with high special intelligence tends to have high general intelligence. Generally speaking, one with high intelligence accepts a good school record and the school record gets even better when those two kinds of intelligence are activated simultaneously. Musical intelligence which is under the special intelligence, stimulates non-cognitive parts, thus gives help to learning of cognitive subjects: it supports the long-term memory by arousing motives and interests. Hence, the integration of music and other subjects is essential. Third, the most importantly dealt periods in the musical history of music textbooks are the classic and romantic periods. Tunes of Beethoven, a classicist, and Schubert, a romantist are put in the textbooks most, and the Choral Symphony of Beethoven is appeared most frequently. Fourth, it is required to find common facts of music and social studies and to utilize varied teaching methods, e.g., cooperative learning, role playing, and audio-visual aids. Students can have continuous interest to both subjects by experiencing the IC. The musical history and world history are closely related and they are both cultural products. This thesis concentrated on the integration of these two subjects and on the presentation of various learning conditions. I expect that i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curriculum that substitutes an existing curriculum.

      • 중등학교 음악과 교사 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김지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음악과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대전광역시 중등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문제점 및 효과를 조사·분석하여 내실 있는 재교육 제도가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실제적인 현황과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초연구에서는 교사 재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음악 교육의 고찰, 교원연수의 유형 및 문제점, 그리고 음악과 재교육 내용과 외국의 중등음악교사 양성체계 및 재교육 연구를 살펴보았고 본 연구에서는 음악과 재교육 과정을 경험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재교육의 필요여부와 그 이유, 그리고 재교육 경험에서 비추어 본 문제점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음악과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을 20개의 문항으로 설문을 작성한 후 회수된 설문지를 통해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문항별 반응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재교육의 필요여부와 그 이유에 대한 1-3번 문항의 결과를 보면 83.3%의 음악교사가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이에 반해 16.7%가 불필요하다고 답하였다. 교사들은 재교육을 받는 가장 큰 이유로 교육에 관한 새로운 정보습득을 꼽았고 필요하지 않다고 답한 교사들은 재교육이 집단학습의 진행으로 개인별 수준차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점과 실제적인 현장교육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문항 4-15번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재교육의 문제점 및 효과를 살펴보았다. 음악교사들이 생각하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현장감이 부족한 교육 내용 및 방법으로 재교육 프로그램이 학교현장에서 일어나는 제반(諸般)문제에 대한 해결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어 재교육 후에도 교수-학습지도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음악교사들은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의 부족을 문제점으로 보고 이것이 음악과 재교육의 참여율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며 음악과 재교육의 비활성화를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의 부재라고 보았다. 그러나 음악 실기능력 및 음악 지식의 향상은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순기능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항 16-20번에서는 음악과 교사 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결론적으로 현장에서 교사들에게 가장 필요하고, 또 교사들이 원하는 것은 학습지도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로 보였다. 능력 있는 교사를 길러내기 위해서는 교원연수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음악과 재교육 내용이 체계적으로 정착되어야 하며 각 연수기관이 교원양성기관에서 받은 직전교육과 연계하여 적절한 시기에 효과적인 교원연수를 받도록 장려해야 한다. 음악과 재교육의 문제점 및 효과를 토대로 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한 본 논문은 교사 재교육은 학생들의 지적, 창의적, 도덕적 전인교육을 책임 질 높은 교원을 양성하는데 그 의의가 있음으로 교사는 교직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사명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for music and teacher re-education and investigate/analyze the issues and the effects of the re-education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City of Daejun and ultimately provide realistic status and the solutions to establish a fruitful re-education system.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concept and the need for the teacher re-education, examination of the music education, the types and problems of the teacher trainings, the contents of the music re-education and the training system and re-education studies in the other countries and in this study, whether the re-education is necessary and if so, then why from the surveys of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re-education process and also examined the problems and effects from the re-education experienceand lastly investigated the direction of the re-education. The study methods included 20 questions on the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and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into response rate and percentages per question. On the need for re-education and the reasons from questions 1 to 3, 83.3% of music teachers thought re-education was necessary and 16.7% thought it was not needed. The teachers responded the biggest reason for the re-education is gaining the new information on the education and the teachers who responded that the re-edcuation was not needed pointed out that the re-education is the progress of group studies that do not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and it does not help the realistic teaching environment. From questions 4-15, the problems and the effects of the current re-education were examined. The biggest problem of the re-education program of the music teachers is the lack of reality in th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that cannot resolve the various problems in schools and do not impact the chang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even after the re-education. Also, the majority of the music teachers saw the lack of various training programs as a problem and thought that it affects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music re-education and saw the underutilization of the music re-education as a result of the lack of various training programs. However, the improvement of the music practical and the knowledge had a positive role in the re-education program. Lastly, questions from 16-20 examine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music re-education and as a conclusion, what the teachers need the most in schools and what they want the most is the professional knowledgeand technique on the teaching methods. To cultivate effective teachers, the teacher training education process needs to be developed to establish a systematic music re-education contents and also in connection with the previous educations from the teaching institutions of each training facility to enable an effective teacher training program at an appropriate time. Based on the problems and the effects of the music re-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e-education and concluded that because re-education is only meaningful when it is used to produce high-quality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intelligence, creativity and ethics of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need to have a strong faith and the feeling of responsibility in their career.

      • 중학생의 호흡기 감염병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노나리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침예절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기침예절 지식 및 이행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남도 H군에 소재한 중학교 두 개교를 추출하였으며, 무작위로 H중학교 1개 학급을 실험군(28명)에, J중학교 1개 학급을 대조군(27명)에 할당하였다. 사전설문은 교육프로그램 적용 전 실험군과 대조군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총 4차시(주 1회)로 구성된 기침예절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대조군은 해당 학교 보건교사에 의해 기존 보건교육과정에 포함된 감염병 예방교육을 받도록 하였으며, 사후설문은 교육 직후 실험군과 대조군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침예절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기침예절 지식점수 증가 정도는 대조군에 비해 더 높았으나(t=4.94, p<.001), 이행점수 증가 정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85, p=.399). 즉, 기침예절 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의 기침예절 지식 수준을 높이는 데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이행 수준을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기침예절 교육프로그램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뿐만 아니라 캠페인 활동 등 기침예절 이행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cough etiquette educ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and implementation level of cough etiquette. Method: This study is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based o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xtracted from two middle schools in H-gun, Jeollanam-do and randomly, one class of H middle school was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28 students and one class of J middle school was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of 27 students. The pre-test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before applying the education program to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with cough etiquette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4 sessions in total, once in a week. The control group was educated with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included in the existing health education curriculum by the school's health teacher. The post-test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rtly after the education program. Results: After applying cough etiquette education program, the increasing degree regarding the knowledge of cough etiquette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t=4.94, p<.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lementation increasing degre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t=0.85, p=.399). Conclusion: Cough etiquette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level of cough etiquette knowledge,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improving their implementation level. Therefore, Cough etiquette education program requires various efforts to raise implementation level of cough etiquette including not only education in the classroom but also campaign activities.

      • 忠南地域 學校給食 營養敎師들의 營養敎育 實態 및 改善 方案

        윤은숙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nutrition education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156 nutrition teacher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Chung Cheong Nam Do by using a self-filling typ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in the preceding study has been revised, supplemented, and reorganized to suit the research purpo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Ver.12) program and I set the significance level at 0.05(or 5%).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my research resul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items relat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trition teachers, the sit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e method and frequency of nutrition education, the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the problem and solu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1. General characteristics Most of the nutrition teachers was showed females(99.4%)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was from 36 years of age to 40 years of age(51.9%). Their level of education was that the graduate school graduation(24.4%), the university graduation(48.7%).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career was from ten years to sixteen years(54.5%). It was found that 73 percent of the nutrition teachers work from forty-five hours to fifty hours a week. Most of the school was in a rural area(71.1%). The elementary school was within 71.2 percent, the independent cooking was 64.1 percent, the joint cooking was 28.8 percent, the joint control was 7.1 percent. Also, one school meal 76.9 percent was a large part in the number of the times in a school meals in a day. 2. The investigation whether the nutritional education is educated. 64.1 percent of the respondents gave an effect to educate the nutritional education, but it was comparatively low in comparison with another cities and provinces. 82.1 percent had a training experience about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nutritional education types, 72.4 percent of the respondents gave an effect to the indirect education type while 26.3 percent educate in direct, and the rest was 1.3 perc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nutritional education execution, 34.6 percent was once in a week, 25 percent was an irregular education, 25 percent was once in a month, 9.6 percent was two times in a month, and then 7,7 percent was once in one school term. In the information gathering method, the information gathering with internet took the most position in 78.2 percent. According to a survey, the most part of the respondents selected that the optimal student number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execution was 1,000 persons and under. 3. The investigation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types In the time of educated directly about the nutritional education, 28.8 percent was taken in a nutritional counseling center, 19.2 percent was taken in a discretion activities, 17.9 percent was taken in a special activities, 1.3 percent was taken in a regular classes, and the another was 32.7 percent. In an indirect education about the nutritional education, the home correspondence was taken the most part in 57.7 percent. In the reason not educated directly, 30.1 percen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y had not the allocation times for a direct education, 28.8 percent thought that they had not enough times due to a meal service works, 17.9 percent thought that school manager and other teachers had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16.7 percent of the nutrition teachers thought that they had not a lack of confidence in their duties. 4. The necessity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Of the most serious dietary life of Korean students, 59.6 percent was an unbalanced diet and 20.5 percent was a fatness. For the improvement of the dietary life problems, 78.2 percent of the respondents had a understanding that the nutritional education affected to improve the dietary life. The expectation effect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was showed that 67.9 percent was a desirable dietary life and 28.2 percent was a preparation of a systematic curriculum. As mentioned above, the nutrition teacher must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duty to execute the effective nutritional education, and make a ceaseless effort to develop a nutritional education curriculum,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study data. The nutrition teacher has played dual role to satisfy the conditions in a meal service and a nutritional education. But this is contrary to each other in a practical conditions. Therefore, the policy measures are prepared as like the apportionment of a workload, the nutrition teacher disposition with one person per one school and the internship nutrition teacher disposition. 학교급식을 통해 학생의 성장발달에 필요한 영양공급의 균형을 형성함으로써 신체적 발달과 더불어 정신적 발달을 도모하고 성장기 이후의 식생활에 대한 기본 지식 습득과 바람직한 식습관을 함양시켜야 한다. 즉 학교급식은 학생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추구하는 동시에 원만한 사회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현장에서 특정한 지도 목표를 설정하고 체계적인 계획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 학교급식을 통한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식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식품영양의 기본 지식을 전달하고 이를 통한 올바른 식생활을 실제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영양교육이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충청남도 초․중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정보영재의 프로그래밍 개념 학습을 위한 스크래치 활용 교육 수업 설계

        채지희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Gifted Students in informatics think out various ways of problem solving through programing, and through the process of choosing suitable methods among them, they also acquire higher cognitive ability, such as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esides, they can check out their thinking process by resolving problems through error correction process. However, the curriculums of the programing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in informatics, which are carried out currently in many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for the gifted, donot match the stages of their cognitive development and may disturb the acquisition of high-level functions, such as improvement of high cognitive function, since they focus on the way of using languages and grammars. Accordingly, a lesson design which could induce learners' interest and inner motivation is necessary for the practice of effective programing concept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in informatics. This study designed a programing class for the gifted students in informatics by using educational programing language, Scratch, and by grafting Renzulli's Enrichment Triad Model onto Treffinger's Self-directed Learning Model amo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the gifted children. The use of Scratch in programing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in informatics offers newer and more interesting programing learning experiences than the conventional programming languages, like Visual Basic and C, and is yet similarly effective in concept acquisition. Besides, it has a possibility of improving high cognitive ability, such a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ting programing works, such as animations and games, and through the sharing of the programs. 정보 분야의 영재들은 프로그래밍을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내고 그 중에서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 문제분석능력과 같은 고등인지기능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오류 수정 과정을 통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자신의 사고 과정을 점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등의 정보 분야 교육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은 영재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이유로 학습자의 인지발달단계에 맞지 않는 교육과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프로그래밍을 교육함에 있어서 언어의 사용법 및 문법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고등인지 기능의 신장과 같은 고차원적인 기능의 습득을 저해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분야의 영재들에게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개념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흥미와 내적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수업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MIT에서 개발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를 활용하고, 영재 교수-학습 모형 중 Renzulli의 심화학습 3단계 모형과 Treffinger의 자기주도적 학습모형을 접목하여, 정보 분야의 영재들을 위한 스크래치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의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수업의 일부분을 충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정보 분야 기초과정(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실험 적용해봄으로써, 스크래치를 활용한 정보영재의 프로그래밍 교육이 Visual Basic, C와 같은 전통적인 언어보다 새롭고 흥미로운 프로그래밍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프로그래밍 개념 습득에는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또한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완성된 작품을 스스로 프로그래밍 하는 과정과 프로그램의 공유를 통해 창의력, 문제해결력과 같은 고등인지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