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蒙元 帝國期 옷치긴家의 東北滿洲 支配 : 中央政府와의 關係 推移를 중심으로

        윤은숙 강원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47

        쿨룬 부이르에서 동북만주에 이르는 지역은 비옥한 만주와 몽골 스텝을 연결하는 중심지역으로 흉노 이래 대부분의 동북아 고대 유목국가들의 태반이 되는 핵심 요충지대다. 본 연구는 이 지역을 분봉 받은 옷치긴家가 중앙정부와의 관계에서 분권적 경향을 확대하는 과정을 통해 蒙?元제국의 권력 구조를 구명하고, 그것이 차기 현지 정권 창출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동방왕가의 수장인 옷치긴家의 기반이 되는 쿨룬 부이르에서 동북 만주에 이르는 지역은 半건조의 스텝 초원지대에서 습윤한 수렵지대, 초원과 산림이 교차하는 목?농지대, 온대의 농업지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지리적 경제적 환경을 가진 곳이다. 이러한 기반을 배경으로 옷치긴家에는 유목?목농?농업 등의 다양한 경제 형태가 혼재돼 있었기 때문에, 蒙?元제국 제왕들 중 최고의 경제력을 소유할 수 있었다. 또한 옷치긴家가 소유한 군대는 서북부 만주의, 기마사술에 능숙한 기병은 물론 동북부 만주의 삼림전투 및 동남북 만주의 산악전투에 익숙한 인력이 두루 포괄 돼 있었다. 이러한 옷치긴家의 경제적?군사적 배경은 옷치긴家가 황금씨족 최고의 권위를 유지하면서, 세력을 강화시킴은 물론이고, 蒙?元 중앙정부에 대항해 대규모 반란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 칭기스칸이 분봉을 단행했을 때 말제였던 옷치긴에게 다른 형제나 아들들보다 많은 분봉 호를 분배한 것은 칭기스칸의 옷치긴에 대한 특별한 애정뿐만 아니라 금을 공격하기 위한 치밀한 정치적 계산이 그 밑바탕에 깔려 있다. 따라서 칭기스칸은 처음부터 동방경략의 창구를 옷치긴으로 생각했고, 이러한 정치적 계산 하에 耶律留哥와 군사동맹을 맺게 하기 위해 옷치긴을 요동지역에 파견했다. 이후 요동에 대한 우선권이 옷치긴家에 주어졌으며 옷치긴家는 이를 발판으로 동북만주 지역으로 세력을 날로 확장해 갈 수 있었다. 옷치긴은 야율유가와 만나 동맹을 맺어서 몽골제국 요동 공략의 포석을 다졌으며, 칭기스칸의 1차 금국 원정에 직접 참가했다. 또한 1231년 2차 금국 원정에서도 칭기스칸의 1차 금국 원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좌익군의 수장으로 참전했다. 옷치긴家는 3차례에 걸친 대규모의 반란을 주도하는 등 蒙?元 帝國史 격변의 한 중심에서의 그 물꼬를 그 당시 나름으로 터 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냈다. 옷치긴家가 일으킨 반란은 옷치긴의 군사행동, 나얀반란과 兩都內戰 등이다. 옷치긴의 군사행동은 구육의 신속한 도착으로 실속없이 종결됐지만, 이후 옷치긴家의 군사력은 몽골제국 격동기 정치사의 큰 물꼬를 틀 때마다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됐다. 이러한 옷치긴家의 군사력은 쿠빌라이와 아릭부케 간의 칸위 쟁탈전에서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아릭부케가 대다수 황금씨족의 지지 속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쿠빌라이가 의지하고 있던 유일한 것이며, 쿠빌라이가 대칸이 될 수 있었던 결정적인 힘은 동방왕가들과 그들의 군사력이라고 할 수 있다. 쿠빌라이와 아릭부케 간의 칸위쟁탈 전쟁에서의 쿠빌라이의 승리는 바로 타가차르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해서, 타가차르는 쿠빌라이정권 최대의 수혜자가 됐다. 이러한 배경에서 쿠빌라이 카안 정권 초기 옷치긴家는 그들의 정치적 위상을 높이고 세력을 極盛化 시킬 수 있었다. 나얀반란은 쿠빌라이 카안이 주도하는 중앙집권적 지배에 반기를 들고 일어나 동?서 제왕의 군사력을 결집시켜 감히 직접 몸소 군사력을 이용해 칸이 되려했던 점에서 蒙?元제국사에서 점하는 위치가 남다르다고 하겠다. 나얀이 대규모의 반란을 일으킬 수 있었던 원동력은 중앙집권화에 반대하는 서방왕가들의 반란, 일체성이 강한 동방왕가들의 강한 호응과 더불어 동북만주 지역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지리적?인적 요소들이 그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1315년(延祐 2)에 톡타는 遼王의 일자왕호를 하사 받은 뒤, 태정제 시기에는 나얀반란 이전 수준으로 자기들의 세력을 회복했다. 동북만주의 지리적?경제적 토대를 계승한 톡타 역시 1328년(天曆 1)에 兩都內戰을 주도해 태정제의 아들 아리기바를 대칸으로 옹립했다. 양도내전에서 실패한 후에도 옷치긴家의 야나스리가 遼王이 돼 울루스를 통치할 정도로 옷치긴家는 국가의 중앙권력이 제어할 수 없는 막강한 독립 역량을 끝내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옷치긴家가 蒙?元 제국과 고려를 연결하는 중간지점에 위치하는 지정학적 특수성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칭기스칸 서방 원정기간 옷치긴은 고려에 사신을 파견해 대규모의 공물을 징수했고, 이후 세력을 동쪽으로 확장한 옷치긴家는 고려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쿠빌라이 카안에게 옷치긴家는 가장 강력한 우방인 동시에 두려움의 대상이 됐을 수도 있다. 따라서 옷치긴家를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고려를 부마국으로 삼았고, 이후 칸들은 忠宣王을 瀋王으로 삼아 옷치긴家의 남하를 방지하고 날로 확대되는 옷치긴家를 고려와 분리해 견제하려 했다. 또한 만주지역을 장악했던 무칼리家의 나가추와 옷치긴家의 아자스리의 행동은 원말 명초 東아시아에서 중요한 변수가 됐다. 朱元璋은 다분히 나가추 세력을 염두에 두고 고려에 대해 강경책과 유화정책을 병행했다. 결국 1387년(洪武 20)에 나가추가 투항하자 明은 고려에게 鐵嶺衛 설치를 통보했고 고려는 요동정벌로 맞서려 했지만, 만주지역 정세를 소상히 꿰뚫어 보고 있던 옷치긴家 고려계 몽골군벌 李成桂의 위화도 회군으로 고려의 요동정벌은 좌절됐다. 나가추의 투항 후 쿨룬 부이르에서 동북만주에 이르는 지역에 설치된 우량카이 3위의 수장 옷치긴家의 아자스리는 동?서 몽골과 여진?고려를 연결할 수 있는 지정학적 특수성을 이용해 明정권으로 부터 관직을 수여 받아서 賜與를 획득하거나 馬市를 통해 필요한 물자를 충당하는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한편, 동?서 몽골세력과는 혼인정책을 통해 긴밀한 우호관계를 유지?강화하며 明初 자신들의 울루스를 그들 나름으로 경영했다.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의 5대조 李安社는 開元路 산하 오동으로 이주해 옷치긴家에 南京等處 五千戶所의 首千戶 겸 다루가치가 될 수 있었다. 이후에 옷치긴家 고려계 몽골군벌 이성계家는 옷치긴家를 모태로 삼아 성장해 당시로서는 세계적 차원의 선진적인 동북만주의 인적 자원을 기반으로 朝鮮朝를 창업했다. 주제어 : 옷치긴家, 옷치긴, 타가차르, 나얀, 遼王 톡타, 아자스리, 쿠빌라이 카안, 나가추, 李成桂, 朱元璋, 쿨룬 부이르, 동북만주, 우량카이 3衛, 開元路, 오동.

      •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윤은숙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to manage and to adjust the volunteers working in Daejeon community welfare agencies, to establish the factors affecting the volunteers' participation and rewarding elements which promote volunteering activit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To do this, a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the sample group of 255 (20 years old or greater) volunteers working in Daejeon community welfare agenci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tatistic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ng using the program of SPSS for Windows 12.0.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level of groups between genders, ages, and groups which working the total period of volunteering or the period of volunteering in present agency showed no difference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variance and employment status. In case of educational background, the volunteers who got college or higher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volunteers with occupation showed more satisfaction than the volunteers without occupation. Second, by examining the volunteers' participatory motivation, there shown to be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ltruistic and self-cent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otives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correlation of the altruistic motive and satisfaction appeared to be higher in value than the self-centered one. Analyzing the result of participatory motivation that affects the sub-satisfaction, the altruistic motivation affects the level of involvement, the provi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e social contact desire, the desire of satisfying others' expectation, and the desire for social approval. Third, the rewarding factor seems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6 sub-satisfations except the self-achievement need. Among the sub-satisfaction levels, the need for social exchange shows the highest expectation to the rewarding factors. This means that the self-centered motivation play the role in that relationship. Fourth,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job-relevant factors related to the sub-satisfaction factors, the job recognition level seems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all of the sub-satisfaction except the experience need. The appropriateness of activity has not shown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need of social-responsibility and social-exchange. The expectation concurrence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ll sub-satisfaction. Among the job-relevant factors, the job recognization levels showed the high beta estimate, meaning that the activity-realization has relatively high effects than others. Fifth,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the participatory motivation, the reward and job-relevant factors on degree of general satisfaction, the altruistic motivation, the rewarding factor, the job recognization levels and the appropriateness of activity showed significant meaning. In 6 sub-satisfactions, the job recognization levels has the highest beta estimate and similarly, the altruistic motivation, the rewarding factor and the activity appropriateness have the similar level. In conclusion, among all factors, the highest satisfactory factor is the job recognization levels. The altruistic motivation affects more upon the sub-satisfaction. The self-centered motivation shows to be significant in the result of the rewarding factor. The expectation concurrence does not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ory motivation, the rewarding and the activity factor, the degree of sub-satisfactions has the difference in the meaning.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munity welfare agencies should assess the personal concerns and conduct proper management to the volunteers so that they can perform volunteering activity with satisfaction. 본 연구는 대전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와 보상요인 그리고 자원봉사활동 업무관련요인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자원봉사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ㆍ조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 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는 20세 이상 성인자원봉사자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2.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보면 성별, 나이, 전체 봉사활동 기간, 현재 기관에서의 활동 기간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학력과 직업유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은 대졸 이상이 자원봉사활동에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 참여동기를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로 구분하여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바 참여동기와 만족도간의 관계는 유의미하게 나왔으며, 상관관계는 이타적 동기가 이기적 동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이타적 동기를 가지고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수록 봉사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참여동기가 하위 만족도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타적 동기는 경험욕구 차원, 사회적 책임욕구 차원, 사회적 접촉욕구 차원, 타인 기대부응욕구 차원, 사회적 인정욕구 차원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기적 동기는 사회적 교환욕구 차원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기적 동기가 사회적 교환욕구 차원에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을 볼 때 이타적 동기 보다는 이기적 동기를 가진 자원봉사자들이 보상에 대한 욕구가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상요인이 하위만족도 차원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면, 성취욕구 차원을 제외한 6개의 하위차원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요인이유의미하게 나타난 각 만족도 차원 중 사회적 교환욕구 차원에서는 다른 변수들보다 보상요인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기적 동기가 사회적 교환욕구 차원에 미치는 영향과 연관성을 보이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업무관련요인이 하위만족도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업무인식도는 경험욕구 차원을 제외한 모든 만족도 차원에 유의미함을 보였으며, 업무적절성은 사회적 책임욕구 차원과 사회적 교환욕구 차원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기대합치도는 상관관계에서 전체만족도와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하위만족도 차원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관련요인 중 업무인식도는 각 만족도 차원에서 대부분 높은 베타값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업무인식도가 다른 변수들에 비해 만족도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참여동기, 보상요인, 업무관련요인이 전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타적 동기, 보상요인, 업무인식도, 업무적절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하위만족도 차원에서와 마찬가지로 업무인식도가 가장 높은 베타값을 나타냈으며 이타적 동기, 보상요인, 업무적절성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각 변수들 중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업무인식도이며, 이기적 동기보다는 이타적 동기가 하위차원 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기적 동기는 보상요인과 연관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대합치도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참여동기, 보상요인, 업무관련요인에 따라 하위차원 만족도가 상이하므로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만족감을 느끼고 효과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관에서는 자원봉사자에 대한 개별적인 관심과 적절한 관리방법들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윤은숙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인 태도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인 능력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고양시 외곽에 소재하고 있는 농어촌학교로 지정된 농촌지역의 N초등학교 4학년을 사전검사를 통하여 10명(남5, 여5)을 실험집단으로, 동질의 집단인 다른 10명(남5, 여5)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만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두 집단에 각각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Crites(1978)등의 검사도구를 신철(1997)이 번안하여 제작한 초등학생용 진로척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한국교육개발원(1985)의 진로교육 7개영역,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1994),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2001)에서 사용한 프로그램과 선행연구 프로그램을 참고로 재구성하였다. 연구절차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만 1회기부터 12회기까지 주 2-3회씩(회당 40분) 5주간 실시한 후 두 집단에 각각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t검증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진로성숙도 총점에서 실험집단은 평균 3.76(.31)으로 비교집단은 평균 2.61(.34)로 나타났으며, 차이를 t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이 t값 -10.23으로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진로성숙도 태도영역 총점에서 실험집단은 평균2.13(.31), 비교집단은 평균1.41(.17)로 나타났으며, 차이를 t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은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5). 하위요인인 결정성과 계획성, 독립성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5). 셋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난 후 진로성숙도 능력영역 총점에서 실험집단은 평균1.63(.32), 비교집단은 평균1.20(.34)으로 나타나 실험집단은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5). 하위요인인 직업세계의 이해와 직업선택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5). 따라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e concrete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woul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have an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y? Second, woul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have an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section, the subcategory of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y? Third, woul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have an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section, the subcategory of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y? For verifying the above subjects, we selected 10 fourth grade students (male 5, female 5) of N elementary school located on the outskirts of Goyang city in Gyeonggi province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10 students (male 5, female 5) from same group as the comparative group by conducting the previous test. We administrate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n conducted the post-test to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test tool for this study, the test for career criterion by Sinchul (1997) adopted from Crites(1978) is use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s re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the 7 categories of career education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1985) and the programs used by the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 of Seoul city and the institute of education information of Gyeonggi province and other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study procedure,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administer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40 minutes each, two or three times a week, which total to twelve times for five weeks. And then the post-test was conducted to both groups. For the analysis of data,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t-tested by SPSS WIN 11.0.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total score of career maturity after administrat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is 3.76(.31) and that of comparative group is 2.61(.34). As the result of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the meaningful improvment by t value, -10.23 on the level of p<.05. Second, in terms of the total score of attitude section in career maturity after administrat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is 2.13(.31) and that of comparative group is 1.41(.17). As The result of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the meaningful improvement.(p<.05). The subordinate factors such as the decisiveness, planning quality and independence show the meaningful improvement on the level of p<.05. Third, in terms of the total score of ability section of career maturity after administrat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is 1.63(.32) and that of comparative group is 1.20(.34). Therefore, the experimental shows the meaningful improvement (p<.05). The subordinate factors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career and the on the level of p<.05. Accordingly,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s shown to have an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y.

      • 曾國藩의 古文論

        윤은숙 淑明女子大學校 1984 국내석사

        RANK : 247631

        淸代 散文의 主流를 차지하며 200여년 동안 계속되었던 桐城派 古文에서 曾國藩이 차지하는 位置는 政治的인 位置와 마찬가지로 桐城派의 中興功臣으로 볼 수 있다. 本稿는 우선 先秦時代부터 시작된 古文이 時代에 따라 변천되어 가는 過程을 개관하고, 淸代 桐城派 古文論에 있어서 曾國藩이 차지하는 地位와 役割은 무엇이며, 또한 曾國藩이 내세우는 主된 理論은 어떠한 가를 考察하여 新文學 展開以前의 中國古文의 狀況을 硏究해 보고자 하였다. 曾國藩의 文章은 요내에게서 시작되었고, 그의 古文論도 요내의 古文論을 계승 발전시킨점이 많으나, 曾國藩이 좋아하는 文章의 特性과 요내를 비롯한 桐城派 文人 들이 지은 文章의 特性이 달랐다. 그러므로 桐城派의 맑고 깨끗하며, 淸眞한 特性을 지닌 文章을 자기가 좋아하는 雄奇하고 괴위한 文章으로 변모시키기 위해, 그의 古文論이 주장되었다. 이것이 바로 古文에 騈體의 麗辭手法을 導入하여 文采가 나도록 視覺的인 效果를 낸 것이며, 또한 漢武의 氣體를 運用하여 單調롭고 平易한 文章을 雄奇하고 괴위하게 變化시킨 것이다. 그리고 소학훈고의 정확한 知識에 의거하여, 古人의 作品을 자세히 읽고 소화하고 나서 자신의 文章으로 표출해 내도록 했으며, 聽覺的인 效果를 내어 文章의 깊이를 더하고자 聲調의 節秦에 주의했다. 요내의 《古文辭類纂》을 批評하는 입장에서 《경사백가잡초》를 纂輯하였고, 또한 義理·考據·詞章을 활용하여 文의 범위를 넓혔다. 그리고 요내가 陰陽剛柔로 文章의 風格을 論한 것을 취해서, 曾國藩은 文章作法인 噴薄과 呑吐에 각각 陽剛·陰柔를 해당시키고, 또한 陰陽剛柔를 古文八訣로 부연하여 16字로 贊을 붙였다. The KU WEN(古文) (classics) of Tung Cheng School(桐城派), the main current of prose style of Ching Dynasty(淸朝), had continued over 200 years. Tseng Kuo Fan(會國藩) played the important role for the revival of Tung Cheng School (桐城派) as well as the reconstruction of Ching Dynasty. This thesis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lassics before the era of New Literature by examining the status and role which Tseng Kuo Fan(會國藩) occupied in the KU WEN(古文) with the change of times Though the Tseng Kuo Fan(會國藩)'s literary style is influenced by the Yao Nai(요 내)'s, and the majority of his theory on KU WEN is also developed on the basis of Yao Nai(요내)'s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his styl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riters in Tung Cheng School(桐城派) including YaoNai(요내). Tseng Kuo Fan(會國藩) suggested his KU WEN theory to make change the style of Tung Cheng School(桐城派) from Clear and plain to powerful and precious style. That is, Tseng Kuo Fan(會國藩) attempted to make the visual effect by introducing the elegant phrases of PIEN TI(騈體) to the KU WEN(古文). Also, he tried to make change the flat and plain into powerful and precious style by managing the tone of HAN FU(漢賦.) Furthermore, on the bais of his precise knowledge on philology, Tseng Kuo Fan(會國藩) assimilated the merit of deceased writers with his own by intensive study on them. He also payed attention to the rhythm of tone to deepen the phrases by producing an auditory effect Tseng Kuo Fan(會國藩) compiled the 《JING SHI BAI JIA ZA CHAO》(經史白家雜초) on the position of criticizing the 《KU WEN TZ U LEI ZUAN》(古文辭類纂) of YaoNai. He also broadened the area of literature by utilizing "Principle"(義理) "Textual Research," and "Literary works"(詞章). Tseng Kuo Fan(會國藩) made out "Fen Bao"(噴薄), and "Tun Tu"(呑吐) to "Yang Gang"(陽剛) and "Yin Rou"(陰柔), and developing "Yin Yang Gang Rou"(陰陽剛柔) into "KU WEN EIGHT SECRET"(古文入訣).

      •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민을 중심으로

        윤은숙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1971년부터 시작된 산아제한 정책의 영향으로 인해 2010년에는 합계출산율이 1.22명으로 낮아졌으며 OECD 국가들 중에서 최저치를 기록하게 되었다. 급격한 출산율 하락은 생산가능 인구의 감소와 노동생산성 저하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를 초래하며 노인의료비·연금 등 공적부담 증가, 세입기반 약화로 인한 재정수지 악화 등 사회 전반의 여러 가지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요청에 따라 정부는 2005년 9월「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을 제정하였다. 이 법은 국가의 종합적인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을 수립·시행하고, 지방자치단체는 국가의 저출산ㆍ고령사회정책에 맞추어 지역의 사회·경제적 실정에 부합하는 저출산ㆍ고령사회정책을 수립ㆍ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6년 7월에는 제1차 저출산ㆍ고령사회 기본계획인 「새로마지플랜 2010」을 수립하여 출산장려정책을 본격화시키기 시작했다. 2011년에는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인 「새로마지플랜 2015」이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정부의 출산장려정책은 막대한 예산 등의 사회적 비용이 투입되고 있어 출산율 제고 등 가시적인 정책효과가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학계에서는 출산장려와 관련된 각종 출산 및 아동양육 지원제도들의 효과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따라서 정부의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인「새로마지플랜」의 제1차 계획(2006-2010)이 종료되고 제2차 계획(2011-2015)이 시작되는 현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출산장려정책이 실질적으로 어떤 효과를 내고 있는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정책대상자들의 인지정도와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인식에 초점을 두고 정책집행의 평가기준의 하나인 수용성을 중심으로 정책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먼저, 정부의 출산장려정책에 대해 정책대상자들이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으며 출산의지에 대한 영향정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수용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정책대상자들의 인구ㆍ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정부의 출산장려정책에 대해 어떤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정책대상자의 수용성 분석으로 인지도, 영향인식도, 인식의 차이를 통해 출산장려를 포함한 저출산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지방정부의 출산장려정책의 수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설정한 변수별에 따른 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출산 계획의 영향인식도의 차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t-검증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각 정책의 인지도와 영향인식도의 차이와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전반적 인지도와 영향인식도의 차이분석과 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른 인지도와 영향인식도의 차이를 보기 위해 t-분석과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마지막으로는 경제적·사회적 측면의 임신·출산 정책들과 양육정책들의 인지도와 영향인식도를 비교하기 위해서도 t-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경제적·사회적 측면의 정책들이 각각 임신·출산 정책과 양육정책들이 하나의 요인으로 묶여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선행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크게 일곱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경제적 측면의 임신·출산지원 정책의 변수에 대한 정책의 인지도와 영향인식도 중에서 ‘난임시술 지원확대 사업’과 ‘산모 신생아 도우미지원 사업’의 출산계획에 대한 정책의 영향인식도를 제외한 나머지 평균점수에서 다소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모든 변수항목에서 정책에 대한 인지도보다 출산계획에 대한 정책의 영향인식도가 더 높은 평균점수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임신·출산지원 정책의 변수에 대한 정책의 인지도와 영향인식도 분석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경제수준, 거주지역, 종교, 맞벌이 여부, 주택소유 현황 등 9가지 개인적 특성으로 정책의 인지도와 영향정도를 분석하였는 바, 단지 연령, 소득수준, 결혼상태에 따른 인지도의 차이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경제적 측면의 양육지원 정책의 변수에 대한 정책의 전반적 인지도와 영향인식도 분석을 통해, 모든 변수항목에서 정책에 대한 인지도보다 출산계획에 대한 정책의 영향도가 더 높은 평균점수를 받고 있으며,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양육지원 정책의 변수에 대한 정책의 인지도와 영향인식도 분석결과에서는 성별, 연령별, 결혼상태, 경제수준에 따른 인지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 측면의 임신·출산지원 정책의 변수에 대한 정책의 인지도와 영향인식도 중에서 ‘모유 수유지원 확대’ 정책이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인식도를 제외한 나머지 평균점수 항목들에서 다소 부

      • 忠南地域 學校給食 營養敎師들의 營養敎育 實態 및 改善 方案

        윤은숙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nutrition education and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156 nutrition teacher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Chung Cheong Nam Do by using a self-filling type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in the preceding study has been revised, supplemented, and reorganized to suit the research purpo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Ver.12) program and I set the significance level at 0.05(or 5%).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my research resul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items relat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trition teachers, the sit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e method and frequency of nutrition education, the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the problem and solution of nutrition education,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1. General characteristics Most of the nutrition teachers was showed females(99.4%)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was from 36 years of age to 40 years of age(51.9%). Their level of education was that the graduate school graduation(24.4%), the university graduation(48.7%).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career was from ten years to sixteen years(54.5%). It was found that 73 percent of the nutrition teachers work from forty-five hours to fifty hours a week. Most of the school was in a rural area(71.1%). The elementary school was within 71.2 percent, the independent cooking was 64.1 percent, the joint cooking was 28.8 percent, the joint control was 7.1 percent. Also, one school meal 76.9 percent was a large part in the number of the times in a school meals in a day. 2. The investigation whether the nutritional education is educated. 64.1 percent of the respondents gave an effect to educate the nutritional education, but it was comparatively low in comparison with another cities and provinces. 82.1 percent had a training experience about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nutritional education types, 72.4 percent of the respondents gave an effect to the indirect education type while 26.3 percent educate in direct, and the rest was 1.3 perc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nutritional education execution, 34.6 percent was once in a week, 25 percent was an irregular education, 25 percent was once in a month, 9.6 percent was two times in a month, and then 7,7 percent was once in one school term. In the information gathering method, the information gathering with internet took the most position in 78.2 percent. According to a survey, the most part of the respondents selected that the optimal student number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execution was 1,000 persons and under. 3. The investigation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types In the time of educated directly about the nutritional education, 28.8 percent was taken in a nutritional counseling center, 19.2 percent was taken in a discretion activities, 17.9 percent was taken in a special activities, 1.3 percent was taken in a regular classes, and the another was 32.7 percent. In an indirect education about the nutritional education, the home correspondence was taken the most part in 57.7 percent. In the reason not educated directly, 30.1 percen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y had not the allocation times for a direct education, 28.8 percent thought that they had not enough times due to a meal service works, 17.9 percent thought that school manager and other teachers had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16.7 percent of the nutrition teachers thought that they had not a lack of confidence in their duties. 4. The necessity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Of the most serious dietary life of Korean students, 59.6 percent was an unbalanced diet and 20.5 percent was a fatness. For the improvement of the dietary life problems, 78.2 percent of the respondents had a understanding that the nutritional education affected to improve the dietary life. The expectation effect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was showed that 67.9 percent was a desirable dietary life and 28.2 percent was a preparation of a systematic curriculum. As mentioned above, the nutrition teacher must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duty to execute the effective nutritional education, and make a ceaseless effort to develop a nutritional education curriculum,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study data. The nutrition teacher has played dual role to satisfy the conditions in a meal service and a nutritional education. But this is contrary to each other in a practical conditions. Therefore, the policy measures are prepared as like the apportionment of a workload, the nutrition teacher disposition with one person per one school and the internship nutrition teacher disposition. 학교급식을 통해 학생의 성장발달에 필요한 영양공급의 균형을 형성함으로써 신체적 발달과 더불어 정신적 발달을 도모하고 성장기 이후의 식생활에 대한 기본 지식 습득과 바람직한 식습관을 함양시켜야 한다. 즉 학교급식은 학생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추구하는 동시에 원만한 사회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현장에서 특정한 지도 목표를 설정하고 체계적인 계획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 학교급식을 통한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식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식품영양의 기본 지식을 전달하고 이를 통한 올바른 식생활을 실제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영양교육이 필수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충청남도 초․중등학교에 근무하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조선시대 永川지역 간행 書籍의 書誌的 分析

        윤은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result of studying on woodblock printing list (15s), literature records, historical records, existing woodblock and etc. Yeong cheon publications in Josun Dynasty was found as 131 kinds, none existing 31 kinds and existing 100 kinds. Verified by subject and then by classifying existing publications 100s, 1) It's confirmed woodblock printing in the government office(官板本) 12 kinds, Ji JI Dang Jib(止止堂集) published in 1501 is the earliest one. 7 kinds out of Gwan pan Bon 12s, were mainly published in the opening years of the 17th century. 2) Woodblock printing in the Buddist temple(寺刹刊本) are 20 kinds, and Myo bub yeon hwa kyeong(妙法蓮華經) and Bi ro ja na chong gwi jin un(毘盧遮那惣歸眞言) were published in 1531, when is the earliest one. Considering 5 kinds published in Su do sa, Budda-related publications was the trends to hit in Yeong cheon in the 16th century, mostly in Kong san bon sa. 3) 27 kinds books were published in 7 different spots when it comes to woodblock printing in the lecture hall(書院刊本), Tae Jae Jib(太齋集) published in 1450 is the earliest one. Meanwhile, having taken a look at the aspect of woodblock printing in the lecture hall in Yeong cheon in Josun Dunasty, publications was the most activated. Among existing woodblock printing in the lecture hall in Yeong cheon, Do jam seo won(道岑書院) and Hoeng gye seo won(橫溪書院) has 7 kinds publications, the most printed book were transmitted. 4) 41 kinds books were published under woodblock printing in the hartford(私家刊本), Yeong il jeong ssi se bo won pa rok(迎日鄭氏世譜源派錄) in 1740 was the fastest published, also publication reached the peak at the beginning of 20's. Checking for existing by time, categorized by subject and woodblock-printed book publications, among 100 kinds book, 1) The earliest published in Yeong cheon is Tae Jae jib(太齋集) in 1450, Seo won gan bon. 2) Verifying publications 100s by times and subject, books published in 16 century were 10 kinds, woodblock printing in the government office 3s and woodblock printing in the Buddist temple 7s. 15 kinds of books were in 17s, woodblock printing in the government office 7s, woodblock printing in the Buddist temple 4s and woodblock printing in the lecture hall 4s. In 18 century, there were 27 kinds, woodblock printing in the Buddist temple 8s(Su do sa bulications 5 kinds), woodblock printing in the lecture hall 13s, woodblock printing in the hartford 6s. Published from 1800 to 1910, are woodblock printing in the government office 2 kinds, woodblock printing in the Buddist temple 1s, woodblock printing in the lecture hall 9 kinds, woodblock printing in the hartford 35 kinds.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main stream in 16s was Buddist temple(寺刹), Yeong chen government office(永川官) in 17s, the main was Yeong chen government office. And the lecture hall(書院) in 18s, and the hartford(私家) from 19s to 1910. 3) Woodblock 100 kinds came to the fore, Bu am si go(傳巖詩稿) published in 1804, was the earliest among 5 kinds of Mok hwal ja bon(木活字本). Newly discovered thing,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 1) Among publications in Yeong cheon, the study on the existence of Po ein jib(圃隱集), published in early Josun Dynasty, may need to be carried on later. 2) On the Po eun jib(圃隱集) published in 1607, I pointed out the content change with example of same era 4 publications. Although there is not biblio-metrically analyzed materials for this publications, from now on, the more organized study is needed in the future. 3) Newly found materials is the Ge chuk jung gwang sa ma bang mok(癸丑增廣司馬榜目). I got to know Bu mo hyo rang mon, combined by Sam un tong go(三韻通考) and Jong jung nyum kyeol(臨終正念訣) is published in Yeong cheon. 4) A little changes in a drafts, Yang sun saeng hun ji rok(兩先生塤篪錄), Chi jae yu go(恥齋遺稿), Yong was ga suk ye ga ji nam(慵窩家塾禮家指南) were just partly clarified by comparing with publications but it seems that another study is needed later. 5) With comparing In chul bon in 1815 and Seok in bon in 1965, I confirmed that Tae jae jib(泰齋集), drafted in 1815, was revised. In terms of that it's revised after publication done, it's rare, which lead to further study on the process of revision in Josun Dynas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under publications in Yeong cheon in Josun Dynasty private collections during 25 years, which means, it only reflected parts of old books collected in Yeong cheon Culture and History Museum. In addition, there are lots of missing materials, resulted from difficulty in proving grounds of some of collections. Therefore I will carry on the study for another materials excluded in this analysis, and other old books to broaden my horizon on History and Culture Museum of Yeong 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