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신연희 계명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이러한 내·외적 요인들이 어떠한 구조적 관계에 있는가를 알아보고, 그 변인들이 ADHD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ADHD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ADHD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및 울산광역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ADHD로 진단 받은 아동 51명과 그들의 어머니 51명 총 102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17.0과 AMOS 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아동의 ADHD 증상과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에도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 자기 유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설정된 모형에 대한 적합도 지수를 분석한 결과, 아동의 ADHD 증상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1차적 매개변인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2차적 매개변인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ADHD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동의 ADHD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양육행동으로 나타났으며, ADHD 아동의 자기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동의 ADHD 증상, 어머니의 양육행동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아동의 ADHD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즉, 아동의 ADHD 증상이 낮은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형성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매개변인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정도와 양육행동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looking into how much the variables affect the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of children with ADHD by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al model among children'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symptoms, mothers'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 how are children's ADHD symptoms, mothers'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structurally related? Second, how do children's ADHD symptoms and mothers'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affect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2 people, 51 primary school students diagnosed with ADHD in the cities of Daegu and Ulsan and their mothers. A survey was conduced involving the subjects. and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17.0 and AMOS 5.0 program. Also, a relational analysis and the verification of a structural relational model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relational analysis proved that the children's ADHD symptom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In addition, the mothers' stress regarding nurturing also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In the meantime, the mothers'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 index of fit for the model set among the variables was analyzed. The children's ADHD symptoms turned out to be an appropriate model that finally exerted an effect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through the first mediating variable of the mothers' stress regarding nurturing and the second mediating variable of the mothers'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More specifically, the variables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with ADHD turned out to be the children's ADHD symptoms, the mothers'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In addition, the variables that exerted influence on the children's self-competence turned out to be the children's ADHD symptoms and the mothers'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The results above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while children's ADHD symptoms, mothers'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exert a negative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mothers' compassionate nurturing behavior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rais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That is, children's ADHD symptoms have presented the degree of mothers' stress regarding nurturing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as a mediating variable on the path to low social competence and self-competence.

      • 부모와의 분화 수준 및 집으로부터의 지각된 거리와 심리적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신연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기는 발달적 변화와 환경적 변화가 동시에 발생하는 시기이고, 사회적 성숙과 성인기의 준비단계인 청년기의 사회적 적응은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함께 청년기에 수행해야할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로서 이 때 형성되는 적응양식은 일생동안 개인의 적응체계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욱이 가족으로부터 떨어져 사고하는 기회가 증가하므로 그 속에서 처음 겪게 되는 적응상이 문제에 대한 결정과 판단을 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느끼게 된다. 특별히 집으로부터 떠나 생활하는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부모와의 분화 수준과 집으로부터 지각된 거리는 그들의 정서적 또는 환경적 적응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보여 진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시기의 개인 내적 문제 해결과 관련하여, 특히 부모와의 관계성, 더 깊이 말하여 부모와의 분화 수준과 또 집으로부터 지각된 심리적 거리가 심리적 적응에 미칠 것으로 보고,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들에 대하여 그들 부모와의 분화 수준 및 집에서부터 지각된 심리적 거리가 그들의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에서 부모와 비(非)동거하는 남녀 대학생 734명이었다. 부모와의 분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전연진(2002)이 개발한 원가족 분화경험 척도를 사용하였고,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 측정은 부모가 있는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얼마나 멀게 느껴지는가를 묻는 9점 척도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Baker와 Siryk(1984)이 제작한 후 정은희(1993)가 번안하여 우영호(2008)가 사용한 대학생활적응 설문지(SACQ)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부모와의 분화와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을 위해 먼저, 부모와의 분화수준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부모와의 분화수준은 대학 생활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지각된 거리가 부모와의 분화와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과 단계적(stepwise)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관분석에서는 지각된 심리적 거리와 대학 생활 적응은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추가적으로 물리적 거리도 함께 조사되었는데, 물리적 거리가 대학 생활 전체 적응에 정적인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즉, 거리가 멀수록 대학 생활 적응을 잘한다고 조사되었다.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가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각거리를 통제한 상태에서의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는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을 분리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대학생의 경우,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 두변인 모두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쳤지만, 부모와 비동거하는 여자대학생의 경우는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보다 부모와의 분화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의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와 부모와의 분화는 대학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향후 부모와 비동거하는 대학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에 효과적인 자원을 설정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며, 나아가 관련된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adolescence is the period which shows both the developmental changes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youth, the preparatory phase for social maturity and adulthood,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task, along with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hat must be executed by the youth, and the adaptive style formed at this point in life can affect the individual adaptive system for life. Furthermore,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their opportunities to think, away from their family,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solve and make a decision on conflicts in adaptation that they experience for the first time. Particularly for college students who live away from home,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nd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seem to b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predict their emotional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Therefore,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 individual’s internal problem solving process during their college years, assumes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m and their parents, specifically,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ill affect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uch a degree of the separation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their adaptation to their college life. The study targeted 73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four-year colleges, locate either in Seoul or the other regions, who do not live with their parents.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parents, the study used the distant family separation experience scale, developed by Jeon, Yeon Su (2002),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as measured in a nine-scale question that asks about the felt distance from where they are to the house in which their parents live. Also to measure the students’ adaptation, the study used the student adaptation college questionnaire (SACQ), which was first created by Baker and Siryk (1984), adapted by Jeong, Eun Hee (1993), and used by Woo, Yeong Ho (2008).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par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from their parents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ffected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verify the result, the study first conducted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at determined the effect of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result showed that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of their parents played a negative effect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parents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tudy conducted the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ived distance was in a negative relation to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hysical distance, which showed a positive relation to the overall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other words, the more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is, the better they adapted to college life. The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which the effect of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nd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from their parents was evaluated showed that both variable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 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changes by the sex of the students, the study divided the students into the male and female groups and conducte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ach of these group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or the male group, both variable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female students, however, the separation from parent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more than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did. In conclusion, the perceived distance, and separation from parents, of the college students who do not live with parents affecte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based on which effective resources for the adaptation to the college life of college students who do not live with parents,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s concern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 병원 의료서비스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신연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료 환경은 변화하고 있다. 경기침체로 인하여 의료수요는 점점 감소하고 있고,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병원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 수준은 높아가고 있으므로 병원 경영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병원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변수로 경제적 요인, 개인적 요인, 시설 환경적 요인들을 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병원 의료서비스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의료진의 전문성이 병원 재방문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의료진의 전문성을 더욱 강조 발전 시켜 나가야 하며, 친절성과 시설 환경과 첨단장비가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데 더욱 효과적으로 접근하는 요인들고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산욕기 산모의 스트레스 지각과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신연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postpartum women. The treatments were conducted for 3 months from November 28, 2003 to February 28, 2004. The sample consisted of 30 women 3 to 9 postpartal day at M postpartum women rest room in Jinju city. The postpartum wom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15) and control group(15). This study was designed to take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in non-synchronized format. The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50minutes/session). In order to measure perceived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e used The Han's perceived stress scale and Sung's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mputerized with SAS pakage(version 8.01), and the homogeneity of two groups which may be affected by various variable was tested by Chi-square and t-test.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 score of the perceived str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measured paired t-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marked 55.97 by Han's perceived stress scale.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marked 107.67 by Sung's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 2. The first hypothesis,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of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decrease perceived stress will be decrease more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supported(t=2.28, p<.05). 3. The second hypothesis,'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increase health promoting behavior will be increase more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supported(t=2.69, p<.05). In conclusion,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postpartum women to decrease perceived stress and to increase health promoting behavior.

      • 기혼 여자재소자에 관한 연구 :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신연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혼 재소자의 자녀관계의 실태파악과 이들을 위한 정책제언을 통해 기혼 재소자와 그 자녀들이 건강한 가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건강한 가정은 기혼 재소자들에게 출소 후를 적극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동인이 되고 출소 후에는 사회인으로 다시 설 수 있는 단단한 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구금을 계기로 가정의 안정이 해체된다면 재소자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은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다음의 사항들을 주목하였다. 우선 기혼 재소자와 자녀들의 구금 전·후의 실태를 파악하고 구금의 심리적 작용에 관한 자녀관계 요인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혼 재소자와 그 자녀들에 대한 구금의 부정적인 효과를 검증함과 아울러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구체적인 내용과 정책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문조사 자료의 통계적 분석과, 재소자 및 그 가족들과 교정전문가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한 사례연구, 그리고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소자와 그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는 교정시설 네 곳에서 수집된 자료 중 510부(여자재소자: 308명, 남자재소자: 202명)를 분석하였다. 심층면접은 재소자 14명(여자재소자: 6명, 남자재소자: 8명)과 재소자 가족 4 사례와 교정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소자와 그 가족을 위한 미국의 프로그램 분석은 버니지아주 교정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문헌자료와 심층면접을 병행하였다. 주요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구금전의 자녀관계를 보면 재소자들의 대다수가 자녀가 있고 이들의 상당수는 미성년인 자녀들의 직접적인 부양 내지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다가 구속되었다. 따라서 구금은 재소자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의 문제까지 동반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소자자녀, 기혼 재소자, 그리고 가족관계의 세 차원에서 발견되어진 구금의 효과는 먼저, 재소자 자녀들은 부모의 구금 후 불안한 양육환경에 처하게 되었다. 자녀들은 부모의 부재로 인해 정서적인 문제를 겪고 새로운 양육자를 따라 거처를 옮기게도 되는데 대개는 경제적인 어려움까지 겹치게 되며 심하게는 어른의 보호없이 자녀들끼리만 방치되는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다음으로 기혼 재소자들은 구금을 계기로 자녀와의 관계가 단절되어 갔다. 이러한 현상은 구금으로 인해 가정이 해체되는 경우가 많고 자녀 양육자에게 자녀와의 연결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운 여자재소자들이 더욱 심각하였다. 구금기간이 경과할수록 여자재소자와 자녀와의 단절은 심화되었다. 마지막으로 구금으로 인해서 가족관계가 악화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여자재소자들은 구금 후 배우자와 법적인 혼인관계가 유지되는 비율이 남자재소자에 비하여 월등히 적어 구금으로 인해 가족관계가 해체되는 정도는 여자재소자들이 남자재소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컸다. 다음은 기혼 재소자의 무기력한 귀인양식에 관한 자녀관계 요인의 작용을 분석하였다. 무기력한 귀인양식을 구금의 부정적 효과에 따른 재소자의 심리적 특성으로 설정하였고, 자녀관계 요인은 구금 전의 자녀관계와 구금 후의 자녀관계 그리고 부모의 구금 후 자녀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자녀요인들에 따라 구금으로 인한 무기력한 귀인양식의 경향이 달라지는지를 가설의 검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주된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녀관계 요인의 대부분은 기혼 재소자들이 구금 후에 경험하게 되는 무기력한 귀인양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금 후 자녀와의 관계유지와 자녀들의 문제행동은 기혼 재소자의 귀인양식과 많은 관련이 있었다. 구금기간동안 자녀와의 관계가 단절되었거나 불안정해진 재소자들은 자녀와의 관계가 원만히 유지되고 있는 재소자들에 비하여, 그리고 자녀들의 문제행동이 많은 재소자들일수록 그렇지 않은 재소자들에 비하여 구금 후에 경험하게 되는 무기력하고 비관적인 귀인양식의 경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관계 요인의 이와 같은 작용은 특히 여자재소자에게 두드러졌다. 무기력한 귀인양식과 자녀요인들과의 관계는 대부분이 여자재소자에게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것이다. 셋째 구금 전의 자녀관계보다는 구금 후의 자녀관계가 기혼 재소자의 심리적 특성에 보다 많은 작용을 하였다. 이는 구금 전에 자녀와 어떠한 관계를 유지했느냐와는 상관없이 자녀와의 분리로 인한 기혼 재소자들의 심적인 부담은 비슷하다는 것을 알려 준다. 반면에 구금기간 동안 자녀관계가 단절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 자녀와의 감정적인 유대가 지속되는 것, 그리고 자녀들이 문제행동 없이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은 구금의 부정적인 효과인 무기력한 귀인양식의 경향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자녀요인들의 기혼 재소자의 귀인양식에 관한 작용은 귀인양식의 영속차원(stable attribution)에서 두드러졌다. 구금 후에 자녀와의 관계가 원만하게 유지되지 않거나 구금 후에 자녀들이 문제행동을 많이 하고 있는 재소자들은 미래에 대한 무기력하고 비관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경향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기혼 재소자와 그 자녀 및 가족을 위한 정책제언을 하였다. 이는 재소자와 그 가족에 관한 프로그램들의 주체가 되는 재소자, 가족, 그리고 정책시행주체의 상호작용을 중시하여 세 가지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재소자와 가족과의 관계에 관한 프로그램은 재소자 부모와 가족과의 "유대강화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목표를 두고 가족과의 접촉을 활성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재소자들에게 가족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고려하였다. 아울러 여자재소자와 자녀를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별도의 논의를 거쳐 접촉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것과 출소 후를 대비한 경제적인 대비책의 제공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정책시행주체와 재소자의 관계에 관한 프로그램은 "교정정책의 효율성·신축성의 확보"에 목표를 두고 교정활동에의 민간참여, 교정시설의 민영화, 아울러 가족과의 재결합을 위한 출소자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책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시행주체와 가족과의 관계에서는 "재소자가족의 경제적 여건개선 및 자녀들의 개별지원"을 목표로 하여 빈곤한 재소자 가족을 위한 경제적 지원, 자녀를 위한 지원, 자녀 양육자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혼 재소자와 자녀들의 어려운 상황 및 구금이 이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기혼 재소자의 수용생활에 관한 자녀관계의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혼 재소자와 자녀를 위시한 가족들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to assist incarcerat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maintaining a good family through understanding their current situations and the reasonable policy recommendations. The good family could be a firm base for inmates to reintegrate into society, and could motivate them to start a new life after release from prison. In the meantime, if the family is disintegrated by incarceration, it can hardly be expected for the children alone to grow normally in the society. The study observed two things related to these issues. First, it investigated de facto status of incarcerat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before and during incarceration, and how the inmat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ffects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inmate parents. As a result, the study sought to verify the negative effects of incarceration and search for the specific contents of effective programs and policy implementation techniques. The analysis included principally three parts; firs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second, the interviews with inmates,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correctional field officers; and third, the review of the programs for inmates and their families, and the interviews with the program directors in the United State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inmates in 4 correctional facilities(n=510; women 308, men 202). 14 inmates(women 6, men 8), 4 families, and 5 correctional officials were interviewed. The programs for inmates and their families in the United States had been identified through correctional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program directors in Virginia Department of Correc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most of the adult inmates had children, and many of the children were young and were supported by the inmates before incarceration. The separation from their children was very painful for the inmates themselves, as well as for their families. Specifically, the impact of incarceration could be articulated in three dimensions: the children, the inmate parents, and the inmates-family relationship. The children usually suffered from poverty and emotional instability, as they moved into another residence with a new care giver or stayed alone with no adult custodians. The second observation was that incarceration severed the inmate-children relationship and dissolved the family emotionally. That was much worse in the cases of the mothers incarceration, which implied that most of the spouses of female inmates didnt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nd custodians did not play a kinship network role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prison. Also, the longer the period of incarceration lasted, the worse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carcerated mother and her children became. The third impact of incarceration was that the inmates families were legally disintegrated. That occurred more frequently among female inmates, who were more likely to be divorced than male inmates, so that the former showed even higher family dissolution rate than the latter. Second, the study analyzed how the inmate-children relationship had an influence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of the married inmates.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o evaluate the negative psychological impacts entailed by incarceration. The inmat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the relationship before incarceration, the relationship during incarceration, and the childrens misbehavior during their parents incarceration. The study presented four major findings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es on the effects of inmate-children relationship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among the married inmates. First of all, it appeared that the inmat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during incarceration was mostly related to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which the married inmates experienced during incarceration. During incarceration, inmates who had kept no or unstable relation with their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have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than those who had kept a good relation with their children. Second, the children factors worked quite prominently in female inmates. The effect of the children factors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was found among female inmates only. Third, the children factors worked more during-incarceration than before-incarceration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among the married inmates. It meant that there was little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burden of prison life,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before incarceration. It was also noticed that keeping continuous ties and positive emotional bonds with the children during the parents incarceration could lesse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among the married inmates. Fourth, it was prominent that the effect of the children factors on helpless attributional style of the married inmates was "stable attribution". It showed that inmates who did not good relations with their children and those who had delinquent children tended to maintain even more helpless and pessimistic attitudes for the future. Finally, this study recommended policies that could improve relations between the married inmates and their families. There was emphasis on the interactive role among the inmates, the family and the policy authority, and three policy directions were suggested. The first goal was to establish and activate the tying programs between the inmates and their families. That included increasing contact programs between the two parties, and enhancing family conscientiousness through education. The second goal was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flexibility of the correctional policies. The objectives were private participation in the correctional activities, the privatization of the correctional facilities, and the assistance for the family reunification. The third goal was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condition and personal support for the family. The objectives were to support economic assistance to the poor inmate families including the children and the supporters of the family, and to improve the economic situations of those inmate families. This study described the difficult conditions experienced by the married inmates and their children, the negative impacts of incarceration on inmate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the importance of the children factors for psychological health among married inmates. It concluded that more assistance programs and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for the married inmates and their children.

      • 19세기 전기 국어의 표기법과 음운 변동에 관한 연구

        신연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orthography and the morphophonological rules in early 19th century Korean. (2) Chapter 2 deals with the influence of orthography on the morphophonological phenomena and confusion of orthography. The confusion of orthography at this period is analysised base on the following causes. 1) Owing to the phonological phenomena. 2) Owing to the historical change of phonological system. 3) Owing to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grammer. (3) Chapter 3 describes the morphophonological rules. Analysis criteria of morphophonological rules are as follows, 1) Caused by the constraints on liaison. 2) Caused by the pronouncing convenience. 3) Caused by the strengthening of the hearing effect.

      • 쉴러의 『미적 교육론』 연구 : 충동이론을 통해 재해석한 역량기반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신연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쉴러의 『미적 교육론』에 나타난 충동이론을 중심으로 쉴러의 사상을 미술교육 이론으로 해석하여 오늘날 역량기반 미술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성의 보편성이 의심받고 인간 정신의 다른 능력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오늘날 시대 정신과는 다르게 학교 교육에서는 여전히 이성의 능력과 주지 교과를 우선시하며 미술 교과는 있으나 마나 한 잉여적 교과로 간주한다. 이러한 교육 현실에서 쉴러의 사상은 예술의 한 지류로서 가상의 성격을 가진 미술을 인간성의 형성을 위한 필수적인 교과로 평가하며 그 가치에 대한 재논의의 불을 지핀다. 쉴러는 『미적 교육론』에서 미적 교육을 통한 미적 인간의 형성과 미적 사회의 건설을 바람직한 인간과 사회의 이상으로 간주한다. 인간은 물질적 존재인 동시에 정신적 존재인데 이 둘의 조화와 공존이 바로 ‘미’ 그 자체의 이념이며 그러므로 인간은 존재 자체에 미의 속성을 가지고 있고 그것을 이상으로 추구하는 존재이다. 본체와 상황은 인간 존재의 두 측면으로 이 두 측면에 근원을 두고 있는 마음의 힘인 ‘형식충동’과 ‘감각충동’은 ‘유희충동’을 통해 조화를 이룬다. 유희충동의 상태는 이성과 감각의 구분이 사라지고 인간이 가진 인식능력들이 각각의 강제성으로부터 자유를 얻은 상태로 ‘미’에 의해 발생한다. 쉴러에게 자유는 곧 인간성의 이념이자 ‘미’의 특성으로 그러므로 미의 현상적 표현인 예술의 과제는 궁극적으로 인간성의 이념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오늘날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역량기반 교육은 역량을 ‘지식, 기능, 가치를 포함한 인간이 가진 총체적인 능력’으로 보고 지식의 습득을 넘어 역량의 함양을 교육에 있어 하나의 이념이자 지향점으로 삼는다. 역량기반 교육은 미래 사회를 위한 준비의 필요성과 지식관의 변화에 따라 기존의 지식 중심의 학교 교육의 적합성을 재고하며 등장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되었는데 총론에서는 6개의 핵심역량을,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5개의 교과역량을 설정한 것과 같이 핵심역량과 함께 각 교과역량을 설정해 놓은 것이 특징이다. 인간성의 이념인 자유를 바탕으로 인간이 가진 모든 능력을 함양할 것을 주장하는 쉴러의 미적교육이 오늘날 역량기반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아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 활용과 실천적 능력을 중시하는 바, 실천적 능력은 쉴러의 사상에 따르면 형식충동과 감각충동의 조화로운 발달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천적 능력은 인간 마음의 힘인 ‘충동’에 내재된 특성으로 지성과 실천 사이를 매개할 수 있는 것은 감각충동과 형식충동의 균형 잡힌 발달이다. 그러므로 아는 것을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적 지식인의 육성을 위해서는 지식의 교육뿐만 아니라 감성의 교육 또한 중요함을 시사한다.둘째, 역량기반 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책임감, 행위 주체성을 미래형 교육과정의 핵심으로 삼고 있는 바, 이는 쉴러의 이론에서 ‘유희하는 인간의 특성’이다. 인간은 물질적 필요와 유용성을 추구하는 것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여분의 활동을 원하는데, 이 여분의 활동이 곧 유희이다. 유희하는 인간은 내적, 외적인 강제로부터 벗어난 자유를 바탕으로 자신이 행위의 주체가 되고 자율성을 획득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변화, 다양성, 모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래 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자율적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통해 유희의 경험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셋째, 역량은 인간 능력의 총체성과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쉴러의 이론에서 ‘미’의 개념과 같다. 즉 역량을 함양한 인간은 곧 미적 인간으로 미적 인간이란 이성과 감각이 균형있게 발달한 인간이다. 미적 상태의 인간은 ‘최고의 활동성과 최고의 평온상태’에 있는데 역량 또한 각각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역동적 관계를 내포하고 있다. 결국 인간이 가진 총체적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역량기반 교육과 쉴러의 미적 교육이 함께 지향하는 바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쉴러의 철학은 이성뿐만 아니라 감성의 교육에 힘써 인간성의 이념인 ‘유희적 인간’을 실현할 것을 촉구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미술은 일상적인 진지함과 상반된 가상의 특성을 가진 교과로서 실제적 삶의 긴장과 피로감으로부터 인간 존재를 자유롭게 한다. 쉴러의 『미적 교육론』은 미적 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인간의 형성을 추구하므로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다채롭게 해석되고 적용되어 새로운 가능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논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놀이지원역량과의 관계 :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이중매개효과

        신연희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놀이지원역량과의 관계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이중매개효과 신 연 희 아동보육학과 협성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놀이지원 역량과의 관계에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1. 보육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 놀이지원역량, 놀이성, 교사-영유아 상호작 용은 차이가 있는가? 2.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 놀이지원역량, 놀이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상관관계가 있는가? 3.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놀이지원역량, 놀이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4.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놀이지원역량과의 관계에서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이중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를 검증하고자 경기도 G시 소재의 국공림/시립어린이집, 직장어 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400 명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1일부터 동년 8월 30일까지 4주 동안 임의 표집 방법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 하였다. 수집·회수된 400부 중 주요 변인에 대해서 일관되게 응답하지 않는 9부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39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또한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t-검증실시,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구조방정식, 팬텀 변인(phantom variable)을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전문성과 놀이지원역량, 놀이성, 그리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보육전문성과 놀이지원역량, 놀이성, 그리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성과 놀이지원역량 또한 전반적인 변수들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놀이지원역량은 보육전문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놀이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놀이지 원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교사- 영유아 상호작용의 모든 하위변수는 놀이지원역량에 정적인 영향력 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놀이성의 하위변수 중 쾌활 성과 즉흥성만 정적(+)이고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넷째,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놀이지원역량의 관계에서 놀이성과 교 사-영유아 상호작용이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현대사회가 제시하는 미래인재 조건으로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되는 것과 함께 미래사회에 필요한 보육교사의 전문적 역량을 개 발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영유아 기관에서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지원을 통해 전문성 향상을 돕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성공적인 놀이중심 보육과정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 실질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교사들의 놀이성 유형에 따른 교육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호작용의 지원방법, 놀이지원 방법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 놀이지원역량, 놀이성 그리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이를 통해 보육교사의 전문성 강 화와 영유아 보육·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주요어 : 놀이중심 보육과정, 보육교사의 전문성, 놀이지원역량, 놀이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