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위도상 동ㆍ서해안 해안림의 식물상 및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최혜진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해안산림내의 종다양성을 확보하고 생태학적 보전가치가 있는 해안산림자원의 효율적인 보호관리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동위도상(36° 47′~ 37° 48′)에 위치한 동해안과 서해안지역의 해안림을 대상으로 2008년 3월부터 10월까지 부정기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73개소의 조사구를 설정하여 식물상 현황 및 식생구조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식물상조사 결과, 두 지역 해안림에 출현한 소산식물은 총 98과 262속 370종 46변종 4품종 1잡종 총 421종류로 동해안 해안림은 85과 188속 248종 32변종 3품종 1잡종으로 총 285종류, 서해안 해안림은 96과 227속 306종 39변종 2품종 1잡종 총 348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해안성식물은 동해안과 서해안지역 해안림의 총 출현식물의 10.2%를 차지하며 26과 38속 40종 3변종 총 43종류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두 지역 해안림에 총 9과 9속 8종 1변종 1잡종 총 10종류가 확인되었으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산림청 임업연구원(1997)지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217종류 중 3.7%에 해당하며 모감주나무, 초종용, 쥐방울덩굴, 바늘엉겅퀴, 난장이붓꽃 등이 분포하였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인 황기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동해안과 서해안 해안림 지역에서 총 11과 24속 29종 1변종 총 30종류가 분포하며,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271종류(박수현, 2002)의 11.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및 종다양성지수를 분석한 결과, 동해안 해안림지역의 중요치는 교목층은 곰솔이 60%이상을 차지하며, 소나무(19.9%), 아까시나무(11.3%)순으로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은 곰솔(31.82%), 소나무(24.21%), 관목층 역시 곰솔(14.93%)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해안의 경우 곰솔이 교목층과 아교목층(30.96%)에서 우세하였으며 관목층은 진달래(12.18%), 산초나무(9.38%), 초피나무(9.10%)순으로 확인되었다. 종다양성(H ')지수는 서해안에 비해 동해안의 교목층(0.1616)과 아교목층(0.1388)이 높게 나타났다. 우점도(1-J ')는 동ㆍ서해안 모두 0.6~0.9사이의 우점도 값을 나타내어 곰솔이나 아까시나무 등의 특정한 수종에 의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과 서해안 해안림지역의 군집구조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동해안 해안림지역은 소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곰솜군락, 서해안 지역은 아까시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곰솔군락으로 각각 3개의 군락이 대표되었다. 국한된 지역에 한정적인 종구성을 형성하고 있는 해안림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고 자생식물에 피해를 주는 귀화식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생태적 보전가치가 있는 해안산림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vestigation of floras and their dietary life was performed from March to October of 2008 as we set up 73 areas to investigate the Eastern & Western coastal districts located in the same latitute (36° 47′~ 37° 48′), in order to apply this to basic data for effectiv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coastal forest resources, also for ensurance of biodiversity in coastal forest.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floras, both coastal forest recorded product-plants as follows; 98 family, 262 genus, 370 species, 46 varieties, 4 form, 1 hybrid, 421 in total. The Eastern coastal forest had 85 family, 188 genus, 248 species, 32 varieties, 3 form, 1 hybrid, 285 in total, whereas the Western coastal forest had 96 family, 227 genus, 306 species, 39 varieties, 2 form, 1 hybrid, 348 in total. Among them, seashore plants consists of 10.2% of total plants appeared in both coastal, and they are 26 family, 38 genus, 40 species, 3 hybrids and 43 in total. There are special Korean plants in both coastals; 9 family, 9 genus, 8 species, 1 varieties, 1 hybrid, 10 in total. In the case of rare plants, there are 3.6% of 217 species specified by the Forest Service (1997); Phacelurus latifolius (Steud.)Ohwi,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Orobanche coerulescens Steph., Aristolochia contorta Bunge, Cirsium rhinoceros Nakai, Iris uniflora var. caricina Kitagawa, Glehnia littoralis Fr. Schm. In both coastals, naturalized plants are also existed; 11 family, 24 genus, 29 species, 1 variety, 30 in total. And they are 11.0% of 271 naturalized plants (Park, 2002). According to the result of biodiversity index and its importance, the Eastern coastal has 60% of Pinus thunbergii Parl in a tree layer, and followed by Pinus densiflora S. et Z. (19.9%), and Robinia pseudo-acacia L.(11.3%); Pinus thunbergii Parl (31.82%), Pinus densiflora S. et Z. (24.21%) in subtree layer; Pinus thunbergii Parl (14.93%) in shrubs. In the Western coastal, Pinus thunbergii Parl is easily observed recording 30.96% in a tree layer and subtree layer;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12.18%), Zanthoxylum schinifolium S. et Z. (9.38%), Zanthoxylum piperitum A. P. DC. (9.10%) in shrubs. species diversity (H ') is highly observed in the eastern tree layer (0.1616) and subtree layer (0.1388), rather than the Western. Dominance index (1-J ') is recorded between 0.6∼0.9 in both coastals, so it is dominated by specific species of trees such as Pinus thunbergii Parl and Robinia pseudo-acacia L. As we investigated organisation of large group in both coastals, Pinus densiflor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re represented in the Eastern area, while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Quc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re represented in the Western area. Effective management method is strongly required to preserve invaluable coastal forecase resources, by preventing them from reckless exploitation, and from the spread of naturalized plant that causes great damage to native plants.

      •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의 수업참여도와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의 수업참여도와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J도에 소재한 J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비장애학생 30명과 지적장애학생 2명을 의도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비장애학생 15명과 지적장애학생 1명씩을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을 18회기에 걸쳐 적용하고, 통제집단에 전통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을 적용하였다. 비장애학생은 수업참여도와 교과흥미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각 검사의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효과 차이를 검증 하였다. 지적장애학생은 사전 기간,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실험 기간, 사후 기간 동안 수업시간에서 20분의 관찰시간을 80구간으로 나눈 행동 발생 기록지를 활용하여 수업참여도의 행동발생률을 측정하였으며, 교과흥미 검사는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점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이 전통적 교수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사후 검사 점수를 보였으며, 실험집단의 지적장애학생이 사전에 측정한 기초선과 비교하여 실험 후 수업참여행동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은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과 지적장애학생이 전통적 교수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사후 검사 점수를 보임으로써 비장애학생과 지적장애학생의 교과흥미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쳤다. 따라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은 통합학급 학생의 교과흥미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은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 통합학급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교과흥미를 향상시켜준다. 따라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은 다양한 요구를 가진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알맞은 학습 양식을 제공하여 수업참여도와 교과 흥미를 유발하는데 효과적인 교수 설계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요양병원에서 간호제공자의 신체보호대 사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간호서비스 질과의 관계

        최혜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간호제공자를 대상으로 신체보호대 사용에 인식과 태도 및 간호서비스 질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신체보호대 사용감소와 안전하고 질적인 간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충청남도 k시 소재 요양병원 3곳을 임의 선정하여 현재 근무하고 있는 간호제공자 2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9월 29일부터 10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로 분석하고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상관관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체보호대 사용에 대한 인식에서 간호사는 평균 3.29점, 간호조무사는 평 균 3.52점로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신체보호대의 사용에 대해 간호조무사의 인식이 높아 보호대를 사용하는 것에 중요하며 호의적임을 알 수 있었다. 2) 신체보호대 사용에 대한 태도는 간호사 3.49±0.35점, 간호조무사 3.49±0.37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의료인력은 환자에게 신체보호대를 사용 하는 것을 거부할 권리가 있다’ ‘신체보호대 사용과 관련된 지침이나 규정이 있어야 한다’ 는 간호사가 간호조무사 보다 높은 태도의 점수를 보였고, 반면 ‘신체보호대는 환자를 처벌하는 하나의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신체보호대 환자를 돌보는 것이 더 편안하다고 느낀다’ 는 간호조무사의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3) 간호서비스의 질에 대한 간호제공자 간의 인식정도는 간호사 4.00±0.53점, 간호조무사3.92±0.46점으로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간호제공자의 신체보호대 사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결혼상태(t=2.315, p<.05), 직종(t=-2.573, p<.05)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보호대 사용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연령(F=2.638, p=.07), 신체보호대 사용에 대한 교육경험(t=-1.676, p=.09)에 따라 경계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결혼상태, 종교, 직종, 총 근무경력, 교대근무, 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연령(F=6.490, p=.00), 결혼상태(t=2.502, p=.01), 총 근무경력(F=3.230, p=.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7) 신체보호대 사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간호서비스 질 간의 상관성은 나 타나지 않았으나 간호서비스 질과 하위영역인 유형성(r=.822, p<.01), 신뢰성 (r=.881, p<.01), 반응성(r=.839, p<.01), 보장성(r=.904, p<.01), 공감성 (r=.873, p<.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요양병원에서 간호제공자의 신체보호대 사용에 대한 인식 과 태도에서 간호사보다 간호조무사가 신체보호대에 대해 호의적이며 중요한 간호중재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제공자 대부분 안전한 신체보호대에 사용에 관한 정확한 지침과 규정에 의한 간호제공을 원하며, 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요구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인권과 존엄성, 환자안전에 대한 질적인 간호제공을 위한 지속적인 간호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conducted with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in restraints use, and to the provision of data necessary for the safe and quality provision of nursing service in long term care hospital. For that purpose, the author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perception and attitude for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and the nursing service quality. Three long-term care hospitals in South Chungchong Province were randomly chosen as the sites of study and 219 nursing service providers in those institutions were recruited for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9 September 2016 to 12 October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21.0 statistic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With regards to the perception o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RNs and ANs, with the former and the latter achieving mean scores of 3.29 and 3.52 each (P<0.01). This indicates that ANs' perception on restraints use is relatively high and positive. 2) With regards to the attitude on restraints us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wo groups, RNs registering the score of 3.49±0.35 and ANs 3.49±0.37. However, on the statement ‘medical personnel have a right to deny the use of restraints on patients', and 'there should be rules and regulations on restraints use', RNs registered higher attitude-related scores than ANs, while on the statement 'restraints are a way of punishing patients' and 'I feel comfortable caring for the patients under restraints', ANs scored higher. 3) As for the caregivers’ perception on nursing service qualit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wo groups with RN’s score of 4.00±0.53 and ANs’ 3.92±0.46. 4) With regards to caregivers’ perception on restraints use, demographic elements in the survey such as marital status (t=2.315, p<.05) and types of work (t=-2.573, p<.05) were analysed to contribute to produc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5) With regards to caregivers’ attitude towards restraints use, age (F=2.638, p=.074) and educational experience (t=-1.676, p=.095) were analysed to contribute to producing marginal differences, but sex, marital status, religion, years at work, shifts and the need for education were not analyzed to contribute to produc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6) With regards to caregivers’ attitude towards perception on nursing service quality, age (F=6.490, p=.002), marital status (t=2.502, p=.013), and years at work (F=3.230, p=.013) were analysed to contribute to produc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7)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n restraints use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but the result indicated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he service quality and its sub-components such as tangibles (r=.822, p<.01), reliability (r=.881, p<.01), responsiveness (r=.839, p<.01), assurance (r=.904, p<.01), and empathy (r=.873, p<.01). Through the analysis of caregivers’ perception and attitude on restraints use, this study found that assistant nurses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restraints as a means of nursing intervention than RNs. It also found that the majority of caregivers wanted to provide nursing service regarding restraints on the basis of detailed and appropriate rules and guidelines, and that caregivers expressed a strong need for the education on the issue. To safeguard old people’s rights and dignity, patient safety and the provision of quality nursing service, continued education on the appropriate use of physical restraints should be implemented.

      • 스탕달의 소설에 나타난 행복의 문제 : 『파르므의 수도원』La Chartreuse de Parme을 중심으로

        최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스탕달Stendhal의 『파르므의 수도원』 La Chartreuse de Parme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하나의 문학 텍스트가 그려나가는 행복의 문제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작가가 지향하고자 하는 행복의 의미에 접근해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스탕달의 삶은 진리와 행복추구로 일관된 오랜 성찰이었으며, 여러 문학작품을 통해 그 완성을 모색하고 있다. 자전적인 소설들의 원형으로 간주되는 그의 작품들은 작가가 영위해 온 실제적 삶의 반영이자 현실에서 충족되지 못한 행복에의 갈망이 보다 완성된 모습으로 구현되고 있는 작가정신의 결정체이다. 이러한 이유에 기인하여 우리는 소설 속 등장인물들의 모습 곳곳에서 작가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들이 추구하려는 이상이 곧 스탕달 자신이 도달하려했던 행복의 모습임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삶의 후반기에 쓰여진 이 소설은 스탕달 자신의 삶의 추억과 열정이 가장 밀도있게 집약된 행복의 소설이며, 작가의 분신과도 같은 주인공 파브리스는 허구의 세계에서 작가의 이차적 삶을 영위하는 상호보완의 역할을 이행하고 있다. 파브리스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행복의 문제를 규명해보고자하는 본 논문은 사랑을 완성시킴으로써 행복에 이른다는 명제를 이끌어내는데, 결론을 도출하기에 앞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은 파브리스는 행복해질 수 있는 기본적 소양이 내재된 인물이며, 삶이 행복추구를 향한 열정이라는 일관된 지향점을 갖는 것이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비추어지는 작가의 이상이 투영된 존재라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그가 추구하는 행복은 다른 소설의 인물들처럼 현실극복의 투쟁을 치른 후에야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이미 부여한 행복의 요소들속에 이미 잠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우리는 신성한 사랑을 통해 열정에 이끌리는 한 인물이 삶의 진정한 가치를 찾아 가는 과정을 볼 수 있게 된다. 방황으로 치닫던 주인공은 진실한 영혼과의 교감을 통해 행복의 순간을 맞이하고, 그와 같은 사랑은 삶의 가치를 결정하는 유일한 기준이 되며, 그의 행동을 결정짓는 판단의 척도가 되고 있다. 실제의 삶 속에서 불행한 사랑을 경험했던 스탕달은 행복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가 사랑에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그 안에는 삶을 향한 열정이 가장 강렬한 모습으로 잔재하면서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파브리스는 스탕달이 꿈꾸던 행복을 가장 근접하게 구현해내는 인물이며, 그가 일생을 통해 추구해온 행복을 규명해보이는 사랑의 완성체이고, 작가는 소설을 통해 이차적인 삶을 구축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이러니하게 감옥에서 행복을 발견하게 되는 파브리스는 고통과 억압의 공간을 행복의 직접적인 장소로 전이시키며, 정립된 세계의 상을 제시하는데, 그 안에는 진실하고 신성한 사랑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스탕달은 역설적인 결말을 통해 죽음은 영원한 현재의 시간이며, 행복추구의 여정 또한 무한의 시간성을 갖게됨을 이야기한다. 요컨대, 파브리스가 추구하는 하나의 세계는 스탕달의 꿈과 추억이 반영된 행복한 세계의 상이며, 열정에 따르는 삶은 행복의 영속성을 보장해주는 열쇠이다. Cette e´tude a pour but d'examiner le proble`me du bonheur dans 『La Chartreuse de Parme』 de Stendhal et d'eclaircir le sens du bonheur stendhalien. Il a poursuivi la ve´rite´ et le bonheur tout au long de sa vie. A travers ses oeuvres, conside´re´es comme un prototype du roman autobiographique, se re´ve`le le re´cit du passe´ de sa vie re´elle, caracte´rise´ par le de´sir du bonheur. C'est donc toujours l'e´crivain lui-me^me qu'on retrouve au coeur de ses livres. Ce roman, dans lequel se concentrent ses souvenirs et ses re^ves, fut e´crit lors du cre´puscule de sa vie et repre´sente fide`lement l'ide´e de l'e´crivain. Fabrice, son alter ego, menant une seconde vie dont re^ve l'e´crivain, retrouve son bonheur dans la passion de l'amour. L'amour e´prouve´ par une belle a^me donne la valeur supre^me a` son e^tre et montre le chemin qui me`ne au bonheur. Fabrice est un e^tre doue´ des conditions ne´cessaires pour e^tre heureux. Pour lui, le bonheur n´est pas de nature a` e^tre donne´ apre`s qu'il a surmonte´ des obstacles, mais son ache`vement est de´ja` latent dans les e´le´ments du bonheur donne´s pre´alablement. L'amour divin qu'il atteint devient le crite`re unique pour juger de la valeur de sa vie. Stendhal, dont la plupart des amours ve´cus re´ellement e´taient malheureux, montre l'e´tat le plus proche du bonheur parfait dans ses oeuvres. Sur ce point, il semble que Fabrice incarne le mieux l'ide´al stendhalien du bonheur. Ironiquement, il retrouve son bonheur dans la prison qui est conside´re´e ordinairement comme l'espace de la douleur et de la pression. Dans ce roman, la prison devient finalement le symbole de l'espace du bonheur de l'intimite´, au lieu du celui des affres de l'emprisonnement. Enfin, le de´nouement paradoxal de ce roman montre que la mort ne signifie pas chez lui la fin tragique, mais pluto^t le prolongement e´ternel du pre´sent, de sorte que le chemin du bonheur aboutit a` la fin a` l'intemporalite´ utopique. Ainsi la vie du he´ros stendhalien, fide`le a` la passion, assure la permanence du bonheur conforme´ment a` la conception de l'amour ide´al de l'e´crivain.

      • 상품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연구 :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중심으로

        최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duct recommender services help save consumers time searching information amid the flood of online information, and algorithms are still being developed for more efficient and accurate recommend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recommender system(Hybrid-filtering system, SNS-based recommender system, Bestseller recommender system) on consumer’s perceived benefit(perceived usefulness) and privacy risk(privacy concern). The result showed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sion to click was high in the order of Hybrid-filtering, Bestseller, and SNS-based system. Privacy concern was high in order of SNS-based system, Hybrid-filtering, and Bestseller.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personalization on the type of recommender system and perceived usefulness were significant. Finally perceived usefulness had positive effect, and privacy concern had negative effect on consumer’s intension to click. It has theoretical significant that this study compared consumer responses according to the type of recommended servi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providing and developing future recommender service. 상품 추천 서비스는 범람하는 온라인 정보 속에서 소비자의 정보탐색 시간을 절약하는데 도움을 주며, 계속해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추천을 위한 알고리즘이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적용하여 추천 서비스 유형인 하이브리드 필터링 추천, 지인기반 추천, 베스트셀러 추천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인지된 유용성, 프라이버시 염려, 클릭의도)을 비교하고자 했다. 또한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인지된 유용성에 있어서 인지된 개인화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유용성과 클릭의도는 하이브리드 필터링 추천, 베스트셀러 추천, 지인기반 추천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프라이버시 염려는 지인기반 추천, 하이브리드 필터링 추천, 베스트셀러 추천 순으로 높았다. 인지된 개인화는 인지된 유용성에 있어서 추천 서비스 유형과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된 유용성은 클릭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프라이버시 염려는 클릭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추천 서비스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을 비교하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실무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성인초기의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최혜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the young adulthood group.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mong the Christian group in comparison to non-Christian group. The results were expected to enrich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variables and inform clinicians of how to better help people in young adulthood increase their subjective well-being and enhanc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this end, the researcher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nunchi, subjective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measurements to 266 people in their 20s. The url questionnaires were also utilized.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ree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three church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of nunchi and subjective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econd, social problem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Thir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urth, the averages of relavant variables between the Christian group and the non-Christian group did not yiel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ediating effects of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the Christian group versus the non-Christian group were compared. The Christian group showe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non-Christian group,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ing was confirmed, but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not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young adulthood.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should inform further research and counseling to help those in their young adulthood enhance subjective well-being and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ey words: nunchi,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ubjective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 집단을 대상으로 눈치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또한 기독교 성인초기 집단과 비기독교 성인초기 집단의 비교를 통해 종교별 성인초기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성인초기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눈치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적절한 상담계획을 수립하여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하고 있거나, 서울, 경기지역의 교회 3곳에 출석하고 있는 사람들과, URL 설문지를 이용하여 20대 청년 266명을 대상으로 눈치,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눈치는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도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셋째, 눈치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초기의 기독교인 집단과 비기독교인 집단의 각 변인들의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두 집단의 변인 간 관계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기독교인 집단은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눈치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기독교인 집단에서는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눈치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눈치는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는 확인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성인초기의 눈치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성인초기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연구 및 상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주요어 : 눈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

      • 주제중심 통합교육을 위한 음악교과 지도방안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최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음악교과서를 살펴보면 제재곡 중심의 단원별 구성 체제를 띄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주어진 곡을 잘 부르고, 간단한 음악적 지식을 익히며, 제재곡과 관련 있는 음악을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수업의 목표를 달성했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교과서 안에서 다루고 있는 제재곡의 수도 많기 때문에 배정된 수업시수 내에서 이것을 소화해 내기란 현실적으로 힘든 일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과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현재 음악 교과에서는 통합교육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과 내에서의 통합방법, 타 교과와의 통합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그 가운데, 음악교과 안에서 중심 주제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 있는 제재곡과 내용들을 연계하여 다루는 형태는 음악 내용에 대한 학생의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학생의 이해도와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교육에 관한 탐구와 지도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과서 안의 내용들을 주제 중심의 통합적 단원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업지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살펴보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12개의 대단원을 선정하였다. 대단원을 선정할 때에는 학생의 음악적 이해력과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지, 교과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에 적합한지를 고려하였다. 이를 통해 ‘바로크 음악’, ‘고전주의 음악’, ‘극음악’, ‘낭만주의 음악’, ‘가곡’, ‘민족주의 음악’, ‘현대 음악’, ‘여러 가지 악기’, ‘조선시대의 정간보’, ‘조선시대의 성악곡과 기악곡’, ‘민요’, ‘우리 음악의 새로운 시도’를 대단원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통합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바탕으로 포가티(R. Fogarty)의 통합유형모형 중 ‘연결형’을 사용하여 주제중심 통합교육에 대한 수업설계를 하였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도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수업지도방안을 개발할 때에는 12개의 대단원 중 ‘극음악’에 대한 지도안 설계가 이루어졌으며, 총 6차시에 걸쳐 수업이 이루어졌다. 수업을 할 때에는 먼저 교사의 간단한 설명을 통해 기본적인 음악적 지식을 이해한 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다양한 음악활동을 해 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동, 이해, 생활화가 고르게 통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총 6차시에 걸친 수업이 끝난 뒤에는 수업에 참여한 7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중심 통합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여섯 문항 구성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작성하도록 하였다. 주제중심 통합교육의 결과, 많은 수의 학생들이 6차시 수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핵심 주제를 잘 알고 있으며, 여기에 속한 여러 가지 소단원을 서로 연관 지을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또한 극음악 내용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가능했으며, 수업 중 행해지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제중심의 통합교육이 수업내용에 대한 학생의 이해와 흥미, 참여도, 내용간의 관련성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음악극 만들기와 같은 수업을 진행할 때에는 음악을 편집하는 방법 등에 관한 선행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교실환경은 학생들이 자유로운 음악수업을 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내용을 다소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소수의 학생들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에 대한 꾸준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이 보완된다면 더욱 효과적인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교육이 될 것이라 여겨진다.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교육은 대단원에 포함된 여러 개의 소단원들이 서로 연계성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으므로 학생의 음악적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학생들 스스로가 생각의 폭을 탄력적으로 확장시켜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단원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음악 활동이 요구되는 만큼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게 되는 효과도 지닐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주제중심 통합교육 방안에 대한 현직 음악 교사들의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음악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음악교과의 본질이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music textbooks used in the current education field are structured by chapters based on the songs in the text. In most cases, however, this structure leads to cases there people believe that just by singing well the selected songs, gaining basic knowledge about music, and listening to related songs, the goal of the music class is accomplished. Also, because the songs in the text in the textbooks are numerous, it is unrealistic to cover all the material in the limited hours of classes. Therefore, this problem raises the need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In the recent music education field there have been attempts for integrating music education, and many methods such as a integrating within the music curriculum, and a integrating with other fields of study have been raised. Amongst these methods, the one that builds theme-based chapters containing related the songs in the text effectively minimize the students' confusion, and raises the quality of the class the and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Thus,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for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is much in need. Responding to this need, this research took its aim to reconstruct the material in the music textbooks by theme-based chapters, and provid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puts the restructured material into practice. The research took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ing music education, considering 2007 education reform, and seventh grade music textbooks, the researcher selected twelve major topics. When selecting the topic the researcher considered whether the topics are effective in expanding the students' musical understanding and depth of thought, and whether they are apt in leading the students to form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selected the twelve major topics as follows: ‘Music of the Baroque’, ‘Music of the Classical’, ‘Theater Music’, ‘Music of the Romantic’, ‘Lied’, ‘Music of Nationalism’, ‘Music of Modern’, ‘Various Instruments’, ‘Chung-gan-bo during Joseon Period’,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during Joseon Period’, ‘Folk Songs’, and ‘Experiments in our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considering th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ing education, and based on 'connected' of Fogarty's collective model made class designs for the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Third, the researcher developed teaching methods for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and by implementing them in the real education field tested their effectiveness. When designed teaching plans for 'Theater Music', and classes were held in total of six times. In the classes, by having the students first learn the basic material with some explanation from teachers, and then by having them engage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the classes evenly integrated and enhanced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and adaptation of the material into their daily lives. Fourth, after the six classes, the 75 students in the class were asked to fill out a six-question survey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In the survey, many students said that after the six classes they became knowledge about the topic, and that they were able to understand how the small topics under the major topic relate to each other. Many also said that after the classes they were able to form a general understanding about theater music, and that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activities. This kind of result tells us that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raises the students' understanding, intersest, participation in class, and the wholesomeness of the material. However, one should note that when classes involve activities such as musicals, teachings such as how to edit music should precede the class, and the class environment in general should have many multimedia equipments that allow flexibility in class activities. Also, for the students who find the material more difficult than others, there should be persistent research on developing innovative methods that will encourage these students to become proactive learners. If these points are covered,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me-based integrating music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Integrating music education is effective in the sense that because the sub-topics under the major topics are related, it enhances the student's musical understanding and encourages them to elastically expand their depth of thought. Also, because various creative musical activities are necessary to learn the 12 topics, integrating music education leads students to build interest on the material and actively engage in class. Thus, in light of thes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ing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ere be further in-depth research in the area, and that the expanded research will raise the effectiveness of music classes and restore the essence of music curriculum.

      • 여자 대학생에 있어서 카페인 섭취와 운동이 혈액 면역세포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experimental data about the effects of 5 wks of caffeine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on the blood immune cell and body composition in college females. Twenty-three college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five weeks.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not allowed to smoke, drink, or take any dru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ie., group Ⅰ(n=9): exercise and non-caffeine; group Ⅱ(n=8): exercise and a small quantity of caffeine (260㎎/w); group Ⅲ(n=6): exercise and large quantity of caffeine (1400㎎/w). The subjects exercised regularly track & field training, table tennis, handball, aerobics, and so on 4 or 5 times a week and the amount of exercise was recorded. Energy expenditure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and the subjects produced 992 kcal per day. Blood sampling was performed in the morning (9-11am) after an overnight fast. CELL COUNTER (S-PLUS JR., COUNTER ELECT. USA) was used for blood analysis. The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and Multiple Range Test(Scheffe) were used.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the leukocyte, lymphocyte, monocyte, and granular leukocyte, but percent body fat was significantly changed(p< 0.05). In conclusion, caffeine supplementation and performing exercis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anges of blood immune cells. They do, however, seem to partly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verting body composition by changing percent body fat. Therefore, future study will be recommended in this area related to individual variation nutritional conditions, and training statu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대학생에 있어서 5주간 caffeine 섭취와 운동이 혈액 면역세포와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험을 실시하기 전 피검자들의 신체적 특성을 측정하고 5주간 동안 피검자 전원에게 흡연, 음주는 물론 각종 영양제 및 약물 복용을 금지시켰으며, 연구의 대상자는 S여자 대학교 체육교육과 대학생 23명이며, 이들을 완전임의배열법(Completely Randomized Design)에 의해 운동과 식생활의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생활하는 운동군(n=9), 운동과 소량 caffeine군(n=8), 운동과 다량 caffeine군(n=6)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육상, 탁구, 핸드볼, 에어로빅 등의 운동을 주당 4-5회 실시하였고, 피검자들의 신체 활동 기록지에 이들의 운동량을 기록하였다. 피검자들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였으며, 운동을 통한 에너지 소비량은 하루 평균 992 kcal로 산출되었다. 채혈은 12-15시간 이상의 공복 상태가 되는 오전 9-11시 사이에 실시되었으며, 혈액 분석시 사용된 기자재는 CELL COUNTER (S-PLUS JR., COUNTER ELECT. USA)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의 처리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구체적인 자료 분석 방법에 있어서 연구 가설의 유의성 차이는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와 Multiple Range Test(Scheffe)를 사용하였다. 5주간 caffeine 섭취와 운동을 실시한 결과 백혈구, 림프구, 단핵구, 과립 백혈구에 있어서 집단간에 유의한 차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퍼센트 체지방은 유의한 차(p< 0.0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5주간의 적정량의 카페인 섭취와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안정시 혈액 면역세포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를 면역 기능과 관련된 요인으로 간주하기에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인체의 퍼센트 체지방을 변화시켜 신체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데 부분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앞으로 개개인의 영양 상태 및 체질 그리고 운동으로 단련된 상태 등을 고려한 다각적인 연구가 수반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외 음악치료연구 메타분석

        최혜진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 분석한 연구이다. 국내·외에서 발표된 연구들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31편의 연구를 채택하여 분석한 결과 총 84개의 효과 크기와 중간 수준의 전체효과크기를 도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은 호스피스·완화의료 환자의 생리적 증상 및 심리적 증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치료사가 녹음음악을 사용하고 환자가 수용적 참여를 할 때 음악의 효과가 더 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스피스 환자는 20분미만, 6회 이상 10회기 미만의 음악활동에 참여할 경우 더 큰 음악의 효과를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문형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는 환자에게 음악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음악은 호스피스 환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환자의 심리 및 생리적 증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ntitative studies regarding the effect of music therapy program on hospice and palliative patient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31 studies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From 31 studies, 84 effect sizes were extra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sic has a positive effect on physiolog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Second, recorded music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live music or mixed music. Third, more than 6 times of sessions and less than 10 sessions are most helpful. Fourth, 20minutes is most adequate as a session length. Fifth, when the patients engage in music therapy receptively, music could be more useful. Lastly, out-patient type of hospice would increase the effect of music. The above results show that music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and positively affect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ymptoms of the patient.

      •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에 관한 연구 : 「살기좋은 아파트」로 선정된 수도권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최혜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에 공급 되어진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0~2007년‘살기좋은 아파트’에서 선정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커뮤니티시설을 분류하였으며, 커뮤니티시설은 실내 및 실외 커뮤니티시설로 분류하였다. 실내 커뮤니티시설은 실내 운동시설, 보육시설, 학습시설, 노인시설, 여가시설로 분류하였고, 실외 커뮤니티시설은 실외 운동시설, 놀이시설, 휴게시설, 수경시설로 분류하였다. 연구내용은 현장 사례조사와 배치도를 통하여 커뮤니티시설의 배치 유형과 개요, 실내 및 실외 커뮤니티시설의 현황, 특징(건물배치, 동선계획, 오픈 스페이스 계획)을 분석하였다. 실내 커뮤니티시설의 경우는 공간특성(면적, 공간구성, 가구 및 집기류 배치, 내부 마감재, 내부 색채)에 집중하면서, 운영현황(운영주체, 시설관리, 운영시간, 외부인 개방여부, 이용료, 용도변경)도 참고로 조사하였다. 실외 커뮤니티시설은 시설의 종류, 특징, 시설의 위치를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통하여 공동주택 단지 내 현재 커뮤니티시설의 문제점과 앞으로 커뮤니티시설의 계획 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살기좋은 아파트 단지’의 커뮤니티시설 계획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살기좋은 아파트’로 선정된 총 30개의 최우수 이상 아파트 중 수도권 11단지로 자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자료조사는‘살기좋은 아파트’선발대회 홈페이지와 함께 각 건설업체의 팜프렛,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건축개요를 분석하였다. 또 단지배치도와 커뮤니티시설 관련 평면도를 입수하여‘AUTO CAD 2008’로 평면을 CAD도면화 하여, 이 도면으로 전체 면적과 각 공간별 면적을 분석 하였다. 현장조사는 아파트 단지 내 실내 커뮤니티시설의 종류와 위치, 공간구성, 가구 및 집기류의 위치, 실외 커뮤니티시설의 종류와 위치, 특징을 조사하였다. 또 이용자와 시설관리자 인터뷰를 하여 운영현황을 조사하는 한편 사진촬영을 병행하여 커뮤니티시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았다. 1. 대상단지의 개요, 커뮤니티시설의 배치유형, 단지배치, 동선계획, 오픈 스페이스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대지면적에 비하여 건축면적이 적고, 녹지 비율을 높인 단지가 나타났었다. 한편 건폐율이 낮은 지역에서는 커뮤니티시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녹지공간이 넓었다. 그러나 세대수에 상관없이 커뮤니티시설의 종류는 유사하였다. 커뮤니티시설의 배치 유형은 주민공동시설을 단지 중앙에 위치 시켜서 거주자의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단지 내 조형물을 중심으로 커뮤니티시설이 한 공간에 모여 있어 랜드마크의 역할도 겸하였다. 단지의 배치는 대부분 남향을 위주로 배치하거나 조망권을 위하여 단지를 타워형이나 탑상형으로 배치하고 있었다. 동선 계획은 보행자와 차량의 동선을 분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필로티를 두어 단지 내의 통풍과 함께 보행자의 편의를 살린 동선이 계획되어 있었다. 오픈 스페이스의 계획은 단지 내 광장을 조성하여 휴식은 물론 다양한 이벤트의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2. 실내 및 실외 커뮤니티시설의 시설현황 조사결과, 1) 실내 커뮤니티시설 중 운동시설은 헬스장이 단지 내 가장 많은 운동시설이 었고,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요가실, 찜질방 등 휘트니스센터로 복합 계획된 경우가 많았다. 보육시설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이 단지 내에 서 가장 많이 설치되었고, 학습시설은 도서실이 많이 설치되어 있었다. 노인시설은 노인정이 모든 단지에 설치되었고, 여가시설은 영화상영실이 가장 많은 단지에 설치되어 있었다. 2) 실외 커뮤니티시설 중 운동시설은 산책로가 모든 단지에서 조사되었고, 배드민턴장, 체력단련장, 농구장 등이 반 이상의 단지에 설치되어 있었다. 놀이시설은 어린이 놀이터가 모든 단지에 설치되었고, 휴게시설은 휴게소와 주호 동 부근의 벤치가 모든 단지에서 조사 되었다. 그 밖에 테마광장, 중앙광장, 썬큰광장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수경시설은 실개천과 벽천이 단지 내 높게 설치되어 있었다. 실내 커뮤니티시설은 모든 시설에 노인시설이 있었으며, 실외 커뮤니티 시설은 모든 단지에 (운동시설, 놀이시설, 휴게시설, 수경시설) 있었다. 이는 주택건설기준에 따른 법정시설이기 때문이었고, 법정시설 외에도 실내운동시설(요가, 헬스, 골프연습장), 여가시설(영화상영실, 강당 및 연회장), 수경시설(어린이수영장, 폭포, 생태연못) 등이 설치되어 있었다. 3. 실내 커뮤니티시설의 공간특성과 운영현황 및 실외 커뮤니티시설의 시설 위치와 공간특성을 분석한 결과, 1) 운동시설에 있어서 마감재는 바닥의 운동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마감재를 사용하였고, 벽과 천장은 페인트 도장과 PVC를 사용하였다. 색채는 자연친화적인 브라운 계통의 색이 주로 사용되었고, 운동기구들은 외부조경을 조망 할 수 있도록 창가 쪽에 배치되어 있었다. 운영은 도급 형태이나, 단지 내 주민만 이용할 수 있었다. 보육시설에 있어서 마감재는 바닥의 경우 우드륨과 우드플로링을, 벽과 천장은 벽지와 페인트 도장이었다. 색채는 바닥의 경우 브라운을, 벽과 천장은 화이트 계통을 사용하였다. 수업에 필요한 교구들이 교실 벽 쪽에 배치 되어 있었고, 교실 중간에는 책상과 의자가 배치되어 있었다. 학습시설에 있어서 마감재는 바닥의 경우 카펫과 PVC를, 벽과 천장은 페인트 도장이었다. 색채는 바닥의 경우 회색, 벽과 천장은 화이트계통의 색을 사용하였다. 가구는 벽 쪽에는 책장을, 실 중간에는 책상과 의자를 배치하였다. 노인시설에 있어서 마감재는 바닥의 경우 우드륨, 벽과 천장은 벽지를 사용 하였다. 색채는 바닥은 브라운 계통, 벽과 천장은 흰색계열을 사용하였다. 가구는 옷장과 쇼파 위주로 배치하였다. 여가시설에 있어서 마감재는 바닥에 카펫, PVC, 벽과 천장은 흡음텍스를 주로 사용하였다. 색채는 바닥에 블루와 아이보리, 벽과 천장은 아이보리와 그레이계통이었다. 운영은 대부분 관리사무소에서 운영하며, 이용료 없이 단지 내 주민만 사용하게 하였다. 2) 운동시설에 있어서 운동공간은 단지 내 산책로 및 보행자 동선 등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놀이시설은 휴게소 및 공원, 광장 등과 조합되어 있었고, 어린이의 안전을 위하여 놀이시설내장 재료와 바닥은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였다. 휴게시설은 단지 내에 설치된 산책로 및 보행자 동선 등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주민들 간의 휴식 및 커뮤니티 장소로 활용되었다. 수경시설은 단지 내 진입 공간, 보행 공간, 휴식 공간 등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1) 운동시설은 단지 내 접근성을 고려한 배치, 수납부족의 문제, 샤워실, 휴게실 등 부속 공간 부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공간 및 이용자 관리를 위한 관리 공간, 강사전용공간, 샤워실, 탈의 공간 등의 설치가 요망 되었다. 보육시설은 시설설비가 어린아이들에게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많았다.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안전한 바닥재의 사용과 다양한 형태의 놀이기구를 설치하여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학습시설은 시설 및 관리 미흡과 전문사서가 없이 운영 되고 있었는데 전문사서를 두는 방향으로 전환이 요망되었다. 노인시설은 고령자를 위한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커뮤니티시설들에 비하여 기능과 프로그램이 적었고 노인 치수에 맞지 않는 시설이었다. 앞으로는 노인치수에 맞춘 시설로 전환하고, 텃밭 및 운동시설 등 외부공간과 연계가 되면서, 단지 내 어디에서든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하도록 조언한다. 여가시설은 시설 부족으로 주민들의 여가수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서 단지 내 여가 활동을 가능케 하는 다양한 시설을 계획하도록 조언 한다. 2) 운동시설은 시설 이용 시에 접근성이 좋지 않아 이용에 불편하였으며, 소음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분산 배치하고, 구기종목을 위한 코트에서는 입주민의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며, 바닥 재질의 흡음성능을 고려하여 선택하도록 조언한다. 놀이시설은 종류가 한정되고 이용 대상자에 맞지 않는 놀이시설인 단지가 많았다. 이를 위해서 단지 내 분산 배치하도록 하고 어린이들의 신체적?정서적 발달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놀이 기구를 도입하여 놀이공간을 구성하도록 조언한다. 휴게시설은 대부분의 아파트들이 필로티 하부 공간이 협소하고, 조도가 낮아서 사용자가 적었고, 외진 곳에 설치되어서 주민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단지도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다른 커뮤니티 시설과 연계를 고려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조언한다. 수경시설은 수질오염의 문제와 관리·이용 상의 문제가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주동에 너무 근접하지 않게 적당한 거리를 두어 소음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계획하여야 하겠다. In order to inquire community facilities within metropolitan housing area in which apartment complex is mainly formed,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the subject of those apartment complexes chosen as 'Best Inhabitable Apartment' during 2000 and 2007. Community facilities are sorted out by considering preceding researches, and then divided into indoor and outdoor facilities. Indoor community facilities are further divided into indoor fitness facility, childcare facility, educational facility, facility for seniors and leisure facility. Outdoor community facilities are divided into outdoor fitness facility, recreational facility, resting facility and waterscape facility. Through the field investigation and plot plans, the research contents have analyzed arrangement type and outline of community facilities, current status of indoor and outdoor community facilitie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including building arrangement, the line of flow and open space plans. In the case of the indoor community facilities, this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characteristics of space (square measure, space organization, arrangement of furnitures and household articles,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interior coloring) and also made reference inquiries about current operational status (operation subject, facility management, operation time, whether the facilities are available to people from outside, facility usage fee). Through this research, current problems of community facilitie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and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planning of community facilities are identified and the intent of this research is, by utilizing these information, to present the model for the future community facility project of 'Best Inhabitable Apartment Complex.' Data investigation is conducted parallel with field investigation with the research subjects of 11 metropolitan complexes picked from 30 best-rated apartment complexes chosen as the 'Best Inhabitable Apartment.' For the data investigation, overall construction outline is analyzed by utilizing the internet homepage of 'Best Inhabitable Apartment' contest and pamphlets published by various construction companies as well as the information available from the internet. Also we have acquired apartment complex arrangement plans and ground plans for community facilities, then converted those ground plans into CAD blueprints by using 'AUTO CAD 2008' program. Using these blueprints, we have analyzed overall square measure and area for each room. For the field investigation, we have investigated types, locations, space arrangement, position of furniture and household articles of indoor community facilitie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es as well as the types, lo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outdoor community facilities. While investigating the current operational status by having facility manager interview with users, we also have taken photographs in order to analyze the community facilities more completel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s we analyzed the overview of subject complexes, arrangement types of community facilities, arrangement of complexes, line of flow and open space, we have come with the complex with high percentages of the green zone and small construction area compared to land area. Meanwhile the percentag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green zone was higher in the area with lower coverage ratio. However the types of community facilities were similar regardless of the number of households. For the arrangement types of community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mplex in order to increase accessability of inhabitants. Since community facilities are conglomerated in single space with the center of molding statues within the complex, they also serve as the landmark of the area. Most complexes are exposed to the south or arranged as Tower Shaped or tower-type for the prospect. Line of flow for pedestrians and that of vehicles are divided to assure the safety and piloti is applied to guarantee convenience of pedestrians and ventilation within the complex. For the open space plans, the apartment complexes have built the public squares and have been utilizing those as the place for rest and various events. 2. Investigation results for current status of indoor / outdoor community facilities. 1) For the sports facilities among indoor community facilities, health clubs are the primary sports facilities and many of them were planned to be multiplepurpose fitness center which includes yoga center and sauna as the well-being life arouses people's interest. Most of the nurturing facilities installed are kindergartens and childcare facilities, and library is the primary educational facility. Facilities for seniors are built in every apartment complex and movie screening facilities are the primary recreational facility built in the complexes. 2) For the sports facilities among outdoor community facilities, every complex has promenade prepared, and badminton court, physical training center and basketball court are built in more than half of apartment complexes. Playground is built in every complex and for the resting facilities, resting places and benches which are built near the apartment buildings are identified. Other facilities built are theme plaza, central square and sunken square. For waterscape facility, streamlet and wall waterfall are built on relatively higher position within complex. Every indoor community facility has place for senior inhabitants, and every complex has outdoor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sports, recreational, resting and waterscape facility. While this is due to statutory facilities based on the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there also are indoor sports facilities (yoga, health club, golf range), recreational facilities (movie screening room, auditorium and banquet hall) and waterscape facilities (swimming pool for children, waterfall and ecology pond) built within the complex. 3. After we analyzed the spac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operational status of indoor community facilities, and location / space characteristics of outdoor community characteristics, 1) For the sports facilities, finishing materials which are intended to minimize exercise impact on the floor are used. Painting and PVC are used for the wall and ceiling. For the coloring, naturalistic brown color is mainly used, and exercise equipments are placed in front of the windows for the view. While operation of facility is contract-based, only inhabitants of each apartment complex are able to use it. For the finishing materials of childcare facilities, woodrium and wooden flooring are used for floor, while wallpaper and painting are applied for wall and ceiling. For the color, floor adopts brown color, while wall and ceiling uses white colors. Teaching tools are arranged on the wall side of classroom. Desks and chairs are arranged in the classroom as well. Finishing materials for educational facilities include carpet and PVC for floor, painting for wall and ceiling. For the coloring, gray for floor, white for wall and ceiling are used. For the furnitures, bookshelves are placed on the wall side. Desk and chair are arranged in the middle of room also. Finishing materials used in facilities for seniors include woodrium for the floor and wallpaper for the wall and ceiling. Brown color for floor, white color for wall and ceiling are used. Furnitures are mainly focused on closet and sofa. Finishing materials for recreational facilities include carpet and PVC for floor, and sound absorption texture is mainly used for wall and ceiling. The floor adopts blue and ivory color, while the wall and ceiling are colored with ivory and gray. These facilities are mostly operated by management office and allow inhabitants only to use while they do not charge any fee. 2) The exercise space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promenade and pedestrian line of flow within the complex. Recreational facilities are combined with resting place, park and open square. Naturalistic materials are used for the ceiling and equipments of those facilities to assure the safety of children. Resting places are organically linked with promenade and pedestrian line of flow, thus enabling residents to use them for rest and as community place. Waterscape facilities are located on the entrance area, pedestrian area and resting places within apartment complex.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commendations are made as follows: 1) For the physical exercise facilities, there are several problems such as arrangement with consideration of accessability within complex, insufficient storage, lack of space for attachment facilities such as shower room and resting places. Therefore installation of management area for managing exercise space and users, instructor-only area, shower room and locker room is recommended. For childcare facilities, there are several inappropriate parts for children. Application of safer floor materials to guarantee the safety of children and installation of various types of recreational equipments in order to impel children with curiosity are recommended. Educational facilities are operated poorly without specialized librarian, thus employing a professional librarian is recommended. The facilities for seniors are lack of function and programs. Also they are not even built according to measurements of seniors. Therefore we recommend to change the facilities according to measurements of seniors and to arrange those facilities in the location with higher accessability as they are connected with outer space such as vegetable garden and exercise facilities in the future. Leisure facilities has not been meeting the demand of residents due to insufficient number of facilit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recommend to plan various facilities which enable other types of leisure activities within complex. 2) Physical exercise facilities are inconvenient to use due to poor accessability and possess noise problems. Therefore, they need to be dispersed for the future arrangement. We also recommend to choose the floor materials with consideration of sound absorption and at the same tim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on the ball game courts so that public resentments by residents do not happen. Types of recreational facilities are limited and many of facilities are actually not meant to be used for the us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ose facilities need to be dispersed within the complex and we also recommend to introduce various types of recreational equipments for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of children. For the resting facilities, residents do not use those facilities that much due to several reasons such as narrow lower piloti space for most apartments, low luminous intensity and installation at secluded places. Therefore we recommend to increase usability of space with consideration of linkage with other community facilities. For waterscape facilities, we have identified water pollution problems as well as the problems related to management and usage. Thus those facilities should not be too close to main housing buildings to minimize public resentments by res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