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신문에 나타난 여성 관련 기록과 사회적 연관성 분석 연구 : : ‘숙대신보’를 중심으로

        이은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university newspapers as university historical record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with society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in university newspapers. This study also wanted to find out what university newspapers convey and how to perceive the women-related problems.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Sookdaesinbo, a university newspaper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First, articles related to women included in Sookdaesinbo were collected from Sookdaesinbo website and the printed copy from 2010 to September 30, 2019. Secon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carried out using text mining for the contents of Sookdaesinbo. Thir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newspapers and social backgrounds, keywords of articles reported in the comprehensive daily newspaper were collected from 2010 to September 30, 2019 using BIGKinds, a news big data analysis service. Fourth,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keywords collected by BIGKinds,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university newspapers were affected by society on the same topic through comparison with Sookdaesinb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86 women-related articles were reported from Sookdaesinbo from 2010 to 2019. Second, the words that appear as the top keywords in women-related articles reported in Sookdaesinbo are ‘Women’, ‘Sookmyung Women’s Universities Students’, ‘Me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ducation’, ‘Activities’, ‘Reasons’, ‘Needs’, ‘Military Sexual Slavery’, ‘Participation’, etc. and ‘University Women's Council’, ‘Misogyny’, ‘Illegal photos or film’, ‘The Women's Film Festival’ has appeared at a high frequency. Third, the subjects of women-related articles covered in Sookdaesinbo were can be classified into 30 topics, ‘Feminism and Women's Movement’, ‘Sex Crime and Sex Education and Support’,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rocentrism’, ‘Women and Health’, ‘Women's Studies’, ‘Women and Labor’, ‘ROTC’, ‘University Women's Council’, ‘Women's Film’, ‘Sex in the Media’, ‘Misogyny’, ‘Women's Hygiene Produc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Women in Marginalized Class’, ‘Pregnancy·Childbirth·Childcare’, ‘Digital Sex Crime’, ‘Escape the Corset’, ‘Marriage’, ‘Women Independence Activist’, ‘Women and Beauty’, ‘Prostitution’, ‘Sexual Intercourse’, ‘Illuminating Women's Role’, ‘Art and Women’, ‘Institution for Women’, ‘Gender Equality-related Cultural Activities’, ‘Women-related Issues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ender-related Social Issues’, ‘Women's Day’. Fourth, the issue of the ‘University Women's Council’ was not dealt with socially, but it was dealt with heavily in Sookdaesinbo. On the contrary, the keywords ‘job’ and ‘low birth’ appeared in high rankings in the comprehensive daily newspaper. Fifth, the topics of ‘Feminism and Women's Movement’, ‘Sex Crime and Sex Education and Support’,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Escape the Corset’ showed little or no difference in the details of Sookdaesinbo and comprehensive daily newspap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spaper and the social environment was confirmed. On the contrary, the topics with less social relations were ‘Women's Studies’ and ‘Women-related Issues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has a meaning in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by studying university newspapers in terms of historical records. This will help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newspaper and the university, and to derive the identity of the university. 본 연구는 대학신문을 대해 대학 역사기록물로 인식하고 대학신문에 나타난 대학의 특성을 확인하여 사회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것이다. 또한, 대학신문이 여성과 관련된 문제 중 어떤 것을 전달하고, 어떻게 인식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숙명여자대학교의 대학신문인 숙대신보의 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첫째, 숙대신보 홈페이지와 실제 인쇄본을 통해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숙대신보에 수록된 여성 관련 기사를 수집하였다. 둘째, 숙대신보 기사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셋째, 대학신문과 사회적 배경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뉴스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인 빅카인즈(BIGKinds)를 이용하여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종합일간지에서 보도된 기사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넷째, 빅카인즈에서 수집한 키워드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숙대신보와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토픽에 대해 대학신문이 사회의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대신보에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보도된 여성 관련 기사는 총 286건이었다. 둘째, 숙대신보에 보도된 여성 관련 기사에서 상위 키워드로 등장하는 단어는 ‘여성’, ‘숙명여대생’, ‘남성’, ‘숙명여대’, ‘교육’, ‘활동’, ‘이유’, ‘필요’, ‘위안부’, ‘참여’ 등이며, ‘총여학생회’, ‘여성혐오’, ‘불법촬영’, ‘여성영화제’가 높은 빈도로 등장하였다. 셋째, 숙대신보에서 다루어진 여성 관련 기사의 주제는 ‘페미니즘과 여성운동’, ‘성범죄와 성교육 및 지원’, ‘일본군 ‘위안부’’, ‘남성중심주의’, ‘여성과 건강’, ‘여성학’, ‘여성과 노동’, ‘학군단’, ‘총여학생회’, ‘여성영화’, ‘미디어 속 성’, ‘여성혐오’, ‘여성용품’, ‘여성부’, ‘소외계층 여성’, ‘임신·출산·육아’, ‘디지털 성범죄’, ‘탈코르셋’, ‘결혼’, ‘여성 독립운동가’, ‘여성과 미용’, ‘성매매’, ‘성관계’, ‘여성 역할에 대한 주목’, ‘예술과 여성’, ‘여성을 위한 제도’, ‘성평등 관련 문화활동’, ‘숙명여자대학교 여성 관련 이슈’, ‘성 관련 사회적 문제’, ‘여성의 날’으로, 총 30개의 주제로 구분할 수 있다. 넷째, 사회적으로는 ‘총여학생회’에 대한 문제가 크게 다뤄지지 않았으나 숙대신보에서는 비중 있게 다루어졌고, 반대로 숙대신보에서는 큰 비중이 없는 ‘일자리’와 ‘저출산’ 키워드가 종합일간지에서는 높은 순위에 등장하였다. 다섯째, ‘페미니즘과 여성운동’, ‘성범죄와 성교육 및 지원’, ‘일본군 ‘위안부’’, ‘탈코르셋’ 토픽은 숙대신보와 종합일간지의 보도에 큰 차이가 없거나 구체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여 대학신문과 사회 환경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사회적 연관성이 적은 토픽은 ‘여성학’, ’숙명여자대학교 여성 관련 이슈‘로, 토픽을 구성하는 단어들 간의 차이가 크고 토픽에 대한 초점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대학신문을 역사기록물 측면에서 연구하여 대학의 특성을 찾아낸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대학신문과 대학 간의 관계를 찾아내고 대학의 정체성을 도출해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국내 대학신문 제1면 편집디자인에 관한 연구 -6개 여자대학교 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李美鎭 淑明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711

        University Newspaper is just as significant, nevertheless existing within the university being printed for people on campus, in its roles and functions as other established media in a sense that it is for a great number of people. For the fact that it becomes the path for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ity members, its role is especially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however, it can be witnessed that university newspaper is not properly performing its role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in the campus society. To guard the power of influence and draw attention from readers as a medium, university newspaper needs to work on improving the visual aspects where it most lacks its competitiveness against other media.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solution for newspaper design with a layout that is nice to look at and easy to read through promoting individuality and distinguishment adopting positive design on the pages of newspaper. Also through analyzing university newspapers, find out what the traits of layout and editing are of university newspapers and study methods for betterment and direction of aim. This study is of something that has analyzed and arranged dividing the constituents into several categories determining that visual design of newspaper pages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in the formation of university newspaper’s image. To perform such, 6 school newspapers of domestic women’s universities –Duksung Women’s University,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Women’s University, Sungshin Women’s Universi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Ehwa Women’s University - have been chosen for the study. The Analysis on each paper has been performed around constituents of the cover page. This was in consideration of the cover page having the most exposure and contributing the most in forming the visual identity of the newspaper with the title of the paper. The constituents of design editing of university newspapers cover page can be observed divided as title of paper, typeface, color, pictures, layout, grid system, lines and space, advertisements, and etc. This thesis has analyzed comparing these constituents, set as standards, of 6 domestic women’s universities’ newspapers. Through analyzing the allocation of the consisting visual constituents, it has been pursued to seek problems in the layout and paper design, and solution for amelior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ver pages, the domestic university newspapers are making efforts in visualizing the page. However, it was noticeable that they were yet always produced within a certain frame not being able to make pages more animated for the reasons of newspaper-specific bounds. Moreover, due to using not properly defined rules, an emergence of a number of factors that are rather deteriorating the readability and causing confusion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deliver information fast and accurately through establishing consistency and unity among all of the visual constituents by maintaining harmony with considerations to space and graphics used around the page along with rules of the constituents. For newspapers to continue to maintain readers’ attention and the power of influence as a medium in the 21st century, it is crucial to no longer consider design editing as another mere process of newspaper production or a simple tool for editing pages. The participants that are involved in university newspaper should give thoughts to ‘how you can make newspaper better’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dopting the concept of art direction. University newspapers also need to continuously try to reform and renovate the pages through utilizing visual information following the change of times. 대학신문은 대학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내의 신문이라 하더라도 다중을 상대하는 매체라는 점에서 그 기능과 역할은 기성매체 못지않게 중요하다. 특히 대학구성원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통로가 되기 때문에 그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으로 볼 때 대학 사회 안에서 대학신문은 정보 전달의 통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함을 볼 수 있다. 대학 신문이 미디어 매체로서 영향력을 지키고 독자들로부터 관심을 갖기 위해서는 다른 매체들과의 경쟁에서 가장 뒤떨어진 시각적 측면을 보완하는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신문의 분석을 통해 대학신문의 레이아웃과 편집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앞으로 대학신문이 고려해야 할 신문 지면의 개선 방안과 지향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를 연구하여 신문 지면의 적극적인 디자인 적용으로 인한 신문의 개성화, 차별화 형성으로 독자들에게 보기 좋고, 읽기 쉬운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한 신문 디자인에 대한 발전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 신문의 이미지가 형성되는 데는 신문 지면의 시각적 디자인 요소들이 끼치는 영향이 크다고 판단하고, 그 요소들을 여러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 정리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6개 여자대학교인 덕성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의 교내 신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분석은 각 신문의 1면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제 1면이 가장 노출빈도가 높고 제호 혹은 면머리가 포함되어 있어 신문의 시각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대학 신문 제1면 편집디자인의 구성요소는 제호, Typeface, 컬러, 사진, 레이아웃, 그리드시스템, 선과 여백, 광고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국내 6개 여자대학교 신문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지면구성 시각요소들의 배치를 분석하여 신문디자인과 레이아웃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했다. 1면을 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신문들은 지면의 시각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은 신문사 특유의 한계적인 상황으로 인해 살아 움직이는 듯한 지면 제작을 하지 못하고 항상 일정한 틀 속에 갇혀 제작 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제대로 정의 내려지지 않은 규칙의 사용으로 오히려 가독성을 떨어지게 하고 정보의 혼란을 초래하는 요소들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각 구성요소들의 일정한 규칙과 주변에 사용된 그래픽과 여백 등을 고려한 조화 유지를 통해 모든 시각적 구성요소들이 일관성과 통일성을 이루게 하여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신문이 21세기에도 미디어 매체로서 영향력을 지키고 독자들로부터 관심을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편집디자인을 신문제작 공정의 한 단계로만 인식하거나 지면 편집을 위한 단순한 기능정도로만 생각하는 것을 벗어나 대학신문을 제작하는 구성원들도 아트 디렉션의 개념을 도입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신문을 어떻게 하면 더 가치있게 만들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제 대학신문도 시대의 변화에 따라 시각 정보를 통한 과감한 지면의 혁신과 편집개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 대학극장 활성화를 위한 예술경영 도입과 발전방안연구

        신정원 숙명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11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경제와 사회가 발전되면서 이에 따라 문화 산업도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국민들의 삶도 과거의 의식주를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에서 자아실현과 자기개발을 위한 의식의 전환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의식의 변화는 각 개개인의 삶이 양적인 욕구 충족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질적인 욕구 충족을 위하여 노력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고자 노력하게 되었고, 이러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는 공연예술로 눈길이 돌리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시각의 변화는 다양한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을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에서 사람들은 극장이라는 장소를 자연스럽게 찾게 된 것이다. 그럼으로써 극장은 한정된 공간에서 예술의 향유와 휴식이라는 다각적인 면을 누릴 수 있는 장소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자는 시대가 변하고 극장이 변화하고 있음에도 교육의 실습장소로만 사용되고 있는 190여개의 대학교중 활성화 되고 있는 6개 대학교(연세대학교 백주년 기념관, 성균관대학교 새천년 회관, 세종대학교 대양홀, 건국대학교 새천년회관 대 공연장, 경희대학교 편화의 전당, 중앙대학교 아트센터)을 숙명여자대학교 임마누엘 홀과 운영 형태와 시설현황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숙명여자대학교 임마누엘 홀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극장의 문제점은 먼저 현재 재학생들조차 대학극장의 존재여부를 알지 못하는 실정이므로, 재학생과 국민에게 대학극장의 존재를 알리는 홍보가 가장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둘째, 대학극장의 규모에 맞는 내부시설의 변화 즉, 휴식공간과 공연 출연자들의 대기실등 부대시설이 보충되어져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외부대관이 전혀 없는 상태로 지속된다면 대학극장의 운영에 있어서 재정적인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또한 관리 측면에서도 수익이 없는 반면 관리에 있어서 엄청난 재정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넷째, 웹 사이트를 통한 대학극장의 홍보와 공연 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중요하다. 다섯째, 지역적 특성을 살려 관광특구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행사와 연계하여 숙명여자대학교의 특성을 살려 마케팅의 도입을 통해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제는 대학극장에도 전문화된 인력의 수급이 필요하며, 예술마케팅의 접목도 시급함을 말해준다. 마케팅 믹스의 기본 전략을 바탕으로 국민의 마음을 끌어들이는 감성마케팅을 통하여 대학극장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큰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예술경영인의 도입 또한 대학극장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제는 대학극장도 교육의 실습장소로 해를 거듭하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획기적인 전문 예술경영인의 도입을 통해 대학극장을 널리 알리고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전문 마케팅 전략과 예술 마케팅의 접목으로 다각적인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The cultural industry has developed in 21st century as the economy and society developed. In the past, people only concerned about their own living. But this viewpoint has been changed. They care about self-realization and self development more than ever. Owing to these changes in people's consciousness, they try to satisfy not only their quantitative desire but also their qualitative desire. They cannot be satisfied with carrying on their daily life any more. They began to try to fulfill their desire for cultural experiences. To fulfill theirdesire, they turned their attention to the performing arts. They started to go to the theaters naturallyto fill up their desire for enjoying their leisure time. As a result, theaters became a place where people can enjoy arts and take a rest at the same time in one place. The roles of theaters have changed in this viewpoint. However, many theaters, especially theaters in school facilities, are used only for the educational purpose until now. So, in this research I compared and analyzed Sookmyung Immanuel Hall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with 6 performing theaters (Centennial Hall in Yonsei University, 600th Anniversary Building in SungKyunKwan University, DaeYang Hall in Sejong University, New Millennium Building in Konkuk University, Peace Hall in KyungHee University, and Art Center in ChungAng University). In addition, I tried to find some solutions for utilizing the Sookmyung Immanuel Hall by surveying.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of all, even some of the students in Sookmyung do not know whether they have Sookmyung Immanuel Hall in their school or not. So, it is important to inform Sookmyung Immanuel Hall's existence not only to outsiders but to Sookmyung students. Second, incidental facilities at Sookmyung Immanuel Hall should be improved. For example, rest areas and waiting room for the performers are inadequate. Third, Sookmyung Immanuel Hall should be used for outside performances as well as for Sookmyung's own events. Otherwise, there might be some financial problems to manage the hall. Even, it might be hard to maintain the hall. Fourth, it is important to publicize Sookmyung Immanuel Hall and develop performing programs. Fifth, it should be developed as a special tourism zone because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needed to utilize, Sookmyung Immanuel Hall by introducing marketing strategies which are made the most of its characteristics connected with private travel agencies. Last but not least, Sookmyung Immanuel Hall needs professional manpower to manage it. At the same time, it needs art marketing, too. It is really needed to make every effort to solve theaters in universities' problems through the emotional marketing. The emotionalmarketing can attract many people based on the basic strategies of marketing mix. Introducing professional art managers can change the recognitions of university theaters. Nowadays, university theaters are no longer places where only carry out educational activities. Various activation plans are needed to the university theater like introducing professional art management, systemic professional marketing strategies, and grafting art marketing.

      •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전통복식관련 박물관을 중심으로

        구지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11

        Costume is the most visual cultural relics during a period. Since nowdays researches about relics and museums were mostly historical, ethnic, architectural, law and so on, but of costume, most of the study is about preservation or excavated relics and the costume that the museum takes care of. And no such study of muse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look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nd study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ostumes to the museum. Second, study the changes of educational paradigm in a point of traditional costume education. Third, analyze the traditional costume relics exhibition and its educational program through questionnaires. Forth, offer the method of traditional costume relics exhibition and its educational program, and form a basic reference that can be applied. Fifth, recognize the traditional costume to the children and teenagers through a practical exhibition and educational method and make them understand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and the potential field. The rang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rist the costume relics are from the time of the Three Kingdoms to modernization period, and the item are selected upon the data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are gwanmo, clothes, dae`gu, shoes, ornaments and gwan`bokham. Second, among 111 of museums in Seoul the selected ones are the National Museum of Seoul, Seoul Museum of History, Museum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rd, as for analyzing the practical education situation, kindergart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the compensat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we are liv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educational paradigm is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econd, traditional costume is a way of expressing a special culture and transfer it to other cultures as well. Thir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of the traditional costume relics and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is as follows. 1. Was done computerization classific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th bases, but a case to all apply a classification item after a criminal record revision revised 2003 looked in case of relics classifications. The belonged case was found to the classification that was not suitable too at all. It is phenomenon there is a little very the specific gravity that a compound specialist occupies during curator total a museum, and they shall deal with an exhibition, a process all from computerization works of compound relics, and this burns, and being delivered, and can do. 2. Is displaying the classic style of dress, and On/humidity of an exhibition hall was mostly appropriate, and it is high in the inspection early days, and is looking in case of interest duties. This is thought to things by a uniform exhibition way and distracted exhibition ways. 3. Is displaying, as classify, by use by the times in case of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exhibition hall configuration. Mostly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exhibition hall be able to watch while moving along the copper wires which are entire of a museum. 4. Use most terminology an explanation auxiliary exhibition water consists to introduction panel, division panel, exhibition water label etc., and to rise, and is describing. Also, a sentence is too long, or there are a lot of short cases, and it is the misgovernment that it cannot play of auxiliary data. 5. Was looking, and was groping for improvement plan for effective illumination directions, and case of the folklore museum where was putting as it is on still historic illumination appeared about illuminations in each museums. 6. As was designed together from establishment steps of a museum in case of showcases, a museum was made is applying technology, and look at that time. Also, various showcases such as fixture and independent older brother be used according to exhibition spread decorations, and a uniform showcase can mostly take. 7.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exhibition way was displaying with the state that put on fixture except most accessories, and accessories etc. was displaying used other showcase. In addition to the forms that compound relics displaying write down, and wearing was finished was applying an exhibition technique various the back whom would stretch on planes. 8. The replacement times of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and a method are performed according to inner policy decision. 9. expert is very a little actual condition regarding the classic style of dress during museum curator. A few expert installed with relics computer work, exhibition planning, and this preserved, and was grasped so that manpower and time were short for educating. 10. Study object museum was looking to educational utilization of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and was taking connected utilization with a school into consideration very much, and it was exposed. However, it can indicate to short sections that cannot be continuous. Forth, Is as follows if presents the fourth, exhibitions of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and an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1. You shall try to take integration with subject to be different in the social cultural regarding the style of dress in order to raise understanding into consideration in school education. You shall teach so as to be able to watch together enemy background, the mode side etc. in too compound subject the times of the formal sides (a kind, materials, an expression way etc.) and the work of the compound bosom in history. 2. You shall do so as to have an opportunity to be able to see each real thing between modern dress of the same age which was the bosom compound of the different country that was the style of dress bosom classic of us through exhibition tubes compound of a museum in education out a school. You can grow an eye you understand the situation that you find the real value of the each compound bosom, and is binding the work, and to be able to see the critically compound bosom through this. However, the important real thing example education that it is salted, and included education and a strict interchange shall be accompanied at this time between the person in charge and teachers educational a museum abundant in knowledges regarding a museum. 3. This all a life of student and compound education for connected life shall work. 4. Infuse the classic style of dress to order educational to the national which originated from the beginning. A high school student through contemporary history guild culture and exhibitions and educational utilization plans to be exposed to, and to realize again importance of culture sense cultures regarding thing and relics and potential power shall contribute. 복식은 그 시대를 가장 가시적으로 그 시대를 조명해주는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유물 및 박물관에 대한 연구는 사학, 민속학, 건축학, 법학 부분에서는 비교적 다양한 주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복식학 분야에서는 유물 보존 및 출토 복식에 대한 연구와 해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 전통복식유물에 관한 연구 등이 전부이며, 전통복식유물의 실물을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박물관과 관련한 연구는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특징을 살피고 그 속에서 전통복식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다문화사회에서의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전통복식교육 관점에서 고찰한다. 셋째, 서울 소재 전통복식관련 박물관을 중심으로 연구문제에 따른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현황과 관람객의 설문조사를 통한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현황을 분석한다. 넷째,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전통복식유물 관련 연구,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다섯째, 현대사회문화에 맞는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을 통해 초·중·고등학생을 비롯한 국민들에게 전통복식을 인식시키고 교육시킴으로써 우리 것에 대한 문화감각 배양 및 유물의 중요성과 잠재력을 재인식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유물의 시대 범위는 삼국시대부터 개화기까지이며, 복식유물의 범주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산화 분류기준인 대분류 항목으로 한정하여 관모, 의류, 대·구, 신발, 장신구, 관·복함을 포함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박물관은 서울시에 소재한 총 111개의 박물관 중 국립중앙박물관의 대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전통복식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상설 전시하고 있는 박물관으로 제한하였다. 그 박물관들을 국립, 공립, 사립, 대학 박물관으로 분류하여 각 각의 항목별로 전통복식유물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국립민속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숙명여대박물관으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셋째, 전통복식유물의 교육적 활용의 현황 분석 기준은 교육대상이 초·중·고등학생인 경우로 제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는 다문화사회로 문화의 혼성이 난무하는 시대라고 대변될 수 있으며, 과학기술의 혁명적 발전에 힘입어 교육적 패러다임이 문화와 지식의 발전적 상호작용, 미래·창조적이며 개방적인 체제, 평생학습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전통복식은 특정문화를 나타내는 수단임과 동시에, 특정문화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문화와 전통복식의 통합적인 연결을 강조하게 한다. 셋째, 7개의 분야로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른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현황과 관람객의 설문조사를 통한 결과는 1. 유물 분류의 경우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산화 분류를 기준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2003년 개정 전과 개정 후의 분류항목을 모두 적용시키는 경우가 보였다. 또한 전혀 합당하지 않은 분류에 속해있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이는 박물관 전체 학예사 중 복식전문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어 이들이 복식유물의 전산화 작업부터 전시, 교육, 보존의 모든 과정을 처리해야 하는데서 오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2. 전통복식을 전시하고 있는 전시장의 온·습도는 대부분 적당했으며, 흥미도의 경우, 관람초기에는 높다가,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획일적인 전시방법과 산만한 전시방법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3. 전통복식유물 전시장 구성의 경우 시대별, 용도별로 구분하여 전시하고 있다. 대부분 전통복식유물 전시장 형태는 박물관의 전체적인 동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관람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4. 전시물 보조 설명문은 도입 패널, 구획 패널, 전시물 라벨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대부분 전문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글이 너무 길거나 짧은 경우가 많아 보조 자료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5. 각 박물관에서 조명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으며, 아직 과거의 조명을 그대로 쓰고 있는 민속박물관의 경우도 효과적인 조명연출을 위해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진열장의 경우 박물관의 설립단계에서부터 함께 설계되어지기 때문에 박물관이 설립된 당시의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시 전개 장식에 따라 벽부형과 독립형 등 다양한 진열장이 사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진열장이 대부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7. 전통복식유물 전시 방법은 대부분 장신구를 제외한 복식일습을 착용한 상태로 전시하고 있었으며, 장신구 등은 다른 진열장을 사용하여 전시하고 있었다. 전시하고 있는 복식 유물이 적을수록 착장이 완성된 형태뿐만 아니라, 평면상에 펼쳐 놓는 등 다양한 전시기법을 적용시키고 있었다. 8. 전통복식유물의 교체 시기와 방식은 내부의 정책적 결정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9. 박물관 학예사 중 전통복식 관련 전공자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이는 소수의 전공자가 유물 전산작업, 전시기획 및 설치, 보존, 교육의 모든 부분을 담당하게 되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 및 전시, 교육을 하기에는 인력과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연구 대상 박물관은 전통복식유물의 교육적 활용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으며, 학교와의 연계한 활용을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학교와의 연계가 지속적이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는 점이 부족한 부분으로 지적할 수 있다. 넷째,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교육에서는 복식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른 교과와의 통합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특히, 특정 복식유물을 이해시킬 때, 사회과의 역사내용 및 나른 나라의 문화관련 내용과 연계하여 통합수업을 한다면, 두 교과 모두에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식교과 내에서도 복식품의 형식적 측면(종류, 재료, 표현방법 등)과 함께 그 작품의 시대․사상적 배경, 양식적 측면 등을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2. 학교 밖 교육에서는 박물관의 복식전시관을 통해 우리의 전통복식품이던, 다른 나라의 복식품이던, 동시대의 현대복식품이던 간에 각각의 실물을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각 복식품의 진가를 발견하고 그 작품을 둘러싸고 있는 배경적 상황을 이해하며, 비판적으로 복식품을 볼 수 있는 눈을 길러 줄 수 있어야 한다. 단, 이때 중요한 점은 사전․사후 교육을 포함한 실물보기 교육이 되어야 하고, 박물관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박물관 교육 담당자와 교사 간에 긴밀한 교류가 동반되어야 한다. 3. 이 모두는 학습자의 생활과 연계된 삶을 위한 복식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는 전통복식을 학습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현재 자신의 삶과의 연결 속에서 이해하고, 다른 나라의 복식을 학습함에 있어서는 우리의 전통복식과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도록 하며, 동시대의 시각문화를 학습함에 있어서는 현재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함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현대사회문화와 맞는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을 통해 초·중·고등학생을 비롯한 국민들에게 전통복식을 인식시키고 교육시킴으로써 우리 것에 대한 문화감각 배양 및 유물의 중요성과 잠재력을 재인식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최성은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e-learning 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거나 관심을 가지고 실시하려는 대학도서관을 위하여 현재 실시되고 있는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평가ㆍ분석하고, 지표로 사용된 평가기준에 대한 이용자의 필요도를 조사하여, 이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이용자 중심의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준을 제시하는데 있다.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경희대학교 수원캠퍼스 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인하대학교 정석학술관 등 국내 대학도서관 4곳과 미국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산하 LIRT(Library Instruction Round Table)의 Research Committee에서 선정한 도서관 이용교육 튜토리얼들(Library Instruction Tutorials) 중에서 「General Guide to Research」에서 제시한 14개 사이트 중 12개 사이트의 대학도서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문헌 조사 및 해당 사이트 직접 방문을 통하여 분석ㆍ평가하였다. 웹 평가기준, e-learning 프로그램 평가기준,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평가기준들로부터 프로그램의 내용적 측면과 프로그램의 형식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내용적 측면에는 교육내용의 적절성과 교육방법의 적절성 항목들을 추출하여 분석을 위한 평가기준으로 삼고, 형식적 측면에서는 디자인의 적절성과 인터페이스의 적절성 항목을 평가요소로 삼아 프로그램을 분석ㆍ평가하고 각 평가요소에 대한 이용자의 필요도를 조사하여 이용자 중심의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용자 중심의 프로그램 설계를 위해 추출한 18가지의 요소들과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만이 e-learning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설계의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그러나 프로그램 구축 후에도 설계기준에 의한 요구사항들이 충실히 반영 되고 있는지, 이용자의 요구사항과는 잘 부합하는지, 개선해야 할 사항은 어떤 것이 있는지 등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평가를 수행하여 성실하게 그 의견을 반영한다면 한층 업그레이드 된 e-learning 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ing standards of library instruction program. For designing standard, library iInstruction program which is operated now is evalua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objects are library instruction programs of 12 sights presented by general guide to research of library tutorials chosen by four universities - Kyung Hee University(Suwon Campu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Inha University - and Research Committee of LIRT(Library Instruction Round Table) . The evaluation standard for this analysis is abstracted commonly for the major elements from the evaluation standards of web, e-learning program, and e-learning university library instruction programs. The evaluation standard is classified into the side of the contents and the side of the form for the program. For the side of the contents, each evaluation element is abstracted for the relevance of the contents and the method of education. For the side of the form, it is abstracted for the relevance of the design and the interface. When this program designed, the requirements of the users will be reflected by researching the necessity of users about these abstracted evaluation elements. The presented designing standards are not absolute. After construction, the opinions-if the requirements by the designing standards are reflected conscientiously, if it is corresponded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users, what the improvement factors are needed, etc.-should be reflected continuously by the constant study and evaluation about the program. Therefore this e-learning library instruction program could be much more upgraded.

      • 전국 음악관련 대학교의 지역별, 과별 조사

        김현진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유리드믹스 연구회는 2005년 숙명여자대학교 내에 정식석사 과정으로 유리드믹스학과를 개설하여 전문적인 유리드믹스 교육을 시행하게 되었다. 또한 석사 과정과 함께 병행되는 교사양성과정은 어린이교육과 음악교육에 종사하는 더 많은 교사들에게 기회를 제공하여 총 2년간의 학기 기간 동안 유리드믹스 교육을 경험하고 습득하여 분야별로 전문성을 갖춘 유리드믹스 교사 인재 양성 시스템으로 구축되고 있다. 그 중 석사과정에서는 유리드믹스의 올바른 학문 과정을 구축하고 유리드믹스 교사 인재 양성과 유리드믹스 교육을 더 많은 교육기관에 보급하고자 G-project 활동을 하고 있다. G-project의 의미는 Good, Generous, Global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며, 좋은 유리드믹스 교육을 전 세계로 널리 알리자는 의미한다. 숙명 유리드믹스학과에 재학중 이거나 졸업한 학생들은 본인이 졸업한 학부 및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관계와 본인이 희망하는 학교의 담당교수와 컨택하여 G-project의 활동으로서 꾸준히 유리드믹스 연구회의 활동을 홍보하고 개인적인 친분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이조사는 2014년 5월 현 온라인에 나타난 자료를 토대로 정리하였으며, 현 전국 대학교는 197개, 전문대는 314개 총 511개 대학 중 음악관련 대학교는 84개, 전문대는 25개 총 109개 학교가 2014년 5월 온라인자료에 의하여 조사 되었으며 음악관련 대학 109개 중 지역별, 과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역은 서울,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제주도로 분류하였으며 과는 피아노과, 작곡과, 성악과, 기악과, 실용음악과, 국악과, 교회음악과, 음악치료과, 그 외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2014년 5월 현재 온라인에 등록되어있는 대학교는 197개 전문대 314개 총 511개의 대학이 있으며 음악관련 대학교는 84개 전문대는 25개 총 109개의 학교가 있다. 서울은 대학교 48개, 전문대 10개 총 58개 대학 중 음악관련 대학교는 26개 전문대는 2개 총 28개. 경기도는 대학교 43개, 전문대 35개 총 78개 대학 중 음악관련 대학교는 18개 전문대는 8개 총 26개. 강원도는 대학교 10개, 전문대 10개 총 20개 대학 중 음악관련 대학교는 2개 전문대는 1개 총 3개. 경상도는 대학교 34개, 전문대 29개 총 63개 대학 중 음악관련 대학교는 15개 전문대는 3개 총 18개. 전라도는 대학교 23개, 전문대 18개 총 41개 대학 중 음악관련 대학교는 14개 전문대는 5개 총 19개. 충청도는 대학교 37개, 전문대 12개 총 49개 대학 중 음악관련 대학교는 8개 전문대는 5개 총 13개. 제주도는 대학교 2개, 전문대 3개 총 5개 대학 중 음악관련 대학교는 1개 전문대는 1개 총 2개의 대학이 있었다. 대학교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경기도 78개 학교, 경상도 63개 학교, 서울 58개 학교, 충청도 49개 학교, 전라도 41개 학교, 강원도 20개 학교, 제주도가 5개 학교 순이었으며 음악관련대학이 많았던 지역은 서울 28개 학교, 경기도 26개 학교, 전라도 19개 학교, 경상도 18개 학교, 충청도 13개 학교, 강원도 3개 학교, 제주도 2개 학교 순이었다. 음악 관련 대학교 학부과정을 졸업한 학생이 실제로 연주 활동보다는 음악 관련 직종으로 취업하거나 지도하는 활동이 더 많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학교 학부 음악 교과 과정에는 예술 정신 함양과 문화의 가치를 선도하며 현장에서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교사로서의 자질의 키우는 교과 과목보다 악기 실기 위주의 교과 과정이 많았다. 이에 유리드믹스 교육을 대학교 음악교과과정으로 개설하여 음악관련학과를 졸업한 학생들로 하여금 개인의 예술성 발달은 물론 현장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지도법을 습득하게 하기 위해 학부 때부터 충실하게 공부하고 졸업하여 교사로서의 역량 발달에 기여하고자 한다.

      •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의 수퍼비젼 현황

        김현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조사는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의 수퍼비젼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수퍼비젼의 실태를 파악하고, 재학생들이 지각하는 수퍼바이져의 역할과 수퍼비젼의 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수퍼비젼을 계획하고 실천하며 학과정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본 조사에서 밝혀진 연구문제별로 나누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퍼비젼의 실태 (시간/집단, 수/ 개선영역/ 만족도) 첫째, 세션에 소요되는 평균 슈퍼비젼 시간은 30분~40분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20~30분, 40~50분, 10분~20분, 1시간 이상 순이다. 둘째 수퍼비젼의 형태는 집단 수퍼비젼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집단 슈퍼비젼일 경우 집단의 크기는 2-3명이 대부분 이었다. 셋째, 슈퍼비젼의 향상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지각하는 것은 세션에 대한 방법론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순서대로 제시하면 세션에 대한 이해, 행정적인 면, 시간과 형태, 기타 순이다. 넷째, 만족도와 관련하여 다양한 요인들에 대해 살펴본 바, 수퍼바이져의 태도, 수퍼비젼의 내용, 시간, 장소에는 비교적 만족하나 방법론적인 부분과 관련된 형태와 도구에 대해 낮게 만족하는 것으로 보인다. 2) 수퍼바이져의 역할에 대한 지각은 자문가역할, 교사 역할, 선배역할, 상담자역할, 평가자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수퍼바이져의 역할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연령, 학부전공, 어시스트의 유무, 수강과목, 수퍼비젼의 시간에서 나타났다. 4) 수퍼비젼의 내용에 대한 지각으로 음악치료기술 임상기술, 개인화, 음악기술, 행정적인 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특성의 특성에 따라 지각하는 수퍼비젼의 내용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1929~30) 참여

        소지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5

        이 논문의 목적은 1929년 12월부터 1930년 1월까지 ‘숙명여자고등보통학교’의 서울학생시위 참여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그 성격을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숙명여고보는 1906년 설립 당시 황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설립 초기부터 일본의 간섭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또한, 후치자와 노에와 같은 일본인 교원들의 학교 운영으로 학생들은 차별적인 현모양처 교육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숙명여고보에서는 지속적인 항일운동이 전개되었고, 결국 1930년에 이르러 서울 지역 여학교들과 연합하여 대규모 시위에 참여하기에 이른다. 그러므로 시위 참여 과정과 결과 등을 검토하며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 참여가 갖는 성격과 의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서울학생시위는 1929년 10월 전라도 광주에서 일어난 광주학생운동의 영향으로 서울 시내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3.1운동 이후의 대규모 항일운동이었다. 숙명여고보 역시 1929년 12월부터 1930년까지 1월까지 전개된 1·2차 시위에 동참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차별적 식민지배로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음을 분명히 인지하고, 이에 대한 저항의식으로 시위에 참여하였다. 1차 시위는 당시 서울에 조직되어 있던 사회주의 비밀결사단체들에 의해 전개되었으며, 숙명여고보는 3학년생 구무선에 의해 주도되어 1929년 12월 10일 만세를 부르며 학생들은 맹휴를 단행하였다. 1930년 1월에 전개된 2차 시위는 서울 시내 여학교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숙명여고보의 경우 근우회 간부 허정숙과 휘문고보 5학년생 장홍염에 의해 시위에 참여하게 되었다. 숙명여고보는 400여 명의 전교생이 2차 시위에 참여하였고, 시위를 주도한 5명의 학생이 경찰에 연행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 참여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는 두 가지의 외부 경로를 통해 전개되었다. 기숙사생의 경우 근우회, 통학생의 경우 하숙을 통해 알게 된 학생들 간의 연결로 접촉하였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시위에 참여한 서울 시내 여학교 중 숙명여고보에서 가장 먼저 ‘퇴학’ 처분이 내려졌다는 점이다. 이는 당시 숙명여고보에서 이루어지던 식민지 교육 실상의 단적인 예를 보여준다. 셋째,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는 설립 이래로 꾸준히 이어지던 항일운동의 지속선상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1927년 맹휴의 경험은 학생들이 결집할 수 있는 큰 원동력이 되었다. 이처럼 1930년 전개된 숙명여고보의 서울학생시위 참여는 당시 전국적으로 형성되었던 분위기에 일조한 휘발적 사건이 아닌 설립 이래로 지속되어 온 구성원들의 자발적 항일의식에서 빚어진 적극적 저항의 표출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specific nature based on the analyaing the process and result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Seoul student movement from Dec. 1929 to Jan. 1930. As Sookmyung girl’s high school was connected to the Japanese imperial family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in 1906, it was impossible to be free from the interference of Japanases government. Moreover the students belong to the school had no choice but to accept the education system to be the good wife and wise mother due to the school management by the japanese faculty like Huchizawa Noe. Nevertheless, a continuous anti-Japaneses movement had been developed in Sookmyung girl’s high school, finally in 1930 it had been participated in the large scale movement being associated with lots of the girl’s schools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has tried to investigate the trait and significance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involved into Seoul student movement, based on this participating process and its result. Seoul student movement was one of the largest anti-Japaneses movement since the 1919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influenced by K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in Oct. 1929 and gathered with only students in Seoul. Also Sookmyung girl’s high school had been joined surely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eoul student movement unfolding from Dec. 1929 to Jan. 1930. The students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recognized that K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has been occurred because of the differential colonization by Japan, on this account they decided to join in the Movement with the resistant consciousness. The first movement has been unfolded by several socialist secret organizations in Seoul, and on Dec. 10th in 1929, the students in Sookmyung girl’s high school carried out the school strike leading by Musun Gu, the third grader. The second movement had been occurred in Jan. 1930 centering around the girl’s schools in downtown, and in the case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the students had joined in the Movement leading by Jungsuk Huh, managing staff in Geun-woo-Hui(a social group in the school) and Hongeyum Jang, the fifth grader in Whimoon High School. Five students, among the four hundreds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involved in the second movement, had been taken to the police station. But the taking note of this situation is Sookmyung girl’s high school was the first to issue an 'expulsion' order which expelled the students involved in this movement from the school. It explains directly the actual school situations run with the colonial education system managed by Japanese. The importance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s participating on the movement, nontheless, the students had ridden out the colonial education system and expressed their own spirit of anti-Japanese throughout the constant resistance. Therefore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Sookmyung girl’s high school in 1930 can be prescribed not as that had been swept away by the national mood for one time but as the positive resistance expression based on the voluntary spirit of anti-Japanese maintained since it had been founded.

      • 여자대학생의 신체질량지수와 건강체력이 식사태도에 미치는 영향

        金正雅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들의 식사태도의 경향과 유형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체형, 체중조절 및 음식과 연관된 문제점 등을 조사하여 식습관과 건강체력 수준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160명의 여자대학생을 무선군집표집으로 추출하였다. 식사태도는 체중증가에 대한 두려움, 체형에 관한 생각, 다이어트 방법, 신경성 식감퇴 증상, 신경성 대식증상, 식사에 대한 거부, 식사 제한을 통한 자아성취, 균형 잡힌 식사의 내용으로 구성된 Eating Attitude Test(Grafinkel & Garner, 1979)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건강체력은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신체조성을 측정하였다.통계분석은 SPSS(Ver 12.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직교회전방법), 일원변량분산분석, 다중범위 검정(Scheffe test)을 사용하였다. 여자대학생들의 연령 및 건강체력에 따른 식사태도는 체중에 관한 생각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신체질량지수에 따른 식사태도는 체중에 관한 생각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신체질량지수와 건강체력이 식사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지만 여자대학생들의 건강체력이 상당히 저조하고 또한 신체질량지수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좋지 않은 식사태도를 지니고 있는 여자대학생들이 있어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정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체중조절과 균형 잡힌 식사태도에 대한 올바른 정보 및 지식들을 통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대책을 제도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and type of eating attitude that body shape, weight control, a problem connected with food in college females to provide that the scientific data about eating habit and level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180 college females(random cluster sampling)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ating attitude factors including fear for weight gain, consideration of body image, method of diet, symptom of anorexia nervosa, symptom of bulimia nervosa, refuse of meals, self-esteem by limiting meal, balance of meals were observed by eating attitude test(Grafinkel & Garner, 1979)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s including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cardiovascular endurance, body composition were measured. Statistical analysis i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varimix),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ange test(scheff&eacute; test)were performed by using SPSS(Ver 12.0) wind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eating attitude by age and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regard of weight, but eating attitude by body mass index, in regard of weight was proven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ce(p<.05). In conclusion, though the influence of eating attitude affected by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was not remarkable and body mass index is normal in college females, the level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was low and tendency of eating disorder could have effects upon college female's heal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untermeasure that educates them through straight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desirable weight-control and an attitude for well-balanced diet.

      •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홍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ive career-barriers is related to their career decision level and help them by furnishing topical material about perceived career-barrie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The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female students (coeducation and womens college), grade and major fields, is there any difference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According to female students (coeducation and womens college), grade and major fields, how do their perceived career barriers influence career decision level? In order to approach these question, 51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sampled from 10 colleges and universities (6-coeducation female students, 4-womens university students)in Seoul, kyonggido and Kandwondo area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areer-Decision Scale(Osipow et al, 1980) and Career Barriers Inventory(Son, 2001).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t-test, one-way ANOVA, Scheffe verification and Multiful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perceived career-barrier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omens college and coeducation female students. coeducation female students perceive more various variables in career barriers than womens college students. Therefore, both the college authorities and career counselors need to give special care about coeducation female students. Second, according to grades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ived career-barriers but in career decision level and variables in career barriers. Third, according to majors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ived career-barriers but in career decision level and variables in career barriers. Therefore, we need to differentiate the ways to approach them. Forth, Among the career barriers variables, the lack of career preparation variable has influence on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the most. Then, career counseling will have to give more various career and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to develop career counseling programs. Fifth, it has been found that perceiving career-barriers can work positively for career decision level. Then it is necessary for us to inquire concretely how each female students perceive career barriers and the way that perceived career barriers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진로결정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대생들이 진로선택의 방안을 모색하고 적절한 발달과업을 잘 이룰 수 있도록 돕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6개의 남녀공학 대학과, 4개의 여자대학 512명의 여대생들에게 진로결정수준 검사, 진로장벽 검사를 실시하여 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고, 진로장벽의 하위요인들이 진로결정수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자료의 분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하위 영역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단계적 회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첫째 남녀공학과 여자대학의 여대생은 진로결정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진로장벽에 있어서 남녀공학 여학생들이 여자대학 여학생들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p<.01). 둘째, 학년에 따라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결정수준에는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의 정도는 4학년, 1학년, 3학년, 2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한편, 진로장벽 지각에 있어서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진로결정수준은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사범계열, 예·체능계열, 인문계열, 사회계열, 자연계열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진로장벽 지각에 있어서 전공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하위 내용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공학 여대생들의 경우 여자대학 여대생들에 비해 진로결정에 다양한 진로장벽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년별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의 요인들이 각각 다르게 도출되었다. 2학년과 4학년이 가장 다양한 진로장벽을 지각하고 있었으며, 직업 준비부족에 이어, 개인특성부족과 관습의 제약, 여성취업에 대한 고정관념, 낮은 직업전망이 뒤를 이었다. 셋째, 전공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의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전공별로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하위 변인 가운데 각 계열별로 진로결정에 가장 많은 부분을 설명하는 변인은 진로준비부족이었으며, 진로준비부족 변인 외에 인문계는 관습의 제약(3%)이 부적인 상관이 있었고, 사회계는 차별(5%) 변인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예 체능계는 낮은 직업전망(4%)은 정적으로, 고정관념(4%) 변인은 부적으로 진로결정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인임이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집단(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양상이 다르며 이것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해 주었다. 또한 대부분의 지각된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진로장벽의 지각이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음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심리적, 사회·환경적요인을 고루 포함하고 있는 지각된 진로장벽 가운데 진로준비부족이 여대생이 진로를 결정할 때 가장 커다란 진로장벽임이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대학성별특성, 학년 전공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는 것과 진로장벽이 집단에 따라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는, 여자 대학생의 진로선택 및 의사결정을 돕는데 우선 여대생이라는 동질 집단내에서 여대생들이 진로발달이 상이함을 고려하여 진로발달을 저해하는 장벽요인에 대해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진로준비부족이 여대생의 진로결정에 가장 커다란 장벽요인임이 밝혀졌으므로 결정을 위한 준비를 위해, 각종 취업 정보나, 절차, 취업에 필요한 준비 등에 중점을 두고 상담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자대학 여대생보다 진로장벽을 더욱 많이 지각하고 있는 남녀공학 여대생들에게는 진로문제와 관련하여 특별한 관심이 요구되며, 남녀공학 대학에서는 대학 상담실과 취업지원센터 등이 협력하여 이들을 도울 수 있는 대안을 따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