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현황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박유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강사지원 사업 중 무용 분야에 집중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를 토대로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그동안 제기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종합적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요약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별 영역에서 연구방법에 따른 실제적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지속 가능한 사례 분석을 통한 무용예술강사사업의 발정 방안을 모새학 한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무용분야 예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무용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에 적합한 분석틀을 개발하여 예술강사지원사업의 연구 현황을 일관성 있게 살펴보고 무용분야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의 시도가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무용분야의 예술강사지원사업은 일자리 창출로 인한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나, 고용불안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무용분야 예술강사지원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적·제도적인 개선을 통한 재정적 측면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단계별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무용분야 예술강사지원사업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새롭고 다양한 교육활동을 개발하고 실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더욱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무용수업의 기반을 마련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론과 연구 결과가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고 개선될 수 있도록 무용예술강사와 학교담당교사들간의 협력 장치 마련과 함께 무용수업에 관한 인식개선을 통한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개선 방안을 고찰하는 것으로 향후 무용예술강사지원사업의 양적성장 뿐 아니라 질적 성장을 도모를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vitalize the plan to support art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by analyzing the state of research into it based on the materials of earlier studies and through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problems raised about it. On the basis of the overall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mmarized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as for the state of studies by research method, these studies suggested different practical ways of developing the plan depending on their research methods, but not many studies have ever explored how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e plan for dance art lecturers by making a sustainable case analysis. In the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research model for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Second, an analysis framework that is suitable for research into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should be developed to inquiry into the state of research into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a consistent manner, and an attempt to analyze how to vitalize the plan on a continual basis seems to be necessary. Third,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the field of dance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employment by creating jobs, but it's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it in terms of job insecurity. Therefore in order to dynamize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in the area of danc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an effort to ensure a sustained increase in fina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as anything wrong with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fferentiated, level-based programs is required. In addition, a variety of professional, creative and novel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conducted. These activities are necessary to ignite the interest of students and to lay more systematic and solid groundwork for dance instructions. Finally, it'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encourage cooperation between dance art instructors and school teachers in charge to apply diverse theories and the findings of studies to the education sector to improve it, and they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undergo training to change the way they look at dance instructions.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how to improve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in the future, and it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offered basic data on how to facilitate the growth of the support plan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Keywords: school dance, dance education, dance art instructor, the support plan for art instructors, the support plan for dance art instructors.

      • 공업계 고등학교 전기·전자 전문 교과에서 필요한 수학 요소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박유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의 어려운 수학 요소라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전자 전문 교과에서 나온 수학 요소와 학습 현황을 파악하 고 개선점을 찾아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문 교과와 수 학 교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전문 교과 내 근본적인 수학 요소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렇기에 수학 교과와의 연 계학습뿐만 아니라 전문 교과 안에서의 다양한 문제 해결 가능성도 확보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학 요소 체계를 만들어 전문 교과 안에서 사용된 수학 요소와 그 빈도수, 각 과목의 학습 요소에 대한 수학 요소의 비율을 산출하였다. 분석한 내용 을 바탕으로 각 수학 요소들이 전문 교과 안에서 배우는 요소인지 수학 교과에서 배울 수 있는 요소인지 아니면 공업계 교육과정을 벗어난 내용인지 파악하였다. 각 경우에 대한 수학 요소의 학습 현황을 확인하였고 확인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안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 교과에서 배울 수 있는 수학 요소인 복소수, 삼각함수, 진법 중 삼각함수는 제시된 학습이 전공 수준에 미치지 못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수 학 교과에서 배울 수 있는 도형의 이동, 역함수, 지수와 로그, 수열 관련 요소들은 전문 교과와 수학 교과의 연계학습을 통해 학습의 보충·심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 여졌다. 교과 내에서 학습할 수 없는 요소 중 함수의 극한, 미적분, 벡터의 연산은 전문 교과에서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전문 교과 내에서 관련 설명이 추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대학수학의 개념인 푸리에 급수와 라플라스 변환은 전문 교과에 서의 쓰임이 적으면서 설명하기 매우 까다로운 요소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분석을 통해 발견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장단기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였다. 단기적으로는 첫째, 전기 회로 과목에서 삼각함수에 대한 학습을 보충 한다. 둘째, 전문 교과와 수학 교과의 연계 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모델이 제시되어 야 한다. 셋째, 전문 교과 안에서 미적분과 벡터의 연산에 대한 설명이 추가되어야 한다. 장기적인 해결방안으로 첫째, 전문 교과 안에서 사용하는 수학 요소의 범위와 수준이 지정되어야 한다. 둘째, 4차 산업 시대의 핵심 역량인 수학적 문제 해결 능 력을 훈련하기 위해 전문 교과와 수학 교과의 연계를 넘어선 통합적인 지도안 개발 이 필요하다. 앞으로의 후속 연구에서 더 다양한 과목의 자료 분석과 함께 실제 교사의 의견 을 반영한 지도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지속된 연구로 학습자가 느끼는 공업계 전 문 교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4차 산업시대를 주도할 전문인 양성 교육 의 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고교 유도선수들의 지각된 코칭행동, 동기분위기 및 진로자기효능감의 관계

        박유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erceived coaching behavior, motive atmosphere, and career self - efficacy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erceived coaching behavior, motive atmosphere and career self - efficacy. The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202 participants were Leadership Scale for Sports (LSS), Motive Atmosphere Perception Questionnaire (PMCSQ), and Career Atmosphere Questionnaire (PMCSQ) And self-efficacy scale (CAMSES). Data were colle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version 23.0, except for 52 parts of the collected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coaching behavior, motive atmosphere, and career self - efficacy of the athletic high school Judo players in the n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erceived coaching behavior, motive atmosphere, and career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der, students showed higher perceived coaching behaviors in positive democratic society and democratic society training than men,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differenc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otalitarian behavior, and the female was higher than the ma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mpetitive atmosphere. Career self - efficacy, occupational information factor, and female.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self-problem factors.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coaching behavi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n the order of grade 2 and grade 3 in the competitive atmosphere factor according to grade. In the career information self - efficacy factor, grade 2 was higher than grade 3 appear. According to the athletic career, 5 years of competitive atmosphere was higher than 3 years according to the athletic career,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y factor except the competitive atmosphere factor . second. Positive democratic society, which is a sub - factor of perceived coaching behavior,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mocratic society training and skillful atmosphere. Democratic social training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retentious behavior and competitive atmosphere. Skill atmospher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related, and totalitarian behavior was related to skillful atmosphere and amulet. Competition atmosphere There is a static relationship.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in self - problems, and in job information,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 - problems. Third, perceived coaching behaviors did not affect all the factors of career self - efficacy, and only career self - efficacy of motive atmosphere was influenc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leaders perform their primitive actions that emphasize their authority alone, the benefits they gain from fun and practice, and the positive emotions that learn and feel the physical strength and skills required for exercise . Coach's democratic decision-making and autonomous and positive team atmosphere and communication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athlete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general, athletes with a task-oriented tendency have positive attitudes, such as constantly re-trying, even if they try harder and fail. Therefore, they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when they solve information and self-evaluation of problems and problems Respectively.

      • Tris(2,2-bipyridine)ruthenium(II) [Ru(bpy)_(3)^(2+)] 전기화학발광(ECL)을 이용한 Amine류의 HPLC 검출

        박유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Tris(2,2′-bipyridyl)ruthenium(II)[Ru(bpy)_(3)^(2+)] 전기화학발광(ECL)을 HPLC의 검출방법으로 사용하여 amine기를 포함한 생체활성을 갖는 신경전달물질성 약물을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검출하고 응용하고자 하였다. Ru(bpy)_(3)^(2+) ECL은 반응성이 있는 산화상태의 Ru(bpy)_(3)^(3+)가 분석물과 반응하여 화학발광을 발생하고 이때 발생하는 빛의 양은 분석물의 농도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u(bpy)_(3)^(2+) 착물을 이용한 ECL 방법으로 2차 및 3차 amine류, 즉 beta-blocker와 phenothiazine 유도체들에 대해 특별한 유도체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Ru(bpy)_(3)^(2+) ECL을 이용해 고감도로 검출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흐름주입분석(FIA) 장치와 HPLC의 검출방법으로 이용하였다. Ru(bpy)_(3)^(2+) ECL과 HPLC의 결합을 위해 후-컬럼 혼합 방법(post-column mixing method)을 적용시켰고, 흐름셀(flow cell)에 전극을 구성하여 Ru(bpy)_(3)^(2+) 용액이 반응 용기로 이동되어 오면, 전극에 가해진 1.3 V의 전압에 의해 즉시 Ru(bpy)_(3)^(3+)로 산화되도록 장치를 고안하였다. 이 흐름은 컬럼(column)을 통해 분리된 시료와 반응하여 610 nm의 오렌지 빛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PMT(photo multiplier tube)로 검출하였다. Ru(bpy)_(3)^(2+) ECL은 시료의 농도, 흐름계의 유속, pH, 유기용매 등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으므로, 좋은 ECL 감도를 얻기 위해서는 이런 조건들을 최적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실험적으로 결정된 최적화된 조건하에서, Ru(bpy)_(3)^(2+) ECL을 이용 시, beta-blocker의 경우, pH 9.0에서 수 μM까지 검출이 가능했으며, 인뇨(human urine)나 조제약의 매질 하에서도 특별한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enothiazine 유도체의 대해서도 30 %(v/v) acetonitrile을 포함한 pH 6.0의 phosphate 완충용액을 이동상으로 하였을 때 HPLC에서 30분 안에 5가지 분석물이 분리되었고, 약 0.3~2.1 μM 농도 사이의 검출한계 값을 가졌으며, 생체 시료에 적용하여서도 단순한 크로마토그램과 함께 검출이 가능했다. 또한, 더욱 효율적이고 향상된 ECL 검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전극 표면을 V_(2)O_(5)-Nafion 복합물막으로 변형(modification)시키고 ECL 시료를 고정화시켜 phenothiazine의 HPLC-ECL에 적용시킨 결과, 기존의 Nafion이나 Nafion-silica 복합물을 이용하여 Ru(bpy)_(3)^(2+)를 고정시킨 방법에 비해 훨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HPLC-Ru(bpy)_(3)^(2+) ECL을 이용해 2, 3차 alkylamine류를 선택적으로 고감도 검출을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ECL 검출법은 생체활성물질을 고감도로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약물의 모니터링이나 생체 내 약물의 오용도 검사 및 여러 생명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highly selective and sensitive method has been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amine-containing bioactive compounds using Ru(bpy)_(3)^(2+) electrogenerated chemiluminescence (ECL) detection. In this work, Ru(bpy)_(3)^(2+) ECL was used to sensitively detect secondary and tertiary amines such as beta-blockers and phenothiazine derivatives for HPLC and FIA. A technique for the in-situ generation of Ru(bpy)_(3)^(3+) at an electrode surface was used and applied as a post-column reaction detector in HPLC. For this method, separated analytes are mixed at a mixing tee with a Ru(bpy)_(3)^(2+) stream and the combined solution is then delivered to the detection cell. On the electrode surface of flow cell, Ru(bpy)_(3)^(2+) is oxidized to Ru(bpy)_(3)^(3+) by applied potential of 1.3 V, which reacts with the analyte and then emits the light of 610 nm. Several optimized ECL conditions were experimentally determined because ECL intensity was affected by pH,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CL reagent.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the detection limit for beta-blockers is pmol level with S/N of 3 and the determination of beta-blockers i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human urine samples was possible without specific sample preparation. Phenothiazine derivatives were separated on a HPLC using mobile phase of 50 mM phosphate buffer(pH 6) and acetonitrile (70:30 v/v) in 30 min and had the detection limits of about 0.3 ~ 2.0 μM with S/N of 3 by the present method.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phenothiazine derivatives in human urine samples was performed by HPLCECL. The ECL sensor of Ru(bpy)_(3)^(2+) immobilized in V_(2)O_(5)-Nafion composite film was applied to HPLC-ECL detection of phenothiazine derivatives. It is found that the sensor of Ru(bpy)_(3)^(2+) immobilized in V_(2)O_(5)-Nafion composite film has good stability and allows the sensitive and effective detection of phenothiazines in HPLC system.

      • 리모트워크를 위한 제주 레지던스 오피스 디자인

        박유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일하는 방식은 다변화하며 혁신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컴퓨터와 기술 발전으로 고정된 업무공간을 벗어나 원격으로 일하는 디지털 노마드라는 개념이 나타나면서 업무 환경과 행태는 점차 진화하였다. 이러한 혁신의 배경은 업무를 인식하는 태도와 업무 방식의 변화에서도 기인한다. 과거에는 일을 하는 목적이 생계와 직결되었고, 그로 인해 삶과 일을 하나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시대가 변화하며 일의 목적은 점차 다양해졌다. 생활의 영위를 위한 목적 외에도 자아실현이나 개인에게 가치 있는 일에 시간을 투자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며 변화가 시작되었다. 일하는 목적이 이전보다 주관적이고 세분화되며 다양해진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우연히 발생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구에 맞는 기술과 환경의 혁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이러한 업무 방식의 변화는 지난 팬데믹으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었고 선택의 상황이었던 원격근무가 한때에는 필수의 상황이 되기도 하였다. 공유오피스나 기존 시설을 이용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에 걸맞은 재택과 원격근무를 위한 리모트워크에 대응하는 공간은 아직 미비한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리모트워크를 시행하는 리모트워커를 위한 새로운 공간 제안을 목표로 하였다. 리모트워크는 장소와 시간의 제약이나 업무와 휴식의 구분 없이 어디에서나 일하는 업무 방식을 말한다. 점차 업무와 휴식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업무공간에 휴식의 도입은 근무자에게 업무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긴장감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는 제주도 서귀포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통한 휴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지에 계획할 리모트워크를 위한 레지던스 오피스는 업무와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원격 근무자, 즉 리모트워커를 위한 공간으로 근무자들이 장, 단기간 머무르며 일할 수 있는 복합공간이다. 이와 관련한 국내외 사례들을 분석하고 공간 특성과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와 대상지 특성을 반영하여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한 후 그 콘셉트에 맞게 공간을 설계하였다. 프로젝트의 타이틀은 ‘제주에서 비우고 채우다’이다. 이는 휴식과 업무라는 다소 이질적인 기능을 복합하는 과정에서 도출하였다. 두 기능을 다 담을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비움’의 개념을 적용하고, 여기에서 느껴지는 여유로운 이미지를 휴식과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대비하여 집중과 몰입이 필요한 업무의 기능을 비워진 공간 사이에 ‘채움’으로써 둘의 균형을 맞춘다. 이러한 개념을 공간에 적용해 다양한 시선과 경험을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공간을 경험하는 개개인이 스스로 내면을 비우고 채우는 과정을 반복하기를 바랐다. 점차 휴식과 업무의 경계는 모호해지고 있다. 업무공간의 디자인 방향이 인간과 자연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는 근무자의 요구가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발현되고 있으며, 이는 본 연구와 관련된 리모트워크를 위한 공간, 그리고 레지던스 오피스의 설계가 지속 연구될 가능성을 드러낸다. 본 연구를 통해 리모트워크 업무 방식을 위한 레지던스와 오피스로 구성한 복합공간을 설계하고, 이를 자연 경관이 좋은 제주에 위치시켜 업무와 휴식을 동시에 경험하는 새로운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Today, the way people work is developing innovatively with diverse changes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As the term digital nomads emerged to describe people who work remotely outside of a fixed work space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technology, work environment and behavior also gradually evolved. The background of such innovation also stems from changes in the attitude toward work and work methods. In the past, the purpose of work was connected directly to livelihood. Therefore, life and work were perceived as one. With the change of times, however, the purpose of work gradually diversified. This is because, the need to invest time in self-realization or personally valuable work increased besides the goal of making a living. As a result, the purpose of work become more subjective, segmented, and diverse than before. These changes did not happen by chance but were possible because of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innovations catering to diverse needs. Changes in work methods have accelerated due to the recent COVID-19 pandemic. First, remote work, which was once an option, has become a necessity. Second, services using shared offices or existing facilities are increasing.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still not enough space that responds the needs of remote workers for telecommuting and remote work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space for remote workers. Remote work refers to a work method that allows a worker to work anywhere and anytime without any restrictions on place and time an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work and rest. In this arrangement, the boundaries between work and rest are getting blurred, and the introduction of rest in the work space works as a factor of relieving work stress and lowering tension for workers. Therefore, the Seogwipo area of ​​Jeju Island is chosen as the site of this project so that its beautiful natural scenery offers rest to remote workers. The residence office planned here is a space for remote workers who aim for work and rest. It is a complex space where workers can work while staying for a long term or a short term.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were analyzed to deduce pertinent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rograms. After establishing a design concept that reflects the analysis results and site characteristics, the residence office space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cept. The title of the project is ‘To empty and to fill in Jeju.’ The title was decided in the process of mixing work and rest, two functions that are somewhat heterogeneous. The concept of 'emptying' is applied for a space of possibility that can contain both functions, and the relaxed image emanating from the space can be connected with rest. In contrast, by ‘filling’ the emptied space with the function of work that requires concentration and immersion, a balance is created between the two. The residence office is intended to convey a variety of viewpoints and experiences by applying such a concept of space, and it is expected that each individual who experiences this space would repeat the process of emptying and filling his/her inner self. The boundaries between rest and work are getting blurred. The direction of work space design is changing with a focus humans and nature. This proves that the needs of workers stem from those elements. This trend of change is also observed in Korea,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design practice and research of spaces for remote work and residence offices. In this study, a complex space consisting of a residence and an office for the work arrangement of remote work is designed and conceived in a location in Jeju Island surrounded with beautiful natural scenery so as to present a new space where one can experience both work and rest at the same time.

      • 학령기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속담 이해 및 표현 능력 비교

        박유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속담은 간결하고 함축된 표현으로 삶의 지혜나 교훈을 비유적, 풍자적으로 표현한 말이며, 가장 나중에 발달한다. 국내의 초등학교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속담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함축적인 표현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에 교과과정 속 속담을 사용하여 다양한 활동을 함에 있어 어려움을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속담 친숙도와 사용 빈도,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속담 이해와 표현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속담 이해 능력과 표현 능력 중 어떠한 능력에서 더 쉽게 속담을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10~12세 언어학습장애 아동 15명, 일반 아동 15명으로 하였다.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속담 이해 및 표현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아동은 연구자가 제작한 속담 이해 과제와 속담 표현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학습장애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속담 이해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언어학습장애 아동 집단의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속담 이해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아동 집단의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속담 이해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 간 속담 표현 능력에서 속담 표현 빈도는 언어학습장애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보다 표현 빈도가 낮았으며, 언어학습장애 아동 집단의 오류 유형은 첨가, 생략, 대치, 순서 바꾸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아동 집단의 오류 유형은 첨가, 대치 생략, 순서 바꾸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 모두 집단 내에서 속담 이해 능력과 속담 표현 능력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 집단 간 속담 이해 능력과 속담 표현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속담 이해 능력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두 집단 간 속담 표현 능력에서 속담 표현 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오류 유형 중 두 집단 모두 첨가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순서 바꾸기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집단 내에서 속담 이해 능력과 속담 표현 능력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속담 이해 및 표현 향상을 위해서는 아동이 쉽게 속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영역을 먼저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이해 영역을 지도할 경우 우선 문맥을 제시하여 속담을 이해하고, 이후 문맥을 제시하지 않은 속담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임상적 의의가 있다.

      •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 개발

        박유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Visual thinking is an integrated concept of perception and thinking, which is a cognitive process that utilizes visual images to process information. Visual think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art because it is a process of exploration, speculation, and verification, rather than just looking at images. In this study,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which proposed various approaches to activating visual thinking, was applied to art appreciation. As a new method of teaching is being tried, it is aimed at identifying how appreciation of art based on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ffect the student’s interpretation of art works.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 is as follows. First,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look a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Second,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nalyzes the effect that the student has on making the meaning of art work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rough the study of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visual think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the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and the review of prior studies,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was developed and applied. Appreciation of art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enable student to use visual thinking skillfully to actively explore, select, solve, and identify the core of art work. In addition, an extended appreciation, which alters the original image or recalls another image, is a process of appreciation of the original art works, and it makes student to make creative and sensitive meaning. Based on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I came up with an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First, I developed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six strategies, including Abstract, Concretize, Modify, Manipulate, Transform, and Timescan, and suggested the appropriate types of art works for each strategy. Afterwards, it was divid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ograms to explore and improve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it developed. The first program was focused on pop art works at M Contemporary Art Museum, the second e program focused o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orks of Samsung Leeum Museum, and the third program was designed to appreciate art in the classroom. The program's effectiveness could be checked by analyzing the work sheet, recordings, comments, photos, interviews, and research journals collected during the program.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outcomes of activities, the conclusions reached through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confirmed that students made their own meaning of art work without being bound by traditional theories. Second, by developing an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a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the approach to art works was diversified and structured. Third, the program showed that students became interested in appreciation and confident in self-directed appreciation. Finally, new ways of art museum education were proposed. An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llow the students to learn how to appreciate art and to voluntarily choose and appreciate it. Thus,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Mckim's visual thinking strategies enabled the student to make their own meaning of art work and provide a diverse and structured approach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addition, it has raised the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self-directed appreciation, and, by extension, suggested a new way of education for the art museum.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란 지각(perception)과 사고(Thinking)가 통합된 개념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인지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이모영, 2013). 시각적 사고는 이미지를 단순히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탐색, 추측, 검증하는 추론의 과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미술의 창조와 감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시각적 사고를 활성화시키는 다양한 접근법인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Visual-Thinking strategies)을 미술 감상에 적용하여 감상자의 작품의 의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새로운 교수법의 시도인 만큼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이 학생들의 작품 의미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되 학생들의 미술 감상 과정이나 태도에도 전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을 미술 감상 교육에 적용할 가능성을 고찰한다. 둘째,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이 감상자가 작품의 의미를 형성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상기 연구 문제에 기초하여 시각적 사고,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 미술 감상 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시각적 사고 및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을 교육 현장에 활용한 선행 연구의 검토를 통해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은 시각적 사고를 능숙하게 사용하도록 하여 수동적인 작품 감상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탐색하고 선택, 핵심 파악, 추상화, 관계 파악, 문제 해결, 종합, 분리, 비교 등의 인지적 조작을 거치도록 하여 작품의 의미를 형성하는데 유의미하다. 또한 원작의 이미지를 변형하거나 다른 이미지를 떠올리는 확장적인 감상 역시 원작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감상자의 주체적인 활동과 사고를 동반하는 감상은 감상자가 독자적이고 창조적이며 감각적인 의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구상해 보았다. 우선 추상(Strategy Abstract), 구체(Strategy Concretize), 수정(Strategy Modify), 조작(Strategy Manipulate), 변형(Strategy Transform), 시간탐지(Strategy Timescan)의 여섯 가지 전략의 특성과 방법에 기초하여 미술 감상 활동을 개발하고 각 전략에 기초하여 감상하기에 적절한 작품의 유형 및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후 개발한 미술 감상 활동을 반성적으로 탐구하고 개선해 나가는 실행 연구의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1차, 2차, 3차 실행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계획하였다. 1차 실행 프로그램은 M 컨템포러리 미술관에서 팝아트 작품을 중심으로, 2차 실행프로그램은 삼성 리움 미술관의 근현대 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3차 실행 프로그램은 교실에서 다양한 양식의 작품을 감상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세부 프로그램별로 3차시, 3차시, 5차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수집한 감상 활동지, 발화 녹취, 소감문, 사진, 관찰 기록, 면담, 연구 일지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학습 활동의 결과물들을 비교 및 분석한 결과,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기존의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독자적인 작품의 의미를 형성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변형 전략에 기초한 감상 활동은 이야기를 상상하고 꾸미기를 좋아하는 초등학교 학생의 작품 해석 특성에 부합하여 초등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가장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접근 방식을 다양화 및 체계화하였다. 학생들은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하여 감상함으로써 형식적 특성의 발견, 형식적 특성과 주제와의 관련성 발견, 개인적인 의미부여 및 작가의 의도 파악에 대한 욕구, 개인적 경험 떠올리기 등의 다양한 반응을 확장하며 작품과 관계 맺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그동안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오던 감상 방법을 Mckim의 여섯 가지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하여 체계화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감상에 흥미를 느끼고 자기 주도적인 감상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율적으로 전략을 선택하고 전략을 통해 일어나는 다양한 종류의 사고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으며 전략을 통해 스스로 작품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미술관 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은 감상자가 미술 감상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며 자발적으로 전략을 선택하여 감상하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은 스스로 탐구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과 자율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미술관 교육에 새로운 방안이 되기에 충분하다. Mckim의 시각적 사고 전략에 기초한 미술 감상 교육은 감상자에게 독자적인 작품의 의미 형성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미술 감상 교육에 다양하고 체계화된 작품 접근 방법을 제공하였다. 또한 감상자의 흥미와 자기 주도적인 감상에의 자신감을 유발하였으며 더 나아가 미술관 교육에 있어 감상자가 주체가 되는 새로운 미술관 교육 방안을 제안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추후 연구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 표본 집단을 키워 양적 연구를 한다면 본 연구의 효과성이 보다 신뢰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회화 작품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추후 연구에서 건축물, 설치 작품, 조각 등을 대상으로 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다양한 예술 작품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추후 연구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공감 능력, 관찰력 등이 선호하는 전략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밝혀낸다면 개별화된 미술관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넷째, 추후 연구에서 미술관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감상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면 보기, 상상하기, 그려보기의 세 가지 종류의 심상이 상호작용하며 시각적 사고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EDM 공연을 통한 문화자본 형성 노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관람객의 EDM 공연 만족도,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박유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people watching culture and art events is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growing income and leisure following economic growth. The term culture holds a variety of meanings in academic and context aspects. Its narrow definition is an intellectual, musical, artistic, or cultural outcome. In a broad sense, it encompasses the overall lifestyle of society or the values, practices, symbols, institu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 society. As one of the ways to express life, culture and art offer the most remarkable channel to understand what a human being is. Human beings get sympathy, consolation, and get to participate in explicit and implicit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art. Such communication helps promote a broader and deeper understanding of society, which adds a social meaning to art. The interest level and activity participation of EDM festivals, on which this study focuses, can be considered as accumulated cultural capital of different cultural capital types. Therefor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ffort to create cultural capital through an EDM festival on the quality of life via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day South Korea is called a republic of popular music festivals. A music festival is available to people everywhere in the nation throughout the four seasons. The time has come when people no longer need to wait for a certain festival as they can go out and enjoy one at will regardless of the season. As festivals are launched in various musical genres, festival content has become diverse as well, which has attracted a good number of people. Such a festival is not merely a venue for music, but a space beyond music, being utilized as a means of expression. It can help to increase people's satisfaction with lif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viewers that watched an EDM performance. Data was collected from viewers that experienced an EDM festival in the nation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which suspended most festivals in the nation. The survey took place for about four days from May 7~10, 2022. Considering the non-contact situations amid the COVID-19 pandemic, the researcher commissioned it to an online research specialist The address of the online research website: http://kr.entrustsurvey.com/sampling-company-entrust-survey.html, Entrust Survey, May 7, 2022. so that it could be conducted online. The survey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cultural knowledge and activities, except for cultural liter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viewers. Cultural activities had greater effects than cultural knowledge, which demonstrates that those who usually take an active part in activities related to culture and art and engage in vigorous activities tend to have greater satisfaction and actively behave by watching the performance again and recommending it to others. Secondly, satisfaction with EDM festival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viewers. This finding also supports many previous studies that demonstrated significant causal relations between consu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cultural activities and knowledge as cultural capital had impacts on behavioral intention partially via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behavioral intention of viewers had relatively greater impacts on their satisfaction than the direct impacts of cultural capital and cultural knowledge. Cultural literacy and knowledge under cultural capital via an EDM festiva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of view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watching a performance had no direct significant effects on quality of life. That is, watching culture and art such as an EDM performance itself does not bring consumers happiness directly. Consumers can feel happy in their personal lives with just their cultural literacy, interest, and accumulated knowledge.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to accumulate cultural literacy will lead to their consumption such as watching a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their happiness. The study was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thus it did not conduct any in-depth research on the unique nature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 by gender and age in South Korean society, leaving room for improvement. If future studies on such popular performances as EDM festivals, whose research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as a qualitative topic, they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profound research outcomes. 국민의 문화예술행사 관람률은 경제성장과 함께 소득 및 여가시간의 증가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문화’라는 용어는 학문별, 문맥별로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좁게는 지적, 음악적, 예술, 문학적 결과물을 뜻하기도 하고, 넓은 의미로는 사회의 전체적인 생활 방식 즉, 한 사회의 가치, 실천, 상징, 제도, 인간관계 등을 모두 문화 속에 포섭시키기도 한다. 삶의 표현 방식 중의 하나인 문화예술은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를 이해하는 데 더 없이 훌륭한 통로이다. 예술을 통해 공감과 위안을 얻고 타인과 명시적, 묵시적 소통에 참여 하게 된다. 이러한 소통을 통해 사회를 더 넓고 깊게 이해할 수 있다는데 예술의 사회적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초점이 되는 EDM 페스티벌에 관한 관심도와 활동참여는 문화 자본의 형태 가운데 체화된 문화 자본으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에에 본 연구는 EDM 페스티벌을 통한 문화자본 형성의 노력이 공연만족과 행동 의도를 통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의 대한민국은 대중음악 페스티벌 공화국이다. 봄, 여름, 가을 어느 계절, 전국 어딜 가도 우리를 맞이하는 음악 페스티벌들이 있다. 이젠 특정 페스티벌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마음만 먹으면 계절에 상관없이 페스티벌을 갈 수 있는 시기가 도래했다. 여기에 다양한 음악 장르의 페스티벌들이 생겨나면서 콘텐츠는 다양해졌으며, 많은 대중들이 찾는 곳이 되었다. 또, 페스티벌은 단순히 음악만을 듣는 공간이 아닌 그 이상의 공간으로서 하나의 표현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중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설문지 조사 대상은 EDM 공연을 관람한 관람객을 연구 참여자로 설정했다. 자료수집은 코로나 기간 동안에는 대부분의 페스티벌 공연이 중단된 상황이었으므로 코로나 이전까지 국내에서 EDM 페스티벌을 경험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22년 5월 7일~10까지 약 4일간 진행되었으며 코로나의 비대면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 리서치 전문회사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지 조사 결과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소양을 제외한 문화지식 및 활동은 관람객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지식보다 문화활동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보아 평소 문화 예술과 관련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많이 할수록 실제 공연을 관람한 후 만족도가 높아지고 재관람 및 추천과 같은 적극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EDM 페스티벌 만족은 관람객 행동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역시 소비자 만족, 행동 의도 간 유의한 인과관계를 입증한 다수의 선행연구를 지지하였다. 셋째, 문화자본으로서 문화활동과 문화 지식은 공연 만족도를 부분 매개하여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만족도에 대한 관람객 행동 의도의 영향력이 문화자본의 직접적 영향력, 문화 지식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EDM 페스티벌을 통한 문화자본 중 문화적 소양 및 문화 지식이 관람객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공연 관람에 대한 만족과 행동 의도가 직접적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EDM 페스티벌과 같은 문화 예술의 관람 경험 자체가 행복감을 가져다주기보다는 평소 소비자들에게 체화되어 있는 문화적 소양 및 문화에 대한 관심과 지식만으로도 개인의 삶을 행복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중들에게 문화적 소양을 쌓을 수 있는 정보 및 기회의 제공을 확대한다면 공연 관람과 같은 소비로 연결됨과 동시에 대중을 행복하게 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양적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하였기에 우리 사회가 지닌 특수성 및 성별, 연령 등 세대 간 관계를 더 깊이 있게 연구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고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진 EDM 페스티벌과 같은 대중공연을 대상으로 한 연구인만큼 질적인 주제로 다룬다면 더욱 깊이 있는 연구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구리 침출에 미치는 황산 용액 중 2가 구리이온과 산소 첨가의 영향

        박유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드디스크드라이브 내 인쇄회로기판(PCB)은 금(Au), 은(Ag)과 같은 귀금속과 구리(Cu), 알루미늄(Al), 철(Fe) 등의 유가금속을 포함하며 이를 회수하기 위한 재활용 공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 용액을 이용한 습식제련법으로 PCB 기판으로부터 구리를 회수하기 위해 2가 구리이온과 산소를 산화제로 첨가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PCB의 기판과 부품을 분리하였을 때 효율적인 금속의 회수가 가능하며 부품이 탈착된 기판에는 구리가 약 20%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4가 주석이온을 포함한 염산 용액으로 PCB의 기판으로부터 부품을 탈착시키고 분리된 PCB 기판을 파·분쇄하여 2가 구리이온과 산소를 산화제로 첨가한 황산 용액으로 침출하였다. 먼저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분리된 PCB의 부품 탈착에 대한 교반속도, 반응온도, 4가 주석이온의 농도, 염산의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00~300 rpm의 교반속도에서 PCB로부터 부품 탈착 속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온도, 4가 주석이온 농도, 염산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탈착 속도가 증가하였다. 부품 탈착율이 100%에 도달하였을 때 기판에서 솔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10,000 mg/L의 4가 주석이온을 포함한 1 mol/L 염산 용액에 폐하드디스크드라이브 PCB 1개를 투입하고 200 rpm, 90°C 의 조건에서 침출하였을 때 2시간 만에 100% 탈착 완료되었다. 부품이 탈착된 기판은 커팅밀과 믹서밀로 파․분쇄하고 1.18 mm 이하의 시료를 침출에 사용하였으며 교반 속도, 온도, 산소 주입량, 황산 농도, 광액 농도에 따른 침출 거동을 조사하고 수축핵 모델을 이용하여 속도론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침출 효율은 교반 속도, 온도, 산소 주입량, 초기 2가 구리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황산 농도에 대한 영향은 미미했다. 초기 2가 구리이온의 농도가 10,000 mg/L인 1 mol/L 황산 용액으로 산소 1,000 cc/min, 광액 농도 1 w/v%, 600 rpm, 90°C 의 조건에서 침출하였을 때 120분 이내 구리가 96% 침출되었으며 2가 구리이온과 산소를 산화제로서 통시 투입하였을 때 침출 반응을 촉진하여 침출 효율과 침출 속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PCB 침출에 대한 반응 속도 모델은 고체와 유체의 화학반응이 율속 단계이며 구형의 입자에 대한 수축핵 모델이 적합하였다. 2가 구리이온 10,000 mg/L을 포함한 1 mol/L 황산 용액을 사용하고 산소 1,000 cc/min, 광액 농도 1 w/v%, 600 rpm 조건의 온도에 따른 침출 결과에 대해 계산된 활성화 에너지는 21.34 kJ/mol이다. In the present paper, the leaching of copper from printed circuit boards(PCBs) using sulfuric acid with cupric ion(Cu2+) and oxygen(O2) is proposed to recovery valuable metals from PCBs. First, the effects of the agitation speed, temperature, Sn4+ concentration, and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for separating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EECs) from PCBs. At a agitation speed of 100 to 300 rp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paration speed of PCBs and EECs, and the dismantling-completion time was reduc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Sn4+ concentration, and hydrochloric acid concentration. When the EECs separation efficiency reached 100%, no solder was observed on the PCBs, the dismantling of PCB was completed within 120 min under the leaching conditions; HCl concentration 1 mol/L, initial Sn4+ concentration 10,000 mg/L at 90°C and 300 rpm. The bare PCBs were ground with a cuttiing mill and mixer mill and the product was screened with a 1.18 mm sieve. The effects of various process parameters such as agitation speed, temperature, the type and the flow rate of gas, initial Cu2+ concentration, sulfuric acid concentration, and pulp density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dissolution behavior of Cu from PCBs. The leaching efficiency of Cu was found to be increased with increasing agitation speed, temperature, O2 flow rate, and initial Cu2+ concentration and decreasing pulp density. The effect of sulfuric acid concentration was insignificant. The 96% of Cu leaching efficiency was obtain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H2SO4 concentration 1 mol/L, pulp density 1%, initial Cu2+ concentration 10,000 mg/L and O2 flow rate 1000 cc/min at 90°C and 600 rpm. The leaching rate of Cu from PCBs was found to be higher on addition of Cu2+ and O2 to the leachant. The kinetic studies were performed using the obtained leaching data. The leaching data and analyses indicate that the Cu leaching from PCBs followed the reaction-controlled model for spherical particles satisfactorily and determined that the activation energy was found to be 21.34 kJ/mol.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lfuric acid solution with Cu2+ and O2 as a mild leach medium is valid for Cu leaching from PC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